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ヴ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や''' | <colbgcolor=white,#1f2023> '''ヤ''' |
국립국어원 표기법 | 야 |
라틴 문자 표기 | ya |
IPA | [jä][1] |
히라가나 자원 | 也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也의 약자 |
일본어 통화표 | [ruby(大和, ruby=やまと)]のヤ(야마토노 야) |
유니코드 | U+308(E)4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や행의 초성은 유성 경구개 접근음이다. 또한 /j/가 들어간 모음들을 표시하기 위해 い단과 조합할 수 있다. キャ / ジャ 등. 그 외에 ヴ / フ / テ와도 조합해 /vjä/, /fjä/, /tjä/의 소리를 낼 수도 있다.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ˈpiːnʌt] → ピーナッツ. 다만 한국어를 가나로 표기 할 때에는 ㅓ가 원순모음의 경향이 많기 때문에 お단으로 쓴다. ex) 선 → ソン
4. 모양
둘 다 어조사 야(也)에서 왔다. '어조사'라는 뜻풀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한자는 단어 단위로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한문에서는 어조사 의(矣)와 함께 문장 끝에 자주 온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도(역시)' 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히라가나 や는 폰트에 따라서 세로획 두 개를 이어서 쓰기도 한다.
5. 발음
6. 쓰임
6.1. 명사를 잇는 조사
한국어 '~나'와 비슷하게 서로 동등한 명사 둘을 잇는다. ex) 野球やサッカー(야구나 축구)6.2. 간사이벤의 조동사
간사이벤은 や로 끝날 때가 많은데 강한 주장을 하는 조동사 역할을 한다고 한다. 표준어의 のだ와 약간 유사하다.6.3. 기타
あ 앞에 い가 선행될 경우 '야'로 나는 것을 や로 적기도 하고, あ로 적기도 한다. や로 적는 사례는 ダイヤ(다이아몬드)가 있고,[2] イタリア나 ブルガリア는 ア로 적는 사례. 이 두 나라도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는 イタイヤ, ブルガリヤ라고 적었다고 한다.일본 이름에서 끝에 や가 들어가면 대부분 남자의 인명이다. 타쿠야, 나오야, 신야, 아츠야 등.
하이쿠에서는 시상을 전환하는 키레지의 하나로 사용되며 바로 위의 단어를 강조한 후[3] 다른 장면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7. 한자
7.1. 음독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ヤ | 야 | 野夜冶 | |||
ヤク | 역 | 役訳 | 약 | 約薬躍 | 액(厄) |
뜻이 있는 단어로는 野(들 야)외 冶(풀무 야)가 제일 많이 쓰인다. 그나마도 冶는 야금이나 야공 등 제철 단어에만 한정적으로 쓰이므로 음으로 읽는 한자 중에선 野가 제일 압도적이다. 野球( 야구), 野生( 야생), 野党( 야당) 등. 다만 野는 훈으로 の라고 읽을 때도 많다.
그 외에 爺(아비 야)가 있기는 하나 이 글자는 주로 爺(じじい)처럼 훈으로 읽는다. 마지막으로 椰(야자 야)가 있는데 동식물 이름에는 한자를 잘 쓰지 않고 가타카나를 쓰는 추세다 보니 ' 야자나무' 역시 椰子보다는 ヤシ라고 쓸 때가 많다.
也와 마찬가지로 어조사인 耶가 있다. 과거 '예수'의 한자 음차인 耶蘇(야소)에서 간간히 볼 수 있다.
7.2. 훈독
矢(화살 시) 屋(집 옥) 谷(골짜기 곡) 弥(미륵 미)가 있다.矢는 화살을 나타내는 단어에서 훈으로 꽤 자주 읽는다. いちのや(처음 쏜 화살), あだや(빗맞은 화살) 등.
屋은 일본어에서 집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하는 사람'의 뜻을 가진다. 万屋(よろずや; 만물상), 居酒屋(いざかや; 선술집) 등. 이는 한국어에서 방( 房)이 ' 가게'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 ex) 시계방, 약방 등. 그 외의 집 모양을 한 것들에 이것저것 붙는다. 屋敷(やしき)는 저택, 屋台(やたい)는 (집 모양) 포장마차, 屋根(やね)는 지붕 등. やど 역시 보통 宿로 쓰지만 屋戸라고 풀이하는 사전도 있다.
谷는 や로 읽을 때가 별로 없는데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예는 渋谷( 시부야)이다. 간혹 古谷( 후루야), 塩谷(시오야) 등 사람 이름에 쓰이기도 한다.
弥는 弥生( 야요이)에서 や라고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