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1:33:58

고속공로(중국)

세계의 고속도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독일 · 스위스
· 오스트리아
고속국도 주간고속도로 고속공로(중국) 자동차도 아우토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프랑스 · 벨기에(왈롱)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호주 · 뉴질랜드
모터웨이(영국) 오토루트 아우토스트라다 러시아 연방 고속도로 모터웨이
( 호주 · 뉴질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트랜스 캐나다 하이웨이 아우토피스타
(멕시코)
아우토피스타
(스페인)
아우토이스트라다 호도비아
(브라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모터벡 발타티에트 르부라야 중화민국국도 오토욜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네덜란드 · 벨기에(플란데런)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타이 모터웨이
네트워크
가티마르그 아우토스넬베흐 오토루트(모나코) 내셔널 루트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맥머도-사우스폴
하이웨이
고속도로
대륙별 고속도로
유라시아 대륙 아메리카 대륙
아시안 하이웨이 · E-road network 팬 아메리칸 하이웨이
· 이 외의 고속도로에 관한 정보는 링크 참조(영문) ·
}}}}}}}}}}}} ||

파일:고속공로 표지판.svg 국가 고속공로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a081> {{{-2 수도 본선 (G1)
징하고속공로
(G2)
징후고속공로
(G3)
징타이고속공로
(G4)
징강아오고속공로
(G5)
징쿤고속공로
(G6)
징짱고속공로
(G7)
징신고속공로
지선 (G0111)
친빈고속공로
(G0112)
창랴오고속공로
(G0121)
징친고속공로
(G0211)
진스고속공로
(G0212)
우빈고속공로
(G0311)
지랴오고속공로
(G0411)
안창고속공로
(G0412)
선난고속공로
(G0413)
신이고속공로
(G0421)
쑤광고속공로
(G0422)
우선고속공로
(G0423)
러광고속공로
(G0424)
징우고속공로
(G0425)
광아오고속공로
{{{-2 남북 본선 (G11)
허다고속공로
(G15)
선하이고속공로
(G25)
창선고속공로
(G35)
지광고속공로
(G45)
다광고속공로
(G55)
얼광고속공로
(G65)
바오마오고속공로
(G75)
란하이고속공로
(G85)
인쿤고속공로
지선 (G1111)
허하고속공로
(G1112)
지솽고속공로
(G1113)
단푸고속공로
(G1511)
르롼고속공로
(G1512)
용진고속공로
(G1513)
원리고속공로
(G1514)
닝상고속공로
(G1522)
창타이고속공로
(G2511)
신루고속공로
(G2512)
푸진고속공로
(G2513)
화이쉬고속공로
(G2518)
선첸고속공로
(G4511)
룽허고속공로
(G5511)
지아고속공로
(G5512)
진신고속공로
(G5513)
창장고속공로
(G7511)
친둥고속공로
(G8511)
쿤모고속공로
{{{-2 동서 본선 (G10)
쑤이만고속공로
(G12)
훈우고속공로
(G16)
단시고속공로
(G18)
룽우고속공로
(G20)
칭인고속공로
(G22)
칭란고속공로
(G30)
롄훠고속공로
(G36)
닝뤄고속공로
(G40)
후산고속공로
(G42)
후룽고속공로
(G50)
후유고속공로
(G56)
항루이고속공로
(G60)
후쿤고속공로
(G70)
푸인고속공로
(G72)
취안난고속공로
(G76)
샤룽고속공로
(G78)
산쿤고속공로
(G80)
광쿤고속공로
지선 (G1011)
하이퉁고속공로
(G1015)
톄커고속공로
(G1211)
지헤고속공로
(G1212)
선지고속공로
(G1811)
황스고속공로
(G2011)
칭신고속공로
(G2012)
딩우고속공로
(G3011)
류거고속공로
(G3012)
투허고속공로
(G3013)
카이고속공로
(G3014)
쿠이아고속공로
(G3015)
쿠이타고속공로
(G3016)
칭이고속공로
(G4011)
양리고속공로
(G4211)
닝우고속공로
(G4212)
허안고속공로
(G5011)
우허고속공로
(G5611)
다리고속공로
(G7011)
스톈고속공로
(G7211)
난유고속공로
(G8011)
카이허고속공로
{{{-2 지역 본선 (G91)
랴오중 순환 고속공로
(G92)
항저우만 순환 고속공로
(G93)
청유 순환 고속공로
(G94)
주강삼각주지구 환선 고속공로
(G95)
수도지역 순환 고속공로
(G98)
하이난 순환 고속공로
(G99)
타이완 순환 고속공로
지선 (G9111)
번지고속공로
(G9211)
용저우고속공로
(G9221)
항용고속공로
(G9411)
관포고속공로
(G9511)
라이라이고속공로
(G9811)
하이러고속공로
(G9812)
하이충고속공로
(G9813)
완양고속공로
}}}}}}}}}

파일:중국 고속공로 지도.svg

1. 개요2. 역사3. 호칭4. 특징
4.1. 제한 속도
4.1.1. 과속에 따른 벌금 기준
4.2. 표지판4.3. 이륜자동차 통행 여부
5. 요금
5.1. 베이징시5.2. 통행료 면제/할인5.3. 기타
6. 휴게소7. 노선망
7.1. 노선 목록
7.1.1. 수도방사 고속공로 목록7.1.2. 남북종관선 9개 노선 목록7.1.3. 동서횡단선 18개 노선 목록7.1.4. 지역순환선 7개 노선 목록
8. 대표적인 운영회사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중국은 세계 4위 땅넓이의 대륙국가 답게 교통인프라 확충정책에 따라 2011년 미국의 고속도로 시스템인 인터스테이트 하이웨이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 시스템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2021년 기준으로, 총 16만8천㎞ 로 한 해 7,450㎞의 고속공로망을 건설하고 있다.

2. 역사

중국은 미국과 비슷한 크기의 나라로 넓은 나라의 교통을 위해서 빠른 교통 시스템이 필요했다.
하지만 1980년대 이전까지 전국을 잇는 국가 교통망이 철도교통 중심이었고 건설기술이 부족과 더불어 구소련과 비슷하게 너무 열악했기 때문에 도로교통이 성장할 수 없었다. 물론 국도는 있으나 물류수송량이 워낙 철도가 압도적이라 도로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 개혁개방이 시작한 1978년 당시에 도로 교통이 2.8%을 차지했지만 철도는 54.4%을 차지할 정도로 철도 교통이 워낙 컸다.

그러나 경제가 성장하면서 철도교통이 없는 티베트 같은 곳이나 철도가 낙후하여 불편한 지역 간의 교통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미국식 고속도로라는 대안이 처음 나오기 시작했다. 물론 이와 같이 도로교통도 성장하면서 주목받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러시아가 현재까지 제대로 된 고속도로망이 없는 것과 대조적이다.

그래서 1984년 6월 7일에 선다고속공로가 중국의 고속도로 최초로 착공을 하였는데[1] 좀 더 늦게 착공하였으나 더 먼저 개통한 구간은 1988년 10월 31일 개통한 S5 후자고속공로 라는 상하이 교외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3. 호칭

중화인민공화국 고속도로의 공식 명칭은 고속공로([ruby(高速公路 , ruby=Gāosù gōnglù)])로 크게 교통운수부 산하 공로국이 관리하는 국가고속공로(国家高速公路)와 지방 성정부 산하 도로관리기관이 관리하는 성고속공로(省高速公路)로 분류하는데 국가고속공로의 경우 길이가 워낙 길어서 전체명칭 외에 구간별 명칭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고속공로의 영문명칭은 예전에 "모터웨이(Motorway)""하이웨이(Highway)"로 맞춰서 "프리웨이(Freeway)"라고 칭했다.[2]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프리"를 "무료(免费)"로 오해했기 때문에 1990년대에 고속도로를 의미하는 미국식 단어인 "익스프레스웨이(Expressway)"라는 명칭으로 통일시켰다.

그리고 쾌속로([ruby(快速路 , ruby=Kuàisù lù)]) 라는 명칭도 존재하는데 주로 도시부에 정비된 고규격도로 즉, 대한민국의 자동차전용도로와 비슷한 개념인 도로라고 봐도 무방하다.

4. 특징

4.1. 제한 속도

2004년 5월 1일부터 시행된 중화인민공화국 도로교통안전법(中华人民共和国道路交通安全法)은 전국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를 110 ㎞/h에서 120㎞/h로 변경했다. 그러나 지방의 고속도로에서는 제한속도변경에 시간이 걸리고 있는 개소도 있어 일부에서는 종래의 110㎞/h가 되고 있다. 다만, 특수한 구간은 제한 속도를 달리 잡고 있다.[3]

중국의 고속도로들은 보통 4차선으로 제한속도 100㎞/h이지만 대도시와 연결되고 있는 곳은 8차선이거나 6차선이다. 8차선과 6차선은 제한 속도가 120㎞/h이다. 최저속도제한은 70㎞/h이지만 추월 차선의 최저속도 제한은 100㎞/h로 110㎞/h와 달리 정해져 있다. 최저속도위반 및 최고속도위반은 교통법규위반으로 여겨진다.

4.1.1. 과속에 따른 벌금 기준

중국은 고속도로 제한속도를 점차적으로 증속하고 과속운전에 대한 처벌을 완화하는 추세로 2022년 4월 1일부터 공안부에 의해 규정이 개정되는데 벌금과 함께 벌점이 부과되었던 내용에서 벌금이 폐지되는 대신 벌점이 강화된다는 내용이다. 참조
이는 광대한 국토 면적을 고려한 수송력 증대와 함께 과속 단속으로 인한 행정력 낭비를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제한속도 위반 범위[4] 벌점 부과량
20% 이하 (144㎞/h 까지) 미부과
20% 초과 50% 이하 (144㎞ 초과 180㎞/h 이하 ) 6점
50% 초과 (180㎞/h 초과 ) 12점[5].

4.2. 표지판

고속도로 표지판(중국) 문서를 참조하면 좋다.

4.3. 이륜자동차 통행 여부

파일:이륜차및원동기장치자전거통행금지.png
이륜자동차의 고속도로 통행을 금지하는 국가·지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상세문서 보기)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1개 성1)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2)
1) 간쑤, 칭하이, 쓰촨, 충칭, 장시, 푸젠, 장쑤, 허난, 산둥, 하이난, 닝샤 외 통행허용

중국 도로교통안전법 시행조례에는 이륜자동차가 고속공로에 진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이 없고 속도를 80km/h 이내로 제한하는 규정만 있다. 즉, 한국과 달리 이륜자동차가 고속공로를 통행하여도 위법이 아니다.

하지만 일부 성 정부, 직할시 정부, 자치구 정부는 이륜자동차의 고속도로 진입을 금지하는 지방법규를 제정하기도 한다. 이런 성은 나들목 입구에 '오토바이 진입 금지'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내 이륜자동차 통행금지 정책(금마)을 시행하는 도시들도 있다. 상급인 성 정부에서 고속도로 주행을 허용하는 경우, 고속도로 주행은 막지 않지만 시외에서 들어온 이륜자동차가 고속도로에서 벗어나 금마 도시로 진입할 수 없다.

허용되어 있더라도 톨게이트 직원이 임의로 통행을 막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5. 요금

통행료는 주행요금(km당 주행요금 x 거리) x 차종 계수로 계산되며 성(직할시) · 자치구마다 기준이 다르고 도로사정에 따라 다르다.
참고문서

5.1. 베이징시

● 1종 (7인승 이하), 화물차(2톤 이하) - 0.5元/km
징하고속(G1), 징짱고속(G6), 징신고속(G7), 다광고속(G45), 6환로(G4501), 퉁옌고속(G102), 서우두공항고속(S12), 징진고속(S15), 공항북부선(S36), 징핑고속(S46)

단, 징후고속(G2) - 0.34元/km , 징강아오고속(G4) - 0.33元/km ,

징핑고속(S46)과 수도공항제2고속(S51) - 10元 / 1회

● 2종 (8 ~19인승), 화물차(적재량 2톤초과 ~ 5톤이하) - 1.0元/km
징하고속(G1), 징짱고속(G6), 징신고속(G7), 다광고속(G45), 6환로(G4501), 퉁옌고속(G102), 서우두공항고속(S12), 징진고속(S15), 공항북부선(S36), 징핑고속(S46)

단, 징후고속(G2) - 0.47元/km , 징강아오고속(G4) - 0.66元/km

징핑고속(S46)과 수도공항제2고속(S51) - 20元 / 1회

● 3종(20 ~ 39인승 이하), 화물차(적재량 5톤초과 ~ 10톤이하) - 1.5元/km
징하고속(G1), 징짱고속(G6), 징신고속(G7), 다광고속(G45), 6환로(G4501), 퉁옌고속(G102), 서우두공항고속(S12), 징진고속(S15), 공항북부선(S36), 징핑고속(S46)

단, 징후고속(G2) - 0.61元/km , 징강아오고속(G4) - 0.99元/km
징핑고속(S46)과 수도공항제2고속(S51) - 30元 / 1회

● 4종 (40인승 이상), 화물차(적재량 10톤초과 ~ 15톤이하) - 1.8元/km
징하고속(G1), 징짱고속(G6), 징신고속(G7), 다광고속(G45), 6환로(G4501), 퉁옌고속(G102), 서우두공항고속(S12), 징진고속(S15), 공항북부선(S36), 징핑고속(S46)

단, 징후고속(G2) - 0.81元/km , 징강아오고속(G4) - 1.97元/km
징핑고속(S46)과 수도공항제2고속(S51) - 30元 / 1회

● 5종 화물차(적재량 15톤 이상) - 2.0元/km
징하고속(G1), 징짱고속(G6), 징신고속(G7), 다광고속(G45), 6환로(G4501), 퉁옌고속(G102), 서우두공항고속(S12), 징진고속(S15), 공항북부선(S36), 징핑고속(S46)

단, 징후고속(G2) - 0.81元/km, 징강아오고속(G4) - 2.5元/km
징핑고속(S46)과 수도공항제2고속(S51) - 30元 / 1회

5.2. 통행료 면제/할인

2012년 7월 24일,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주요 공휴일[7] 소형승용차 통행료 면제 실시계획에 관한 통지>에 따라 2012년 중추절기간인 9월 30일 0시부터 10월 7일 24시까지 시작한 전국 고속공로 통행료 면제정책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교통운수부 발표내용(2012.9.21)
  • 적용차량
    • 7인승 이하 소형 승용차(운전자 포함)[8]
  • 비적용차량
    • 8인승 이상의 승용차 및 모든 종류의 화물차

이와 별도로 티베트 자치구 하이난성[9] 경내에 부설된 모든 고속공로는 통행요금 면제정책을 펼치고 있다.

5.3. 기타

대부분의 고속공로는 통행권을 이용한 지불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고속도로에서의 입구에서는 한국의 통행권처럼 운전자에게 플라스틱으로 된 카드를 준다. 지불되는 요금은 고속도로에서 나갈 때에 운전자가 출구 요금소에 입선 카드를 반환할 때 그의 주행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교통운수부가 2019년 8월, ETC서비스플랫폼(ETC服务平台)을 정식 운용하면서 ETC 시스템이 급속도로 보급되었는데 2019년 말 기준 2억 4,0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차로 하이패스가 도입되어 무정차로 100km/h 이상의 속도로 빠르게 통과 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하이패스와 달리 바리케이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저속으로 통과해야 한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현금지불과 중국의 앱인 알리페이와 위챗으로도 적지 않은 구간에서 지불이 가능하며,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다.

과거에는 성·자치구·직할시 경계에 성계요금소(省界收费站)가 설치되어 요금을 수수했으나 ETC가 보편화된 2020년부터 모두 페지되어 현재는 흔적만 남아 있다.[10] #

6. 휴게소

중국에서는 영어를 한자로 바꾼 服务区(Service Area)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50km 마다 설치되어 있고 기준 등급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또한 휴게소보다 조그만 규모로 우리나라의 졸음쉼터에 해당하는 정차구(停车区 Parking area)라는곳도 있으며 이곳에는 공중화장실, 벤치 및 소수의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과거에는 미국식 Rest Area의 개념과 비슷하나 경제수준이 발전하면서 대한민국스러워졌다. 또한 명절 연휴때만 되면 사람이 넘쳐나는 것은 한국과 마찬가지다.

다만 중국이 국토가 넓기 때문에 휴게소 간의 시설이나 서비스 차이가 심하게 나는 편이고, 시대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고속도로 개통 초창기부터 2000년대까지는 대부분의 휴게소에서 말 그대로 주유소, 가게, 화장실같이 기본적인 것들만 갖추어져있었고, 음료수도 미지근하거나 화장실 위생도 엉망인 경우도 다반사였으며, 식당에서의 미식 또한 기대를 못할 수준인 경우도 대다수였다. 2000년대와 2010년대에 걸쳐 자가용이 늘어나고 중국이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상하이 엑스포를 개최하면서 화장실 위생시설 개선이 큰 이슈가 되면서 인구가 많은 지역을 달리는 고속도로에 있는 휴게소들은 대대적인 시설 확충 및 서비스 개선작업에 들어갔으며, 고속도로에 프랜차이즈 업체들이나 지역 특산물 판매점들이 잇따라 입점하면서 한국의 고속도로 휴게소와 비슷해졌고, 상당수 휴게소에서는 별개의 숙박시설까지 갖춰놓았을 정도로 시설이 좋아졌다. 다만 휴게소 개선사업이 전국적으로 일률적으로 진행되지는 않아서 지방 소도시와 시골오지의 고속도로 휴게소는 한국의 1980~90년대 수준으로 낙후된 경우도 아직 허다하기는 하다. 전국에 수많은 휴게소가 존재하는 만큼 일부 휴게소는 행담도 휴게소처럼 명물로 유명하다. #

참고로 중국의 휴게소 주유소는 대부분 중국석유(中石油) 또는 중국석화(中石化) 브랜드이나 매우 드물게 중국해양석유(中海油) 및 쉘(壳牌 Shell) 브랜드가 달린 주유소도 있다.

2020년대에 들어서 전기차가 보급되면서 중국정부는 거의 모든 휴게소에 전기차 충전소(充电站)를 설치하였는데 2025년까지 약 2000만개의 시설이 모든 고속공로(국도)휴게소에 설치된다고 한다. # 이런 시설은 중앙국유기업인 국가전망공사(国家电网)가 운영하는게 대부분이다.

국토 넓이에 알맞게 초장거리 고속공로가 많은만큼 일부 휴게소에는 모텔급 숙박시설과 화물차를 위한 기사의집(司机之家)[11]이 설치되어 있다.

7. 노선망

2005년 1월 13일, 교통운수부가 공포한 "국가고속공로망규화"로 채용된 방사상 고속도로와 종횡의 고속도로망을 조합시킨 정비 계획이며, 수도 베이징을 중심으로 방사선 7개, 9개의 남북종관선, 18개의 동서횡단선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7918망"이라고 칭해졌다.

고속공로 노선번호 부여방식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국가급 노선의 경우 국(Guo)의 'G'라는 문자가 붙으며 성 정부에서 관리하는 성급 노선은 성(Sheng)의 'S'자 문자로 시작한다.[12] 그리고 노선의 형태별로 번호 부여방식이 달라진다.

노선별 번호 부여방식은 다음과 같다.
  • 수도방사선에는 베이징에서부터 동북쪽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징하고속공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에서 9까지(실제로는 7까지)의 번호가 붙는다.
  • 남북종관선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11에서 89까지의 홀수번호를 부여한다. 이는 한국과 미국 고속도로 노선번호의 반대방향으로 매겨지는 것이다.
  • 동서횡단선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10에서 80까지의 짝수번호를 부여한다. 이는 한국과 미국 고속도로 노선번호의 반대방향으로 매겨지는 것이다.
  • 91에서 99까지의 숫자는 각 지방(분지, 도시권, 섬 등)을 순환하여 연결되는 도로의 숫자이다.
  • 간선도로에 부속되는 연락선에는 간선 번호의 뒤에 1이 있고 또 1로부터 시작되는 숫자로 되어 있다.[예시1]
  • 도시순환고속도로에는 접속하는 간선도로의 번호의 뒤에 0이 있고 또 1로부터 시작되는 숫자로 되어 있다.[예시2]
    * 간선도로에 병행되는 노선에는 방위(방각)의 영어 머리 문자인 N·E·W·S의 문자를 붙일 수 있다.[예시3]
하지만 이 규칙은 2009년에 시행한 국가표준으로 추후에 속속히 개통된 노선에 대해 대비가 없었는데 2018년 4월에는 주무부처인 교통운수부가 관련 국가표준인 고속도로 노선 표시 규칙 및 국도 번호 매기기 표준(公路路线标识规则和国道编号)(GB/T 917-2017)에 대한 내용을 개정하면서 본선번호 뒤에 방향영문자(S N W E)를 숫자로 바꾸면서 여러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16] 참고

7.1. 노선 목록

파일:고속공로 표지판.svg 국가 고속공로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a081> {{{-2 수도 본선 (G1)
징하고속공로
(G2)
징후고속공로
(G3)
징타이고속공로
(G4)
징강아오고속공로
(G5)
징쿤고속공로
(G6)
징짱고속공로
(G7)
징신고속공로
지선 (G0111)
친빈고속공로
(G0112)
창랴오고속공로
(G0121)
징친고속공로
(G0211)
진스고속공로
(G0212)
우빈고속공로
(G0311)
지랴오고속공로
(G0411)
안창고속공로
(G0412)
선난고속공로
(G0413)
신이고속공로
(G0421)
쑤광고속공로
(G0422)
우선고속공로
(G0423)
러광고속공로
(G0424)
징우고속공로
(G0425)
광아오고속공로
{{{-2 남북 본선 (G11)
허다고속공로
(G15)
선하이고속공로
(G25)
창선고속공로
(G35)
지광고속공로
(G45)
다광고속공로
(G55)
얼광고속공로
(G65)
바오마오고속공로
(G75)
란하이고속공로
(G85)
인쿤고속공로
지선 (G1111)
허하고속공로
(G1112)
지솽고속공로
(G1113)
단푸고속공로
(G1511)
르롼고속공로
(G1512)
용진고속공로
(G1513)
원리고속공로
(G1514)
닝상고속공로
(G1522)
창타이고속공로
(G2511)
신루고속공로
(G2512)
푸진고속공로
(G2513)
화이쉬고속공로
(G2518)
선첸고속공로
(G4511)
룽허고속공로
(G5511)
지아고속공로
(G5512)
진신고속공로
(G5513)
창장고속공로
(G7511)
친둥고속공로
(G8511)
쿤모고속공로
{{{-2 동서 본선 (G10)
쑤이만고속공로
(G12)
훈우고속공로
(G16)
단시고속공로
(G18)
룽우고속공로
(G20)
칭인고속공로
(G22)
칭란고속공로
(G30)
롄훠고속공로
(G36)
닝뤄고속공로
(G40)
후산고속공로
(G42)
후룽고속공로
(G50)
후유고속공로
(G56)
항루이고속공로
(G60)
후쿤고속공로
(G70)
푸인고속공로
(G72)
취안난고속공로
(G76)
샤룽고속공로
(G78)
산쿤고속공로
(G80)
광쿤고속공로
지선 (G1011)
하이퉁고속공로
(G1015)
톄커고속공로
(G1211)
지헤고속공로
(G1212)
선지고속공로
(G1811)
황스고속공로
(G2011)
칭신고속공로
(G2012)
딩우고속공로
(G3011)
류거고속공로
(G3012)
투허고속공로
(G3013)
카이고속공로
(G3014)
쿠이아고속공로
(G3015)
쿠이타고속공로
(G3016)
칭이고속공로
(G4011)
양리고속공로
(G4211)
닝우고속공로
(G4212)
허안고속공로
(G5011)
우허고속공로
(G5611)
다리고속공로
(G7011)
스톈고속공로
(G7211)
난유고속공로
(G8011)
카이허고속공로
{{{-2 지역 본선 (G91)
랴오중 순환 고속공로
(G92)
항저우만 순환 고속공로
(G93)
청유 순환 고속공로
(G94)
주강삼각주지구 환선 고속공로
(G95)
수도지역 순환 고속공로
(G98)
하이난 순환 고속공로
(G99)
타이완 순환 고속공로
지선 (G9111)
번지고속공로
(G9211)
용저우고속공로
(G9221)
항용고속공로
(G9411)
관포고속공로
(G9511)
라이라이고속공로
(G9811)
하이러고속공로
(G9812)
하이충고속공로
(G9813)
완양고속공로
}}}}}}}}}


중국의 고속도로는 중국 전역으로 뻗어나가는 수많은 수도방사형 노선 및 간선 노선들, 그리고 그 지선들로 구성되어 있어, 가독성 및 공간상의 편의를 위해 위에 링크된 틀에 문서를 따로 분리하였다. 따라서 위 표를 참고할 것.

7.1.1. 수도방사 고속공로 목록

  • G1( 징하고속공로) : 베이징 - 하얼빈 고속도로. 중국 최초의 고속공로이다.

7.1.2. 남북종관선 9개 노선 목록

7.1.3. 동서횡단선 18개 노선 목록

  • G30 ( 롄훠고속공로) 장쑤 성 롄윈강 시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G3011 ( 류거고속공로) 간쑤 성 주취안 시 ~ 칭하이 성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G3012 ( 투허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 지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허톈 지구
    • G3013 ( 카이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스 지구 ~ 중국과 키르기스스탄의 국경선
    • G3014 ( 쿠이아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G3015 ( 쿠이타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청 지구
    • G3016 ( 칭이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7.1.4. 지역순환선 7개 노선 목록

8. 대표적인 운영회사

국토가 워낙 넓어서 성·자치구마다 여러 운영사가 있는데 대부분 성 국자위산하 국유기업이며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도 있다.[21]
  • 초상국공로네트워크과기(招商局公路网络科技) : 중앙국유기업인 초상국집단 산하 도로관리/투자기업으로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데 중국 전역에서 약 1만 2천km 이상의 고속공로를 운영하고 있다.
  • 베이징시수도공로발전집단(北京市首都公路发展集团 BCHD) :베이징시 국자위 산하 국유기업으로 비상장기업이다.
  • 지린성고속공로집단(吉林省高速公路集团)
  • 안후이완퉁고속공로(安徽皖通高速公路) : 안후이성 국자위 산하 국유기업으로 상하이증권거래소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 하이난고속공로(海南高速公路) : 하이난성 교통운수청 산하 국유기업으로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 선전고속공로(深圳高速公路) : 선전시 국자위 산하 국유기업으로 광둥성 선전시를 중심으로 영업중이며 홍콩과 상하이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장쑤닝후고속공로(江苏宁沪高速公路): 장쑤성 인민정부 산하 도로관리기업으로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 장쑤동부고속공로관리(江苏东部高速公路管理)
  • 광둥성고속공로발전(广东省高速公路发展) : 粤高速(광둥고속공로)라는 이름으로 선전증시에 상장되어있는 광둥성정부 산하 운영회사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 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 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 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 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 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 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 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 비판) · 외교부 · 여권( 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 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 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 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 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 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 대한민국) · 반중( 대한민국) · 혐중( 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 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 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 계급) · 홍콩 보안국( 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 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 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 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 육전대) · 공군( 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 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 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 대장정) · 중일전쟁( 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 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 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 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 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 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 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 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 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 민족 · 한족) · 공휴일( 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 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 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 순위) · 구교연맹( 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 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 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 강주아오 대교) · 철도( 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 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 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 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 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 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 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 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 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동방명주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1] 현재 선다고속공로는 현재의 선하이고속공로의 일부 구간이다. [2] 여기서 "프리"는 "무료"를 말하는것이 아니고, 교통이 자유롭게 흐르고 있어, 교차지점은 각 차선이 분리되어 고속도로상의 교통은 신호기나 일시정지 표식과 같은 교통 제어 시설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 것을 뜻하고 있다. [3] 징짱고속공로의 팔달령 구간은 4차선인데다가 선형이 너무나도 좋지 않아 14㎞짜리 구간단속의 제한속도가 60㎞/h이다. 이 구간은 최저제한속도가 없다. [4] 2022년 4월 1일 시행, 120km/h 기준 [5] 중국에서 교통질서위반으로 벌점을 부과받아 12점이 되면 면허가 취소된다. [6] 외지 번호판의 경우 6환로 이내 진입 불가 [7] 여기서 말하는 공휴일은 춘절, 청명절, 노동절, 국경절 등 4대 국가 법정 공휴일에 딸린 연휴기간을 의미한다. [8] 유료도로 주행이 가능한 오토바이 포함 [9] 사실 공짜가 아닌데 타 지역보다 차량통행량이 적은 특성을 고려하여 성 정부당국이 1994년부로 각종 통행료를 통합하고 연료비에 리터당 1。05元씩 간접세 형태로 유류햘증료(燃油附加费)를 부과하면서 중국에서 가장 유가가 비싼지역이 되었다. #. [10] 비슷하게 인도에도 이런 경계요금소가 있는데 좋지않은 도로사정에 요금까지 부과하니 매우 비효율적인 편이다. [11] 중화전국총공회와 교통운수부가 공동주관해서 설치되고 있다. 참고 [12] 이러한 영문 규칙은 국도와 성도번호 명명규칙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시1] G15 선하이 고속공로의 연락선으로 취급되는 르자오 - 란카오간 고속도로에는 G1511이라는 번호로 되어 있다. 이후의 연락선은 G1512, G1513으로 되어 있다. [예시2] G15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G1501, G1502 등 [예시3] G15에 병행되는 창수 - 타이저우간 고속도로에는 G15W의 번호로 되어 있다. [16] 예: 징친고속공로 G01N → G0121 [17] 푸저우까지만 개통되어 있다. 타이베이까지는 해저터널을 뚫을 구상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 현실성 문제와 양안관계를 고려해보면 향후 몇십년 이내에는 어려울 것 같다. [18] 티베트 [19] 위구르 [20] 타이완은 중국 대륙의 지배가 미치지 못하므로 서류상으로만 존재 [21] 몇몇 회사는 자사가 소재한 성·직할시를 넘어서 타 성·직할시 지역의 고속공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속공로 운영외에도 부동산, 철도, 건설회사를 운영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