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사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이십사사 | |||||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 | 송서 | |
사마천 | 반고 | 범엽 | 진수 | 방현령 등 | 심약 | |
남제서 | 양서 | 진서 | 위서 | 북제서 | 주서 | |
소자현 | 요사렴 | 요사렴 | 위수 | 이백약 등 | 영호덕분 등 |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
위징 등 | 이연수 | 이연수 | 장소원 등 | 구양수 등 | 설거정 등 |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
구양수 등 | 토크토아 등 | 토크토아 등 | 토크토아 등 | 송렴 등 | 장정옥 등 | |
기타 | ||||||
동관한기 | 신원사 | 청사고 | ||||
유진 등 | 커샤오민 등 | 자오얼쉰 등 |
<colbgcolor=#10275D><colcolor=#d4cd99> 진서 陳書 Book of Chen |
|
저자 | 요사렴 |
시기 | 7세기 당 |
언어 | 한문 |
권 수 | 36권 |
분량 |
557년 ~ 589년 (32년) 진무제 원년 ~ 진후주 7년 |
[clearfix]
1. 개요
陳書중국의 정사인 24사 중 하나로 남북조시대 남조의 마지막 왕조였던 진(陳)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사서다. 양(梁)나라, 진(陳)나라, 수(隋)나라 등 세 왕조에 걸쳐 돌아다녔던 요찰(姚察)[1]이 진나라에서 양과 남진의 역사를 편찬하려고 시도했으나 완성하지 못했고 589년, 수 문제 양견의 조서에 의해 계속 작업하다가 미완성으로 남긴채 죽었다. 623년, 당 고조 이연의 조서로 《북위사》(北魏史), 《북주사》(北周史), 《수조사》(隋朝史), 《북제사》(北齊史), 《남량사》(南梁史)와 함께 《남진사》(南陳史)도 편찬했으나 모두 미완성으로 끝났다. 629년, 당 태종의 조서를 받은 요찰의 아들 요사렴(姚思廉)이 편찬을 하기 시작하여 아버지의 유업에 따라 제가의 사서들을 참조해 635년 완성시켰다.[2]
위징이 편찬에 참여한 부분도 있는데 "사신시중정국공위징왈"(史臣侍中鄭國公魏徵曰)이 바로 위징의 사평이다. 역대 중국 정사인 24사 중에서는 《 북제서》와 더불어 외국 <열전>이 존재하지 않는 사서다.
2. 구성
진서(陳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abbad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
1·2권 「무제기(武帝紀)」 | 3권 「문제기(文帝紀)」 | 4권 「폐제기(廢帝紀)」 | |||||||||
진패선 | 진천 | 진백종 | ||||||||||
5권 「선제기(宣帝紀)」 | 6권 「후주기(後主紀)」 | |||||||||||
진욱 | 진숙보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
7권 「후비전(后妃傳)」 | |||||||||||
장요아 · 심묘용 · 왕황후 · 유경언 · 심무화 · 장여화 | ||||||||||||
8권 「두승명등전(杜僧明等傳)」 | 9권 「후진등전(侯瑱等傳)」 | 10권 「주철호등전(周鐵虎等傳)」 | ||||||||||
두승명 · 주문육 · 후안도 | 후진 · 구양위 · 오명철 , 배자열, | 주철호 · 정령세 | ||||||||||
11권 「황법구등전(黃法氍等傳)」 | 12권 「호영등전(胡穎等傳)」 | 13권 「서세보등전(徐世譜等傳)」 | ||||||||||
황법구 · 순우량 · 장소달 | 호영 · 서도 · 두릉 · 심각 | 서세보 · 노실달 · 주부 · 순랑 · 주경 | ||||||||||
14권 「형양헌왕창등전(衡陽獻王昌等傳)」 | 15권 「종실전(宗室傳)」 | 16권 「조지례등전(趙知禮等傳)」 | ||||||||||
진창 · 진담랑 | 진의 · 진상 · 진혜기 | 조지례 · 채경력 · 유사지 · 사기 | ||||||||||
17권 「왕충등전(王沖等傳)」 | 18권 「심중등전(沈衆等傳)」 | 19권 「심형등전(沈炯等傳)」 | ||||||||||
왕충 · 왕통 · 원경 | 심중 · 원필 · 유중위 · 육산재 · 왕질 · 위재 | 심형 · 우려 · 마추 | ||||||||||
20권 「도중거등전(到仲舉等傳)」 | 21권 「사철등전(謝哲等傳)」 | |||||||||||
도중거 · 한자고 · 화교 | 사철 · 소건 · 사하 · 장종 · 왕고 · 공환 · 소윤 | |||||||||||
22권 「육자륭등전(陸子隆等傳)」 | 23권 「심군리등전(沈君理等傳)」 | 24권 「주홍정등전(周弘正等傳)」 | ||||||||||
육자륭 · 전도집 · 낙아 | 심군리 · 왕창 · 육선 | 주홍정 · 원헌 | ||||||||||
25권 「배기등전(裴忌等傳)」 | 26권 「서릉전(徐陵傳)」 | 27권 「강총등전(江總等傳)」 | ||||||||||
배기 · 손창 | 서릉 | 강총 · 요찰 | ||||||||||
28권 「세조9왕·고종29왕·후주제자전(世祖九王高宗二十九王後主諸子傳)」 | ||||||||||||
진백무 ·
진백산 ·
진백공 ·
진백신 ·
진백인 ·
진백의 ·
진백례 ·
진백지 ·
진백모 ·
진숙영 ·
진숙견 ·
진숙명 ·
진숙경 ·
진숙헌 ·
진숙제 진숙문 · 진숙달 · 진숙탄 · 진숙표 · 진숙웅 · 진숙중 · 진숙엄 · 진숙신 · 진숙우 · 진숙평 · 진숙오 · 진숙흥 · 진숙선 · 진숙목 · 진숙검 진숙징 · 진숙소 · 진숙광 · 진숙순 · 진숙모 · 진숙현 · 진숙륭 · 진숙영 · 진심 · 진장 · 진윤 · 진억 · 진언 · 진경 · 진건 · 진념 · 진지 진전 · 진번 |
||||||||||||
29권 「종원요등전(宗元饒等傳)」 | 30권 「소제등전(蕭濟等傳)」 | 31권 「소마하등전(蕭摩訶等傳)」 | ||||||||||
종원요 · 사마신 · 모희 · 채징 | 소제 · 육경 · 고야왕 · 부재 | 소마하 · 임충 · 번의 · 노광달 | ||||||||||
32권 「효행전(孝行傳)」 | ||||||||||||
은불해 · 사정 · 사마고 · 장소 | ||||||||||||
33권 「유림전(儒林傳)」 | ||||||||||||
심문아 · 심수 · 척곤 · 정작 장애 육후 심덕위 하덕기 · 전완 · 장기 · 고월 · 심불해 · 왕원규 | ||||||||||||
34권 「문학전(文學傳)」 | ||||||||||||
두지위 · 안황 · 강덕조 · 유지 · 허형 · 저개 · 잠지경 · 육염 · 하지원 · 서백양 · 장정견 · 채응 · 완탁 | ||||||||||||
35권 「웅담랑등전(熊曇朗等傳)」 | 36권 「시흥왕숙릉등전(始興王叔陵等傳)」 | |||||||||||
웅담랑 · 주적 · 유이 · 진보응 | 진숙릉 · 진백고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0275d><tablebgcolor=#10275d> ||
}}}}}}}}}}}} ||본기(本紀) 6권, 열전(列傳) 30권, 총 3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본기
본기 구성 | ||
본기 제1 |
고조본기 (高祖本紀) |
진패선(陳霸先) |
본기 제2 | ||
본기 제3 |
세조본기 (世祖本紀) |
진천(陳蒨) |
본기 제4 |
폐제본기 (廢帝本紀) |
진백종(陳伯宗) |
본기 제5 |
선제본기 (宣帝本紀) |
진욱(陳頊) |
본기 제6 |
후주본기 (後主本紀) |
진숙보(陳叔寶) |
2.2. 열전
열전 구성 | ||
열전제1 |
황후열전 (皇后列傳) |
고조장황후(高祖章皇后), 세조심황후(世祖沈皇后), 폐제왕황후(廢帝王皇后), 고종유황후(高宗柳皇后), 후주심황후(後主沈皇后), 후주장귀비(後主張貴妃) |
열전 제2 | 두승명(杜僧明), 주문육(周文育), 후안도(侯安都) | |
열전 제3 | 후진(侯瑱), 구양위(歐陽頠), 오명철(吳明徹) | |
열전 제4 | 주철호(周鐵虎), 정령세(程靈洗) | |
열전 제5 | 황법구(黃法氍), 순우량(淳于量), 장소달(章昭達) | |
열전 제6 | 호영(胡穎), 서도(徐度), 두릉(杜稜), 심각(沈恪) | |
열전 제7 | 서세보(徐世譜), 노실달(魯悉達), 주부(周敷), 순랑(荀朗), 주경(周炅) | |
열전 제8 | 형양헌왕(衡陽獻王) 창(昌), 남강민왕(南康愍王) 담랑(曇朗) | |
열전제9 |
종실열전 (宗室列傳) |
진의(陳擬), 진상(陳詳), 진혜기(陳慧紀) |
열전제10 | 조지례(趙知礼), 채경력(蔡景歷), 유사지(劉師知), 사기(謝岐) | |
열전제11 | 왕충(王沖), 왕통(王通), 원경(袁敬) | |
열전제12 | 심중(沈衆), 원필(袁泌), 유중위(劉仲威), 유광덕(劉廣德), 육산재(陸山才), 왕질(王質), 위재(韋載) | |
열전 제13 | 심형(沈炯), 우려(虞荔), 마추(馬樞) | |
열전 제14 | 도중거(到仲擧), 한자고(韓子高), 화교(華皎) | |
열전 제15 | 사철(謝哲), 소건(蕭乾), 사하(謝嘏), 장종(張種), 왕고(王固), 공환(孔奐), 소윤(蕭允) | |
열전 제16 | 육자륭(陸子隆), 전도집(錢道戢), 낙아(駱牙) | |
열전 제17 | 심군리(沈君理), 왕창(王瑒), 육선(陸繕) | |
열전 제18 | 주홍정(周弘正), 원헌(袁憲) | |
열전 제19 | 배기(裴忌), 손창(孫瑒) | |
열전 제20 | 서릉(徐陵) | |
열전 제21 | 강총(江總), 요찰(姚察) | |
열전 제22 |
세조9왕 (世祖九王) |
시흥왕(始興王)
백무(伯茂), 파양왕(鄱陽王)
백산(伯山), 진안왕(晉安王)
백공(伯恭) 형양왕(衡陽王) 백신(伯信), 여릉왕(廬陵王) 백인(伯仁), 강하왕(江夏王) 백의(伯義) 무릉왕(武陵王) 백례(伯禮), 영양왕(永陽王) 백지(伯智), 계양왕(桂陽王) 백모(伯謀) |
고종29왕 (高宗二十九王) |
||
후주제자 (後主諸子) |
||
열전 제23 | 종원요(宗元饒), 사마신(司馬申), 모희(毛喜), 채징(蔡徴) | |
열전 제24 | 소제(蕭濟), 육경(陸瓊), 고야왕(顧野王), 부재(傅縡) | |
열전 제25 | 소마하(蕭摩訶), 임충(任忠), 번의(樊毅), 노광달(魯広達) | |
열전 제26 |
효행열전 (孝行列傳) |
은불해(殷不害), 사정(謝貞), 사마고(司馬暠), 장소(張昭) |
열전 제27 |
유림열전 (儒林列傳) |
심문아(沈文阿), 심수(沈洙), 척곤(戚袞), 정작(鄭灼), 심덕위(沈德威), 하덕기(賀德基), 전완(全緩), 장기(張譏), 고월(顧越), 심불해(沈不害), 왕원규(王元規) |
열전 제28 |
문학열전 (文學列傳) |
두지위(杜之偉), 안황(顔晃), 강덕조(江德藻), 유지(庾持), 허형(許亨), 저개(褚玠), 잠지경(岑之敬), 육염(陸琰), 하지원(何之元), 서백양(徐伯陽), 장정견(張正見), 채응(蔡凝), 완탁(阮卓) |
열전 제29 | 웅담랑(熊曇朗), 주적(周迪), 유이(留異), 진보응(陳寶應) | |
열전 제30 | 시흥왕(始興王) 숙릉(叔陵), 신안왕(新安王) 백고(伯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