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3:08:00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교통수단에 대한 내용은 자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차(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차 (茶)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종류 <colbgcolor=#b5be83> 녹차 우전차 · 세작 · 호지 · 아타이
청차 우롱차
홍차 다즐링 · 밀크티 · 버블티 · 아삼 · 일월담 · 짜이 · 차옌 · 차이 ( 리제)
흑차 보이차 · 청태전
백차 백차
탄산발효 콤부차
제조 제법 말차 · 엽차
다구 다관 ( 사모바르 · 자사호 · 탕관) · 찻잔 ( 개완 · 다완) · 스트레이너 · 티백
차 문화 다과 · 다과회 · 다례 · 다방 · 티타임
대용차
<colbgcolor=#e3e6d0><colcolor=#5f6732>ㄱ <colcolor=#000,#fff> 가지차 · 감잎차 · 감초차 · 강죽차 · 개암차 · 결명자차 · 계지차 · 계화차 · 고삼차 · 곽향차 · 구기자차 · 국화차 · 귤피차 · 귤화차 · 길경차 · 꿀물
ㄴ~ㄷ 냉이차 · 냉차 · 노각차 · 녹두차 · 누룽지차 · 당귀차 · 당근차 · 대나무차 · 대추차 · 대파차 · 더덕차 · 도화차 · 돌배차 · 동백차 · 동아차 · 돼지감자차 · 두충차 · 두향차 · 둥굴레차 · 들깨차 · 딸기차 · 땅콩차
ㄹ~ㅂ 레몬차 · 루이보스차 · 마늘차 · 마름차 · 매실차 · 매화차 · 머위차 · 메밀차 · 모과차 · 목련차 · 목향차 · 무잎차 · 민들레차 · 방풍차 · 버섯차 · 벚꽃차 · 보리차 · 복령차 · 복숭아차 · 비트차 · 비파차
사과차 · 산약차 · 삽주차 · 상지차 · 새삼차 · 생강차 · 석류차 · 설차 · 소태차 · 속단차 · 솔잎차 · 송담차 · 송화차 · 수박차 · 수수차 · 수유차 · 시호차 · 쌍화차 · 쑥차
아욱차 · 앵두차 · 양파차 · 여주차 · 연근차 · 연잎차 · 영지차 · 예르바 마떼 · 오디차 · 오미자차 · 오이차 · 옥수수수염차 · 옥수수차 · 와송차 · 우슬차 · 우엉차 · 울금차 · 원지차 · 유자차 · 율무차 · 으름차 · 은행차 · 인동차 · 인삼차 · 잇꽃차
ㅈ~ㅊ 자두차 · 자몽차 · 자색옥수수차 · 자소차 · 작두콩차 · 작약차 · 잔대차 · 장미차 · 재스민차 · 지황차 · 참깨차 · 참외차 · 창포차 · 치자차 · 치커리차
ㅌ~ㅎ 탱자차 · 토란차 · 파인애플차 · 팥차 · 포도차 · 한라봉차 · 해바라기차 · 허브차 · 헛개나무차 · 현미차 · 형개차 · 호두차 · 호박차 · 홍삼차 · 황기차 · 후박차 · 후추차 · 히비스커스차 }}}}}}}}}
파일:동양 차.jpg
파일:서양 차.jpg
동아시아(위)와 유럽(아래)의 차 문화

1. 개요2. 명칭
2.1. 외국어 명칭
3. 역사4. 차의 효능5. 차에 관한 어록6. 차의 종류
6.1. 차
6.1.1. 제형에 따른 분류6.1.2. 중국 10대 명차
6.2. 대용차
7. 차를 우리는 방법
7.1. 냉침법7.2. 온침법7.3. 중간7.4. 후발효
8. 다기 선택법
8.1. 재질8.2. 형태
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 tea)는 차나무 잎을 비롯한 식물성 재료를 에 우려 만드는 음료이다. 찻잎으로 우린 허브 특유의 은은한 으로 많은 사람들이 차를 즐긴다.

2.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차()
영어 tea
그리스어 τσαϊ(tsái, 짜이)
일본어 [ruby(茶葉, ruby=ちゃば)](chaba), [ruby(茶, ruby=ちゃ)](cha)
중국어 /茶叶(cháyè), 茶(chá)
튀르키예어 çay(차이)
아일랜드어 tae(테)

'차(茶)'라는 것은 원래는 차나무와 그 잎만을 가리키는 한자였다.[1] 차나무는 본래 키가 3 ~ 4 m 남짓한 교목이지만(대엽종은 15 m까지) 가지치기를 하고 잎을 하도 많이 따다 보니 재배되는 나무의 경우 1 m 남짓한 크기가 되었다.[2]

그런데 차나무의 잎(찻잎)을 우려서 마시는 것이 동아시아의 문화로 자리잡다 보니, 나중에는 차나무 잎뿐만이 아니라 다른 풀잎이나 꽃, 뿌리 등 식물성 재료를 우린 물도 습관적으로 '차'라 부르게 되었다. 보리차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대에 들어서는 유자차 율무차 같은 용법과 같이 그냥 '식물성 재료를 우린 음료수'를 전부 싸잡아서 일컫는 명칭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3]

대추차, 인삼차, 생강차 등 음료는 원칙적으로는 대추탕, 인삼탕, 생강탕이 되어야 하고 식품분류상으로 차가 아니다. 하지만 관습상 부르던 언어의 의미확장을 존중하여 이를 '대용차(代用茶)'라 부른다. 실제로 쌍화차의 경우는 쌍화탕에서 유래된 음료이다. 원래 이런 음료들은 우린 물, 한자로 (湯)[4]이라 불렀다. 마찬가지로 허브티, 커피, 마테차도 원의로 따지면 차가 아니다. 원칙적으로 차나무의 잎을 우려낸 엽차, 말차, 홍차 등만 차로 취급하고, 나머지에 차란 단어를 붙일 때엔 원칙상 '대용차'라 한다.[5][6]

조선 시대에도 정약용이 아언각비(雅言覺非)를 쓰면서 "원래는 차나무 잎을 우려낸 것만 차라고 불러야 하지만, 한국에서는 탕(湯)이나 (丸), 고(膏)처럼 (차를) 먹는 방법으로 착각하여 한 가지 재료를 우린 것을 모두 차라고 부르니 생강차, 귤피차니 하는 것이 나왔다." 하면서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현상은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식물성 재료를 우려낸 음료에 '티(tea)'라는 이름이 붙은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커피 한반도에 처음 들어왔을 때, 민간에서는 이를 양탕(洋湯) 또는 양탕국이라 불렀으나, 왕실에서는 가배차(珈琲)또는 가비차(珈非)라고 불렀다.[7] 여기에서도 탕과 차의 의미를 혼용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요즘은 정약용 시절보다 의미가 더욱 넓어져 여러 가지 재료를 섞었거나, 혹은 단순히 '식물성 재료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음료수'를 적당히 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2.1. 외국어 명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tumblr_pt1e8ndWOu1uuqf4fo1_r1_1280.png
언어별 명칭. '테(te)'계열과 '차(cha)' 계열.[8][9]

언어를 불문하고 대부분 한자 자에서 유래된 이름을 쓴다. 한중일 발음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 한자다. 한국어로도 '차'이지만, 일본어로도 '차(茶, cha)'라 읽으며[10], 표준 중국어로도 '차(chá)'라 읽는다. 광동어 발음도 '차'에 가깝다. (caa4) 한국어에서 茶의 독음은 '차'와 '다' 2가지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는 茶의 한자음을 '다'만 인정하고, '차'는 고유어로 취급한다. 문서 참고. 다만 일본어에서는 앞에 미화어 'お'를 붙여 '오차(お茶, ocha)'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1] 베트남어에서는 '짜(trà)' 혹은 '쩨(chè)'라는 말을 쓴다. 중국 푸젠성에서 쓰는 민남어 발음이 '떼(tê)'로 차이가 있는데,[12] 서유럽 쪽에는 이쪽 발음이 퍼져서 한자문화권에서 널리 쓰이는 발음과 차이가 있다.

한자 문화권 밖으로 벗어나면, 차는 태국어로도 '차(ชา)'라고 쓰며, 장음이어서 길게 '차-'라고 읽는다. 타갈로그어(tsaá)나 벵골어(চা, cha)도 비슷하게 '차'라는 말을 사용한다. 포르투갈어로는 차를 '샤(chá)'라고 하는데, 이는 마카오를 통해 광동어 발음(caa4, 차)이 유입된 것이다. 영어에서도 이쪽에서 유래한 cha라는 표현이 있으나 잘 쓰지 않는 표현. 루마니아어로도 차를 '샤(șa)'라고 한다.

한편 중국의 차가 페르시아어에서는 '처이(چای, chây)'라는 표현으로 전해졌는데, 인접한 중동 중앙아시아, 인도, 그리고 러시아 등 동남쪽 유럽에서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어 '차이(чай, chay)'나 우즈베크어 '처이(choy)', 튀르키예어 '차이(çay)', 그리스어 '짜이(τσάι)', 아랍어 '샤이(شَاي, shāy)', 힌디어 '짜이(चाय, chāy)' 등이 이에 해당한다. 중앙아시아와 인도 일대도 차를 많이 마시다 보니 차 문화가 발달했고, 그러다 보니 아예 '차이' 혹은 ' 짜이'라는 말이 이 지역식의 차를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서유럽에서는 푸젠성 타이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인 대만어(閩南語) 명칭인 '떼(tê)'에서 유래한 발음이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푸젠 혹은 동남아 지역에서 활동하던 네덜란드 상인으로 인해 전래한 이름이다. 네덜란드인이 민남어 명칭을 쓰게 된 연유에 관해서는 네덜란드인이 푸젠 지역에서 차를 직접 가져왔을 가능성도 있고, 혹은 동남아 지역을 거쳐[13] 이 이름이 전해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이 계열의 대표적 명칭들로는 영어의 '티(tea)'나 네덜란드어의 '테이(thee)', 프랑스어의 '테(thé)', 독일어의 '테(Tee)', 스페인어의 '떼(té)' 등이 이에 해당한다. 마인어(teh)에서도 이 명칭을 사용한다.

폴란드어의 'Herbata'와 리투아니아어의 'Arbata'는 특이하게 허브를 어원으로 한다. 차가 폴란드-리투아니아 동군연합 시절에 맨 처음 전래되었을 때는 약초의 일종으로 여겼기 때문. 리투아티아어의 'Arbata'는 폴란드어의 'Herbata'를 차용한 것인데, 폴란드어의 'Herbata' 또한 라틴어 herba thea로 두번째 요소가 네덜란드어 thee에서 유래하므로 엄밀히 말하면 '테 계열'로 포함시킬 수 있다.

미얀마어에서는 차를 '러페(laphet, လက်ဖက်)'로 부른다. 이유는 하단의 원산지 단락 참조.

3. 역사

The tea-plant, a native of southern China, was known from very early times to Chinese botany and medicine. It is alluded to in the classics under the various names of Tou, Tseh, Chung, Kha, and Ming, and was highly prized for possessing the virtues of relieving fatigue, delighting the soul, strengthening the will, and repairing the eyesight. It was not only administered as an internal dose, but often applied externally in form of paste to alleviate rheumatic pains. The Taoists claimed it as an important ingredient of the elixir of immortality. The Buddhists used it extensively to prevent drowsiness during their long hours of meditation.

중국 남부가 원산지인 차나무는 일찍이 중국의 식물학과 한방에 알려져, 도(筡), 설(蔎), 천(荈), 가(檟), 명(茗)[14]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고전에서 언급되었다. 차는 피로를 줄이고 영적인 즐거움을 주며 의지력을 강하게 하고 시력을 회복시키므로 높이 평가되었다. 사람들은 차를 음용할 뿐만 아니라, 류머티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연고로 도포하는 경우도 있었다. 도가(道家)에서는 이를 불멸의 영약에 들어가는 주성분이라 믿었다. 불교도들은 오랜 시간 명상하는 동안 졸음을 막기 위해 이를 널리 사용하였다.
오카쿠라 덴신, 《차의 책(The Book of Tea)》Chapter II. The Schools of Tea 中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정확히는 오늘날 중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에 해당하는 지대이다.[15] 중국 신화에서는 신농씨가 물을 끓이다 찻잎이 빠졌다는 일화를 전한다. 전한 경제의 유적에서 마른 찻잎이 발견되었다고 하며,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2-300년 전부터 이미 상류층에선 차를 마시기 시작한 듯하다. 이때는 荼[16]라는 자형으로 기록했다. 오늘날의 윈난성 쓰촨성에서는 전한 시대쯤부터 많이들 마셨다고 한다. 이 당시의 '도'는 지금의 차보다 농도가 훨씬 진하다보니 매우 썼으며, 여러 약초를 함께 넣어 우려내 상비약 겸 각성제 겸으로 마셨다고 한다. 향토 특산물에 불과했던 '도'는 진나라의 천하 통일과 함께 중국 각지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주로 귀족층이 즐겼다고 한다. 중국에 불교를 전파하러 온 서역 승려 중 일부도 잠을 쫓는 용도로 차를 활용했다고 전해진다.[17]

민중들에게 확산된 것은 당나라 이후다. 당나라 이전, 남북조시대에 북조에서는 차를 낙노(酪奴) 또는 수액(水厄)이라고 불렀다. '낙노'는 유제품의 노예, '수액'은 물난리란 뜻이다.[18] 이처럼 고대 중국 북부에서 차는 유제품보다 못한 음료로 취급을 받았는데, 짐작하다시피 이는 중국 북부를 지배하던 유목민들이 옛날부터 유제품을 즐겨 마셨기 때문이다. 당나라로 중국이 통일되고 불교가 융성하면서, 후세에 다성(茶聖)이라고 불리는 육우가 <다경(茶經)>을 저술해 최초로 체계적인 다도를 퍼뜨리며 스님들이 마시던 차도 민간에까지 퍼졌다. 그러다가 결국에는 송대에 이르러 차도 전매품목에 들어갔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후반부터 마시기 시작한 듯하다. 초창기에는 당나라에서 수입한 고가의 차를 일부 계층이 마실 수 있었고, 통일신라 흥덕왕 시기 828년 12월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대렴이라는 사람이 차나무 씨앗을 들여와 재배를 시작하면서부터 차 마시는 것이 크게 유행했다고 한다.

다만 이 시기의 음다법은 차만 맑게 우리는 것이 아니라, 곡물 과일, 채소 등등을 집어넣어 처럼 먹는 것이었다. 중국은 물론이고 차 문화를 수입해 온 한국 또한 이런 식으로 먹었다. 이후 차 문화를 정리하면서 맑게 우리게 되었지만 그래도 소금은 뿌렸다.

후추와 더불어 세계 역사를 바꾼 작물 중 하나이다. 당장 아편전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것이 대영제국 내에서 차가 유행해서 발생한 대영제국-청나라 간의 경상수지 불균형이다. 당시 산업혁명을 이룬 대영제국의 주력 생산물은 공장제 옷감(직물)이었는데, 청나라는 이걸 낮은 인건비와 품질로 씹어먹었고,[19] 그 결과 수출은 못하면서 수입만 잔뜩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결국 청나라는 대영제국의 은을 빨아먹는 블랙홀이 되었고, 이걸 해결해 보겠다고 동인도 회사가 인도산 아편을 청나라에 푼 것이 아편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아편전쟁 때문에 청나라가 동북아의 패권을 상실했고, 그 결과 아시아에 발생한 여러 사건을 생각해 보면 차가 역사를 크게 바꾼 작물이라 보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3.1. 국가별 차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차/각국의 차 문화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차의 효능

차를 통해 비타민 미네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으며, 식물의 대사산물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고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차에는 특히 카페인, 카테킨, 테아닌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테아닌은 심신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정신적인 안정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한편[20], 카페인이 강한 찻잎을 모아 영국에서 브렉퍼스트 티처럼 이른 아침에 잠을 깨는 용도로 마시기도 한다.

차는 커피와는 다르게 카테킨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카페인이 체내로 흡수하는 것을 줄여주기 때문에, 커피보다는 카페인 부작용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인데, 이 폴리페놀은 항산화 물질로서 신체 전반적인 건강과 혈관, 피부 등에 도움을 준다. 디카페인 차의 종류

5. 차에 관한 어록

그대여. 어지러운 머릿속을 정리해줄 차 한잔을 내게 준다면, 내가 당신의 사정을 더 잘 이해할 텐데.
찰스 디킨스
만약 당신이 우울하다면 차는 당신을 위로해줄 것이고 만약 당신이 지치고 피곤하다면 차는 자신의 맛과 향으로 당신을 진정시켜줄 것이다.
윌리엄 글래드스턴
영미관계는 차로 정의된다.
카렌 피어스 주미영국대사

6. 차의 종류

6.1.

차를 분류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이며, 국가별로 그 분류 기준 및, 명칭도 다양하다. 하지만 자신이 배우고 있는 다도 한 가지를 섭렵하게 된다면, 다른 나라의 다도에서도 비슷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다구 및 시기별 채취하는 차를 부르는 명칭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녹차 (비산화차)
    찻잎을 따고 바로 가열하여 찻잎 속의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비활성화시켜 산화가 되지 않도록 만든 차. 차의 원산지인 중국과 비교해서 한국과 일본에서는 차문화가 거의 녹차 위주로 발달하였다. 일반적으로 차를 따서 쇄청, 건조하는 과정에서 찻잎 속의 폴리페놀이 폴리페놀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녹색이 누런색(데아플라빈)이나 붉은 색(데아루비킨)으로 변하면서 복잡한 화학반응을 일으켜 독특한 향기와 맛이 만들어지는데, 녹차는 가열과정에서 산화가 중지되어 엽록소가 그대로 보존되어 녹색을 띄게 된다.
    찻잎을 가열하는 방법은 가마에서 덖어내는(볶아내는) 부초차(釜炒茶)와 시루에서 쪄내는 증제차(蒸製茶)가 있는데, 부초차는 맛과 향이 좋고 증제차는 색이 곱다. 중국과 한국은 덖은차가 많고 일본은 증제차가 대세.
    찻잎을 따는 시기로 구별하기도 하는데, 다음과 같다.
    우전차(雨前茶) - 절기상 곡우(穀雨) 이전에 수확한 아주 어린 찻잎으로 만든 차, 극세작, 맏물차, 첫물차라고 하기도 한다. 통상 녹차에서 최상품으로 친다.
    • 옥로(玉露) - 흔히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전차의 일종으로, 일본식 우전차의 일종이다. 일본 발음은 '교쿠로'. 일본식으로 증차(찻잎을 찜)한 차인데, 한국 우전차와의 차이점은 인삼 재배하듯 차광막을 쳐서 곡우 무렵 돋아난 새순을 수확하여 만든다는 점이다. 일본에서는 이런 옥로를 만들다가 남은 분말까지도 따로 모아서 판매하는 차(코나차)가 있다. 물론, 이런 우전차를 갈아 만든 말차 또한 비싼 것이 당연하다. 감칠맛(일본어로 우마미)를 상당히 강조하곤 하는데 그 정도가 매우 강해서 사람에 따라서는 다싯물 맛이라고 느낄 정도이다.

    ② 세작(細作) - 곡우와 그다음 절기인 입하(入夏) 사이에 딴 어린 잎으로 만든 차. 세작까지 상품으로 친다. 상작(上雀)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첫물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로 우전차, 곡우차, 세작을 참새의 혀만큼 작은 잎으로 만들었다 해서 작설차(雀舌茶)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차를 만드는 다원에 따라서 우전차와 작설차를 구분하기도 하고 작설차라고만 하는 곳이나 우전과 곡우를 따로 구분하는 다원도 있다. 우전차를 맏물차, 세작을 첫물차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 구분방식 역시 우전을 첫물차라고 하는 다원도 있어 표준화된 기준으로 보기에 좀 애매하다.
    ③ 중작(中作,中雀) - 입하가 지나고 5월 중순까지 딴 좀 더 자란 잎으로 만든 차. 보통차, 두물차라고도 한다.
    ④ 대작(大作) - 중작을 지나 완전히 커진 찻잎으로 만든 차. 세물차, 하작(下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본의 경우 호지차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차이며, 잎이 커서 건조 후 차를 낼 때 가루가 잘 안 일어나기 때문에 현미녹차 등을 만드는데도 많이 쓰인다.
    • 호지차 - 가장 늦게 수확하는 찻잎를 쪄서 말린 후, 볶아서 제조한 일본식 차. 이 경우 일반적으로 차를 쪄서 만드는 일본차와 달리 한국의 덖음차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우리의 덖음차는 수분이 있는 생찻잎을 덖는(볶는) 것이고, 호지차는 일본식으로 일단 쪄서 말려 일반적인 녹차를 만들고 - 이것을 일본에서는 센차(煎茶) 라고 한다 - 센차를 다시 바싹 볶아서 커피처럼 로스팅한 차를 말한다. 호지차는 일반적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대작을 사용하는데, 차의 맛이 떨어지는 대작을 로스팅함으로써 구수한 향과 마일드한 풍미를 낸다.
  • 청차 = 우롱차(반산화차)
  • 황차 (반발효차)
    녹차와 보이차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 차. 구미권에서는 위의 청차와 세트로 우롱차로 부르기도 한다. 쇄청과 건조 과정을 거친 찻잎을 다시 쌓아 후발효 과정을 거친 것으로 차잎이 녹차와 달리 누런 색을 띄며 특유의 향을 갖는다. 대한민국에서도 동일한 공정을 거친 것을 "발효차", "황차"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사실 황차의 기원은 고급 녹차를 만들다 살청(덖음) 과정 중 시간을 조절하지 못해 실패한 차들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녹차와 비슷한 맛이지만 미약하게 고소한 향이 여운으로 남는 특징이 있다. 유명한 황차로는 곽산황아와 군산은침이 있다.
  • 청태전 (후발효차)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전해오는 청태전(靑苔錢) 또는 돈차, 떡차라고 부르는 종류가 전해지고 있는데, 제다법이 매우 특이하다. 살청작업을 거친 녹차를 찌고 절구에 찧어 반죽을 만든다음 이것을 엽전형태로 빚고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대꼬챙이에 꿰서 건조시키고, 항아리에 담아 숙성시키는데, 생으로 먹으면 황차와 비슷하고, 발효시키면 우롱차와 비슷한 풍미를 낸다. 우려내기 전에 한번 불에 구운 다음 탕관에 넣고 그냥 끓여서 우리는게 육우의 다경에 묘사된 초기 제다법과 매우 유사하다.
  • 흑차
  • 백차
    찻잎을 녹차와 달리 쇄청 과정이 없이 오랜 시간에 걸쳐 낮은 온도에서 시들게 하면서 말려서 제조한 차. 산화도가 15%정도로 우롱차에 비해 산화도가 낮다. 쇄청 과정을 거치지 않아 잎의 흰 솜털이 남아있기 때문에 백차라는 이름이 붙었다. 특유의 복잡한 향과 달콤하고 담백한 맛이 있다. 보통 대부분 차들은 더운물로 우려내도 3~4회면 더이상 우러나지 않거나 본연의 맛을 잃는데, 백차는 여러 번 우려내서 마실 수 있기에 여름에 냉침하여 마시기 좋다. (500ml 페트병에 찻잎 약간 담고 하루 종일 물만 보충해주면 계속 마실 수 있다)
  • 홍차 - 밀크티/로열 밀크티

6.1.1. 제형에 따른 분류

  • 엽차 (산차): 흔히 생각하는 푸슬푸슬한 찻잎의 형태.
  • 티백: 엽차를 종이주머니에 담아서 간편하게 우려낼 수 있게 한 것. 너무 오래 우리면 쓴맛이 나니 주의.
  • 말차: 찻잎을 곱게 갈아서 가루로 만든 형태로, 더운물에 풀어서 그대로 후루룩 마신다. 일본에서 많이 마시는 차.
  • 병차: 떡처럼 뭉쳐놓은 차. 흔히 보이차들이 이러한 형태로 유통된다.
  • 긴압차: 증기를 가한 후 납작하게 눌러 덩어리로 만든 차. 차를 우려내도 찻잎이 풀어지지 않는것들도 있다.
  • 조리차: 1회용으로 작게 긴압 + 병차. 3g가량에 꽃이나 곡식을 블렌딩하기도 한다.

6.1.2. 중국 10대 명차

명차가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시대가 흐르면 명차의 기준도 달라지지만 보통은 국립대만대학 농업계(농과대학)의 진문회(陳文懷)교수가 정리한 아래 기준을 만족하는 차를 명차로 꼽는다.
  •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야 한다.
  • 사회적으로 진귀하게 느껴져야 한다.
  • 수려한 명승고적과 아름다운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
  • 우수한 차나무와 가공 기술이 있어야 한다.
  • 독특한 차의 품격이 있어야 한다.
  • 문인들의 시나 소설에 끊임없이 등장해야 한다.

위 기준으로 진 교수가 정리한 10대 명차는 아래와 같다.
  • 서호 용정 ( 녹차)
    서호지방 용정산에서 나는 차. 물이 맑아 차맛이 좋았다고 전해짐.
  • 안계 철관음 ( 청차)
    치유의 신인 관음보살이 내려준 차. 돌돌 말아진 차잎이 특징이며 먹어보면 강렬한 향과 커피에 버금가는 강렬하고 깊은 맛이 일품이다. 중국의 식당에서도 많이 나오는 차이다.
  • 몽정 감로 ( 황차)
    서호 지방에서 나는 찻잎을 황차로 제다하여 이름을 붙혔다고 전해짐.
  • 동정 벽라춘 ( 녹차)
    하살인향, (향기로 사람을 죽이는 차. : 산지에 접근이 어려워 찻잎을 따다 많은 사람이 절벽에 떨어져 죽었다고 함) 이란 다른 이름을 가짐.
  • 황산 모봉 ( 녹차)
  • 백호 은침 ( 백차)
    유리다구에 우려내어 찻잎이 바늘처럼 일어섰다가 가라앉는 모습을 보는것이 매력.
  • 동정 오룡 ( 청차)
  • 군산 은침 ( 황차)
    백호은침과 비슷한 형태임.
  • 기문 홍차 ( 홍차)
    다양한 재료와 블랜딩 해도 맛과 향이 크게 변하지 않아 유명해진 차. 구미권 홍차에도 기문을 블랜딩 티로 많이 사용한다.
  • 운남 보이차 ( 흑차)
    연중 온화한 기후로 오래된 차나무가 많고 당연히 차 생산량도 많다. 특히 보이차의 어원이 된 '푸얼시' 가 운남에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차를 즐기는 인구보다 커피를 즐기는 인구가 급증하여 고차수(오래된 차나무)를 베어버리고 커피를 심는 것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사실 정말 좋은 차나무는 문화대혁명때 다 잘려나갔기에 크게 아쉬워할 것은 없다고 한다. 현재 중국의 오래된 교목 차나무는 수령 2000년을 자랑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밭은 관광지로 개발되어 많은 다인들이 방문하는 명소가 되고 있다고 한다.
대개 앞의 두글자는 차의 산지(지역, 유명한 산,강 등)를 나타내고, 뒤에 두글자는 차의 종류를 나타낸다.

6.2. 대용차

원래 라고 하는 것은 차나무의 잎으로 만든 것만을 지칭하므로, 아래의 대용차들은 엄밀히 말하면 차가 아니라, 이 정확한 표현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냥 차라고 지칭된다. 영어권도 사정은 비슷해서 차(Tea)도 아닌 허브티(Tisanes)를 Herbal Tea라고 부른다.

7. 차를 우리는 방법

차를 우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대원칙을 숙지해 놓으면 쉽다.

7.1. 냉침법

녹차종류와 같이 쇄청,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은 차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며 통상적으로 80도 이상 되는 물에서 우려지면 쓴맛이 나기 때문에 더 낮은 온도에서 우리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 잎일수록 낮은 온도에서 우리는 것이 좋으며, 일본 녹차같이 어린 잎을 증제(찜)해서 만든 차는 더욱 더 온도에 민감하다. 교쿠로(옥로)같은 최고급 일본녹차의 경우 50'c 정도에서 우리는데 이정도면 그냥 미지근한 물이다. 그래서 교쿠로를 우리는데 쓰는 다기인 호힌은 다관에서 흔히 보이는 손잡이조차도 없다.

7.2. 온침법

홍차와 같이 완전발효된 차는 끓는 물에서 우려내야 좋은 맛이 난다. 물주전자에서 동전 크기의 기포가 뽀글뽀글 날 때까지 충분히 끓인 다음에 홍차를 담은 티포트에 부어서 우린다. 홍차를 우려내는 티포트는 차가 우려지는 동안 뜨겁게 유지해야 더 좋은 맛이 난다. 보이차 또한 숙차인 경우 끓는 물로 우리는 것이 좋다.

7.3. 중간

반발효차(우롱차)는 발효정도에 따라 발효차(홍차)보다 조금 낮은 온도에서 우린다. 일반적으로 발효도가 낮은 철관음 같은 차는 90도 정도에서, 발효도가 높은 대홍포 같은 우롱차는 95도 정도가 좋다.

7.4. 후발효

위 과정을 거쳐 우린 차에 유산균 등을 넣어 발효시키는 방식이다. 콤부차가 여기에 속한다.

8. 다기 선택법

8.1. 재질

상술한 차의 추출방법을 고려해 티포트의 소재를 선택해야 한다.
  • 경질백자, 포셀린, 이스톤: 보온, 내열성이 떨어져 찻물이 빨리 식는다. 녹차, 경발효성 우롱차에 적합하다. 비교적 가벼운 편이다.
  • 도기, 스톤웨어, 세라믹: 보온, 내열성이 뛰어나 찻물이 오랫동안 식지 않는다. 홍차, 강발효성 우롱차, 보이차에 적합하다. 비교적 무거운 편이다.

8.2. 형태

공통적으로 뚜껑이 이탈없이 잘 닫히고, 주둥이가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차를 따를때 찻물이 아래로 줄줄 흐르지 않아야 한다.

9. 관련 문서

  • 보스턴 차 사건
    영국이 미국 독립운동가들의 독립자금을 벌때 파는 차를 규제하자 화가 난 미국인들이 영국령 인도의 차를 바다에 던져버린 사건. 한마디로 먹는거 가지고 장난쳤다가 독립운동의 불씨를 만들었다.
  • 중국을 비롯한 중화권
    중화권에서 차는 사람을 평가하는 문화의 일부로 자리잡았다.
  • 신농
  • 영국
  • 방사능 홍차
  • 아바차
  • 다구: 각 나라별 다구들의 특징이 약간씩 다르다. 상술하였듯, 자신이 선택한 다도 한가지를 섭렵하게 되면 이해도가 높아질수 있다.
    • 호(후), 자사호: 티포트. 주전자.
    • 찻잔: 한국은 5개 기본세트에 홀수로 증가하는데, 중국은 6개부터 짝수로 증가한다.
      • 개완: 1~2인용 개완은 150ml, 3~4인용 개완은 200ml가량. 보통 한가지 차를 세 번 정도 우려 공도배에 담고 나누어 마신다. 개완은 1인용 찻잔으로도 쓰지만 차를 우려내는 용도로도 쓴다.
      • 품명배: 차를 마시기 위한 용도의 잔. 작은것은 40ml부터 120ml정도 까지 있다.
      • 문향배: 차의 향을 즐기기 위한 잔. 중국식 다도의 일종인 공부차에 사용하는 다구로 문향배에 따른 차를 품명배로 받치고 뒤집어서 품명배에 차가 쏟아지게 한뒤 문향배를 손바닥에 비비듯 돌려 향을 맡는다.
    • 차판: 차를 우리는 과정에 물이 넘치거나 흘러도 부어서 버리면 처리가 간편하다. 한국은 '다포' 라고 하는 티매트를 깔아 쓰는데, 중국식 공부차는 대나무 소재가 흔히 쓰이며 물받침은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보통 45X60cm사이즈로 배수량은 2리터 가량 버티며, 티타임 이후 서랍식으로 꺼내어 물만 버리면 된다.
    • 다도육군자: 찻잔을 집는 포셉(다구를 데울때, 뜨거운 물을 버릴 때 손이 데이지 않게 해준다), 티스푼, 티포트 물줄기 막힐때 콕콕 찔러서 물 흘러나오게 하는 도구, 한번 우린 찻잎 다시 다호에 넣는 스크래퍼(버릴때도 쓴다), 티포트에 찻잎 부어넣을때 딴데로 튀지 못하게 하는 깔때기 + 이것을 담는 통을 함께 부르는 말 (다칙, 다협, 다침, 다통, 다시, 차루)
    • 공도배: 한국의 숙우에 해당하는 중국식 다도 도구. 한국의 숙우는 보통 녹차 우릴 때 물식힘 그릇 + 퇴수기 역할을 하는데, 손잡이가 없어 다건으로 뜨거운것을 가려야 한다. 하지만 공도배는 손잡이가 있어 편리하다. 그리고 우려낸 차를 담아 나누어 마시는 그릇으로 쓴다.
    • 표일배: 거름망 + 휴대용 음료병.... 이나 기원은 대만에서 개발된 편리한 유리 다구. 240ml로, 거름망과 포트가 일체형이다. 한국에서는 설록차가 이러한 형태의 녹차병을 만들어 팔았었던 적이 있었다.
  • 다례
  • 다모
  • 다도(茶道)
    • 센 리큐 - 일본 전국시대의 다인(茶人)으로 와비차라는 참선을 중시하는 다도법을 확립시켰으며, 다성(차의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 메다옹 선사 - 일본에 전차도(엽차 다도)를 전한 인물. 선불교의 스님이었다.
  • 다방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레귤러 멤버들의 이름과 닉네임이 모두 차 종류에서 따 왔다.
  • 한국차박물관 - 전라남도 보성군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차를 주제로 한 박물관.
  • 식품 관련 정보

[1] 소나무(松, 솔), 대나무(竹, 대)와 같다. [2] 원산지에서는 천년 묵은 차나무 숲이 있는데 거기에 있는 차나무는 전부 아름드리 나무다. [3] 넓은 의미에서는 콩나물국밥도 차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 [4] 순우리말 '국'을 한자로 '탕'이라 한다. 참고로 찌개 전골의 차이는 국이 물이 가장 많고 전골이 가장 적으며 찌개가 가운데 쯤 된다. [5] 마테차 또한 차나무 잎이 아닌 차나무 사촌뻘 되는 나무의 잎을 우려서 만들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대용차다. 이것은 한국만 그런 것은 아니다. Tea 역시 차나무와 차나무의 잎을 우린 물이어야 하지만 Mate tea, Mint tea, Herbal tea 등등 찻잎이 아닌 다른 것을 우린 물에 tea 라는 단어를 널리 사용한다. [6] 이런 확장 때문에 " 콩나물국도 차 아니냐?" 하는 농담도 있다. # [7] 맹꽁이 서당에서는 아편 암살 시도 사건을 그리면서 고종이 커피를 '가비다'라며 신하들에게 소개하는 장면이 있다. [8] 파란색은 민남어 '테', 빨간색은 표준중국어 '차', 초록색은 별개의 어형. [9] 사실 이 지도에서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기준으로는 한자문화권이라 단순히 차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한 묘사라고 할 수는 없다. 민남어도 중국어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10] 이 때문에 고독한 미식가 같은 일본 식당이 나오는 드라마를 보면 우롱차를 우론차 라고 한국어와 거의 같은 발음으로 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11] 일제강점기 때문인지 한국에서도 고령층 위주로 차나 보리차 같은 것을 드물게 오차, 오찻물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가끔 있다. [12] 茶가 상고한어 중고한어의 음이 '다'에 가까웠는데 민남어가 상고한어로부터 먼저 갈라져 나온 방언이라 구개음화를 거치지 않고 보존되었다는 설이 있다. [13]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지의 화교들은 복건 성 출신이 상당히 많은 편이라 민남어 화자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가령 싱가포르의 경우 2012년 기준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중국어 방언은 민남어에 속하는 복건화(福建話, 41.1%)와 조주화(潮州話, 21.0%)였다. [14] 당나라 시기의 문인 육우(陸羽, 733~804)의 저서 《다경(茶經, The Classic of Tea)》에 나오는, 고대에 차를 가리키던 다섯 가지 이름이다. [15] 주변국들과는 달리, 미얀마어에서는 차를 '러페(laphet)'라는 별개의 어형으로 부르는데, 사실 이는 荼의 상고한어 발음 Zh. /*rlaː/, B&S /*lˤra/의 어원이 된 고대어를 보존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만큼 재배역사가 길었다는 뜻이다. 흥미롭게도 미얀마의 러페는 음료로도 마시지만, '러페 소'라고 하여 찻잎을 땅에 묻어 발효시킨 뒤 소금에 절여서 반찬처럼 먹는 레시피도 존재한다. [16] '도'라고 읽는다. 시경에서 처음 등장하는 이 글자는 본래 '쓴 풀'을 광범위하게 이르던 글자였다. 오늘날에는 씀바귀를 뜻하는 글자다. [17] 전한 시대 쓰촨성에서 차 재배를 처음으로 했다는 전설로 잘 알려진 오리진(吳理眞)Origin 역시 불교 승려였다고 한다. [18] 북조에 귀순한 남조 인사가 연회를 할 때 남조에서 하던 대로 차를 대접했는데, 이때는 차를 오늘날처럼 조그만 잔이 아니라 훨씬 큰 잔에다 어마어마하게 줬다. 그런데 북조 사람들은 차에 대한 인식이 안 좋아서 이걸 물난리라고 표현한 것이다. [19] 현대 기준으로 해석해서 선진국의 기술 집약적 공업과 개도국의 노동 집약적 공업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은 비유이다. 품질면에서도 청의 수제 면직물이 영국의 공장제 중저가 면직물보다 우수했기 때문이다. 가격은 영국의 공장제 면직물이 중국의 수공업 면직물보다 저렴했지만, 영국에서 중국까지 운송하는 비용이 많이 들어서 경쟁력이 없었다. 게다가 원가도 그리 차이가 나는 편이 아니었다. [20] 효능으로 보았을 때 차를 마시는 이유의 절반 정도는 '테아닌' 때문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개 테아닌 함유량은 녹차(비발효차)<우롱차(반발효차)<홍차(발효차) 정도이다. 이 점을 활용하여 테아닌을 농축시켜 만든 슬로우 카우라는 제품도 있다. [21] 일본어로 다시마를 ‘콘부’라고 하기 때문이다. 일본어를 할 줄 아는 사람들 중에서 이 때문에 콤부차가 일본식 다시마차인 줄 오해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22] 껍질을 잘게 썰어 일주일 정도 말린 뒤, 뜨거운 물에 달여 내놓은 것. [23] '차'자가 빠진 것을 제외하면 커피도 일종의 대용차라고도 볼 수 있다. 개화기 커피가 들어왔을 때 왕실에서 '가배차'라하여 잠시 '차' 이름을 가진 적도… 다만, 커피의 경우 워낙 다양한 종류로 분류가 가능해서 대용차의 범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음료의 형태로 자리 잡은 상태. [24] 위의 커피는 씨앗을 사용하지만, 이쪽은 과육을 사용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