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8:31:34

정구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정구영(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민주공화당 로고만.png 파일:민주공화당 글씨만.png 총재 및 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
<rowcolor=#835B38> 초대
정구영
제2·3대
박정희
권한대행
박준규
제4대
김종필
권한대행
정래혁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의장
<rowcolor=#835B38> 초대
김정렬
임시·제2대
윤치영
제3대
김종필
서리·제4대
정구영
<rowcolor=#835B38> 제5대
김종필
제6대(서리)
윤치영
서리·제7대
백남억
제8대(서리)
정일권
<rowcolor=#835B38> 제9대(서리)
이효상
제10대(서리)
박준규
총재 겸 의장대행
김종필
제11대(서리)
전예용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대한변호사협회 로고.png 대한변호사협회
역대 협회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최병석
초대(보선)
장후영
제2·3대
양대경
제4·5대
김종근
제6·7대
최백순
제8대
정구영
제9대
신태악
제9대(보선)
장후영
제10대
정구영
제11대
한격만
제12대
배정현
제13대
이병린
제14대
고재호
제15대
김준원
제16대
신순언
제17대
이병린
제18대
전봉덕
제19대
홍승만
제20대
배정현
제20대(보선)
양윤식
제21대
김윤근
제22대
고재호
제23대
곽명덕
제24대
임한경
제25대
배영호
제26대
양정수
제27대
양준모
제28·29대
김태청
제30대
김두현
제31대
김택현
제32대
이병용
제33대
김은호
제34대
문인구
제35대
박승서
제36대
김홍수
제37대
이세중
제38대
김선
제39대
함정호
제40대
김창국
제41대
정재헌
제42대
박재승
제43대
천기흥
제44대
이진강
제45대
김평우
제46대
신영무
제47대
위철환
제48대
하창우
제49대
김현
제50대
이찬희
제51대
이종엽
제52대
김영훈
}}}}}}}}} ||
<colbgcolor=#835B38><colcolor=#ffffff> 대한민국 제6·7대 국회의원
정구영
鄭求瑛
파일:external/rokps.or.kr/825.jpg
출생 1894년 5월 14일
충청도 옥천군 군내면 저전리
(現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문정리)
사망 1978년 5월 22일 (향년 84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자택
본관 연일 정씨[1] #
청람(淸嵐)
부모 아버지 정석용, 어머니 안동 권씨
형제자매 3형제 중 장남
배우자 홍영표
자녀 슬하 3남 4녀
학력 황성기독교청년회관 (상과 / 졸업)
경성전수학교 (졸업)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6, 7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기타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 이호범 전 국회의원은 그의 조카의 사위이다.

2. 생애

1894년 5월 14일 충청도 옥천군 군내면 저전리(현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문정리) #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정석용(鄭錫溶, 1878.10.5 ~ 1951.5.30)[2]과 어머니 안동 권씨 권중섭(權重燮)의 딸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정석용은 구한말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군 헌병대 부위로 복무한 인물로, 경술국치 이후 1919년 3.1 운동의 확산을 막기 위해 고향 옥천군에서 자제단(自制團) 결성에 참여하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는 등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변절했다. # 이 때문에 친일인명사전 및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에 등재되기도 했다. 그 밖에 조부 정복(鄭澓)은 구한말 종9품 선공감 가감역관(繕工監假監役官)을 시작으로 종6품 부사과(副司果), 종4품 익산군수(益山郡守) 등을 역임했으며, 증조부 정시준(鄭時浚) 또한 종9품 통례원 가인의(通禮院假引儀)와 정3품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역임한 관료였다.

이렇듯 구한말 양반가에서 태어난 그는 1910년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부, 1911년 황성기독교청년회관 상과를 졸업하고 1914년 진천군에서 판임관견습을 한 후 1915년부터 1916년까지 옥천군 서기로 근무했다. # 그러다가 경성전수학교[3]에 입학, 1919년 졸업하였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경성지방법원 서기과 서기 겸 통역생으로 근무하다가 1920년 판검사특별임용시험에 합격하여 1922년부터 1923년까지 대구지방법원 검사국, 1924년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에서 검사를 지내다가 1925년 사직하고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변호사개업을 하였다. 이후 변호사 업무를 계속 하면서 1959년 대한변호사협회장, 1960년 국제변호사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일제강점기 변호사로서 재산가의 상속사건, 제1차 조선공산당 사건 등 세인의 이목을 끈 대사건을 수임하여 명변론을 펼쳤으며 법정에서 가여운 여성의 변론을 하는 때에는 방청객의 눈물을 흘리게 하는 변론솜씨도 발휘했다.

경성조선인 변호사회 회장으로 1930년 4월(24대), 1933년 4월(27대)에 각 취임했다. 그러나 일제에 비협조적인 인사로 보여 친구들과 마작놀이한 것을 도박죄로 기소하여 벌금 50원을 물고 1933년 8월 31일 변호사자격도 취소되어 회장직도 물러났다.

다음해 2월에 재개업하게 되어 1943년 4월(37대) 경성변호사회(한일통합) 회장에 또 선출되었음에도 친일적 시국강연에도 불응하고, 장남이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 및 행정과에 합격했으나 아버지 때문에 공무원에 채용되지 못하고, 둘째 아들은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2학년 재학 중 학병을 피해 도피해 있어 요시찰인이 되었다. 변호사 회장 임기가 끝난 후 1944년 박흥식 등과 마작을 한 것을 상습도박죄로 입건 구속기소로 42일간 갇혔다가 공판에서 김광근 변호사의 변론으로 도박죄로 벌금형이 선고되어 풀려났으나(박흥식 등은 불기소) 같은 해 10월 변호사자격도 취소당했다.

해방 후 정구영은 자유당 통치기간을 통하여 줄곧 반정부적인 재야법조인으로 활동했다. 그 당시 정구영이 변론을 맡았던 사건 가운데 유명한 것은 서민호 사건과 경향신문 폐간사건이다. 감히 어느 누구도 이승만 정부의 보복을 두려워하여 변론을 맡으려 하지 않을 때 그는 의연히 정의의 기치를 높이 치켜든 것이다. 특히 서민호 사건[4]에서 정구영이 아침 9시부터 저녁 5시까지 꼬박 8시간 동안 혼자서 진행한 ‘마라톤 변론’은 지금도 법조계에서 유명한 이야기로 전해져 오고 있다.

4.19 혁명 당시 정구영은 대한변호사협회장을 맡고 있었다. 마산에서 시위가 일어나고 경찰의 발포로 사상자가 발생했을 때 정구영은 대한변협의 진상조사단의 진상조사 보고를 받고 즉각 ‘마산사건은 방자한 관권의 극치요, 민권유린의 악랄한 표본으로서 민주주의의 비참한 도살행위였다. 우리는 민족적 시련의 중대 시점에서 이 대통령의 하야와 재선거 실시를 촉구한다’는 성명서를 직접 만들어 발표했다. #

1961년 5.16 군사정변 민주공화당에 입당, 세상을 놀라게 했고 1963년 민주공화당 총재에 취임하였다. 같은 해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된 뒤 1964년 민주공화당 의장이 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어 국회의원으로 지내다가 박정희 대통령이 장기집권을 목적으로 3선 개헌을 추진하자 이를 반대하였다. 그리고 고향인 옥천군 자택으로 내려갔다. 이 때 정구영을 설득시키러 간 육군보안사령관(현 국군기무사령관) 김재규 중장과 민주공화당 차지철 국회의원이 정구영 앞에서 설전을 한 일화가 유명하다. 대쪽같은 성품으로 인해 공화당의 양심이라고 불렸으며 베트남 전쟁 때 월남 파병을 피묻은 돈으로 호의호식하느니 깨끗하게 굶는 것이 낫다고 강하게 반대했다.

박정희 정권이 3선 개헌에 이어 10월 유신까지 일으켜 제4공화국이 출범하자 1974년 1월 민주공화당을 탈당하였다. 1974년 12월 민주회복국민회의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이후 1978년 5월 22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1 - 1963 정계 입문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3 - 1969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9 - 1971 제명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1 - 1974 복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74 - 1978 탈당
정계 은퇴

4. 기타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서 사건축소 및 은폐를 시도한 정구영 전 검찰총장(당시 서울지방검찰청장)과는 다른 인물이다. 이 인물에 대해서는 정구영 문서 참조.
  • 박정희의 민주공화당 입당을 지지하고 그의 입당 보증인이 된 인물이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전국구 제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공화당
22석
정구영 <colbgcolor=#835b38> 김성진 <colbgcolor=#835b38> 이종극 <colbgcolor=#835b38> 민병기
김동환 신윤창 오치성 박현숙
강상욱 조창대 이종근 오학진
김우경 김병순 서인석 이만섭
조남철 한태연 최정기 차지철
박규상 김호칠
민정당
14석
---- 윤보선 ---- 정해영 유진산 고흥문
김익기 강문봉 김형일 정운근
박삼철 함덕용 방일홍 유홍
---- 류진 이중재 ---- 임차주 이우태
박중한 우갑린
민주당
5석
---- 조재천 ---- 김성용 유창열 장치훈
최희송 계광순 ---- 한근조 이태용
자유민주당
3석
---- 김도연 소선규 손창규 ---- 김재위
이원홍
}}}
}}}}}}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전국구 제7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공화당
27석
정구영 윤치영 백두진 최희송
김정렬 윤천주 양찬우 이동원
김동환 ---- 최영희 이영근 김성희
이원엽 김유탁 박노선 김용호
김영복 이정석 신동욱 ---- 김규남
이병주 이매리 이성수 신동준
김익준 이원영 이영호 ~~~~ 현정주
김용채
신민당
17석
박순천 ~~~~ 김도연 정해영 고흥문
---- 이재형 ---- 김세영 정운갑 한통숙
김성용 ---- 연주흠 편용호 박재우
이기택 이민우 김수한 김상현
~~~~ 조흥만 김현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민관식 박준규 조시형 예춘호 이종순
김임식 최두고 양극필 류승원 이병희
이백일 서상린 권오석 이돈해 옥조남
신옥철 이승춘 김재순 김종호 황호현
김진만 정태성 신관우 육인수 안동준
김종무 김용태 양순직 김종필 김종갑
이상희 이영진 길재호 김성철 최영두
전휴상 한상준 류광현 이병옥 장경순
정래정 이우헌 조경한 김선주 신형식
길전식 최서일 배길도 박종태 정헌조
이남준 송관수 이원만 이효상 김종환
김장섭 백남억 이상무 김성곤 김봉환
오상직 권오훈 김중한 이활 김준태
송한철 김정근 이동녕 정진동 김창근
구태회 최석림 김주인 김용순 방성출
신영주 변종봉 이재만 노재필 김택수
최치환 민병권 임병수 현오봉 정구영
김성진 이종극 민병기 김동환 신윤창
오치성 박현숙 강상욱 조창대 이종근
오학진 김우경 김병순 서인석 이만섭
조남철 한태연 최정기 차지철 박규상
김호칠 강문봉 최희송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무소속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박준규 예춘호 최두고 임갑수 이병희
차지철 오치성 이백일 서상린 이윤용
신윤창 김재소 오학진 최익규 이승춘
장승태 김재순 김종호 이우현 김진만
정태성 민기식 이종근 육인수 정직래
오원선 김유택 김용태 양순직 김종익
장영순 이상희 김두현 이민우 김종철
길재호 김용진 차형근 김성철 류범수
전휴상 한상준 류광현 박두선 신용남
이병옥 장경순 김우경 고재필 길전식
윤재명 정간용 김병순 배길도 이호범
윤인식 이남준 이만섭 이원만 이효상
김장섭 백남억 이상무 김성곤 김봉환
김대진 문태준 오준석 이원우 박주현
송한철 김천수 이동녕 정진동 김창근
구태회 김주인 김용순 김창욱 성낙현
김삼상 공정식 노재필 설두하 김택수
최치환 민병권 양정규 현오봉 정구영
윤치영 백두진 최희송 김정렬 윤천주
양찬우 이동원 김동환 이영근 김성희
이원엽 김유탁 박노선 김용호 김영복
이정석 신동욱 김용채 이병주 이매리
이성수 신동준 김익준 이원영 이영호
김성용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통일사회당 · 무소속
}}}}}}


[1] 문정공파-이의공파 28세 구(求) 항렬. [2] 창씨명은 마쓰카와 시요(松川錫溶). [3] 경성법학전문학교의 전신. 경성법학전문학교는 해방 후 서울대 법대로 통합된다. [4] 당시 반독재투쟁의 선봉자 국회의원 서민호가 전남 순천에서 육군 대위 서창선의 저격을 막고자 그를 살해한 정당방위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