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3:56:36

박성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키움 히어로즈 소속 포수 박성빈에 대한 내용은 박성빈(200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SSG 랜더스 소속 투수에 대한 내용은 박성빈(2003)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축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박성빈(축구선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박정희 가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박정희의 배우자, 동생 및 직계 가족 일람
고조부
박영환
증조부
박이찬
조부
박영규
부친
박성빈
(모친 백남의)
박정희
(처 김호남 육영수)

박상희
장녀
박재옥
(사위 한병기)
차녀
박근혜
3녀
박근령
독자
박지만
질독자
박준홍
질장녀
박영옥
(질장서 김종필)
상위 문서: 틀:박정희
}}}}}}}}} ||
박성빈
朴成彬
파일:Seongbin_Park.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1871년 6월 6일[음력]
경상도 성주목 망성방 철산리 사읍촌
(現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장산리 철산마을)[2][3]
사망 1938년 9월 4일 (향년 67세)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現 경상북도 구미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본관 고령 박씨[4]
화익(和益)
산남(山南)
신체 170cm[5]
부모 아버지 박영규, 어머니 성산 이씨[A]
형제자매 동생 박용빈, 박일빈
배우자 백남의 (1872 ~ 1949)
자녀 장남 박동희
차남 박무희
삼남 박상희
사남 박한희
오남 박정희[7]
장녀 박귀희[8]
차녀 박재희
관직 정9품 효력부위(正九品 效力副尉), 정3품 당하 통훈대부 행 영월군수(正三品 堂下 通訓大夫 行 寧越郡守)[9]
}}}}}}}}} ||

1. 개요2. 생애3. 가족
3.1. 선조3.2. 후손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5-9대 박정희 대통령의 부친이자 제18대 대통령 박근혜의 조부. 본관은 고령이고, 정9품 효력부위를 역임했다.

2. 생애

유년기에는 제법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다고 하지만 자라면서 가세가 점차 기울었고, 거기에 그가 전답을 팔아 한양에 관직을 얻으러 자주 올라가면서 더 힘들어졌다고 한다. 어쨌든 관직을 얻는 데는 성공하면서 구한말 말단 무관직인 효력부위(効力副尉: 정9품 무관의 품계, 오늘날의 육군 소위)라는 벼슬을 받았다. 여기까지였으면 동네에서 나름대로 벼슬 가진 인물로 살았을지도 모르지만 실무에 투입되지는 못해 한량으로 지내면서 당대의 부패상에 대해서 일찌감찌 환멸을 느꼈던 건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다.[10] 하지만 동학농민운동이 결국 관군에 의해 진압되면서 역적으로 취급받아 처형될 위기에까지 내몰렸다. 당시의 정확한 내막은 알 수가 없지만 이때 300명의 동학군 포로들은 처형되고 그만 유일하게 천운으로 살아나왔다. 달변이었다는 말이 있는데 재판관이 보기에 그는 뭔가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보았던 것으로 보이며, 이때 처형당했다면 박정희는 태어날 수 없었을 것이다. 재밌는 것은 훗날 박정희도 한때 군대에 몸담았던 적이 있고[11] 이후 당시 TK 지역 사회주의 운동의 거두였던 친형 박상희가 진압 과정에서 경찰에게 사망하자 우익에 대한 반발심에 가입했던 남조선로동당 전력 때문에 훗날 군내 남로당 숙청 시기에 사형으로 인생이 끝장날 위기에서 가까스로 벗어난다는 점에서는[12] 아버지와 운명이 흡사했다고도 할 수 있다.

어쨌든 처형은 면했지만 이때의 일로 집안에서 의절당하면서 처가의 도움으로 겨우 먹고사는 신세가 되었던 데다가 일제강점기까지 오면서 말단 관직조차 의미가 없어진 탓에 세상에 나서는 것을 포기하고 처가인 수원 백씨 집안의 논마지기나 부쳐먹으면서 소일거리하는 무능한 한량으로 지내게 된다. 칠곡군 약목면에서 살면서 백남의와 결혼해 6남 2녀를 두었는데[13] 그 중 막내아들이 박정희이다. 하지만 집이 가난해서 박정희를 키우기 어려워 백남의는 박정희를 임신했을 때 낙태하려고 뒷산에서 구르거나 간장을 퍼마시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박정희는 세상에 태어났고 이 영향 때문인지 미숙아로 태어나는 바람에 집안 유전에 비해 비교적 체구가 작았다.

여하튼 박정희에게는 그리 존경받는 아버지는 아니었던 모양이다. 박정희가 19살이던 1936년에 박성빈은 박정희를 16살의 김호남 강제결혼시켰는데 죽기 전에 늦둥이 아들이 장가가는 것을 꼭 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박성빈은 2년 후인 1938년에 향년 67세로 사망했다. 지금으로선 아직 죽을 나이는 아니지만, 당시엔 60살만 살아도 장수했다는 소리를 들었기 때문에 현재로 치면 83살 정도에 속한다. 그러나 신여성과의 결혼을 원했던 박정희는 어른들의 강요로 억지로 결혼한 탓에 김호남에게 정을 주지 않았고, 나중에 이현란이라는 여대생과 동거했다. 1950년, 박정희는 이현란과 헤어진 후에야 김호남 이혼했고, 곧이어 육영수 재혼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도 하지 않았음은 물론 오히려 탄압했다고 하는 설도 있다.[14] 이낙선 소령이 쓴 박정희 신상비망록에는 "1894년 동학란이 경북에 침입하였을 때 박성빈은 용감히 의병을 일으켜 성공, 그 공이 지대하여 무과. 영월군수[15]"라고 적혀 있다. 1967년에 한국일보 정광모기자가 쓴 '청와대'에도 박성빈이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는 관군 편에 섰던 것으로 되어 있다.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묘역에 1971년 세워진 박성빈의 묘비에는 '영변군수로 임명되었으나 시국의 어려움으로 부임하지 않고 동학란을 피해서 선산에 왔다'는 요지의 설명이 있다.[16]

박정희 쪽 계보는 부모와 자식 간의 나이 차가 매우 크다. 최소 40살 이상 차이 난다. 박성빈과 그의 아버지 박영규의 나이 차이도 31살 차이로 당시로서는 나이 차가 그렇게 적은 건 아니었다.
  • 박성빈과 박정희의 나이차: 46살
  • 박정희와 박지만의 나이차: 41살
  • 박지만과 박세현의 나이차: 47살
  • 박지만과 박정현의 나이차: 56살
  • 박지만과 박지현, 박수현의 나이차: 57살

3. 가족

3.1. 선조

  • 비조부: 박안인 (朴安仁, 1605 ~ 1659) / 비조모 : 김씨[17] (1609 ~ 1695)
  • 원조부: 박문달 (朴文達, 1636 ~ 1693) / 원조모 : 배씨[18] (1640 ~ 1726)
  • 태조부: 박수해 (朴壽海, 1664 ~ 1731) / 태조모 : 김씨 (1668 ~ 1722)
  • 열조부: 박이순 (朴以淳, 1695 ~ 1767) / 열조모 : 김씨[19] (1694 ~ 1757)
  • 현조부: 박명흥 (1717 ~ 1791) / 현조모 : 윤씨 (1718 ~ 1799)
  • 고조부: 박세형 (1727 ~ ?) / 고조모 : 박씨[20] (1731 ~ ?)
  • 증조부: 박영환 (1762 ~ 1838) / 증조모 : 전주 이씨[21] (1786 ~ 1849)
  • 조부: 박이찬 (1814 ~ 1846[22]) / 조모 : 성주 이씨[23] (1818 ~ ?)
  • 부친: 박영규 (1840 ~ 1914) / 모친 : 성산 이씨[A] (1840 ~ 1915)

박성빈의 선조들 중에는 증손을 본 사람이 꽤나 많다. 비조모 김씨[25], 원조모 배씨[26], 태조부 박수해[27], 열조부 박이순[28]이 있다.[29]

3.2. 후손

  • 배우자: 백남의[30] (1872 ~ 1949)
    • 장남: 박씨[31] (1892 ~ 1894)
    • 차남: 박동희 (1895 ~ 1972)
    • 며느리: 김봉금 (1894 ~ 1962)
    • 며느리: 송임무 (1911 ~ 1996)
      • 손자: 박재홍 (1941 ~ )
      • 손자부: 김양자
      • 손녀: 박재선 (1945 ~ )
    • 삼남: 박무희 (1898 ~ 1960)
    • 자부: 연안 차씨 (1905 ~ 1998)
      • 손녀: 박?[32] (1920 ~ ?)
      • 손자: 박재석 (1922 ~ ?)
      • 손자: 박재호 (1930 ~ )
    • 장녀: 박귀희 (1902 ~ 1974)
    • 사위: 은용표 (1888 ~ 1963)
      • 외손녀: 은봉남 (1917 ~ 1995)
      • 외손녀: 은? (? ~ ?)
      • 외손자: 은희은 (? ~ 1950)
      • 외손자: 은희준 (? ~ 1950)
      • 외손자: 은희만 (1935 ~ 2018)
      • 외손자부: 김연순 (1937 ~ ?)
        • 진외증손녀: 은예란 (1960 ~ )
        • 진외증손자: 은한기 (1963 ~ )
        • 진외증손자: 은이권 (1966 ~ )
        • 진외증손녀: 은수정 (1967 ~ )
        • 진외증손녀: 은주연 (1973 ~ )
      • 외손자부: 김금자 (예명 김성아, 1954 ~ )
    • 사남: 박상희 (1905 ~ 1946)
    • 며느리: 조귀분 (1908 ~ 1993)
      • 손녀: 박영옥 (1929 ~ 2015)
      • 손녀사위: 김종필 (1926 ~ 2018)
        • 외증손녀: 김예리 (1951 ~ )
        • 외증손녀사위: 이동보 (1942 ~ )
          • 외외고손녀: 이영화 (1975 ~ )
          • 외외고손자: 이영덕 (1979 ~ )
          • 외외고손자: 이영진 (1983 ~ )
        • 외증손자: 김진 (1961 ~ 2023)
        • 외증손자부: 리디아 마로킨[33] (1962? ~ )
          • 진외고손자: 슬하 2남
          • 진외고손녀: 슬하 1녀
      • 손녀 : 박계옥 (1936 ~ )
      • 손녀사위: 김용태 청와대 경호실 근무
        • 외증손녀: 김영혜
        • 외증손녀: 김영란
        • 외증손자: 김병규
        • 외증손녀: 김영현
      • 손녀: 박민정 (1940 ~ 2007)
      • 손녀: 박금자 (1942 ~ )
      • 손녀사위: 반기언 (1942 ~ )
        • 외증손자: 반승재 (1967 ~ )
        • 외증손자: 반정하 (1970 ~ )
        • 외증손녀: 반정현 (1975 ~ )
      • 손녀: 박설자 (1945 ~ )
      • 손녀사위: 김희용 (1942 ~ ) 벽산그룹 부회장, 벽산그룹 창업주 김인득(金仁得)의 차남,,
        • 외증손자: 김태식 (1973 ~ )
        • 외증손녀: 김소원 (1978 ~ )
        • 외증손자: 김식 (1979 ~ )
      • 손자: 박준홍 (1947 ~ )
      • 손자부: 윤경님 (1956 ~ ) 윤응렬(尹應烈)의 딸
        • 증손자: 박순용 (1984 ~ )
        • 증손녀: 박주영 (1986 ~ )
    • 오남: 박한희 (1910 ~ ?[34])
    • 차녀: 박재희 (1913 ~ 1996)
    • 사위: 한정봉 (1892[35] ~ 1966)
      • 외손녀: 한점숙 (1945 ~ )
      • 외손녀사위: 박성빈 (1942 ~ 2022)
      • 외손자: 한희승 (1949 ~ )
      • 외손자부: 선우민숙
      • 외손녀: 한약부 (1951 ~ )
    • 육남: 박정희 (1917 ~ 1979) 대한민국 대통령
    • 며느리: 김호남 (1920 ~ 1990)
      • 손녀: 박재옥 (1937 ~ 2020)
      • 손녀사위: 한병기 (1931 ~ 2017)
        • 외증손: 한태준 (1959 ~ )
        • 외증손녀: 한유진 (1961 ~ )
        • 외증손: 한태현 (1963 ~ )
    • 며느리: 육영수[36](1925 ~ 1974)
  • 남동생: 박용빈 (1884 ~ 1959)
  • 제수: ? (1888 ~ ?)
    • 조카: 박남희 (1921 ~ ?)
    • 조카: 박경희 (1926 ~ ?)
    • 조카: 박준희 (1929 ~ ?)
    • 조카딸 3명
  • 남동생: 박일빈 (1891 ~ 1967)
  • 제수: 신씨[37] (1893 ~ 1953)
    • 조카: 박연자 (1912 ~ 1951)
    • 조카사위: 이원옥[38] (1903 ~ 1962)
      • 조카외손자: 이대도 (1934 ~ 2010)
      • 조카외손자: 이태삼 (1948 ~ 1950)
      • 조카외손자: 이태도 (1949 ~ 1950)
    • 조카: 박씨 (1928 ~ ?[39])
    • 조카: 박병희 (1936 ~ 19??)
      • 조카손자: 박재영 (1969 ~ )
      • 조카손녀: 박주연 (1970 ~ )
      • 조카손자: 박재욱 (1973 ~ )
      • 조카손자: 박재준 (1977 ~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5B38> 파일:박정희 투명.svg 박정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35B38> 일생 일생( 진위 논란) · 평가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가족 틀:박정희 가문
역대 선거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8대 대통령 선거 · 제9대 대통령 선거
대중매체 야인시대 · 박정희: 경제대국을 꿈꾼 남자 · 그리고 목련이 필때면
사건사고 5.16 군사정변 · 황태성 사건 · 1.21 사태 · 3선 개헌 · 7.4 남북 공동 성명 · 10월 유신 · 저격 미수 사건 · 10.26 사건
관련 단체 박정희 정부 · 국가재건최고회의 ( 군사혁명위원회) · 민주공화당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 중앙정보부 · 정수장학회 · 육영재단
기타 여담 · 어록 · 별명 · 사상 · 박정희주의 · 박정희계 · 박정희로 · 박정희체육관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 박정희도서관) ·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 뮤지컬 박정희 ·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 새마을운동 · 새마을노래 · 경부고속도로 · 고속도로의 노래 · 월남파병 · 서울어린이대공원 · 국민교육헌장 · 긴급조치 · 녹화사업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백지계획 · 프레이저 보고서 · 김호남 · 이현란 ·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 박사모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c9252b><tablebgcolor=#c9252b> 파일:박근혜 투명.svg 박근혜
관련 문서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9252B> 일생 일생 · 박근혜 대통령 탄핵 ( 소추 · 심판) · 구속 · 재판
가족 틀:박정희 가문
18대 대선 제18대 대통령 선거 · 박근혜 정부
비판 비판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자질 · 개인처신 ( 발언 문제) · 역사관 · 사이비 종교 논란 · 민주주의 후퇴 · 박근혜와 최태민의 부적절한 관계 · 박근혜 편지 사태 · 중국 전승절 참석 논란 · 세월호 7시간
사건 사고 사건 사고 · 박근혜 커터칼 피습 사건 · 박근혜 5촌 살인사건 · 국정원 게이트 ( 대북공작금 유용 사건 ·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 사법농단 의혹 사건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 MBC 블랙리스트 사태)
지지 세력 친박( 진박 9인회 · 삼성동계) · 박사모
별명과 밈 별명 · 박근혜 화법 · 어록 · 줄푸세 · 살려야한다 · 속아만 보셨어요 · 그래서 대통령 되려고 하는 거 아니에요? · 대통령직을 사퇴합니다 · 우리의 핵심 목표는 이것이다 ·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을 했나 · 길라임 · 이명박근혜 · 이 쳐죽일 역적년놈들 다신 정치못한다
기타 자택 · 지지율 · 여담 · 육영재단 · 정수장학회 · 신뢰의 리더십 박근혜 · 박근혜는 할 수 있다! · 진박 감별사 · 문고리 3인방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박근혜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박근혜 정부 참고
}}}}}}}}} ||


[음력] 4월 19일 [2] 인근의 선남면와 함께 고령 박씨 집성촌이다. [3] 박성빈의 선조들은 대대로 성주목 산남방 황신동(현 성주군 선남면 성원리 황신마을)에 살았으나, 아버지 박영규 대에 망성방 철산리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 [4] 직강공파 28세손, 혁거세 64세손 ◯빈(○彬), ◯대(○大), ◯영(○英) 항렬.() [5] 그런데 아들 박정희는 아버지에 비해 작은 편이다. 1920년생이 20대일 때 평균키 164cm이었으니 당시에 170cm면 지금의 180cm 이상으로 큰 키였다. 참고로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170cm)와 키가 같다. [A] 이배식(李培植)의 딸이다. 출처: 《고령박씨족보》 박영규편.(또한 여기서 박영규의 생몰년이 1840년(헌종 경자년)~1914년(박성빈 생후 첫 번째 갑인년)임을 알 수 있다.) [7] 거의 알고 있는 얘기지만 박근혜의 아버지이자 제 5~9대 대한민국 대통령이다. [8] 가수 은지원의 친할머니이다. [9] 군수는 종4품 관직이나 족보상으로는 통훈대부 영월군수로 기재되어있어 이와같이 서술한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하는 품계이다. [10] 여하튼 그 덕에 아들 박정희도 동학농민운동과 천도교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해서 천도교에 건물도 기부했다. [11] 다만 박성빈은 사실상 명예직 군관이었던 반면 박정희는 20년 가량 육군에서 장교로 복무했으니 실무 경험은 비교 불가능하다. [12] 백선엽 등 당시 군부 고위층 인사들이 박정희의 신원 보증 및 구명 운동을 펼쳤다. [13] 그 중 첫째 아들과 다섯째 아들을 일찍 잃어서 최종적으로 4남 2녀가 남았다. [14] 링크. [15] 족보에 통훈대부 영월군수를 지냈다고 적혀 있어서 족보가 이 기록을 뒷받침한다. [16] 링크 [17] 김성환(1570 ~ ?)의 딸이다. [18] 배취문(1614 ~ ?)의 딸이다. [19] 김인광(1668 ~ ?)의 딸이다. [20] 박사현(1705 ~ ?)의 딸이다. [21] 이형호(李亨浩, 1740 ~ ?)의 딸이다. [22] 또는 1906년. [23] 이이정(李以貞, 1792 ~ ?)의 딸이다. [A] [25] 증손이 태어나고 약 1개월 반 후 별세했다. [26] 참고로 배씨가 1년만 더 살았어도 현손 박세형을 볼 수 있었다. [27] 부인 김씨도 5년만 더 살았어도 증손 박세형을 볼 수 있었다. [28] 부인 김씨도 5년만 더 살았어도 증손 박영환을 볼 수 있었다. [29] 박이찬의 몰년이 1906년일 경우에는 박이찬도 포함. [30] 수원 백씨 백낙춘(白樂春, 1829 ~ ?)의 차녀다. [31] 드라마 제3공화국 1회에서 나온다. [32] 구미에서 결혼해 살았다. [33] 과테말라계 한국인으로 국제결혼했다. [34] 19살에 죽었다는 설과 북한으로 건너가 박광선으로 개명하고 고위직을 얻고 살았다는 설이 있다. [35] 부부끼리 21살 차이가 난다. [36] 육종관(陸鍾寬, 1893 ~ 1965)의 차녀다. [37] 신자연(1867 ~ ?)의 딸이다. [38] 이성주(1877 ~ 1941)의 차남이다. [39] 결혼하지 못하고 죽었거나 결혼을 안 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