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3:48:38

스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a291c> 역사 <colcolor=#000,#fff> 역사 전반
정치 정치 전반 · 의회 원내 구성 · 스위스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스위스 연방 여권 · EFTA
경제 경제 전반 · 스위스 프랑
교통 철도 환경( 스위스 연방철도 · ICE · TGV 리리아)
국방 스위스군 · 육군 · 공군 · 스위스군 특수부대사령부 · 스위스 군사경찰 · 스위스 군사정보국/예방보호국
치안·사법 스위스 연방경찰실
문화 요리 · 관광 · 언어( 독일어( 스위스 독일어) · 프랑스어 · 이탈리아어 · 로망슈어)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지리 주 목록(틀) · 베른 · 취리히 · 알프스 산맥 · 보덴 호
디아스포라 스위스계 미국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캐나다인 · 스위스계 러시아인 · 스위스계 칠레인
기타 스위스인 · 스위스 근위대
}}}}}}}}} ||
스위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헬베티족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중세 부르군트 제1왕국 알레만니아
프랑크 왕국
고지 부르군디아 왕국/ 슈바벤 공국
부르군트 제2왕국 독일 왕국
슈바벤 공국
근현대 스위스
헬베티아 공화국
스위스 }}}}}}}}}}}}

파일:중부유럽 아이콘.png 중부유럽의 국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독일[W] 폴란드[E] 체코[E] 슬로바키아[E]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스위스[W] 리히텐슈타인[W] 오스트리아[W] 헝가리[E]

[W] 서유럽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한다. [E] 동유럽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한다. [E] [E] [W] [W] [W] [E]
}}}}}}}}} ||

파일:valknut-logo-A2606FA5AA-seeklogo2.png
게르만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족
<colbgcolor=#fafafa,#1a1a1a> 북게르만 기트족 · 데인 · 스비아인 · 바랑인
현대의 민족
노르웨이인 · 덴마크인 · 스웨덴인 · 아이슬란드인 · 페로인
서게르만
북해 게르만
Ingvaeonic
역사적 민족
앵글로색슨족 · 앵글족 · 작센인 · 주트족 · 카우키 · 프리시
현대의 민족
영국인( 잉글랜드인 · 로우랜드 스코틀랜드인) · 프리지아인 · 저지 독일인
베저-라인 게르만
Istvaeonic
역사적 민족
리푸아리 · 바타비 · 살리 · 프랑크족
현대의 민족
네덜란드인( 보어인) · 플란데런인
엘베 게르만
Irminonic
역사적 민족
랑고바르드족 · 마르코만니 · 바이우바리 · 수에비 · 알레만니 · 카티 · 케루스키 · 콰디 · 킴브리 · 투링기 · 헤르문두리
현대의 민족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 독일계 벨기에인 · 독일계 스위스인 · 룩셈부르크인)
동게르만
역사적 민족
게피드족 · 고트족 · 루기 · 반달족 · 부르군트족 · 헤룰리
현대의 민족
절멸
국가 및 지역
유럽의 게르만어권 국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유럽 외 게르만어권 국가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기타 게르만어권 지방 파일:올란드 제도 기.svg 올란드 제도 | 파일:Flag_of_South_Tyrol.svg 쥐트티롤 | 파일:알자스 깃발.svg 알자스 | 파일:오스트벨기엔 깃발.svg 오스트벨기엔 |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문화 및 언어
언어 게르만어파
신화 북유럽 신화 | 앵글로색슨 신화
사상 범게르만주의 | 소독일주의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 베트남 벨기에 왈롱-브뤼셀 연방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퀘벡 주기.svg 파일:1920px-Flag_of_New_Brunswick.svg.png 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 퀘벡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뉴브런즈윅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 루이지애나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온타리오 주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온타리오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 체코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 폴란드 헝가리 }}}}}}}}}}}}

남극조약 회원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72b5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1.1px"
*: 남극 조약 창립 가맹국
영유권 비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영유권 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비자문 가맹국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파일:OECD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EFTA (유럽자유무역연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아이슬란드
}}}}}}}}} ||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협력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181818"
상임이사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비상임이사국 ( 2023 ~ 2024)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에콰도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비상임이사국 ( 2024 ~ 2025)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시에라리온|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가이아나|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스위스 연방
라틴어[1]: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
영어:
Confoederatio Helvetica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Confédération suisse
Confederazione Svizzera
Confederaziun svizra
Swiss Confederation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장.svg
국기 국장
Unus pro omnibus, omnes pro uno
하나는 모두를 위해, 모두는 하나를 위해
[2]
상징
국가 스위스 찬가
국화 에델바이스
역사
1291년 뤼틀리의 서약 동맹 체결
1315년 합스부르크 가문으로부터 독립
1647년 영세 중립 선언
1648년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 영세 중립국화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colbgcolor=#fff,#000>없음(사실상 베른)[3]
최대 도시 취리히
면적 41,285km²
접경국
[[독일|]][[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리히텐슈타인|]][[틀:국기|]][[틀:국기|]]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인구 총인구 <colbgcolor=#fff,#000>8,780,366명(2023년) | 세계 101위
인구밀도 208명/km²(2019년)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1.50명(2020년)[4] CIA 자료 1.58명(2022년)[5]
출생아 수 85,914명(2020년)
기대수명 83세(2015년)
공용 언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6]
가톨릭(38.0%), 스위스 개신교회[7](26.0%), 정교회(2.2%), 복음주의 개신교(1.7%), 루터교회(1.0%), 성공회(0.1%), 기타 기독교(2.5%), 무종교(22.0%), 이슬람(5.0%), 불교(0.5%), 힌두교(0.5%), 유대교(0.2%), 기타(0.3%)
군대 스위스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단계 <colbgcolor=#fff,#000>26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체 <colbgcolor=#fff,#000> 공화제, 연방제
정부 형태 내각책임제[8]
<nopad> 연방
평의회

(국가원수)
(정부수반)
<nopad> 의장
(대통령)
비올라 암헤르트
<nopad> 부의장
(부통령)
카린 켈러주터
<nopad> 기타
구성원
기 파르믈랭
이냐치오 카시스
알베르트 뢰스티
엘리자베스 바우메슈나이더
베아트 얀트
연방 총리 빅토르 로시
민주주의 지수 9.14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2년)
(167개국 중 7위)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GDP 전체 <colbgcolor=#fff,#000>$9,384억 / 세계 20위(2024 4월)
1인당 $105,669 / 세계 3위(2024년 4월)
<nopad> GDP
(PPP)
전체 $5,909억 / 세계 34위(2020년 10월)
1인당 $68,340 / 세계 5위(2020년 10월)
국부 $4조 6,890억 / 세계 15위(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a, S&P AAA, Fitch AAA
통화 스위스 프랑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정 연호 <colbgcolor=#fff,#000> 서력기원
시간대 (UTC+1)(서머타임 실시)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 수교 현황 <colbgcolor=#fff,#000>대한민국: 1963년 2월 11일
북한: 1974년 12월 20일
국제 연합 가입 2002년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77
홈페이지 정부, 관광청(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ccTLD
.ch
국가 코드
756, CH, CHE[9]
국제 전화 코드
+41
여행 경보
여행유의 전 지역
위치
파일:스위스 위치.svg

1. 개요2. 국가 상징3. 지리4. 언어5. 역사6. 인구
6.1. 출생 인구6.2. 기대 수명6.3. 출산율
7. 자연8. 군사9. 정치10. 영세 중립11. 경제12. 관광13. 사회
13.1. 배타성
14. 교육15. 요리16. 종교17. 행정 구역
17.1. 너츠17.2. 칸톤17.3. 반주17.4. 지구17.5. 코뮌
18. 스포츠19. 교통20. 외교21. 기타
21.1. 방공호21.2. 한글로 쓴 스위스21.3. 안락사21.4. B&M(Bolliger&Mabillard)
22. 인물
22.1. 유명인22.2. 스위스인 캐릭터
22.2.1. 한국 작품22.2.2. 일본 작품22.2.3. 미국 작품22.2.4. 기타 국가 작품
22.3. 설정상 스위스와 관련이 있는 캐릭터

[clearfix]

1. 개요

스위스 연방 혹은 헬베티아 연방은 중부 유럽에 위치한 연방제 공화국이다.

오스트리아처럼 영세 중립국으로 잘 알려진 나라다. 헌법상의 수도는 따로 없지만 연방의회와 국제기구가 많이 위치한 베른이 사실상 수도의 역할을 하고 있다. 최대도시는 취리히.[10] 인구는 8,544,000명이다. 지정학적 의미로 분류할 때는 중부유럽으로, 정치경제적 의미로 분류할 때는 서유럽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유럽연합(EU) 국가는 아니다. EFTA( 유럽자유무역연합,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가입국이지만, EFTA에 가입한 다른 나라(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와 함께 EU에 가입을 하지 않았다. EU 가입 신청시 광속으로 승인이 날 만한 나라이지만, 영세 중립국이라는 명목으로 EU 가입을 하지 않고 있으며[11], 스위스의 보호국인 리히텐슈타인도 마찬가지로 스위스의 정책을 따른다는 이유로 영세중립국을 유지하고 있다. EFTA에 가입해 있어 EU 가입국과 거의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으며, 또한 솅겐조약에 가입해 있어서 주변국에서 스위스로 넘어갈 때에는 여권이 필요하지 않다. 더불어 WTO OECD의 가입국이다. 영세중립을 이유로 오랫동안 UN에도 가입하지 않다가 2002년에야 가입했다. 유럽 연합, NATO 등에도 가입하지 않은 나라로, 덕분에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중립국감독위원회로 자리잡고 있다.

면적은 41,285km²(412만 9,039㏊)로 네덜란드랑 거의 똑같은 크기고, 남한의 41%, 경상도[12]보다 좀 더 크다. 26개의 칸톤[13]이 연방을 이루고 있다. 반주(半州)를 하나의 주로 볼 것인가, 두 개의 주로 볼 것인가에 따라 주의 숫자가 달라질 수 있었으나 1999년 연방헌법 개정으로 이제는 반주도 하나의 주로 취급한다. 칸톤은 미국의 주 개념과 비슷한데, 헌법상 영구적 지위를 부여받으며 사실상 별개의 나라 수준의 자치도를 가지고 있다. 각 칸톤은 외교권과 중무장 병기만 없다. 하지만 최근 통과시킨 새 헌법에 따르면 각 칸톤에도 일정 수준의 외교권을 부여한다고 한다.

인구는 900만 명도 안 되나, 영업이익 기준으로 SK하이닉스[14] 수준의 대기업을 4개나 보유하고 있는 초강소국이다. 우선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약기업이 둘이나 존재한다. 타미플루로 유명한 로슈 글리벡으로 유명한 노바티스이다. 그 외에도 네스카페로 유명한 네슬레, 키보드, 마우스 제조회사인 로지텍, 시멘트 기업 홀심, 전 세계적으로 아주 유명한 전기, 전자 종합회사인 ABB가있다. 임플란트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스트라우만[15], SIC임플란트[16]를 가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연봉이 높은 나라인데도 제조업이 강세이며, 로슈 노바티스라는 양대 축을 가진 제약업이 스위스 전체 수출의 30%를 담당하고 있다. UBS 크레디트스위스를 비롯한 금융산업도 매우 강세인 편. 특히 스위스가 만들어내는 것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단연 오토매틱 손목시계로, 유명한 시계 브랜드인 롤렉스를 비롯해 다수 럭셔리 브랜드들의 연고지이다. 또한, 시계마니아들 사이에서 소위 Big 5 라고 불리는 워치메이커 중 4개가 스위스 회사 이고, 나머지 하나는 독일 회사지만 이마저도 스위스 회사에서 인수했다.

화폐는 스위스 프랑(CHF)을 사용한다. 2011년 하반기부터 1프랑당 1.2 유로의 최저환율제를 도입하였으나, 2015년 03월 18일 기준으로 포기하였다. 유로화 사태 시작 전인 2008년만 해도 외환보유고는 800억 달러로 대한민국의 1/4 수준이었으나, 유로화와의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무제한 매입에 들어가 2014년 현재는 5,300억 달러를 기록해 세계 3위로 7위인 대한민국보다 높다. 평균 연봉은 9만 스위스 프랑(한화 약 1억 원), 실업률은 3% 미만으로 주변 유럽 국가와 경제력 수준 차이가 크다 보니, 전쟁의 위험이 사라진 현재에도 상대적으로 배타적인 정책들을 취하고 있다.

2. 국가 상징

2.1. 국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국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국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찬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리

동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과 국경을 접하고 서쪽으로는 프랑스, 남쪽으로는 이탈리아, 북쪽으로는 독일과 국경을 접한다. 네 방면이 모두 육지이기 때문에 바다는 없지만 대신 큰 호수들이 많다. 알프스 한복판이지만 의외로 조산대의 영향으로부터 빗나가 있어 대형 지진은 드물다.

스위스는 지리적으로 산이 많은 지형이라 만년설, 빙하도 많다. 하지만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사라질 위기를 겪고 있다. 이미 스위스 내의 빙하 중에는 사라지고 있는 빙하가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스위스 내무부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알프스의 빙하가 지난 5년동안 10%이상이 녹아서 사라졌다고 밝혔다. #

스위스에 주요 국제기구 본부가 많은 관계로 영토가 좁은데 비해 유럽국가치고 한국인에게 알려진 도시가 많은 편[17]이다. 취리히(FIFA), 제네바(UN 유럽본부), 베른(만국우편연합), 로잔(IOC), 바젤(국제결제은행) 등 스위스 이곳저곳의 도시들이 스위스도 안 가본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4. 언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언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Map_Languages_CH.png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 4개의 국어가 있으며, 로망슈어 빼고 다 연방 공용어다.[18] 이 중 독일어 화자가 인구의 65% 정도로 가장 영향력이 크다. 대부분의 스위스 사람들은 2개 국어 이상을 할 줄 알며 많은 사람들이 영어도 잘해서 영어로 의사소통 하기에도 큰 문제는 없다.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독일어 방언들은 스위스 북쪽에 있는 독일 남서부 방언과 함께 알레만 방언(Alemannisch)에 속하는데, 표준 독일어와 차이가 매우 크다. 글은 대부분 표준 독일어를 쓰지만, 일상 생활에서는 알레만어 혹은 알레만어 특징이 섞인 표준 독일어를 쓰는 경우가 많다고. 억양과 발음의 차이도 상당히 크다.[19]


▲ 코로나19 사태 관련 연방 정부 대국민 편지 영상. 이례적으로 독일어권 장관들이 표준 독일어가 아닌 본인 출신 방언으로 발언하고 있다.[20]

제네바를 비롯한 서부에서 쓰이는 프랑스어는 몇몇 용어를 제외하면 발음이나 문법에서 표준 프랑스어와 차이가 거의 없다. 다만 프랑스에서 사는 사람들과는 달리 말하는 속도가 상당히 느리다.[21] 프랑스어는 전통적 국제 언어로서 위상이 매우 크며 제네바, 퐁뒤, 적십자, 국제올림픽위원회, 시계 산업 등 스위스에 대한 해외 인식이 대부분 프랑스어권 지역을 비롯했기 때문에 존재감이 크다. 한국어 국명도 독일어 '슈바이츠'가 아니라 프랑스어에서 온 '스위스'이다. 스위스는 프랑코포니 정회원국이며 국제 무대에서 프랑스어를 꾸준히 사용한다.[22] 스위스 국가대표팀 유니폼에도 국가 이름은 프랑스어로만 쓰여져 있다.

이탈리아어 티치노 칸톤 및 일부 지방에서 쓰이고 있다.

그라우뷘덴(Graubünden) 칸톤에서 사용되는 고유어 로망슈어는 말이 국어지, 실제론 사어에 가깝다. 프랑스 오크어 영국에 남아 있는 게일어 수준. 그냥 자치권을 존중해주는 나라이다 보니 국어 지위를 갖게 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스위스 학교는 독일어권에서는 프랑스어→이탈리아어 순으로, 프랑스어권에서는 독일어→이탈리아어 순으로, 이탈리아어권에서는 독일어→프랑스어 순으로 기타 국어들을 가르친다. 결론적으로 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의 순서가 보편적인 것이다.

2018년 연방 통계청에 의하면 반세기 가까운 기간 동안 프랑스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사용자 비율이 23%로 커진 반면, 독일어는 63%로 줄고 이탈리아어와 로망슈어는 각각 8%와 0.5%로 줄었다고 밝혔다.

5.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인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 전체 인구
1950년 4,694,000명
1955년 4,980,000명
1960년 5,362,000명
1965년 5,943,000명
1970년 6,267,000명
1975년 6,404,000명
1980년 6,385,000명
1985년 6,534,000명
1990년 6,796,000명
1995년 7,081,000명
2000년 7,167,000명
2005년 7,410,000명
2010년 7,832,000명
2015년 8,320,000명
2016년
2017년
2018년 8,544,000명
2019년
2020년 8,637,000명
2021년

6.1. 출생 인구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생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 출생 인구
2000년 75,000명
2005년 73,000명
2010년 80,000명
2015년 87,000명

6.2. 기대 수명

1965년부터 현재까지의 기대 수명은 다음과 같다.
시기 기대 수명
1965년 72세
1970년 73세
1975년 74세
1980년 75세
1985년 76세
1990년 77세
1995년 78세
2000년 79세
2005년 81세
2010년 82세
2015년 83세

6.3. 출산율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1965년부터 2019년까지의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
시기 출산율
1965년 2.59명
1970년 2.10명
1975년 1.61명
1980년 1.55명
1985년 1.52명
1990년 1.58명
1995년 1.48명
2000년 1.50명
2005년 1.42명
2010년 1.52명
2015년 1.54명
2019년 1.48명

계속되는 낮은 출산율로 인해 애만 낳으면 그 뒤는 국가가 모든 것을 책임진다라는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 덕분에 배우자가 없이 혼자 애를 보는 부모들을 향한 지원과 인식이 좋다.

7. 자연

고산 지대가 많다 보니 산악 철도 경험을 할 수 있다. 알프스 산맥을 뚫고 가는 장대 터널이 스위스- 이탈리아 사이에 여러 개 있다. 여름에만 한시적으로 열리는 알프스 자동차 길은 총 8개가 있으며, 해발 2,500m를 넘나드는 자동차 길을 알프스 경치를 즐기면서 달릴 수 있는 알프스 여행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다.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17064277617_9c5d729f5e_b.jpg

산간 지대임에도 서안 해양성 기후(Cfb)를 띠며, 연평균 8~10℃로 사계절이 있고 계절별 기온 차가 적어 비교적 온난하다. 다만 체르마트(Zermatt), 다보스(Davos)처럼 고도가 매우 높은 곳은 온대 고산 기후(Dfb~Dfc)를 띠기도 한다.

8.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높고 험난한 산에 살면서 오스트리아에 대항해 독립투쟁을 수도 없이 해댄 덕분인지 싸움을 잘해서 중 근세 시기 스위스 용병은 최강급의 전사들이었다. 16세기에 스위스 용병은 파이크를 최초로 도입하여 파이크 전술이라는 신전술을 사용하였고, 이로서 그 당시 최강이었던 기병을 거의 무력화시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당시 스위스 용병은 최강의 병사가 될 수밖에 없었다. 지금도 바티칸 시국에서 교황청을 경비하는 병력은 스위스 용병 근위대다. 용병 수출은 스위스가 연방이 되면서 법으로 금지했기 때문에 전통에 따라 교황청에 보내고 있는 스위스 근위대를 제외하면 없다. 이들도 법적으로는 치안 경찰로 분류된다.

징병제를 시행하는 나라다. 기초군사훈련 기간이 18-21주 정도로 4~5주 정도인 한국보다 훨씬 길다. 다만 징병제의 강도 자체는 한국보다 널널한 편인데 매년 19일씩 6회 소집되어 군복무를 한다. 총 동원기간은 260일. 동원기간이 끝나면 2년간 미동원 예비군에 편성되는 제도가 있었으나 2016년부터 폐지되었다. 봉급은 실업급여 + 복무 1일당 5 스위스 프랑. 스위스에선 실업급여가 실업 전 봉급의 100%라 사회에서 받던 것보다 더 받는다.

복무기간이 짧은 대신, 복무를 미루는 것이 매우 힘들어서 대부분 만 20살 때 바로 입영한다. 그리고 안그래도 복무기간도 짧은데다가 면제자는 만 30세까지 10년간 소득의 3%를 국방세로 떼어가기 때문에 병역비리가 적다. 대체복무 제도도 있는데, 양심적 병역거부자들도 대체 복무를 할 수 있다. 봉급은 현역과 동일하며, 복무기간이 390일이다. 보통은 만 34세까지 의무 복무하고 병역특례 같은 제도가 없다.

예비군 기간 동안 개인화기를 집에서 보관하는 것이 의무였다. 2011년 총기범죄를 줄이기 위해 보관장소를 무기고로 이전하자(더불어 총기법률을 까다롭게 하자)는 국민총투표가 상정되었으나 투표 결과 반대. 다만 집에 보관해야만 하는 의무는 해지되었고, 인근 무기고에 보관해도 되는 것으로 법이 느슨해졌다. 당연하지만 자발적으로 집에 보관하는 것도 여전히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총기 소유도 자유로워서 이 좁은 나라에 약 110만 정 가량의 총기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05년 기준 인구의 29%가 총기를 소장하고 있었다고 하며, 현재 전세계에서 19위의 총기 소지율을 보이고 있다.[23]

총을 이용한 살인사건 등 총기 범죄는 간간히 일어나긴 하지만 미국 등 개인 총기 소유가 합법인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매우 낮은 편이다. 미국과 비교하면 2009년 기준 대략 인구 비례로 10분의 1 수준. 개인 총기사고, 그것도 범죄에 사용하는 게 아니라 가지고 놀다가 빵! 하거나 실수로 쏘는 경우인데 이 역시 다른 나라와 비교하자면 준수한 수준으로 개인 총기 소유가 합법화된 나라들 중에서는 물론 불법인 싱가포르 등과 비교할 경우에도 낮은 수준이다. 실질적으론 세계에서 제일 낮은 편이다. 아무래도 총기 보유자들이 모두 군사 훈련을 받은 적이 있는 예비군이다 보니 다른 나라에 비해 사고가 덜 나는 듯 하다.

원래 2007년까지만 해도 군용 지급 실탄 50발(권총을 지급받는 보직의 경우 48발)을 각자 집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 탄은 유사시 각자의 군부대로 달려가는 동안 사용하라는 용도로, 평소에는 봉인 상태로 보관하고 정기점검을 받게 되어 있었다. 2007년부터는 법 개정으로 공항경비 같은 긴급대응대에 속한 인력을 제외하곤 실탄은 동사무소 등에서 일괄 보관하도록 바뀌었다. 하지만 이는 군용탄의 경우고 민수용 탄은 민간 총포사에서 군용총에 쓸 수 있는 같은 구경의 탄환을 포함해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다. 애초에 거둬들인 군용탄도 사격장 등지에서 다시 파는데, 다만 사격장 판매탄은 사격장에서 모두 소모하는 것이 원칙이다. 스위스의 군용탄은 민수용 저격등급 정밀탄 품질인 걸로 유명하다.

사냥용이나 스포츠용 단발식( 볼트액션)이나 다총신(주로 더블 배럴 샷건), 1900년 전 생산된 앤티크나 전장총(머스킷 등)은 자유 무기라고 해서 구매 제한이 없고, 연발식 총은 무기 구매 허가가 필요한데 18세 이상, 정신병 경력이나 범죄경력이 없으면 얻을 수 있다. 스위스는 총기 스포츠가 극히 발달한 나라이며 총이나 탄약 구하기 어려운 일은 잘 없다. 사실 법적으로 표창이나 오토폴딩 나이프, 실총과 유사한 형태의 에어소프트건 같은 것의 구매 난이도는 실총의 구매난이도와 거의 비슷하다. 예외적으로 스위스 아미 나이프는 법조항으로 별도 언급해 허용된다. 스위스에서 총기 관련으로 문제되는 건 총기범죄보다는 총기자살율인데, 주변국보다 좀 높다.

총기 관련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예비군이 끝나면 총기를 반납해야 되는데, 계속 소유하고 싶다거나 잃어버렸다거나 하면 총값을 정부에 지불해서 해결이 가능하다고 한다.

2019년 5월 19일에 스위스에서는 EU수준으로 총기를 규제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

국가적으로 사격술을 장려하는데, 스위스군 역시 명중률에 대한 집착이 아주 어마어마해서 스위스제 군용 제식 소총은 대대로 명중률이 저격총에 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K31은 당연하다듯 저격소총 수준이며 SIG SG510, SIG SG550도 준 DMR급이고, 특히 550은 돌격소총 주제에 엎드려 쏴에 유리하다고 20발 탄창을 더 애용한다고 한다. 권총마저도 권총계의 롤스로이스 소리 듣던 SIG P210이나 SIG P220을 쓰니 210은 복열탄창보다 단열탄창이 그립감 좋고 명중률 좋다는 이유로 단열이 채용됐을 정도이다.

리히텐슈타인을 보호국 비슷한 방식으로 두고 있다. 2007년 리히텐슈타인을 의도치 않게 침공하는 사고를 터트렸다. 정확히는 군사훈련 중 길을 잃은 것. 스위스 측에서는 이에 대해서 사과했으나 정작 리히텐슈타인 정부에서는 스위스에서 말하기 전까지는 몰랐다고 한다.

내륙지방, 그것도 산간지방이지만 놀랍게도 해군이 존재한다. 단 바다가 아니고 호수를 지킨다고 한다.

두 차례 세계대전을 모두 피해가면서 딱히 그럴싸한 국난 없이 20세기 내내 평화를 유지해온 몇 안되는 나라이지만 2차세계대전 당시 영공을 무단침입한 나치 독일의 루프트바페와의 소규모 공중전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스위스공군이 주력으로 운용하던 D-3800 시리즈와 독일제 Me 109가 이 공중전에서 활약을 했었다고. 게다가 스위스 영공을 실수로 침범한 연합군 폭격기들의 오폭이 심해지자 자국 영공에 타국의 항공기가 들어오는대로 강제착륙시켰고, 일부 기종은 공군에 편입시켜 사용했다고 한다.

의외로 방위산업이 발달한 나라이다. 냉전기 판처 58, 판처 61, 판처 68등 주력전차들을 자체적으로 만들어내 전력화한 경험이 있으며, 필라투스라는 기업에서 PC-7, PC-9, PC-21 등의 훈련기를 독자개발 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했으며, 일부 국가에도 수출까지 했다. 그 외 다양한 총기류도 자체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중립국이지만 장비 모두 나토 규격을 따르고 있다.

소국인지라 군대의 규모가 작지만 질적으로는 우수한 편. 육군은 독일제 레오파르트2 주력전차와 미국제 M109 자주곡사포, 스웨덴제 CV90 보병전투차를 보유중이며, 피라냐 장갑차같은 자국산 장비도 두루 갖추고 있다. 공군은 현재 F/A-18 F-5를 주력 전투기로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F-5도 상당히 낡은 물건인데다 F/A-18의 노후화로 기존 전투기를 대체할 전투기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후보 기종으로 다쏘 라팔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경합에 참여했으나 미국의 F-35A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국토가 워낙 협소한지라 전 국토 어디든 20분 안에 전투기 급파가 가능하다.

공격헬기가 단 한 대도 없다.

9. 정치

중부유럽 의 정치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영세 중립

파일:스위스 영세 중립.jpg
[24]

스위스는 1499년 독립 이후로 영세 중립을 고수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유럽에는 또 다른 영세 중립국인 룩셈부르크도 있었지만 제1,2차 세계 대전 때 독일 제국 나치 독일에 의해 중립성을 무시당하고 무력 침공을 당하면서 1945년 영세 중립을 포기한 바 있다. 스위스는 인접국가들에게 수차례 침공을 받았으나 놀랍게도 전부 전쟁에서 이기고 힘으로 쟁취한 중립으로 유명하다. 제1, 2차 세계 대전과 동서 냉전 와중에도 영세 중립을 지킨 나라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쳐들어와 프랑스의 괴뢰국으로 전락했던 것을 빼고는 주권을 빼앗긴 적이 없었다.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는 스위스를 침략할 생각을 여러 번 했다가 득보다는 실이 클 것이라는 판단을 내려 결국 그만둔 바 있는데 스위스도 뒤로는 나치의 지원금을 댔다.[25] 동서 냉전기에도 중립을 고수하여 UN(유엔), NATO, EU(유럽 연합)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UN을 제외한 나머지 두 기구에는 현재까지도 가입하지 않고 있다. UN 역시 냉전 종식 이후에도 한동안 가입하지 않다가 2002년 9월 10일에야 뒤늦게 가입했는데, 보수파들은 중립 의지가 약화된다며 UN 가입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스위스보다 더 늦게 UN에 가입한 나라는 21세기에 들어서야 독립한 동티모르(2002년 9월 27일 가입), 몬테네그로(2006년 6월 28일 가입), 남수단(2011년 7월 14일 가입)뿐이다.

이 때문에 스위스는 아직 UN 안보리의 비상임이사국 직을 수행한 적이 없다. 다만 국가들 간의 협의 결과에 따라서 2023년부터 2024년까지 비상임이사국 직을 수행하기로 예정되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유엔 유럽본부 사무국, 유엔 인권최고대표 사무소(Office of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26]을 비롯, 유엔 산하의 세계보건기구나 국제노동기구 등 유엔 관련기관 대다수는 스위스가 유엔에 가입하기 훨씬 전부터 제네바에 설치됐다. 이는 유엔의 전신이 다름아닌 국제연맹(LoN)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영세 중립국이라는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각국 정상들이 회담하기 좋은 장소란 점을 강하게 어필한 덕도 있다.

2010년대 들어서 스위스의 유럽연합 가입 논의가 국내에서 조금씩 시작되고 있다. 국민투표라는 거대한 벽이 가로막고 있지만, 논의 자체는 이뤄지고 있는 중이다. 스위스가 가입하면 리히텐슈타인까지 EU에 같이 가입하게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익대표부(Interests Section)를 스위스 대사관에 설치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27] 스위스 외교부가 대놓고 홈페이지에 홍보할 정도. #

다만 스포츠에서는 일찍이 IOC, FIFA, BIE(국제박람회기구) 같은 단체에 조기로 가입한 정회원국이며 제프 블래터 전 FIFA 회장이 이 국가 출신이기도 하다. 또한 IOC, FIFA 본부가 로잔, 취리히에 있기도 하다.

하지만, 2020년에 스위스 암호장비 업체 크립토AG와 CIA의 연계 의혹 보도로 ‘중립국’으로서의 명성이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 스위스 정부는 크립토AG를 고소하였다. # 스위스 정보기관이 과거 자국의 암호장비 제조사 크립토AG와 CIA의 정보 협력으로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22년 2월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중립국으로서의 금기를 깨고 서방의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면서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고 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단, 이번 사건은 명백히 러시아의 실책이라 세계 여론이 우크라이나에게 기울고 있는 만큼 이번만은 예외적으로 중립을 깨고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거라 이번 전쟁이 끝나면 다시 중립국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국제적 분쟁 발생시 언제든 한쪽 편을 들 수 있다는 선례가 생긴 이상 중립국 스위스라는 이미지와 신뢰도에 손상이 생긴 것은 사실이다.[28] 전술했듯 과거 나치에게 은밀히 협력한 전과 때문에 영세 중립국의 위상에 일찌감치 금이 갔지만 말이다.

어쨌든 중립국이란 입장상 분쟁지역에 무기 수출, 재수출금지라는 규정을 지키고 있다고 하는데, 스위스제 장갑차로 추정되는 차량이 우크라이나의 전투 지역에서 발견되어 스위스 당국이 조사에 들어갔다고 한다. # 조사 결과 스위스제 장갑차가 맞고 스위스 정부의 허가 없이 재수출되었다고 한다. #

11.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사회

물가가 비싸다. 오죽하면 '스위스에 온 외국인은 세 번 놀란다. 스위스의 수려한 풍경에 놀라고, 이 풍경을 철저하게 가꾼 스위스 사람들의 노력에 놀라며, 비싼 물가에 놀란다.'는 말이 있을 지경. 다른 서부, 북부 유럽 국가도 비싼 물가로 악명이 높지만, 스위스에는 한 수 접어줘야 할 정도다. 다만 스위스의 평균 임금이 전세계 탑급 수준인지라, 자연스레 물가 또한 높아질 수밖에 없다.

취리히, 제네바는 매년 세계 물가 순위에서 선두를 오가고 2011년부터 스위스 프랑의 강세로 인해 외국인의 체감 물가는 더 비싸졌다. 스위스의 빅맥지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빅맥 세트가 10프랑이 넘고(게다가 케찹은 별도로, 조금 크지만 하나에 1프랑이나 된다), 중앙역 앞 생맥주 500cc 한잔에 5 ~ 10프랑이 기본이라서(외국 방문객 기준) 극악의 물가를 보이고 있다.[29] 그나마 과일은 싼 편이다. 특히 대도시에서는 일반적으로 여행자들이 여행가서 식사를 하게 될 경우 간단한 파스타 위주로 식사를 하더라도 엄청난 가격에 시달리게 된다.

스위스 식당뿐만 아니라 맥도날드 같은 다국적 프랜차이즈까지 높은 가격을 보이는 이유는 자국 요식업이 고사하는 걸 염려한 정부가 프랜차이즈 업계가 진입할 때 매우 극심하게 규제하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맥도날드 같은 경우는 스위스산 소고기에 양파, 샐러드, 빵, 치즈 등도 전부 스위스산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허가받았다. KFC의 경우 협상 결렬로 아직 스위스 입점이 요원했지만 제네바에 드디어 1호점이 생겼다.

장바구니 물가도 딱히 싸다고 보기 어렵다. 할인점이라는 MIGROS, COOP의 수준조차 주변국에 비하면 비싸다.[30] 이웃나라의 물가가 스위스에 비해 싸서 일반적인 스위스인들은 이웃나라로 장을 보러 가는 경우가 잦다. 이웃나라에서 파는 공산품이나 식료품 가격과 스위스에서의 가격을 비교하면 반값도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자국의 소득과 이웃 국가의 물가를 상대 비교하면 많은 소비가 가능하고 생활비를 아낄 수 있다. 반대로 주유는 독일이나 프랑스에서 스위스로 들어와서 하는, 일종의 '역수출' 아이템이다. 스위스의 기름값이 독일이나 프랑스의 기름값보다 거의 항상 싸다. 프랑스인들은 담배도 스위스에 들어와서 사는 경우도 많다. 주유든 담배든 가격이 싼 이유는 세금 차이 때문이다. 다만, 일상적인 쇼핑을 대부분의 스위스 거주인들이 독일 등지에서 하고 오지는 않는다. 취리히 등의 대도시에서 독일까지 가려면 못해도 30분은 족히 걸리며 매주 식료품을 사러 1시간 이상씩 운전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반입 물품에도 많은 제약이 있어서 예를 들어 고기 같은 경우는 한번 갈 때 1kg 이상은 반입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2015년 초에는 피자 배달과 관련한 문제가 터졌는데, 독일 국경 주변의 피자집들이 스위스보다 싸기 때문에 일부 피자집들은 배달 구역에 스위스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지만, 세관에서 트집을 잡기 시작하면서 피자 배달이 불가능해졌다. 어쨌든 90년대 들어 이웃 국가로 쇼핑을 가는 게 유행이 되자 스위스 유통 업계가 엄청난 타격을 입어서 유통 구조 개선 논의가 있었지만 현재까지도 비싼 물가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중이다. 게다가 고물가로 인해 스위스의 스키장에 관광객이 감소하자 40년만에 스위스내 스키장에서는 할인행사를 하는 등 변화하고 있다. # 그리고 스위스의 취리히 공항은 유럽내에서 택시요금이 km당 가장 비싼 공항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

특이하게 가솔린의 경우, 스위스가 이웃나라들보다 더욱 저렴하다. 디젤은 옆나라 독일이 약간 더 싸지만 별 차이 없는 수준. 스위스의 비교적 낮은 세율에 기인하는 것인데 유럽 기준으로 아주 낮은 편인 8%의 부가 가치세도 그렇고 (독일의 경우 품목마다 다르지만 12% 이상) 소득세는 전세계적인 기준으로도 매우 낮다. 소득 10만 프랑 정도인데 세금이 10%가 안 된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들이나 배우들이 스위스에 눌러 앉는 경우도 많다.[31] 코로나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영국, 독일 등 유럽의 부국들조차 치솟는 물가, 인플레이션에 시달릴 때 유일하게 인플레의 태풍을 피한 국가이다.
석유 대신 OOO 보유국…스위스엔 왜 인플레가 없을까

스위스는 내륙국인 데다가 이웃나라의 입국 절차도 까다롭지도 않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빠르면 2일, 늦게는 3일 정도 잡아서 4개국을 순방할 수 있다. 리히텐슈타인을 포함하면 5개국까지 순방이 가능하다.

한편 스위스에 체류할 경우에는 높은 물가 중에서도 유독 아파트 임대료가 특히 비싼 편인데, 취리히나 제네바의 경우는 교통 좋은 곳에 위치한 평범한 방 2개짜리 조그마한 아파트의 월세도 가격이 비싸고,[32] 괜찮게 지은 방 4~5칸짜리 단독 주택은 위치와 주위 경관이 좋을 경우 거의 월세가 아닌 수준까지 올라간다. 이런 상황임에도 빌릴 아파트가 없을 만큼 집을 구하는 사람에 비해 빈 아파트 수가 적어서 조금이라도 싸게 나왔거나 교통이 편한 곳에 아파트가 나오면 수십명이 지원하기도 한다. 스위스의 가계 부채 문제는 유럽에서 심각한 축에 든다. 다만 일반 서민들은 공공임대주택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신고 정신이 매우 투철해서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바로 신고한다. 이스라엘 모사드 공작원이 이웃집 주부의 신고로 붙잡힌 일이 있다. 그리고 사회 전체적으로, 특히 대도시를 벗어난 시골의 경우 남한테 피해를 주거나 받는 행위가 좀 심하다 싶을 만큼 기피된다. 공동 주택(소위 아파트)에서 밤 10시 이후에 남성이 소변을 볼 경우 소리가 적게 나도록 앉아서 봐야 한다거나, 변기 물은 11시 넘어서는 내리면 안 된다거나, 일요일에는 청소기 사용 금지 등 이것 저것 엄청 따져가며 규칙을 만들어 놓고 지키지 않으면 이웃 주민이 관리 회사에 신고, 경고가 누적되면 쫓겨나는 등 굉장히 엄격하다.

2013년 10월, 기본 소득 제도를 발의해 투표에 들어가기도 했다. 통과되면 스위스 사람들은 성인 기준 매달 2,500 스위스 프랑, 미성년자는 650 스위스 프랑 가량을 받게 될 예정이었다. 실제로 이런 논의가 국가적으로 현실화된 것은 스위스가 처음이다(다만 미국 알래스카 주에선 이미 1970년대부터 기본 소득제를 시행하고 있고 브라질이나 나미비아에서 기본 소득제가 시범적으로 도입된 적은 있다). 6월 5일, 국민 투표로 결정되기 전에 반대 의견이 더 많았고 국민 투표에서 77%의 반대로 부결되었다.

2021년 1월,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코로나19 방역 법률의 타당성을 묻는 국민투표가 치러지게 되었다.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문제와 공중보건을 위해 시민의 생활을 제한하는 국가 정책 사이의 갈등이 전국민적인 차원에서 공적인 투표를 통해 논의되는 사상초유의 사건이 되었으며, 국민투표는 6월에 끝냈다.

스위스 정부가 동성커플의 결혼을 허용하는 투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스위스 국민투표에서 64.1%가 동성커플의 결혼, 입양을 허용한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동성커플의 결혼을 허용하는 법이 개정되어 통과됐다. #

13.1. 배타성

파일:external/media.cagle.com/144423_600.jpg

2023년 현재 많이 줄어들었으나, 인종차별은 여전히 남아있다.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심하다고 하며, 공개적으로 특정 인종의 입국을 거부하거나 거주하는 걸 막는 법률을 제정하려는 일부 인종차별주의자들의 활동이 각 칸톤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는 나라 자체가 약간 폐쇄적이다. 내륙국이지만 이런 점에서는 섬나라와 더 비슷하다.[33] 시민권도 12년 이상 거주해야 딸 수 있을 정도로 어렵다. 스위스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도 영주권자 신분으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스위스는 유럽에서 극우 정당의 영향력이 매우 강한 나라 중 하나이기도 하다. 2000년대 이래 극우 정당인 스위스 국민당(SVP)이 꾸준히 20%대의 지지율을 얻고 있으며, 2013년에는 원내 1당의 자리에 올라있다. 2015년 총선에서도 원내 1당이 되었다. 다만 이 정당은 네오 나치까진 아니고, 원래 스위스 농상공인연합(BGB)이라는 정당과 구 스위스 민주당(DP)이 1971년에 합당되어 만들어졌다. 전신에서 알 수 있듯 원래는 농민과 자영업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던 정당인데, 보호무역과 자국의 이익을 강조하다가 1990년대에는 아예 극우로 치닫은 것이다. 근거 어쨌거나 이 정당은 외국인들을 '검은 양'에 비유하는 포스터까지 만들어서 상당한 어그로를 끈 바가 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축구에서는 대한민국과 같이 B조에 속하게 되었다. 이 때 스위스 선수 중 ' 미첼 모르가넬라'라는 수비수가 있었는데 한국과의 2차전 경기내내 할리우드 액션으로 박주영 선수에게 옐로우 카드를 먹였다. 경기 내내 비신사적인 행동을 하던 그는 경기 종료 후 자신의 트위터에 올라와있는 한국인들의 비판에 '한국인들은 모두 불에 타 죽어라', '한국인들을 두들겨 패고 싶다는 식의 글을 올렸다. 결국 이 행태가 자국 언론으로 퍼져 논란이 불거지자 결국 해당 글은 삭제되었고 장 질리 스위스 선수단장은 이 선수의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했으며 한국인들과 대한축구협회에 사과한다고 전했다.

2013년에는 미국 유명 연예인이자, 미국 여성 10대 대부호[34] 중 하나인 오프라 윈프리가 스위스 명품매장에서 물건을 고르다 흑인이라는 이유로 점원으로부터 "당신이 살 수 있는 건 없다."[35]는 모욕을 당하기도 했다. 해당 매장 직원은 변명을 나불댔지만 당연히 잘렸고, 스위스 관광청 차원에서 윈프리에게 사과하기도 했다. 게다가 스위스의 한 호텔은 " 유대인은 수영 전에 샤워를 먼저 해야 한다"는 문구를 걸어놓아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항의를 받았다.[36][37]

이런 정서에 또 기름을 붓는 것이 외국인(특히 난민들)의 범죄율이 대단히 높다는 점이다. 2013년 10월 KBS 보도에 따르면 전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이민자/외국인들이 전체 스위스 범죄의 53%를 저지르고, 특히 성범죄의 85%를 저지른다고 한다. 현지 인터뷰에 따르면 여성들은 밤에 외국계 범죄조직 때문에 밖에 자유로이 나가지도 못한다고. 가뜩이나 원래 차별이 심한 나라에서 설상가상으로 외국인들이 범죄까지 많이 일으키니, 외국인에 대한 스위스인들의 인식이 어떨지는 안 봐도 뻔하다. 유럽 난민 사태와 그 와중에 일어난 쾰른 성폭행 사건으로 인해 스위스인들의 외국인 혐오 정서는 당분간 개선이 어려울 듯 하다.

외국인 혐오정서는 같은 유럽인들에게도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38] 백인들 사이에 무슨 차별이 있겠냐는 생각을 할지도 모르겠지만 말하자면 인종과 상관없이 외국인 혐오 정서가 강하고, 오랜 고립주의 정책에 따른 폐쇄적인 마인드가 강한 편이다. 심지어는 같은 언어를 쓰는 독일인들에 대한 차별도 심하다. 2014년 한 취리히 공대의 독일인 교수가 이 나라는 인종차별 쩔어서 못 살겠다라면서 사표 내고 고향으로 돌아간 사건이 있었는데, 같은 백인에 언어도 똑같고, 문화도 비슷하며 사회, 경제적으로도 흠 잡을 구석이 없는 독일인들 상대로도 타이어에 칼자국 내 놓고 사이드미러 박살내 놓는 등 외국인 혐오 범죄에 시달린다고 한다. 이렇듯 같은 백인들도 국가가 다르단 이유로 차별받는데 흑인이나 황인들이 좋은 대접 받을리가 절대 없다. #

따라서 다인종 사회가 대다수인 유럽에서도 단일민족주의 국가에서나 보이는 반이민주의 + 반민족주의 + 순수혈통주의가 합쳐진 대안 우파적인 정서가 유독 많이 보인다. 즉 스위스 태생의 유럽인을 제외하고는 인종차별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유럽계 백인을 제외한 다른 민족 혈통의 스위스인, 같은 백인 혈통이라도 외국인이라면 전부 인종차별의 대상이 될 수 있다.[39]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이민자 출신 선수들이 상당히 많다. 그라니트 자카, 제르단 샤키리, 발론 베라미, 아드미르 메흐메디(알바니아), 하리스 세페로비치(보스니아), 필리페 센데로스, 리카르도 로드리게스(스페인어권), 무라트 야킨, 괴칸 인러(튀르키예), 브렐 엠볼로, 이봉 음보고(카메룬 출신 이민자), 요한 주루(코트디부아르 출신 이민자), 마누엘 아칸지(아버지가 나이지리아인), 데니스 자카리아, 조르당 로통바(콩고민주공화국) 등.

2020년 2월 9일에 스위스는 성소수자 차별을 금지하는 법안을 두고 투표를 시작했다. # 그리고 성소수자 차별을 금지하는 법안이 국민투표에서 대부분 찬성표를 던졌다. #

스위스에서 인종차별에 따른 피해 상담 사례가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20년 9월 27일에 스위스에서 67%가 EU시민권자의 이민을 제한하는 헌법개정안에 대해 반대했다.

14. 교육

파일:스위스 국장.svg
스위스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파일:440px-University_of_Basel_logo.png 파일:500px-Logo_Universität_Bern.svg.png 파일:300px-Universität_Freiburg_logo.png 파일:400px-Uni_GE_logo.png 파일:Neuchatel_Logo.png 파일:400px-Logo_Université_de_Lausanne.svg.png
바젤 대학교 베른 대학교 프리부르 대학교독/프 제네바 대학교 뇌샤텔 대학교 로잔 대학교
파일:246px-Logo_Universität_Luzern.svg.png 파일:250px-USI_Logo.svg.png 파일:University_of_St._Gallen_logo_english.png 파일:400px-Universität_Zürich_logo.png 파일:2880px-Logo_EPFL.png 파일: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Simplified 로고.png
루체른 대학교 이탈리아어권 스위스 대학교 장크트갈렌 대학교 취리히 대학교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 독: 독일어 사용, 프: 프랑스어 사용, 이: 이탈리아어 사용 }}}}}}}}}

스위스 교육제도는 독일 교육제도와 거의 비슷하며 독일와 다른점은 초등교육이 6년제 이다. 초등학교 취학연령은 7세이며, 스위스내에 거주하는 아동은 의무적으로 공립 또는 사립학교에 다녀야 한다. 의무교육기간은 6년이며, 교사 1명이 한 학급에 대해 전 교과목을 가르친다. 초등학교는 그 학교의 모국어에 따라 배우는 외국어 과목이 달라지는데, 독일어가 모국어인 지역의 학교를 다니면 프랑스어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운다.

스위스 학교들은 9월에 학년도를 시작하고 10월에 가을방학, 12월 하순에서 1월 상순 사이에 크리스마스 방학, 2월~3월 사이에 겨울방학, 부활절 전후로 부활절 방학 ( 봄방학), 그리고 6월부터 8월까지 여름방학을 한다.

중등교육(secondary)은 우리나라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lower secondary” 와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upper secondary”로 나뉘어진다. 의무교육은 중등과정 level 1인 “lower secondary”까지이다. 부모가 스위스에 거주해야만 공립학교의 진학이 가능하며, 외국인 학생이 일반 공립대학에 입학 하고자 할 경우, 고등학교 졸업장과 스위스 고등학교 졸업 시험(Maturitat)에 기준한 몇개 과목의 입학시험을 치러야 한다. 독일어는 김나지움Gymnasium, 프랑스어로는 리쎄 Lycée 라고 불리며, 주요 교과목별로 학교가 분류된다. 김나지움 진학 희망자는 우리 식으로 중학교 3년 과정을 졸업해야하며, 김나지움에서는 본인선택에 따라 아래와 같은 중점 교육을 실시한다.

스위스 대학교육은 총 12개의 대학교와 그외 응용과학대학교 있으며, 대학교은 연방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연방공과대학교 2개와 주정부 관할 하에 운영되는 일반대학 10개가 있다. 스위스의 대학은 인문, 사회보다도 고부가 가치의 과학, 엔지니어링 또는 실용기술을 중시하는 제도로 편성되어 있다. 일반 대학교 진학 희망자는 Gymnasium을 마치고 대학 진학 자격증서인 Martura를 소지하여야 한다. 응용과학대학교은 직업훈련을 마친후, 학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 진학하게되는 3년 과정의 대학이다. USA는 스위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1개 권역마다 1개의 USA 가 지역정부와 국내,외 업체의 후원하에 운영되어 왔으나, 2005년 4월 1개의 사립 기술전문대학이 정부에 의하여 인가됨으로써 총 8개가 운영중이다.

스위스의 직업교육은 독일처럼 도제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독일보다 우수한 직업교육으로 독일에서도 스위스로 직업교육을 받으려 오며 제일 인기 있는 직업학교는 호텔, 금융, 상업쪽 직업학교가 인기가 많다.

15. 요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종교

2015년 기준으로 가톨릭교회가 36.5%, 스위스 개신교회( 개혁교회+ 감리회) 24.5%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중부와 남부에 가톨릭이 퍼져있고, 서부와 동부 끝부분쪽에 개신교가 퍼져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다. ##

개신교의 경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40], 기욤 파렐을 주축으로 종교개혁이 주도되었기 때문에 루터교회는 없고, 대부분 개혁 교회 위주다. 종교 개혁 과정에서 제1, 2 스위스 신앙 고백서(Helvetic Confession)가 작성되기도 했다. 칼 바르트 신정통주의의 고향이기도 하다. 스위스 내에도 이민이 증가하면서 이슬람교, 정교회 등을 믿는 주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2021년 3월 7일에 부르카 니캅 착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


17. 행정 구역

파일:스위스 국장.svg
스위스의 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바젤슈타트 주장.svg
바젤슈타트
파일:바젤란트 주장.svg
바젤란트
파일:졸로투른 주장.svg
졸로투른
파일:아르가우 주장.svg
아르가우
파일:취리히 주장.svg
취리히
파일:샤프하우젠 주장.svg
샤프하우젠
파일:투르가우 주장.svg
투르가우
파일:뇌샤텔 주장.svg
뇌샤텔
파일:쥐라 주장.svg
쥐라
파일:루체른 주장.svg
루체른
파일:추크 주 문장.png
추크
파일:장크트갈렌 주장.svg
장크트갈렌
파일:아펜첼아우서로덴 주장.svg
아펜첼아우서로덴
파일:아펜첼이너로덴 주장.svg
아펜첼이너로덴
파일:프리부르 주장.svg
프리부르
파일:베른 주장.svg
베른
파일:옵발덴 주장.svg
옵발덴
파일:니트발덴 주장.svg
니트발덴
파일:우리 주 문장.png
우리
파일:슈비츠 주장.svg
슈비츠
파일:글라루스 주 문장.png
글라루스
파일:제네바 주 문장.png
제네바
파일:보 주 문장.png
파일:발레 주 문장.png
발레
파일:티치노 주 문장.png
티치노
파일:그라우뷘덴 주 문장.png
그라우뷘덴
1. ‡ 표시는 반주(Halbkanton).
2. 흰색 ( 독일어). 파란색 ( 프랑스어). 초록색 ( 이탈리아어).
옅은 파란색 (프랑스어+독일어권). 라임색 (이탈리아어+독일어+ 로망슈어).
}}}}}}}}}}}} ||

17.1. 너츠

파일:900px-Karte_Grossregionen_der_Schweiz_2018_kr.png
너츠(NUTS)는 스위스의 지역 분류로 7개의 지역으로 나뉜다.
Nomenclature of Territorial Units for Statistics의 약자로 통계용 영토 단위 명명법 이라는 뜻이다. 주로 EU 회원국에서 통계을 위해 나누는 지역 분류로 스위스는 EU는 아니지만 EFTA 가입국으로 속해 있다. 각각 너츠1, 2, 3 단계로 나누어 지는데 국가는 너츠1 단계이고 지금 아래에 나와 있는 7개의 분류는 너츠2 단계이다. 다시 26개의 칸톤이 너츠3 단계가 된다. 그 아래에는 라우(LAU)가 1, 2단계 있다. 라우1 단계는 지구이며 라우2 단계는 코뮌이다. 영어 위키피디아의 문서 참조.

1. 제네바 호수 권역(Lake Geneva region)
, 발레, 제네바, 몽트뢰, 브리그, 로잔, 체르마트
2. 중앙 고지(Espace Mittelland)
베른, 프리부르, 졸로투른, 뇌샤텔, 쥐라
3. 서북 스위스(Northwestern Switzerland)
바젤슈타트, 바젤란트, 아르가우, 아라우
4. 취리히(Zurich)
취리히, 빈터투어
5. 동 스위스(Eastern Switzerlan)
글라루스, 샤프라우젠, 아펜첼아우서로덴, 아펜첼이너로덴, 장크트갈렌, 그라우뷘덴, 투르가우, 쿠어, 생모리츠, 다보스
6. 중앙 스위스(Central Switzerland)
루체른, 우리, 슈비츠, 옵발덴, 니트발덴, 추크, 슈피츠, 인터라켄, 안데르마트
7. 티치노(Ticino)
티치노, 벨린초나, 로카르노, 루가노

17.2. 칸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Swis1-map.png

스위스는 26개의 주(칸톤, 독일어: Kanton, 프랑스어: Canton, 이탈리아어: Cantone)로 구성된 연방 국가다. 스위스의 주는 1848년 스위스 연방 헌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국방과 통화를 포함한 완벽한 자치권을 보장받고 있었으며, 연방이 성립된 이후에도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고유한 정치 체계와 입법권, 행정권을 유지하고 있다. 여러 칸톤은 이른바 란츠게마인데(Landsgemeinde)로 알려진 직접 민주주의 제도를 시행하여 참정권을 가진 주민이 직접 모여 의사 결정을 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나, 이러한 방식은 1990년대 거의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아펜첼이너로덴 주와 글라루스 주에만 남아 있다.
명칭 연방 가입 주도 인구(명) 면적(km²) 공용어 비고
취리히 Zürich 1351년 취리히 1,421,895 1,729 독일어 [41]
베른 Bern 1353년 베른 1,001,281 5,959 독일어, 프랑스어 [42]
루체른 Luzern 1332년 루체른 390,349 1,493 독일어
우리 Uri 1291년 알트도르프 35,865 1,077 독일어
슈비츠 Schwyz 1291년 슈비츠 151,396 908 독일어 [43]
옵발덴 Obwalden 1291년 자르넨 36,507 491 독일어
니트발덴 Nidwalden 1291년 슈탄스 41,888 276 독일어
글라루스 Glarus 1352년 글라루스 39,593 685 독일어
추크 Zug 1352년 추크 118,118 239 독일어
프리부르 Fribourg 1481년 프리부르 297,622 1,671 프랑스어, 독일어
졸로투른 Solothurn 1481년 졸로투른 261,437 791 독일어
바젤슈타트 Basel-stadt 1501년 바젤 195,962 37 독일어 [44]
바젤란트 Basel-Landschaft 1501년 리스탈 281,112 518 독일어
샤프하우젠 Schaffhausen 1501년 샤프하우젠 78,783 298 독일어
아펜첼아우서로덴 Appenzell Ausserrhoden 1513년 헤리자우 53,691 243 독일어
아펜첼이너로덴 Appenzell Innerrhoden 1513년 아펜첼 15,778 173 독일어 [45]
장크트갈렌 Sankt Gallen 1803년 장크트갈렌 461,699 2,026 독일어
그라우뷘덴 Graubünden 1803년 쿠어 194,959 7,105 독일어, 로만슈어,
이탈리아어
[46]
아르가우 Aargau 1803년 아라우 636,362 1,404 독일어 [47]
투르가우 Thurgau 1803년 프라우엔펠트 260,278 991 독일어
티치노 Ticino 1803년 벨린초나 346,539 2,812 이탈리아어
Vaud 1803년 로잔 749,373 3,212 프랑스어
발레 Valais 1815년 시옹 327,011 5,224 프랑스어, 독일어
뇌샤텔 Neuchatel 1815년 뇌샤텔 176,402 803 프랑스어 [48]
제네바 Geneve 1815년 제네바 479,158 282 프랑스어
쥐라 Jura 1979년 들레몽 71,738 838 프랑스어 [49]
7,968,705 41,285

17.3. 반주

스위스의 26개 주 가운데 6개의 반주(독일어: Halbkanton, 프랑스어 demi-canton, 이탈리아어: semicantone, 로망슈어: mez-chantun)가 존재하며, 반주의 기원은 주마다 각각 다르다. 옵발덴 주와 니트발덴 주는 운터발덴 주로 존속하였지만, 지리적인 문제와 나폴레옹 시대에 헬베티아 공화국의 연방 가입 문제 등으로 갈라져 반주가 되었으며, 바젤슈타트 주와 바젤란트 주는 이전에 바젤 주로 존속하였으나 19세기 중반 전 유럽을 휩쓴 혁명을 두고 자유주의 성향의 바젤 시와 보수주의 성향의 농촌 간의 대립과 내전의 결과 바젤 시가 바젤슈타트 주로, 농촌 지역이 바젤란트 주로 갈라져 각각 반주가 되었다. 아펜첼이너로덴 주와 아펜첼아우서로덴 주는 아펜첼 주로 존속하였다가 1597년 스위스의 종교 개혁 때 갈라져 가톨릭 교도가 많은 아펜첼이너로덴 주와 개신교도가 많은 아펜첼아우서로덴으로 나뉘어 반주가 되었다.

반주는 독자적인 발언권을 가지지 못했으나, 1999년 스위스 연방 헌법 개정으로 반주법이 개정되면서 주의 독자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다만, 기존 주들과의 형평을 고려해서 몇 가지 점에서 차별이 있다. 제일 주요한 구분점으로 전주의회(상원)에 보내는 각 주의 대표가 다른 주들은 2명인 반면에 반주의 경우 1명뿐이며, 이외에 투표상에서도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17.4. 지구

26개 중 18개의 주[50]는 3~13개의 지구로 나뉘어져 있다.

17.5. 코뮌

스위스에는 총 2,740개의 코뮌이 존재한다. 가장 작은 코뮌은 코리포(Corippo)로 2019년 기준 11명에 불과하다.

18. 스포츠

유럽의 다른 국가들처럼 메이저 종목인 축구가 인기가 많다. 자국 리그인 스위스 슈퍼 리그도 꽤 유럽 중상위권. 명문 팀으로는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FC 취리히, BSC 영 보이즈 등이 있으며, 2000년대 들어 박주호가 활약하기도 했던 FC 바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리히텐슈타인 축구 클럽들은 모두 스위스 리그에서 뛰고 있다.

국가 대표팀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했으며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도 16강에 진출했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서는 이웃 국가 프랑스에게 5:2로 대패하여 위험해 보였으나 나머지 2경기를 모두 이겨 조 2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UEFA 유로 대회에서 유로 2008 오스트리아와 공동 개최로 자동 진출했으나 1승 2패로 만족해야 했다. 유로 2016은 본선진출에 성공했으며 유로 2020에서는 프랑스를 꺽고 8강 진출에 성공했다. FIFA 본부가 취리히에 있으며, 前 FIFA 회장 제프 블라터와 그 후임인 잔니 인판티노도 스위스 사람이다.

테니스의 황제라고 불리는 로저 페더러가 스위스 사람이다. 전세계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페더러답게 역시 자국 내에서의 인기도 굉장하다. 스위스의 3대 자랑은 알프스, 시계, 페더러라는 말이 있을 정도. 테니스 빅4 시대에 그랜드슬램 대회를 우승한 3명의 선수 중 하나인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도 스위스 사람이다.

나티오날리가 A라는 야구리그가 존재하는데 7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격이 국기라고도 언급될 정도로 어린이 때부터 즐겨하는 스포츠다.

지형이 지형이다 보니 스키, 특히 알파인 스키[51] 종목에서는 세계적인 강호이다. 거의 9~10월에 스키장이 문을 열어서 5월까지도 한다. 그렇다 보니 스위스 어린이들은 2~3세부터 스키를 배우기 시작해서 5세쯤 되면 거의 스키를 탈 줄 알고, 학교에서도 겨울에 시작하는 2학기에는 체육 시간에 스키를 탈 정도이다. 스노보드 역시 8~9세이면 배운다고 한다.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아이스하키 강국이다. 훌륭한 자국 리그를 보유하고 있으며 로만 요지, 니코 히셔, 케빈 피알라, 티모 마이어, 니노 니더라이터 NHL에서 활약하는 스타들도 즐비하다. 러시아, 캐나다 같은 수퍼파워에 비기자면 조금 떨어져보이지만 같은 티어로 놓아도 손색이 없다.

또한 2000년대 좋은 모습을 보였고 현재도 꾸준히 F1에 참가중인 자우버 F1 팀이 스위스 국적으로 참가중이다.

19. 교통

19.1. 철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2. 항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국제항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기타

21.1. 방공호

파일:external/www.swissfortknox.com/Swiss-Fort-Knox.jpg

먼나라 이웃나라에서 소개된 스위스 방공호에 관한 내용은 만화적 과장이 아니라 실제 스위스 방공호와 유사하다. 실제로 스위스는 인구 대비 세상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방공호 숫자를 자랑하며 각각의 방공호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그 규모는 30만 개에 달하고 86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860만은 스위스 인구의 약 114%이다. 자기나라 사람들을 모두 방공호에 집어넣고도 거의 20만명의 외국인들이 들어올 수 있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스위스 안에서도 일부 사람들이 높은 건축비와 세금 문제 등의 면에서 비판하지만 생화학 테러, 자연재해, 방사능 누출 등의 가능성 때문에 크게 지지받지 못한다. 허나 2012년부터 일부 규제가 완화되어 48가구 이상의 아파트에서만 의무적으로 방공호를 지어야 하며 작은 아파트나 개인 주택의 경우 급하게 피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두는 것으로 변해 꼭 지을 필요는 없게 되었다. 원래는 냉전의 종식으로 핵전쟁 위험이 크게 줄어든 현실을 고려해 병원 등에서만 의무적으로 설치하려고 법안을 발의했지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본안에서 일부 후퇴했다. 이제까지 지어진 방공호는 화학물질 유출사고나 자연재해라거나 어쩌면 필요한 일들이 생길 수도 있으니 이왕 지어놓은 거 계속 잘 관리해 주기로 한 듯.

21.2. 한글로 쓴 스위스

파일:1741987a95c8db08.jpg
스위스 사람들은 한글로 쓴 '스위스' 단어가 마음에 든다고 한다. '스'가 산의 모양이고 '위'가 창을 든 용병의 모습으로 보여 용병으로 생활해온 자신들의 나라를 잘 표현한 단어라고 좋아한다고 한다.[52] 공교롭게도 창을 든 용병에 해당하는 '위'가 지킬 위()자와 뜻이 비슷하다.

21.3. 안락사

외국인에게도 안락사를 법으로 허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말 가망없는 병에 걸려 고통만 받으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계속하느니 스위스로 가서 안락사를 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

21.4. B&M(Bolliger&Mabillard)

롤러코스터 회사에서 유명한 회사이기도 하다. 경주월드에 있는 파에톤과 드라켄도 이 회사에서 만들어졌다. 그래서 롤러코스터를 제작할때 스릴이 유명하다. #

22. 인물

22.1. 유명인

22.2. 스위스인 캐릭터

※ 해당국의 작품은 제외

배우 또는 성우가 스위스인인 경우 ☆표시.

22.2.1. 한국 작품

22.2.2. 일본 작품

22.2.3. 미국 작품

22.2.4. 기타 국가 작품

22.3. 설정상 스위스와 관련이 있는 캐릭터


[1] 라틴어가 공식 국명이다. 스위스는 4개 국어를 사용하므로 국명 표기시 분쟁 및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3개 언어의 뿌리이며 독일어와도 관계가 있는 라틴어로 국명을 정했다. [2] 스위스는 한 국가에서 지역 별로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한 언어를 내세우기에는 지역차별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의 국명과 표어는 라틴어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해당 모토는 전체주의 세력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여기서는 여러 칸톤들이 스위스라는 하나의 국가로 뭉친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전체주의와는 관련이 없다. 애초에 전체주의를 언급하기엔 과거에 비하면 많이 약해졌어도 각 칸톤들의 권한은 다른 나라의 지방자치단체들보다 여전히 훨씬 더 강한 상태다. 오히려 서로 협력 좀 해보자는 뉘앙스의 문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스위스에는 성문화된 수도가 없고 베른은 연방의회 소재지다. 수도가 있으면 힘이 수도로 몰려 주(칸톤) 전체의 평등이 무너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4] 출처 [5] 출처 [6] 연방 차원의 국교는 없으나 아펜첼이너로덴, 니트발덴, 슈비츠, 우리 주는 가톨릭을 주교로 지정하고 있다. [7] 개혁교회+ 감리회(스위스 연합감리교회) [8] 내각제의 핵심 특징은 갖고 있지만, 전형적인 내각제와는 다소 다르다. 스위스 정부 형태를 스위스식 회의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9] ISO 3166 규정상, alpha-2는 CH, alpha-3는 CHE이다. UN 통계를 여러 단체에서 사용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단체도 있다. 일례로 IOC와 FIFA에서는 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해당 단체에서 국가코드는 프랑스어 명칭에서 따온 SUI를 사용한다. [10] 1위 - 취리히, 2위 - 제네바, 3위 - 바젤, 4위 - 베른이다. [11] 그러나 영세중립국으로서의 가치는 별도로 분리된 역사 문서에 나왔듯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은밀히 협력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미 훼손된 상태다. [12] 경상남북도를 합쳐 32,289.3㎢. [13] 스위스의 ' 주(행정구역)' 개념. 프랑스어 발음으로는 깡통이라고 한다. 그런데 먼나라 이웃나라 스위스 편에는 칸톤을 설명하는 만화칸에 '깡통이 아님'이라는 대사창이 붙어 있었다. 먼나라 이웃나라 특유의 말장난성 안내말. [14] 국내기업 중 영업이익 2위 [15] 임플란트 점유율 세계 1위로 임플란트 시술하는 모든 나라는 그 나라 치과 상당수가 스트라우만은 무조건 쓴다. 임플란트 자체는 최초로 스웨덴에서 만들어졌으나, 그 직후 임플란트 회사들이 한창 등장하던 시기에 스트라우만(스트라우만, 윌프레드 쉴리, 안드레 슈뢰더)도 바로 1세대로 임플란트에 뛰어들어 바로 발전시켰고, 스웨덴의 기술력을 뛰어넘었다. 아직도 신기술을 적용한 새 임플란트방식을 개발하여 만들고 있으며 30년간 세계 임플란트를 이끄는 최고의 치과 임플란트 기업이다. 임플란트 점유율에서 스트라우만 다음 가는 회사가 최초의 임플란트 발명자인 스웨덴 의사 브레네막을 섭외한 스웨덴의 노벨 바이오 케어(브랜드명은 브레네막)이다. 참고로 교묘하게도 한국도 일반인들의 인식과 달리 오스템이 최초의 국내 임플란트 회사가 아니다. [16] 스트라우만의 ITI(국제임플란트학자회의)의 공동 창립자이자, 회장까지 겸임한 윌프레드 쉴리 교수의 임플란트 브랜드 [17] 한국 기준으로 국가 인지도도 비슷하고 본토 넓이도 비슷한 덴마크만 해도 수도 코펜하겐 말고는 일반인들이 아는 도시가 잘 없다. [18] 스위스 헌법 제4 조 및 70조 참고. # [19] 'S'가 어두에서뿐 아니라 어중에서도 'sch'의 발음으로 변하며, 현재 시제 복수 동사의 어미가 모두 '-et'으로 통일되고 파열음 'k' 상당수도 파찰음 'ch'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일부 방언은 무성 파열음을 프랑스어처럼 된소리로 내기도 한다. [20]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도입한 조치들을 설명하고 국민의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보통 국정 관련 사항은 표준 독일어로 발언하지만, 협조 요청만은 국민에게 친밀한 일상 언어로 다가가려는 의도가 드러난다. 입말과 표준 독일어 자막이 꽤 불일치한 걸 볼 수 있다. 참고로 " 연방 평의회"라 불리는 이들 연방 정부 각료 중 4명은 독일어 화자고, 2명은 프랑스어 화자, 1명은 이탈리아어 화자다. [21]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프랑스어권 스위스 사람들이 말을 느긋하고 천천히 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인지 알아듣기에는 좀 더 수월하다는 프랑스어 학습자들도 있다. [22] 스위스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는 영상. 독일어권 스위스인이 프랑스어를 할 때 들리는 전형적인 억양이다. [23] 1위는 당연히 미국이며 2위는 인구가 3천명에 불과한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이나 사실상 하나의 국가로 보자면 남북 내전 때문에 나라가 막장이 되버린 예멘이다. 마찬가지의 사유로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와 리히텐슈타인도 제외하면 스위스는 사실상 약 17위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민간 총기 소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 [24] 컨트리볼 풍자이며, 위부터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소련 해체 유럽연합 순. [25] 당사자들은 중립인 상태로 저지른 일이라고 주장한다. [26] 이전에는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로 불렸으며 현재도 이 명칭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외교부 등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은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이다. [27] 일부는 스웨덴 대사관이나 오만 대사관에서 관리하기도 하지만, 스위스 대사관에 설치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주로 반서방 성향 제3세계 국가들이 스웨덴에, 중동 국가들이 오만에 위탁하며 나머지 대다수 국가들이 스위스 대사관에 이익대표부를 설치하고 있다. [28] 과거 미국의 명분없는 이라크 침공 당시 비난 정도에 그치고 실제 유무형의 제재는 하지 않은 모습과는 좀 비교된다. [29] 참고로 스위스 프랑 지폐의 최저단위는 10프랑이며 한화 약 13,000원이 넘는다. 최저단위가 13,000원부터 시작하는 나라는 스위스 빼고 찾기 힘들다. [30] 연합뉴스 2017-07-02 《 비싼 물가에 장바구니 들고 국경 넘는 스위스인 [31] 대표적으로 미하엘 슈마허 등이 있다. [32] 리마트 강이 흐르는 취리히 시내가 아닌, 취리히 Zone(대중교통 이용 시 나누는 구역으로 취리히 중심부는 110번)을 벗어난 곳의 월세가 이 정도 수준이다. 취리히 시내는 더하다. 외관상 독일의 아파트들과 비슷해 보이지만, 그래도 스위스는 대체로 어딜 가더라도 시설 수준은 좋은 편이다. [33] 지리적인 요인상 험준한 산악 지형이나 바다나 공통적으로 외부로부터 고립된 환경을 만드는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옆동네 오스트리아도 스위스만큼은 아니지만 꽤 폐쇄적인 성향이 강하다. [34] 참고로 오프라의 재산은 무려 "3조원"으로 할리우드 여성 연예인 중 1위이고, 무려 도널드 트럼프보다 재산이 많다. [35] 정확히는, "여기 파는 물건들은 당신이 사기에는 비싸다"고 했다고 한다. [36] # [37] 수영 전에 샤워를 반드시 해야 하는 건 맞는 말이기 때문에 규정 그 자체가 잘못된 건 아니지만, 굳이 유대인을 대상으로 그렇게 강조하는 건 다른 의도가 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38] 스위스에 있는 외국인은 2013년 기준으로 193만명이었는데 이 중 85%인 164만 명이 유럽 출신이었다. 국적별로 봐도 이탈리아(29만)-독일(29만)-포르투갈(25만)-프랑스(11만) 순으로 서·남유럽인들이 가장 많았다. [39] 외국계 한국인, 외국인 노동자는 물론이고 같은 한국 혈통인 조선족, 탈북자 등 전부에게 적대적인 한국의 대안 우파도 이와 비슷한 성향을 보인다. [40] 스위시 시계 산업은 칼뱅이 사치품 금지에서 규칙적인 시간과 예배시간 엄수를 위해 시계를 예외한 덕에 반사이익으로 발전했다. [41] 인구가 가장 많은 주 [42] 프랑스어권 쥐라주가 분리되었지만 프랑스어 사용자가 아직도 꽤 있음 [43] 스위스 명칭의 기원이 되는 주 [44] 면적이 가장 좁은 주 [45] 인구가 가장 적은 주 [46] 면적이 가장 넓은 주 [47] 합스부르크가 속해 있는 주 [48] 프로이센과 동군 연합이었음 [49] 독일어권 베른 주에서 프랑스어권이 독립해 마지막으로 연방에 가입 [50] 나머지 8개는 우리, 옵발덴, 니트발덴, 추크, 바젤슈타트, 제네바, 글라루스, 아펜첼이너로덴이다. [51] 종목 이름 자체가 '알프스식 스키'라는 뜻이다. 대비되는 종목인 노르딕 스키(노르웨이식 스키) 종목에서는 물론 노르웨이 등 북유럽이 강세. [52] 한 네티즌은 자신이 스위스를 한글로 써줬더니 스위스 친구가 흡족해해서 티셔츠에다 디자인으로 넣기까지 했다고 한다. 아울러 이에 대한 댓글에 '한글이 상형문자가 됐다'는 개그를 썼을 정도. [53] 독일 출신이지만 정작 독일과는 인연이 없다. 고등학교를 스위스 아라우의 아르고비안 주립 학교에 다녔고 대학교는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수학 물리학 교육과를 졸업했다. 그리고 1901년에 스위스 국적을 취득하였고 베른에 있는 스위스 특허청에 근무하며 상대성 이론을 연구하여 발표했다. 교직도 스위스 베른 대학교를 시작으로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1914년에 드디어 모국 독일의 베를린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는데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졌고 전간기에 반유대주의가 확산됨에 따라 1933년에 독일 국적을 포기하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로 망명했다. 생애 76년 동안 모국 독일에 머문 시간은 절반도 안 되는 34년 남짓. 말년에도 미국에서 머물렀으며 미국 프린스턴에서 사망했다. [54] 미국 출신의 가수로 2013년에 스위스 출신의 18세 연하남과 결혼하고 스위스로 국적을 옮겼다. 본인 말로는 미국과 연이 끊긴 지 오래되어 국적을 아예 바꿀 수 밖에 없었다. [55] 2000년에 25살이 되는 요나라는 영화를 만든 감독. [56] 2000년대부터 활동 근거를 스위스로 옮기고 활동하고 있다. 부계가 스위스 혈통이라 1953년에 이미 스위스 국적을 받아놓은 상태로 이중국적자다. [57] 언어학자로 현대 기호학의 창시자라 불리는 인물. [58] 미국으로 건너가 자동차 산업에 종사했다. [59] 비정상회담 출연자. [60] 전설적인 현역 로드 사이클 선수. [61] 독일 출신의 대문호. [62] 현대 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물. [63] 잘 알려진 교육자. [64] 종합격투기 UFC 선수. 튀르키예인이지만, 프리부르 주에서 출생했다.. [65] 태국 혼혈 출신 가수. [66] 유명 1인 게임 개발자. [67] 부부가 스위스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묘지도 있다. [68] 아르헨티나 태생의 스위스인. 현재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축구선수 박주호의 아내이다. [A] 스위스 바젤태생의 한국계 스위스인이다. 위의 집에서안나와의 자녀들이다. [A] [A] [72] 찰리 채플린하고 비슷한 케이스, 말년을 스위스에서 보내다 죽었다. [73] 독일계 스위스인으로 스위스에서 출생. [74] 아버지인 파르켈이 독일계 스위스인이나, 파르켈이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를 떠돌아 다녀서 남매가 어디에서 태어났는지는 불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