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3:02:02

가타카나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한자문화권의 문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현재 사용되는 문자 사라진 문자
대한민국 한글 구결 · 옛한글
한자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한글 전 한국어 표기
대만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홍콩 · 마카오
중국 대륙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싱가포르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502 간체자
일본 신자체 만요가나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헨타이가나
베트남 쯔꾸옥응으 쯔놈 }}}}}}}}}

가타카나 오십음도
<colbgcolor=#ececec,#000>
/a/ /i/ /u/ /e/ /o/
/ka/ /ki/ /ku/ /ke/ /ko/
/sa/ /shi/ /su/ /se/ /so/
/ta/ /chi/ /tsu/ /te/ /to/
/na/ /ni/ /nu/ /ne/ /no/
/ha/ /hi/ /fu/ /he/ /ho/
/ma/ /mi/ /mu/ /me/ /mo/
/ya/ /yu/ /yo/
/ra/ /ri/ /ru/ /re/ /ro/
/wa/ /wi/ /we/ /o/
/N/
※ 음영 처리한 가나는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임 ※
둘러보기: 오십음도, 히라가나

1. 개요2. 특징3. 유래
3.1. 한국 기원설
4. 용도
4.1. 현대4.2. 과거
5. 외국어 표기에 관한 이야기6. 가나 목록
6.1. 외국어 전용 행
7. 비슷한 글자8. 관련 문서

1. 개요

[ruby(片,ruby=かた)][ruby(仮,ruby=か)][ruby(名, ruby=な)] / カタカナ / Katakana

가타카나는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가나 중 하나다.

한글 키보드에서 ㅃ+ 특수 문자 조합으로 가타카나를 입력한다.

2. 특징

각지고 딱딱한 느낌 때문에 강한 느낌을 주는 문자란 인식이 강했다. 메이지유신 이후(1868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전(~ 1945년)까지는 공문서 등에서 한자와 함께 쓰는 주된 문자로 취급되었으나 2차 대전 이후 현재와 같은 형태로 가나 표기법을 바꾸면서 보조 문자로 위상이 뒤집어졌다.

'가타나'로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히라가나의 경우 ひら이므로 이를 '히라나'로 표기하지만 가타카나의 경우에는 カタ이기 때문에 이를 '가타나'로 표기한다.[1]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이 아닌 통용 표기에 따라 나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일제 강점기 일본어를 접한 노년층 세대에서는 가다까나, 가따까나와 같은 표기도 발견할 수 있다.[2]

일본어를 배울 때는 보통 히라가나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나서 배우지만, 아예 처음부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짝지어 가면서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문장 또는 철자의 맨 앞을 제외한 모든 문자 표기에 소문자를 사용하는 로마자 와 달리 어느 쪽으로 배우든 한자 표기를 최소화하는 입문 단계에서는 아무래도 히라가나가 가타카나보다 더 광범위하게 쓰이는데다 히라가나에 비해 비슷하게 생긴 글자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일본어 학습자들은 히라가나보다 가타카나를 조금 더 어려워하는 편이다. 그래서 일본어를 배운 사람들은 가타카나의 경우 50음도를 한 번에 외우기보다는, 해당 가타카나가 포함된 단어(특히 외래어)를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넣는 것을 추천하기도 한다.

가타카나를 히라가나에 비해 좀 더 어렵다고 인식하는 건 일본인들도 다를 바 없어서 유아들을 위한 글에서는 원래라면 가타카나로 써야 하는 단어까지 히라가나로 쓰거나, 가타카나로 쓴 단어에 히라가나 후리가나로 덧붙이기도 한다.[3]

일본 달력에서 가타카나가 쓰이는 기념일로는 크리스마스(クリスマス), 부활절(イースター), 할로윈(ハロウィン), 라마단(ラマダーン) 등이 있으며, 모두 이슬람권이나 서양에서 유래한 기념일들이다.

오키나와현에선 다른 도도부현과 다르게 선거 공보에서 후보자 성이나 이름을 표기할 때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 가타카나가 사용되는 행정 구역은 야마나시현 미나미알프스시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니세코정(ニセコ町)으로 각각 영어, 러시아어, 아이누어에서 유래했다.

3. 유래

파일:Katakana_origine.svg.png
가타카나의 50음과 그 유래가 된 한자들은 위와 같다.

헤이안 시대 승려들이 불경 훈독하기 위하여 한자 옆에 한자의 일부분에서 딴 기호를 붙여 일종의 발음 기호로 활용했는데, 이것이 가타카나라는 문자로 발전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다. 즉, 한자를 조각내어(片) 만든 글자.

물론 그 이전에도 가타카나의 원형이 되는 문자 체계는 존재하였다. 적어도 한자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아스카 시대부터는 그 존재가 확인된다.

3.1. 한국 기원설


한국에서 유명한 설로는, 히로시마대학 고바야시 요시노리(小林芳規) 명예 교수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가타카나의 제작 원리가 신라를 비롯한 한반도에서 건너왔다는 설이 있다. ‘가타카나 신라 유래설’ 제기한 일본 학자…“신라 입말 표기 ‘각필’ 볼수록 확신”

고바야시 요시노리 교수는 각필[4] 연구의 선구자로서 2019년에는 각필 연구가 인정받아 일본 정부에 의하여 문화 공로자로 선정될 정도의 권위자인데, 가타카나의 제자 원리 자체는 각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파생되어 나온 주장이다.[5]

고바야시 교수가 해당 설을 주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경으로서 꽤 오래되었는데, 2002년의 에세이 투고를 확인하자면, 가타카나처럼 한자의 일부를 떼다가 발음 기호로 삼는 원리는 일본 고유의 것이라는 일본 학계의 정설(定説)을 부정하고, 불교가 중국에서 한반도를 통해서 전래되었고 고려 시대의 구결처럼 가타카나와 유사한 형식으로 사용된 문자가 있으니, 선후 관계를 보자면 한국의 삼국 시대에서 먼저 그런 방법을 쓴 것 같은데 실증적 자료가 부족하다는 언급을 하고 있다.

이후 2013년 고바야시 교수와 동국대학교 연구진은 가타카나의 조성 원리와 기호가 통일 신라의 각필( 요미가나)에서 먼저 사용됨을 발견하였다. 풀어 쓰자면 헤이안 시대보다 앞선 740년경 일본에 전달된 불경[6]에서 발견된 360여 개의 각필 구결 문자가 가타카나의 조성 원리와 같다는 것이고 #1 #2 이와 같이 '한자의 일부분을 딴 기호를 발음 기호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740년경에 이미 존재하였다면 그 이후에 만들어지고 널리 퍼진 헤이안 시대의 가타카나 제자 원리 또한 그에 영향을 받지 않았겠는가 하는 가설이다. 실제로 고바야시 교수는 "한자를 축약해 만든 가타카나의 근원이 한반도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도 말했다. 日학자 "일본 문자 가타카나 신라서 유래 가능성"

하지만, 가타카나의 기원이 한국이라든가, 신라의 각필이 일본의 가타카나의 근원이 되었다는 식의 주장은 아직 가설의 영역일 뿐이다.

고바야시 교수 자체는 각필 전문 학자지 가타카나 전문 학자가 아니고 고바야시 교수가 해당 학설을 주장한 것은 이미 20년 이상이 넘었음에도 이를 계승하는 학자는 거의 없는데, 고바야시 교수가 전제한 정설(定説) 즉, '한자를 생략해서 발음 기호로 쓰는 것은 일본이 유일하다'는 이론이 이미 학계에서는 사장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고바야시 교수도 언급한 고려 시대의 구결을 비롯하여 동아시아에서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 외 다수의 나라에서 가타카나 혹은 구결과 같은 원리로 한자를 생략하여 발음 기호를 사용한 사례가 다수 있기 때문이며 심지어 중국 내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발음 기호를 사용한 사례가 다수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즉, '한자를 생략해 발음 기호로 쓴다'는 원리는 일본 고유의 것도 아니고 신라 같은 한반도 국가가 발명한 것도 아니고 고대 동아시아 내부에서 널리 퍼진 일종의 공유지(共有知)였던 것이, 학계의 정설이 된 것이다.

다음은 그의 인터뷰 중 일부 발췌한 내용이다.
日本の古代文化に影響を与えたのは中国ですから、中国にも角筆文献があ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たのです。そこで1985年、北京に設立された日本学研究センターに客員教授として招かれた機会に蘭州を訪れ、2000年前の漢時代の墓から出土した木簡「武威漢簡」に角筆の跡と思われるくぼみを確認しました。その後、敦煌文書や宋代の木版一切経の経典のほか明代、清代の文献からも角筆の書き入れを発見しました。
ならば日本が大陸文化を取り入れる経路となった朝鮮半島にもあ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2000年に初めてソウルの主な大学図書館と博物館に調査に行ったところ、11世紀の初雕高麗版から、日本のヲコト点にあたる「点吐」と仮名に当たる「字吐」が角筆で書き入れられていることを初めて見つけました。13世紀以降の文献にも見いだされ、韓国でも角筆が使われた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東アジアの漢字文化圏で主に漢文を読み解くのに角筆が使われ、交流も行われたことが分かってきたのです。
일본의 고대 문화에 영향을 준 것은 중국이기 때문에, 중국에도 각필 문헌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그래서 1985년 베이징에 설립된 일본학 연구 센터에 객원 교수로 초빙된 기회에 란저우를 방문하여 2000년 전 한나라 무덤에서 출토된 목간 '무위한간'에 각필의 흔적으로 보이는 구덩이를 확인하였습니다.이후 둔황문서와 송대 목판일체경 경전 외에 명대, 청대 문헌에서도 각필의 기입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일본이 대륙 문화를 도입하는 경로가 된 한반도에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여 2000년에 처음으로 서울의 주요 대학 도서관과 박물관에 조사하러 갔더니 11세기의 초조 고려판에서 일본의 오코토 점(ヲコト点)에 해당하는 '점토(点吐)'와 가나에 해당하는 '자토(字吐)'가 각필로 쓰여 있는 것을 처음 발견했습니다.13세기 이후의 문헌에서도 발견되어 한국에서도 각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에서 주로 한문을 읽는 데 각필이 사용되고 교류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링크

그의 인터뷰에서도 알수 있듯이, 구결과 가타가나는 신라와 왜의 전유물은 아니었으며, 이 두 문자가 존재하기 이전인 중국 한나라 시절에도 이러한 모양의 한자 축약형 각필이 있었다고 한다.

2013년 고바야시 교수의 연구 성과는, 그런 제자 원리가 한국에서 유래했을 것이지만 실증적 증거가 없다는 2002년의 추론을 보완하는 성격으로서, 헤이안 시대보다 빠른 시기에서 한국에서 한자를 생략해서 썼다는 증거가 발견된 것이다.

다만, 일본 내에서는 740년경보다 빠른 시기에 생성된 문헌 자료에서 가타카나의 원형이 다수 발견되었기에 고바야시 교수의 주장은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파일:isigami05.jpg
大山五十戸造ム下阝知ツ라고 적힌 4번 목간의 왼쪽 문장의 ム下阝知ツ에서 무(ム), 츠(ツ)뿐만 아니라 部의 방인 阝만 떼다가 쓴 가타카나의 원형이 확인된다.( 출처)

예를 들어 2009년 발굴 조사가 종료된 나라현 지방의 이시가미 유적(石神遺跡)에서는 665년(乙丑년)에 작성된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해당 목간에서는 무(ム), 츠(ツ) 같은 가타카나의 초기 형태뿐만 아니라 ム下阝知ツ처럼 部의 방인 阝만 떼어다 쓰는 용례가 이미 보이고 있으며, ム下阝知ツ는 むげべめちつ라고 읽으며 호적에 기록된 문구인 만큼 사람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시기를 생각하면 오히려 아스카 시대의 가타카나 사용이 신라에서 전해진 대방광불화엄경보다 빠르다.

위의 논지와는 별개로 언어학자인 알렉산더 보빈은 구결과 가타가나와 비교했을 때, 구결에서 나타나는 다음성(多音性)이 단음성(單音性)의 성향을 갖는 가타가나의 프로토타입이라고 언어학적인 분석을 했다. 링크

고대 동아시아에서 고유 언어를 가진 각 민족이 한자를 생략하는 형식으로 제 고유의 발음을 표기하는 점은 공통된 현상으로서, 특정 민족이나 국가가 독점하는 성격이 될 수 없다. 그럼에도 고바야시 교수가 이와 같은 주장을 하는 것은 이러한 표기법이 불교 문화와 함께 전수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그 루트를 중국 -> 한국 -> 일본으로 보기 때문이다.

알렉산더 보빈의 연구를 보면 일부 문자의 표기나 발음 등을 살펴 볼 때 보수적으로 보더라도 부분적으로는 신라의 구결이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현재 실증 가능한 수준에서도 가능성이 있다. '한자를 간략화해 자국어의 발음 기호로 활용한다'라는 고중세 동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난 현상이 비슷한 시기에 동시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각 지역 간 교류 과정에서 영향을 주고 수정과 보완의 과정을 거쳤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고, 가타카나와 구결의 관계도 그러한 관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보빈은 둘 사이의 형태적 유사성이 발견될 뿐 아니라 가타카나 중 발음 매칭의 근거를 찾기 어려운 일부 문자가 구결을 경유하면 설명이 가능해지는 점 등을 들어 구결이 가타카나에 영향을 준 바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4. 용도

비록 가타카나는 히라가나보다는 사용하는 곳에 제한이 있다지만,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는 21세기 현대 사회에서는 이전보다 훨씬 많은 외래어와 외국어들이 일본에 유입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에 있기에 이들을 표현해 줄 가타카나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심지어 기존에 한자어로 표기할 수 있는 단어들도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뜻이 비슷한 가타카나 외래어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졌기에 2024년에 들어서는 가타카나 단어를 모르면 커뮤니케이션 자체가 성립되기 어려운 정도에 들어섰다.

4.1. 현대

  • 가타카나로 표기하거나, 가타카나를 포함해서 지어진 일본식 이름
    • 메이지 유신 ~ 패전 사이에 태어난 일본인 여성들 중에서는 가타카나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가타카나 이름이 치요(チヨ), 키요(キヨ), 하루(ハル), 히사(ヒサ), 코토(コト), 후미(フミ) 등이다. 물론 과거에 비해 그 수가 줄긴 했지만 최근에도 이름을 가타카나로 표기하거나,[7] 성씨나 이름에 가타카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8]
  • 외국어(단어, 인명, 지명 등) 및 외래어 표기
    • 가장 일반적인 용법이다. 일본어 특성상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히라가나만 쓰면 가독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일본 고유어는 한자를 병기하지만, 한자 병기가 불가능한 외국어 외래어는 그럴 수가 없기 때문에[9] 히라가나와 다른 가타카나를 이용해 가독성을 도모하게 되었다. 한국이나 중국 한자 문화권의 단어의 경우는 이론상은 한자 병기가 가능하여 과거에는 한자로 표기하고 일본식으로 읽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 일본어의 한국어 표기의 경우 한자어가 아니거나, 편의를 위해 처음부터 가타카나로 쓰고 그대로 읽거나,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 요미가나를 원어 발음대로 가타카나를 사용해 쓰고 읽는다.[10] 다만 현대로부터 꽤 오래전 역사적 인물의 이름은 일본식으로 음독하여 읽는 경우도 많다.[11] 반면 한국이 아닌 중화권 국가의 경우는 좀 달라서, 연예인이나 배우, 혹은 일부 대도시 지명을 제외하면 모두 한자 표기를 일본식으로 음독한다.[12] 한국인 역시도 일본 단어는 원음을 존중해서 읽는 경우가 많지만 중화권은 한국식 음독을 하는 경우가 좀 더 많은데 재미있는 부분. [13] 90년대 이전의 한국에서도 간행물, 도서 등에서 외래어나 서양의 인명, 지명 등을 표기할 때, 기울임 혹은 볼드 처리를 해 놓거나 일반적인 바탕체, 명조체와는 다른 글씨체로 인쇄된 것이 있었는데 가타카나의 이 용법과 비슷하다.
    • 일본 외에서 쓰이는 일본어 유래의 인명이나 사물명 등
      • 오버워치의 겐지는 한자로 쓰면 源氏 정도가 되겠지만 ゲンジ로, 한조 또한 한자로 쓰면 半蔵 정도가 되겠지만 ハンゾー로 쓴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생활의 남주인공인 나츠키 스바루는 이세계에서 살아가며 활약하고 있기 때문에 ナツキ・スバル라고 가타카나로 표기하고 있다.
      • TWICE의 일본인 멤버 3인방[14] 역시 전원 일본에서 나고 자란 순수 일본인이지만, 한국 아이돌로서 활동하므로 풀 네임 본명을 언급할 때[15]가 아니면 ミナ, サナ, モモ로 쓴다.[16]
    • 일본에서 유래하지 않은 기념일
      • 일본 달력에서 기념일을 표기할 때 일본 및 한자 문화권에서 유래한 기념일은 대부분 한자와 히라가나로 표기하며[17] 이슬람권이나 서양에서 유래한 기념일을 표기할 때는 가타카나로 쓴다. 예를 들면 부활절을 イースター라고 하거나 할로윈을 ハロウィン, 성탄절을 クリスマス라고 쓰는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스포츠 중계
      • 일본 뉴스에서 올림픽을 중계할 때 야구[18], 유도, 역도, 탁구, 수영 등 한자로 쓰고 일본식으로 읽는 종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 이름을 가타카나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축구는 サッカー, 농구는 バスケットボール (줄여서 バスケ), 배구는 バレーボール (줄여서 バレー), 양궁은 アーチェリー라고 쓰는 식이다.
    • 현재 아이누어의 표기에도 쓰며, 대만일치시기에는 대만어를 표기하는 데 가타카나와 몇 가지 추가 문자가 쓰였다.
  • 한자의 일본어 음독을 소개할 때
    • 실제로 쓸 때는 히라가나로 쓰지만 독음을 소개할 때는 훈독은 히라가나로 표기하고 음독은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 생물의 일본
    •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는 '사람'을 한자로 人라고 쓰지만, 생물학에선 특히 학술 명칭으로 쓰일 때에는 ヒト라고 쓴다.[19] 특히 생물의 경우, 매우 간단하고 널리 쓰이는 한자(e.g. 犬(), 猫( 고양이), 馬(), 象( 코끼리 등)여도 학술 명칭일 때에는 イヌ, ネコ, ウマ, ゾウ처럼 전부 가타카나로 쓰도록 되어있다. 한자가 복잡하거나(예: 蟹(), 薔薇( 장미 등) 상용한자가 아닌 것들을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그래서인지 가상의 생물인 포켓몬의 이름 또한 전부 가타카나로 표기된다.[20] 일본에서 가타카나를 많이 볼 수 있는 장소 중에 동물원, 식물원이 있는 것은 이 때문.
  • 2바이트 문자를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 환경
    • 히라가나 한자는 전각 2바이트 문자밖에 없다. 반면 가타카나는 1바이트 반각 문자가 있으므로 2바이트 문자를 지원하지 않으면 가타카나만 쓸 수 있다. 8비트 PC가 주로 쓰였고 전자수첩 계산기 등의 흑백 액정 해상도가 낮았던 1980년대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워낙 많이 사용되니까 한자와 히라가나를 사용하는 문자 환경이 전산화와 맞지 않으니 일상의 문자 사용도 그냥 가타카나만 쓰자는 의견까지 있을 정도였다.[21] 물론 전산 기기의 해상도와 용량이 늘고 로마자 입력법이라는 보완책이 생긴 현재는 그냥 평소 쓰던 대로 쓴다.
  • 해당하는 단어의 한자가 있으나, 단어나 한자 자체의 뜻이 좋지 않은 경우
    • 예를 들어 상처, 부상을 뜻하는 일본어는 怪我이다. 다만 상처·부상이라는 단어의 뜻이나 한자의 의미[22] 모두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에, 현대 일본어에서는 (특히 구어체 문장에서는) 이를 가타카나로 ケガ라고 쓴다.[23] 암 역시 가타카나로 ガン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 특별히 강조하고자 하는 단어 혹은 문장
    • 영어에서 대문자의 용법과 유사하다. 특히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일본어 특성상 명사를 가타카나로 표기하면 (주로 조사나 접속사에 사용되는) 히라가나와 확실히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 점을 이용해서 단어뿐만 아니라 한 문장 전체를 의도적으로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24][25]
  • 호러 흑화, 광기를 강조할 때
    • 말하는 캐릭터가 뭔가 제정신이 아니거나 초자연적 존재임을 강조하기 위한 연출로 곧잘 사용된다. 한국어로 치면 호러물에서 궁서체 문장이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과 비슷한 느낌. 상술한 훈독체와 맞물려 먼 고대의 존재라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 외국인의 일본어
    • 일본 방송에서는 외국인의 일본어가 어색하거나 초심자 티가 많이 날 때 외국인의 발음을 가타카나 형식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외국인 앞에서 이런 식으로 발음 표기를 하면 싫어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속어 은어, 신조어를 사용할 때
    • 특히 신조어의 경우, 가타카나 표기에 대응되는 한자가 있더라도 가타카나로 표기한 단어와 한자로 표기한 단어의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携帯는 한자 그대로 휴대라는 뜻이지만, 이를 가타카나로 ケータイ라고 쓰면 휴대 전화(携帯電話)라는 뜻이 된다.[26] 또 いく는 行く라고 표기하면 일반적인 의미의 '가다', 逝く라고 표기하면 '죽다'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逝く에서 파생된 イく는 성적인 의미의 ' 가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약 또한 薬로 쓰면 일반적인 약의 의미지만 ヤク라고 쓰면 마약이라는 어감이 강해지고, '하다'는 의미의 やる 또한 ヤる라고 쓰면 해치우다/죽이다 또는 (성교의 의미로서)하다 등의 부정적인 어감이 강해진다. 추가로 반각 가타카나 같은 경우 일본 넷에서는 밈이나 개그로 쓰이기도 한다.
  • 게임· 애니메이션에서 기계(특히 로봇), 외계인, 이계에서 온 사람, 비인간, 일본어에 익숙지 않은 외국인의 대사
    • 보통 대사 전체를 가타카나로 표기하지는 않고, 단어나 문장 끄트머리 등에 한두 자 정도 가타카나를 쓰는 것으로 해당 인물의 어색한 일본어 말투를 표현한다. 키테레츠 대백과의 주인공 코로스케의 상징적 말투인 '~ナリ(더빙판 하오체)'도 자막 처리를 하면 가타카나를 쓴다.[27]
  • 상당수 글로벌 기업체의 이름
    • 외래어 사명이 아닌 대부분의 일본 기업이 한자 기반의 사명인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같은 발음의 가타카나로 사명을 변경하는 일이 많다. 예를 들어 자동차 회사 토요타 스즈키는 豊田, 鈴木였는데[28] 나중에 トヨタ, スズキ로 바꾸었다. 즉 가타카나 표시가 현재 정식 사명 표기이다.[29] 이외에 アサヒビール, フジテレビ 등 이런 예는 많으며 현재에도 계속 늘어가고 있다. 최근에 창업하는 기업들은 (외래어도 아니라 한자 기원 명칭인데도) 아예 처음부터 가타카나로 사명을 정하는 게 보통이다. 이는 고유명사임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マルハン은 뜻을 한자로 풀어 쓰면 丸韓 정도가 되겠지만 가타카나로만 쓴다.
  • 금융 거래

    • 일본에서는 상대방에게 돈을 송금할 때 꼭 쓴다. 이유는 이름에 적힌 한자는 사람마다 다르게 읽을 수도 있어서 이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이름을 가타카나를 쓴다. 거기에 은행 전산망이 한자 미대응인 것도 이유 중 하나다.

4.2. 과거

과거에는 현대에 제한적으로 쓰이는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쓰였다. 과거에 쓰였지만 현대에는 쓰이지 않는 용도는 다음과 같다.
  • 메이지 유신~ 태평양 전쟁 시기 공문서와 법률
    • 한자와 함께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가타카나가 히라가나보다 공식적이고 학술적인 느낌이 강한 문자로 여겨졌기 때문에, 전쟁 이전 공문서는 전부 한자와 가타카나로 쓰였다. 현재와 정반대로 교육 과정에서도 가타카나를 히라가나보다 먼저 가르쳤으므로 일제 강점기를 겪은 노인들이 전후에도 일본어를 표기할 때 현대 일본어와 달리 쇼와 시대 초기 때처럼 가타카나를 쓰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일제 강점기 고문을 경험한 노인이 경험담을 그림으로 풀어낸 일련의 고문 삽화나, 청년 시절까지 일제를 경험했을 김수영이 전후에 쓴 듯한 일본어 일기 및 옥음방송의 전문 등. 하지만 실제 대부분의 서적이나 신문 등 일반 출판물은 히라가나를 자유롭게 사용했다. 가타카나와 한자만 사용하는 것은 공문서나 교과서 등 국가에서 발행하는 문서나 서적이었다. 어린이들에게 히라가나부터 가르치는 관례가 생긴 것은 미군정 이후부터다.
  • 1988년 8월 이전의 일본의 전보문
  • 1950년대-1960년대 일본 지질학 학술 문헌에서의 광물명

    • 현대 일본에서는 학술적 목적으로의 생물명을 가타카나로 표기하듯이, 1954년 일본 광물학회에서 가타카나로 표기할 것을 제기한 바 있으나, 실제로는 "한자명을 쓰는 것에 비해 극히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아 이후에는 사장되었다. 현재 일본어에서 광물명은 한자명이 있는 경우 한자로 표기하고, 상용한자 범위를 넘는 경우에만 히라가나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타카나로 그 명칭을 표기하는 광물은 외국어명이 그대로 용어로 정착된 경우에 한하고 있다.

5. 외국어 표기에 관한 이야기

  • 외국어의 음차나 외래어는 규범적으로 가타카나로 표기하게 되어 있지만, 이를 히라가나로 표기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유는 다양한데, 일례로 테크노스 재팬의 열혈 시리즈에서는 가타카나로 써야 할 상황(외래어 마하: マッハ)에서도 히라가나(まっは)로 표기한다. 이 당시에는 한국의 1980년대 외래어 순화 운동 비슷하게 외래어 사용을 자제하고 히라가나로 표기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고 한다.
    비슷하게 외래어로 취급되어 가타가나로 쓰는 것이 옳은 라멘(ラーメン)도 らーめん으로 쓰는 점포가 종종 있는데, 가타카나로 쓰인 표현은 '중화요리'라는 본질에 입각한 것이나, らーめん은 비교적으로 일본에 토착화된 대중 음식으로서 지닌 친근한 이미지를 내포한다. 가타가나에 비해 히라가나의 자형이 더 둥글고 부드러운 데다가[30], 히라가나 자체가 고전에서 여성 문인들이 주로 사용한 문자에서 유래하여 여성적 이미지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타가나로 외래어를 표기할 때 생겨나는 낯설고 생경한 느낌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 한국어 이름이나 지명 등을 표기할 때도 쓰는데, 한자어일 경우는 해당하는 한자를 한국 한자음과 병기하기도 한다.
    • 예: 부산プサン(釜山)
      • 가, 다, 바, 자는 각각 ガ행, ダ행, バ행, ジャ행으로 표기하되, 어두 및 무성음 뒤에 올 경우에는 무성음으로 발음되므로 각각 カ행, タ행, パ행, チャ행으로 표기한다.
    • 예: 대전(大田)テゾン (X), テジョン (O)
      • 현대 한국어에서는 ㅈ, ㅉ, ㅊ의 음이 치경음에서 치경구개음으로 변하였으므로 '자' 발음은 행이 아닌 ジャ행으로 표기한다. 이것은 남한의 한국어가 아니라 북한의 표준어인 문화어를 적을 때도 일본에서는 북한 당국 스스로 이렇게 표기한다.[31]
  • /ti/, /di/ 음가를 표기할 때는 ティ, ディ로 표기한다. 근대 한국에서 Building '빌딍'[32] (혹은 '삘딍')과 같이 구개음화를 피한 음가를 별도로 표기하던 것과 비슷하다.
    • 예: 파티(party) → パーティ
  • /tu/, /du/ 음가를 표기할 때는 トゥ, ドゥ로 표기한다. 단, /tw/, /dw/ 음가는 발음을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면 보통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 구개음화되지 않은 /si/, /zi/ 음가를 표기할 때 シ, ジ 대신 スィ, ズィ로 표기하기도 한다. 리가지가 이런 경우인데 이걸 잘못 받아들여서 리가즈이라고 적던 시절도 있었다.
  • /i/ 계열 장음을 로 표기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히라가나 표기 상에서도 동일한 스테가나를 통해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때 스테가나는 이중모음을 표기할 때와 마찬가지로 모라를 가지지 않으므로(ウェ, ツァ 등에서처럼), 촉음, 발음, 장음과 달리 앞의 글자와 합쳐 1박으로 읽되 기식에 유의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에 강제성은 없으며, 실제로도 잘 지켜지지 않는다.
    별의 커비 시리즈 원판에서 주인공인 커비(Kirby, /ˈkɜːrbi/)의 이름이 カービィ로 표기되는 데 주목하자. /ˈkɜː/은 장음 기호(ー)를 사용하여 2모라(즉 2박)로 나타냈는데, /bi/는 「ビィ」로 표기하는 데 그쳤다. 이때 이 「ビィ」는 「ちゃ」, 「りゅ」, 「きょ」 등을 읽는 것과 같이 1박, 또는 2박에 비해 짧은 장음으로 읽는 것이 원칙이나, 실제 독자들은 장음으로 인지하고 읽는 것이 대부분이다. #

6. 가나 목록

가타카나 오십음도
<colbgcolor=#ececec,#000>
/a/ /i/ /u/ /e/ /o/
/ka/ /ki/ /ku/ /ke/ /ko/
/sa/ /shi/ /su/ /se/ /so/
/ta/ /chi/ /tsu/ /te/ /to/
/na/ /ni/ /nu/ /ne/ /no/
/ha/ /hi/ /fu/ /he/ /ho/
/ma/ /mi/ /mu/ /me/ /mo/
/ya/ /yu/ /yo/
/ra/ /ri/ /ru/ /re/ /ro/
/wa/ /wi/ /we/ /o/
/N/
※ 음영 처리한 가나는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임 ※
둘러보기: 오십음도, 히라가나

가타카나 탁음 및 반탁음
<colbgcolor=#ececec,#333> /ga/ /gi/ /gu/ /ge/ /go/
/za/ /ji/ /zu/ /ze/ /zo/
/da/ /ji/ /zu/ /de/ /do/
/ba/ /bi/ /bu/ /be/ /bo/
/pa/ /pi/ /pu/ /pe/ /po/
※ 음영 처리한 가나는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이다. ※
가타카나 요음과 촉음
요음 촉음
  • 는 과거에는 /je/에 해당하는 가나의 가타카나였다. 과거 /e/에 해당하던 가타카나는 와 비슷하게 생긴 衣(衤)의 첫 3획에서 비롯된 글자[33]였지만 메이지 시기 50가나 채택 시에 /e/의 발음에서 /e/의 히라가나와 /je/의 가타카나를 채택하면서 현재의 글자로 고정되었다. 이 중에서 ヰ, ヱ는 예전에 작성된 글이나 일부 고유 명사에서 사용되고,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일본어의 장음 기호(ー)는 가타카나에서만 쓴다. 히라가나에서 장음이 필요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같은 단의 あ행 히라가나를 연속해서 쓰는 방법으로 나타내며, 히라가나에 붙은 장음 기호는 비공식적인 표기(예를 들면 작품 이름) 등에서만 나타난다.

6.1. 외국어 전용 행

가타카나 외국어 전용 행
ヴァ/va/ ヴィ/vi/ /vu/ ヴェ/ve/ ヴォ/vo/
ツァ/tsa/ ツィ/tsi/ /tsu/ ツェ/tse/ ツォ/tso/
ファ/fa/ フィ/fi/ /fu/ フェ/fe/ フォ/fo/
イェ/ye/
シェ/she/
ジェ/je/
チェ/che/
ウィ/wi/ ウェ/we/ ウォ/wo/
ティ/ti/ トゥ/tu/
ディ/di/ [34] ドゥ/du/
  • 에 탁점이 붙은 것으로 주로 외국어의 /v/ 발음 표기 시에 사용하고, 의성어로서 만화 등에서 진동을 표현할 때 ヴウウウウ로 적기도 한다. 의 히라가나(ゔ)는 유니코드에 등록도 되어 있으나, 실제 사용례는 극히 드물다.[35]

7. 비슷한 글자

  • ,
    シ는 마지막 획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 그으며, ツ는 마지막 획을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또, 점 2개를 찍을 때 シ는 상하로, ツ는 좌우로 배치하여 찍는다.
  • , ,
    シ, ツ와 비슷한 경우다. ン는 마지막 획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 그으며, ソ는 마지막 획을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또, 점을 찍을 때 ン는 아래로 그으며, ソ는 위로 긋는다. 또한 ノ는 점이 붙지 않으니 유의할 것.
  • ,
    コ는 ㄷ을 뒤집은 것, ヨ은 ㅌ을 뒤집은 것으로 생각하면 쉽다. 그리고 ヨ은 コ보다 1획을 더 적어야 한다.

8. 관련 문서



[1] '히라가나'의 경우 연탁(連濁) 현상이 나타나서 그렇다. 자세한 건 연탁 문서 참고. [2] 1930년대 이후 현대 한국어는 경음-격음-평음의 VOT와 후행 모음 F0에 큰 변화를 겪었는데, 20세기 초중반까지 잔존하던 일본어-한국어 매칭의 흔적으로 볼 수 있다. [3] 대개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더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글인 경우가 많다. [4] 뾰족한 물체로 종이에 작은 글자 자국을 새기는 기록 방법. [5] 문화 공로자 선정 기념으로 행해진 2019년의 히로시마대학 인터뷰를 보면 각필 문화는 중국, 한국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발견된다고 한다. 본 인터뷰에서 고바야시 교수는 가타카나와 유사한 사례로서 고려 시대의 구결을 언급하고 있다. 단 여기서는 아래에서 서술되는 신라 시대 기원설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6]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7] 혼혈인 경우 이런 경우가 비교적 자주 있다. 특히 리사(リサ/Lisa)나 조지(ジョウジ/George)와 같이 일본과 영미권 양쪽에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법한 발음의 이름을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경우는 혼혈인 경우가 많다. [8] 산노미야(三ノ宮), 에노시마(江ノ島) 등의 성씨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9] 아테지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그마저도 한계가 존재한다. [10] 예를들어 한자어가 아닌 서울특별시는 ソウル라 쓰고 '소우루'로 그대로 읽으며, 한자어인 대전광역시는 大田이라고 표기하고 여기에 요미가나를 붙일경우 だいでん(다이덴)으로 음독하거나 おおた(오타)로 훈독하지 않고 한글 발음에서 따온 テジョン이라 쓰고 '테존'이라 읽는 식이다. [11] 예시를 들자면, 역사적 인물인 이순신(李舜臣)의 경우 한국식 발음인 イ・スンシン(이슨신)을 쓸 수도 있고, 일본식 발음인 り しゅんしん(리슌신)으로 쓸 수도 있다. [12] 원음으로 읽는 도시의 예시로, 上海라는 지명을 표기할 때 [ruby(上, ruby=シャン)][ruby(海,ruby=ハイ)]와 같이 가타카나를 요미가나로 달아놓고 '샹하이'로 읽는 식이다. 만약 일본식으로 그대로 음독한다면 じょうかい(죠카이)가 된다. [13] 오사카를 대판, 기시다 후미오를 안전문웅이라고 읽는 한국인은 정말 거의 없지만(그나마 도쿄를 동경, 이토 히로부미를 이등박문이라고 하는 게 흔한 사례.) 북경, 상해, 중경, 성도, 서안, 청도는 매우 익숙하다. 인물의 경우도 근대 이전은 물론, 나이 드신 분들의 경우 모택동, 습근평처럼 근현대 인물도 음독식으로 읽기도 하듯. [14] 모모, 사나, 미나. [15] 모모는 이름 부분이 히라가나이며, 사나 미나는 순 한자 이름이다. [16] 단, IZ*ONE의 일본인 멤버 3인방(현 LE SSERAFIM 사쿠라, 나코, SAY MY NAME 히토미)과 로켓펀치의 전 멤버 쥬리는 일본에서 AKB48 및 자매 그룹(나코는 HKT48)으로 데뷔하고 한국에서 재데뷔한 예외 사례이기에 이를 따르지 않고 본명을 한자로 표기한다. [17] 예외로 부활절은 서양에서 유래한 기념일이지만 한자로 復活節로 쓴다. 주로 일본의 교회에서 주는 달력에서 볼 수 있다. 다만, 일상에서는 부활절을 イースター라고 많이 쓴다. 크리스마스 역시 聖誕祭라는 한자어가 있지만 일상에서는 クリスマス라는 가타카나를 더 많이 쓴다. 한국의 기념일 중 한자가 없는 기념일에는 가타카나를 쓴다. [18] 2008년 정식 종목 제외. [19] 영어로 하면 전자는 person, 후자는 human이나 H. sapiens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20] 또한, 인간이 존재하지 않는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리즈에는 인간을 ニンゲン으로 쓴다. [21] 비슷한 시기 한글 쪽도 마찬가지여서 풀어쓰기로 쓰자라는 의견이 있었다. [22] 괴이할 괴(怪) 자에 나 아(我) 자를 쓴다. 즉, 한자의 의미만 가지고 본다면 '내가 괴상해졌다'에 가까운 뜻이 된다. [23] 같은 이유로 한자의 뜻이 나쁜 차별 어휘도 가타카나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부라쿠민을 가리키는 차별어인 穢多도 한자의 의미('더러움이 많다')가 대놓고 차별적이기 때문에 한자보다는 가타카나로 エタ라고 쓴 형태가 더 자주 발견된다. [24] 비슷한 맥락에서 일본어 의성어, 의태어는 히라가나, 가타카나 모두 사용하지만, 의성어, 의태어는 상황이나 소리를 강조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대부분 가타카나로 쓰인다. 일례로 일본 만화책을 보면 크고 웅장한 효과음이나, 주인공의 포효 등은 절대로 히라가나로 쓰이지 않는다. [25] 이런 용도와는 좀 다르긴 하나 그 반대로 가타카나로 표현해야 하는 외래어나 외국어 단어를 의도적으로 히라가나로 표현하는 용도가 존재한다. [26] 이것이 나아가, 현재로서는 携帯로 표기해도 휴대 전화로서 통용된다. [27] なり는 조사 に에 ラ행 변격 활용 동사의 종지형 あり가 결합된 にあり가 なり로 축약된 것으로, 현대어의 である와 같은 뜻이다. 그러나 현대 일본에서는 아무도 なり를 일상에서 쓰지 않고 이 말을 쓰면 십중팔구 코로스케 패러디라고 생각하게 될 정도로 코로스케의 상징적 말투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것이다. [28] 둘 다 설립자의 성이다. [29] 이례적으로 이스즈는 히라가나로 사명을 쓴다(いすゞ). 물론 이것 역시 원래는 五十鈴라는 한자 표기에서 유래했다. [30] 일본의 어린이들이 한자나 가타카나보다 먼저 깨치는 문자라는 사실과 맞물려, 이를 '유아적'이거나 '귀엽다'고 인식하는 독자도 많다. [31] 일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기가 다음과 같다. チョソンミンジュジュイインミンゴングワグク 밑줄 친 부분에 주목. 어두의 '조'는 ちゃ행으로 나타내고 있다. [32] 구개음화 문서 참조 [33] 이 글자는 히라가나와 마찬가지로 2010년 10월 10일에 유니코드 6.0에 추가되었다. 코드는 U+1B000. [34] ウォ/wo/, ティ/ti/, トゥ/tu/, ディ/di/, ドゥ/du/ 글자는 발음대로 입력 시 가나가 입력이 제대로 안 되는 걸 알 수 있다. 이 경우 h 키 혹은 w 키를 넣어주면 who, thi, two, dhi, dwu를 출력시킬 수 있다. 혹은 큰 가나 문자의 원래 발음을 적은 후 그 뒤에 x를 덧붙인채 작은 가나 문자의 발음을 적어줘도 동일하게 출력이 가능하다. 즉, uxo, texi, toxu, dexi, doxu라고 입력해도 ウォ, ティ, トゥ, ディ, ドゥ가 나오는 것. [35] 비챤(ゔぃちゃん)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