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17:24:35

프리다 칼로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 예수의 테레사 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 베나지르 부토 예카테리나 2세 캐시 프리먼 서태후
클레오파트라 코라손 아키노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 에디트 크레송 엘레오노르 다키텐 엘리너 루스벨트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 엘런 존슨 설리프 에바 페론 골다 메이어 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 하트셉수트 인디라 간디 이사벨 1세 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 칼레다 지아 킴 캠벨 마거릿 대처 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미첼 바첼레트 미셸 오바마 박근혜
잔 다르크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쑹메이링 탄수 칠레르 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 빅토리아 여왕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비올레타 차모로 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 어밀리아 에어하트 바버라 매클린톡 캐롤라인 허셜 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히파티아 제인 구달 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 마거릿 미드 마리아 미첼 마리 퀴리 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 로잘린드 프랭클린 사카자위아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코코 샤넬 도로시아 랭 프리다 칼로 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 쿠사마 야요이 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 앤절라 데이비스 앤 로이페 아얀 히르시 알리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 그레타 툰베리 제인 폰다 주디 시카고 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수잔 팔루디 타우왁쿨 카르만 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 마거릿 생어 마리아 몬테소리 해리엇 터브먼 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에멀린 팽크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 제인 오스틴 사포 버지니아 울프 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헬렌 켈러 J. K. 롤링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 안네 프랑크 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 빌리 진 킹 파니 블랑커스쿤 재키 조이너커시 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 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 엘라 피츠제럴드 캐서린 헵번 마돈나 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 오프라 윈프리 사라 베르나르 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 바바라 조던 캐롤 모즐리 브라운 엘리자베스 워런 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 해티 캐러웨이 힐러리 클린턴 저넷 랭킨 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 넬리 테일로 로스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셜리 치점 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 앨리스 스톤 블랙웰 캐리 채프먼 카트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 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프랜시스 하퍼 프랜시스 윌러드 해리엇 스탠턴 블래치 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 아이다 벨 웰스 제인 애덤스 줄리아 워드 하우 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 루시 번스 루시 스톤 메리 처치 테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 밀리센트 포셋 소저너 트루스 수전 앤서니 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
<colbgcolor=#000><colcolor=#fff> 프리다 칼로
Frida Kahlo
파일:Frida Kahlo.jpg
1939년, 애인이던 니콜라스 뮤레이의 뉴욕 스튜디오에서 촬영[1]
본명 프리다 칼로 데 리베라[2]
Frida[3] Kahlo de Rivera
출생 1907년 7월 6일
멕시코 멕시코시티 코요아칸
사망 1954년 7월 13일 (향년 47세)
멕시코 멕시코시티 코요아칸
국적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직업 화가
신장 160cm
배우자 디에고 리베라 (1929년 결혼~1939년 이혼, 1940년 재결합)
종교 기독교( 가톨릭) → 무종교( 무신론?)[4]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외모
3.1. 유년기3.2. 교통사고3.3. 디에고 리베라와의 만남3.4. 결혼 후
4. 화풍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주요 작품
파일:프리다 칼로 작품00.jpg
파일:프리다 칼로 작품01.jpg
<rowcolor=#333,#ddd> 본인의 자화상 부서진 기둥, 1944년
그럼에도 인생 만세
- 프리다 칼로
혁명이란 형태와 색채의 조화이며, 모든 것은 "삶"이라는 같은 법칙 아래서 존재하며 또 움직인다. 고통, 기쁨, 죽음은 존재를 위한 과정일 뿐. 이 과정의 혁명적 투쟁이야말로 지성을 향해 열린 문이다.
La revolución es la armonía de la forma y el color, y todo esta y se mueve, bajo una misma ley: la vida. Dolor, placer y muerte no son más que el proceso de la existencia. La lucha revolucionaria en este proceso es una puerta abierta a la inteligencia.
- 프리다 칼로
일생 동안 나는 심각한 사고를 두 번 당했다. 하나는 18살 때 나를 부스러뜨린 전차이다. 두 번째 사고는 바로 디에고다. 두 사고를 비교하면 디에고가 더 끔찍했다.[5]
Yo sufrí dos accidentes graves en mi vida, uno en el que un autobús me tumbó al suelo. El otro accidente es Diego;. Diego fue el peor..
- 프리다 칼로

멕시코 초현실주의 화가. "나는 결코 꿈을 그리는 것이 아니다. 나의 현실을 그릴 뿐"이라며 초현실이라 불리는 것을 거부했다고 한다. LGBT 인권 운동의 아이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6]

2. 상세

멕시코 민중벽화의 거장 디에고 리베라와의 결혼으로 유명해졌으나, 교통사고로 인한 신체적 불편과 남편의 문란한 사생활에서 오는 정신적 고통을 극복하고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현실주의, 초현실주의, 상징주의와 멕시코의 전통 문화를 결합한 원시적이고 화려한 화풍으로 알려져 있다. 6살에 소아마비, 18살에 교통사고, 30여 차례의 수술, 죽음에까지 이른 병마, 남편의 끝없는 불륜, 세 차례의 유산, 불임 등 그녀의 삶에 반복된 고통과 절망은 수많은 작품의 오브제가 되었다. 거울 속의 자신을 관찰하며 고통을 이겨냈고, 자신과 관련된 소재들을 즐겨 그렸기 때문에 그림 중 자화상이 많다. 143점의 회화 작품 중 1/3 가량인 55점이 자화상이다.

칼로는 완고한 공산주의자였으며, 디에고를 비롯한 공산주의 주역들과 함께 멕시코의 정신을 일으켜 과거 식민지의 잔재를 극복하려 하는 등의 정치적 활동과 문화적 계몽 등 여러 방면으로 애를 썼다. 멕시코 민중의 토속 예술을 되살리려 노력하기도 했다.

생전에는 디에고 리베라의 아내 정도로 여겨졌으며 유럽에서는 리베라보다 인지도가 조금 더 있는 정도였다. 그러나 1970년대에 페미니즘이 부상하며 재조명되었고, 현대에 와서는 영화, 노래 등 다양한 매체에서 회자되며 기구한 생애, 독특한 캐릭터와 작품들이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 오늘날 프리다 칼로는 20세기 멕시코 예술과 페미니즘의 아이콘이 되었다.

여성을 억압하는 전통과 관습을 극구 거부했다. 자신의 지성과 매력을 십분 활용하여 레프 트로츠키와도 연애를 했다는 설[7]이 있는데, 연애가 아니라 친구나 사제 관계였다는 말도 있다.[8] 이외에 조각가 노구치, 사진작가 니콜라스 머레이 등 나이와 성별에 구분없이 자유롭게 연애했다.

3. 외모

파일:프리다 칼로 실물00.jpg
파일:프리다 칼로 실물01.jpg
그녀의 실제 모습[9]

짙은 갈매기 눈썹, 강렬한 눈빛, 강인한 엉덩이턱, 콧수염의 흔적 아래 육감적인 붉은 입술 등의 용모가 독특하고도 아름다워 늘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칼로 본인도 그 점을 알고 있던건지, 사고 이전에도 초상화 그리는 걸 즐겨 자신의 자화상을 친구들에게 선물로 주기도 했다.

또 해외 각지를 다니며 화려한 멕시코 의상과 액세서리를 즐겨 착용했다. 주변에서는 "어디에서 서커스 공연하나?"하며 놀렸지만 칼로는 개의치 않았다. 단, 멕시코 의상을 입은 것은 칼로의 개성이 아니라 민중을 중요시한 디에고에 대한 동조 심리였고, 다친 다리를 가리기에도 적합해서였다.

그런 화려한 자태로 신랄하게 스페인어로 욕하는 걸 즐겼는데 외모와의 시너지가 엄청났다고. 이처럼 타인에게 비치는 이미지 관리에 능했고 매사에 연극적이었다.[10]

3.1. 유년기

1910년 7월 7일로 삼았다. 1906년에 태어났지만 거짓말을 한 것이었다.

어머니 마틸다가 출산 직후 병이 나서 원주민 유모의 젖을 먹고 자랐는데, 그런 기억은 그녀가 자신을 멕시코인으로 여기는 정체성의 근거가 됐고, 작품 <유모와 나>(1937)에 반영된다.

사진작가였던 아버지 기예르모는 무뚝뚝했지만 총명한 칼로를 유난히 아끼고 북돋아줬다. 어린 칼로를 철학, 고고학, 음악, 미술 등 여러 분야로 북돋아주었다. 칼로는 사진기를 다루는 법도 배우고, 아버지를 도와 수정 작업 등도 관여했는데, 이는 사실적이고 세밀한 칼로의 초상화에 대한 접근법에 밑거름이 되었다.

1913년 6살에 척추성 소아마비로 9달간 집에 있어야 했다. 가는 오른쪽 다리를 가리려 양말 여러 켤레를 겹겹이 신고, 오른쪽 굽이 높은 신발을 신었으며, 긴 치마의 멕시코 의상을 입곤 했다. 걸을 수 있게 되자 재활 훈련의 일환으로 자전거, 롤러 스케이트, 수영, 복싱, 레슬링 등을 두루 섭렵했는데, 여러모로 여걸이었다. 이 일을 기점으로 또래들과 달리 성숙하고 우울한 내면을 갖게 되었으나, 겉으로는 더욱 천방지축으로 굴었다.

프리다는 멕시코 독일계 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마친 후 1922년 멕시코 국립 예비 학교(Escuela Nacional Preparatoria)에 입학한다. 입학 시험에 합격했을 때 가장 기뻐한 사람은 아버지 기예르모로, 당시 전통은 가장 똑똑한 아들을 학교에 보내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그런 위험한(?) 곳에 딸을 보내는 것을 여의치 않아했지만 아들이 없던 기예르모는 좌절된 학자의 꿈을 이루고자 프리다에게 희망을 걸었다. 프리다는 의과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5년 과정을 등록했다. 당시에는 그림에 흥미는 있었으나 장래로 진지하게 생각하지는 않았다.

멕시코 시티 중앙에 위치했던 국립 예비 학교는 당시 멕시코 최고의 교육기관이자 멕시코 혁명 이후 행동주의, 개혁주의, 분노, 열정이 지배하는 도가니의 한가운데였다. 당시 진보적인 교육부 장관이었던 호세 바스콘셀로스[11]의 정책 덕에 그 해 여학생 입학이 처음으로 허용되어 프리다가 입학할 수 있었다. 당시 전교생 2000명 중 여학생은 35명이었다. 프리다와 동급생들은 멕시코 최고의 수재들이자 문제아였고, 장차 멕시코의 주역들이 될 터였다.

사회 분위기만큼이나 학교 내부에도 급진파와 극보수파 등 여러 정치적 분파들이 치고 받았고, 교내 출판물로 치열하게 싸웠다. 프리다도 여러 동아리에 들었는데, 그중 알파는 '카추차스 Cachuchas'[12]였다. 프리다는 모든 것을 냉소적으로 대하는 카추차스의 태도를 무척 좋아했다. 카추차스는 남학생 7명과 프리다를 비롯해 여학생 2명으로 구성되었고, 직접 정치에 관여하진 않았지만 바스콘셀로스를 추종하는 등 낭만적 사회주의를 신봉했다. 그들은 명석한 두뇌로 학교 내 개혁을 선동하고 상식을 뛰어 넘는 돌발행동으로 교실을 무질서로 빠트렸다. 그 예로 당나귀를 타고 복도를 지나가거나, 개를 폭약으로 감고 불 붙여서 복도에 풀어놓았다.

특히 안토니오 카소 교수를 꼰대라 생각해서 무척 싫어했고 손 봐주려고 벼르다가(?), 대강당에서 교수의 진화론 강의가 있던 날, 연단 바로 위 창문에 15cm 가량의 폭죽을 설치하고 밖으로 20분짜리 도화선을 밖으로 빼놨다. 그러자 강의하는 도중에 폭죽이 터져서 유리조각, 돌멩이, 자갈이 교수 머리 위로 쏟아졌는데 교수는 아무 동요 없이 툭툭 털고 계속 강의했다고 한다.

물론 카추차스는 늘 그렇듯 완벽한 알리바이가 있었는데, 미리 정해진 멤버가 설치 후 강의실에 착석하고 다른 멤버가 일을 개시하는 식이었다. 칼로는 사고를 치고 다니긴 했지만 성적은 우수했다. 특히 머리가 워낙 좋아서 교과서를 한 번 읽고 다 암기해버렸고 일설에 의하면 퇴학 통고를 받자마자 장관 바스콘셀로스에게 직접 항의서를 보냈는데, 장관이 여자애 하나 못 다루냐면서 교장에게 복학시키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자 프리다 칼로는 책상을 박차고 학교를 나섰다고 한다.

이 무렵에 디에고 리베라와 만나는데, 당시 리베라는 학교의 벽화 작업을 하고 있었다.

3.2. 교통사고

영화에서 재현한 프리다 칼로의 교통사고 장면

1925년 9월 17일, 당시 남자친구였던 알레한드로와 함께 본가인 코요아칸으로 향하는 버스를 타고 있었다. 그러던 중 버스가 전차와 충돌하는 큰 사고가 나 대수술을 받게 된다. 이 사고로 칼로는 왼쪽 다리 11곳이 골절되고 오른발이 탈골되었으며 요추, 골반, 쇄골 등의 부위가 골절되고 갈비뼈가 부러진다.

이 사고로 칼로는 죽을 때까지 하반신마비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했고 세 차례의 유산, 그리고 끝없는 고통스런 수술로 평생을 보내야 했다. 이 사고 이후 그녀가 받은 수술은 총 35번으로 이 35번에는 소아마비와 사고의 여파로 인해 받은 척추 수술 7번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교통사고의 여파는 매우 심각했는데, 사고가 일어날 당시 부러진 철근이 그녀의 허리 부분을 관통했는데 하필이면 자궁을 크게 다쳐 오랫동안 생리 불순에 시달렸다.[13] 또한 아이를 간절히 원했으나, 사고로 자궁의 기능이 상당히 저하된 탓에 임신을 해도 유지하지 못하고 모두 유산했다.

3.3. 디에고 리베라와의 만남

파일:디에고와 프리다.jpg
파일:디에고와 프리다 실물.jpg
<rowcolor=#333,#ddd> 프리다 칼로가 직접 그린 디에고와 본인 디에고와 프리다 실제 모습

국립학교에 다닐 당시 프리다는 벽화 작업을 하고 있던 디에고를 만났다. 아래는 당시를 얘기하는 디에고의 말.
그녀의 태도는 얼핏 봐도 남달랐다. 어딘지 모르게 위엄과 자신감이 있었고, 눈동자는 야릇한 빛을 뿜었다. 그녀는 아직 어린아이처럼 귀여웠으나, 어딘가 모르게 꽤 성숙한 분위기가 느껴졌다.
그녀는 나를 똑바로 쳐다보면서 “당신이 작업하는 모습을 보면 방해가 되나요?”라고 물었다. 나는 “천만에, 꼬마 아가씨. 오히려 영광이지”라고 대답했다. 그녀는 자리에 앉아서 말없이 나를 바라보았다. 그리고 나에게서 한 번도 눈을 떼지 않았다. 몇 시간이 지나자, 질투심에 불탄 루페[14]는 여자애를 나무라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자아이는 루페에게 신경 쓰지 않았다. 더 화가 난 루페는 뒷짐을 지고 뚜벅뚜벅 걸어가 여자아이를 쏘아보았다. 여자아이는 표정만 굳어질 뿐 아무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루페가 노려보자 여자아이 역시 말없이 루페를 노려보았다. 루페는 무척이나 놀란 눈치였고 오랫동안 눈을 부릅뜨고 그녀를 노려보았지만, 이윽고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는 나에게 말했다.
“저 애 좀 봐! 저렇게 어린애가 자기보다 크고 어른인 여자를 겁내지 않잖아. 난 왠지 저 애가 맘에 들어.”[15]
여자아이는 세 시간쯤 있다가 “안녕!”이라는 인사를 남기고 그 자리를 떠났다. 기둥 뒤에서 들려오는 목소리의 주인이 그녀였고, 그녀의 이름이 프리다 칼로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그로부터 1년 후였다. 그러나 그때까지도 그녀가 나의 아내가 될 줄은 생각지 못했다.
- 디에고 리베라
이후 디에고와 사랑을 하면서 프리다가 했던 말.
나의 평생소원은 단 세 가지, 디에고와 함께 사는 것, 그림을 계속 그리는 것, 혁명가가 되는 것이다.
- 프리다 칼로

3.4. 결혼 후

결혼 후 프리다는 디에고와 여러 작품 활동을 했지만 디에고의 여성 편력[16]으로 이혼과 재결합을 했다.

과거에 겪었던 교통사고의 후유증은 매우 심각해서 그녀는 평생 아이를 원했지만 모두 유산했다.

이혼 후에도 여러 작품을 그리면서 활동을 열심히 했으며, 재결합 후 여러 작품을 남기고 공산주의 활동에 나서다 폐렴의 재발로 인한 폐경색으로 1954년 7월 13일에 사망하게 된다. 사망하기 8일 전 수박들의 단면을 통해 자기 인생의 고통스러웠던 면을 승화시킨 Viva la Vida라는 그림을 유작으로 남겼다.
외출이 행복하기를, 그리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기를.
(Espero que la salida sea alegre, y espero no volver nunca más)
- 프리다 칼로의 마지막 일기 中
그 전에도 그녀는 여러 차례 수술을 받고 작품 회고전도 많이 열었다. 그녀를 존경하는 사람들 중에는 그녀의 제자가 된 이들도 있었으며, 그 사후 멕시코 정부는 그녀의 모든 작품을 국보로 지정했다.

4. 화풍

프리다 칼로의 작품세계는 '초현실주의'와 '멕시코'라는 두 단어로 정의할 수 있다.

프리다 칼로는 초현실주의로 분류되기를 거부했다. 왜냐하면 자신의 아픈 생활과 남편으로 인해 상처입었던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했고, 유럽의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멕시코의 전통에 근간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림의 소재가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하지만 비사실적이라는 점에서는 초현실주의 작품이다. 그러나 창의적 상상과 무의식적 표현을 추구하는 초현실주의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즉 초현실적이긴 하나, 주류 초현실주의와는 동떨어져 있다.

작가 생활을 시작한 지 12년 만인 1938년 멕시코시티대학 갤러리 그룹전을 가졌다. 이 전시에서 앙드레 브르통의 주목을 받고, 루브르 박물관이 그녀의 자화상을 구입해 최초로 루브르에 입성한 중남미 여성작가가 됐다. 1939년 르누와 콜 갤러리의 멕시코전에서 파블로 피카소, 바실리 칸딘스키, 마르셀 뒤샹 등으로부터 초현실주의 화가로 인정 받았다.

칼로는 초기 산드로 보티첼리와 같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들의 작품들에 대한 공부의 영향이 화풍에도 남아있었다. 하지만 이후에 그림은 점점 멕시코의 장식 미술, 당대에 유행하던 벽화 운동의 화풍을 따랐다.

그러한 변화는 프리다 칼로 본인이 중앙아메리카의 신화, 문명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던 점과 멕시코 전통의상을 즐겨 입었던 이유와 관련된다. 또한 그녀는 남편 디에고 리베라로부터 영향을 받았는데, 그녀는 멕시코 고유의 상징이나 형식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다. 이러한 관심은 그녀가 그렸던 그림들에서도 잘 나타난다.

또한 멕시코 전통적인 문화 이외에도 프리다 칼로에게 있어 멕시코는 혁명의 공간이기도 했다. 당시 멕시코의 혁명적인 정치 상황은 예술 분야에 여러 운동들을 촉발시켰다. 멕시코 정부를 장악하고 있었던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는 당시 높은 문맹률로 인해 문자 교육으로 민중을 계몽하고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녀는 이미지를 이용한 대중 교화, 계몽 정책을 제시하게 된다. 그리하여 디에고 리베라와 같은 당대의 화가들에게 벽화 작업을 지시하게 된다.

벽화 운동의 탄생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운동의 본질적인 목적은 정치적 교화에 있었다. 하지만 벽화 운동은 미술가들에게 있어 멕시코적인 상징, 민중들의 이미지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프리다 칼로의 경우에도 벽화운동은 정치적 내용보다는 개인적이고 멕시코의 전통에 뿌리를 둔 내용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5. 여담

  • 영국의 밴드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이 프리다 칼로의 작품인 'What The Water Gave Me'를 보고 영감을 받아 동명의 곡을 발표했다. 참고로, 이 밴드의 보컬인 플로렌스 웰치는 프리다 칼로의 엄청난 팬이다. 집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프리다 칼로 관련 물품으로 도배되어 있는 화장실을 공개한 적도 있다.
  • 2015년에 소마 미술관에서 프리다 칼로 개인전이 열렸다. 신문사 개최라서 그런지 퀄리티는 좋은 편. 2016년에 디에고 리베라와 합동 전시회가 있었다.
  • 2002년에 개봉된 전기 영화 프리다에서는 셀마 헤이엑이 프리다 칼로 역할을 맡았다. 실제 프리다가 그린 자화상에 맞추어 배우를 분장시킨 다음 프리다의 자화상을 보여주는 연출을 보여주었는데 정말 똑같다. 이 영화는 대중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1200만 달러로 5700만 달러를 벌면서 흥행에도 성공했다. 셀마 헤이엑은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 되기도 하였다.
  • 프리다 칼로의 삶을 가장 깊이 있게 다룬 헤이든 헤레라가 쓴 프리다 칼로는 영화 프리다 (Frida, 2002)의 원작이다.
  • 2017년 겨울에 개봉한 멕시코를 배경으로 하는 픽사 애니메이션 코코에 망자로 등장한다. 살아서도 죽어서도 멕시코 최고의 유명인사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작중에서 에르네스토 델라크루즈라는 유명 뮤지션의 무대를 디자인해 주는데 여기서도 소품이고 배우들이고 전부 자신의 얼굴로 꾸몄다. 또한 이 영화의 주연이 되는 가족의 성씨가 리베라(Rivera)인데, 남편인 디에고 리베라의 성씨와 같다. 다만 '리베라'라는 성은 픽사에 근무하며 인사이드 아웃 등에 참여한 제작자 조나스 리베라에서 따온 것으로 프리다의 남편 디에고 리베라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한국의 김이박최 마냥 멕시코에 흔한 성씨가 '리베라'이기 때문. 그리고 영화에는 후손들이 지내주는 제사의 퀄리티에 따라 저승에 있는 망자들의 부와 명예가 결정된다는 설정이 있는데, 유명세 덕에 이승의 사람들이 제사를 아주 후하게 지내줘서 저승에서 부유하고 행복하게 잘 살고 있다. 여담으로 작중 등장하는 다른 모든 망자들은 해골 상태라 눈썹이 없는데 프리다 칼로 혼자서만 눈썹을 갖고 있다. 아무래도 일자 눈썹이 아이덴티티나 마찬가지인지라 남겨둔 듯.
  • 프리다 칼로를 주인공으로 한 애니메이션이 제작된다. #
  • 영국 록그룹 콜드플레이의 대표곡 Viva la Vida는 프리다 칼로의 유작에서 따온 제목이다. 세상을 떠나기 8일 전에 그렸다.
  • 국내에서 프리다 칼로를 주인공으로 한 뮤지컬이 제작되기도 했다. 프리다(뮤지컬) 항목 참조.
  • 2023년 tvN 드라마 반짝이는 워터멜론의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극중 윤청아가 가장 좋아하는 화가이다. 밴드의 디자이너인 청아는 프리다 칼로의 유작 Viva la Vida를 오마주하여 밴드 단체 티셔츠를 디자인 하였고, 밴드의 이름인 “워터멜론 슈가”도 이를 차용한 이름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47 33%,#FFF 33%,#FFF 66%,#CE1125 3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E1125> 상징 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올멕 · 아즈텍 · 마야 문명 · 테노치티틀란 · 누에바에스파냐 · 멕시코 제국( 제1제국 · 제2제국) · 임시정부 · 제1연방공화국 · 중앙집권공화국 · 제2연방공화국 · 멕시코 혁명
정치 정치 전반 · 멕시코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멕시코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G20 · APEC
교통 CAPUFE · 시외버스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 · 펠리페 앙헬레스 국제공항 · 몬테레이 국제공항 · 칸쿤 국제공항 · 톨루카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국제공항 · 시우다드 오브레곤 국제공항 · 아에로멕시코 · 아에로멕시코 커넥트 · 볼라리스 항공 · 비바 아에로부스 항공 · 마스 에어 · 멕시카나 데 에비에이션 · 멕시카나 항공 · 철도 환경
사회 마약 카르텔/멕시코
경제 경제 전반 · 멕시코 페소 · USMCA · MIKTA · 넥스트 일레븐
국방 멕시코군( 육군 · 해군 · 공군)
치안·사법 멕시코 치안 · 멕시코 연방경찰청
문화 요리 · 관광 · 영화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 망자의 날 ·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언어 스페인어 · 나와틀어 · 마야어 · CELA
인물 후아나 데 아스바헤 · 베니토 후아레스 · 판초 비야 · 기예르모 델 토로 · 프리다 칼로
지리 멕시코 시티 · 치와와 · 소노라 · 바하 칼리포르니아
민족 멕시코인( 멕시코 백인/ 멕시코 흑인) · 멕시코계 미국인 · 스페인계 멕시코인( 바스크계 멕시코인 · 카탈루냐계 멕시코인) · 독일계 멕시코인 · 한국계 멕시코인 · 아랍계 멕시코인( 시리아계 멕시코인 · 레바논계 멕시코인) · 미국계 멕시코인 · 마야인 · 일본계 멕시코인 · 러시아계 멕시코인 · 폴란드계 멕시코인 · 그리스계 멕시코인 · 아르메니아계 멕시코인 · 프랑스계 멕시코인 · 이탈리아계 멕시코인 · 포르투갈계 멕시코인 · 아일랜드계 멕시코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인도계 멕시코인 · 덴마크계 멕시코인 · 벨기에계 멕시코인 · 중국계 멕시코인 · 멕시코 유대인 · 캐나다계 멕시코인
}}}}}}}}} ||



[1] 2012년 11월 멕시코 보그의 부록 표지로 쓰였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프랑스판 표지는 사실무근. [2] 출생 당시의 이름은 마그달레나 카르멘 프리다 칼로 이 칼데론 (Magdalena Carmen Frida Kahlo y Calderón) 이며, 디에고 리베라와 결혼한 후에는 주로 '프리다 칼로'로 불렸다. [3] 독일어로 평화(frieden)를 의미한다. [4] 가톨릭 신자였으나 성인이 되고 모든 종교를 거부했다. (" Frida Kahlo and Religion: "I have enjoyed being contradictory"", mfa.org) 그녀를 무신론자로 볼 수 있는 근거가 있으나 (" Frida Kahlo", celebatheists.com) 그녀의 그림에서 종교적인 부분이 보이는 것도 있기에 무신론자라 단정하긴 어렵다. (" The Views of Frida Kahlo", hollowverse.com) [5] 이 말은 프리다 칼로를 다룬 영화에서도 본인이 디에고에게 말한다. [6] 실제로 칼로 본인도 퀴어였다. [7] # [8] 프리다 칼로와 트로츠키의 연애설은 주로 전기 영화 '프리다'나 드라마 '트로츠키'의 내용으로 유명하고, 실제 역사에서도 두 사람이 연인 관계였다는 증거는 제시된 바 없다.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른면 트로츠키는 배우자인 디에고 리베라와 인연으로 만났으며, 1930년대에 트로츠키가 디에고 리베라와의 불화를 촉발시키면서 프리다-리베라 부부는 트로츠키와 절연했다. [9] 오른쪽 사진은 아버지 기예르모 칼로가 1932년에 촬영한 사진이다. [10] 내면의 불우함을 감추려 더 그랬을 수도 있다. [11] 1920년에 대통령으로 취임한 알바로 오브레곤은 디아스의 독재정권에 맞서 투쟁했던 법률가이자 철학자였던 바스콘셀로스를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바스콘셀로스는 멕시코 교육이 '우리 피, 우리 말, 우리 사람' 위에 세워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12] 회원들이 쓰고 다니던 챙이 달린 모자에서 유래. [13] 이 부상은 사고 당시 지나가던 행인이 그녀를 돕는답시고 철근을 무대포로 뽑아버리는 민폐를 저지른 걸로 더욱 악화되었다고 한다. [14] 디에고 리베라의 두 번재 부인이었던 과달루페 마린의 애칭이다. 1983년까지 살아 디에고 리베라의 배우자들 중 가장 나중까지 생존한 배우자다. [15] 실제로 과달루페 마린은 프리다 칼로와 제법 친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리베라의 생일에 둘이 다정하게 끌어안고 찍은 사진이 남아있을 정도. # 또한 마린과 리베라가 이혼하고 바로 다음 해 리베라가 칼로와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칼로가 마린의 초상화를 작업해주기도 했다. [16] 그는 두 번째 아내와 결혼한 상태에서 프리다와 알게 된 사이였다. 또한 그의 불륜 상대 중에는 프리다의 여동생 크리스티나도 있었다고 한다. 전기영화에서는 디에고-크리스티나 불륜설을 채택하여, 화실에서 디에고와 크리스티나가 불륜을 저지르는 장면을 프리다가 목격하고 울화가 터진 나머지 그 자리에서 결별을 선언하는 것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