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정희(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nopad> '''''' |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c224> 제1-3대 | 제4대 | 제5-9대 | 제10대 |
이승만 | 윤보선 | 박정희 | 최규하 | |
<rowcolor=#ffc224> 제11·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
<rowcolor=#ffc224>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노무현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
<rowcolor=#ffc224> 제20대 | ||||
윤석열 |
}}} }}}}}}}}}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 |||
출생 | 1917년 11월 14일 | ||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동 171 (現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1] |
|||
사망 | 1979년 10월 26일 (향년 61세)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
국군서울지구병원[2]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박정희대통령묘소 | ||
재임기간[3] | 제5대 대통령 |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
제6대 대통령 |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7대 대통령 |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4] | |||
제8대 대통령 | |||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 |||
제9대 대통령 | |||
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5] | |||
서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본관 | 고령 박씨[6] | |
등록기준지 |
경상도
성주목 망성방 철산리 사읍촌 (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장산리) |
||
부모 | 아버지 박성빈, 어머니 백남의 | ||
형제자매 |
형 박동희, 박무희,
박상희, 박한희 누나 박귀희, 박재희 |
||
배우자 |
김호남[이혼] 이현란[사실혼] 육영수[재혼] |
||
자녀 |
장녀
박재옥[10] 차녀 박근혜[11] 삼녀 박근령 장남 박지만 |
||
학력 |
구미공립보통학교[12] (졸업 / 11회) 대구사범학교 (졸업 / 4회) 조선경비사관학교 (졸업) |
||
종교 | 개신교 → 불교 (사실상 무종교)[13][14] | ||
신체 | 164cm, 60kg, A형 | ||
약칭 | 朴, 박통, PP[15] | ||
호 | 중수(中樹) | ||
군사 경력 | |||
임관 |
신경군관학교 (2기) 일본육군사관학교[16] (57기)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17] (2기) |
||
복무 | 만주국 육군 | ||
1944년 ~ 1945년 | |||
한국광복군 | |||
1945년 ~ 1946년 | |||
대한민국 육군 | |||
1946년 ~ 1949년[18] 1950년[19] ~ 1963년 |
|||
최종 계급 |
중위 (
만주국 육군) 중대장 ( 한국광복군) 대장 ( 대한민국 육군) |
||
주요 보직 |
제5보병사단장 (16대) 제6군단 부군단장 제7보병사단장 (12대) 제6관구사령관 군수기지사령관 (초대) 제2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
||
병과 | 포병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중일전쟁) 여순사건 6.25 전쟁 |
}}}}}}}}} |
공식 초상화 |
[clearfix]
1. 개요
|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취임 선서[20] |
내 一生 祖國과 民族을 爲하여
1974년 5월 20일에 적은 휘호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1974년 5월 20일에 적은 휘호
2. 약력
- 1932.3. 구미공립보통학교 졸업 (제11회)
- 1937.3. 대구사범학교 졸업
- 1937.4. 문경공립보통학교[21] 4학년 훈도
- 1939.4. 문경공립보통소학교 교사
- 1940.4. 만주국육군군관학교 신징군관학교 입교
- 1942.3. 만주국육군군관학교 신징군관학교 예과 수석 졸업 (제2기)
- 1942.10.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편입
- 1944.4.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제57기, 3등)
- 1944.4. 일본 제국 육군 헌병 수습사관 ( 조장, 관동군 635부대)
- 1944.7. 만주군 소위 임관, 만주군 열하성 제6군관구 제8보병단 배장
- 1944.12. 만주군 제6군관구 제8보병단 부관실 을종 부관 겸 단기 책임자
- 1945.7. 만주군 중위 진급
- 1946.12. 조선경비사관학교 졸업 (제2기, 3등)
- 1946.12. 조선경비대 포병 소위 임관, 춘천 8연대 배속
- 1946.12. 남조선로동당 입당, 군사총책
- 1947. 조선경비보병학교 수료
- 1947.9. 조선경비대 대위 진급[22]
- 1948.8. 조선경비대 소령 진급, 대한민국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배속
- 1949.1. 육군 소령 불명예 전역,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문관
- 1950.6. 대한민국 육군 소령 복직, 육군본부 작전정보국 제1과장
- 1950.9. 육군 중령 진급, 육군본부 수송지휘관
- 1950.10. 제9보병사단 참모장
- 1951.4. 육군 대령 진급
- 1953.11. 육군 준장 진급, 제2군단 포병사령관
- 1955.7. 제5보병사단장
- 1957.3. 육군대학 졸업
- 1957.3. 제6군단 부군단장
- 1957.7. 제7보병사단장
- 1959.3. 육군 소장 진급
- 1959.7. 제6관구사령관
- 1960.1. 부산군수기지사령부 사령관
- 1960.7.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 1960.12.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
- 1961.5. 군사혁명위원회 부위원장
- 1961.5. 군사혁명위원장
- 1961.5.20.~1961.7.2. 초대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 1962.6.18.~1962.7.9. 내각수반
- 1961.7.3.~1963.12.16. 제2대 국가재건최고회의장
- 1961.8. 육군 중장 진급
- 1961.11. 육군 대장 진급
- 1962.3.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23]
- 1963.8.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전역
- 1963.10. 제5대 대통령 선거 후보 ( 민주공화당)
- 1963.12.17.~1967.6.30. 제5대 대한민국 대통령
- 1963.12. 무궁화대훈장 수훈
- 1963.12. 제2, 3대 민주공화당 총재
- 1967.5. 제6대 대통령 선거 후보 ( 민주공화당)
- 1967.7.1.~1971.6.30. 제6대 대한민국 대통령 (재선)
- 1971.5. 제7대 대통령 선거 후보 ( 민주공화당)
- 1971.7.1.~1972.12.26. 제7대 대한민국 대통령 (3선)
- 1972.12. 제8대 대통령 선거 후보 ( 민주공화당, 간선)
- 1972.12.27.~1978.12.26. 제8대 대한민국 대통령 (4선)
- 1972.12.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장
- 1978.12. 제9대 대통령 선거 후보 ( 민주공화당, 간선)
- 1978.12.27.~1979.10.26. 제9대 대한민국 대통령 (5선)[24]
- 1979.11.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3. 일생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일생 문서 참고하십시오.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 문서 참고하십시오.
4. 사상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사상 문서 참고하십시오.5. 평가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정부/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여담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7.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8. 관련 시설
8.1. 박정희 대통령 생가
박정희가 태어난 1917년부터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한 1937년까지 20여 년을 살았던 집으로, 1993년 2월 25일에 경상북도 기념물 제86호로 지정되었다. 주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상모동)이다. 현재 구미의 가볼만 한 관광지로 자주 소개되어 일반인들도 많이 찾으며, 특히 보수 정치인들이 자주 와서 참배를 하곤 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 탄신제도 여기서 행해진다. 여기에 쓰인 영정 사진은 실제 장례 때 쓰인 사진이 아닌 테일코트 차림에 무궁화대훈장을 패용한 사진을 쓰고 있다.2016년 11월 30일, 누군가가 생가에 불을 질러 박정희 영정이 있는 추모관이 전소되었다. 경찰이 현장에서 백모 씨(48)를 방화 용의자로 체포하였는데, 이 사람은 4년 전에 노태우 대통령 생가에도 불을 지른 적이 있었고 그로 인해 대구지법에서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은 전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백모 씨는 2007년에도 송파구에 위치한 사적 제101호 삼전도비를 훼손했던 적이 있다고 한다. # 백모 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농단 사건이 터지고도 하야를 하지 않아 방화를 저질렀다고 경찰에 진술하였다. 그는 방화 외에도 폭행, 상해, 재물손괴 등의 전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구미시는 약 9천만 원을 복구비로 들여 생가와 추모관을 곧 복원하겠다고 한다. 2017년 4월 25일, 법원은 문화재보호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백모 씨에게 징역 4년 6개월을 선고했다. 이 재판은 국민참여재판으로 진행되었다. #
8.2. 묘소
<colbgcolor=#005ba6>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묘소[25] |
현재 대한민국에서 순수 매장한 무덤 규모 기준 가장 규모가 큰 무덤이다. 국가원수 묘소 중 가장 규모가 크며, 국가원수 묘소 중 가장 규모가 작은 김대중대통령묘소(국립서울현충원 소재)와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가 난다. 사실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와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는 순수 묘소 기준으로 비교하자면 박정희 묘소가 김대중 묘소보다 약간 큰 수준으로 별 차이가 없지만, 주변 묘소 전체가 1000평이 넘어갈 정도로 굉장히 넓다.[27]
8.3. 박정희대통령기념관
김대중 정부의 공약으로 지어진 박정희대통령기념관[28] 및 박정희도서관[29]이 상암동에 있다.자세한 내용은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도서관 문서 참고하십시오.
9. 가족 관계
박정희 전 대통령 가족 사진[30] |
박정희 가문은 부울경의 김영삼 가문, 호남의 김대중 가문과 더불어 한국의 케네디 가문이라 불리는 3대 정치명문가 중 하나로 대구·경북에서 절대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갖고 있다.[31]
- 조부 박영규(1840 ~ 1914)
- 아버지 박성빈(1871 ~ 1938)
- 어머니 백남의(1872 ~ 1949)
- 큰형 박동희(1895 ~ 1972)
- 조카 박재홍(1941 ~), 딸 박재선
- 둘째 형 박무희(1898 ~ 1960)
- 조카 박재석
- 조카 박재호
- 큰누나 박귀희(1902 ~ 1974) - 남편 은용표
- 셋째 형 박상희(1906 ~ 1946)
- 조카 박준홍(1946 ~ )
- 조카딸 박영옥(1929 ~ 2015) - 남편 김종필(1926 ~ 2018)
- 조카딸 박계옥 - 남편 김용태
- 조카딸 박금자 - 남편 반기언
- 조카딸 박설자 - 남편 김희용
- 넷째 형 박한희(1910 ~ 1928): 요절
- 둘째 누나 박재희(1913 ~ 1996)
- 본인 막내 박정희(1917 ~ 1979)
자손 대대로 나이 차이가 매우 심하다. 박정희 본인은 아버지 박성빈과 46살 차이이며 박정희 본인 역시 아들 박지만과 41살 차이가 나는데 박지만 역시 손자 박세현과 47살 차이나며 이 박세현이 무려 장남이다. 박지만의 3남과 4남 쌍둥이 형제인 박지현과 박수현은 장남인 박세현보다 10살이 연하라서 아버지인 박지만과 57살이라는, 빼도 박도 못할 할아버지와 손자급의 나이 차가 난다. 이렇게 보면 증조할아버지 박성빈과 증손자 박지현, 박수현 쌍둥이 형제의 나이차는 144살이라는, 실로 괴물같은 나이 차가 난다.
박성빈 -46- 박정희 -41- 박지만 -47- 박세현으로 이어지는 4대가 각각 부모와 자식간 나이 차가 최소 40살 이상이라는 굉장히 큰 차이가 난다.
공교롭게도 아버지 박성빈과 김일성의 할아버지 김보현은 둘이 1871년 생 동갑내기이다. 김일성이 박정희보다 되려 5살 연상인 걸 감안하면 박정희와 그 아버지 박성빈의 나이차가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 대중매체에서
이창환이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 전문 배우로 유명하다.- KBS2 미니시리즈 무풍지대에서 배우 신종섭이 연기했다.
- KBS 실록대하드라마 여명의 그날에서 배우 백준기가 연기했다. 관동군 내부에서 광복군과 내통한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 때문에 해당 드라마가 역사왜곡 논란이 있었다 한다.[34]
- KBS 드라마 욕망의 문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고 '이름 없는 대통령'으로 나오는데 이진수의 연기가 좋아서 이후에도 박정희 배역을 여럿 받는 계기가 된다.
- KBS 드라마 훠어이 훠어이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제2공화국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전쟁과 사랑에서 배우 이진수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제3공화국에서 아역 시절 김상민, 청소년 시절 홍경인, 청년 시절 이창환, 장년 시절 이진수가 연기했다. 남로당 관련 사건 등 젊은 시절의 박정희를 소재로 다루는 당시로써는 금기시되던 시도를 했다. 여기서 청년 박정희를 연기한 이창환은 이후 박정희 전문 배우가 되었다.
- MBC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주인공이 전두환이고 10.26사태로 드라마가 시작하기 때문에 극초반과 회상 장면에만 등장한다.
- MBC 특집극 오른손과 왼손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C 단막극 베스트극장 - 대통령과 TV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C 예능 타임머신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다큐멘터리 MBC 스페셜 - 부마항쟁 40주년 기념 '1979'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KBS 다큐멘터리 극장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BS 드라마 삼김시대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최종보스처럼 등장하지만 주인공 김두한이 1972년에 사망하는 관계로 짤막하게만 등장한다.
- SBS 특집극 70분 드라마 - 가방을 든 남자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연극 인간 박정희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영화 잘 살아보세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PBC 드라마 김수환 추기경에 관한 마지막 보고서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MBN 다큐드라마 대한민국 정치비사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eMA 벙커 특별전시영상- '나, 박정희, 벙커'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tvN - TV조선 합작 단막극 <위대한 이야기 - 원폭 박치기 김일의 박정희>에서 배우 이창환이 연기했다.
- SBS 드라마 코리아 게이트에서 배우 독고영재가 연기했다.
- MBC 드라마 영웅시대에서 배우 독고영재가 연기했다. 실제 역사 속 박정희가 행한 부정적 행적 일부가 다른 인물들의 짓으로 각색되었으나 정책 실패후 의기소침한 모습을 보이거나 "쿠데타만 일으키고 실패한 군인으로 남겠지"등의 대사가 나오기도 한다.
- 영화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에서 배우 이균식이 연기했다.
- 영화 효자동 이발사에서 배우 조영진이 연기했다.
- 신상옥 감독의 영화 증발에서 일본계 미국인 배우 조지 타케이가 연기했다.
- 영화 그때 그 사람들에서 배우 송재호가 연기했다.배역은 '통치자'로 표기되며 인간적이지만 동시에 희화회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 영화 덕혜옹주에서 배우 김승훈이 연기했다. 여기서는 직접적으로 이름이 나오진 않고 박 의장이라고만 불린다. 김장한[35]의 부탁을 받아 덕혜옹주의 귀국을 허락한다.
- 영화 남산의 부장들에서 배우 이성민이 연기했다. 직접적으로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고 박통이라고 나오나, 군복 등의 명찰에 박정희라고 적혀 있는 것이 간간히 나온다.
- 북한 영화 민족과 운명에서는 배우 김윤홍[36]이 박정희 역할을 맡았다. 북한영화답게 여러 인물을 압박하며 이렇게 압박 받던 인물이 월북해 진정한 꿈을 이루었다는 레퍼토리가 몇번 나온다. 10.26 사태도 다루는데 김재규의 대사중 "내 뒤에 미국이 있다"는 대사를 삽입하였다.
- 영화 킹메이커에서 배우 김종수가 연기했다. 실명이 아닌 박기수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37]
- 2차세계대전 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4의 대체역사 모드인 레볼루션 오브 1896에서 한국 측의 장군으로 등장한다. 이 세계관에서는 경술국치와 만주사변[38] 이 일어나지 않았기에 만주군이 아닌 한국군에 입대해 장군이 된것으로 보인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의 대체역사 모드 TNO에서는 백선엽과 함께 대만주제국 소속으로 등장한다.
- THE LAST EMPIRE에서는 직접적인 등장은 없으나 한국이 미국에 승리하는 전후 중점을 타면 만주국에서 활약중인 장교라고 언급되며 이후 후속작이라고 볼수 있는 유자의 짐에서 한국을 만주국처럼 극단적인 전제주의 기업국가로 만들어버린다. TNO원본의 기시 노부스케 역할.
- 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에서는 공산주의자로서 김일성의 부하로 등장하나 김일성을 통수친다.
- Eight Years' War of Resistance에서는 만주국고문으로 등장하며 기반/민간/철도/정제소 건설속도를 올려준다. 당시 박정희가 일개 중위였음에도 외국제작자들이 미련이 남아 독재자행적을 반영했다.
-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형인 박상희의 언급으로안 등장. 형에게 지기싫어하는 동생이라고한다.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는 나폴레옹과 주인공 유진 킴을 존경하는 순진한 소년으로 등장하며 이후 원래역사랑 달리 미군에서 군생활을 시작. 독립운동가가 된다. 독립 이후 좌익계열 한국 대통령이된다.
- 하츠 오브 코리아에서 독립을지킨 한국에서 박상희랑 같이 죽을뻔했으나 살아남고 교사생활도중 일본군 소이탄에 학생들이 죽자 국군에 입대, 유럽전선에도 파견된다.이때 다하우 강제수용소에 충격을 먹었는지 PTSD에 시달려서 군대를 전역하고 카페를 운영하다가 죽은, 원역사랑 반대되는 삶을 살았다.
-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는 상류층인 이종찬의 군인에 본분인 문민통제를 설파하자 코웃음치며 자신은 가난한 자기집안의 출세를 위해 군에 들어왔다면서 만주 침공을 꿈꾼다.
11. 어록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어록 문서 참고하십시오.12. 각종 타이틀
- 최연소 대통령.(1963년 12월 기준 만 46세.)[39]
- 최다선 대통령.(5-9대 대통령, 5선.)
- 최장기 재직 대통령.(1963년 12월 17일 ~ 1979년 10월 26일, 15년 10개월 9일.)[40]
- 최초이자 유일하게 재임 도중에 사망한 대통령.
- 최초로 자연사하지 못한 대통령.[41]
- 최초이자 유일하게 암살당한 대통령.[42][43]
- 가장 단명한 대통령.(향년 61세.)[A][45][46]
- 최초로 60대에 사망한 대통령.[A]
- 이혼 후 재혼 경험이 있는 두 대통령 중 한 명.[48]
- 유일하게 재임 중에 영부인과 사별한 대통령.[49]
- 최초의 20세기 출생 대통령.[50]
- 최초의 일제강점기 출생 대통령.[51]
- 최초의 공산주의자 경력이 있는 대통령.
- 최초의 군인 출신 대통령.
- 최초로 군사반란으로 집권한 대통령.
- 최초의 장성 출신 대통령.[52]
- 최초로 주치의를 둔 대통령.
- 최초로 기념주화에 들어간 대통령.
- 최초로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대통령이 된 대통령.[53]
- 최단신 남성 대통령.[54]
- 최초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출신 대통령.
- 최초의 경상도 출신 대통령.[55]
- 최초의 부녀(父女) 대통령.[56]
- 노태우 전 대통령과 기일이 같은 대통령.
- 이명박과 더불어서 아들보다 딸이 더 많은 대통령[57]
- 최초이자 유일한 왼손잡이 대통령.
13. 저서
이하 저서들은 2017년에 기파랑 출판사에서 전집으로 출간되었다.- 지도자도(指導者道) -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6.16
- 우리 민족의 나갈 길 - 동아출판사. 1962.3.1
- 국가와 혁명과 나 - 향문사. 1963.9.1
- 민족의 저력 - 광명출판사. 1971.3.1
- 민족중흥의 길 - 출판사 동일. 1978.
14. 관련 서적
- 남산의 부장들
- 실록 민주화운동: 우리 강물이 되어 1권
- 실록 청와대: 궁정동 총소리
- 청와대 비서실 1~2권 - 김진/노재현 저.
- 김형욱 회고록 1~3권 - 김형욱/박사월 공저.
-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4.19 혁명에서 3선 개헌까지 1~2권
- 한국 현대사 산책 1970년대편: 평화시장에서 궁정동까지 1~3권
- 박정희시대(전 3권), 박정권 18년: 그 권력의 내막 - 이상우 지음
-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 조갑제 지음
- 박정희 다시 태어나다
- 실록 군인 박정희 - 정운현 지음
- 개발 독재자 박정희 평전 - 김삼웅 지음
- 만화 박정희(상, 중, 하) - 조갑제, 이상무 지음
- 만화 박정희 (상,하) - 백무현 지음
15. 각종 친필 및 그림들
국기태권도 |
혼란없는 안정속에 중단없는 전진을 |
국토의 균형개발 |
자립경제 자주국방 |
도약하는 행정 |
번영과 통일을 위하여 |
자연보호 |
생활의 과학화 |
바른 언론 밝은 사회 |
어린이는 나라의 희망 |
관광진흥 |
책은 만인의 것 |
문화예술의 전당(세종문화회관 머릿돌) |
조국근대화 |
위 사진의 출처
통일로 |
상승해병 |
블라디미르 푸틴과 박근혜 |
의자에 앉아있는 소녀와 여우 |
화분 |
풍경 |
경부고속도로 관련 구상도 |
16.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63 | 제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민주공화당| |
4,702,640 (46.64%) | 당선 (1위) | 초선[60] |
1967 | 제6대 대통령 선거 | 5,688,666 (51.44%) | 재선 | |||
1971 | 제7대 대통령 선거 | 6,342,828 (53.19%) | 3선 | |||
1972 | 제8대 대통령 선거 | 2,357 (99.92%) | 4선[61] | |||
1978 | 제9대 대통령 선거 | 2,577 (99.85%) | 5선[62]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대 대선 | 6대 대선 | |
7대 대선 | }}}}}}}}} |
역대 후보 이력
|
||||||||||||||||||||||||||||||||||||||||||||||||||||||||||||||||||||||||||||||||||||||||||||||||||||||||||||||||||||||||||||||||||||||||||
|
17. 소속 정당
<rowcolor=#ffc224> 소속 | 기간 | 비고 |
[[남조선로동당| |
1946 - 1948 | 입당[63]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48 - 1963 |
탈당(전향)[64] 정계 입문[65] |
[[민주공화당| |
1963 - 1979 |
입당[66] 피살[67] |
18. 관련 문서
18.1. 사건
18.2. 단체
18.3. 기타
18.4. 외부 링크
- 박정희 - 한국어 위키백과
- 박정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박정희 - 두산백과
-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 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
-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항목
1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5B38> |
박정희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35B38> 일생 | 일생( 진위 논란) · 평가 | ||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 ||||
가족 | 틀:박정희 가문 | |||
역대 선거 |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8대 대통령 선거 · 제9대 대통령 선거 | |||
대중매체 | 야인시대 · 박정희: 경제대국을 꿈꾼 남자 · 그리고 목련이 필때면 | |||
사건사고 | 5.16 군사정변 · 황태성 사건 · 1.21 사태 · 3선 개헌 · 7.4 남북 공동 성명 · 10월 유신 · 저격 미수 사건 · 10.26 사건 | |||
관련 단체 | 박정희 정부 · 국가재건최고회의 ( 군사혁명위원회) · 민주공화당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 중앙정보부 · 정수장학회 · 육영재단 | |||
기타 | 여담 · 어록 · 별명 · 사상 · 박정희주의 · 박정희계 · 박정희로 · 박정희체육관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 박정희도서관) ·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 뮤지컬 박정희 ·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 새마을운동 · 새마을노래 · 경부고속도로 · 고속도로의 노래 · 월남파병 · 서울어린이대공원 · 국민교육헌장 · 긴급조치 · 녹화사업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백지계획 · 프레이저 보고서 · 김호남 · 이현란 ·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 박사모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정부 참고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28B22><tablebgcolor=#228B2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28B22><tablebgcolor=#228B22>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박정희 |
2대 박현수 |
3대 김용순 |
4대 신재식 |
5대 노재현 |
|
6대 최주종 |
7대 이규학 |
8대 이동화 |
9대 고광도 |
10대 임지순 |
|
11대 김용휴 |
12대 이범준 |
13대 김학원 |
14대 박찬긍 |
15대 안종훈 |
|
16대 최영구 |
17대 문응식 |
18대 김용진 |
19대 류근무 |
20대 정숭렬 |
|
21대 김상호 |
22대 배일성 |
23대 이중환 |
24대 최경근 |
25대 유재열 |
|
26대 김석원 |
27대 안성용 |
28대 정중민 |
29대 김기성 |
30대 류우식 |
|
31대 양원모 |
32대 이봉원 |
33대 이상돈 |
34대 전동운 |
35대 정항래 |
|
36대 이정근 |
37대 박주경 |
38대 황대일 |
39대 박양동 |
40대 엄용진 |
|
41대 손대권 |
|||||
※ 초대~5대: 소장 / 6대~현재: 중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522D, #D2691E 20%, #D2691E 80%, #A0522D); color: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4cd4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81818; margin:-6px -1px -11px"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장 | |||
장도영 ✯✯✯ |
||||
군사혁명위원회 부위원장 | ||||
박정희 ✯✯ |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 ||||
김종오 ✯✯✯ |
박임항 ✯✯✯ |
김신 ✯✯✯ |
이성호 ✯✯✯ |
|
김성은 ✯✯✯ |
정내혁 ✯✯ |
이주일 ✯✯ |
한신 ✯✯ |
|
유양수 ✯✯ |
한웅진 ✯ |
최주종 ✯ |
김용순 ✯ |
|
채명신 ✯ |
김진위 ✯ |
김윤근 ✯ |
장경순 ✯ |
|
송찬호 ✯ |
문재준 ❁❁❁ |
박치옥 ❁❁❁ |
박기석 ❁❁❁ |
|
손창규 ❁❁❁ |
유원식 ❁❁❁ |
정세웅 ❁❁❁ |
오치성 ❁❁❁ |
|
박창암 ❁❁❁ |
길재호 ❁❁ |
옥창호 ❁❁ |
박원빈 ❁❁ |
|
이석제 ❁❁ |
||||
군사혁명위원회 고문 | ||||
김홍일 ✯✯✯ |
김동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0F52, #2C1574 20%, #2C1574 80%, #1F0F52); color: #e4cd4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e4cd4d> 초대 | 제2대 | ||
박정희 | 이주일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0F52, #2C1574 20%, #2C1574 80%, #1F0F52); color:#e4cd4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e4cd4d> 초대 | 제2대 |
장도영 | 박정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허정 | 곽상훈 | 허정 | 백낙준 | |
박정희 | 최규하 | 박충훈 | 고건 | |
황교안 | 한덕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color:#C393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장도영 | 송요찬 | 박정희 | 김현철 | |
총재 및 의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총재 | ||||||||
<rowcolor=#835B38> 초대 정구영 |
제2·3대 박정희 |
권한대행 박준규 |
제4대 김종필 |
권한대행 정래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의장 | |||
<rowcolor=#835B38> 초대 김정렬 |
임시·제2대 윤치영 |
제3대 김종필 |
서리·제4대 정구영 |
||||||
<rowcolor=#835B38> 제5대 김종필 |
제6대(서리) 윤치영 |
서리·제7대 백남억 |
제8대(서리) 정일권 |
||||||
<rowcolor=#835B38> 제9대(서리) 이효상 |
제10대(서리) 박준규 |
총재 겸 의장대행 김종필 |
제11대(서리) 전예용 |
||||||
◀
재건당 대표
유신정우회 의장 ▶
민주정의당 총재 및 대표 ▶ 한국국민당 총재 ▶ |
}}}}}}}}}}}}}}} |
무궁화대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49년 | 8월 15일 | 이승만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0년 | 8월 13일 | 윤보선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3년 | 12월 5일 | 12월 17일 | 박정희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7년 | 6월 23일 | 육영수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79년 | 12월 7일 | 최규하 | 대통령 | 대한민국 |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 ||
1979년 | 12월 7일 | 홍기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전두환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이순자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노태우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김옥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김영삼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손명순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김대중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이희호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노무현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권양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이명박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김윤옥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9일 | 박근혜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문재인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김정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하인리히 뤼프케 | 대통령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빌헬미네 뤼브케 | 영부인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이스마일 나시루딘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틍쿠 인탄 자하라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푸미폰 아둔야뎃 | 국왕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시리낏 끼띠야콘 | 왕비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5일 | 장제스 | 총통 | 중화민국 | ||
1968년 | 5월 10일 | 5월 18일 | 하일레 셀라시에 | 황제 | 에티오피아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반티에우 | 총통 | 남베트남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티마이아인 | 제1부인 | 남베트남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하마니 디오리 | 대통령 | 니제르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아이샤 디오리 | 영부인 | 니제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 대통령 | 엘살바도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 영부인 | 엘살바도르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오마르 봉고 | 대통령 | 가봉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조세핀 봉고 | 영부인 | 가봉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대통령 | 세네갈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 영부인 | 세네갈 | ||
1980년 | 5월 11일 |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 국왕 | 사우디아라비아 | |||
1980년 | 5월 14일 |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1981년 | 6월 25일 | 수하르토 | 대통령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5일 | 시티 하티나 | 영부인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틍쿠 아프잔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1년 | 7월 6일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81년 | 7월 6일 | 이멜다 마르코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81년 | 10월 13일 | 로드리고 카라소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1년 | 10월 13일 |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 영부인 | 코스타리카 | |||
1982년 | 5월 10일 | 사무엘 도 | 대통령 | 라이베리아 | |||
1982년 | 6월 7일 | 모부투 세세 세코 | 대통령 | 자이르 | |||
1982년 | 6월 7일 | 보비 라다와 | 영부인 | 자이르 | |||
1982년 | 8월 25일 | 압두 디우프 | 대통령 | 세네갈 | |||
1982년 | 12월 21일 | 케난 에브렌 | 대통령 | 튀르키예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 대통령 | 수단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 영부인 | 수단 | ||
1983년 | 9월 10일 | 후세인 1세 | 국왕 | 요르단 | |||
1983년 | 9월 10일 | 누르 | 왕비 | 요르단 | |||
1984년 | 4월 9일 | 하사날 볼키아 | 국왕 | 브루나이 | |||
1984년 | 4월 21일 |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 국왕 | 카타르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다우다 자와라 | 대통령 | 감비아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치렐 자와라 | 영부인 | 감비아 | ||
1985년 | 5월 17일 |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 대통령 | 파키스탄 | |||
1985년 | 5월 20일 |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6년 | 9월 4일 | 4월 10일 | 엘리자베스 2세 | 국왕 | 영국 | ||
1986년 | 9월 4일 | 4월 16일 | 보두앵 | 국왕 | 벨기에 | ||
1987년 | 4월 7일 | 아메드 압달라 | 대통령 | 코모로 | |||
1988년 | 11월 3일 | 이스칸다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8년 | 11월 3일 | 자나리아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20일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대통령 | 서독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프랑수아 미테랑 | 대통령 | 프랑스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다니엘 미테랑 | 영부인 | 프랑스 | ||
1990년 | 6월 21일 |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 대통령 | 파라과이 | |||
1990년 | 11월 5일 | 괸츠 아르파드 | 대통령 | 헝가리 | |||
1991년 | 9월 13일 | 아즐란 샤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13일 | 투안쿠 바이눈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25일 |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 대통령 | 멕시코 | |||
1992년 | 8월 13일 |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피델 라모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94년 | 11월 7일 | 11월 21일 |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 대통령 | 칠레 | ||
1994년 | 12월 5일 | 12월 9일 | 레흐 바웬사 | 대통령 | 폴란드 | ||
1995년 | 2월 7일 | 2월 16일 | 이슬람 카리모프 | 대통령 | 우즈베키스탄 | ||
1995년 | 2월 21일 | 3월 6일 | 로만 헤어초크 | 대통령 | 독일 | ||
1995년 | 3월 28일 | 4월 3일 | 젤류 젤레프 | 대통령 | 불가리아 | ||
1995년 | 6월 26일 | 7월 7일 | 넬슨 만델라 | 대통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95년 | 9월 26일 | 9월 29일 | 카를로스 메넴 | 대통령 | 아르헨티나 | ||
1996년 | 7월 23일 | 9월 4일 | 알바로 아르수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6년 | 7월 23일 | 페르난두 카르도주 | 대통령 | 브라질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후안 카를로스 1세 | 국왕 | 스페인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 왕비 | 스페인 | ||
1996년 | 11월 26일 |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6년 | 12월 10일 | 12월 15일 | 레오니드 쿠치마 | 대통령 | 우크라이나 | ||
2000년 | 2월 22일 | 3월 3일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대통령 | 이탈리아 | ||
2000년 | 2월 22일 | 3월 6일 | 자크 시라크 | 대통령 | 프랑스 | ||
2006년 | 3월 12일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대통령 | 알제리 | |||
2007년 | 3월 26일 |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2007년 | 3월 28일 |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 국왕 | 카타르 | |||
2009년 | 5월 13일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대통령 | 카자흐스탄 | |||
2009년 | 11월 12일 | 알란 가르시아 | 대통령 | 페루 | |||
2012년 | 5월 30일 | 칼 16세 구스타프 | 국왕 | 스웨덴 | |||
2012년 | 11월 21일 |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 | |||
2018년 | 10월 8일 | 에마뉘엘 마크롱 | 대통령 | 프랑스 | |||
2019년 | 하랄 5세 | 국왕 | 노르웨이 | ||||
2021년 | 6월 14일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대통령 | 오스트리아 | |||
2021년 | 6월 16일 | 펠리페 6세 | 국왕 | 스페인 | |||
2021년 | 6월 16일 |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 왕비 | 스페인 | |||
2021년 | 8월 25일 | 이반 두케 | 대통령 | 콜롬비아 | |||
2021년 | 9월 21일 | 보루트 파호르 | 대통령 | 슬로베니아 | |||
2023년 | 7월 13일 | 안제이 두다 | 대통령 | 폴란드 | |||
2023년 | 11월 21일 | 찰스 3세 | 국왕 | 영국 | |||
2024년 | 11월 16일 | 디나 볼루아르테 | 대통령 | 페루 | }}}}}}}}}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949 이승만 |
1949 이시영 |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
1953 장제스 |
||
1955 하일레 셀라시에 |
1957 응오딘지엠 |
1958 아드난 멘데레스 |
1962 허위 |
||
1962 김좌진 |
1962 오동진 |
1962 조병세 |
1962 안중근 |
||
1962 윤봉길 |
1962 이준 |
1962 강우규 |
1962 김구 |
||
1962 안창호 |
1962 신익희 |
1962 김창숙 |
1962 손병희 |
||
1962 이승훈 |
1962 한용운 |
1962 최익현 |
1962 이강년 |
||
1962 민영환 |
1964 더글러스 맥아더 |
1964 해리 S. 트루먼 |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
1965 다비드 다코 |
1965 수루-미강 아피디 |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
1965 레옹 음바 |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
1965 하마니 디오리 |
||
1965 조모 케냐타 |
1965 무테사 2세 |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
1965 툰쿠 압둘 라만 |
||
1966 타놈 키티카초른 |
1966 쑹메이링 |
1966 천궈푸 |
1968 쑨원 |
||
1968 천치메이 |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
1970 조만식 |
1976 임병직 |
||
1977 필립 제이슨 (서재필) |
1979 박정희 |
1980 최규하 |
1981 시리낏 끼띠야꼰 |
||
1981 푸미폰 아둔야뎃 |
1983 |
1989 김규식 |
1989 조소앙 |
||
1999 장면 |
2008 여운형 |
2019 유관순 |
2021 홍범도 |
}}}■ : 독립유공자 ■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
박정희 가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박정희의 배우자, 동생 및 직계 가족 일람 | ||||||
고조부 박영환 |
|||||||
증조부 박이찬 |
|||||||
조부 박영규 |
|||||||
부친 박성빈 (모친 백남의) |
|||||||
박정희 (처 김호남 → 육영수) |
형 박상희 |
||||||
장녀 박재옥 (사위 한병기) |
차녀 박근혜 |
3녀 박근령 |
독자 박지만 |
질독자 박준홍 |
질장녀 박영옥 (질장서 김종필) |
||
상위 문서: 틀:박정희 |
대한민국 보수 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권영세(비대위) | 허은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치인 | 대통령 | 이승만 · 박정희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부통령 | 이시영 · 함태영 | |||||
대통령 후보 | 김구 · 김종필 · 이회창 · 이인제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
국무총리 | 이범석 · 장택상 · 백두진 · 정일권 · 허정 · 김종필 · 최규하 · 신현확 · 박충훈 · 남덕우 · 김상협 · 노신영 · 이현재 · 강영훈 · 정원식 · 황인성 · 이회창 · 이수성 · 고건 · 한승수 · 김황식 · 정홍원 · 황교안 · 한덕수 | |||||
국무위원 | 1공 · 3공 · 4공 · 5공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소속 정치인 | 부통령 · 국무총리 ·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 지방의회의원 | |||||
기타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감사원장 · 교육감 | |||||
계파 | 친윤 · 친홍 · 친안 · 친유 · 한동훈계 · 오세훈계 · 이준석계 · 역사 | |||||
집권 정부 | 이승만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역사 | 1공-4공 · 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
현존 원외정당 | 공화당 · 국민통합연대 · 내일로미래로 · 대한국민당 · 한국국민당 | |||||
정당연대 | 국제민주연합 · 선진과 창조의 모임 · 민주통합의원모임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 진보 · 민주당계) |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 ||||
2014년 | |||||
※ 2014년 한국갤럽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선정.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순신 | 반기문 | 박정희 | 노무현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정주영 | 이건희 | 김수환 | 김대중 | 김구 | |
2019년 | |||||
※ 2019년 한국갤럽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선정.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순신 | 노무현 | 박정희 | 김구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정주영 | 유관순 | 김대중 | 반기문 | 안중근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부모님 | 이국종 | 이건희 | 안창호 | ||
16위 | 17위 | ||||
문재인 | 김연아 | ||||
※ 응답수 50명 미만인 18위부터는 공개하지 않음. | |||||
2024년 | |||||
※ 2024년 한국갤럽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선정.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순신 | 세종대왕 | 박정희 | 김대중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김구 | 부모님 | 정주영 | 안중근 | 유관순 | |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1]
지번주소상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 171
[2]
사망 당일 19시 40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전가옥 나동 건물 2층 연회장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게 총격을 당했고,
대통령비서실장
김계원에 의해 대통령 전용 차량에 실려 19시 55분경
미국인 의사가 운영하는 인근 병원에 도착했으나
이송 중이던 19시 50분경에 이미 절명한 상태였다. 이후 김계원 비서실장에 의해
국군서울지구병원 응급실로 다시 옮겨져
김병수 병원장이 공식적으로 사망 판정을 내렸다.
[3]
취임일을 포함한 대통령 재임기간은 총 15년 10개월 10일이나 집권기간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기까지 포함해서 흔히 18년으로 일컬어진다. 의장 재임기간은 1961년 7월 3일~1963년 12월 16일(2년 5개월 13일)인데 대통령 취임일 하루 전까지다. 합산하면 18년 3개월 23일.
[4]
당시 헌법상(4년씩 3선까지) 7대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는 1975년 6월 30일까지였지만 1년 5개월 만에
10월 유신으로 끝.
[5]
유신 헌법상(6년씩 무제한) 9대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는 1984년 12월 26일까지였지만
10.26 사건으로 취임한 지 10개월 만에 사망했다.
[6]
직강공파 29세손,
혁거세 65세손 ◯희(○熙), ◯인(○仁), ◯하(○河) 항렬.(
족보)
[이혼]
1936년 4월 1일
결혼. 1950년 11월
이혼.
[사실혼]
1948년 6월부터 박정희와
교제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8월부턴 결혼을 전제로
동거했었던
내연녀. 1950년 2월
결별.
[재혼]
1950년 12월 12일 결혼.
1974년 8월 15일 피살.
[10]
전처
김호남 소생
[11]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12]
현 구미초등학교.
[13]
대구사범학교에 진학하기 전까지는
고향에 있는
교회 주일학교를 열심히 다녔다고 한다.
# 대통령이 된 이후엔 독실한
불교 신자인
육영수 여사의 영향을 받아 친불교적 행보를 보였다. 그 예로 1972년
석굴암과
불국사의 도안을 넣은
만 원권 지폐 발행을 추진했었던 것, 1975년
석가탄신일(지금의 부처님오신날)을
공휴일로 지정한 것,
이승만 정부 시절부터
개신교만 인정되었던
군종을
불교까지 확대한 것 등이 있다. 1979년
미국 대통령인
지미 카터와의
한미정상회담에서 카터가 "대통령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저는 특별히 종교가 없습니다."라고 답했다는
일화도 있는 만큼 박정희 본인은
무종교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상술한 대로 집권 기간 동안 친불교적 행보를 보였기 때문에 세간에는
불자로 알려져 왔고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식 약력의 종교란에도
불교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대한뉴스 603호를 비롯한 상당수의 연설기록에서
하나님을 언급하는 모습도 보인다.
[14]
참고로 자녀들은
무종교인
박근혜를 제외하면 모두
개신교 이다.
[15]
President Park.
[16]
신경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학.
[17]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육군에서 복무하다
8.15 광복 직후 귀국하여 단기과정에
입학.
[18]
숙군에서
남조선로동당 소속인 것이 발각되어 불명예 파면.
[19]
6.25 전쟁이 발발하자 소령 계급으로 복직.
[20]
취임 전에 이루어진 5차 개헌에서 국민에게 엄숙히 선서한다를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로 수정함으로서 선서를 존댓말로 읽은 첫 대통령이 되었으며, 또한 국민의 복리의 증진에 자유를 추가했다.
유신 개헌 이후로는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추가하여 읽었다.
[21]
현 문경초등학교.
[22]
중위를 거치지 않고 진급.
[23]
전임자
윤보선의 사퇴로
1962년
3월 24일부터
1963년
12월 16일까지 1년 9개월 가량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으로서 수행.
[24]
10.26 사건으로 임기 중 사망.
[25]
육영수 여사와 같이 안치되었으며,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로
국립서울현충원(國立—顯忠院) 박정희대통령묘소에 자리하였다. 상석의 조각이 봉황인 쪽이 박정희, 목련화인 쪽이 육영수.
[26]
출처/
두번째 사진 블로그 출처.
[27]
부대시설까지 포함할 경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이 가장 크다. 봉분만 따지고 보면 그의 유해가 화장된데다 작은 비석 하나만 세워서 가장 작지만 추모공원으로 조성되어 아주 크게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28]
기념관 홈페이지
[29]
도서관 홈페이지
[30]
좌측부터
박근령, 박정희,
박근혜,
육영수,
박지만.
[31]
이승만은 단명하지 않은 유일한 양자
이인수가
이승만 기념사업 외에는 정치에 뜻을 전혀 두지 않았었고,
윤보선 가문은
윤치영 외에는 대부분 학계, 방송계, 의료계, 문화예술계에 몸담았다.
최규하는 박정희 본인의 유고로 사실상의 임시 대통령을 맡았을 뿐이고 그와 자녀들은 정계에 뜻을 두지 않았다.
전두환 일가는 정치인 가문이라기보단 군인 가문에 더 가까우며 과거사와 추징금 논란으로 정계에는 발을 들일 생각조차 않고 있다.
노태우 일가는
SK가와 사돈일 뿐 자신의 가문을 정치인 가문으로 키우지 않았다. 그나마 사위가 정치인인
노무현 가문과 형이 6선의원에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적 있던
이명박 가문이 이 3대 가문까지는 아니어도 나름 정치인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다.
문재인 일가는 일반인으로서의 삶을 지향하고 있고
윤석열 일가는 학계와 전문직에만 종사하고 있으며 직계 자녀도 없다.
[32]
연예인
은지원의 아버지며 은지원에게 박정희는 진외종
조부, 박근혜는 진외당
고모다.
[33]
박지현과 박수현은
쌍둥이다.
[34]
해당 드라마는 이외에도
김일성을 멋진 이상적 독립운동가로 그리다가 점점 타락하는 인물로 묘사했는데 이때문에도 비판을 받았다.
[35]
실제로 덕혜옹주의 원 약혼자이나 영화 속 김장한은 실제 김장한보단 그의 형 김을한에 더 가까운 캐릭터이다.
[36]
북송선을 타고 온
재일교포 출신으로, 이 영화의 박정희 연기 덕분에
김정일로부터 "대통령 각하"라는 칭찬도 받고, 무명배우에서 공훈배우로 출세했다. 박정희와 닮게 나오려고 주사도 맞고, 튀어나온 입을 묘사하기 위해 촬영 때마다
입 안에 틀도 넣었다고 한다.
[37]
영화가 모두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하나 실명으로 나오지 않고 개명이 이뤄졌다.
[38]
만주 일대에는 현실에선 28년도에
중화민국 국민정부에 통합된
봉천군벌이 30년대 중후반까지 살아있다.
[39]
다만 임시정부 포함시
이승만이 44세로 최연소이다.
[40]
이 역시 임시정부 포함시
이승만이 17년 3개월로 최장기이다.
[41]
두 번째는 친인척들의 비리 조사 중에
자살로 세상을 떠난
노무현
전 대통령.
[42]
사실 과거사까지 한국사를 통틀어 봐도 임기 중에 최고권력자가 살해된 사례는 아주 드물다. 마지막이 좋지 못했던 일부
군주들도 일단 왕위에서 내려온 다음에 제거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 한참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야
고조선의
우거왕 암살 사건,
고구려
모본왕 암살 사건,
백제
부여(책계)/
분서
부자(다만, 이 부자는 사망 사유는 차이가 있는데, 아버지는 전장에서
전사했고, 아들은 적국의 자객에 손에 피살당했다.),
연개소문의
영류왕 시해,
고려
공민왕 시해 사건 정도가 꼽힐 정도로 적다.
[43]
여담으로 박정희 영부인
육영수 또한 유일하게 재임도중 사망했다는 것과 암살 당했다는 것 그리고 가장 단명했다는 타이틀을 갖고있다
[A]
두 번째는
노무현
전 대통령. (향년 62세)
[45]
저 당시 평균 수명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가장 단명한 대통령은
노무현이다. 또한
노무현과 마찬가지로 두 대통령은 각각 암살, 자살로 생을 마감했기 때문에 해당 사건들이 없었더라면 더 오래 살았을 것이다.
[46]
현재 기준 대부분의 대통령들은 60살을 넘어서 취임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타이틀은 어지간하면 깨지지 않을 듯 하다.
[A]
[48]
다른 한명은 초대 대통령
이승만.
윤보선과
김대중도 재혼이기는 하지만, 이들은 이혼이 아닌
사별 후 재혼이다.
[49]
재임중은 아니어도 사별을 경험한 대통령으로는
최규하가 있다.
[50]
전임 대통령
이승만은 1875년생,
윤보선은 1897년생으로 둘 다 조선시대에 태어났으며 심지어
이승만은 과거 시험 응시 경력도 있다.
[51]
전임 대통령
이승만,
윤보선은
조선 시대에 태어났다. 현재 기준 후임 대통령 중
노무현,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을 제외한 전원이 일제강점기 출생자이다.
[52]
전두환,
노태우도 장성 출신 대통령이며 3명 모두 최종계급이
대장이다. 참고로 3명다
육군사관학교 출신이다.
[53]
선출직은커녕 임명직조차 안해보고 대통령이 되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겸
내각수반을 지낸 적이 있긴 하지만 이건 상급자의 임명을 받은 게 아니라 본인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겸직하면서 스스로 된 것이기 때문에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대통령 권한대행부터 시작한 케이스다. 전임자 중 한 명인
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이라서 정치 경력이 없을 것 같지만
존 하지가
미군정 조선의
총독이던 시절에
동대문구 갑 지역구
국회의원을 잠깐 했었다. 후임자
최규하는 선출직은 안 해봤지만 외무부차관, 외무부장관을 거쳐
국무총리로 재직했기 때문에 엄연히 정치 경력이 있는 사람이다. 박정희 다음에는
전두환이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대통령이 되었다.
노태우부터
문재인까지는 전원
국회의원 유경험자였다. 그러나 선출직 경력은커녕 출마조차 해본 적이 없고 정치 경력조차 전무한, 다시 말해
20대 대선이 생애 첫 선출직 출마이자 정치 입문 단계였던
윤석열이 정치 경력 없이 바로 당선되면서 6공 대통령은 모두 선출직을 거쳤다는 기록이 깨져버렸다. 따라서
윤석열이 박정희,
전두환의 뒤를 이어 3번째로 정치 경력 없는 대통령이 되었다.
[54]
최단신 대통령은 딸인
박근혜(162cm). 인터넷상에는 158cm설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으나 공식적으로는 164cm이다. 대통령 재임 당시 기록된 공무원 인사기록카드상 박정희의 신장은 163cm
#와 165cm
# 두 가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조갑제는 박정희의 키가 그 중간인 164cm
# 정도라고 보고 있다. 다만 164cm면
1910년대생치곤 작은 키는 아닌데 박정희의 주변 사람들이 '키가 작다'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은 걸로 보아 실제 키는 그보다 작았을 가능성도 있다.
[55]
황해도 출신
이승만,
충청도 출신
윤보선,
강원도 출신
최규하,
전라도 출신
김대중,
일본에서 태어난
이명박을 제외하면 현재 기준
문재인
전 대통령을 포함하여 전부 경상도 출신이다. 다만
이명박마저도 유년기에 귀국했을 때
경북
포항시에 정착해 살았었기 때문에 경상도가 사실상 제2의 고향이다. 참고로
윤석열은
서울특별시 출신이자 또다른 비경상도 출신 대통령이다.
[56]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딸
박근혜가 당선되면서 부녀 모두 대통령이 되었다.
[57]
둘 다 1남 3녀를 두었고, 또한 각자 아들들이 집안에서 남매들 중 가장 막내다. 다른 대통령들의 자녀 여부를 보면 대다수가 아들이 딸보다 더 많고,
이승만처럼 딸 없이 순수 아들만 셋인 대통령도 있고,
윤보선처럼 아들과 딸이 둘씩인 대통령도 있고,
김영삼처럼 아들과 딸이 셋씩인 대통령도 있고, 그 외 나머지들은 아들과 딸이 하나씩이고,
박근혜와
윤석열처럼 자녀가 전무한 대통령도 있다. 단,
박근혜는 미혼이고,
윤석열은 기혼이지만 무자녀다.
[58]
사진 우측의 4글자는 총화전진.
[59]
푸틴은 박정희는 나의 모델이다라고 밝혔다. 어느 정도냐면, 박정희 전 대통령에 관한 책이 있으면 어떤 언어로 쓰여있던 모두 구해달라고 했을 정도다.
[60]
역대 직선제 대선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저 격차. (15만 6026표)
[61]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
[62]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
1979년 10월 26일 피살. [63] 좌익이었던 형 박상희가 대구 10.1 사건 당시 우익에 의해 피살되자 남로당에 가담하여 군내에서 프락치 활동을 했다. [64] 여순사건 때 발각되어 수감된 후 전향했다. [65]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66] 입당 원서. [67] 10.26 사건.
1979년 10월 26일 피살. [63] 좌익이었던 형 박상희가 대구 10.1 사건 당시 우익에 의해 피살되자 남로당에 가담하여 군내에서 프락치 활동을 했다. [64] 여순사건 때 발각되어 수감된 후 전향했다. [65]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66] 입당 원서. [67] 10.26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