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04:07:51

중화민국 임시약법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 1차 · 2차) · 국민혁명( 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 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 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 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 변검) · 잡극(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 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 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 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 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1. 개요2. 내용
2.1. 제1장 : 총강2.2. 제2장 : 인민2.3. 제3장 : 참의원2.4. 제4장 : 임시대총통, 부총통2.5. 제5장 : 국무원2.6. 제6장 : 법원2.7. 제7장 : 부칙
3. 참고문헌

1. 개요

중화민국 임시정부 북양정부의 임시헌법이자 실질적인 헌법. 1912년 3월 10일 제정되었으며, 위안스카이 중화민국 국회 해산 이후 신약법을 제정하는 1914년 5월 1일부터 홍헌제제가 취소되어 국무원 및 신약법이 폐지되는 1916년 7월 14일까지 일시적으로 효력을 상실했다가 복원되었고 이후 동북역치가 일어나는 1928년 12월 29일 공식적으로 폐기되었다.

2. 내용

2.1. 제1장 : 총강

1912년 3월 10일 발표.
  • 제1조 : 중화민국은 중화인민으로 조직한다.
  • 제2조 : 중화민국의 주권은 중화전체에 임한다.
  • 제3조 : 중화민국의 영토는 22행성, 내외몽고, 서장, 청해로 한다.
  • 제4조 : 중화민국은 참의원, 임시대총통, 국무원, 법원이 그 통치권을 행사한다.

2.2. 제2장 : 인민

  • 제5조 : 중화민국인민은 모두 평등하며 종족, 계급, 종교의 차별이 없다.
  • 제6조 : 인민은 다음과 같은 각항의 자유권을 향유할 수 있다.
    • 1. 인민의 신체는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체포, 구금, 심문, 처벌받지 아니한다.
    • 2. 인민의 가택은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침입이나 수색을 받지 아니한다.
    • 3. 인민은 재산 및 영업의 자유를 가진다.
    • 4. 인민은 언론, 저작, 간행 및 집회, 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 5. 인민은 서신비밀의 자유를 가진다.
    • 6. 인민은 주거이전의 자유를 가진다.
    • 7. 인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 제7조 : 인민은 의회에 청원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 제8조 : 인민은 행정부서에 진소(陳訴)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 제9조 : 인민은 법원에 소송하여 심판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 제10조 : 인민은 관리의 위법,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에 대하여 평정원에 진소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 제11조 : 인민은 임관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 제12조 : 인민은 선거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 제13조 : 인민은 법률에 의해 납세의 의무를 진다.
  • 제14조 : 인민은 법률에 의해 병역의 의무를 진다.
  • 제15조 : 본장에 기재된 인민의 권리로서 공익의 증진, 치안의 유지를 위해서나 비상긴급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이를 제한할 수 있다.

2.3. 제3장 : 참의원

  • 제16조 : 중화민국의 입법권은 참의원이 행한다.
  • 제17조 : 참의원은 제18조에서 정한 각 지방에서 선출한 참의원으로 조직한다.
  • 제18조 : 참의원은 해행성(海行省)[1], 내몽고, 외몽고, 서장이 각 5인을 선출하고 청해는 1인을 선출하며, 그 선출방법은 각 지방에서 정한다.
  • 제19조 : 참의원의 직권은 다음과 같다.
    • 1. 모든 법률안의 의결
    • 2. 임시정부의 예의, 결의의 의결
    • 3. 전국의 세법, 폐제(幣制) 및 도량형의 준칙의 의결
    • 4. 공채의 모집 및 국고가 부담하는 계약의 의결
    • 5. 제3조, 35조, 40조 사항의 승락
    • 6. 임시정부의 객문(客問)사항의 답변
    • 7. 인민청원의 수리
    • 8. 법률 및 기타 사항에 관한 의견을 정부에 건의할 수 있다.
    • 9. 국무원에 질문서를 제출하고 출석답변을 요구할 수 있다.
    • 10. 임시정부에 객문하여 관리의 수뢰, 위법사건을 조사할 수 있다.
    • 11. 참의원은 임시대총통에 대하여 모반행위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총원 4/5 이상의 출석, 출석의원 3/4 이상의 가결로 탄핵할 수 있다.
    • 12. 참의원은 국무원에 대하여 실직(失職)[2] 혹은 위법했다고 인정될 때에는 총원 3/4 이상 출석, 출석의원 2/3 이상의 가결로 탄핵할 수 있다.
  • 제20조 :참의원은 집회, 개회, 폐회를 스스로 행할 수 있다.
  • 제21조 : 참의원의 회의는 반드시 공개하여야 한다. 단, 국무원의 요구나 출석의원 과반수의 가결로 비밀로 할 수 있다.
  • 제22조 : 참의원의 의결사건은 임시대총통에 이송하여 공포, 시행한다.
  • 제23조 : 임시대총통은 참의원 의결사항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 이송 10일 이내에 이유를 밝혀 재의(再議)를 요구할 수 있다. 단, 참의원이 재의사건에 대하여 출석의원 2/3 이상이 전과 같은 의결을 하면 제22조에 따라 처리한다.
  • 제24조 : 참의원 의장은 참의원이 기명투표법에 의해 호선(互選)하며 투표총수의 반을 득표한 자를 당선자로 한다.
  • 제25조 : 참의원 의원은 원내의 발언 및 표결에 있어서 원외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
  • 제26조 : 참의원 의원은 현행범 및 내란외환에 관련된 범죄를 제외하고 회기중에 본원의 허가 없이 체포되지 아니한다.
  • 제27조 : 참의원법은 참의원에서 정한다.
  • 제28조 : 참의원은 국회가 성립하는 날 해산하며, 그 직권은 국회가 행한다.

2.4. 제4장 : 임시대총통, 부총통

  • 제29조 : 임시대총통, 부총통은 참의원에서 선거하며, 총원 3/4 이상 출석, 투표총수의 2/3 이상을 득표한 자를 당선자로 한다.
  • 제30조 : 임시대총통은 임시정부를 대표하고 정무를 총람하며 법률을 공포한다.
  • 제31조 : 임시대총통은 법률이나 법률에 기초한 위임을 집행하기 위하여 명령을 발포 또는 발포케 할 수 있다.
  • 제32조 : 임시대총통은 전국육해군대를 통솔한다.
  • 제33조 : 임시대총통은 관제, 관규를 제정할 수 있다. 단, 반드시 참의원에 교부하여 의결을 거쳐야 한다.
  • 제34조 : 임시대총통은 문무직원을 임면할 수 있다. 단, 국무원 및 외교대사, 공사를 임명할 때는 반드시 참의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 제35조 : 임시대총통은 참의원의 동의를 거쳐 선전, 강화 및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
  • 제36조 : 임시대총통은 법률에 의거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
  • 제37조 : 임시대총통은 전국을 대표하여 외국의 대사, 공사를 접수한다.
  • 제38조 :임시대총통은 참의원에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다.
  • 제39조 : 임시대총통은 훈장 및 기타 영전을 수여햘 수 있다.
  • 제40조 : 임시대총통은 대사(大赦), 특사, 감형, 복권을 선포할 수 있다. 단, 대사는 반드시 참의원의 동의를 거쳐야 한다.
  • 제41조 : 임시대총통이 참의원의 탄핵을 받은 후에는 최고법원 전원심판관에서 9인을 호선하여 특별법정을 조직하고 이를 심판한다.
  • 제42조 : 임시부총통은 임시대총통이 사고로 인하여 사직하였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직권을 대행할 수 있다.

2.5. 제5장 : 국무원

  • 제43조 : 국무총리 및 각 총장은 모두 국무원이라 칭한다.
  • 제44조 : 국무원은 임시대총통을 보좌하고 그 책임을 진다.
  • 제45조 : 국무원은 임시대총통의 법률안 제출, 법률의 공포 및 명령발포시에 반드시 부서(副署)[3]하여야 한다.
  • 제46조 : 국무원 및 그 위원은 참의원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다.
  • 제47조 : 국무원이 참의원 탄핵을 받으면 임시대총통은 반드시 그 직을 면해야 한다. 단, 참의원에 일회에 한하여 재의하도록 할 수 있다.

2.6. 제6장 : 법원

  • 제48조 : 법원은 임시대총통 및 사법총장이 분별하여 임명한 법관으로 조직한다. 법원의 편제와 법관의 자격은 법률로 정한다.
  • 제49조 : 법원은 법률에 의해 민사소송 및 형사소송을 심판한다. 단, 행정소송 및 기타 특별소송에 관해서는 법률로 따로 정한다.
  • 제50조 : 법원의 심판은 반드시 공개한다. 단, 질서안녕을 침해할 것으로 인정되는 것은 비밀로 할 수 있다.
  • 제51조 : 법관은 독립하여 심판하며 상위관직의 간섭을 받지 아니한다.
  • 제52조 : 법관은 재임중 감봉이나 전직되지 아니한다. 법률에 의해 형벌선고를 받거나 혹은 면직에 해당하는 징계처분을 받지 아니하고는 해직되지 아니한다. 징계법규는 법률로 정한다.

2.7. 제7장 : 부칙

  • 제53조 : 본 약법 시행후 10개월 이내에 임시대총통이 국회를 소집하며, 그 국회의 조직 및 선거법은 참의원이 정한다.
  • 제54조 : 중화민국의 헌법은 국회에서 제정하며, 헌법이 시행되기 이전에는 본 약법의 효력은 헌법과 같다.
  • 제55조 : 본 약법은 참의원 의원의 2/3 이상이나 임시대총통의 제의에 의해 참의원 4/5 이상 출석, 출석의원 3/4의 가결로 증수(贈修)할 수 있다.

3. 참고문헌

  • 박준수, 임시약법 체제와 단기서군벌정권(1916~1920),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 행성(行省)의 오타로 추정. [2] 여기서의 실직은 실업의 의미가 아니라 자신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3] 공동서명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