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3:33:07

싱가포르 MRT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e81b2c><colbgcolor=#fff>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머라이언
정치 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 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 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 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개발은행·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 싱가포르군( 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 레바 공군기지 · 셀레타 공항
교육 교육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이공대학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행정구역 행정구역 전반( 중구사회발전이사회 · 동북사회발전이사회 · 서북사회발전이사회 · 동남사회발전이사회 · 서남사회발전이사회)
문화 언어 · 종교 · 사회 · 요리( 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그랑프리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 간체자 · 번체자)
인물 리콴유 · 리셴룽 · 로렌스 웡
교통 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 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젯스타 아시아) · 싱가포르 항만공사 · 싱가포르 MRT( 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Land Transport Authority· 우드랜즈 역
관광 관광
민족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기타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 ||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싱가포르의 MRT· LRT 노선
MRT LRT
파일:SMRT Trains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파일:싱가포르 MRT 1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2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3호선.svg
동서선
[[싱가포르 MRT 남북선|
NSL
]] 파일:싱가포르 MRT 4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5호선.svg
남북선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
부킷판장선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파일:싱가포르 MRT 8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9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10호선.svg
서클선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파일:싱가포르 MRT 13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14호선.svg
톰슨-이스트코스트선
파일:SBS Transit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 파일:싱가포르 MRT 6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7호선.svg
동북선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파일:싱가포르 MRT 11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12호선.svg
다운타운선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셍캉선
[[싱가포르 LRT 풍골선|
PGLRT
]] 풍골선
미개통
(운영사 미정)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 주롱지역선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 크로스아일랜드선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영어 Singapore Mass Rapid Transit (SMRT)
말레이어 MRT Singapura
중국어 정체자 新加坡地鐵系統
중국어 간체자 新加坡地铁系统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துரிதக் கடவு ரயில்
1. 개요2. 역사3. 특징4. 차량5. 노선 목록
5.1. 운영중인 노선5.2. 건설/계획중인 노선
6. 문제점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싱가포르의 간선 도시철도로 싱가포르 LRT와 함께 가장 큰 대중교통 체계이다. 이를 운영하는 기업은 주식회사 SMRT와 SBS Transit이다. 아시아에서 12번째로 개통한 도시철도 노선이다.[1]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싱가포르 MRT/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 MRT와 버스 내에서는 음료수나 음식 섭취가 금지되어 있고[2], 인화성 물질의 소지 또한 금지되어 있다. 위반 시 부과되는 벌금 액수 역시 많은데, 500 싱가포르 달러~1000 싱가포르 달러(한화로 약 51만원~102만원)이다. 재밌게도 두리안을 들고 타는 것도 금지되어 있는데, 특유의 냄새 때문에 사람들이 매우 싫어하기 때문이다. 다만 두리안을 들고 탑승한 것을 적발당했다고 하더라도 벌금이 부과되진 않는다.[3] 대놓고 도시락을 까서 먹는 것은 어느 나라든간에 상식적으로 안되지만 그래도 목마를 때 물이나 음료수를 조용히 마시는 것은 정말 재수 안 좋은 날이 아니면 안 걸린다. 물론 이런 서술만 믿고 까불면 재수없게 벌금 폭탄을 맞으니 목이 말라도 참아야 한다.
  • 한국보다 일찍[4], 1987년에 모든 지하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고, 현재는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지하철 티켓 역시 교통카드와 같은 디자인으로 한국보다 먼저 도입되었다. 또한 6개 주요 노선의 디자인이 전부 똑같다. 역내 분위기와 지하철 차량까지 흡사하여 색깔로 구분하지 않으면 처음 이용하는 사람들은 헷갈리기 십상이다.[5]

4. 차량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싱가포르 MRT· LRT 사용 차량
MRT LRT
파일:SMRT Trains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 [[싱가포르 MRT 남북선|
NSL
]] 공용차량
C151 · C651 · C751B
C151A · C151B · C151C · R151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
C801 · C801A · C801B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C830 · C830C · C851E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T251
파일:SBS Transit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
C751A · C751C · C851E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C951 · C951A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 [[싱가포르 LRT 풍골선|
PGLRT
]] 공용차량
C810 · C810A · C810D
미개통 노선
(운영사 미정)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
J151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
CR151
회색 처리된 취소선은 전 편성이 퇴역한 차량, 밑줄 표시는 퇴역 중인 차량, 이탤릭체는 도입 예정 차량을 의미함.

현재 싱가포르 MRT가 보유한 차량들이다.

여담으로 C830C 차량 이후로 도입된 차량들은 C851E, C801A, J151 차량을 제외하고 전부 중국산이다. 사실 이 차량들이 도입될 당시에는 중국이 가성비를 내세우며 저렴한 가격으로 해외 전동차 수출에 적극 나서던 시기라 중국산과 경합하던 현대로템은 결국 가격 경쟁력에서 밀렸다. 다행히도 중국산 차량들이 말썽을 일으키지는 않고 잘 다니고 있다.[13]

4.1. 동서선/ 남북선

파일:C151_6k.jpg 파일:C651_6k.jpg
가와사키 C151 차량 - 66개 편성 도입.
2024년 10월 기준 49개 편성 운행중. [14][15]
지멘스 C651 차량 - 19개 편성 도입.
2024년 9월 30일 운행중단. [16]
파일:C751B_6k.jpg 파일:C151A_5k.jpg
가와사키 C751B 차량 - 21개 편성 도입.
2024년 9월 30일 운행중단.
가와사키 CSR 칭다오 쓰팡 C151A 차량 - 35개 편성 도입 및 운행중.
파일:C151B_6k.jpg 파일:C151C_6k.jpg
가와사키 CSR 칭다오 쓰팡 C151B 차량 - 45개 편성 도입 및 운행중. 가와사키 CSR 칭다오 쓰팡 C151C 차량 - 12개 편성 도입 및 운행중.
파일:53337919856_bb16fad2c5_5k.jpg
봉바르디에제 R151형 차량 106개 편성 주문.
2024년 7월 기준 26개 편성 운행중[17].

4.2. 동북선

파일:C751A-stock-photo-1024x683.jpg 파일:c751c-exterior.jpg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C751A형 차량 , 동북선에 25 편성 운행 중 알스톰제 상하이 알스톰 메트로폴리 C751C형 차량 ,동북선에 18 편성 운행 중
파일:1690463936590.jpg
알스톰졔 C851E형 차량 동북선형 6 편성 운행 중

4.3. 서클선

파일:51210813929_07771358d6_b.jpg 파일:c830c-exterior.jpg
C830 차량 서클선에 40편성 운행 중 C830C 차량 서클선에 24편성 운행 중
파일:srd2022-6.jpg
C851E형 차량 23개 편성 제조

4.4. 다운타운선

파일:C951A.jpg
봄바르디어 무비아 C951형 전동차, 다운타운선에 92편성 운행 중

4.5. 톰슨 이스트 코스트 선

파일:CT251-Exterior-LTA-1.jpg
가와사키 중공업제 T251형 차량 , 톰슨 이스트 코스트 선 91편성 중 90편성 운행 중

5. 노선 목록

파일:SM_TEL4_Eng.png
노선도

5.1. 운영중인 노선

노선명 개통연도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km) 역 수 비고
[[싱가포르 MRT 남북선|
NSL
]] 남북선
1987년 주롱이스트역 마리나사우스피어역 45.0 km 26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동서선
1987년 투아스링크역, 타나메라역 (창이 공항 지선) 파시르리스역, 창이공항역 (창이 공항 지선) 57.2 km 35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 동북선
2003년 풍골역 하버프론트역 20.0 km 16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서클선
2009년 하버프론트역 마리나베이역, 도비곳역 35.7 km 30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다운타운선
2013년 부킷판장역 엑스포역 41.9 km 34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톰슨-이스트코스트선
2020년 우드랜즈노스역 베이쇼어역 30.4 km 20

5.2. 건설/계획중인 노선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km) 역 수 개통 예정일 비고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서클선
2026년 [18]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다운타운선
2025년 [19]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톰슨-이스트코스트선
2024년 [20]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 주롱지역선-- (건설중)
24 km 2027년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 크로스아일랜드선-- (건설중)
58 km 2030년

6. 문제점

동남아시아는 물론 아시아 전체적으로도 선진적으로 운영되는 싱가포르의 도시철도지만 문제점은 있는 법인데 주로 차량 노후화나 신호 등과 관련된 시스템 문제들이며 특히 노후화가 심한 1기 지하철이 심해서 2022년 이후 1기 지하철 리모델링이 진행중이다.

1기 지하철의 전동차 및 신호체계가 개통 30년이 넘어가며 노후화되기 시작한 2017년 7월 경에는 열차가 고장나는 경우가 굉장히 잦았다.[21] 텔레그램에 고장 알림 채널이 생길 정도. 웬만하면 정부 비판을 안 하는 싱가포르인들이 교통부 장관은 사퇴하라고 항의하기 시작했다.[22] 결국 SMRT 사장이 물러나고 임원들이 물갈이됐다.

물론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모양 같아 보였지만 2020년대 이후 신차가 반입되어 노후 열차가 교체되자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23] 이 중 C151은 1980년대에 도입된 매우 노후화된 열차다.[24] 신조 열차가 많이 도입되고 도입 중인 2023년 2024년에는 덜하지만 2017년만 해도 이 녀석이 남북선,동서선에는 과반수 이상이었다. 때문에 한 개라도 이상으로 퍼져 지연되면 여러 열차도 영향받아 지연되었다.[25] 결국 이 때문에 2022년부터 노후 열차들을 퇴역시키고 신차를 대거 반입 중이다.

2024년 시점에서는 차량 고장으로 인한 말썽은 없는 편이다. 노후 차량들이 대거 은퇴했기 때문이다. 남은 구형차량도 2026년까지 전량 교체 예정이다. 그리고 신호 시스템 역시 현대식으로 손 보고 있어서 신호 고장 문제도 해결하였으며 역사 화장실 리모델링, 지하 통신선 개량 등도 진행 중이다.

한국이나 일본, 홍콩 동아시아 도시철도 동차들과 달리 창문 개폐가 불가능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화재나 가스 누출이 발생했을 때 상당히 위험할 수 있는데 정부도 이러한 문제점을 모르는 건 아니여서 가스나 인화성 물질을 들고 타는 걸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1980년대~ 1990년대에 도입된 열차들도 불연재라서 불이 나더라도 번지거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뉴턴, 부킷판장, 탬피니스 같은 운영사가 다른 노선끼리 직접 환승은 안되며 다시 찍고 나와야 된다. 그나마 추가 요금이 나가지 않지만 뉴턴을 제외하면 저 둘은 환승하기 매우 힘든 편이다. 다만 부킷판장 같은 경우 힐론 몰(Hillon Mall)을 통해 에어컨 쐬며 환승이 가능하며 뉴턴은 지하도로 연결되어 있어 좀 걷기는 해도 땡볕에 고생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1기 지하철 구간인 래플즈 플레이스 및 시티홀은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7. 관련 문서



[1] 1위부터 순서대로 일본( 도쿄), 조지아( 트빌리시), 아제르바이잔( 바쿠), 중국( 베이징), 북한( 평양), 대한민국( 서울),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홍콩, 아르메니아( 예레반), 인도( 콜카타), 필리핀( 마닐라)까지 해서 12번째가 싱가포르다. [2] 한국도 과태료 부과가 없을 뿐 시내버스 내 음식물 반입이 제한되어 있고 음식물 섭취도 금지되어 있다. [3] 물론 껍질을 뜯어버리면 취식행위로 간주되는고로 1000 싱가포르 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4] 참고로 한국은 최초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게 2002년이다. [5] 그나마 1980년대~ 1990년대에 개통한 동서선 및 남북선의 경우 연식이 있기에 타 노선과의 구별은 가능하다. [6] 4개 언어를 다 말하려면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고 힘들어서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인구 비중 덕에 영어 외에 우선권이 어느 정도 있는 중국어 방송이 나오는 것이다. 어차피 말레이어/ 타밀어 역명은 영어 역명과 거의 동일하다. SMRT는 제1언어인 영어 방송만 한다. 보태닉 가든 등 말레이어 타밀어 이름이 다른 곳들은 해당 언어들이 같이 나온다. [7] 관광객들의 MRT 이용 후기를 보면 안내방송에서 들리는 '해피해피'가 인상깊다는 내용이 꽤 보이는데, 앞서 말한 말레이어 안내방송의 'Berhati-hati(버르하티하티)'를 들은 것이다. 비단 한국인들뿐만 아니라 비 말레이어권 사람들에게는 다 비슷하게 느껴지는 건지 구글에서도 'singapore mrt happy happy'가 자동완성으로 뜨는 걸 볼 수 있다. [8] 다만 섬식 승강장의 단점인 출퇴근 시간대에 붐비는 건 매우 심하다. [9] 공교롭게도 둘다 도시철도가 6개고 LRT까지 하면 싱가포르가 3개 더 많다. [10] 부산도 위성도시 양산, 김해를 포함할 경우 싱가포르보다 면적이 훨씬 넓어진다. [11] 현재 싱가포르 MRT는 노선 숫자로는 1990년대 후반 및 2000년대 초반의 수도권 전철과 유사하다. 서울 권역만 다니는 노선으로 한정하면 중앙선 전철 개통 이전인 2005년 12월 이전 하고 같다. 물론 인구는 외국인까지 합쳐 500만 명 vs 수도권 전체 2,000만 명으로 싱가포르가 서울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은 편이다. [12] 물론 그래도 RH 시간대에는 동서선, 남북선, 다운타운선, 동북선은 가축수송을 한다. [13] 중국산이라지만 사실 가와사키나 알스톰이 현지 회사와 합작법인을 세워서 생산하는 것이다. [14] 1986~9년산으로, 2008년에 현대로템에서 내외부 대수선 작업도 실시하였다. 이때 기존의 흰색 배경에 빨간 줄이 칠해진 C651형 전동차와 같던 도색이 빨간 줄 윗부분을 검은색 시트로 랩핑한 현재의 모습으로 바꼈으며 이렇게 하면 차량 외관이 빗물이나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에 영향을 덜 받는다. [15] 일부 편성은 추진장치가 GTO 초퍼제어에서 IGBT 인버터+ PMSM 전동기로 교체되었으나, 대차분 반입이 확정되면서 개조작업이 중단되었다. [16] C151형과 다르게 개조를 하지 않다가 2010년대 중반에 내외관 및 추진장치까지 교체하는 대규모 수선작업이 계획에 잡혀있었으나, 단 3편성만 개조되었고, 이들마저도 시운전만 주구장창 하다 영업운행은 해보지도 못하고 계획이 변경되어 폐차되었다. 그냥 폐차된게 아니라 제일 먼저 폐차장으로 보내버렸다. [17] C151형 66편성, C651형 19편성, 그리고 C751B형 21편성, 도합 106편성을 2026년까지 모두 대체할 예정이다. [18] 6+단계 건설중) (6+단계: 2026년) [19] 3+단계 건설중) (3+단계: 2025년) [20] 4+단계 건설중) (4+단계: 2024년) [21] 특히 구형 차량들 [22] 싱가포르인들이 웬만해선 정부 관련 일에는 항의 자체를 안하는 걸 보면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23] C151, C651 그리고 일부 C751B [24] 한국의 1호선 초저항 일부,중저항 일부,2000년대 저항~초퍼 일부,GEC 초퍼 일부,부산 1호선 1세대 열차 일부와 연식이 비슷하다. [25] 애초에 초퍼 부품은 1990년대 이후로 생산을 안해서 낡은 부품을 계속 쓰니 고장이 안 날 수가 없었다. 싱가포르 정부도 이를 모르는 게 아니여서 일부 편성을 3VF로 개조해서 소음을 줄이고 고장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비용이 너무 들어 결국 포기했다. 차라리 신차 도입이 싼지 2020년대 중반 내로 초퍼 차량인 C151을 모두 퇴역 시키고 그 다음으론 C651 그리고 마지막으론 C751B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