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3:51:13

민어(언어)

호키엔에서 넘어옴
'''[[중국티베트어족|중국티베트어족
Sino-Tibetan Languages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중국티베트조어† 한어파 중국제어 관화 ( 표준 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 보도나가어군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 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 파오어 · 풔어
기타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관화 - 진어 관화
(官話)
북경관화( 표준 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진어
(晉語)
오어 - 휘어 오어
(吳語)
북부오어( 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휘어
(徽語)
상어
(湘語)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감어 - 객어 감어
(竷語)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객가어
(客家語)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월어 - 평어 월어
(粤語)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평어
(平語)
민어
(閩語)
민남어
(閩南語)
복건어
(福建語)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조주어
(潮州語)
민북어
(閩北語)
건구어 · 건양어
민동어
(閩東語)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민중어
(閩中語)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보선어
(莆仙語)
소장어
(邵將語)
경뢰어
(瓊雷語)
해남경어
(海南瓊語)
뇌주어
(雷洲語)
한문(漢文) }}}}}}}}}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0 auto; text-align:left''
관련 문서: [[:분류:개별 언어]] · [[언어 관련 정보]]
<colbgcolor=#eee,#000>· 종류 (위키에 문서가 등재되어 있는 언어만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 5천만 명 이상 언어는 굵게 표시함.
갈리시아어 객가어 · 게일어 · 광동어 · 구자라트어 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나바호어 · 네덜란드어 · 네팔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 독일어
라다크어 · 라오어 · 라트비아어 · 라틴어 · 라파누이어 · 러시아어 로망슈어 롬바르드어 · 루마니아어 · 룩셈부르크어 · 류큐어 · 르완다어 · 리구리아어 · 리투아니아어
마라티어 · 마오리어 · 마인어 · 마케도니아어 · 맨어 · 몰타어 · 몽골어 · 미얀마어 · 민어(언어)
바스크어 · 반달어 · 베네토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벵골어 · 불가리아어
상어(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부아노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 · 소토어 · 스반어 · 스와힐리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스페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시칠리아어
아디게어 · 아람어 · 아랍어 · 아르메니아어 · 아이누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아이티 크레올어 · 아제르바이잔어 · 아파르어 · 아프리칸스어 · 알바니아어 · 암하라어 · 에스토니아어 · 영어 · 오어 · 오크어 · 요루바어 · 우르두어 · 우즈벡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이보어 · 이디시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자메이카 파트와 · 자바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줄루어 · 중국어
차모로어 · 체코어 · 축치어 · 츠와나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캄보디아어 · 코르시카어 · 코만치어 · 코사어 · 콘월어 · 콥트어
타밀어 · 타지크어 · 태국어 · 텔루구어 · 통가어 · 튀르키예어 · 티베트어
펀자브어 · 페로어 · 페르시아어 ·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풀라어 · 프랑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리지아어 피에몬테어 · 피지어 · 핀란드어 · 필리핀어
하와이어 · 하우사어 · 한국어 · 헝가리어 · 히브리어 · 힌디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
<colbgcolor=#f84808> 민어 | 푸젠어
閩語/闽语[1] | 福建話
Min Chinese | Hokkien[2]
파일:민어 사용 지역.png
민어 사용 지역 분포도
<colcolor=#fff> 유형 고립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문자 한자( 정체자, 간체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중국|]][[틀:국기|]][[틀:국기|]]
푸젠성
하이난성
광둥성 동부
└광둥성 레이저우 반도

[[대만|]][[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7,000만 명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한어
중국어
민어
언어
코드
<colbgcolor=#f84808><colcolor=#fff>
ISO 639-6
mclr
글로톨로그
minn1248

1. 개요2. 하위 방언
2.1. 연해 민어
2.1.1. 민남어2.1.2. 경뢰어2.1.3. 민동어2.1.4. 보선어
2.2. 연산 민어
2.2.1. 민북어2.2.2. 민중어
2.3. 소장어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로 오늘날의 푸젠성~ 광둥성 동부( 차오저우 및 주변지역)~ 대만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방언이다. 물론 중국어 방언들이 원래 그렇듯 말이 좋아 방언이지 관화( 표준 중국어)나 기타 중국어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크다. 주 사용 지역이 푸젠성이기 때문에 푸젠어(福建話)라고도 하며, 사용자는 7000만 명 정도다.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은 모두 중고한어 시절에 분화하여 갈라져 나왔는데, 민어는 특이하게도 그보다 더 옛날인 후한 말기의 상고한어로부터 먼저 갈라져 나왔다. 따라서 음운에서 오래된 색채가 강하며 같은 방언 그룹 내에서도 방언차가 가장 크다. 그 때문에 민북·민남·민중·보선·민동(·경뢰)·소장의 6~7개 분류로 쪼개 설명하기도 한다.[3] 상고한어에서 분화된, 현존하는 민 방언의 조어가 되는 초창기의 민어를 원시 민어(原始閩語)라고 하는데, 대락 후한 말에서 동진 시기쯤에 등장한 듯하나 원시 민어로 쓰인 문헌이나 제대로 된 기록이 없어 원시 민어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주로 현존하는 민 계열 방언을 토대로 음운체계를 재구성하는 비교언어학적 접근을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로 갈라진 뒤에 현재 5~7개 방언권으로 분화되었다.


동남아 등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교들은 대부분 푸젠 및 광둥 지역 출신이기 때문에 화교의 상당수가 이 방언을 쓴다. 주요 방언지역으로는 푸저우, 샤먼, 타이완, 차오저우, 하이난 등이 유명하다.

다른 중국어 내 방언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Swadesh list의 기본어휘 200개로 비교한 결과 북경어와의 유사성이 49%로 5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다른 방언과도 비교해보면 오어와는 51%, 광동어와는 55%, 객가어와도 58%로 꽤 차이가 있는 편.[4] 민어가 먼저 상고한어에서 분화되고 그 후에 중고한어에서 나머지 방언이 분화되었기 때문에, 중국어 방언 중에서 제일 이질적이고 어떤 방언과 비교해도 비슷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하위 방언

민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학문적인 편의상 그렇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며, 민어 아래에도 수많은 세부 방언이 존재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중국어 제방언과 마찬가지로, 각 세부방언끼리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심지어 문자를 배제한 음성 언어만의 대화에서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보다 상호 이해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2.1. 연해 민어

沿海閩語. 푸젠성 기준 연안(沿岸)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대부분의 민계 언어 사용자들이 이 연해 민어를 사용한다.

2.1.1. 민남어


샤먼 궤도교통 1호선 안내방송. 표준중국어 - 민남어 - 영어 순으로 진행한다.

閩南語 / Bân-lâm-gú.

가장 많이 알려진 민어 방언. 푸젠성 남부와 대만, 광둥성 동부 해안 등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화교들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5] 더 자세하게 구분해서 대만과 푸젠성의 복건 방언(Hoklo), 광동성 동부의 조주어(Teochew)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 복건화(福建話)
    복로화(福佬話)[6], 천장편(泉漳片)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장주(漳州)어와 천주(泉州)어, 하문(廈門)어[7] 등으로 좀 더 세분하기도 한다.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8], 인도네시아[9] 등에 복건화를 쓰는 화교들이 거대한 세력을 형성한 덕에 전세계적으로 'Hokkien'이라는 용어로 복건화가 일찍부터 중국의 언어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되었다. 지금도 복건화를 쓰는 화교 공동체의 영향력은 현지에서 매우 강하기에 그들의 언어가 현지 언어의 속어, 용어, 지명에도 영향을 끼쳤을 정도이다. 그래서 현재도 민남어의 대명사는 복건화이다. 다만 타이완섬이 현재 중국 본토와 사실상 별개의 국가로 존재하기 때문에 대만어를 민남어의 대명사로 보는 견해도 있다. 마치 광동어 하면 광저우보다 홍콩을 떠올리는 것과 비슷하다.
  • 대만어(臺灣語 / Tâi-oân-gú)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민남어의 일종으로, 대만에서 공용어인 표준 중국어와 함께 구어로 많이 쓰인다. 복건 방언이 대만으로 유입돼 형성된 방언으로, 복건 방언과 유사하여 서로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대륙의 복건화와 비교하면, 어휘가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일본어 차용 어휘가 많다는 것과, 장주어와 천주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같은 단어가 미세하게 다른 여러 발음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가 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 조산화(潮汕話)
    푸젠성 남서부 및 광둥성 동부의 차오저우, 산터우, 제양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특히 차오저우(조주) 출신 화교들이 태국[10]이나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 많이 정착했기에 해외에는 차오저우의 현지 발음인 Teochew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래서 일상적으로는 조주어라고 부르는 것이 흔하나 사전적으로는 조주(차오저우)와 산두(산터우)의 방언이기에 조산화(潮汕話, Teoswa)라고 정의한다. 해외 화교들 중 광동어나 민남어 화자가 많은데 민남어 중에서도 특히 많은 언어이다. 또 조주어 화자의 분포 지역은 광동어의 영향권과도 겹치기 때문에, 중국 대륙의 조주어 화자 상당수는 광동어도 어느 정도 구사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

민남어의 로마자 표기법( 병음)으로 백화자(白話字, POJ)가 유명하며 대만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는 백화자를 개량한 대라병음(臺羅拼音·TL)을 대만 민남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삼아서 대만 민남어 교과서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중국 대륙의 샤먼대학에서 만든 민남방음병음방안[11]을 비롯한 다른 표기법도 몇 가지 있다. 차이가 커서 흔히 별개의 방언으로 분류하는 조산화의 로마자 표기법은 1960년에 광둥성 정부에서 만든 조주화병음방안이 많이 쓰인다.

민남어를 사용한 유명한 인물로는 작가, 문학평론가인 린위탕(林語堂) 및 건생중의의 의사 장슌중(張順忠, 1952- )이 있다.

를 뜻하는 영단어 Tea는 차를 뜻하는 한자 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하였다. 민남어로 '테'에 가깝게 발음하던 것을 네덜란드 상인들이 받아들여 유럽 여러 나라로 전해졌다.

케첩의 어원 또한 민남어에서 유래하였다.

싱가포르에 가면 흔히 먹을 수 있는 현지 음식 중 바쿠테(肉骨茶, 갈비탕), 박과(肉干, 육포) 등이 민남어에서 유래한 음식 명칭이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전화번호를 읽을 때 0(떨어질 령)으로 읽지만 민남어에서는 한국어에서 전화번호나 번호판 등을 읽을 때처럼 (빌 공)으로 읽는다.

2.1.2. 경뢰어



琼雷語. 혹은 하이난어 (海南語 / Hái-nâm-gú). 하이난성 광둥성 레이저우(雷州) 반도에서 쓰이는 방언으로, 민남어의 일파로 분류하기도 하고 독립된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자음의 발음이 유기음-무기음 대립이 없고 베트남어처럼 내파음이 존재하는 등 다른 민남 방언들과 차이가 있는 편이라고 한다.

2.1.3. 민동어


푸저우 지하철 1호선 안내방송. 표준중국어 - 민동어 - 영어 순으로 진행한다.
마쭈 지역의 민동어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료

閩東語 / Mìng-dĕ̤ng-ngṳ̄.

푸저우를 포함한 푸젠성 동북부, 대만 롄장현(마쭈 열도)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푸저우 방언이 있다.

로마자 표기법은 19세기 중엽에 선교사들이 만든 평화자(平話字)[12]라는 표기법이 주로 쓰이고, 이외에 대만의 롄장현 정부에서도 마쭈 지역의 민동어를 표기하기 위한 로마자 표기법과 주음부호 표기법을 만든 적이 있다.

음운의 변동이 매우 심한 언어로, 이웃하는 음절에 따라 성모, 운모, 성조의 세 가지가 전부 바뀔 수 있다. 성모의 경우, 앞글자가 모음 혹은 /-ʔ/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연음화하고, 비음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비음화한다. 성조는 민남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 빼고 전부 바뀌는데, 민남어와 다르게 앞 음절과 뒷 음절의 성조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심지어 일부 방언은 마지막 음절까지 바뀌는 경우도 있다.

2.1.4. 보선어

莆仙語 / Pó-sing-gṳ̂. 흥화어(興化語)라고도 한다. 푸젠성 중부의 푸톈(田)과 셴유(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현재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는 진먼현의 우추향(烏坵鄉)에서도 사용되었으나 국민당 정권이 대만으로 옮겨간 이후 중국 대륙과의 교류가 장기간 끊기면서 대만 본토처럼 민남어권이 되었다.

2.2. 연산 민어

沿山閩語. 푸젠성 기준 산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영어로는 Inland Min 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입성이 소실되어 glottal stop(ʔ)조차 개음절화된 것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관화와는 다르게 입성이 다른 성조에 편입된 것이 아닌 별도의 성조를 이루고 있다.

2.2.1. 민북어

閩北語 / Mâing-bă̤-ngṳ̌. 푸젠성 서북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연산 민어들 중 유일하게 병음 표기가 정립된 언어이기도 하다.

2.2.2. 민중어

閩中語. 푸젠성 중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2.3. 소장어

邵將語. 푸젠성 중서부의 샤오우(武)와 장러(樂)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북어, 감어(贛語)와 객가어의 혼합 방언이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 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 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 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 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 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 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 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 비판) · 외교부 · 여권( 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 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 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 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 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 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 대한민국) · 반중( 대한민국) · 혐중( 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 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 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 계급) · 홍콩 보안국( 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 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 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 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 육전대) · 공군( 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 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 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 대장정) · 중일전쟁( 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 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 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 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 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 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 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 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 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 민족 · 한족) · 공휴일( 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 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 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 순위) · 구교연맹( 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 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 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 강주아오 대교) · 철도( 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 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 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 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 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 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 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 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 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 1차 · 2차) · 국민혁명( 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 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 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 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 변검) · 잡극(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 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 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 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 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e81b2c><colbgcolor=#fff>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머라이언
정치 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 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 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 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개발은행·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 싱가포르군( 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 레바 공군기지 · 셀레타 공항
교육 교육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이공대학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행정구역 행정구역 전반( 중구사회발전이사회 · 동북사회발전이사회 · 서북사회발전이사회 · 동남사회발전이사회 · 서남사회발전이사회)
문화 언어 · 종교 · 사회 · 요리( 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그랑프리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 간체자 · 번체자)
인물 리콴유 · 리셴룽 · 로렌스 웡
교통 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 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젯스타 아시아) · 싱가포르 항만공사 · 싱가포르 시내버스· 싱가포르 MRT( 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Land Transport Authority· 우드랜즈 역
관광 관광
민족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기타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 ||


[1] 민남어로 Bân Gú, 민동어로 Mìng Ngṳ̄ 정도의 발음으로 불린다. [2] 민남어에 한정해 Hoklo, Hokkien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福建( 푸젠)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된 이름. 대부분의 서양 언어에서 Min Chinese 혹은 Hokkien, Hoklo에 해당하는 자국어 표현을 쓴다. [3] 민서는 없다. 푸젠성 서부는 감어(赣語, 장시성에서 발원한 방언) - 객가어권이기 때문. 다만 조주어가 민서어라고 불리기는 한다. [4] 이와 똑같은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영어 독일어는 55%이고,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는 80%를 넘는다. [5] 유튜브에 들어가 보면 민남어를 쓰는 말레이시아 화교들의 동영상이 꽤 보인다. [6] 객가인들이 민남어 사용자들을 복로인(福佬人)이라 불렀는데 여기서 유래한 명칭이다. [7] 샤먼 일대에서 쓰이는 방언으로, 천주어를 기반으로 장주어와 천주어가 혼합된 형태이다. 대만이 실효지배하는 진먼현(본래 샤먼과 함께 퉁안현(현 퉁안구)에 속했던 지역으로, 전통적으로 같은 생활권이었다)에서도 쓰인다. [8] 필리핀 복건화라 불리는 방언도 따로 있을 정도로 푸젠성 출신 이민자가 많았다. [9] 수마트라의 도시권에 주로 복건화 사용자들이 있으며 한때 수도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자바 섬에도 구사자가 많았으나 현지의 거센 반화교 분위기로 인해 자바의 화교들은 현지화된 경향이 강하다. [10] 현재 대부분 현지화 되었지만 근대에는 수많은 화교 이민이 있었다. 태국의 왕과 지배층도 조주계 화교 혈통이 있을 정도이다. [11] 샤먼화의 발음 체계를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대라병음과 달리 한어병음에 바탕을 둔 표기법이다. [12] 평화(平話, bàng-uâ)는 구어를 의미하는 민동어로, 표준중국어나 민남어의 백화(白話)에 대응하는 어휘이다. 민남어를 적는 백화자와 마찬가지로 교회에서 민동어 발음을 적는 데 주로 사용했으나, 지금도 대만의 개신교 교회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화자와 달리 평화자는 중국 당국의 보통화 보급 정책과 기독교 탄압 등의 영향을 받아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