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1 17:53:50

후춘화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제7ᆞ8ᆞ9ᆞ10ᆞ11ᆞ12ᆞ13ᆞ14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FFF
제7기
야오이린
톈지윈 우쉐첸
쩌우자화 주룽지
제8기
주룽지
쩌우자화 첸치천 리란칭
우방궈 장춘윈
제9기
리란칭
첸치천 우방궈 원자바오
제10기
황쥐
우이 쩡폐이옌 후이량위
제11기
리커창
후이량위 장더장 왕치산
제12기
장가오리
류옌둥 왕양 마카이
제13기
한정
쑨춘란 후춘화 류허
제14기
딩쉐샹
허리펑 장궈칭 류궈중
← 국무원 부총리 (제5ᆞ6기)
}}}}}}}}}}}}}}} ||
후춘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휘장.svg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제1서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유시우송 시쿤통 장타이레이 렌비시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관샹잉 펑웬빈 후야오방 한잉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왕자오궈 후진타오 숭더푸 리커창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저우치앙 후춘화 루하오 친이즈
제17대 제18대
허준커 아동 }}}}}}}}}}}}}}}

파일:중국 국장.svg
허베이성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성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허베이성 인민정부 주석
초대 제2대
양슈펑 린톄
허베이성 인민위원회 성장
초대 제2대
린톄 류즈허우
허베이성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리쉐펑 류즈허우 리얼중
허베이성 인민정부 성장
초대 대리 제2대
리얼중 류빙옌 장슈광
제3대 제4대 제5대
제펑 웨치펑 청웨이가오
제6대 제7대 제8대
예롄쑹 뉴마오성 지윈스
제9대 제10대 제11대
궈겅마오 후춘화 천첸궈
제12대 제13대 제14대
장칭웨이 쉬친 왕정푸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린톄 류즈허우 진밍
제4대 제5대 제6대
싱충즈 청웨이가오 예롄쑹
제7대 제8대 제9대
왕쉬둥 바이커밍 장윈촨
제10대 제11대 제12대
장칭리 저우번슌 자오커즈
제13대 제14대
왕둥펑 니웨펑 }}}}}}}}}}}}}}}

파일:중국 국장.svg
광둥성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성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광둥성 인민정부 주석
초대 제2대
예젠잉 타오주
광둥성 인민위원회 성장
초대 제2대 제3대
타오주 천위 황융성
광둥성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황융성 류싱위안 딩성
제4대 제5대
자오쯔양 웨이궈칭
광둥성 인민정부 성장
초대 제2대 제3대
시중쉰 류톈푸 양링광
제4대 제5대 제6대
예쉬안핑 주선린 루루이화
제7대 제8대 제9대
황화화 저우샤오단 마싱루이
제10대
왕웨이중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예젠잉 타오주 자오쯔양
제4대 제5대 제6대
황융성 류싱위안 딩성
제7대 제8대 제9대
자오쯔양 웨이궈칭 시중쉰
제10대 제11대 제12대
런중이 린뤄 셰페이
제13대 제14대 제15대
리창춘 장더장 왕양
제16대 제17대 제18대
후춘화 리시 황쿤밍 }}}}}}}}}}}}}}}

파일:중국 국장.svg
내몽골 자치구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주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내몽골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초대
우란푸
내몽골 자치구 인민위원회 주석
초대
우란푸
내몽골 자치구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텅하이칭 유타이중 궁페이
내몽골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초대 대리 제2대
궁페이 뵈그 울제이
제3대 제4대 제5대
윈부룽 오윤치메그 양창
제6대 제7대 제8대
바타르 부샤오린 왕리샤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우란푸 제쉐궁 유타이중
제4대 제5대 제6대
저우후이 장슈광 왕췬
제7대 제8대 제9대
리밍주 추보 후춘화
제10대 제11대 제12대
왕쥔 리지헝 스타이펑
제13대
쑨사오청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후춘화
胡春华 | Hu Chunhua
파일:후춘화_TbET-fyskeuc4206711.jpg
이름 <colbgcolor=#ffffff,#191919> 간체자: 胡春华 / 번체자: 胡春華 ( 병음: Hú Chūnhuá)
한국 한자음: 호춘화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출생 1963년 4월 ([age(1963-04-01)]세)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이창시 우펑 투자족 자치현
학력 베이징대학 중문학과 학사 (1979-1983년)
종교 무종교 ( 무신론)
정당
현직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1. 개요2. 생애
2.1. 2017년 이후

[clearfix]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중국공산당의 파벌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파의 인물로 보시라이와 리위안차오, 리커창과 함께 시진핑을 견제하고 후진타오를 돕는 역할을 해온 북경대 출신의 정치인이다. 2012년 중국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정치국 위원에 올랐고 2017년 19차 당대회에서도 정치국 위원직을 유임, 2018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상업무역담당 부총리 직을 맡았다. 그러나 시진핑의 3기 집권이 확정된 2022년 20차 당대회에서는 당 중앙정치국 위원에서 탈락하며 중앙위원으로 강등되었고, 이듬해 중앙 정부인 국무원에서 자문기관이며 사실상 은퇴를 앞둔 간부들의 양로원격인 전국정협 부주석으로 자리를 옮기며 사실상 정치 인생이 마무리되었다.

2. 생애

1963년 후베이성의 우펑현의 농민 가정에서 출생했다. 1983년 베이징대학에 전체 수석으로 입학해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티베트 자치구로 건너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조직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2006년까지 티베트 지역에 있었는데, 외부의 평가로는 한족의 티베트 정착을 돕고 티베트 독립운동과 민족운동을 탄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후진타오가 시짱 자치구 당서기를 지낼 당시 그 밑에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2006년 12월 베이징으로 돌아와 2008년 3월까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제1서기를 지냈다. 2008년 4월 중국 최연소로 허베이성장(省长) 권한대행을 맡았고 2009년 허베이성장에 정식으로 취임했다.

2012년 11월 제18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이 때 이른바 격대지정 원칙[1]에 따라, 후진타오에 의해 차차기 최고지도자로 지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까지 광둥성 당서기직을 맡으면서 그는 매춘과의 전쟁에 나섰는데 2014년 초, 동방의 매춘 도시 란 별명이 있는 둥관시를 시작으로 전국구로 매춘 단속을 벌이게 하여 수많은 범죄자들을 소탕한바가 있다. #


2.1. 2017년 이후

2017년 10월 제19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에 연임되었으나 상무위원으로 진입하지는 못했다. 리위안차오, 링지화, 쑨정차이 등과 함께 북경대 정경유착 비리 사건의 주모자로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이 사건으로 광둥성 당서기에서 해임되고 중앙정치국에서 정직 5개월 무보직 관찰 처분을 받았다고 한다.

2018년 3월 국무원 부총리에 임명되었다.

시진핑이 적어도 3기 집권까지는 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시진핑의 후임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2023년 임기가 끝나는 리커창 총리의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차 당대회 결과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은 물론 중앙정치국 위원 25인 명단에도 들지 못했다. 결국 '비운의 황태자'가 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기사(뉴스1) 후춘화의 중앙정치국 위원 탈락은 후진타오 전 주석의 퇴장 사건과 함께 시진핑 1인 체제의 확립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023년 3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으로 선출되어 형식상 부총리급 의전서열은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정협 자체가 실권이 없는 조직인데다, 정협 부주석은 명예직으로서 후춘화는 20명이 넘는 부주석 중 한 명에 불과할 뿐이다. 거기 더해 정협 주석은 시진핑의 최측근 왕후닝이고, 후춘화가 정협 비서장이나 (정협 부주석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은) 당중앙 통일전선부장처럼 상시 업무가 있는 보직을 맡은 것도 아닌 만큼 정치 생명이 사실상 끝났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1] 덩샤오핑 장쩌민에게 권력을 넘기면서 차차기로 후진타오를 지명했고, 장쩌민은 후진타오에게 권력을 넘기면서 차차기로 시진핑을 지명했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