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5:12:43

지멘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단위에 대한 내용은 지멘스(단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9999><colcolor=#ffffff> Siemens AG
지멘스
파일:Siemens_AG_logo.svg
국가
[[독일|]][[틀:국기|]][[틀:국기|]]
본사 독일 바이에른 뮌헨
대표자 롤랜드 부시 (CEO)
설립일 1847년 10월 12일
기업 규모 대기업
창업자 베르너 폰 지멘스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CI3. 사업부
3.1.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3.2.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3.3. 지멘스 모빌리티3.4. 지멘스 헬시니어스3.5. 기타 사업3.6. 철수 사업
4. 사건 사고5. 한국지멘스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베르너 폰 지멘스 요한 게오르크 할스케가 설립한 다국적 기술 기업. 본사는 독일 베를린 뮌헨에 있다.[1] 원래 로고는 저 두 창업자의 머릿글자인 SH를 합친 모양이었으나 2차대전 이후 하켄크로이츠가 연상될 수 있다는 지적이 많아 잘 쓰지 않게 되었고 1973년에는 사내에서도 정식으로 폐기해 버렸다. 다만 지금도 독일에 있는 구형 도시철도차량 등에서 가끔가다 볼 수 있긴 하다. 이후 1991년 현재와 같은 글꼴로 바꾸었다.( 참조)

지멘스가 손대지 않은 분야가 없을 정도로 많은 분야에 진출했다. 독일에서 영향력이 큰 대규모 기업집단이며, 엔지니어링 관련 산업에서 업계 톱에 자리한 기업이다. 독일의 삼성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삼성전자와는 달리 소비자보단 산업계, 정확히 말하자면 다른 기업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타입의 기업이다.[2] 삼성전자의 반도체는 단가가 안 맞아도 다른 경쟁 기업에서 조달하면 되지만 지멘스의 공장 자동화 설비 제조 공장은 한 번 마비될 경우 과장 좀 보태면 설비를 개량해야 할 시기에 처한 기업들은 지멘스 쪽이 복구가 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아예 다른 회사의 똑같은 기능을 하는 설비를 들여다가 공장을 갈아엎어야 할 정도이기 때문.

통신 분야에도 진출하였다가 노키아와의 합작 회사인 'Nokia Siemens Networks'로 전환했고 이후 지분을 완전히 노키아에 매각했다. 그리고 사명도 'Nokia Solutions and Networks'로 변경했다.

독일의 모든 원자로를 만든 만큼 전력 분야의 기술도 상당하고,[3] 지멘스사가 전통적으로 강했던 철강 설비도 오스트리아 합작법인 지멘스-VAI를 통해 하고 있다. Siemens VAI는 Siemens가 VAI Clecim을 인수합병하여 탄생한 회사. 포스코를 포함해서 상당수 국내 철강사가 이 회사의 설비를 사용한다. 다만 제철 플랜트 쪽으로 업계 1위는 SMS Siemag다. 물론 (당연히) 독일 업체로, Siemens VAI와는 상당한 격차를 보이는 업계 1위이다.

소프트웨어 쪽에도 일가견이 있어 CATIA와 시장을 양분하는 3D CAD/CAM 프로그램 Unigraphics(NX)의 개발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처음부터 개발했던 것은 아니고 2007년에 NX 개발사인 UGS를 돈 주고 샀다. 구매가는 35억 달러였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3D CAD/PLM 프로그램인 Solid Edge도 이 회사 제품. Unigraphics(NX)와의 차이점이라면 이쪽은 산업용 기계 설계에 특화되어 있다는 것. 두 프로그램간의 관계는 다쏘시스템의 CATIA- SolidWorks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PC 워크스테이션을 제조하였으나, 1999년에는 후지쯔와 함께 '후지쯔-지멘스 컴퓨터'라는 조인트벤처 형태의 합작 기업으로 넘겼다. 그러다가 에너지와 제조·헬스케어 IT시스템에 초점을 두면서 PC 사업이 비핵심 사업으로 밀려남에 따라 2009년에 후지쯔에 보유 지분을 모두 매각해 버렸다.[4] 후지쯔는 노트북 생산 시설을 계속 독일에 두고 있었으나, 2018년 말에 2020년까지 공장을 폐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멘스에서 만든 컴퓨터 중엔 EMP 방어 컴퓨터도 있었다. 사실 지멘스에 연락하면 건물 전체도 EMP 차단으로 만들어 준다.

과거에 나치 독일의 주요 군수품 생산 업체였으며, 유대인에 대한 무임금 노동력 착취로 전쟁물자를 생산했다. 이 때문에 전범기업 취급을 받으며, 2차 대전 종전 이후 강제 노역 유대인들에게 이에 대한 배상을 했다.

일본의 대형 IT 기업인 후지쯔와 중전기를 만드는 후지전기도 원래 지멘스가 일본에 세운 합작기업이였다.

여담으로 중국어 명칭은 지멘스를 그대로 음차한 西門子이다.

2. CI

파일:Siemens_old_logo (1).jpg 파일:Siemens_old_logo (2).jpg 파일:Siemens_old_logo (3).jpg 파일:Siemens_old_logo (4).jpg 파일:Siemens_old_logo (5).jpg 파일:Siemens_old_logo (6).jpg 파일:Siemens_AG_logo.svg
1847년 ~ 1899년 1899년 ~ 1973년 1925년 ~ 1936년 1928년 ~ 1936년 1936년 ~ 1973년 1973년 ~ 1991년 1991년~현재

3. 사업부

3.1.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우선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SW로도 유명하다. 'SIMATIC'이라는 브랜드가 적용되어서 나오며, SCADA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PLC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다. 덕분에 문서화와 서드파티 소프트웨어가 상당히 잘되있어서 개발하기 편하다는 평가가 많다. 한국의 PLC 업계는 미쓰비시 MELSEC 계열 위주로 돌아가고 있어서 자료 찾기가 쉽지 않지만, 서양 쪽 자료를 찾아보면 별별 자료가 다 쏟아져 나온다. 무슨 문제가 있던지 기술지원 없이 검색만으로 해결 가능한 것은 기본이며 심지어는 Xcode IntelliJ IDEA로 PLC를 프로그래밍하거나 공식 툴 없이 스마트폰용 PLC 제어 앱을 만드는 등의 해괴한 짓도 가능하다. 물론 PLC는 안정성 하나만 바라보고 쓰는 물건이기 때문에 주 로직을 이렇게 만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런 확장성 덕분에 스마트폰, 환경 등으로도 PLC 내부 현황 등을 뿌려주고 또 이걸 가지고 원격 감시용 GUI까지 공식 툴 같은거 안쓰고 Xamarin이나 Electron 기반으로도 만들 수 있는 등 서드파티와의 연동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점은 확실한 강점. 또한 SINAMICS 라는 드라이브 시스템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Motion Control 사업부도 대표적인 비즈니스 유닛이다.
초정밀 가공을 위한 5축 가공기 등 High end 공작기계의 필수 요소인 CNC 수치제어반 역시 SINUMERIK 이라는 모델명으로서 Motion Control 사업부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3.2.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공기조화기나 화재 경보기 등 건물 자동 제어에 관련된 장비를 제조하는 사업분야이다. 국내에서는 쉽게 보기 어렵지만 유럽에서는 지멘스의 화재 경보 시스템을 쉽게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공조기 제어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와 밸브 구동기가 유명하다. 한국 아파트의 지역난방 설비가 대부분 지멘스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다.

3.3. 지멘스 모빌리티

파일:siemens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 EMU/DMU/PP
🚄 고속열차 🚅 일반열차
ICE 1 Mireo EMU
ICE 2 Desiro EMU
ICE 3 Desiro DMU
ICE 4 Nexas EMU
ICE T 영국철도 332형
ICE TD Desiro City
Velaro E
CRH380B
Desiro Double Deck
Velaro D
Velaro Neo
영국 철도 333형
Velaro Novo Cargo Sprinter
🚄 시험용 고속열차
ICE V EuroTrain
Siemens Venturio
🚃 기관차
EuroSprinter Prototype EuroSprinter F
코레일 8200호대
NSB Di Series
EuroSprinter U EuroSprinter 2007
Eurorunner Asiarunner
Siemens Sprinter Vectron
ACS-64 Charger
🚞 객차
Viaggio Venture
ICE ExM
🚝 자기부상열차
Transrapid
🚋 트램/경전철/광역전철
C651 Modular Metro
Inspiro Metro Tren Urbano
보스턴 지하철 블루라인 700호대 런던 신 지하철
ADtranz-지멘스 모듈식 지하철 전동차 타이베이 첩운 C321/ C341형
VAL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P2000
Combino Supra Siemens S Series
Siemens SD Series 멜버른 트램 D형
ULF Tram Duewag U2
굵은 글자는 계획&생산 중인 차량, 얇은 글자는 현용 차량, 전량 퇴역 차량은 취소선으로 표기.
디자인과 구동 원리가 같을 경우 파생형으로 분리하고 디자인은 같은데 구동 원리가 다를경우 따로 분리.
}}}}}}}}}

철도차량이나 신호장치 등을 제작하는 사업분야이다.

지멘스의 영향력은 철도 관련 업계에서도 상당한데, 도이치반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의 많은 기관차를 지멘스가 생산하고 있고 고속열차 ICE 레일젯을 지멘스의 주도로 개발하는 등 지멘스는 철도와 관계된 분야에서도 한가닥 하는 회사다. 특히 북미 대륙의 경전철 차량은 거의 대부분 이 회사 아니면 봄바르디어제 차량을 사용 중이다. 한국에서도 현재 한국철도공사의 주력 기관차 8200호대 전기기관차 오이로슈프린터의 파생형이며 도시철도의 경우 의정부 경전철 지멘스에서 생산한 고무차륜형 차량을 채택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서울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서해선을 비롯한 다양한 도시철도 노선에 신호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또한, 보통 자국산 인버터를 사용하는 일본도 E501계 전동차, 케이큐 2100형 전동차, 케이큐 1000형 전동차 지멘스 옥타브로 유명한 지멘스제 GTO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다(!!!)[5] 국내에서도 옥타브음은 아니지만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지멘스제 GTO 인버터를 채용하고있다.[6] 덕분에 철도차량의 빅3사로 불리며, 2010년 22억 유로의 매출울 올려 세계 5위를 차지했다. 내수 위주인 중국 회사들을 빼면 빅3인 봄바디어, 알스톰와 함께 TOP3였으나 알스톰이 봄바르디어 철도사업부를 인수합병하면서 이젠 빅3가 알스톰, 지멘스, 그리고 앞서 말한 그 중국 회사인 중국중차로 재편되었다.

3.4. 지멘스 헬시니어스

헬스케어 사업을 하는 별도법인. 의료기기 역시 큰 병원에서 자주 보일 만큼 많이 만들고 있다. 한국에선 이미 스타키와 함께 보청기계의 양대산맥으로 발돋움한지 오래지만 보청기 사업은 매각. 사실 보청기보다도 CT, MRI 등의 영상장비 쪽이 상당히 잘되어 있다. 소위 말하는 GPS (GE, Philips, Siemens) 중 하나로 한국 영상의학과 병의원의 장비 90% 가까이가 이 세 회사가 장악중. 보통 지멘스가 가장 많이 보이며 그 다음이 GE 헬스케어. 필립스는 점유율에서 살짝 밀리며 나머지는 후지필름, 캐논 등 일본 업체들이 나눠먹고 있다.[7]

3.5. 기타 사업

산하에 형광등, 밸브( 진공관) 따위를 만드는 오스람이 있었다. 현재는 매각.

2021년 9월 9일 Siemens는 러시아 철도공사(RZD)에 수소 연료 철도 차량 분야의 개발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러시아 지멘스의 알렉산더 리베로프 사장이 동방경제포럼(Eastern Economic Forum)을 계기 로 타스(TASS) 와의 인터뷰 에서 공식 발표 하였다. # 또한, 독일에서 러시아로 전기차 충전소 현지화 및 공동 제작에 대한 공급 협상을 하고 있다고 한다. 러시아 지멘스의 알렉산더 리베로프 사장은 러시아에 전기차 충전소가 거의 없고 대도시에는 수백 개가 있으며 인프라 개발 없이는 전기 운송의 개발이 불가능하다고 회상했다. 앞서 러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러시아의 전기 운송 개발 개념을 승인했으며, 이 문서는 신흥 산업의 우선 과제를 공식화한다. 그 중에는 생산 기반 개발, 기술 역량 구축, 시장에 근본적으로 새로운 제품 도입, 현대 엔지니어링 및 운송 인프라 구축이 포함 된다. 한편, 러시아는 2024년까지 최소 25,000대의 전기 자동차를 생산하고 9,000개 이상의 충전소를 개설할 계획이다. #

3.6. 철수 사업

  • 유럽의 반도체 기업인 인피니언의 전신도 지멘스의 반도체 사업부였다.
  • 콘티넨탈에 매각된 지멘스 VDO 오토모티브는 세계적인 자동차 부품업체로, 그동안 지멘스 그룹 차원에서 꽤나 공을 들인 계열사였기에 당시 세계 자동차 업계에서는 상당한 규모의 M&A로 화제가 되었다. 지멘스는 매각대금으로 벌금을 냈다. 지멘스 VDO 오토모티브를 인수한 콘티넨탈의 매출액이 지멘스 오토모티브보다 작아서 배꼽이 배를 먹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콘티넨탈은 이를 계기로 세계 3위의 자동차 부품업체( 덴소- 보쉬- 콘티넨탈의 순)로 껑충 뛰지만 엄청난 인수액을 감당하지 못하고 자금난에 빠져 독일 섀플러 그룹에 의한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의 대상이 되는데, 섀플러도 콘티넨탈의 지분 과반수를 시장에서 인수한 후 때 마침 불어닥친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자금난에 직면하며 상당히 애를 먹었다. 폭탄돌리기 또한 섀플러의 인수에 대해 독일 국내 산업계와 콘티넨탈의 반발이 커서 결국 섀플러는 콘티넨탈의 지분을 일정 부분 시장에 반납하고 적대적 M&A 의사를 취소하였다. 그 후 섀플러와 콘티넨탈은 간접적인 기술 협력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섀플러는 고정밀 고가의 기계 부품에 콘티넨탈은 전자 제어와 타이어에 주력하고 있으므로 겹치는 사업 범위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2023년 셰플러에서 콘티넨탈에서 분사한 기업인 비테스코를 인수하겠다고 제안하였다. 비테스코는 콘티넨탈의 파워트레인 및 전동화 사업부가 분사된 회사이다.
  • 가전 분야의 경우 1967년 보쉬와 합작회사인 BSH 홈 어플라이언스를 만들어 유럽에서 가장 큰 가전업체로 성장하였고, 2014년 보쉬가 지멘스의 지분을 모두 인수하여 현재 보쉬 그룹의 자회사로 있다.
  • 휴대폰도 만들었었는데 적자가 심해 BenQ에 휴대폰 분야를 매각했다.
  • 가스터빈 사업부인 Gas and Power는 지멘스 에너지로 분사했다.

4. 사건 사고

2006년 말부터 지멘스 경영진의 분식회계, 공금횡령, 탈세, 비자금 조성, 뇌물 제공 등의 혐의가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 경영진이 부당하게 빼돌린 회사 공금이 1억유로를 넘고, 스위스·그리스·오스트리아에 있는 지멘스 간부들의 계좌에서는 수천만 유로의 현금이 발견되었다. 총 332건의 프로젝트에서 4283건의 뇌물 제공 사실이 드러났고, 전체 뇌물 공여액은 14억 달러로 집계됐다. '''최고경영자(CEO)와 직원들이 해고되거나 처벌을 받았다. 벌금과 부당이득 환수금액이 16억달러에 달했다. 지멘스의 신뢰와 위상은 땅에 떨어졌을 정도로 엄청난 위기였으나, 기업문화 개혁에 착수하여 오랫동안 조직 내부에 자리잡아 온 부패 관행을 척결하는 구조개선을 단행하기 시작했다. 그룹의 주요 성장동력 중 하나였던 자동차 부품 계열사인 지멘스 VDO 오토모티브를 콘티넨탈에 매각한 것을 필두로 문어발식 사업구조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의료기기, 산업자동화, 발전설비, 철도차량 등의 4가지 핵심 사업부로 재편하였고, 무엇보다 최고경영진이 강력한 의지를 보이며 솔선수범하는 등 준법경영을 본격화하여 사상 최고의 경영실적을 연이어 기록하며 위기에서 반전하는 데 성공했다.

5. 한국지멘스

연매출 1조 이상을 꾸준히 올리며 탄탄한 외국계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 2회 재택근무와 자녀학자금 지원 등 복지체계에서도 좋은 평을 받고 있다. 참고로 사업부는 가전제품과 보청기 등의 작은 사업부를 모두 매각한 상태이고 스마트 인프라(빌딩자동화, 에너지 매니지먼트), 디지털 인더스트리(공장 및 공정 자동화), 모빌리티(철도)로 구성 되어있다. 지멘스 에너지(송변전, 발전, 가스터빈)와 지멘스 헬시니어스(헬스케어, 진단장비, MRI, CT)는 분사하였다.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경우 분사했지만 지멘스가 대부분의 지분을 소유하는 지배구조를 보여준다.

외국계 기업인데도 이례적으로 노동조합이 있다. 출산 휴가와 육아 휴직도 보장된다. 팀에 따라 회사와 협의해서 탄력 근무도 가능하다.

6. 관련 문서



[1] 등기상의 소재지는 뮌헨. [2] 여담으로 삼성과 지멘스는 한때 협업을 한 적이 있다. 2000년대 중후반에 병원 물류 시스템을 함께 개발하여 내놓은 바가 있는데 이들의 시스템을 을지대학교병원등의 일부 대형 병원에서 운용중이다. [3] 참고로 프랑스의 라이벌 철도차량제작회사인 알스톰도 원자로 기술 사업을 한다. [4] 지멘스와 후지쯔는 2차대전 이전부터 관계가 깊은 회사였다. [5] 단, 상기된 모든 차량은 현재 자국산 IGBT 인버터로 교체된 상황이다. [6] 앞에 언급된 열차들과 마찬가지로 일부열차는 IGBT 인버터로 개조되었지만 그 수가 많지는 않다. [7] 히타치 제작소의 의료기기 사업을 후지필름이, 도시바의 의료기기 사업을 캐논이 인수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