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13:00:57

허위(독립운동가)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파일:왕산 허위.png
공식 초상화[1]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출생 1854년 4월 1일
경상도 선산도호부 하고면 임은동
(現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2] #
사망 1908년 10월 21일 (향년 54세)
한성부 서서 반송방 지하계 경성감옥
(現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묘소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
본관 김해 허씨[3]
자 / 호 계형(季馨) / 왕산(旺山)
부모 아버지 허조, 어머니 진성 이씨
형제자매 허훈, 허신, 허겸
배우자 순천 박씨 (사별)
평산 신씨 (재혼)
자녀 아들 허학, 허영, 허준, 허국
딸 4명
친인척 조부 허윤
종교 유교
서훈 건국공로훈장 중장[4] 추서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의병장.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54년 4월 1일 경상도 선산군 하고면 임은동(현 구미시 임은동)에서 아버지 진사 허조(許祚, 1817 ~ ?)[5]와 어머니 진성 이씨 사이의 4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조부는 허운(許𠎉)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았으나 허위가 1904년 의정부 참찬에 제수되자 비서원 승(秘書院丞)에 추증되었고, 증조부 허돈(許暾)은 선산군 임은동 입향조로서 1810년( 순조 10) 식년 생원시에 3등 41위로 입격했다. 마찬가지로 허위가 참찬에 제수된 뒤 장례원 좌장례(左掌禮)에 추증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다가 고종이 내밀봉서(內密封書)로 의병 해산 명령을 내리자 해산하였다. 1898년 12월 21일 원구단 사제서(祠祭署) 참봉 임명되었으나, 12월 26일 사직했다. 같은 날 다시 영희전 참봉에 임명되었다. 1899년 1월 13일에는 소경원 봉사(昭慶園奉事)에 임명되었으나, 한 달만인 2월 24일 사직했다. 같은 날 성균관 박사 임명되었으나 이 마저도 한 달만인 3월 18일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1904년 2월 16일 주차 일본공사 수행원(駐箚日本公使隨員)에 임명되었고, 그해 3월 26일 영릉 뒷산의 능선을 보수하는 데에 참여한 공로로 6품에서 품계가 올라갔다. 그 뒤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었으나 4월 2일 사직했다. 그해 4월 14일에는 평리원 판사 임명되었다가 6월 22일 서리평리원재판장사무(署理平理院裁判長事務)에 임명되었다. 6월 29일에는 의정부 참찬 제수되었다. 7월 9일 평리원 재판장서리사무에서 해임되었다. 9월 19일 관제이정소 의정관(官制釐正所議定官)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해 12월 3일 고종 사직 상소를 올리고 사직했고, 12월 13일에는 관제이정소 의정관 직에서도 해임되었다.

1905년 1월 26일 비서원 승(秘書院丞)에 임명되었고, 이튿날인 1월 27일, 순명효황후 인산 때 별도로 배종한 공로로 품계가 올라갔다. 그러나 끝내 사직하고, 경상북도 지례군 서면 두대리(현 김천시 부항면 어전리 두대배골마을)[6] 김해 허씨 집성촌으로 낙향해 은거했다.

1907년 고종이 강제 퇴위하고 정미 7조약으로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하자, 김진묵(金溱默)· 왕회종(王會鍾) 등이 먼저 경기도 삭녕군에서 의병을 일으킨 뒤 그를 불러 맞이했다. 이에 그는 그해 음력 8월 두 의병장의 진영으로 가서 이에 호응했고, 그 뒤 연기우(延基羽)· 이인영과 김규식(金奎植)·황순일(黃淳一)·황재호(黃在浩)·박종한(朴宗漢)·김준수(金俊洙)·이종협(李鍾協)·이홍응(李弘應) 등을 비롯한 각 수백여 명의 의병들을 규합하고 스스로 군사(軍師)의 지위에 올라 작전의 계책을 세워 각 부장들에게 전달, 지휘했다.

그는 이때부터 1908년 5월까지 700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경기도 연천군·삭녕군· 양주군· 장단군, 강원도 철원군, 황해도 토산군 등지에서 10차례 이상 일본군 토벌대와 교전하는 등 활약했다. 이 사이 연천군에서 활약하던 9월 9일, 당시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이 허위가 의병을 일으킨 사실을 순종에게 아뢰어 기존에 갖고 있던 정2품의 품계와 전직 참찬의 벼슬이 삭제되고 법부의 수배령이 공식적으로 내려지기도 했다.

그 뒤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으로 선봉대를 이끌고 동대문 밖 30리까지 진격하였으나[7] 준비하고 있던 일본군에 의해 격퇴당하고, 총대장인 이인영이 부친상을 이유로 자리에서 물러나자, 후임 총대장이 되어 2차 진격을 계획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실패하고 만다.

이듬해인 1908년 5월 14일 경기도 영평군에서 일본군 헌병에게 붙잡혀 한성부로 압송되었고, 그해 9월 18일 경성공소원에서 소위 내란 혐의로 교수형 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0월 3일 대심원 형사부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었다. 결국 10월 2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교수형에 처해져 순국하였다. 일본군 헌병사령관 아카시 모토지로가 직접 그를 심문하고 고문했지만 오히려 그는 일제에게 호통을 쳤다고 한다.

3. 여담

"우리 이천만 동포에게 허위와 같은 진충갈력 용맹의 기상이었던들 늘과 같은 국욕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본시 고관이란 제 몸만 알고 나라는 모르는 법이지만, 허위는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허위는 관계 제일의 충신이라 할 것이다."
안중근
  • 허위는 본래 철저한 유학자 가문에서 성장한 전형적인 유생이었다. 그는 근왕적 충의 사상이 투철하여 을미의병 때 위정척사에 의한 춘추대의론을 명분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하지만 관직에 나아간 이후에는 장지연 등과 교류하면서 서양의 학문을 받아들였고 유교 정신을 바탕으로 하되 서양의 앞선 문물과 기술을 두루 익혀야 한다는 '개신유학'을 주창했다. 의정부 참찬으로 재직할 때 10개조 개혁안을 정부에 건의했는데 그 내용은 철도, 연탄, 은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진보적인 성격을 보인다. 1905년 이후 국권 회복을 위해 의병 투쟁을 전개한 그는 13도 창의군을 주도하여 서울 진공 작전 때 군사장으로서 일본군과 직접적으로 교전했으며 각국 영사관에 통문을 돌려 일본을 규탄하고 한국의 독립을 지지해줄 것을 호소했다. 그는 의병 투쟁을 단순한 무력 투쟁이 아닌 국제 사회를 인식한 항일 투쟁 노선으로 발전시켰으며 자신의 의병 투쟁이 비단 한국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일본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라며 한국이 독립되어야 동양 평화가 유지된다고 하는 동양평화론을 강조했다. 허위는 을미의병 정미의병 때 주도적 역할을 전개하는 한편 관리로서 한국의 부국강병을 위해 개혁안을 제시하는 등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의 구국 정신은 가문에도 이어져 그의 형제 및 친척 다수가 독립운동에 헌신하는 계기가 되었다.
  • 심문을 받던 중 "의병을 일으킨 주동자와 대장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주동자는 이등이며 대장은 나다."라고 대답하고 이유를 묻자 "이등이 우리나라를 침략하지 않았다면 의병 또한 일어나지 않았을테니 이등이 곧 주동자이다."라고 대답했다는 야사가 있다.
  • 서대문형무소 설립 이후 처음로 사형이 집행된 사형수로 알려져 있다.
  • 김구 백범일지에서는 허위가 순국하자 그 곳에 있던 식수로 쓰는 우물이 빨갛게 물들어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하더라는 말이 쓰여있다.[8]
  • 2018년 10월 21일 순국 110년만에 고향에서 추모 행사를 진행하였다.

4. 대중매체에서

2010년 SBS 드라마 제중원에서는 배우 손현주가 연기했다. 외유내강형의 인자한 인물로 그려지는데 총상을 마취 없이 치료하는데도 버텨냈으며 그 대가로 주인공 황정의 호를 지어준다. 주인공이 독립운동가로 각성하도록 돕는 인물 중 1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실제 모습은 아니고 러시아에서 미술을 전공한 증손녀 허미라(3남 허준의 손녀)씨가 설명을 듣고 몽타주처럼 그린 것이다. [2] 김해 허씨 집성촌이다. [3] 판서공파-회현파(會賢派)-임은(林隱) 문중 24세 艹 항렬. [4] 지금의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5] 1864년(고종 1) 증광 진사시에 2등 4위로 입격했다. 사후 넷째 아들 허위가 의정부 참찬(정2품)에 제수되자 1904년 8월 7일 의정부 참찬에 추증되었다. [6] # [7] 허위가 이끌던 13도 창의군이 최종적으로 머물었던 길을 오늘날 그의 호를 따 명명하게 됐는데, 바로 왕산로이다. [8] 출처. 백범일지. 치하포 사건 후 [9] 그의 고향인 구미시에도 그의 호를 딴 왕산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