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1:28:23

한한대사전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漢韓大辭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서 1978년부터 편찬 작업을 시작하여 30년에 걸쳐 2008년 완간한 최대 규모의 한자사전이다. #

1999년 1권을 시작으로 2008년까지 총 16권이 출간되었다.

2. 상세

총 5만 4천여 표제자와 42만여 어휘를 수록하여 한중일에서 편찬된 모든 한자사전들 중 최대이며, 한자의 음에 대하여 근거가 되는 반절과 그 출전을 일일이 제시하고 한자의 음과 훈도 현대어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였다. 단순히 글자와 단어만 많은 것이 아니라 풀이나 용례 등 내용에 있어서도 역대 한자사전 중 가장 방대하다.

국가기관도 국립대학도 아닌 사립대학에서 무려 30년을 하루같이 사전 하나의 편찬을 묵묵히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장충식 총장의 강한 의지가 있었던 덕분이다. 대학 내부에서도 사전 만들 돈으로 기자재나 새로 구입하자고 반대하거나, 편찬기간이 오래 걸리다보니[1]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목소리들도 나왔다. 심지어 IMF 외환위기가 온나라를 덮치고 단국대학교는 부도까지 나면서 한한대사전 편찬도 중도 폐기될 뻔했다. 그런 여러 이유들로 편찬에 필요한 재정을 충당하기가 매우 힘들었다고 한다. 이 사전은 그런 난관을 이겨내며 편찬되었다.

2010년부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은 기존 한한대사전의 오류를 정정하고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으로 공개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 이 작업이 완료되면 한국에서 한문학 하는 사람들에게 신세계가 열릴 것이다. 다만 단국대에서도 이 작업이 언제 끝날지는 확언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2024년 현재 기준으로는 디지털 한한대사전의 작업이 거의 완료되었다고 하니 향후 2~3년 안에 공개를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3. 기타

  • 단국대 동양학연구원에서는 한한대사전을 편찬하면서 한국식 한자들을 모은 한국한자어사전[2]도 함께 발간했다. 원래는 한한대사전의 일부로 기획된 것이었다. 한국한자어사전은 한국식 한자와 한국 한자어, 향찰, 구결 등을 집대성한 사전으로,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디지털화한 한한대사전에는 함께 통합될 예정이라 한다.


[1] 1999년에 1권이 나왔다. [2] 총 4권, 1996년 완간. 5천여개 표제자와 8만 9천여개 어휘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