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망스어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5px" |
라틴어† 중세 라틴어 민중 라틴어 |
<colbgcolor=#b0c9fd,#415ca2> 서부 로망스어군 | <colbgcolor=#b0c9fd,#415ca2> 갈리아이베리아어 | 이베리아로망스어 | 갈리시아포르투갈어 | 포르투갈어 · 갈리시아어 |
아스투리아스레온어 | 레온어 · 미란다어 · 아스투리아스어 | |||||
카스티야어 | 스페인어 · 라디노어 | |||||
아라곤어 | 아라곤어 | |||||
모사라베어 | 모사라베어† | |||||
갈리아로망스어 | 오크로망스어 | 오크어 ( 랑그도크어 · 가스코뉴어 )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 | ||||
오일어 | 프랑스어 · 노르만어 · 왈롱어 |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리오네 방언 · 도피네 방언 · 사부아 방언 · 아오스타 방언 · 보 방언 · 쥐라 방언) | |||||
레토로망스어 | 로망슈어 · 라딘어 · 프리울리어 | |||||
갈리아이탈리아어 | 갈리아이탈리아어 ( 피에몬테어 · 리구리아어 · 롬바르드어 · 에밀리아어 · 로마냐어 · 모나코어 ) | |||||
이탈리아달마티아어(1) | 토스카나어 (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 ) · 중부 이탈리아어 · 움브리아어(2) · 칼라브리아어 · 나폴리어 · 아브루초어 · 시칠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 달마티아어† · 베네토어 | |||||
동부 로망스어군 | 루마니아어 · 아루마니아어 · 이스트로루마니아어 · 메글로루마니아어 | |||||
남부 로망스어군 | 사르데냐어 · 아프리카 로망스어† | |||||
*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유엔 공식 언어 | ||
English 영어 |
Français 프랑스어 |
Español 스페인어 |
Русский 러시아어 |
中文 중국어 |
العربية 아랍어 |
*영어: 옥스퍼드 철자법을 따른
영국식 영어. *중국어: 간체자로 표기된 표준 중국어.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 |
스페인어 서반아어/서어(西班牙語/西語) 에스파냐어(Español) | 카스티야어(Castellano) Spanish language |
||
[1] | ||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 굴절어 | |
어순 |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 |
서자 방향 |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
문자 | 로마자 | |
점자 | 스페인어 점자 | |
모어(제1언어) 사용 지역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종주국]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최다(모어)] [[콜롬비아| ]][[틀:국기| ]][[틀:국기| ]] [[에콰도르| ]][[틀:국기| ]][[틀:국기|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페루| ]][[틀:국기| ]][[틀:국기| ]] [[볼리비아| ]][[틀:국기| ]][[틀:국기|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우루과이| ]][[틀:국기| ]][[틀:국기| ]] [[칠레| ]][[틀:국기| ]][[틀:국기| ]] [[파라과이| ]][[틀:국기| ]][[틀:국기| ]] [[쿠바| ]][[틀:국기| ]][[틀:국기| ]] [[도미니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푸에르토리코| ]][[틀:국기| ]][[틀:국기| ]] [[과테말라| ]][[틀:국기| ]][[틀:국기| ]] [[파나마| ]][[틀:국기| ]][[틀:국기| ]] [[온두라스| ]][[틀:국기| ]][[틀:국기| ]] [[엘살바도르| ]][[틀:국기| ]][[틀:국기| ]] [[니카라과| ]][[틀:국기| ]][[틀:국기| ]] [[코스타리카| ]][[틀:국기| ]][[틀:국기| ]] |
|
공용어(제2언어) 지정 지역 |
[[적도 기니| ]][[틀:국기| ]][[틀:국기| ]] |
|
원어민 | 약 5억 명 | |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이베리아어 이베리아로망스어 서이베리아어 스페인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639 | ES |
[clearfix]
1. 개요
|
스페인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30조[4][5] |
Namuwiki: árbol del conocimiento que hacemos crecer juntos.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En un lugar de La Mancha, de cuyo nombre no quiero acordarme, no ha mucho tiempo que vivía un hidalgo, de los de lanza en astillero, adarga antigua, rocín flaco y galgo corredor.
그다지 오래되지 않은 옛날, 라 만차 지방의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어느 마을에서 선반에 창과 낡은 방패를 두고, 야윈 말과 경주를 위한 사냥개를 가진 신사가 살고 있었다.
스페인 문학의 최고봉에 오른 세르반테스의 작품 돈키호테 1부(1605)의 첫 문장.
스페인어(Español/Castellano)는
스페인 중부
카스티야
지방에서 유래된
언어로, 이탈리아어파
이베리아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로망스어이다.그다지 오래되지 않은 옛날, 라 만차 지방의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어느 마을에서 선반에 창과 낡은 방패를 두고, 야윈 말과 경주를 위한 사냥개를 가진 신사가 살고 있었다.
스페인 문학의 최고봉에 오른 세르반테스의 작품 돈키호테 1부(1605)의 첫 문장.
스페인 본국은 물론 브라질과 몇몇 소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 그리고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미국에서 많이 사용된다. 과거 스페인 제국의 영토였던 아프리카의 적도 기니나 서사하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아시아의 필리핀에서는 크레올어 형태로 남아 있다.
2. 명칭
언어별 명칭 | |
스페인어 |
<colbgcolor=#fff,#1c1d1f>Idioma español[6]/Lengua española[7]/ Idioma castellano[8]/Lengua castellana[9] |
카탈루냐어 |
Castellà / Idioma castellà Espanyol / Idioma espanyol |
갈리시아어 |
O castelán / Lingua castelá Español / Lingua español |
바스크어 |
Gaztelania Espainiera |
포르투갈어 |
Língua castelhana Língua espanhol |
프랑스어 | Langue espagnole |
이탈리아어 | Lingua spagnola |
루마니아어 | Limba spaniolă |
태국어 | ภาษาสเปน |
영어 | Spanish language |
독일어 | Spanische Sprache |
러시아어 | Испанский язык |
중국어 | 西班牙語 / 西班牙语, 西語 / 西语 |
일본어 | スペイン語 |
라틴어 | Lingua Hispanica |
에스페란토 | Hispana lingvo |
튀르키예어 | İspanyolca |
아랍어 | لغة إسبانية |
인도네시아어 | Bahasa Spanyol |
베트남어 | Tiếng Tây Ban Nha / 㗂西班牙 |
카자흐어 | Испан тілі / Ïspan tili / ىيسپان ٴتىلى |
몽골어 | ᠢᠰᠫᠠᠨᠢ ᠬᠡᠯᠡ / Испани хэл |
말레이어 | Bahasa Spainyol |
필리핀어 | Wikang Espanyol |
스페인어로는 Español(에스파뇰)과 Castellano(카스테야노) 두 개의 명칭이 공존한다. 이 중 Castellano는 카스티야어라는 뜻으로, 카스티야라는 일개 지방에서 유래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스페인은 본래 지역색이 강한 왕국들이 연합 혹은 병합을 거쳐 만들어진 나라라서 지역마다 언어가 달랐다. 카스티야어가 공용어 역할을 했지만 근대까지만 해도 전국민이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는 아니었다.
현재 스페인 한림원은 둘 다 표준 명칭이라고 인정하는 한편 자국어의 국제적 인지도 및 영향력을 고려해 Español을 일반 명칭으로 권장하고 있다.[11] 대외적으로는 Español이 우세하지만 스페인어권 내에선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 스페인에서 사실상 Español은 '스페인 민족의 언어'의 뜻인 반면 Castellano는 '스페인 민족의 표준어'를 가리킨다.[12] 둘 다 기본적으로 프랑코 우파국민주의적으로 정의된 용어라서 지방과 이념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다. 갈리시아인들은 갈리시아어가 비록 포르투갈어에 가까울 지라도 대개 프랑코 우파국민주의를 수용하기 때문에 스스로 갈리시아어를 대 스페인어족에 소속된 방언으로 보는 차원에서 표준 스페인어를 Castellano라고 부르지만, 카탈루냐 자치론자들은 Castellano를 말 그대로 카스티야 사투리로 받아들이고, 카탈루냐 독립론자들은 그냥 Español이라고 부르면서 다른 나라 말 취급한다.
- 라틴아메리카에서도 역사적 배경과 구성 인종 및 인식의 차이에 따라 나라마다 선호하는 명칭이 다르다.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및 페루에서는 Castellano가 일반 명칭이다. 기타 국가들에서는 Español이 훨씬 더 우세하고 Castellano 명칭에 대한 인식이 다양하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 헌법은 Castellano를 국어로 명시하지만 국민들은 일상적으로 Español이라고 한다. 멕시코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스페인어 화자가 많은 국가로서 Español만이 국가 공용 스페인어를 뜻하며 Castellano가 오히려 스페인 스페인어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된다.
BBC 스페인어 방송에서 스페인어 표준 명칭에 대한 영상.[13] |
3. 역사
이베리아 반도가 로마 제국에 의해 복속된 이후에 당시 민중 라틴어(Vulgar Latin)가 뿌리를 내리면서 토착민들이 쓰던 이베리아어를 기층으로 흡수한 이베리아 로망스어가 기원이다. 이베리아 반도 상당 부분이 북아프리카에서 온 무어인의 지배를 받으면서 모사라베들이 쓰던 모사라베어는 아랍어의 영향도 많이 받아 로망스어 가운데서 아랍어에서 들어온 단어가 가장 많다.[14] 물론 나중에 레콩키스타와 더불어 아랍어에서 들어온 단어를 솎아내기는 했지만 워낙 뿌리깊게 박혀 한계는 있는 법.[15]또한, 고대 스페인어에서 중세 스페인어로 넘어가면서 피레네 산맥 주변의 바스크어 등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어두 f가 h로 바뀐 뒤 묵음화된 경우가 있다. 밑은 어원이 같은 여타 로망스어 어휘와 독음이 달라지게 된 경우의 리스트이다.
민중 라틴어 계열 어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 | 이탈리아어 | 의미 | (가스코뉴어) |
hecho | feito | fatto | 만들어진 | (hèit) | |
hijo | filho | figlio | 아들 | (hilh) | |
hoja | folha | foglia | 잎사귀 | (huelha) | |
hilo | fio | filo | 실 | (hiu) | |
hierro | ferro | ferro | 철 | (hèr) | |
hambre | fome | fame | 배고픔 | (hami) | |
horno | forno | forno | 화덕 | (horn) | |
haba | fava | fava | 누에콩 | (hava) | |
hada | fada | fata | 요정 | (hada) | |
hongo | fungo | fungo | 버섯 | (camparòu) | |
higo | figo | fico | 무화과 | (higa) | |
hormiga | formiga | formica | 개미 | (hormiga) | |
harina | farinha | farina | 밀가루 | (harina) | |
hígado | fígado | fegato | 간 | (hitge) | |
humo | fumo | fumo | 연기 | (hum) | |
huso | fuso | fuso | 물레가락 | (hus) | |
horca | forca | forca | 교수대 | (horcas) | |
halcón | falcão | falco | 매 | (soriguèr) | |
hembra | fêmea | femmina | 암컷 | (hémia) | |
huir | fugir | fuggire | 달아나다 | (hugir) |
고전 라틴어 계열 어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 | 라틴어 | 의미 |
hacer | fazer | FACERE | 만들다 | |
hablar | falar | FABVLARI | 말하다 | |
herir | ferir | FERIRE | 상처입히다 | |
hermoso | formoso | FORMOSVS | 아름다운 | |
hervir | ferver | FERVER | 끓다 | |
herramienta | ferramenta | FERRAMENTA | 연장 | |
hoyo | fojo | FOVEA | 구덩이 | |
hurto | furto | FVRTVM | 절취 | |
hebilla | fivela | FIBVLA | 죔쇠 |
1469년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합병으로 스페인 왕국(에스파냐 왕국)이 탄생하는데 지역적으로 마드리드를 중심으로 한 카스티야 지역의 방언이 표준이 되었다. 그리고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하면서 스페인어도 뻗어나가 케추아어[16]나 마야어[17], 나와틀어[18] 같은 메이저급 언어를 소수로 만들었으며 브라질,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 벨리즈 등을 제외한 중남미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인다.
스페인어(카스티야어)로 된 문증 가능한 최고(最古)의 사료는 엘 시드의 생애를 다룬 서사시인 시드의 노래다[19].
4. 음소
4.1. 자음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colbgcolor=white,#1f2023> 비 | m | n | ȵ | |||||||||||
파열 | p | b | t | d | k | ɡ | ||||||||
파찰 | t͡s | t͡ʃ | ||||||||||||
마찰 | f | s | x | |||||||||||
접근 | j | |||||||||||||
[ruby(접근, ruby=설측)] | l | ȴ | ||||||||||||
탄 | ɾ | |||||||||||||
전동 | r | |||||||||||||
[ruby(연구개, ruby=양순)] | ||||||||||||||
무 | 유 | |||||||||||||
접근 | w |
4.2. 모음
전설 | 후설 | |||
평 | 원 | 평 | 원 | |
<colbgcolor=white,#1f2023> 고 | i | u | ||
중고 | e | o | ||
저 | a |
5. 문자와 발음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어/발음 문서 참고하십시오.고전 라틴 문자 23자에 중세에 생긴 라틴 문자 J, U, 서게르만어군 고유의 로마자 W, 그리고 스페인어 고유의 로마자 Ñ을 포함한 27개의 로마자를 쓴다. 라틴어의 직계후손인 로망스어군답게 K와 W는 외래어 표기에만 제한적으로 쓰인다. 주변국 언어, 특히 영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에 비해 문자와 발음의 관계가 직관적이어서 읽기는 어렵지 않다.
빌바오를 위시한 바스크 지역은 그나마 K가 많이 보이는 편인데 바스크어의 영향이다. 실제로 스페인 전체에서 한국을 corea라고 쓰고 꼬레아라고 읽는데, 바스크 지역만 영어와 철자가 동일하다.
diacritic에서 acute는 주로 강세를 표기할 때 쓰이지만 예외적으로 ý는 제한된 용도에서만 쓴다. ü는 güe, güi 등을 쓰고 /ɡwe/, /ɡwi/로 발음하도록 하기 위해 쓴다. gue, gui는 /ɡe/, /ɡi/로 발음된다. 또, qu는 e, i 앞에만 쓴다. 이에 익숙지 않은 화자들은 산 미겔을 산 미구엘로 발음하곤 한다.
종전에는 Ch/ch, Ll/ll, Rr/rr도 독립된 철자로 간주되었으나, 지금은 C/c, L/l, R/r에 각각 통합되었다. 국내의 경우 6차 교육과정(2003년까지) 고등학교 스페인어 과목에서 알파벳을 30자로 가르쳤다.
철자에서 ze와 zi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예: lápiz → lápices, utilizar → utilicé).
음성학적으로 분석하자면, "모음"+"n"으로 끝날 경우 프랑스어처럼 앞의 모음은 비모음화된다. 예를 들어 전치사 "con"은 흔히들 /kon/으로 발음한다고 하나, 실제 발음은 [kõn]이다. 허나 프랑스어와는 달리 뒤의 n 발음이 생략되지 않기 때문에 잘 눈치채진 못한다.
"ñ"의 물결표시는 틸데(tilde)라고 한다. 영어식으로는 틸드라고 한다. 해당 문서 참조. 오늘날에는 스페인어의 특징적인 요소로, 스페인어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이 문자를 통해 스페인어 표기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입력이 불편하고 익숙지 않은 사람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생략되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Piña Colada를 피나 콜라다로 부른다. 한편, 일상생활에서는 일자 작대기로 쓰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필기체라고 할 것까지도 없고 정자체로 쓰는 경우에도 작대기로 쓰는 경우가 있다.
5.1. 목록
5.1.1. 기본 문자
로마자 (대문자/소문자) |
명칭 | 발음 |
A a | 아 (a) | /a/ |
B b | 베 (be) | /b/ |
C c | 세 (ce) | /k/, /θ/, /s/ |
D d | 데 (de) | /d/ |
E e | 에 (e) | /e/ |
F f | 에페 (efe) | /f/ |
G g | 헤 (ge) | /ɡ/, /h/, /x/ |
H h | 아체 (hache) | 묵음 |
I i | 이 (i) | /i/ |
J j | 호타 (jota) | /x/ |
K k | 카 (ka) | /k/ |
L l | 엘레 (ele) | /l/ |
M m | 에메 (eme) | /m/ |
N n | 에네 (ene) | /n/ |
Ñ ñ | 에녜 (eñe) | /ɲ̟/ |
O o | 오 (o) | /o/ |
P p | 페 (pe) | /p/ |
Q q | 쿠 (qu) | /k/ |
R r | 에레 (erre) | /r/, /ɾ/ |
S s | 에세 (esse) | /s/ |
T t | 테 (te) | /t/ |
U u | 우 (u) | /u/ |
V v | 우베 (uve) | /b/ |
W w | 우베 도블레 (uve doble) | /w/ |
X x | 에키스 (equis) | /ks/, /x/, /s/ |
Y y | 예 (ye)[20] | /j/ |
Z z | 세타 (zeta) | /θ/, /s/ |
5.1.2. 다중 문자
- ai - /aj/
- au - /aw/
- ch - /t͡ʃ/: 2010년 철자법 개정 전까지 단일문자로 취급되었다. 명칭은 "체(che)".
- ei - /ej/
- eu - /ew/
- gue - /ge/
- gui - /gi/
- gü - /gw/[21]
- ia - /ja/
- ie - /je/
- iu - /ju/
- io - /jo/
- ll - /ʎ̟/: 2010년 철자법 개정 전까지 단일문자로 취급되었다. 명칭은 "에예/엘례(elle)".
- oi - /oj/
- ou - /ow/
- que - /ke/
- qui - /ki/
- rr - /r/: 2010년 철자법 개정 전까지 단일문자로 취급되었다. 명칭은 "에레 도블레(erre doble)".
- tx - /t͡ʃ/
- tz - /t͡s/
- ua - /wa/
- ue - /we/
- ui - /wi/
- uo - /wo/
다중 문자가 있다.
5.2. 아랍 문자 표기
과거 쓰였던, 아랍어 방언 중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알하미아도(Aljamiado, عَجَمِيَة, ʿajamiyah) 체계의 아랍 문자를 썼다. 스페인이 아랍의 지배를 받았던 시절에 쓰였던 아랍어 방언이었지만 소멸되었다. 게임 문명 5의 아랍/아프리카 문명 배경음악 중 이 언어로 부르는 노래가 있다.알하미아도 | 로마자 | 발음 |
ا | - | /-/ |
ب | B b | /b/ |
بّ | P p | /p/ |
ت | T t | /t/ |
ث | T t | /θ/ |
ج | J j, Ge ge, Gi gi | /ʒ/ |
جّ | Ch ch | /t͡ʃ/ |
ح | H h | /h/~/ħ/ |
خ | J j, H h | /x/ |
د | D d | /d/ |
ذ | D d | /ð/ |
ر | R r | /ɾ/ |
رّ | Rr rr, R r | /r/ |
ز | Z z | /dz/ |
س | Ç ç, Ce ce, Ci ci, S s, Ss ss, X x | /ts/(/s/, /z/) |
ش | X x | /ʃ/ |
كس | X x | /ks/~/gz/ |
ص | S s | /s/ |
ض | D d | /d/ |
ط | T t | /t/ |
ظ | D d | /ð/ |
ع | ' | /ʕ/ |
غ | G g, Gu gu, Ge ge, Gi gi | /g/ |
ڢ( ف) | F f | /ɸ/~/f/ |
ڧ( ق) | K k, Qu qu | /q/~/k/ |
ك | K k, Qu qu, C c, Ç ç, Ce ce, Ci ci | /k/ |
ل | L l | /l/ |
رّ | Ll ll | /ʎ/ |
م | M m | /m/ |
ن | N n | /n/ |
نّ | Ñ ñ | /ɲ/ |
و | W w, V v | /w/(/v/~/β/) |
ھ | H h | /∅/ |
ي | Y y | /j/ |
ــَـ | A a | /a/ |
ـَـا | E e | /e/ |
ــِـ | I i | /i/ |
ــُـ | Ou ou | /o/, /óu/, /ú/, /w/ |
아랍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p(بّ)', 'ch(جّ)', 'rr/r(رّ)', 'x(كس)', 'll(رّ)', 'ñ(نّ)', '∅(ھ)', 'e(ـَـا)'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8자를 더 만들었다.
표에서 초록색 배경으로 해 놓은 문자들은 아랍어 외래어에서만 사용하며 안달루시아 아랍어에는 쓰지 않는 알파벳이다.
6. 영향력
빨강 | 스페인어만 정식으로 사용 |
파랑 | 스페인어와 타 언어를 혼용 |
스페인어권을 하나의 나라처럼 계산한다면, 1만달러대 초반의 1인당 GDP와 5억을 넘는 인구를 지닌 거대한 규모에 해당한다. 사용 인구로 따지면 부동의 1위인 중국어에 이어 세계 2위이며, 지금도 사용자가 점점 증가 중이다. 영어도 분포상으로는 스페인어보다 넓게 분포하지만 사용인구 수는 스페인어가 더 많다. 2014년까지는 영어였는데 스페인어권의 인구 증가율이 높은 관계로 2015년에 스페인어가 영어를 추월했다. 또한 원어민 수로만 따졌을 때도 스페인어가 넘사벽이다. 2019년 기준으로 영어는 3억 8천만 명의 원어민 구사자가 있지만 스페인어는 5억 명이 넘는다. 그리고 스페인어는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언어 중 하나다.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019년 현재 총 5억 명으로 1위인 관화(9억) 다음으로 많다. 참고로 3위인 영어는 3억 7천만 명이다.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인 갈리시아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카탈루냐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로망슈어와 어휘와 문법이 유사한데, 갈리시아어가 가장 유사하며, 그 다음으로는 포르투갈어가 가장 유사하다. 한 예로 Cielo(하늘.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Ciel(하늘. 프랑스어), CAELUM(하늘. 라틴어). 때문에 유럽에서는 해당 국가의 화자들이 쉽게 배울 수 있고, 국제어로서 인정받아 학습 인구가 많아서 사용이 매우 빈번하다. 학습 난이도를 기준으로 갈리시아어>포르투갈어>이탈리아어>카탈루냐어>프랑스어>루마니아어 순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실제로 갈리시아어 화자와는 대부분 대화가 가능하고, 포르투갈어 화자와는 일상 대화 정도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22] 물론 남아메리카 쪽에서는 본토의 스페인어 사용자도 제대로 못 이해할 정도로 발음상의 변환과 의미가 바뀌는 단어가 존재하지만 그래도 대부분 이해할 수 있다.
주요 사용국으로 스페인, 멕시코,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미국[23],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적도 기니, 모로코가 있다.
한국에서는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나라들의 위치가 하나같이 너무 거리가 먼 데다 직접적인 교류가 대단하게 많은 것도 아니어서 한국에서 외국어 학습으로서의 인기는 일본어, 중국어 등 인접국 언어에 비해 떨어지고, 그 외 제2외국어 중에서 경쟁하는 정도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스페인어의 영향력이 상당한 편이고, 특히 한국과 주로 교류하는 국가 중 하나인 미국에서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한국도 스페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스페인어를 배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에서도 멕시코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주들은 스페인어 구사자가 많다.
6.1. 유럽과 아프리카
스페인어의 원류인 스페인은 선진국이고 IT나 금융업, 중화학 공업과 건설업도 골고루 발달한 선진화된 경제 구조를 가진 나라다. 단순한 경제 규모만으로는 멕시코 등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많은 인구 덕에 이제는 스페인의 구 식민 국가들의 목소리가 더 커졌고 스페인이 경제위기로 휘청하기는 했지만 어쨌든 스페인의 산업 구조 자체는 선진국 산업구조이다. 또한 라틴아메리카는 여러 문제점이 보이기는 해도 자원이 많고 인구가 많으며 삶의 질은 그래도 중진국 수준은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안도라는 공용어가 카탈루냐어이지만,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프랑스어 외에도 스페인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영국에서는 이전까지만 해도 프랑스어의 인기가 높았고 독일어 교육도 중요시 되었지만, 최근에는 스페인어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스페인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영국뿐 아니라 독일, 네덜란드 등에서도 스페인어를 어느정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 많은데 그 이유는 북유럽과 서유럽에서 여름 휴가철마다 물가가 저렴하고 일광욕하기 좋은 스페인으로 1년에 몇천만 명씩 방문하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쪽은 적도 기니와 미승인국인 서사하라에서 스페인어가 쓰이고 있다. 적도 기니는 미승인국인 서사하라를 제외하면 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스페인어가 공용어인 나라이다. 그리고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던 서사하라도 아랍어와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다.
모로코 북부 탕헤르는 한때 스페인령 모로코였으며 실제로도 붙어있다시피 해서 스페인어 사용 인구가 꽤 있다. 물론 모로코는 프랑스 식민지였기 때문에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쓰지만 스페인어 가능인구도 대도시와 북부를 중심으로 하여 꽤 많은 편이다. 여기에 스페인어와 비슷한 이유로 포르투갈어도 많이 통용되는 편. 특히 젊은 층에게는 제2언어로 프랑스어와 함께 스페인어가 인기 많다. 앙골라와 남수단, 카메룬, 가봉, 나이지리아 같은 중남부 아프리카에도 스페인어를 모어로 쓰는 인구가 존재한다. 앙골라, 남수단, 카메룬, 가봉에는 쿠바 출신의 화자들이 거주하고 있다. 그리고 나이지리아는 스페인령 기니와 교류한 적도 있기 때문에 일부 스페인어 화자들이 정착했다.
6.2. 북아메리카
멕시코의 스페인어 모어 화자 수는 1억 3,000만명을 넘어가며, 이는 스페인 본국보다 2배 이상 많은 숫자다.6.2.1. 미국
미국 워싱턴 D.C.에서 보이는 WMATA의 안내판 |
미국에서 스페인어는 영어 이외의 타 언어에 비해 그 영향력이 가히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미국에서의 스페인어의 위상을 표현하자면, '제1외국어'라는 말로는 도저히 그 위상을 설명할 수가 없고 사실상 '제2공용어'라고 생각하는 게 더 정확할 정도다.[25] 미국에서 공항이나 공공기관의 안내 표지판에 영어 외의 언어가 하나만 병기된다면 그건 스페인어다. 미국 정부 웹사이트는 영어와 스페인어를 병기하며, 제품 사용설명서나 대부분의 인터넷 웹사이트도 영어 다음은 스페인어, 그 다음에 여력이 있어야 프랑스어 등 다른 언어가 제공된다고 보면 된다. 안내방송도 영어로 나온 다음 스페인어가 나오며, 서비스를 신청하려고 통신회사 등지에 전화를 걸면 처음에 스페인어로 “스페인어로 진행하시려면 1번을 누르시고“ 그 다음 영어로 “영어로 하시려면 기다리세요”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캘리포니아와 같은 지역들에서 이런 경우가 많다.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등 스페인어를 쓰고 야구의 인기가 좋은 나라들에서 선수들이 많이 넘어오는 야구 리그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는 모든 구단에 스페인어 통역이 있을 정도이다.
미국은 농담삼아 레콩키스타 드립이 나올 정도로 히스패닉의 비중이 높다. 그래서 특히 서남부, 중남부 지방에서는 스페인어만으로도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 뉴멕시코 등 멕시코와 가까운 서남부 주들은 스페인어가 영어보다 더 많이 통용되는 지역도 많다. 캘리포니아나 플로리다도 스페인어를 많이 쓰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2017년 통계에 의하면 스페인어 모어 화자는 5세 이상에서 4,100만명으로, 이들만으로도 이미 어지간한 국가 하나에 달하는 규모다. 그러니까 스페인어 상품 하나를 개발해서 미국 안에서만 유통시켜도 4,000만명 이상의 내수시장이 확보된다는 소리다. #
미국 경찰들은 범죄자를 체포할 때 고지하는 미란다 원칙도 스페인어로 외울 줄 아는 것이 기본이고, 비상시를 대비해 스페인어 미란다 원칙이 적힌 메모를 가지고 다닌다.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대국민 생방송 브리핑을 하거나 긴급재난문자를 보낼 때도 경우에도 영어로 한 번, 스페인어로 다시 한 번 하는 게 관례화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스페인어는 제2 언어로서도 미국에 깊숙히 자리잡았다. 그래서 모어가 영어인 미국인이라도 스페인어는 할 줄 아는 경우가 흔하다.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플로리다 같은 지역에서는 스페인어를 아는 사람이 매우 많다. 그외에도 스페인어는 다양한 사람들이 구사할 수 있는 편이다.
캘리포니아, 뉴멕시코, 애리조나, 플로리다처럼 스페인어가 많이 쓰이는 곳에서는 길 가다가 아무 사람 붙잡고 스페인어로 말을 걸어보면 높은 확률로 대답을 들을 수 있다. 특히 대도시라 인프라도 편리한데다가 멕시코와 국경이 가까운 로스앤젤레스는 농담이 아니라 반 정도는 스페인어로의 대화가 더 편하다.
그리고 한국을 포함한 해외에서 영어 교육용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는 도라도라 영어나라는 원래 스페인어 교육 프로그램이다. 세서미 스트리트에서도 기초적인 스페인어를 가르치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반대로 히스패닉에게는 도라도라 영어나라에서 영어를 가르친다.[26]
미국 내 스페인어 화자 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스페인계 미국인 때문이라기보다는 현실적으로 미국 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히스패닉, 특히 주로 멕시코를 통해서 올라오는 중앙아메리카 국가 출신 이주민들 때문이다. 미국에서 쓰는 스페인어의 평균은 사실 멕시코 북부 방언과 동일한 방언대에 속한다.
과거 유럽이나 아시아에서 배를 타고 이민 왔던 사람들은 19세기 말에 무슨 인터넷이나 페이스북이 있을리도 없고 본국의 친지들과 단절된 상태에서 생존을 위해 영어를 배워야 했다면, 20세기 중후반부터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걸어들어온 멕시코계 이민자들의 경우 모국에 있는 친척들과 교류가 활발한 이유로 "필사적으로" 영어를 배울 필요까지는 없었다.
이 점은 미국 내 멕시코인들을 상대해보면 알 수 있는데, 영어 단어 철자를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으로 엉터리로 쓰는 경우도 많고 관공서에서 사용하는 문서를 영어로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이 드문 편이다. 이들을 아예 방치하자니 미국 정부 입장에서도 손해고 결국 관공서에서 스페인어 서류를 구비하게 되고 이를 계기로 라티노들이 더 넘어오면서 스페인어 사용 인구가 폭증하게 된 것이다.
미국에서 정치인으로 성공하려 해도 스페인어 소양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인식도 생겼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경우 대선 연설에서 영어와 스페인어 연설을 동시에 했을 정도다. 더군다나 그의 동생인 젭 부시는 대학에서 라틴아메리카학을 전공했고, 아내가 히스패닉이다.
미국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된 히스패닉계 미국인들의 절반 이상이 스페인어와 영어를 섞어 사용하는데, 영어로 말하는데는 능숙해도 서류를 읽고 쓰는 데는 잼병인 사람들이 많다. 이들에게 스페인어로 유세하면 표심을 얻는 데 효과적일 수밖에 없다. 당시 조지 W. 부시가 연임한 이유도 다름아닌 스페인어 구사 능력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미국 선 벨트 및 동부의 뉴욕의 경우 스페인어가 영어 다음으로 공용어 지위를 갖고 있다. 실제로 뉴욕이나 뉴저지주는 어딜 가나 히스패닉들을 흔하게 본다. 이제는 버스 기사 등도 흑인보다 히스패닉이 더 많다.
미국 동부는 영국과 네덜란드, 프랑스가 식민지를 개척했으나 푸에르토리코가 미국-스페인 전쟁 결과 미국의 식민지로 바뀌어 많은 이민자가 유입되었고,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멕시코 출신 이민자도 멕시코의 혼란과 가난을 피해 대거 뉴욕 할렘가에 정착했다.
미국에서 히스패닉이 많은 선 벨트 지역의 경우 스페인어가 통하지 않는 가게는 손님을 반 정도 까먹고 들어간다고 보면 되며, 마트에 가도 스페인어 간판이 많고 보통 관공서 혹은 은행 등지에 가도 스페인어를 하는 사람은 어디나 있다. 경찰관, 공무원, 하다못해 상점의 캐셔도 스페인어는 거의 기본 패시브로 깔고 들어간다.
미국 남부에 속하는 플로리다 주의 대표 도시 마이애미 같은 경우에는 스페인어 사용 인구가 영어 사용 인구보다 높다. 마이애미 광역권으로는 영어 60%, 스페인어 35%로 영어가 우세해 보이지만 실질적 행정구역인 마이애미 시(市)와 마이애미 데이드(miami dade) 구역에서는 스페인어 화자가 70% 정도, 영어는 25% 정도로 사실상 스페인어가 더 많이 쓰인다.
히스패닉들의 제1종교라고 할 수 있는 가톨릭 교회의 경우 미국 어디에서든 스페인어 주일미사가 거행되는 것이 당연할 정도이며, 히스패닉 비율이 높은 지역의 성당에서는 아예 전례언어의 디폴트값이 스페인어고, 미사 시간 안내문에는 영어 미사 시간에 “(English)”라고 별도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 보니 스페인어로도 미국 생활이 가능할 정도이다. #
여담으로 미국에서 쓰이는 스페인어도 스페인과 중남미 각각의 나라에서 쓰이는 스페인어 억양이 다르듯이 꽤 다양한 억양을 가지고 있다. 이는 지역적 특색에서 나온다. 멕시코 국경과 가까운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뉴멕시코와 같은 지역들은 멕시코 억양을 가지고 쿠바와 가까운 플로리다는 쿠바 억양을 가진다. 뉴욕과 뉴저지의 경우는 푸에르토리코 억양이 강하고 메릴랜드와 워싱턴 D.C., 버지니아는 엘살바도르 억양이 강하다. 열거한 지역들 모두 미국에서 스페인어가 많이 쓰이는 지역이다. 시카고의 경우는 지역적 특색이라 할 만한게 없어 다양한 억양의 스페인어가 들린다.
6.2.2. 캐나다
캐나다의 경우, 영어와 프랑스어가 우선이며 스페인어의 중요성이 떨어진다. 애초에 영국계 캐나다인과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주축이 된 국가인데다 멕시코와 멀다보니 스페인어보다 영어, 프랑스어가 우선일 수 밖에 없다. 캐나다의 언어 체계 상 영어와 프랑스어는 영어권에서는 프랑스어가 프랑스어권에서는 영어가 외국어 교육 과목으로 편성되고 추가로 스페인어를 선택하는 구조이다. 최근에 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를 중심으로 히스패닉들이 이민오는 경우가 많고 현지인 역시 스페인과의 교류 등을 이유로 스페인어를 학습하는 경우도 많다.6.3. 남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브라질과 그 외의 가이아나, 수리남이나 아예 프랑스 땅인 프랑스령 기아나 등 몇몇 작은 나라를 제외한 남아메리카 거의 전 지역에서 스페인어가 사용된다.그중 브라질도 주변국이 거의 다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관계로 제1외국어로 지정해놓은 상태이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스페인어를 배워야 하는 법안을 의무화했다. 또한 브라질은 스페인어에 관련된 법도 제정해놓은 상태이다.
브라질은 지리적으로 스페인어권 국가들과 접해 있어서 스페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고 일반적으로도 남아메리카 주변 국가들의 방언을 가르친다.[27] 더구나 브라질의 경우 볼리비아 및 베네수엘라 이민의 영향으로 북부 접경지대인 아크레 등은 아예 스페인어가 대놓고 쓰이기도 한다. 한 예로 볼리비아 국경의 아크레 주 리오블랑코(Rio Blanco)도 브라질 포어 식인 히우브랑쿠 보다는 스페인식인 리오블랑코로 더 많이 읽히는 곳이다. 아크레는 볼리비아와 전쟁을 벌인 브라질이 전리품으로 뺏어 간 땅이며 대부분 아마조니아 밀림인지라 브라질인이 이주를 안해서 볼리비아인들이 계속 살고 있다.[28]
그 외에도 기아나 3국, 즉 영어를 사용하는 가이아나(구 영국령 가이아나),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수리남(구 네덜란드령 기아나),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예 프랑스 땅인 프랑스령 기아나 같이 스페인어가 공용어가 아닌 카리브해 지역의 일부 나라들과 지역들이 더 있지만 이들은 국가 규모가 너무 작아 존재감이 떨어질뿐더러 이 지역도 스페인어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증가 중이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게다가 이들 지역에서도 스페인어를 가르치는 나라들도 많고 앞서 소개된 가이아나, 수리남은 프랑스어는 물론 포르투갈어, 스페인어도 많이 가르치고 있다.
벨리즈는 공용어가 영어이지만, 스페인어 사용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학교에서도 필수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다. 자메이카도 공용어가 영어지만, 21세기 이후부터 스페인과의 교류가 많아지면서 주요 외국어로 지정돼 스페인어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베네수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워서 벨리즈와 마찬가지로 스페인어를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있고 베네수엘라인들이 증가하고 있어서 2020년부터는 스페인어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공용어로도 추가될 예정이다. 재밌게도 이 나라의 수도 이름이 포트 오브 스페인, 즉 스페인의 항구다. 아이티도 취업을 위해 스페인어를 주요 외국어로 지정해서 가르치고 있다. 아이티는 프랑스어를 쓰는 나라지만 거지소굴이라는 오명이 있을 정도로 워낙 빌어먹을 게 없는 아주 형편없는 나라인지라 할 수 없이 스페인어를 익혀 이웃 도미니카 공화국이나 좀 멀리 멕시코 등 그래도 살 만한 스페인어권 나라들과 교류해야 한다.
이 지역, 특히 스페인어가 모어인 나라 사람들은 영어 구사력과 상관없이 스페인어부터 하고 본다. 이는 동양인한테도 가차없어서 무조건 스페인어로 말한다. 심지어 스페인어를 못 한다고 해도 본인이 할 줄 아는 언어가 스페인어면 그냥 스페인어로 반복하는 경우도 많다. 중국인들이 자기네 말만 쓰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데, 사실 중남미의 스페인어권 국가 사람들이 중국인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다. 적어도 중국인들은 영어를 조금이라도 할 줄 알면 백인/흑인들에게 다짜고짜 중국어를 시전하진 않는다.
6.4.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시아에서는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였던 필리핀의 공식 보조언어이자 지역 공식어로 정해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차바카노어 같은 스페인어 크레올이 쓰이고 있다. 차바카노어라는 크리올어가 민다나오 섬 삼보앙가를 중심으로 일부 쓰이고 있으며 제2외국어로서 인기는 늘어나고 있다. 세부의 세부아노어도 스페인어의 영향이 많은 언어다.아직까지 스페인어가 잘 쓰이는 곳은 민다나오와 세부 정도인데 이 중 특히 세부에서 잘 쓰인다. 마닐라는 미국 점령 후 미국물이 들어서 스페인어가 거의 쓰이지 않는 것과 달리 세부에는 스페인 혈통의 필리핀인도 많이 남고 해서 오히려 마닐라에 비해 스페인어가 널리 쓰이며 영어 발음도 마닐라보다 좋아서 미국식 영어를 아예 그대로 쓴다.
필리핀은 역사적인 이유로 스페인의 지배를 받아서 가톨릭, 지방 언어, 인명, 지명 등에 스페인과 스페인어의 영향이 많이 남아 있다. 스페인에서 독립을 선언하여 세워진 필리핀 제1공화국의 헌법도 스페인어로 쓰여진 것이었다.
그러나 필리핀은 다른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와는 달리 스페인어가 공용어가 아니며 스페인어를 쓰는 사람도 인구에 비해 많지 않다. 특히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하여 미국이 필리핀을 지배하기 시작한 후 공용어의 역할은 영어로 넘어갔고 스페인어로 나왔던 수많은 공문서, 신문 등은 영어로 대체되었다.
스페인어 사용자들은 이에 반발해 스페인어 사용 대학을 세우기도 하는 등 스페인어 보존 운동을 펼쳤지만, 미국이 스페인 지배 시절을 암흑기로 치부하도록 교육하고, 더불어 필리핀 민족주의자들이 필리핀 토착 언어를 밀어주기 시작하면서 필리핀의 스페인어는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조치들은 결국 필리핀 내 스페인어 사용자들이 스페인과 멕시코로 이주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그래서 오늘날 멕시코의 캘리포니아 반도는 필리핀 이주민이 많이 산다.
1946년에 독립한 필리핀 공화국은 영어, 타갈로그어,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지정했지만 이 시점에서 이미 스페인어 공용어 지정은 명목적인 것에 불과했고 결국 1987년에 민주화와 더불어 새 헌법이 제정되면서 스페인어는 공용어의 지위를 잃어버렸는데 타갈로그어를 표준 타갈로그어, 즉 필리핀어로서 공용어로 지정한 것도 이 때이며 이전에는 그냥 타갈로그어라고 불렸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필리핀 헌법에서 스페인어는 "자발적이고 선택적인 기조에서(voluntary and optional basis)" 장려되는 언어이며 스페인 본국과 칠레 등 남아메리카 국가의 지원으로 제2외국어로서 스페인어를 배우는 필리핀인들은 늘고 있고 1990년대 초에 세부 등에 사는 몇 천 명에 불과했던 필리핀 내 스페인어 사용자가 21세기에 들어서는 3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났으며 아시아에서는 동티모르와 함께 단 둘이 라틴 연합에 가입했다. 2008년에는 아예 스페인 한림원과 협정을 맺어서 2008년부터는 스페인어가 필리핀에서 주요 외국어로 다시 지정되었다.
필리핀에서 쓰이는 스페인어는 라틴아메리카식 스페인어, 특히 멕시코식 스페인어와 비슷한 점이 많으며 필리핀에서도 한림원이 존재한다.
그리고 필리핀은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을 때 타갈로그어를 비롯한 필리핀 내 여러 언어들에도 영향을 많이 주면서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등의 필리핀 내의 대부분의 언어들은 스페인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다. 필리핀 언어들이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으면서 본래 스페인어의 뜻에서 완전히 달라지게 된 어휘도 있는 편이다.
일본은 역사적으로 서양 국가들과 교류한 경우가 많은 편이라서 생각보다 스페인어가 친숙해서 스페인어 교육이 비교적 활발한 편이다. 게다가 일본 내 스페인어 사용자들은 브라질에서 일본계 브라질인들이 많이 오는 것처럼 라틴아메리카에서 오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그래서 일본에서 가르치는 스페인어는 한국이 스페인 본토쪽의 표현으로 가르치는 것에 비해 멕시코식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많고 발음도 멕시코 쪽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반대로 한국은 유럽과 교류도 좀 있는지라 스페인 본국의 한림원을 따르고 있다.
중국이 라틴아메리카 국가들과 교류가 많은 편이라서 스페인어 교육이 역시 활발한 편이며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멕시코식 스페인어로 가르치는 경우가 많고 발음도 멕시코 쪽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홍콩은 한국보다 스페인어 교육이 활발한 편이다. 홍콩에 거주하는 스페인인들도 꽤 많고 이들 대부분은 금융업계에 종사하는 편이며 그 다음으로는 캐나다를 거쳐오거나 미국 유학파 출신의 멕시코인들이 많다. 캐세이패시픽항공은 마드리드, 바르셀로나에 직항을 취항 중이며 뉴욕, 로스앤젤레스 경유로 라틴아메리카 각국 행 비행편을 띄운다. 보통 로스앤젤레스로 들어오고 뉴욕에서 나가는 방식이다. 그래서 홍콩의 스페인어는 영국 식민지 때는 같은 유럽 국가인 스페인 한림원을 따르다가 1997년 중국에 홍콩 특별행정구로 반환되자 중국 정부의 라틴아메리카 중시 정책으로 멕시코식 스페인어를 가르치는 것으로 바뀌었다. 현재도 오래된 스페인어 교재는 유럽식이지만 최근에 나오는 교재는 미국에서 직접 수입한 멕시코식이다. 마카오는 홍콩과 달리 포르투갈이라는 같은 이베리아 반도의 통치권에 있었기에 유럽식 스페인어를 주로 가르친다.
스페인과 그다지 인연이 없어 보이는 오세아니아 쪽은 칠레 영토인 이스터 섬에서 스페인어가 쓰이고 있다.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는 과거에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다가 이후 미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스페인어 사용은 현저하게 줄어들었지만 차모로어에는 스페인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은 편이고 스페인어의 영향이 아직도 남아 있다. 차모로어 자체가 수백년 동안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사실상 스페인어와 현지 토착언어의 크레올처럼 되었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스페인 혈통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일부 남아 있다. 팔라우도 예전에 스페인의 영토였던 적이 있어서 팔라우어도 스페인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은 편이다.
이들 모두 인명이나 지명 등이 스페인식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로메로, 카마초, 곤잘레스, 모레노, 사모라노, 히메네스, 페르난데스 등 스페인 성씨들을 사용한다.
북한에서 유럽 언어 중에서는 대우가 높은 편이다. 조선중앙통신에서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와 함께 스페인어를 제공하고 있다. 북한-쿠바 관계의 특수성이나 스페인 내 종북주의 세력이 있음( 알레한드로 카오 데 베노스) 등을 고려하면 납득이 된다.
6.5. 그 외
자세한 내용은 라틴 팝 문서 참고하십시오.유튜브에서도 라틴 팝을 기반으로 한 스페인어 노래들은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어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네오지오는 다수의 게임이 언어 기본설정에서 스페인어를 지원했다. 그래서 KOF 시리즈가 중남미에서도 제법 흥행한 게임이 되었다.
7. 다른 언어와의 관계
이탈리아어파에 속한 언어가 그렇듯, 스페인어 역시 인접 지역의 언어와 유사성이 크다. 포르투갈어 화자와 스페인어 화자가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례인데, 이외의 언어 화자와도 말이 어느 정도 통한다. #1 #2 또한, 로망스어 계열 중에서는 그나마 쉬운 언어에 속하며, 이것 때문에 로망스어 계열을 배우고자 하면 스페인어를 먼저 배운 후 다른 언어로 들어가는 게 좋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29]들어가기 앞서, 스페인어는 현재 크게 유럽 스페인어와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로 나눠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발음 및 철자법등 미묘한 차이 때문에 유럽 스페인어 화자와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 화자간에 의사소통은 100% 통한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유럽 포르투갈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사이에서도 적용되는 관계다.
다만 문화 컨텐츠가 스페인어권이 더 널리 퍼져 있는 것(포르투갈<스페인, 브라질<중남미 스페인어권)도 있고, 포르투갈어가 발음이나 문법적으로 더 복잡하다고 느껴지는 측면이 있어 보통 포르투갈어 화자가 스페인어에 대해 이해하는 정도보다 스페인어 화자가 포르투갈어에 대해 이해하는 정도가 더 낮다고 한다. 비슷한 이유로 이탈리아어 화자가 스페인어를 이해할 확률보다 스페인어 화자가 이탈리아어를 이해할 확률이 더 높은데, 이는 스페인어에 있는 표현들중에서 이탈리아어 화자 기준에서는 더 이상 쓰지 않는 고어(古語)등을 쓰기 때문에 이탈리아어 화자는 이상함을 느끼면서도 스페인어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말을 이해한다. 그러나 반대로 스페인어 화자는 스페인어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즉 기존 불가 라틴어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들이나 표현들을 쓰는 이탈리아어를 이해하는데 조금 어려움을 겪는다.
어휘의 유사성만 본다면 포르투갈어가 가장 스페인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이 사례가 가장 유명한 것이다. 실제로 이베리아 로망스어라는 분류가 만들어질 정도. 카탈루냐 지방의 카탈루냐어는 계통적으로 프랑스어와 같은 갈리아 로망스어에 속하지만, 프랑스어보다는 스페인어와 소통이 더 원활하다.[30][31]포르투갈어와의 차이점은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의 차이 문서를 참조하면 좋다.
브라질에 여행을 간 스페인어권 화자가 정작 스페인어를 잘 알아듣는 사람도 별로 없고, 그렇다고 영어가 잘 통하는 것도 아니라서 헤맸다는 이야기도 없진 않은데, 이는 진짜 스페인어를 몰라서 그렇다기보다는 못 알아듣는 척을 하거나 그냥 불친절해서 그럴 수도 있다. 브라질은 여러 가지 정치적 문제로 인해 남아메리카의 스페인어권인 이웃 나라들과 사이가 좋지 않으며, 국민적 감정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면 유럽식으로 말할 경우 진짜 못 알아듣기는 한다. 사실 애초 브라질 포르투갈어도 포르투갈인과 생각보다 소통이 잘 안 되며, 브라질에서 생각하는 스페인어는 스페인에서도 못 알아먹는 아르헨티나나 우루과이 식이다. 그래서 한국에서 스페인어를 배우면 브라질은커녕 남아메리카 남단에선 잘 안 통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상한 게 아니다. 스페인 본토 사람들도 똑같이 겪는 일이다.
브라질인에게 직접 물어본 바에 의하면 몇몇 차이점이 있긴 하지만[32] 일상 스페인어의 70%는 알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스페인어를 외국어로서 배우는 열의는 딱히 별로 없다고 한다. 브라질인 입장에서는 국경도 멀고 딱히 배우지 않고도 스페인어를 이해할 수 있다나... 근데 이건 반대쪽 스페인어권 국가들도 마찬가지라 한다.[33]
이런 이유로 포르투갈이나 브라질 출신의 축구선수가 스페인 등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면 대부분 언어의 차이에 비교적 금방 적응하는 편이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다니 아우베스, 호나우지뉴 등 포르투갈어가 모어인 선수들도 대부분 스페인어로 인터뷰를 유창하게 소화해낸다. 스페인 출신이나 스페인어 사용국가 출신 감독들이 브라질 리그에 가면 쌩으로 스페인어를 쓰는데 따라오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LA 다저스의 토미 라소다 감독도 스페인어를 배운 적 없는 대신 본인이 이탈리아계 미국인이라 쌩으로 이탈리아어를 쓰며 스페인어 쓰는 나라 출신 선수들을 지도했을 정도로 로망스어군은 서로 엇비슷하다.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그리고 포르투갈어는 상호이해력이 50%도 안 되는 중국 방언들보다 유사성이 매우 높으며 사실상 전부 불가타 라틴어의 방언이라고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포르투갈어와는 철자상 차이가 있지만 많은 어휘와 구문이 공통된다. 발음이나 표현 등이 조금 다른, 말 그대로 조금 심한 방언 정도의 차이다.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의 차이 항목을 참조. 이 정도면 중국어의 7개 방언이나 아랍어의 구어체 방언들보다 차이가 적다. 얘네는 말이 방언이지 거의 외국어로 취급할 정도로 차이가 심하다.
그리고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가 매우 유사하다 보니 서로 간에도 영향을 받는 경우도 많고 심지어는 브라질- 우루과이 지역에서는 포르투뇰이라는 혼합언어가 생겨나기도 한다.
주변 언어들과 스페인어의 어휘적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포르투갈어 | 89% |
카탈루냐어[34] | 85% |
이탈리아어 | 82% |
사르데냐어 | 76% |
프랑스어 | 75% |
라딘어[35] | 74% |
루마니아어 | 71% |
한편 포르투갈어보다는 이탈리아어와 더 통한다는 의견도 있는데, 이는 개인차가 있는 듯하다. 정확히는 불가타 라틴의 고향인 이탈리아의 불가타 라틴어(이탈리아어) 화자들이 스페인어에서 쓰이지만 더 이상 이탈리아어에서 쓰이지 않는 단어들이나 어휘들을 더 잘 알고 있으며 방언들마다 발음차가 큰 이탈리아에서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간의 발음이나 철자법 차이는 대충 예상범위 내라 이탈리아어 화자의 스페인어 이해도가 스페인어 화자의 이탈리아어 이해도보다 약간 더 높다. 다만 불가타 라틴어에서 의미가 너무 많이 변형되어 뜻이 완전히 달라진 가짜 동족어들이 종종 있기 때문에 상호 이해력이 100% 된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대표적인 사례로 Burro가 있다. 스페인어/포르투갈어에서는 당나귀. 이탈리아어에서는 버터를 뜻한다. 카를로스 테베스는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스페인어가 모어인데, 유벤투스로 이적했을 때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는 선수들과 소통은 어느 정도 가능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탈리아계 미국인인 토미 라소다 LA 다저스 전 감독은 스페인어를 구사할 줄 몰랐지만 멕시코, 도미니카 공화국 등지에서 이적해온 선수들에게 이탈리아어로 주로 소통했다고 한다.
실제로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인들이 자신의 언어인 라틴어를 가지고 퍼져 나갔고, 이후 로마 제국이 망하면서 지역별 방언의 차이가 커져 서로 다른 언어로 규정되었는데 언어학에서는 이를 로망스어군으로 규정하며 현재의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가 그 하위 언어의 일부이다. 오어, 민남어, 광동어처럼 중국어의 경우 표준 중국어와 전혀 다른 말도 중국어라고 표기하고, 아랍어도 표준 아랍어인 푸스하와 푸스하와 매우 이질적인 이집트 방언, 수단 방언, 예멘-푼트 방언, 하사니아 방언, 마그레브 방언, 리비아 방언 등도 아랍어라고 하는 것에 비해, 유럽 로망스어군의 언어는 서로 유사성이 높지만 다른 언어로 분리한다.
대강 스페인어에서 한국어로 치면 제주도 방언 정도의 차이가 있는 언어를 포르투갈어로 보면 되는데 실제로 스페인인들은 포르투갈어 사용자들을 서해안 사투리 쓰는 사람 정도로 인식한다. 간단히 말해 방언이 표준화'되면 별개의 언어가 되는 것인데, 이 표준어와 국경, 문학이나 문화 등의 요인으로 말미암아 각 언어들 사이의 차이점은 갈수록 커지게 마련이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와 스페인어에서의 'r' 발음 차이만 봐도 알 수 있다. 물론 프랑스어의 경우에도 지역에 따라 'r' 발음이 차이나서 남부 프로방스는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와 얼추 비슷해진다.
이와 같이 스페인인, 포르투갈인, 이탈리아인은 서로 회화는 간단한 수준까지는 쉽게 이해하고, 상호 언어들로 쓰여진 글들에 대한 독해력도 매우 높은 편이다.[36]
한국에서는 프랑스어학과 개설대학이 많고 스페인어학과도 적지 않은 수준으로 있다. 반면 포르투갈어와 이탈리아어는 한국에서는 매우 희귀한 편에 속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배우기 쉽지 않은데, 특히 포르투갈어과가 개설된 대학교는 한국외대, 부산외대, 단국대밖에 없다. 그래서 두 언어를 스페인어를 통해 배워도 된다. 이탈리아어는 책이 일부 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포르투갈어보다는 상황이 나은 상황이다. 성악을 하게 되면 거의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기도 하고... 근데 포르투갈어는 브라질 쪽이 널리 알려져서 브라질어로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 포르투갈어와 이탈리아어를 배우고 싶다면 스페인어를 먼저 배운 뒤 접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언어적 유사성 때문에 오히려 언어멀미 현상을 유발시켜 이도 저도 아닌 피진과 같이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스페인어에서 갈라진 언어 중에 라디노어가 존재한다. 라디노어는 중세 스페인어의 특징들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8. 지역별 차이
스페인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각 지역별, 각 나라별 차이가 있다. 그리고 유럽의 스페인어와 미국, 라틴아메리카 등 신대륙의 스페인어 안에서도 사투리 차이가 있다.영어도 나라마다 영국식으로 가르치는 나라, 미국식으로 가르치는 나라가 다르듯, 각 국가의 표준 스페인어도 유럽식과 아메리카식으로 나눠져 있다. 각 국가의 표준 스페인어가 각각 다르다 보니 한림원도 스페인 한림원, 라틴아메리카 각 국가들의 한림원으로 나눠져 있고 심지어는 필리핀에서도 한림원이 존재해 있다.
스페인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국가들은 스페인 본토식을 선택하거나 멕시코 식을 선택해서 가르친다. 한국이나 유럽 연합, 영국, 러시아에서 배우는 스페인어는 대체로 스페인 본토 표준을 따른다. 그런데 한국에선 부산외대가 예외적으로 멕시코 및 남미식으로 가르친다. 반면 중국[37], 대만, 홍콩과 일본, 미국이나 캐나다, 브라질에서 배우는 스페인어는 멕시코식 스페인어 표준을 따르는 편이다.
언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정답이야 없겠지만, 미국에 이민 정착하는데 편의를 더할 목적이라면 멕시코식 스페인어를,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에서 출장을 가는 경우에는 차라리 스페인 본토식 스페인어를 배우는 것이 낫다.[38] 출장 가서 영업상 만나게 되는 라틴아메리카 상류층들은 자신들이 미국인과 스페인 백인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무언가라는 사고방식이 있고, 양층 언어 현상 때문에 이들도 은근히 스페인 본토식 스페인어를 더 세련되고 우아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스페인과 중남미의 스페인어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보니, 2010년 11월 스페인 한림원에서 ch와 ll, q를 포함한 발음기호와 강세를 표시하는 부분을 없애는 등 스페인어 개정을 하자 멕시코를 중심으로 한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이 "'제국주의적인 발상"', '"영국에서 영어를 바꾸면 미국도 따라야 하는 거냐"'라며 반발한 바 있다. 기사.
8.1. 스페인 본토
스페인의 전국 공용어는 흔히 스페인어라고 하는 카스티야어이다. 그러나 스페인의 각 자치 지방(comunidad autónoma)은 전국 공용어인 카스티야어와 함께 다른 언어를 지방 단위 공용어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지방이 그 지역의 언어를 지역 단위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다.스페인은 연합왕국에서 시작한 만큼 유럽 웬만한 나라들 이상으로 지역색이 강하고 언어 또한 서로 다르다. 특히 스페인 동부[39]에서 사용하는 카탈루냐어가 대표적이다. 바르셀로나 등 카탈루냐 지방의 공항 등의 기반시설 안내판에도 카탈루냐어(노란색 강조, 큰 글씨): 영어(흰색, 작은 글씨): 카스티야어(노란색 강조, 큰 이탤릭체 글씨) 순서대로 쓰여있어 여행객들을 혼란하게 만들기 일쑤다.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의 유사도가 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의 유사도보다 크며 스페인 국내 언어의 차이는 라틴아메리카 각 국가의 국가간 스페인어 차이보다 심하다.
- el castellano(카스티야어): 유일한 전국 단위 공용어. 마드리드가 아닌 살라망카(Salamanca) 지역의 언어가 기반이다.
- o galego/el gallego( 갈리시아어): 갈리시아 자치 지방의 공용어. 포르투갈어의 방언으로도 취급될 정도로 매우 비슷하다. 중세까지만 해도 한 언어였다.
- euskara/el vasco( 바스크어): 빌바오를 비롯한 바스크 자치 지방, 나바라 자치 지방 바스크어 사용 지역의 공용어. 스페인 내의 나머지 언어들은 모두 로망스어군으로 같은 계통의 언어이나 바스크어는 고유럽 제어[40]라고 임시로 분류해 놓을 뿐 정확한 계통이 밝혀지지 않은 고립어다. 때문에 언어의 섬이라고도 불린다. 바스크어의 경우 /k/ 발음을 다른 스페인의 언어들과 달리 c/q가 아닌 k로 표기한다.
- el català/el catalán( 카탈루냐어): 카탈루냐 자치 지방, 발렌시아 자치 지방, 발레아레스 제도 자치 지방의 공용어. 사실 카탈루냐어가 국가 단위 공용어인 나라로 유일하게 안도라가 있지만 안도라가 워낙에 작은 관계로 카탈루냐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곳은 스페인이다. 발렌시아에서는 카탈루냐 지방과는 약간 다른 카탈루냐어를 쓰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아닌 '발렌시아어'가 공용어로 제정되어 있으며, 맞춤법도 카탈루냐의 카탈루냐어와는 조금 다르다.
그리고 스페인 본토에서 쓰이는 스페인어는 중남미에서 쓰이는 스페인어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각 지방마다 카탈루냐어, 바스크어의 영향을 받아서 일부 표기가 다른 경우도 있다[41][42].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에서도 스페인 본토와는 다른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카나리아 제도에선 관체어가 스페인어에도 영향을 줘서 카나리아 제도 스페인어에는 관체어의 영향이 일부 남아 있다.[43] 스페인어는 EU에서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EU의 스페인어는 스페인 본토 스페인어에 가까운 편이고 스페인이 EU회원국에 속해 있어서 표준도 스페인쪽 표준을 따르고 있다.
비록 공식적으로 인정된 것은 아니지만, 학술계나 언론계에서는 살라망카(Salamanca) 방언을 표준으로 간주한다. 포르투갈의 코임브라와 마찬가지로 유서 깊은 대학이 위치해 있으며, 예로부터 학술의 도시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흥미롭다. 특히 살라망카 대학은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와 더불어서 역사가 깊은 대학교이다. 역사적, 지리적으로 '카스티야'라고 불리는 지방들이 있는데 마드리드를 중심으로 북서쪽의 카스티야 이 레온(Castilla y León)주(州)와 남동부의 카스티야-라 만차(Castilla-La Mancha) 주다. 이 가운데 살라망카는 북서쪽의 카스티야 이 레온 주에 속하며, 마드리드에서 약 220km 서쪽에 위치한다.
다른 이름 붙은 지역 언어들 빼고 카스티야어만으로도 방언 차이가 크다. 같은 안달루시아 지방만 해도 내륙과 해안가의 차이가 존재하니, 스페인 전역을 놓고 보면 그 차이가 다양하고 크다. 포르투갈어 역시 유럽식 발음의 표준이 수도 리스본이 아니라 코임브라 지방이듯, 스페인 역시 마드리드 방언이 표준이 아니다. 마드리드 방언은 스페인 내에서도 표준 발음과의 차이가 심한 축에 속한다. 애초 마드리드는 원래 카스티야의 일개 지역에 불과했다.[44]
마드리드를 포함한 라 만차 지방도 카스티야에 속하지만 이 동네 사람들은 표준과는 발음 차이가 상당히 난다. 특히 라 만차의 동쪽 끝에 위치한 쿠엥카(Cuenca)라는 지방의 사투리는 같은 카스티야 지방 타 도시 사람들도 알아듣는 데 애를 먹는다. 차라리 안달루시아 내륙 지방 방언이 더 알아듣기 쉬울 정도다.
안달루시아 내륙[45]의 방언은 라틴아메리카식 스페인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친숙하게 느껴질 정도로 라틴아메리카 스페인어와 비슷하다. c와 z를 s와 동일하게 발음하는 공통점 때문이다. 반대로 카스티야 사람들에게 이 지역 사람들 방언을 들려주면 고개를 갸우뚱하며 '" 콜롬비아…? 아니면 베네수엘라…?"' 하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상이하여 안달루시아 토박이가 아니면 그만큼 구분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말라가 방언은 제주도 사투리에 비견될 만큼 알아듣기 힘들기로 악명이 자자하다. 가장 특이한 점은 꼽자면, p, t, k를 쌍자음이 아닌 영어와 똑같은 'ㅍ, ㅌ, ㅋ'로 발음한다는 점, 혀 떠는 r 발음을 못한다는 점, 그리고 c, s, z를 몽땅 번데기(θ) 발음해 버린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스페인어는 그 특유의 미칠 듯한 스피드로 유명하기도 한데[46], 남부 안달루시아 지역에서는 그 중에서도 매우 빨리 말하는 성향이 있다. 거의 랩을 하는 수준이다. 이는 스페인 내 다른 지역 사람들도 인정하는 점으로, 인터넷에서 간단한 검색으로도 이런 사례가 수두룩하게 나온다.물론 외국인이 듣기에는 안달루시아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다 빠르게 들린다.[47] 특히 안달루시아의 스페인어는 음절 중간의 들어가는 d와 음절 끝의 s를 거의 발음하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이 더욱 도드라지는 편이다. 또한 s와 t가 같이 오면 ts발음이 되는 경향이 있다[Esta를]. 이 특징 뿐만 아니라 그냥 모든 단어의 뒷부분을 발음하지 않는 경향이 있고, 몇개의 단어를 한 번에 합쳐서 말하는 경우도 있어서[49] 스페인어를 어느정도 구사할 줄 아는 외국인이라도 처음 안달루시아 사투리를 들으면 다른 나라 말처럼 들린다.
발음에서는 ll는 중남미와 마찬가지로 /ʝ(이)/, /ʒ(지)/ 발음을 지역, 개개인에 따라 혼용해 쓴다. C, Z는 번데기(θ) 발음이 표준으로 되어 있지만, 안달루시아,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중남미와 마찬가지로 영어의 s와 비슷한 발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r발음의 경우에도 스페인 내에서도 차이가 있는 편이다. #
8.2. 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과 그 외 몇몇 작은 나라들을 빼면 대부분은 스페인어를 쓰고 있다. 물론 여기서 라틴아메리카는 스페인/포르투갈의 지배를 오랫동안 받은 아메리카 대륙의 지역을 말한다.라틴아메리카에서는 스페인어를 이를 때 카스티야어(castellano)란 표기가 주로 쓰이거나 스페인어(español)란 단어와 혼용되는 곳이 많다. 중남미와 이베리아 반도, 그리고 기타 지역을 모두 아우르기 위해 이스파니코(hispánico)라 칭할 때도 있다.
큰 틀에서는 같은 언어지만 16세기부터 전래가 된 언어 특성상 스페인 본토와 달라진 게 여럿 있다. 대서양을 기준으로 유럽과 떨어져 있기에 자연히 차이가 생겼다.
가장 큰 특성으로는 너희들을 지칭하는 2인칭 복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Vosotros/as 표현이 있다고 가르치기는 하지만 실제로 거의 사용하지 않고 의미상 2인칭 복수 존칭, 문법적으로는 3인칭 복수인 Ustedes에 2인칭 복수 뜻까지 포함시킨다.[50]
거기에다 Vos용법이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등 리오데라플라타 방언에서는 흔하다[51]. 특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에서 vos형태가 자주 쓰인다. 나머지 국가들은 tú가 많이 쓰이는 편. 그런데 vos형태가 쓰인다고 해서 tú표현이 안 쓰이는 것은 아니고 tú의 동사변화형태도 자주 쓰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vos형태와 tú형태를 같이 쓰는 경우도 흔하다. 칠레에선 vos형태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와 달리 좀 다르게 바뀐다.
스페인의 지방 사투리에서 영향을 받았거나 스페인의 다른 지방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영향으로도 스페인의 다른 지방에서도 볼 수 있는 표현이나 어휘가 중남미에서도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일부 단어나 표현, 발음이 스페인 본토와 다른 경우도 있다. 거기에다 같은 단어라도 스페인 본토에서 쓰이는 뜻과 중남미에서 쓰이는 뜻이 다른 경우도 있다.
교통수단을 타다라는 뜻의 tomar
문법적인 면에서는 스페인 본토에서는 중성목적대명사를 쓸 때 le를 자주 쓰지만, 중남미에서는 lo를 자주 쓰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중남미에서는 '방금 ~ 했다'라는 뜻을 acabar de보다는 recién + 과거형의 형태로 자주 쓴다. 그리고 동사의 현재형이 중남미에서는 빈번하게 미래형으로도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본토 스페인어 쪽이 조금 더 라틴어 어원에 가까운, 다르게 말하면 보수적인 표현들이 남아있는 경우가 꽤 있는데, 예를 들면 컴퓨터의 경우 스페인 본토는 el ordenador라고 하지만 멕시코를 위시한 아메리카 지역들은 la computadora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위키백과 스페인어판도 computadora가 표제어로 되어 있다.
비디오의 경우에는 스페인 본토에서 vídeo라고 표기하는 반면, 중남미에서는 video라고 쓰고 있고 위키백과 스페인어판에도 video가 표제어로 되어 있다. '강낭콩'을 의미하는 단어도 fríjol, frijol로 되어 있지만, 중남미쪽은 frijol쪽으로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를 뜻하는 aquí의 경우 스페인 본토에서 쓰이지만, 중남미에서는 acá라는 표현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aquí의 사용비중이 높거나 둘다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스페인 본토에서 ascensor라고 하지만, 중남미에서는 elevador라고 한다. '화나다'라는 표현은 스페인 본토에서 enfadarse라고 하지만, 중남미에서는 enojarse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복숭아'라는 표현을 스페인 본토에서 melocotón이라고 하는 반면, 중남미에서는 durazno라고 한다. '안경'을 스페인 본토에서는 gafas라고 하는 반면, 중남미에서는 lentes라고 한다. 휴대폰은 스페인 본토에서 teléfono móvil이라고 하는 반면, 중남미에서는 teléfono celular라는 표현이 자주 쓰인다.[53] '스페인어'를 뜻하는 español와 castellano도 중남미에선 castellano를 쓰는 경향이 강하다.
'운전하다'라는 표현은 스페인 본토에서 conducir라고 자주 쓰지만, 중남미에서는 manejar라고 자주 사용하고, '위치하다'라는 뜻을 가진 표현은 ubicar/ubicarse쪽이 중남미에서 자주 쓰인다. '기억하다'라는 뜻을 가진 recordar/recordarse는 중남미쪽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지금 곧'이란 뜻을 가진 ahorita는 중남미에서 사용빈도가 높다. '예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스페인에서 bonito라고 하지만 중남미에서는 lindo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주스'를 뜻하는 단어도 스페인 본토에서는 zumo라고 하지만, 중남미에선 jugo라고 쓰는 경향이 강하다. '티켓'을 스페인 본토에서는 billete라고 하지만, 중남미에서는 boleto라고 한다.
그런데 라틴아메리카 지역도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국가에 따라 사용하는 단어에서 각 나라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고 스페인 정복 이전에 사용되었던 언어들에서 차용한 말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54]. 그리고 미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편이라서 영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도 쓰이고 있다. 그리고 발음면에서는 스페인 본토와 다른 경우도 있다. ll는 중남미에선/ʝ(이)/ /ʒ(지)/발음을 지역에따라 혼용해 쓴다. 예전에는 스페인 본토에서 ll는 /ʎ/ 발음으로 발음했지만 현재는 라틴아메리카나 미국처럼 /ʝ(이)/발음과 /ʒ(지)/발음을 지역이나 개인에 따라 혼용해서 사용한다.
그러다 보니 ll는 스페인 본토와 중남미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다. 단지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서는 ll를 이탈리아어의 영향 때문에 영어의 sh나 이탈리아어 sci와 거의 흡사한 /ʃ/ 발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흔할 뿐이다. 또한 스페인 본토에서 더이상 /ʎ/ 발음을 쓰지않게 되면서 LL과 Y는 사실상 철자만 다를 뿐 같은 발음을 내는 알파벳이 되었다.
c, z는 영어의 s와 비슷한 발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푸에르토리코, 쿠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 공화국을 위시한 카리브해 지역의 스페인어에서는 발음할 때 단어 중간/끝의 자음이 생략되거나 약화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55]
단어 사용, 발음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표현에서는 큰 차이가 없어서 중남미 쪽 스페인어와 스페인 본토 쪽 스페인어는 스페인 본토의 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보다 가깝고 대화도 많이 통한다. 당장 스페인의 라 리가에서 활동하는 남미 출신의 축구선수들도 말이 통한다는 점 때문인지 구단에서 남미 출신의 선수들을 많이 선호하기도 하고, 남미 선수들 또한 스페인으로 진출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8.2.1. 멕시코
멕시코는 스페인어권 국가 중에서는 스페인어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나라로 1억 이상의 스페인어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다.예전에는 아스텍 제국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나와틀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스페인어에도 영향을 줬고, 지금도 멕시코 쪽 스페인어에서는 나와틀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자주 쓰이고 있고 특히 농업 관련 어휘, 옥수수 관련 어휘에서는 나와틀어의 영향이 매우 깊은 편이다. 한편 멕시코의 유카탄 지역에서는 토착민인 마야인의 영향을 받아서 이 동네 스페인어도 마야어에 영향을 받았다.
멕시코 스페인어에서는 본토 스페인어에 비해 acá(여기)의 사용 빈도가 높고, tomar의 사용 빈도가 높다. 그리고 전화에서 쓰이는 '여보세요'를 스페인에서 Digame라고 하는 것에 비해 멕시코에서는 Bueno, Mandé라고 쓰기도 한다. 그리고 tortilla( 토르티야)란 음식이 스페인 본토에서 오믈렛을 의미하지만, 멕시코에서는 빵의 일종을 의미한다. '토마토'는 멕시코에서 jitomate라고 한다. '빨대'는 pajilla라고 할때도 있지만, 멕시코에선 popote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특이하게도 '자동차'를 의미하는 단어를 carro라고 쓰지만, 스페인 본토에서 쓰이는 coche도 쓰인다고 한다. 운전하다는 멕시코에서 manejar를 쓰지만, 스페인에서는 conducir이다. 멕시코에서는 '멋쟁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catrín이 쓰인다고 하고 식물인 '풀'을 멕시코에서는 hierba외에도 zacate라고 한다. 칠면조도 멕시코에선 pavo외에 guajolote norteño라고 쓰고 있다.
문법적으로 동사변화에 있어선 vosotros의 형태를 잘 쓰지 않는다. 다만 멕시코 남부에 위치한 치아파스 지역에선 vos형태가 쓰인다. 이 지역이 과거 마야 땅이며 현재도 마야인이 인구 다수이기 때문에 마야어가 반영된 것. 그리고 '~동안'이란 뜻의 표현을 스페인 본토에서 durante라고 쓰지만, 멕시코에서는 por라고 자주 쓰는 경향이 있다.
발음에서 멕시코 스페인어는 ll발음은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의 타 스페인어 사용국가와 비슷한 경우가 많고, ll발음이/ʝ(이)/, /ʒ(지)/ 발음을 같이 쓰는 경우도 자주 있지만, /ʒ(지)/ 발음이 더 흔하다.
어휘 면에서는 미국과 가장 가깝다 보니 영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멕시코 스페인어에서 많이 쓰이고 있고 영어 어휘를 그대로 쓰기도 한다. 그리고 나와틀어에서 유래된 어휘 외에도 멕시코에서만 생겨난 어휘도 많이 쓰이고 있다.
멕시코 스페인어는 필리핀이나 괌 등 태평양 쪽에서 쓰이는 지역 언어에도 영향을 주기도 했다. 그 이유는 과거 필리핀 부왕령에 필리핀과 괌,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등이 속했고 이들 모두는 스페인과 거리가 터무니없이 멀어[56] 멕시코(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에서 간접 통치했기 때문이다.
8.2.2. 미국
미국은 세계에서 5번째로 스페인어 사용자가 많은 국가이다. 플로리다와 앨라배마, 미시시피 멕시코만 연안은 스페인령 파스쿠아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쪽은 과거 멕시코 땅이었으며 스페인령 플로리다는 미국이 구매했고, 멕시코 땅인 캘리포니아와 같은 몇몇 지역 들은 미멕전쟁에서 이긴 미국이 패전국 멕시코에 매각을 강요해 싼 값에 사갔다. 그리고 그땅에 원래 살던 스페인계 미국인이나 멕시코계 미국인들은 이들 모두가 대부분 미개지라 백인 개척자들이 주로 미개지로 가고, 자신들은 해안가나 큰 강 유역 등 원래 살던데에 계속 사는 식으로 거주지가 분리되어 그대로 19세기부터 살아왔다.미국의 스페인어 사용자는 히스패닉으로 불린다. 이들은 주로 멕시코계 미국인들이기 때문에 멕시코식 스페인어와 매우 닮아있다. 그래서 vosotros용법은 멕시코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안 쓰이고 tomar, acá의 활용빈도가 높다. 다만 acá외에도 aquí도 널리 쓰이고 있다.
물론 미국 히스패닉이 모두 멕시코계 미국인이나 이들이 불러들인 멕시코인 이민자는 아닌 만큼[57] 미국의 스페인어는 멕시코의 표현과 비슷한 경우도 많이 있고 멕시코 이외의 중남미의 다른 지역과 비슷한 경우도 있다. 한 예로 플로리다 쪽은 쿠바나 콜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베네수엘라 등과 더 가깝다. 지리적으로 대서양에 붙어 있어 대서양 연안 남아메리카와 카리브 해에서 이민이 오기 쉬웠기 때문이다. 뉴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콜롬비아 등 대서양 연안 남아메리카 출신과 푸에르토리코인, 도미니카 공화국인들이 많아서 멕시코식 스페인어와 이질적이고 카리브 스페인어에 더 가깝다. 뉴욕의 푸에르토리코인은 푸에르토리코가 미국-스페인 전쟁으로 미국 땅이 되자 19세기부터 건너왔다.
그리고 발음에서 ll발음은 중남미의 다른 지역처럼 미국도 중남미와 비슷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국에서 쓰이는 스페인어도 미국에서 생겨난 단어를 쓰기도 하면서 동시에 영어어휘를 그대로 쓰는 경우도 많고, 중남미의 다른 지역과는 좀 다른 단어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영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미국 스페인어에서도 쓰이기도 한다. 일부 문법은 영어의 영향을 좀 받은 것도 있는 편이다. 거기에다 뉴멕시코의 스페인어는 다른 지역의 스페인어와는 이질적인 면이 있다. 이 쪽은 상대적으로 스페인계 미국인의 비중이 혼혈인보다 높아 유럽에서 쓰던 고풍스런 표현이 그대로 전수되곤 했다.
미국 내에서 쓰이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치카노 영어가 생겨나기도 하고 스팽글리쉬도 생기기도 한다.
최근에 스페인어가 남/여를 구분한다는 것에 딴지를 걸어 끝을 -x로 끝내자는 움직임이 SNS에서 퍼지는데, [58] 정작 히스패닉계의 반응은 " 이뭐병".[59] #
8.2.3. 중앙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스페인어는 지리적 인접성 때문에 멕시코 스페인어와는 어휘쪽에서 관련이 많은 편이라서 멕시코와 마찬가지로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멋쟁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catrín이 쓰인다고 하고 멕시코처럼 '풀'을 hierba외에도 zacate라고 한다. 그리고 중앙아메리카에서는 '화나다'라는 표현을 enojarse라고 하지만, chillarse라고 하기도 한다.또한 중앙아메리카도 마야어가 쓰이고 있어서 멕시코와 마찬가지로 마야어의 영향을 받은 표현이나 어휘가 있다. 과테말라에서 파나마에 이르는 중앙아메리카지역 토착민들의 언어에 영향을 받아 차용어도 존재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도 남아메리카처럼 tú용법과 vos용법이 같이 쓰이고 있지만, tú용법쪽이 많이 쓰이는 편이다.
파나마에는 단어의 끝과 중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