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티베트어족|중국티베트어족 Sino-Tibetan Languages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
중국티베트조어† | 한어파 | 중국제어 | 관화 ( 표준 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 ||
티베트버마어파 | 보도나가어군 |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 ||||
히말라야어군 |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 |||||
창어군 |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 |||||
롤로버마어군 |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 |||||
카친어군 | 카친어 · 농어 · 삭어 | |||||
카렌어군 | 파오어 · 풔어 | |||||
기타 |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
관화 - 진어 |
관화 (官話) |
북경관화( 표준 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
진어 (晉語) |
|||||
오어 - 휘어 |
오어 (吳語) |
북부오어( 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 |||
휘어 (徽語) |
|||||
상어 (湘語) |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 ||||
감어 - 객어 |
감어 (竷語) |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 |||
객가어 (客家語) |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 ||||
월어 - 평어 |
월어 (粤語) |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 |||
평어 (平語) |
|||||
민어 (閩語) |
민남어 (閩南語) |
||||
복건어 (福建語) |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 ||||
조주어 (潮州語) |
|||||
민북어 (閩北語) |
건구어 · 건양어 | ||||
민동어 (閩東語) |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 ||||
민중어 (閩中語) |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 ||||
보선어 (莆仙語) |
|||||
소장어 (邵將語) |
|||||
경뢰어 (瓊雷語) |
해남경어 (海南瓊語) |
||||
뇌주어 (雷洲語) |
|||||
한문(漢文) | }}}}}}}}} |
<colbgcolor=#f84808> 상어 湘语 / 湘語 Xiang Chinese |
||
|
||
상어 사용 지역 분포도 | ||
<colcolor=#fff> 유형 | 고립어 | |
어순 | 주어-동사-목적어 (SVO) | |
서자방향 |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
|
문자 | 한자 | |
주요 사용 지역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후난성 중앙 및 서남부 └ 광시 좡족 자치구 북부 └ 구이저우성 및 쓰촨성 일부 |
|
원어민 | 약 4,000만 명 | |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한어파 중국어 상어 |
|
언어
코드 |
<colbgcolor=#f84808><colcolor=#fff>
ISO 639-1
|
- |
ISO 639-2
|
- | |
ISO 639-3
|
hsn |
[clearfix]
1. 개요
중국 후난성 중앙 및 서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 북부, 구이저우성 및 쓰촨성 일부에서 쓰이는 중국어 방언. 방언이라고 해도 상어에 포함되지 않는 중국어 방언들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2. 상세
2010년 기준 한족 인구의 3%인 약 4,000만 명이 상어를 사용하여 세계에서 33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며, 후난 방언, 창사 방언 등 사용 지역에 따라 수많은 방언들이 존재한다.상어는 노상어(老湘语, Old Xiang)와 신상어(新湘语, New Xiang)로 나뉘는데, 신상어는 서남 관화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역사적인 이민 등의 이유로 산시성(산서성) 남부, 안후이성 남부에도 화자가 흩어져 있다. 의외로 광둥성 지방에서도 많이 들리는데, 후난성에서 돈을 벌러 가까운 광저우와 선전으로 많이 오기 때문이다. 특히 택시 기사들 중에 많다.
노상어의 성모는 다음과 같다.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파열음 | 무기음 | p | t | k | |||
유기음 | pʰ | tʰ | kʰ | ||||
유성음 | b | d | g | ||||
파찰음 | 무기음 | ts | tɕ | ||||
유기음 | tsʰ | tɕʰ | |||||
유성음 | dz | dʑ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ɕ | h | ||
유성음 | v | z | ʑ | ɦ |
신상어의 성모는 다음과 같다.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파열음 | 무기음 | p | t | k | |||
유기음 | pʰ | tʰ | kʰ | ||||
파찰음 | 무기음 | ts | tɕ | ||||
유기음 | tsʰ | tɕʰ | |||||
마찰음 | f | s | ɕ | h |
3. 기타
- 이 방언을 사용한 유명 인물로는 펑더화이, 류사오치, 마오쩌둥 등이 있다. 특히 마오쩌둥은 적극적으로 보통화 보급 정책을 펼쳤지만 정작 본인의 말투에는 상어 사투리가 상당히 배어 있었다. 마오쩌둥이 옌안에서 인터뷰한 내용을 담은 에드거 스노우의 <중국의 붉은 별>을 보면, 표준중국어를 배웠던 에드거 스노우는 마오쩌둥의 사투리 섞인 표준어를 잘 알아들을 수 없었다고 한다. 또한 마오쩌둥이 1949년 10월 1일 천안문광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을 선포한 당시 영상을 참고하면, 후난성 발음의 특징인 2성으로 계속 발음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후난 사람들은 마오쩌둥이 자기네 고장 출신이라는 것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은 후난어로 선포되었다"는 자부심이 상당하다.
4.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
관화 - 진어 |
관화 (官話) |
북경관화( 표준 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
진어 (晉語) |
|||||
오어 - 휘어 |
오어 (吳語) |
북부오어( 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 |||
휘어 (徽語) |
|||||
상어 (湘語) |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 ||||
감어 - 객어 |
감어 (竷語) |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 |||
객가어 (客家語) |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 ||||
월어 - 평어 |
월어 (粤語) |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 |||
평어 (平語) |
|||||
민어 (閩語) |
민남어 (閩南語) |
||||
복건어 (福建語) |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 ||||
조주어 (潮州語) |
|||||
민북어 (閩北語) |
건구어 · 건양어 | ||||
민동어 (閩東語) |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 ||||
민중어 (閩中語) |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 ||||
보선어 (莆仙語) |
|||||
소장어 (邵將語) |
|||||
경뢰어 (瓊雷語) |
해남경어 (海南瓊語) |
||||
뇌주어 (雷洲語) |
|||||
한문(漢文)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