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2:44:27

주음부호

주인푸하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로마자 표기법(병음)에 대한 내용은 국어 주음부호 제2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 일본어 훈독의 한자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한자문화권의 문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현재 사용되는 문자 사라진 문자
대한민국 한글 구결 · 옛한글
한자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한글 전 한국어 표기
대만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홍콩 · 마카오
중국 대륙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싱가포르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502 간체자
일본 신자체 만요가나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헨타이가나
베트남 쯔꾸옥응으 쯔놈 }}}}}}}}}

1. 개요2. 주음부호 문자들
2.1. 각 자모의 발음과 유래
2.1.1. 성모용 문자2.1.2. 운모용 글자2.1.3. 두 글자를 사용하는 복합 운모
2.2. 성조 쓰는 방법과 음절 구분 방법2.3. 획수와 획순2.4. 삭제된 주음부호와 대만 방언·원주민 언어용 확장 주음부호
3. 입력기4. 유니코드5. 해외에서6. 용도
6.1. 교육6.2. 출판6.3. 통신체
7. 둘러보기8. 공식 사이트

파일:나무위키 주음1.jpg 파일:나무위키 주음2.jpg 파일:나무위키 주음3.jpg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주음부호 세로쓰기).)
ㄖㄣˊ ㄐㄧㄝ ㄕㄥㄦˊ ㄗˋ ㄧㄡˊ ㄗㄞˋ ㄗㄨㄣ ㄧㄢˊ ㄐㄧˊ ㄑㄩㄢˊ ㄌㄧˋ ㄕㄤˋ ㄐㄩㄣ ㄍㄜˋ ㄆㄧㄥ ˊㄉㄥˇ ㄖㄣˊ ㄍㄜˋ ㄈㄨˋ ㄧㄡ ˇㄌㄧˇ ㄒㄧㄥˋ ㄌㄧㄤˊ ㄓ ㄔㄥˊ ㄧㄥ ㄏㄜˊ ㄇㄨˋ ㄒㄧㄤ ㄔㄨˋ ㄑㄧㄥˊ ㄊㄨㄥˊ ㄕㄡˇ ㄗㄨˊ

人皆生而自由;在尊嚴及權利上均各平等。人各賦有理性良知,誠應和睦相處,情同手足。

세계 인권 선언 제1조, 대만 국어 번역(주음부호 가로쓰기)
주음부호
<rowcolor=#222> 성모 운모 특수 성조
(b) (d) (g) (j) (zh) (z) (i) (a) (ai) (an) (er) (v) ˊ
(p) (t) (k) (q) (ch) (c) (u) (o) (ei) (en) (ng) ˇ
(m) (n) (h) (x) (sh) (s) (ü) (e) (ao) (ang) (ny) ˋ
(f) (l) (r) (ê) (ou) (eng) ˙
  • 중화민국 국어의 주음부호 표기는 여기 참고
  • 문장 등을 주음부호로 전환하고 싶다면 여기 참고[1]

1. 개요

[ruby(注音符號, ruby=ㄓㄨˋㄧㄣㄈㄨˊㄏㄠˋ, color=000000)] / ㄓㄨˋ ㄧㄣ ㄈㄨˊ ㄏㄠˋ / Mandarin Phonetic Symbols, Bopomofo, Zhuyin (Fuhao)
병음 : Zhùyīn fúhào

중화민국( 대만)에서 중국어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표음 문자. 청나라 말기~민국 초 학자인 장타이옌(章太炎)이 고안했던 기음 자모(記音字母)를 기초로 해서 1913년에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주음자모(注音字母)를 정식으로 제정하였고, 1918년에 중화민국 정부에서 발표하였다.

원래는 한자를 대체하려고 만든 글자였지만, 실생활에서 한자가 관성과 지역간 의사소통의 유용성으로 인해 훨씬 널리 쓰였기 때문에 주음부호는 실질적으로 한자의 보조 문자로 이용되는 수준에 머물렀고, 1930년에 주음부호로 개명되었다. 주음부호 보급으로도 문맹 문제가 여러 가지 이유로 퇴치가 되지 않자, 중국 대륙에서는 1958년자로 한어병음이 주음부호를 대체했지만, 타이완에서는 여전히 쓰인다. 첫 앞글자 ㄅㄆㄇㄈ를 따서 '보포모포'(Bopomofo)라고 부르기도 하며, 영어 표기는 Mandarin Phonetic Symbols이다. 약자로 MPS I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I은 1을 가리킨다. 1980년대에 나온 ' 주음부호 2식'과 구별하여 '주음부호 1식'이라 부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로마자 표기법인 병음과는 달리 세로쓰기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전산화할 때는 부득이 가로쓰기로 쓴다. 대만에서는 학교에서 국어(중국어)를 가르칠 때, 또 키보드로 중국어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있다. 만화 등에서 효과음을 적을 때도 가끔 사용한다.

중국 대륙에서는 1950년대에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한어병음 방안이 고안된 이후로 일반적으로는 더 이상 쓰이고 있지 않으나, 일부 사전 등에는 주음부호가 함께 기재되기도 한다.[2]

일본어에서 쓰는 가타카나와 마찬가지로 해서체 한자의 획 일부분을 따다 만들었으며, 그 때문에 일본어의 가타카나와 모양이 상당히 비슷하다. 하지만 문자 체계는 완전히 다르다. 가타카나가 음절 문자로 분류되는 반면[3] 주음부호는 알파벳으로 분류된다. 단 운모(韻母)[4]의 운복(韻腹)[5]과 운미(韻尾)[6]를 묶어 한 글자로 만든 ㄞ(ai), ㄠ(ao), ㄢ(an), ㄤ(ang), ㄟ(ei), ㄡ(ou), ㄣ(en), ㄥ(eng) 등에서는 음절 문자의 특성이 나타나긴 한다. 또한 가타카나는 일본에서의 한자 선택/생략 과정과 일본 한자음을 반영하고 있기에 주음부호와는 전혀 다른 음을 나타낼 때가 많다. 예를 들어 주음부호 ㄙ는 일본어 가타카나의 '무(ム)' 자와 같아 보이지만 사실 ㅆ/쓰(한어병음 s 또는 si)라 읽는다. 가타카나 ム는 牟의 윗부분에서 따온 것이지만 주음부호 ㄙ는 私에서 왔기 때문이다.

각 문자가 개별 음소를 나타내므로 음소 문자의 특성을 갖지만, 문자가 나타내는 음소는 성모와 운모로 음소를 분류하는 전통적인 중국어 음운론에 입각하여 성모용 문자와 운모용 문자를 분리해 각 문자가 성모와 운모에 대응되는 체계를 갖고 있다. 운모를 표기하는 규칙의 경우 운복과 운미로 구성된 복운모는 하나의 문자로 표기하지만, 운두는 운복과 분리해서 운두가 포함된 복운모는 두 글자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2. 주음부호 문자들

2.1. 각 자모의 발음과 유래

아래 표에 사용된 로마자는 한어병음이고, 한자 옆 괄호 안에 들어가 있는 한글은 한국 한자음이다. 예는 전산용 주음부호 표기 방식(모든 글자 뒤에 성조 기호 사용)대로 적었다.

2.1.1. 성모용 문자[7]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웨이드-
자일스
IPA 설명
b p \[p\] 包(포, bāo)의 구성 요소이자 옛 글자인 勹에서 유래. 八(ㄅㄚ, bā)
[8] p \[pʰ\] 攴(복, pū)의 부수 형태인 攵에서 유래. 杷(ㄆㄚˊ, pá)
m \[m\] 冂(멱, mì)과 그 부수 冖에서 유래. 馬(ㄇㄚˇ, mǎ)
f \[f\] 匚(방, fāng)에서 유래. 法(ㄈㄚˇ, fǎ)
d t \[t\] 刀(도, dāo)의 옛 글자 𠚣에서 유래. 오늘날 사용되는 한자에서도 이 이체자는 黎 등의 글자에서 보이며, 고대 죽간 비슷한 자형이 발견된다. 地(ㄉㄧˋ, dì)
t \[tʰ\] 突(돌, tú[9])의 옛 글자인 𠫓에서 유래. 提(ㄊㄧˊ, tí)
n \[n\] 乃(내, nǎi)의 옛 글자이자 그 구성 요소인 𠄎에서 유래. 你(ㄋㄧˇ, nǐ)
l \[l\] 力(력, lì)의 옛 글자 𠠲에서 유래 利(ㄌㄧˋ, lì)
g k \[k\] 옛 한자인 巜(괴, guì, kuài)에서 유래. 告(ㄍㄠˋ, gào)
k \[kʰ\] 巧(고, 교, kǎo, qiǎo)의 옛 글자인 丂에서 유래. [10](ㄎㄠˇ, kǎo)
h \[x\][11] 옛 한자이자 현재도 부수로 쓰이는 厂(한, hǎn)[12]에서 유래. 好(ㄏㄠˇ, hǎo)
j ch \[tɕ\] 옛 한자인 丩(규, jiū)에서 유래. [13](ㄐㄧㄠˋ, jiào)
q chʻ \[tɕʰ\] 옛 한자인 ㄑ(quǎn)에서 유래. 이 글자는 巛(천, chuān: 현대 자형 川)과 연계된 문자이다. 巧(ㄑㄧㄠˇ, qiǎo)
x hs \[ɕ\] 下(하, xià)의 옛 글자인 丅에서 유래. 小(ㄒㄧㄠˇ, xiǎo)
zh(i) ch(ih) \[ʈʂ(ɻ̩)\][14] 之(지, zhī)의 옛 글자인 㞢에서 유래. 志(ㄓˋ, zhì),
主(ㄓㄨˇ, zhǔ)
ch(i) chʻ(ih) \[ʈʂʰ(ɻ̩)\][15] 옛 글자이자 지금도 부수로 쓰이는 彳(척, chì)에서 유래. 吃(ㄔ, chī),
出 (ㄔㄨ, chū)
sh(i) sh(ih) \[ʂ(ɻ̩)\][16] 尸(시, shī)에서 유래. 時(ㄕˊ, shí),
束 (ㄕㄨˋ, shù)
r(i) j(ih) \[ɻ~ʐ, ɻ̩~ʐɻ̩\][17] 日(일, rì)의 전서체를 변형. 日(ㄖˋ, rì),
入 (ㄖㄨˋ, rù)
z(i) ts, tzŭ \[ts(ɹ̩)\][18] 옛 글자이자 오늘날도 부수로 쓰이는卩(절, jié)의 옛 발음 또는 방언 발음인 zié에서 유래. 子(ㄗˋ, zǐ),
在 (ㄗㄞˋ, zài)
c(i) tsʻ, tzʻŭ \[tsʰ(ɹ̩)\][19] 자형은 七(칠, qī)의 옛 글자·이체자인 𠀁 또는 초서 # 전서 #에서 유래. 발음은 옛 발음 또는 방언 발음 c[20]에서 유래. 此(ㄘˇ, cǐ),
才 (ㄘㄞˊ, cái)
s(i) s, ssŭ \[s(ɹ̩)\][21] 私(사, sī)의 옛 글자이자 구성 요소인 厶[22]에서 유래. 四(厶ˋ, sì),
塞 (ㄙㄞ, sāi)
한어병음으로 zh, ch, sh, r, z, c, s로 적히는 성모들, 즉 권설음과 평설음을 나타내는 주음부호들(ㄓ, ㄔ, ㄕ, ㄖ, ㄗ, ㄘ, ㄙ)의 경우 특이하게 zhi, chi, shi, ri, zi, ci, si에 해당하는 음절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한어병음에서 권설음과 평설음 뒤에 쓰는 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는 ih나 ŭ) 발음은 성모를 발음할 때의 조음 기관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길게 발음하는 소리라[23] 중국어 음운론에서 이것을 운모가 없이 성모만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하는데,[24] 주음부호에는 이 관점을 채용한 것이다. 그래서 zhi, chi, shi, ri, zi, ci, si를 주음부호로 쓸 때는 그냥 ㄓ, ㄔ, ㄕ, ㄖ, ㄗ, ㄘ, ㄙ만 기재하고(물론 성조 기호는 따로 적어줘야 한다) 그 뒤의 i(웨이드식: ih 또는 ŭ)에 해당하는 어떤 기호는 추가로 쓰지 않는다. 다만 이 i(웨이드식: ih 또는 ŭ)에 해당하는 기호를 나타내는 확장 주음부호로 ㄭ(帀)가 있긴 한데 실제론 거의 쓰이지 않는다(이런 주음부호가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의 기기 대부분에서 ㄭ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한자 帀[25]과 모양이 같은 문자이다). 그 정도로 일반적인 글자가 아닌 셈. 또한 이 ㄭ(帀)라는 주음부호는 zhi, chi, shi, ri, zi, ci, si의 공운 또는 영운모 그 자체를 추상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는 특별한 경우에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부호이며, 다른 주음부호와 함께 음절을 구성하는 용도로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어병음으로 sī라고 적히는 음절은 주음부호로 ㄙ로만 적지, ㄙㄭ(ㄙ帀)로 적지 않는다.[26]

또, 주음부호 제정 당시 서양 언어학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지 한글 초성 에 해당하는 영성모(零聲母/零声母)용 부호는 없다. 하지만 한자 문화권의 전통적인 발음 표기법인 반절에서는 한글 초성 ㅇ 또는 ㅇ과 별도로 있었던 에 해당하는 반절 상자(反切上字)[27]가 있었다. 따라서 주음부호에서 영성모, 영운모의 경우 일일이 표기했었던 옛 반절법의 전통과 멀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어병음에 비하면 반절법의 전통을 훨씬 잘 지킨다.[28]

한편 勹(包, 포)에서 따온 ㄅ는 한어병음의 b에 해당하고, 攵(攴, 복)에서 따온 ㄆ는 한어병음의 p에 해당한다. 그래서 한국 한자음에만 익숙한 초심자들은 헷갈리기가 딱 좋아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 한자음대로라면 전자가 p, 후자가 b여야 할 것 같지만, 실제 주음부호에서는 표준 중국어의 한자음대로 전자가 b, 후자가 p이기 때문.

또한 ㄉ와 ㄌ가 모양이 비슷헤서 서로 헷갈릴 수 있는데 절대 헷갈리지 않고 외우는 법이 있다. ㄉ는 刀(도)에서, ㄌ는 力(력)에서 따온 글자임을 상기하자.

2.1.2. 운모용 글자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웨이드-
자일스
IPA 설명
a \[ɑ\] 丫(아, yā)에서 유래. 大(ㄉㄚˋ, dà)
o[WG] \[u̯ɔ, o\] 옛 글자 𠀀(hē)에서 유래해서 이 글자의 운모와 비슷한 발음인 o를 나타내는 글자로 활용. 참고로 이 한자는 丂(kǎo)를 뒤집은 글자이다. 사실 표준 중국어의 발음 체계상 ㄨㄛ(uo)[30]의 변이음으로, 순음 ㄅ(b), ㄆ(p), ㄇ(m) ㄈ(f) 뒤에서는 순음성 때문에 ㄨ(u)가 탈락해 ㄛ(o)가 된 것이다. 다만 성조가 경성(輕聲)이라든지, 품사가 감탄사·의성어·의태어일 경우 ㄛ(o) 앞에 순음이 아닌 성모가 오거나 성모가 없을 수도 있다. ㄛ(o)는 1~4성일 때는 실제로 '우오' \[u̯ɔ\] 비슷하게 이중 모음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많아[31] \[u̯o\] 정도로 발음되는 ㄨㄛ(uo)와 사실상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32] 경성일 때는 '오'처럼 완전한 단(單)모음이 되는 경향이 있다. 波(ㄅㄛ, bō)
咯(ㄌㄛ˙, ·lo)
噢(ㄛ, ō)
e ê, o[WG] \[ɯ̯ʌ, ə\] 주음부호 ㄛ(o)를 변형해서 o와 비슷한 e 발음을 나타내는 글자로 활용. ㄜ(e)는 ㄛ(o)와 비슷하게, 1~4성에서는 이중 모음화 되어 '으어'처럼 발음하지만(또한 후설 모음으로 발음)[34] 경성에서는 완전한 '어'(더 정확하게는 중설 중모음 [ə])로 발음돼 완전한 단(單)모음이 되는 경향이 있다. 得(ㄉㄜˊ, dé)
ê, -e[35] eh \[ɛ\] 也(야, yě)의 획을 줄인 데에서 유래. 전국 시대 초나라 죽간에도 비슷한 자형이 보인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복운모가 아닌 ㄝ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감탄사 정도밖에 없다. 그래서 한어병음에서는 이런 경우 흔히 안 쓰는 ê로 기재하고 있다. 欸(ㄝ, ê̄),[36]
爹(ㄉㄧㄝ, diē)
ai \[aɪ̯\] 亥(해, hài)의 금문 자형인 𠀅에서 유래. 표준 중국어의 발음 체계상으로 ㄞ는 ㄚ(a)+ㄧ(i)의 단순 결합이다. 晒(ㄕㄞˋ, shài)
ei \[eɪ̯\] 移(이, yí)의 옛 글자인 乁에서 유래해서 乁와 발음이 비슷한 ei를 나타내는 문자로 활용. 표준 중국어의 발음 체계상으로 ㄟ는 본래 ㄜ(e)+ㄧ(i)의 결합인데 ㄧ(i)가 전설 모음이라 ㄜ(e)도 전설 모음으로 동화돼 결과적으로 ㄝ(ê)+ㄧ(i)의 결합으로 실현되었다. 誰(ㄕㄟˊ, shéi)
ao \[ɑʊ̯\] 幺(요, yāo)에서 유래. 한어병음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등의 ao의 o는 u의 변형이므로[37] ㄠ는 ㄚ(a)+ㄨ(u)의 결합이다. 少(ㄕㄠˇ, shǎo)
ou \[oʊ̯\] 又(우, yòu)에서 유래. 표준 중국어의 발음 체계상 본래 ㄜ(e)+ㄨ(u)의 결합인데 ㄨ(u)가 원순 모음이라 ㄜ(e)도 원순 후설 모음으로 동화돼 결과적으로 ㄛ(o)+ㄨ(u)의 결합으로 실현되었다. 收 (ㄕㄡ, shōu)
an \[än\][ᴀ] 옛 한자 𢎘(hàn)에서 유래. 참고로 이 글자의 변형 자형은 犯(범, fàn) 등에서 유사한 발음으로 남아 있다. 발음상 ㄚ(a)+ㄋ(n)의 단순 결합이다. 山(ㄕㄢ, shān)
en ên \[ən\] 隱(은, yǐn = (y)i + ěn)의 옛 자형 乚의 변형에서 유래. 발음상 ㄜ(e)+ㄋ(n)의 단순 결합이다. 申(ㄕㄣ, shēn)
ang \[ɑŋ\] 尢(왕, wāng)에서 유래. 발음상 ㄚ(a)+ㄫ(ng)[ㄫ]의 단순 결합이다. 上(ㄕㄤˋ, shàng)
eng êng \[ɤŋ\] 厷(굉, gōng = gūng = g + ūng = g + (u + ēng))의 옛 자형이자 구성 요소인 厶[40]의 마지막 획을 뺀 데에서 유래. 발음상 ㄜ(e)+ㄫ[ㄫ]의 단순 결합이다. 生(ㄕㄥ, shēng)
er êrh \[ɑɻ\][42] 兒(아, ér)에서 아랫부분인 儿만 남긴 데에서 유래.[43] 구체적인 형태는 초서체의 것을 따랐다고 한다. 한편, 얼화운(兒化韻, 한어병음: r,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rh)을 표기할 경우 이 글자를 경성인 별도의 음절인 것처럼 표기하면 된다. 근데 애초에 현재 주음부호를 쓰는 대만에서는 얼화를 쓸 일 자체가 거의 없고[44] 정작 얼화를 쓰는 대륙에서는 주음부호를 쓰지 않으니 얼화 표기에 대해 생각할 일이 딱히 없긴 하다. 而(ㄦˊ, ér)
後兒(ㄏㄡˋ ㄦ˙, hòur)
(y)i i \[i\] 一(일, yī)에서 유래. 그런데 이 글자는 작은 글씨로 필기하기 쉽도록 가로쓰기 시에는 90도 회전을 해서 세로 선(즉 丨의 형태로) 쓰도록 되어 있고, 세로쓰기에서만 가로 선(즉 一의 형태로) 쓰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글꼴에서는 이것을 무시하고 가로·세로 모두 가로선으로 긋는 경우가 많다. 逆 (ㄋㄧˋ, nì)
(w)u \[u\] 五(오, wǔ)의 옛 글자 㐅에서 유래. 努 (ㄋㄨˇ, nǔ)
ü,[ü] yu (y)ü \[y\] 옛 글자 𠙴[46](거, qū)에서 유래. 발음도 여기서 유래했다고 한다. 참고로 표준 중국어의 음운론상으로 ㄩ(ü)는 ㄧ(i)와 ㄨ(u)의 특성을 겸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女 (ㄋㄩˇ, nǚ)
ㄧ(한어병음: yi)는 一(한 일) 자에서 왔지만 한자 한 일 자와 달리 가로쓰기를 할 때와 세로쓰기를 할 때 선 긋는 방향을 바꾸도록 되어 있다. 즉 세로쓰기를 할 때는 한 일 자처럼 가로선을 하나 긋지만, 가로쓰기를 할 때는 세로선을 하나 긋는 게(丨처럼) 정석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원칙이 그렇다는 것이고, 컴퓨터 폰트 등에서는 그것을 무시하고 가로쓰기 입력 시에도 무조건 가로선을 그은 형태로 렌더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만인들 중에서도 주음부호 ㄧ를 가로로 쓸 때 90도 회전하여 세로로 선을 그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꽤 많은 듯하다. 사실 주음부호 ㄧ의 유래가 된 한자 한 일(一)은 세로쓰기·가로쓰기 모두 가로선을 긋기 때문에, 주음부호 一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솔직히 왜 한자 한 일(一)에서 온 주음부호 ㄧ를 쓸 땐 원래 한자와 달리 가로로 쓸 때 90도 돌려 쓰도록 규정했는지부터 미스터리라고 할 수 있다.[47][48]

ㄛo를 변형해 ㄜe를 만들었다 보니, 두 글자의 모양을 외우더라도 둘 중 어느 쪽이 o이고 어느 쪽이 e인지 기억하지 못해 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인이라면 외우는 방법이 한 가지가 있다. '오'의 ㅇ을 불완전하게 쓰고 그걸 거꾸로 뒤집으면 ㄛ 비슷한 글자가 되므로 ㄛ가 o라고 기억하면 된다. ㅇ이 불완전하게 쓰인 '오'를 뒤집었을 때 ㄜ라는 글자는 절대 나올 수 없으니까 o가 아닌 e라고 생각하면 억지 같지만 제법 유용한 암기법이다.

2.1.3. 두 글자를 사용하는 복합 운모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웨이드-
자일스
IPA 설명
ㄧㄚ ia, ya \[i̯ä\][ᴀ] i+a의 단순 결합. 下(ㄒㄧㄚˋ, xià)
ㄧㄛ io, yo \[i̯o\] i+o의 단순 결합.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는 감탄사에서만 사용된다.[50] 喲(ㄧㄛ, yō)
ㄧㄝ ie, ye ieh, yeh \[i̯ɛ\] i+ê의 결합. 본래 i+e(ㄜ)의 결합이지만 i가 전설 모음이라 e(ㄜ)도 ㄝ(ê)로 동화되었다. 節(ㄐㄧㄝˊ, jié)
ㄧㄞ iai, yai \[i̯aɪ̯\] i+ai의 단순 결합. 중국 본토의 보통화(푸퉁화)에서는 이 성모를 삭제하고 ㄧㄚ(ia)에 병합했으나, 대만( 중화민국)의 국어(궈위)에서는 여전히 있다. 崖(ㄧㄞˊ, yái)
ㄧㄠ iao, yao \[i̯ɑʊ̯\] i+ao(au)의 단순 결합. 了(ㄌㄧㄠˇ, liǎo)
ㄧㄡ iu, you iu, yu \[i̯oʊ̯~i̯u\] i+ou의 결합인데, 성모가 있을 경우 ㄛ(o)가 미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되거나 완전히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어병음에서는 성모가 있을 경우 iou가 아닌 iu로 쓰게 하고 있다. 六(ㄌㄧㄡˋ, liù)
有(ㄧㄡˇ, yǒu)
ㄧㄢ ian, yan ien, yen \[i̯ɛn\] i+an의 단순 결합. 다만 i와 n의 전설성 때문에 a도 철저히 전설 모음이 돼서 '얀'보다는 '옌'에 가깝게 발음된다.[51] 하지만 얼화(兒化) 시 n 발음이 탈락하면서 '얄' 정도의 발음이 나므로 이때는 모음 부분이 '아'와 비슷한 발음이 난다. 年(ㄋㄧㄢˊ, nián)
ㄧㄣ (y)in (y)in \[ɪn~i̯ən\] 표기대로 i+en의 결합이지만, 실제로 ㄜ(e)는 미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되거나 완전히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다수의 병음 표기 방안에서도 대개 (y)in 식으로 적어 e를 첨가하지 않는다. 新(ㄒㄧㄣ, xīn)
ㄧㄤ iang, yang \[i̯ɑŋ\] i+ang의 단순 결합. 強(ㄑㄧㄤˊ, qiáng)
ㄧㄥ (y)ing \[ɪŋ~i̯əŋ\] 표기대로 i+eng의 결합인데 실제로 ㄜ(e)가 미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되거나 완전히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각종 병음 표기 방안에서도 대개 (y)ing 식으로 적어 e를 첨가하지 않는다. 明(ㄇㄧㄥˊ, míng)
ㄨㄚ ua, wa \[u̯ɑ\] u+a의 단순 결합. 花(ㄏㄨㄚˊ, huá)
ㄨㄛ uo, wo uo, wo, o[WG] \[u̯o\] u+o의 결합. 원래는 u+e(ㄜ)의 결합이지만 u가 원순 모음이라 e(ㄜ)도 o(ㄛ)로 동화되었다. 참고로 ㄨㄛ는 순음 성모 ㄅ(b), ㄆ(p), ㄇ(m) ㄈ(f)와 결합 시 이들 성모와 성질(입술로 소리를 냄)이 비슷한 ㄨ가 탈락해 ㄛ로 바뀐다. 그리고 일부 조사(주로 경성)나 감탄사에서는 순음이 아닌 성모가 오거나 성모 자체가 없어도 ㄨㄛ가 ㄛ로 단순화되기도 한다. 多(ㄉㄨㄛ, duō)
ㄨㄞ uai, wai \[u̯aɪ̯\] u+ai의 단순 결합. 快(ㄎㄨㄞˋ, kuài)
ㄨㄟ ui, wei u(e)i,[53] wei \[u̯i, u̯eɪ̯\] u+ei의 결합인데 성모가 있을 경우 ㄝ(ê)가 미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되거나 완전히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어병음에서는 성모가 있을 경우 uei가 아닌 ui로 쓰게 하고 있다. 會(ㄏㄨㄟˋ, huì)
位(ㄨㄟˋ, wèi)
ㄨㄢ uan, wan \[u̯än\][ᴀ] u+an의 단순 결합. 關(ㄍㄨㄢ, guān)
ㄨㄣ un, wen \[ʊn, u̯ən\] u+en의 결합인데, 성모가 있을 경우 ㄜ(e)가 미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되거나 완전히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어병음에서는 성모가 있을 경우 uen이 아닌 un으로 쓰게 하고 있다. 論(ㄌㄨㄣˋ, lùn)
文(ㄨㄣˊ, wén)
ㄨㄤ uang, wang \[u̯ɑŋ\] u+ang의 단순 결합. 王(ㄨㄤˊ, wáng)
ㄨㄥ ong ung \[ʊŋ\] 체계상 u+eng의 결합이지만 실제론 복잡하다. 성모가 없을 땐 u+eng의 결합 그대로 발음되지만, 성모가 있을 경우[55] ung(한어병음에서는 ong으로 기재)으로 발음된다. 하지만 주음부호에서는 양자를 동일음의 변이음으로 보아 하나의 표기인 ㄨㄥ으로 병합시켰다. 東(ㄉㄨㄥ, dōng)
瓮(ㄨㄥˋ, wèng)
嗡(ㄨㄥ, wēng 또는 ōng[56])
weng wêng \[u̯əŋ\]
ㄩㄝ üe[ü]/yue (y)üeh \[y̯ɛ\] ü+ê의 결합으로 보면 단순하지만, 고어까지 고려하자면 더 정확히 말하자면 u+ie의 결합으로 보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58] 略(ㄌㄩㄝˋ, lüè)
ㄩㄢ üan,[ü] yuan (y)üan \[y̯ɛn\] ü+an의 단순 결합 또는 u(ㄨ)+ian(ㄧㄢ)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ㄧㄢ처럼 ü와 n의 전설성 때문에 a도 전설 모음이 돼서 실제 발음이 '위엔'처럼 된다.[60] 하지만 얼화(兒化) 시 n 발음이 탈락하면서 '위알' 정도의 발음이 나므로 이때는 모음 부분이 '아'스러워진다. 元(ㄩㄢˊ, yuán)
ㄩㄣ ün,[ü] yun (y)ün \[ʏn~y̯ən\] ü+en의 단순 결합, 또는 u(ㄨ)+in(ㄧㄣ)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en의 ㄜ(e)는 미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되거나 완전히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어병음에서는 ün으로 적게 해 e를 첨가하지 않는다. 雲(ㄩㄣˊ, yún)
ㄩㄥ iong, yong iung, yung \[i̯ʊŋ\] ü+eng의 결합이라지만 사실상 ㄧ(i)+ㄨㄥ(ong)의 결합으로 보는 게 발음상 자연스럽다. 兄(ㄒㄩㄥ, xiōng)

2.2. 성조 쓰는 방법과 음절 구분 방법

한어병음과 달리 1성은 원칙적으로 성조 부호를 쓰지 않는다.[62] 쓰려면 쓸 수는 있는데(세로쓰기 시에도 가로선[63]을 긋는다) 거의 쓰이는 일이 없다.

경성(輕聲)을 제외한 성조 부호는 각각 ˉ(1성)[64], ˊ(2성), ˇ(3성)[65], ˋ(4성)이며,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막론하고 마지막 글자의 우측 귀퉁이에 기재하는 게 원칙이다. 물론 손으로 적는 경우 이것을 엄격하게 따지지는 않는다. 경성은 가운뎃점(·)을 찍는데, 다른 성조와 구분하기 위해 해당 음절의 첫 주음부호 문자 앞에(세로쓰기 시에는 첫 문자의 위, 가로쓰기[66] 시에는 첫 문자의 왼쪽)에 기재한다.[67][68]

다음은 예시로 든 그림이다. 해당 이미지들은 전부 대만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 國語注音符號手冊(국어주음부호수책)[69] 웹사이트에서 가져왔다.
주음부호 자모가 한 글자일 때
일반 성조(熬 áo) 경성(子 ·zi)
파일:zhuyin-v-1.jpg 파일:zhuyin-h-1.jpg 파일:zhuyin-v-1n.jpg 파일:zhuyin-h-1n.jpg
주음부호 자모가 두 글자일 때
일반 성조(處 chǔ) 경성(著 ·zhe)
파일:zhuyin-v-2.jpg 파일:zhuyin-h-2.jpg 파일:zhuyin-v-2n.jpg 파일:zhuyin-h-2n.jpg
주음부호 자모가 세 글자일 때
일반 성조(醒 xǐng) 경성(過 ·guo)
파일:zhuyin-v-3.jpg 파일:zhuyin-h-3.jpg 파일:zhuyin-v-3n.jpg 파일:zhuyin-h-3n.jpg
다만 원칙이 이래도 주음부호를 가로로 쓰는 경우는 드물다. 한자를 가로쓰기로 쓰더라도 주음부호는 음절별로 해당되는 한자의 오른쪽에 세로로 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가로쓰기 시 ㄧ(-i, yi, y-)은 세로로 그어야 하는데도 원칙을 무시하고 가로로 긋는 경우가 많다. 한편, 위 그림에는 안 나왔지만, '얼화(兒化) 운미'는 ㄦ(er)을 실제 발음과 달리 별도의 경성 음절로 취급해 표기한다.[70]

컴퓨터 입력 시에는 그냥 주음부호 문자를 입력한 뒤 맨 마지막에 이어서 성조 부호를 입력하는 게 보통이다. 경성은 원래 따로 앞에 써야 하지만 컴퓨터에서는 경성도 맨 뒤에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에서 주로 성조 문자로 쓰는 유니코드 문자들은 ˉ(1성)[71], ˊ(2성), ˇ(3성), ˋ(4성), ˙(경성)이다. 그리고 경성을 별도로 가운뎃점으로 찍을 경우 ·(또는 •)을 주로 쓰는 듯하다.

한자 옆이나 위에 주음부호를 작게 써서 발음을 표시하는 경우가 아니라, 죽 주음부호만 나열해서 기재한다든지, 아니면 한자 뒤에 괄호를 치고 주음부호를 쓸 경우 음절별로 띄어쓰기를 하는 게 원칙이다. '얼화 운미'는 실제 발음으로는 단독 음절을 이루지 못하지만 표기할 때는 하나의 경성 음절처럼 취급해서 띄어 쓴다.

2.3. 획수와 획순

원형이 된 한자와 주음부호 문자의 획수와 획순이 다른데, 대체로 주음부호 쪽이 획수가 적다. 한자 옆에 작은 글씨로 빨리 쓰기 위함이다. 모양을 살짝 바꿔 둘 이상의 획을 한 획으로 합치는 식[72]인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한자 쌀 포(勹: 包의 원형)는 2획으로 쓰는 게 원칙이지만 주음부호 ㄅ(한어병음: b)는 1획으로 긋는다.
  • 한자 칠 복(攵: 攴이 부수로 쓰일 때 형태)은 丿一丿\ 식의 4획으로 쓰는 게 원칙이지만 주음부호 ㄆ(한어병음: p)는 첫 3획을 1획으로 합쳐서 ㄣ\ 식의 2획으로 긋는다.
  • 한자 充·㐬 등의 윗부분에 있는 𠫓(突의 옛 글자)은 丶一∠丶 식의 4획으로 쓰는 게 일반적이지만 주음부호 ㄊ(한어병음: t)는 제1획을 제3획(→제2획)에 통합하여 一∠丶 식의 3획으로 써야 한다. 즉 주음부호 ㄊ의 두 번째 획(∠)은 첫 번째 획(一)을 위아래로 비스듬하게 관통하게 된다. 다만 한자의 𠫓도 중화민국의 현행 표준 한자 자형인 국자 표준 자체(國字標準字體)가 제정된 이래 주음부호와 같이 3획으로 처리하고 있어서 필기 시에도 그렇게 쓰라고 가르치고 있다.
  • 한자 날 일(日) 자는 丨ㄱ一一 식의 4획으로 쓰고 ㄖ(한어병음: r(i))도 비슷하게 丨ㄱ丶一 식의 4획으로 쓰는 게 원칙이지만, ㄴㄱ丶 식의 3획으로 써도 된다. 출처

2.4. 삭제된 주음부호와 대만 방언·원주민 언어용 확장 주음부호

중국어의 다른 방언 발음을 적기 위해 마련된 확장 주음부호들도 있다. 예를 들면 성모로 쓰는 ㄪ(万[73]: /v/[74]), ㄫ(兀[75]: /ŋ/), ㄬ(广: /ɲ/)[76] 등이 있다. 이 발음들은 중화민국 시대 초기 고안됐던 중국 표준어 발음인 노국음(老國音)에서 성모로 사용됐던 문자들이니, 이들은 주음부호의 원년 멤버인 셈이다. 그러나 노국음은 북방 방언과 남방 방언 한자 독음의 절충 형태라 인공 언어나 다름없어 아무도 이 발음법대로 읽지 않았고, 국민 정부가 결국 북경 방언을 기준으로 중화민국 국어( 표준 중국어)를 제정함에 따라 폐기되었다.

이미 위에서 설명했듯이 zhi, chi, shi, ri, zi, ci, si를 주음부호로 쓸 때는 그냥 ㄓ, ㄔ, ㄕ, ㄖ, ㄗ, ㄘ, ㄙ만 기재하고(물론 성조 기호는 따로 적어줘야 한다) 그 뒤의 i(웨이드식: ih 또는 ŭ)에 해당하는 어떤 기호는 추가로 쓰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이 i(웨이드식: ih 또는 ŭ)에 해당하는 기호를 나타내는 확장 주음부호로 ㄭ(帀)도 존재하긴 하는데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그리고 ㄭ(帀)는 관화 발음에 한정할 경우 다른 주음부호와 함께 쓰는 것도 아니다).

이렇게 쓰이지 않는 네 글자의 주음부호 내 글자 순서는 다음과 같다.
  • ㄪ(万)v은 ㄈf의 다음 글자로 순음으로 취급된다.
  • ㄫ(兀)ng은 ㄎk의 다음 글자로 설근음으로 취급된다.
  • ㄬ(广: /ɲ/)는 ㄑq의 다음 글자로 설면음으로 취급된다.
  • ㄭ(帀)-i는 ㄚa의 앞 글자로 운복으로 취급된다.

다만 유니코드에서는 위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유니코드 단락을 참고할 것.

그리고 감탄사 방언· 외래어 발음에서 운모의 일부로 쓰이는 운미(韻尾)나 성절 자음(자음이 음절 핵이 되는 경우)인 \[m\]이나 \[m̩\]을 ㆬ[77]으로, \[n\]이나 \[n̩\]을 ㄯ[78]로, 성절 자음 \[ŋ\]이나 [ŋ̍]을 ㆭ[79]으로 적어야 한다. 하지만 이들 글자들은 잘 쓰이지 않으며, 굳이 이 글자들을 써야 하는 상황에서도 원래 성모용으로 쓰던 글자들인 ㄇ, ㄋ, ㄫ(兀)을 운모용으로 가져다가 쓰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중국 대륙에서 이런 발음을 굳이 주음부호로 써야 할 경우 거의 ㄇ, ㄋ, ㄫ(兀)을 쓰지 ㆬ, ㄯ, ㆭ를 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노국음'의 성조는 음평성(陰平聲; 표준 중국어의 1성), 양평성(陽平聲; 2성), 상성(上聲; 3성), 거성(去聲; 4성), 입성(入聲. 난징 방언과 당시 베이징 독서음[80]에 있었음)의 5개와 경성이 인정됐다. 초기 '노국음' 주음부호에서는 성조를 지금과 달리 표기했다. 음평성(1성)에 아무 표기도 안 한 건 같았는데, 양평성, 상성, 거성, 입성은 해당 음절을 적은 주음기호 전체의 각각 좌하, 좌상, 우상, 우하에 점을 찍어서 나타냈다고 한다. 이것은 과거 전통적인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의 네 성조를 정식으로 쓰던 시절 표기법의 영향이다. 몇몇 한자는 성조가 다른 여러 발음이 있는 경우가 있어서 헷갈릴 때 한자 주변에 성점(聲點)이라는 걸 찍어서 성조를 표기했다. 좌하=평성, 좌상=상성, 우상=거성, 우하=입성이었다. 그런데 '노국음'은 전통적인 발음과 달리 평성을 음평성과 양평성으로 나누어서 5개 성조가 필요하므로, 이것을 약간 고쳐서 음평성은 아예 아무 표시를 하지 않고, 양평성을 좌하에, 나머지 성조를 기존과 동일하게 찍게 한 것이다. 그 밖에 달라진 점은, 과거에는 한자에 성점을 찍었지만 노국음에서는 한자가 아닌 주음부호 주변에 성점을 찍게 했었다는 것 정도의 차이뿐이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E6%B5%B7%E7%B4%8D%E7%99%BE%E5%B7%9D%E6%9C%89%E5%AE%B9%E4%B9%83%E5%A4%A7_%E8%80%81%E5%9C%8B%E9%9F%B3.svg.png
海納百川 有容乃大(해납백천, 유용내대)[81]를 '노국음' 발음[82]+구 성조 표기 방식에 따라 적은 예.
1922년에는 성점을 폐기하고 현재와 비슷하게 마지막 글자 우측 상단에 음평성을 ˉ(생략 가능), 양평성을 ˊ, 상성을 ˇ, 거성을 ˋ, 입성을 ˙으로 표기하도록 표기법을 바꾸었다. 위 표현의 노국음을 1922년 이후의 주음부호대로 쓰자면(가로쓰기) ㄏㄞˇ ㄋㄚ˙ ㄅㄜ˙ ㄔㄨㄢ,ㄧㄡˇ ㄩㄥˊ ㄋㄞˇ ㄉㄚˋ가 된다. 이후 현재의 표준 중국어 발음인 소위 신국음(新國音)에서 입성이 제거되고 경성이 추가되는데, 경성은 기존 입성과 달리 음절 첫 글자 앞에 가운뎃점을 덧붙여 쓰는 형태로 적게 하였다. 물론 앞에서 설명했듯이 현재 전산 표기에서는 이걸 안 지키고 마지막 글자 뒤에 ˙를 적는 게 일반적이다.

참고로 노국음이 인정되고 있던 시기 경성은 경성 음절 앞에(세로쓰기 시 해당 음절 주음부호의 첫 글자 위) ⟂라는 부호를 덧붙여 나타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외에도 대만 민남어(또는 대만어)나 대만 객가어를 적기 위한 대어 방음 부호(臺語方音符號)[83]라는 확장 주음부호 표기법이 후대에 고안됐는데,[84] 이것은 여기를 참고할 것. 이 표기법은 '대어' 방음 부호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대만어(대만 민남어)보다는 대만 객가어에 주안점을 둬서 고안됐다고 한다. 물론 대만어를 못 적는 건 아니다. 근데 오늘날 표준어 이외의 방언 발음 표기는 로마자 표기법들 중에 한 가지를 쓰는 경우가 많다는 게 함정 대어 방음 부호와 별개로 윤음 부호(閏音符號), (그냥) 방음 부호(方音符號)라는 확장 주음부호 체계와, 2009년에 롄장현 정부에서 민동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만든 마쭈 민동어 주음부호[85]라는 체계도 있다. 또, 일부 대만 원주민 언어용 주음부호 글자 몇 개도 더 만들어져 현재 일부가 유니코드에 수록돼 있다. 아직 유니코드에 실리지 않은 문자들도 많으며, 유니코드에 수록된 확장 주음부호 문자 일부는 유니코드 콘소시엄에서 가이드라인을 잘못 제시하였는지 폰트 제작자들이 본래 자형과 다르게 제작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확장 주음부호 문자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중국어 위키백과 주음부호 문서에 잘 정리돼 있으니 궁금하면 참고하도록 하자.

3. 입력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Zhuyin_on_cell_phone_detail-2.jpg
주음부호가 병기되어 있는 휴대전화 자판

파일:967px-Keyboard_layout_Zhuyin.svg.png
주음부호 컴퓨터 자판 배열.( 출처)

중국에서 한어병음으로 중국어를 입력하듯이 대만에서는 주음부호로 중국어를 입력한다.

주음부호에 익숙해지면 이쪽도 꽤 중국어를 치기에 편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또 윈도우 입력기 기준으로 성모/운모/성조의 순서를 아무렇게나 바꿔서 입력해도 인식이 된다(...).

특히 병음의 경우엔 성조를 꼭 입력할 필요가 없지만 주음부호를 이용하면 성조 입력이 필수가 되어(물론 성조 입력을 안 해도 되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86] [87] 중국어 학습자에게는 성조를 암기하는 데에 아주 좋다. 한국 한자음을 알고 있는 한국인들이 중국어를 익혀서 학습 경험이 쌓이면 성조를 제외한 발음 부분을 대강 추정[88]하는 경우도 생기지만, 성조는 그게 쉽지 않다[89]. 또 요즘에는 컴퓨터 입력을 하는 일이 꽤 많아서[90] 중국어 학습자들이 그 과정에서 중국어 한자음을 익히기도 하는데, 입력 방식에서 성조는 제외하는 경우가 많아 성조만 못 익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성조 입력을 강제하는 게 온전한 발음을 익히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입력기에서의 주음부호 사용은 두드러지는 장단점이 있는데 한국어 입력기의 세벌식의 특성과 매우 비슷하다. 대륙식 병음에 비해 타자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국인이 사용하는 경우 주음부호용 키보드 베열을 외워야 한다. 그래서 외국인 입장에서는 로마자를 쓰는 대륙 병음이 더 익숙할 수밖에.뻐퍼머송으로 중국어 배웠다면 조금 쉬울지도 모른다(...)

4. 유니코드

기본 주음부호는 U+3100부터 U+312F까지에 Bopomofo로 배당되어 있다. U+3100부터 U+3104까지는 비어 있다.
유니코드 공식 코드 차트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310
311
312 [91] [92] [93]
확장 주음부호는 U+31A0부터 U+31BF까지에 Bopomofo Extended로 배당되어 있다. U+31BB부터 U+31BF까지는 비어 있다.
유니코드 공식 코드 차트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31A
31B
컴퓨터에서 주로 쓰는 성조 부호 대부분은 Spacing Modifier Letters[94] 영역(U+02B0~U+02FF)에 속해 있다. 그리고 경성용으로 쓰이기도 하는 ·(MIDDLE DOT)은 C1 Controls and Latin-1 Supplement 영역(U+0080~U+00FF)에, •(BULLET)은 General Punctuation 영역(U+2000~U+206F)에 속해 있다. 이들에 대응되는 결합용 문자(표준 중국어의 주음부호 전산화에서는 잘 안 쓰이고 대어 방음 부호에서는 일부가 쓰임)들은 Combining Diacritical Marks 영역(U+0300~U+036F)에 속해 있다. 이들 영역에 있는 글자들은 주음부호와 무관한 글자가 많으니 아래에 주음부호(표준 중국어, 대어 방음 부호용)와 관련된 것만 추려서 정리한다. 위 두 줄에 정리돼 있는 것이 글자 한 칸을 차지하는(spacing) 문자들이고, 아래 두 줄에 있는 것이 위 두 줄에 대응되는 결합 문자이다.
글자 한 칸 차지 U+ 00B7 02C7 02C9 02CA 02CB 02D9 02EA 02EB 2022
문자 · ˇ ˉ ˊ ˋ ˙ ˪ ˫
결합용 U+ 030C 0304 0301 0300 0307
문자 ◌̌ ◌̄ ◌́ ◌̀ ◌̇
노국음에 썼던 성점(聲點)은 유니코드에 수록되지 않은 듯하여 부득이 위 표에서 제외했다. 다만 노국음 주음부호의 성점은 온점(.)에 가까운 형태인데 이건 유니코드에 실리지 않은 듯하다. 반면 고리점(。)에 가까운 결합용 성점(과거 한문에다 성조 표기를 할 때 주로 썼던 형태가 이것이었다)은 유니코드에 이미 실려 있다. CJK Symbols and Punctuation 영역(U+3000~U+303F)에 속한 U+302A~U+302D가 바로 이 코드들이다.

5. 해외에서

아직 대만과 수교하던 시절의 한국의 고등학교 중국어과는 5차 교육 과정까지는 이것을 가르쳤다. 교과서도 이것으로 발음을 표시하였다. 다만 대입 학력고사에서의 발음 관련 문항은 한어 병음 방안 표기를 병기했기 때문에 병음만 알고 이것을 모르더라도 문제를 푸는 데는 지장이 없었다.

6차 교육 과정부터는 완전히 교육 과정에서 사라졌으며 한어병음 방안으로 대체되었다. 현재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중어중문학과 1학년 과정에서는 아직도 이걸로 중국어를 처음 가르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1학년 때에는 한자도 간화자가 아니라 정체자로 배운다.

한편 한국 인터넷에서도 이게 알려진 적이 있었는데, 2000년대 초반에 잠깐 유행했던 것도 바로 이 주음부호에서 따온 노래[95]이다. 덕분에 중국어를 모르는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잠깐 동안 주음부호를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2020년대 이후로도 추억을 회자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 듯하며 주음부호뿐만 아니라 중국어 성모를 전체적으로 배울 수가 있기 때문에, 중고등학교에서 수업 자료로 아직까지 애용된다. #

미국의 대입 시험( SAT)에서는 필요한 경우 이것과 한어병음 방안을 병기해서 어느 한쪽만 알더라도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정체판/간체판, 주음부호판/한어병음판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시험지에 두 가지 모두 나와 있었던 것이다.

6. 용도

6.1. 교육

원래 대만 초등학교(국민 소학)에서 당연히 이것부터 가르쳐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바로 한자로 들어간다고 한다. 초등학교 입학 전에 주음부호를 다 떼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마치 한국의 교육 과정에서 원칙적으로는 초등학교 1학년 때 한글을 가르쳐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많은 아이들이 이미 한글을 떼고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다음 단원으로 넘어가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다만 198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이나 대만이나 유치원 등 취학 전 교육 기관에 다닌 사람이 적어서[96] 진짜로 학교에 들어간 후에야 한글/주음부호를 배웠다. 여러모로 일본어 가나와 유사하다.

6.2. 출판

대만 책을 보면 아동 도서나, 어려운 한자의 발음을 설명할 때는 꼭 주음부호로 적혀 있다. 대만 현지 화장실의 세면대 공익 광고 문구 등 어린이가 봐야 하는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한자 발음 표기( 후리가나 또는 루비)와 사용 방식은 비슷한데, 일본의 후리가나에 비해서는 좀 덜 쓰이는 편이다.[97] 다만 아동 도서처럼 모든 글자에 발음을 표기할 때에는 한자 옆이나 위에 일본어 후리가나처럼 작은 글씨로 주음부호를 달지만, 어쩌다 어려운 한자만 발음을 표기해 주는 경우에는 본문과 동일한 크기의 글씨로 괄호를 치고 주음부호를 다는 경우가 많다.[98]

대만인들의 명함에도 주음부호가 같은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간혹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HuangWEIyu.jpg

위 사람의 이름 黃薳玉[99]는 Huáng Wěiyù(ㄏㄨㄤˊ ㄨㄟˇ ㄩˋ)라고 읽는데, 많은 사람들이 (애기풀 위·원)[100]을 遠(멀 원)에 이끌려 yuǎn(ㄩㄢˇ)으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아[101] 아예 주음부호로 ㄨㄟˇ(wěi)라고 발음을 적어 두었다.

대만에서 제조되는 인스턴트 우육면 제품인 ' 일도찬'(一度贊)의 포장에도 度자 오른쪽에 ㄉㄨㄛˋ(duò)라는 주음부호 표기가 있다. 이 발음은 度자에 흔히 쓰이는 발음은 아니므로 제조사 측에서 원하는 대로 읽게 하기 위해 추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6.3. 통신체

대만에서는 통신체로도 자주 쓰이고 있다. 的를 ㄉ로, 可愛嗎?를 可愛ㄇ?로 적는 것처럼 경성의 모음이 불분명해지는 걸 표현하는 경우(한국어에서 들리는 대로 타이핑하는 것과 비슷하다)가 있으며, 초성체처럼 주음부호만으로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자면 킥킥대는 웃음소리를 나타내는 ㄎㄎ(kk)가 있는데, 재미있게도 한국어의 ㅋㅋ와 비슷하다.

말을 하다 마는 것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 주로 서양식 을 번역할 때 사용하는데, 善良的貓不存ㄗ(착한 고양이는 존재하지 않ㄴ)까지 쓰고 밑에 착한 고양이 사진을 달아두는 등의 사례가 이에 해당. 올바르게 쓰려면 善良的貓不存在인데 在의 주음부호 표기 ㄗㄞˋ에서 ㄗ만 따온 것.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 1차 · 2차) · 국민혁명( 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 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 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 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 변검) · 잡극(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 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 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 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 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e81b2c><colbgcolor=#fff>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머라이언
정치 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 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 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 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개발은행·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 싱가포르군( 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 레바 공군기지 · 셀레타 공항
교육 교육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이공대학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행정구역 행정구역 전반( 중구사회발전이사회 · 동북사회발전이사회 · 서북사회발전이사회 · 동남사회발전이사회 · 서남사회발전이사회)
문화 언어 · 종교 · 사회 · 요리( 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그랑프리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 간체자 · 번체자) · 키아수
인물 리콴유 · 리셴룽 · 로렌스 웡
교통 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 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젯스타 아시아) · 싱가포르 항만공사 · 싱가포르 시내버스· 싱가포르 MRT( 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Land Transport Authority· 우드랜즈 역
관광 관광
민족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기타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 ||

분절 문자의 계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 바티프롤루 문자 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 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 태국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 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아들람 문자
소그드 문자 돌궐문자 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 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로마자 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 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8. 공식 사이트



[1] 두 사이트 모두 대만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다. 자세한 사항은 이 문서 참고. [2] 중국에서 대만식 중국어는 노래방 등에서 가끔 쓰인다고 한다. 일부 수입 노래들은 대만을 통해 중국으로 수입되기 때문이다. [3] 요음, 촉음 っ/ッ, 발음(撥音) ん/ン의 경우 음소 문자와 유사한 면모가 보이긴 한다. [4] 중국어 음절에서 첫머리의 자음인 성모(聲母)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운두 + 운복 + 운미 (+ 성조)'로 구성된다. 예) 'xiang'의 'iang' [5] 운모의 운두(韻頭)와 운미(韻尾) 사이의 단모음으로 된 부분. 예 'iang'의 'a' [6] 운모의 끝부분. 또는 그 부분의 소리. 예) 'iang'의 'ng' [7] 이 글자들은 감탄사, 의성어, 의태어나 특수한 외래어 등에서 운모나 운모의 운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주로 성모로 쓰인다. [8] 파일:ㄆ-order.gif [9] 대륙에선 tū로 읽는다. [10] 이 글자 자체에 巧의 옛 글자 丂가 구성 요소로서 포함돼 있다. [11] 한어병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등 대부분의 로마자 표기법에서 이 성모를 h로 표기하고 있으나, 사실 표준 중국어의 해당 발음은 국제 음성 기호 [h]이 아니라 [x]에 가깝다. 물론 [h\]로 발음해도 변이음이기 때문에 표준 중국어 사용자가 알아듣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그리고 [x\] 대신 [h\]가 있는 대만어에서는 주음부호 ㄏ가 [h\] 발음을 나타내는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12] 중국 본토에서는 현재 厂이 廠(厰, 창, chǎng)의 간화자(간체자)로 쓰이고 있고, 대한민국의 한자 세대 사이에서는 歷(지낼 력) 자의 비공식 약자로 쓰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본래는 이들과 별도의 글자인 厂(한, hǎn)이 맞다. [13] 이 글자 자체에 옛 한자 丩가 구성 요소로서 포함돼 있다. [14] 한어병음 zh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chih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ʈʂʐ̩\], \[ʈʂ͡ɨ\]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ʈʂʅ\]식으로 적는다. [15] 한어병음 ch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chʻih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ʈʂʰʐ̩\], \[ʈʂ͡ʰɨ\]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ʈʂʰʅ\]식으로 적는다. [16] 한어병음 sh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shʻih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ʂʐ̩\], \[ʂ͡ɨ\]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ʂʅ\]식으로 적는다. [17] 한어병음 r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jih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ʐ̩\], \[ɻ͡ɨ\], \[ʐ͡ɨ\]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ɻʅ\]나 \[ʐʅ\] 식으로 적는다. [18] 한어병음 z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tzŭ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tsz̩\], \[ts͡ɯ\]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tsɿ\]식으로 적는다. [19] 한어병음 c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tzʻŭ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tsʰz̩\], \[tsʰ͡ɯ\]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tsʰɿ\] 식으로 적는다. [20] 한어병음에서는 ㄘㄧ(c + "이") 같은 발음을 표기할 수 없어서 부득이 ciī식으로 표기하였다. 영어판 위키백과의 주음부호 항목에서도 이런 표기가 사용되었다. [21] 한어병음 s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ssʻŭ에 해당하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적는 방식이 학자마다 달라 여러 가지가 있다. IPA 표준을 준수해서 적을 경우 \[sz̩\], \[s͡ɯ\] 등등의 표기가 쓰이고 있고,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쓰는 비표준 IPA 기호를 쓸 경우 \[sɿ\]식으로 적는다. [22] 厷(굉, gōng)의 옛 자형이자 구성 요소이기도 한데, 이 경우는 주음부호에서 한 획이 적은 ㄥ(eng)의 기원이 되었다. [23] z, zh 또는 r 같은 자음을 성절 자음(成節子音, syllabic consonant)화 하여 발음하는 것을 뜻하는데, 다른 말로 이것을 '설첨 모음(舌尖母音)'이라고도 한다. 중국어에서 온 음식 이름인 유산슬에 마지막 음절에 ㄹ 받침이 있는데, 이것은 이 설첨 모음의 자음스러운 특징을 받아 적었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어에서 이런 발음은 설첨 모음 대신 그냥 한국어의 '으' 비슷하게 발음해도 큰 문제는 없다. 표준 중국어에서 변이음으로 인정되기 때문. 중국어 발음을 원어민 수준으로 구사할 자신이 없다면 그냥 '으'로 읽는 게 안전하긴 하다. [24] 이것을 공운(空韻/空韵) 또는 영운모(零韻母/零韵母)라고 한다. 참고로, 이것 외에도 hm, hng 같은 감탄사 등에 쓰인 m, ng 발음도 공운의 일종으로 친다. 한편, 공운과 반대로 성모가 없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이것을 영성모(零聲母/零声母)라고 부른다. [25] 두를 잡(표준 중국어 주음부호: ㄗㄚ, 한어병음: zā)이라는 한자이다. 아마 ㄗ(z(i)) 등의 공운을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帀을 해당 운모의 주음부호 ㄭ로 채택한 듯하다. 실제론 거의 안 쓰이지만.... [26] 단 후술할 확장 주음부호인 대어 방음 부호(臺語方音符號)의 경우, ㄭ(帀)를 \[ɨ\]( 백화자: ṳ) 운모를 나타내는 부호로 활용해 성모와 함께 사용하기에 ㄙㄭ˪(ㄙ帀˪, sṳ) 같은 표기가 쓰인다. [27] 반절법에서 성모를 나타낼 때 대용하는 첫 한자. 옛날엔 세로쓰기가 일반적이었으므로 반절의 두 글자 중 첫 글자는 자연히 위 글자, 즉 상자(上字)가 된다. 그래서 반절 상자라고 부른다. 운모 + 성조를 나타내는 두 번째 글자는 반절 하자(反切下字)라고 하고. [28] 물론 한어병음을 써서 중국어를 가르치고 배울 때도 '성모'와 '운모' 개념을 사용하긴 하지만 한어병음 자모 (= 라틴 문자) 그 자체는 성모, 운모 글자가 아니라 자음, 모음 글자다. 세월이 많이 흘러가면 중국 대륙에서는 성모, 운모 개념은 구시대의 유산이 되고 자음, 모음 개념으로 중국어 음성, 음운을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사실 대륙 쪽 일부 문서에서 표준 중국어 성모 수를 21개가 아닌 y, w를 포함시켜 23개라 하는 경우도 있다. [WG]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ㄛ(한어병음: o), ㄜ(한어병음: e), ㄨㄛ(한어병음: uo)와의 대응이 성모에 따라 제각각이다. 자세한 내용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문서의 '(ㄨ)ㄛ, ㄜ의 표기' 단락을 참고. [30] ㄨㄛ(uo) 자체는 ㄨ(u)+ㄜ(e)의 결합인데 ㄨ(u)가 원순모음이라 ㄜ(e)도 원순모음인 ㄛ(o)로 바뀐 것이다. [31] 이 음소는 음성학적으로는 이중 모음이지만 음운론적으로는 단(單)모음이다. 따라서 후자에 준거하여 간략 전사 할 경우, 실제로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성의 발음과 구분하지 않고 그냥 \[o\]로 기재하는 게 일반적이다. [32] 그래서 관화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ㄨㄛ(uo)와 ㄛ(o)를 구분하지 않고 wo로 통일해서 적는다. 그래서 bwo, pwo, mwo, fwo(각각 한어병음의 bo, po, mo, fo와 주음부호의 ㄅㄛ, ㄆㄛ, ㄇㄛ, ㄈㄛ에 해당) 같은 철자도 쓰인다. [WG] [34] \[ɯ̯ʌ\]는 정밀 전사 시 표기의 한 예이고, 간략 전사 시에는 \[ɤ\]로 적는 경우가 많다. [35] 한어병음에서는 음절 안에 아무런 모음이 없을 때 ê, 다른 모음이 있어서 복운모를 이룰 때 e로 표기한다. 그런데 음절 안에 다른 모음이 하나도 없이 ㄝ만 쓰이는 경우는 감탄사 같은 소수의 케이스에 국한돼 있다. 한어병음 문서에 설명이 있으니 참고할 것. [36] 欸에는 이 밖에도 발음이 많다. 한어병음 문서에 설명이 있으니 참고할 것. [37] 국어 라마자의 기본형 표기나 국어 주음부호 제2식에서는 au로 적는다. [ᴀ] 중국의 언어학자들이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비표준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중설 평순 저모음 기호를 \[ä\]나 \[ɐ̞\]보다 \[ᴀ\](작은 대문자 A)로 쓴다. [ㄫ] 兀과 똑같이 생긴 주음부호로 현재는 쓰지 않는다. 그래서 컴퓨터에 따라서는 해당 주음부호가 제대로 렌더링되지 않을 수도 있다. /ŋ/ 발음을 나타내며 주로 성모로 쓰였다. [40] 私(사, sī)의 옛 글자이자 구성 요소이기도 한데, 이 경우는 주음부호에서 ㄙ(s(i))의 기원이 되었다. [ㄫ] [42] 의외로 ㄦ의 실제 발음은 '얼'보다는 '알'에 가까운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다만 음운 체계상 '얼'이라고 보는 것. [43] 중국 본토에서 儿를 兒의 간화자로 쓰는 것은 주음부호에서 유추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본래의 儿은 人(인)의 변형으로 兒의 이체자가 아니었다. 단지 兒의 구성 요소였을 뿐. [44] 대륙에서 一点儿라고 하는 단어를 대만에서는 얼화 없이 一點라고 하는 게 보통이고 哪儿같은 경우에는 아예 얼화 없는 동의어인 哪裡를 쓴다. [ü] 한어병음에서 j(ㄐ), q(ㄑ), x(ㄒ) 뒤에 ü(ㄩ)가 올 경우 표기의 편의를 위해 ü 대신 u로 기재함. [46] 현재는 안 쓰이지만 실제 한자가 맞다. 설문해자에서 부수의 하나로 할당해 놓고 있고 "𠙴盧,飯器,以柳作之。"라고 설명하고 있다. 강희자전 9권에서는 이체자로 凵, 𦳰, 𥬔 등을 제시하고 있다(𦳰:《集韻》丘於切,音祛。《類篇》凵盧,飯器,以柳爲之。凵或作𦳰。凵當爲𠙴。又𥬔。). [47] 굳이 짐작해 보자면 주음부호가 한자 옆이나 위에 작은 글씨로 발음을 '메모'하는 글자인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주음부호를 세로로 쓸 경우에는 一의 형태로 적어야 다른 글자와의 간격을 좁혀 쓸 수 있지만, 가로로 쓸 경우에는 丨의 형태로 적어야 글자 간격을 좁혀 쓸 수 있다. 즉 메모 시 칸을 적게 차지하게 쓸 수 있게 조치한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써 보면 필기 시에는 이렇게 쓰는 것이 더 편하고 보기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컴퓨터 입출력을 제외하고는 주음부호를 가로로 쓰는 일은 대만 현지에서는 드물다. 한자는 가로로 써도 주음부호는(한 음절 안에서는) 보통 세로로 쓴다(뒤에서 설명한다). [48] 참고로 주음부호가 아닌 문장 부호나 보조 부호로 쓰는 하이픈(-)이나 일본어의 장음 부호(ー) 등은 가로로 쓸 때 가로선, 세로로 쓸 때 세로선을 긋게 돼 있어서 주음부호 ㄧ를 쓰는 방법과 정반대이다. [ᴀ] [50] 과거에는 감탄사 이외에도 쓰였으나 현재는 발음이 ㄩㄝ(üe)로 변했다. [51] 그래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실제 발음을 반영하여 ien, yen으로 표기한다. 그런데 같은 원리로 발음되는 ㄩㄢ의 경우 üan, yüan으로 적어서 일관성이 없다. [WG] [53]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성모가 설근음(舌根音, 연구개음) k(ㄍ, 한어병음: g), kʻ(ㄎ, 한어병음: k), ng(ㄫ/兀, 고어 발음 한정), h(ㄏ)일 경우 uei로 적고, 다른 성모가 올 경우 ui로 적게 하며, 성모가 없을 때는 wei로 적게 하는 이상한 규칙이 있다. 반면 한어병음은 성모가 있으면 ui, 없으면 wei로 훨씬 단순한 규칙을 두고 있다. [ᴀ] [55] 또는 성모가 없어도 의성어·의태어 등에서 성모 없이 이 발음이 쓰이는 게 중국 본토의 보통화에서 인정된다. 그래서 보통화에서는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을 모두 인정한다. [56] 바로 직전 주석에서 설명함. [ü] [58] 20세기 초 중국에서 만들었다가 폐기된 인위적인 표준 한자음인 노국음(老國音)이나 경극의 발음 체계에는 ㄩㄛ(한어병음: üo, yuo,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y)üo) \[y̯o\]라는 운모도 있는데, 이것까지 고려할 경우 ㄩㄝ(üe)를 ㄨu+(ㄧi+ㄜe)→ㄨu+ㄧㄝie→ㄩㄝüe로 분석하고 ㄩㄛ(üo)를 ㄧi+(ㄨu+ㄜe)→ㄧi+ㄨㄛuo→ㄩㄛüo로 분석하는 게 음운론적으로 타당하다. [ü] [60]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위안'으로 적게 규정돼 있다. 이것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철자에 이끌린 결과이다. 해당 문서의 설명을 참고할 것. 사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ㄧㄢ은 실제 발음을 반영하여 ien, yen으로 표기하는데, 같은 원리로 발음되는 ㄩㄢ의 경우 üan, yüan으로 적어서 일관성이 없다. 그래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참고하여 만든 외래어 표기법도 이 비일관성을 답습하고 있다. [ü] [62] 그런데 과거 한국에서 중국어 교육을 주음부호로 할 때도 이것을 제대로 안 가르쳐주는 경우가 많았다. (한어병음처럼) 오히려 경성을 무기호로도 쓴다고 잘못 가르치는 경우도 있었다. 사실 1970년대 이후는 글자만 정체자지, 어휘나 표현, 발음은 중화민국 국어가 아닌 보통화에 가깝게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보다 대략 20년 일찍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한 일본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 당시에 나온, 간체자를 채용한 소수의 교재들은 대개 일본 책들을 베낀 것이 많다. 중국 대륙에서 나온 책은 구해서 보기가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지만 좀 어려운 편이었다. [63] 다른 성조 기호들도 세로쓰기나 가로쓰기 시 회전을 하지 않으니 당연하다. [64] 1성 부호는 거의 안 쓰기 때문에 이것을 아예 공백으로 렌더링하는 컴퓨터 글꼴도 있다. 먼 옛날 국내 중어중문학과의 시험 문제에서 한자를 주고 발음을 주음부호로 표기하라는 문제가 있었는데, '1성도 표기할 것'이라는 지시문을 주었다. 이 말이 없으면 성조 표시를 1성이라서 안 한 건지, 몰라서 안 한 건지 확인하기 위해서였을 듯하다. [65] 아래 그림에도 나와 있지만 표준적인 글꼴에서는 마치 ✓ 표시처럼 오른쪽의 선이 왼쪽보다 더 길고 더 높은 위치까지 뻗어 있다. 사실 표준 중국어의 3성 발음을 감안하면 이쪽이 더 정확하긴 하다. 음성학에서 성조 소릿값을 숫자로 나타낼 때 1을 가장 낮은 음, 5를 가장 높은 음으로 쳐서 표현하는데, 3성 발음은 214조(調)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ˇ을 그을 때 내려가는 획보다 올라가는 획이 더 높게 뻗어야 실제 소릿값에 조금 더 정확하게 부합하게 된다. [66] 요즘엔 보기가 힘들지만 만약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가로쓰기라면 첫 주음부호 문자의 오른쪽에 기재해야 할 것이다. [67] 한어병음에서는 경성에는 아무런 표기를 하지 않는 게 원칙이지만 관행적으로 음절 앞에 가운뎃점(·)을 찍어 경성임을 명확히 하는 것도 허용되고 있다. 이 표기 방식은 한어병음 제정·보급 전까지 주로 쓰였던 주음부호의 영향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68] 경성 부호와 다른 성조 부호를 동시에 기재하면 경성으로 발음된다는 사실과 원래 성조를 동시에 나타낼 수도 있을 듯 하다 [69] '수책'은 '핸드북(handbook)'이라는 뜻이다. [70] 그런데 이상하게도 대만 교육부에서 만든 모바일 사전을 보면 얼화운을 경성 ㄦ로 안 적고 성조 표시 없는ㄦ로 적고 있다.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몰라 이렇게 적은 것으로 보인다 [71] 상술했듯이 그냥 공백으로 만들어 놓는 글꼴들도 있다. [72] 알기 쉽게 한글로 예를 들면 ㅂ은 ㅣㅣㅡㅡ 식의 4획으로 쓰는 게 원칙이지만 ㄴㅣㅡ 식의 3획으로 줄여 쓰는 식. [73] 萬과 같은 글자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간화자(간체)와 일본의 신자체에도 萬을 대신하는 글자로 포함돼 있다. 萬/万의 성모를 접근음 \[ʋ\](사실 이쪽이 더 정확하다) 또는 마찰음 \[v\]로 발음하는 방언이 있어서 그 발음을 나타내는 주음부호로 채택하였다. [74] 사실 접근음이 더 정확하므로 /ʋ/이 더 나을 수가 있지만,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v로 적는다. [75] 일부 방언에서 이 글자의 성모를 \[ŋ\]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그 발음을 나타내는 주음부호로 채택하였다. 한편, 이 주음부호는 대어 방음 부호에서 ng 성모를 표기하기 위해서도 쓰인다. [76] 廣(넓을 광)을 중화인민공화국의 간화자(간체)로는 广이라고 쓰지만(참고로 일본 신자체로는 広), 여기서는 넓을 광이 아니라 원래 넓은 광 자와 별개인 '집 엄' 자로서 쓰인 것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엄(广) 자의 성모를 \[ɲ̟\]~\[n̠ʲ\](그냥 간단히 \[ɲ\]로 적는 경우가 많으나 이 기호로는 정확한 음을 나타내진 못한다. 비표준 국제 음성 기호인 \[ȵ\]로 쓰는 학자도 있다)로 발음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주음부호 ㄬ는 그 발음을 나타내는 주음부호로 채택하였다. 현대 관화의 발음 체계에서 설근음을 홍음(洪音), 설면음을 세음(細音)이라고 불러 둘을 한 짝으로 취급하기도 하는데, 홍음이 운모에 따라 구개음화돼 세음이 된 것으로 본다. 이 관점에 따라 ㄍg-ㄐj, ㄎk-ㄑq, ㄏh(성문음 \[h\]가 아니라 연구개음 \[x\]이다)-ㄒx가 홍음-세음 짝이 되는데, 노국음에서는 추가로 ㄫ(兀)ng-ㄬ(广) /ɲ/가 홍음-세음 짝이 된다. 단 현재의 표준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중화인민공화국 보통화)에서는 설치음 역시 성모에 따라 구개음화가 일어나 설면음으로 바뀌는데, 이건 노국음 등 보수적 관화 발음에서는 안 나타난다. [77] 몇몇 폰트는 이 문자를 마치 ㄗ에 세로 선을 하나 더 그은 듯이 렌더링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런 경우는 잘못 디자인된 것이다. ㄇ에 세로 선을 추가한 문자이므로 모양도 그렇게 디자인해야 옳다. [78] ㄋ에 세로 선을 추가. [79] ㄫ(兀)에 세로 선을 추가. [80] 讀書音 : 실제 구어 발음과는 달리 시가, 문장 등을 읽을 때나 사용했던 문어(文語) 발음. [81] 현대 표준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어병음: hǎi nà bǎi chuān, yǒu róng nǎi dà; 국어 라마자: haai nah baai chuan, yoou rong naai dah; 주음부호: ㄏㄞˇ ㄋㄚˋ ㄅㄞˇ ㄔㄨㄢ,ㄧㄡˇ ㄖㄨㄥˊ ㄋㄞˇ ㄉㄚˋ [82] 한어병음 응용(입성은 음절 뒤에 h를 덧붙여서 표기함): hǎi nah beh chuān, yǒu yóng nǎi dà, 국어라마자: haai naq beq chuan, yoou yong naai dah [83] 다른 이름은 대만 방음 부호(臺灣方音符號). 방음은 방언 발음이라는 뜻이다. [84] 이것은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이 중화민국에 반환된 이후~ 국부천대 이전인 1946년에 고안되었다. [85] 이것 외에 마쭈 민동어 로마자 병음 방안이라는 로마자 표기법도 존재하는데, 보통 중국 밖에서 민동어 발음을 표기할 때는 19세기 중반에 선교사들이 만든 평화자(平話字)라는 표기법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86] 갤럭시 S8은 성조 입력을 안 해도 중국어 입력할 수 있다. [87] 병음과 성조를 함께 입력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가령, 윈도우 중국어(번체, 대만) 키보드에서 입력 방법을 병음으로 변경하면, 병음을 입력한 뒤 숫자 키 1~5로 성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타이핑할 수 있다. [88] 정확한 발음을 알아낼 순 없어도 '대강 어느 정도의 발음이겠구나' 짐작하는 능력이 생긴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한국 한자음 기준으로 'ㅗ' 중성은 운모 '-ao'에 대응되는 경우가 많다(e.g. 高(고, gāo), 毛(모, máo), 好(호, hǎo)), 照(조, zhào)). 마찬가지로 한국 한자음을 아는 한국인들이 일본어를 익히다 보면 언제부터인가 한자의 일본식 독음을 짐작하는 경우들이 있다(e.g. 角(각, カク), 朔(삭, サク)). [89] 직전 각주의 '高, 毛, 好, 照'에 대한 독음들만 해도 한국 한자음 기준 'ㄱ, ㅁ, ㅎ, ㅈ' 초성은 각각 비슷한 성모인 'g, m, h, zh'에 대응되었고 한국 한자음 기준 'ㅗ' 중성은 운모 '-ao'에 대응되었지만, 각각의 성조인 1, 2, 3, 4성은 한국 한자음만으로 짐작하기 쉽지 않다. [90] 물론 중국어 발음을 입력하는 방식에 한정. [91] 帀 모양이다. 앞에서 설명한 대로 일반적으로는 잘 안 쓰이는 글자이기 때문에 많은 폰트에서 이 글자가 렌더링되지 않는다. [92] ㄜ의 초기 형태로, 𠀀 또는 ㄛ 위에 점이 찍힌 모습이다. 유니코드 10.0에 추가됐다. [93] 비음 운모 /n̩/ ㄋ에 세로로 선을 한 획 그은 모양이다. 유니코드 11.0에 추가됐다. [94] 악센트 부호가 그냥 글자 한 자리를 차지하게 하는 코드이다. [95] 사실 일본에서 한국어 교육을 위해 만든 가나다라송이 원곡이다. [96]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 그랬다고 한다. 1970년대 한국 유치원 취원율이 1%대에 머물렀던 것은 서울 등 도시 지역의 취원율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농어촌 지역의 유치원 취원율이 낮아서 평균을 깎아먹었기 때문이다. [97] 일본어에서 유독 후리가나를 자주 쓰는 이유는 한자마다 가능한 독음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98] 중국 대륙에서는 주음부호 대신 한어병음으로 발음을 병기할 때 이런 식으로 작은 글씨로 적거나 괄호 안에 써서 발음을 표기한다. [99] 보스턴 타이완 문화 사무소의 문화 팀장이다. [100] 蔿와 동자다. 이 글자로 보면 음이 '위'라는 게 더 명백하다. [101] 이런 걸 속음이라고 한다. 한국 발음도 중국 본음에 가까운 '위'와 중국 속음과 마찬가지로 遠에 이끌린 속음 '원'이 공존한다. [102] 중국어 단어의 注音(주음) 부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