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8:16:06

사할린

사할린 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섬을 포함하는 동명의 주에 대한 내용은 사할린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이 이 섬 북위 50도 이남 지역을 영유하던 시기에 대한 내용은 일본령 가라후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동아시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뱀섬 · 영도 · 붕어섬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우도(창원)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가우도 · 가거도 · 고이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팔미도 · 해녀도 · 하의도 · 하태도 · 우도(서해 5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두미도 · 추봉도 · 방축도
비단섬1 · 초도 · 가도 · 기린도 · 반성열도 · 봉곳도 · 창린도 · 능라도 · 석도 · 소수압도 · 소초도 · 소화도 · 순위도 · 신미도 · 대계도 · 대수압도 · 대초도 · 대화도 · 두로도 · 황금평 · 황토도 · 마양도 · 마합도 · 양각도 · 양도 · 어화도 · 여도 · 용매도 · 우리도 · 운무도 · 웅도 · 월내도 · 위화도 · 검동도 · 관마도 · 구리도 · 다사도 · 벌등도 · 어적도 · 유초도 · 임도 · 막사도
혼슈1 · 홋카이도 · 규슈 · 시코쿠 · 오키나와섬 · 사도섬 · 아마미오섬 · 쓰시마섬 · 아와지섬 · 야쿠섬 · 다네가섬 · 이리오모테섬 · 이시가키섬 · 리시리섬 · 나카도리섬 · 히라도섬 · 미야코섬 · 쇼도섬 · 오쿠시리섬 · 이키섬 · 야시로섬 · 오키노에라부섬 · 에타섬 · 구라하시섬 · 오사키카미섬 · 하카타섬 · 이즈오섬 · 하시마섬 · 히메섬 · 요나구니섬 · 이츠쿠시마섬 · 오미섬 · 이쿠치섬 · 나오시마섬 · 도시마섬 · 니지마섬 · 미야케섬 · 미쿠라섬 · 고즈섬 · 하치조섬 · 아오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오키 제도 · 토리시마섬 · 미나미토리섬 · 마게섬 · 우니섬 · 레분섬 · 이헤야이제나 제도 · 게라마 제도 · 아구니 제도
하이난섬1 · 홍콩섬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웨량섬 · 창허섬 · 란타우섬 · 샤먼섬 · 구랑위 · 충밍섬 · 핑탄섬 · 마완 · 스프래틀리 군도* · 파라셀 군도 · 완산 군도 · 창산 군도 · 먀오다오 군도 · 저우산 군도
타이완섬1 · 진먼섬 · 란위섬 · 둥사 군도 · 타이핑다오
동남아시아
티모르섬*1 · 아타우루섬
스프래틀리 군도* · 라부안 · 세바틱섬 · 보르네오(칼리만탄)*1 · 피낭섬
깟바섬 · 꼰선섬 · 박롱비섬1 · 푸꾸옥섬 · 혼쩨섬 · 쯔엉사 군도*
싱가포르 섬(폴라우 우종)1 · 센토사섬 · 페드라 브랑카섬
뉴기니섬*1 · 보르네오섬* · 수마트라섬 · 술라웨시섬 · 자바섬 · 티모르섬* · 할마헤라섬 · 스람섬 · 숨바와섬 · 플로레스섬 · 요스 수다르소섬 · 방카섬 · 숨바섬 · 부루섬 · 발리섬 · 니아스섬 · 롬복섬 · 벨리퉁섬 · 마두라섬 · 부톤섬 · 웨타르섬 · 와이게오섬 · 얌데나섬 · 탈리아부섬 · 무나섬 · 오비섬 · 펠렝섬 · 야펜섬 · 모로타이섬 · 바탐섬 · 부톤섬
푸켓1 · 사멧섬 · 따오섬 · 코 타푸 · 사무이섬 · 팡안섬
루손섬1 · 민다나오섬 · 비사야 제도 · 팔라완섬 · 보라카이섬 · 네그로스섬 · 세부섬 · 사마르섬 · 민도로섬 · 레이테섬 · 보홀섬 · 마스바테섬 · 파나이섬 · 술루 제도 · 칼라얀 군도*
남아시아
볼라섬1 · 모헤시칼리섬
실론(스리랑카)섬1
안다만 제도1 · 니코바르 제도 · 스리하리코타 · 노스센티널섬 · 사우스센티널섬
아스톨라섬1
서아시아
바레인섬1
파라산 군도1
아르와드섬1
더 월드 · 야스 섬 · 팜 아일랜드
소코트라섬1 · 페림섬
케슘섬1 · 호르무즈섬 · 아부무사섬
서유럽
아루바 · 퀴라소 · 사바 · 보네르 · 신트외스타티위스 · 세인트마틴섬* · 서프리슬란트 제도1
아일랜드섬*1 · 스켈리그 마이클 · 토리섬
아일랜드섬* · 그레이트브리튼섬1 · 와이트섬 · 몬트세랫 · 버뮤다 · 케이맨 제도 · 포클랜드 제도 · 세인트헬레나 · 어센션섬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스탄다쿠냐 · 앵귈라 · 채널 제도 · 맨섬 · 비숍 록
코르시카섬 · 누벨칼레도니1 · 몽생미셸 · 마르티니크 · 마요트 · 레위니옹 · 왈리스 푸투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케르겔렌 제도 · 과들루프 · 생피에르 미클롱 · 클리퍼턴섬 · 세인트마틴섬* · 생바르텔레미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중부유럽
뤼겐섬1 · 우제돔섬* · 페마른섬 · 쥘트섬 · 푀르섬 · 펠보름섬
우제돔섬* · 볼린섬1
남유럽
크레타섬1 · 에비아섬 · 레스보스섬 · 로도스섬 · 케팔로니아섬 · 키오스섬 · 케르키라섬 · 렘노스섬 · 산토리니섬 · 사모스섬 · 델로스섬 · 낙소스섬 · 자킨토스섬 · 타소스섬 · 안드로스섬 · 레프카다섬 · 카르파토스섬 · 코스섬 · 키티라섬 · 코르푸섬 · 히오스섬
몰타섬1 · 고조섬 · 코미노섬 · 필플라섬 · 마노엘섬 · 세인트 폴섬
마요르카섬1 · 메노르카섬 · 이비사섬 · 포르멘테라섬 · 테네리페섬 · 그란 카나리아섬 · 라팔마섬 · 란사로테섬 · 카브레라섬 · 푸에르테벤투라섬 · 라고메라섬 · 엘이에로섬
시칠리아1 · 사르데냐 · 엘바섬 · 카프리섬 · 토스카나 제도 · 판텔레리아섬 · 펠라지에 제도 · 람페두사섬
키프로스섬*1
크르크섬1 · 코르출라섬 · 브라치섬 · 흐바르섬 · 라브섬 · 파그섬 · 로시니섬 · 우글랸섬 · 치오보섬 · 무르테르섬 · 비스섬 · 츠레스섬 · 비르섬 · 파슈만섬 · 솔타섬 · 두기오토크섬 · 믈레트섬 · 라스토보섬 · 이주섬 · 시판섬 · 프리비크섬 · 실바섬 · 즐라린섬
괵체아다섬1 · 뷔위카다섬
아조레스 제도1 · 마데이라 제도
동유럽
쿤진살라섬1 · 킵살라섬
사할린섬1 · 쿠릴 열도 · 노바야제믈랴 · 브란겔랴섬 · 유즈니섬 · 모네론섬 · 코틀린섬 · 고글란트섬 · 다이오메드 제도* · 루스키섬 · 벨콥스키섬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콜구예프 섬
키아울레스 누가나섬1 · 루스네섬
사레마섬1 · 무후섬 · 보름시섬 · 히우마섬 · 루흐누섬
즈미이니섬
북유럽
스발바르 제도1 · 트롬쇠위아섬 · 우튀위아섬 · 얀마옌섬
그린란드섬1 · 셸란섬 · 벤쉬셀티섬 · 퓐섬 · 롤란섬 · 보른홀름섬 · 팔스테르섬 · 모르스섬 · 알스섬 · 랑엘란섬 · 묀섬
고틀란드섬1 · 오루스트섬 · 히싱엔섬 · 베름되섬 · 쇠른섬 · 욀란드섬
아이슬란드섬1
파스타 올란드*1
북아메리카
히스파니올라섬*1
티뷰론섬1
하와이 제도1 · 푸에르토 리코 · · · 알류샨 열도 · 마리아나 제도 · 다이오메드 제도* · 아메리칸 사모아 · 라인 제도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맨해튼 · 롱아일랜드 · 염소 섬
히스파니올라섬*1 · 토르투가섬
자메이카섬1
멜빌섬 · 빅토리아섬 · 데번섬 · 엘즈미어섬 · 배서스트섬 · 콘월리스섬 · 배핀섬1 · 뉴펀들랜드섬 · 뱅크스섬 · 밴쿠버 섬 · 액슬하이버그 섬
쿠바섬1 · 카요라르고델수르섬 · 후벤투드섬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1
마라조섬1 · 케이마다 그란지섬
로스에스타도스섬 · 티에라델푸에고*1
갈라파고스 제도1
티에라델푸에고*1 · 이스터섬 · 디에고 라미레스 제도 · 후안페르난데스 제도 · 칠로에섬
아프리카
쿤타 킨테섬
로벤섬 · 프린스 에드워드 제도1
마다가스카르섬1 · 노지베섬 · 생트마리섬 · 주앙데노바섬
모리셔스섬1 · 로드리게스섬
상투메섬 · 프린시페섬
마에섬
비오코섬1 · 코리스코섬 · 엘로베이그란데섬 · 엘로베이치코섬 · 안노본섬
산티아구섬
잔지바르1 · 펨바섬 · 우케레웨섬
제르바섬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남섬· 북섬)1 · 쿡 제도 · 니우에 · 토켈라우 · 채텀 제도 · 뉴질랜드 남극 연안 섬
통가타푸섬1 · 에우아섬 · 하파이 제도 · 바바우 제도 · 니우아섬
푸나푸티섬 · 나누메아섬 · 누이섬 · 누쿠페타우섬 · 누쿨라엘라에섬 · 바이투푸섬1 · 나누망가섬 · 니울라키타섬 · 니우타오섬
뉴기니섬*1 · 뉴브리튼섬 · 뉴아일랜드섬 · 부건빌섬 · 비스마르크 제도 · 애드미럴티 제도 · 당트르카스토 제도
비티 레부섬1 · 바누아 레부섬 · 로투마섬
캥거루섬 · 태즈메이니아섬1 · 멜빌섬 · 배서스트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섬 · 허드 맥도널드 제도
남극
킹 조지섬 · 페테르 1세섬 · 조인빌섬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1 · 부베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 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 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 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 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 철도 환경 ·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 편제) · 해군 (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khalin_%28detail%29.png

1. 개요2. 지리3. 명칭4. 역사
4.1. 전근대4.2. 러시아/ 일본의 정착 및 공동 관할(1855~1875)4.3. 러시아 단독 관할(1875~1905)4.4. 러일 분할 통치(1905~1945) - 일본령 가라후토4.5. 러시아 단독 관할(1945~현재)
5. 경제6. 교통7. 인구8. 식문화9. 영토 분쟁10. 여담11. 스포츠12.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사할린은 북태평양에 있는 러시아 연방이다. 유라시아 대륙과는 매우 좁은 타타르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 있으며, 일본 홋카이도 섬과는 라페루즈 해협을 두고 40km 북쪽에 떨어져있다. 동쪽에는 오호츠크 해를 끼고 있다. 동쪽에 위치한 쿠릴 열도와 함께 러시아의 사할린주를 이룬다.

2. 지리

세계적으로도 면적이 꽤 큰 섬으로, 23번째로 큰 섬이다. #[1] 7만 2492㎢로 남한 면적의 3/4에 달하며, 러시아가 영유한 섬 중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다.[2] 남쪽에 바로 이웃한 일본 홋카이도(78,719㎢)보다는 약간 작다.[3] 남북으로 길쭉한 형태로 남북 길이는 948㎞에 이른다.

파일:attachment/Sakhalin-map_00002.gif

이 지도의 빨간 네모 중 위의 3개는 북사할린(사가렌), 아래의 3개는 남사할린(가라후토)이다. 일본이 러일 전쟁 이후부터 태평양 전쟁 패망 전까지 40년간 영유했던 지역이 바로 이 남사할린이다.
  • 인구
    인구 문단 참고. 섬 최대 도시 유즈노사할린스크는 인구 약 20만 명으로 섬 인구의 40%를 차지한다. 유즈노사할린스크는 섬 최남단에 위치해있다.[4]
  • 위도
    북위 45~54도 사이에 위치하며 남한의 한참 북쪽에 있다.[5] 대략 중국의 헤이룽장성[6]과 비슷한 위도이다.
  • 지형
    사할린 섬은 산이 많은 지형으로서 섬의 2/3는 산지이며, 두 개의 산맥이 나란히 남북으로 펼쳐져 있다. 크기가 크다 보니 큰 도 2개 있다. 그 중 팀 강은 길이 400㎞에 달하는 긴 강이다.[7]
  • 경계
    일본 홋카이도와 러시아 사할린 사이의 해협은 라페루즈 해협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프랑스의 라페루즈 백작이 해도에 최초로 기록했기 때문이다.[8] 일본과 중국에서는 라페루즈 해협을 소야 해협이라 부른다.[9]

    유라시아 대륙과 사할린 섬 사이에 타타르 해협, 혹은 폴로베츠 해협이라 부르는 좁은 물길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사할린을 탐험해 사할린이 대륙의 일부가 아닌 섬임을 최초로 밝혀낸 마미야 린조(間宮林藏)의 이름을 따서 마미야 해협이라고 부른다.
    섬 북서쪽의 포기비와 대륙 측의 라자레프와는 간격이 가장 좁아 불과 7㎞ 밖에 떨어지지 않아 연륙교 건설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겨울에는 타타르 해협의 바다가 얼어 붙기 때문에 썰매를 타고 사할린 섬과 러시아 본토를 오갈 수 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아무르 강 하구에 큰 시장이 열려 사할린 사람들이 러시아 본토에 장을 보러 오기도 했으며 지금도 사할린 원주민들은 물자를 구하러 겨울에 썰매를 타고 해협을 건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과거 스탈린 정권 시절 사할린 주둔군 보급도 할 겸 해서 죄수들을 동원해서 해저터널 공사를 시작했지만, 얼마 안 가 스탈린이 사망하고 죄수들이 사면되면서 공사를 포기했다. 그리고 2020년에 다시 2035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
    타타르 해협 북쪽의 바다는 대륙과 사할린이 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를 사할린 만이라고 한다. 다만 남쪽이 해협으로 뚫려있으므로 엄밀히 따지자면 만은 아니다.
  • 부속 섬
    남쪽 홋카이도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매끈한 해안선을 지니고 있어 부속 섬이 많은 편은 아니다. 최남단 서쪽 해안의 작은 무인도 모네론 섬(Остров Монерон)이 있다.
  • 기후
    오호츠크해로 인해 춥고 다습한 기후대에 속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냉대 습윤 기후(Dfb ~ Dfc)이다. 찬 바다로 인해 같은 위도의 내륙보다는 여름이 시원하다. 겨울에는 바다 덕에 약간 덜 춥지만 그래도 위도가 높으므로 추운 편이다. 여름 평균 최고 기온이 섭씨 21도, 겨울 평균 최저 기온이 −19 ℃.
    남북으로 긴 형상을 하고 있기에 지역별 기후 차이가 상당하다. 가령 1월 평균 최저 기온의 경우 남단의 코르사코프에서는 -11.9 ℃지만 북단의 오하에선 -21.9 ℃에 달한다.
    습한 기후라 여름에는 안개가 많이 끼고, 겨울에는 눈이 많으며 고위도 지역 특성상 눈이 잘 녹지 않는다. 심지어 산에는 눈이 5m 씩 쌓이기도 한다.

3. 명칭

<colbgcolor=#dddddd,#222>언어별 명칭
영어 Sakhalin
러시아어 Сахалин
일본어 [ruby(樺太, ruby=からふと)]
サハリン
サガレン
중국어 萨哈林岛(Sàhālíndǎo)
库页岛(Kùyèdǎo)
한국어 사할린
화태
사할린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지명 사할리얀 울라 앙가 하다(Sahaliyan ula angga hada)에서 따왔다. 사할리얀은(Sahaliyan)은 '검은', 울라(Ule)는 '하천'으로 '검은 하천'이라는 뜻으로[10] 아무르 강을 가리키는 만주어 표현이다.[11] 즉, 아무르 강 맞은 편의 이라는 의미.[12] '사할린'이라는 지명은 거슬러 올라가면 만주어로 ' 검다'를 뜻하는 단어만 따온 셈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유래에서도 보듯 까만 것은 아무르 강이고, 사할린과는 딱히 별 관련이 없다. 여하간 이름에 걸맞게 아무르 강의 하구와 사할린 북쪽 끝은 아주 가깝다.

위 명칭을 러시아에서 받아들인 것이 세계적으로 퍼져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일본에서는 19세기에 이를 사가렌(薩哈嗹, さがれん)으로 음차하였는데, 유래는 사할린 섬 전체를 가리키는 표현이지만 20세기 초 러/일이 나누어 관할하던 당시에는 북위 50도 이남 일본령 가라후토와 대응하여 북위 50도 이북 러시아령 사할린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주로 쓰였다. 오늘날의 사할린은 일본에서 サハリン(사하린)으로 전사한다.

한편 일본 측에서 부르는 '카라후토'는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카무이 카르 푸트 야 모시르(Kamuy kar put ya mosir)에서 따왔다. "신이 강의 하구에 만든 섬"이라는 의미로, 이 역시 위 만주어와 마찬가지로 사할린 섬이 마치 아무르강의 하구에 쌓여 있는 모양새인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樺太는 이를 한자로 훈차하여 표기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 樺太라는 표기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 '화태'라고도 했다. 17세기 말 조선의 표류기인 표주록에서는 '갈악도'(羯惡島)라는 음역 표기로 나타난다. 종종 '에조'(蝦夷, 홋카이도의 옛 이름) 북쪽에 있다고 '키타에조'(北蝦夷)라고도 불렀다.

중국에서는 库页岛는 과거에 사용하였던 단어로, 현재는 사할린의 음역인 萨哈林岛를 주로 사용한다. 역사적으로는 당나라 때는 窟說(쿠웨), 원나라 때는 骨嵬(구웨이), 명나라 때는 苦夷(쿠이), 苦兀(쿠우), 청나라 때는 庫葉/庫野/庫頁(쿠예)로 불러왔는데, 이것들은 모두 아이누어로 사람을 뜻하는 kur와 땅을 뜻하는 il, 즉 우리 사람들의 땅이라는 의미인 Kur-il의 음역어로 본다. 쿠릴 열도의 어원이다.

4. 역사

북아시아의 역사
시베리아 극동 몽골
사하 하카시야 투바 캄차카 사할린 쿠릴

사할린사 요약.

4.1. 전근대

본래 북부 지방에는 퉁구스계 민족인 윌타인(Ульта)과 고유한 계통의 니브흐족(Нивхи) 등이, 남부 지방에는 아이누 계통인 사할린 아이누가 거주했다.

역사적으로 중국 당나라가 들어설 때까지 동북아시아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지역이었다. 당시 당나라의 기록에서 이들은 유귀국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한 차례 조공을 한 적은 있으나 지리적으로 중국에서 너무 멀었는지라 외교 관계가 지속되지 못하고 또 다시 잊혔다. 운송 수단이 발달한 오늘날과는 달리 과거에는 동아시아 중심부에서 너무 먼 지역이었다.

당 멸망 이후엔 요나라 금나라가 간섭했고 금나라의 경우엔 여진족의 중심지인 만주랑도 나름 가까웠으나 교류가 적었는지 관련 기록은 그다지 남아 있지 않다.[13]

그러다가 13세기 이후에 몽골 제국이 수 차례 침공했으나, 그것 역시 한 번 침입한 후 형식적인 복속만 확인했을 뿐 몽골인들이 정착하진 않았다. 몽골인들이 수십년간 간접적으로 지배했지만 몽골 제국 본국이 쇠퇴하면서 모두 철수했다. 청나라 1616년 이곳에 군대를 보낸 이후로 자국 영토로 간주해 관리를 보냈지만 실제로 근대 국가로서 지배권을 확립하지는 못했다.
且聞初泊之外。別有羯惡島爲號地。未知何國所屬。而身長八九尺。面目口鼻皆如蝦夷。毛髮不長。其色皆赤。能用戈刺。或有蝦夷與日本人。漂流其地。則盡殺能食其肉。逃出偸生者頻頻有傳。若加數日之漂。尤恐危也。而能免其禍。此亦天助。君必長壽之人也。
당신께서 처음 정박했던 곳의 외방에 별도로 갈악도(羯惡島)라 불리는 곳이 있습니다. 어느 나라에 속해 있는 땅인지 모르지만, 그곳의 사람은 키가 8~9척(尺)이나 되고, 얼굴ㆍ눈ㆍ입ㆍ코가 모두 하이족(蝦夷族)[14]과 같고, 모발은 길지 않고 그 색깔은 다 붉으며, 창으로 찌르기를 잘 합니다. 혹간 하이족이나 일본인이 그곳으로 표류를 하면 다 죽여 그 고기를 먹는다고 가끔 살아 도망쳐 온 자들이 전해 줍니다. 만일 며칠만 더 표류했더라면, 더욱 무섭고 위험할 뻔했습니다. 그러나 그 화를 면했으니 이 또한 하늘이 도운 것이어서, 그대는 꼭 장수할 분입니다.
표주록(1696) - 원문
1690년대 조선인이 쓴 홋카이도 일대 표류기인 표주록에서는 이 시기 사할린의 모습이 일본인[15]의 입으로 단편적으로 묘사된다. 종족은 홋카이도와 마찬가지로 아이누이지만 홋카이도 아이누와 딱히 동질감을 느끼지는 않았던 듯하며, 식인의 문화가 있다는 식으로 묘사된다. 아울러 위에서 청나라의 관리가 내려왔다고 했지만 확실히 형식적이었는지 "누구 땅인지 잘 모르겠다" 식으로 언급하여 통치 사실이 주변에 잘 알려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16]

4.2. 러시아/ 일본의 정착 및 공동 관할(1855~1875)

17세기~ 18세기에는 청나라의 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일본 러시아가 각각 남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식민 개척을 시작하였고 이러한 역사가 훗날 러일 양국이 사할린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 일본의 경우 에도 시대 초기인 1679년 오도마리(현 코르사코프)에 마츠마에 번이 어장을 설치한 것이 그 시초이며 러시아는 그보다 조금 늦은 18세기 초반에 시베리아에서 외만주, 연해주로부터 내려와 사할린 서북부를 중심으로 영향력을 확보했다.

하지만 19세기 중반까지 양국의 사할린 점유 양상은 어디까지나 섬의 해안가나 조금 더 깊이 들어간 일부 거점을 설치하는 수준에 그쳤고 중국 역시 형식적인 조공 선에서 만족했을 뿐 이 섬에 유의미한 지배력을 보이지 않았기에 이 시기부터 사할린이 러시아나 일본, 중국의 일부였다고 말하기에는 빈약하다.[17] 단, 윌타 니브흐, 사할린 아이누가 국가적 실체를 구성하지 못했으며 이들은 경제적으로 각각 러시아와 일본의 영향력을 많이 받았다.

1806년 러시아의 통상 요구를 에도 막부가 거부하자 러시아 해군은 사할린 남부와 쿠릴 열도 등지에 위치한 일본인 거류지를 습격하여 파괴한 후 사할린을 러시아령으로 선언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1807년 에도 막부가 사할린과 쿠릴 열도를 일본령으로 선포했으며 그러한 선언의 일환으로 1809년 일본의 탐험가인 마미야 린조가 막부의 지원 하에 지금의 타타르 해협까지 탐사했고 사할린이 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18] 결국 러시아와 일본 간 사할린과 쿠릴을 둘러 싼 신경전 끝에 1855년 러일화친조약(일본명 시모다 조약)이 체결되었고 조약에 따라 사할린은 양국의 공동 관할구역이 되었다.

4.3. 러시아 단독 관할(1875~1905)

러일화친조약 체결 이후에도 사할린에 대한 양국의 경쟁은 지속되었으며 공동 관할지라는 어정쩡한 지위로 인해 양국 거류민간 마찰도 잦았다. 게다가 1868년에야 근대화를 시작한 일본으로서는 강대국 러시아와의 영향력 경쟁이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이었고 비교적 가치가 떨어지는 사할린 섬을 두고 러시아와 직접적인 마찰을 빚고 싶지도 않았다. 게다가 본토의 일부인 홋카이도 개척마저 아직 완전히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식민지인 사할린까지 동시에 개척하는 것은 신생 메이지 정부 입장에서도 여러모로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일본 내에서는 사할린을 본래의 영향권에 따라 50도선, 혹은 48도선을 기준으로 남북분할하자는 의견이 대두되었으나 일본과의 파워 게임에 자신이 있던 러시아는 북쿠릴 열도를 일부 내주더라도 사할린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겠다고 응수했다. 러시아보다 먼저 사할린에 진출했고 사할린이 섬임을 먼저 밝혀낸 일본도 어떻게든 사수하고자 했지만 결국 여러모로 골칫거리인 사할린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1875년에 체결된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일본명 가라후토-치시마 교환조약)으로 인해 쿠릴 열도 전도를 일본이 영유하는 대신 사할린의 전역이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19] 이후 일본인들과 일본의 영향력 하에 예속되어 있던 사할린 아이누들은 대거 홋카이도 등 일본 본토로 이주하였고 사할린 섬 전역에 러시아 식민자들이 대거 입식했다. 당시 사할린은 유럽 러시아와 거리가 멀어 정부의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열악했고 이러한 상황은 저명한 문호인 안톤 체호프의 <사할린 섬>에도 묘사되었다.

4.4. 러일 분할 통치(1905~1945) - 일본령 가라후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령 가라후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05년 러일전쟁 말미에 일본군은 사할린 섬을 단숨에 점령했고 전후 체결된 포츠머스 강화조약에 의해 본래 일본의 영향권이던 북위 50도 이남의 사할린 남부는 일본령으로 재편입되었으며 일본은 이 지역에 가라후토 민정서(樺太民政署)를 설치하였다. 이후 1907년에는 가라후토 민정서를 가라후토청(樺太廳)으로 개편하였으며, 그 이후에 태평양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이 사할린 섬의 남쪽을 40년간 지배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령 가라후토 문서 참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본 측에서는 50도 이북 사할린을 '사가렌'(サガレン)이라고 구별하여 불렀다.

한편 1905년 이후에도 북사할린은 러시아의 영토로 남았으나,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한 뒤 러시아 내전 시베리아 출병으로 간섭한 일본군이 1925년까지 사할린 전역을 지배했다. 러시아 혁명의 결과로 갓 출범한 신생 소련 정권은 유럽 러시아를 간수하기 바빠 사할린 개발에 소극적이었으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사할린 섬의 석유 개발권을 일본에 양도했다. 또 레닌은 사할린 영유를 로마노프 왕조 제국주의에 의한 불법 점유라고 주장했고,[20] 일본에 사할린 섬 전체를 반환하려고 했지만 결국 1925년 일본이 소련을 승인하고 북사할린에서 스스로 철수하면서 이는 실행되지 않았다.

4.5. 러시아 단독 관할(1945~현재)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일본이 가라후토를 내지로 편입하는 행정조치를 취했으나 오래 못가 1945년에 패망하였고 이 과정에서 만주 작전으로 소련군이 기습적으로 가라후토를 함락하여 섬 전체가 다시 소련-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전쟁 이전 북사할린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하바롭스크 지방에 예속되어 있었으나, 소련이 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를 통째로 흡수하였다.[21]

7월 이후 북사할린, 남사할린, 쿠릴 열도까지 포함해서 1947년 사할린 주로 독립하여 오늘날에 이른다. 일본은 1949년 가라후토청을 폐지한데 이어 1952년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사할린 남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였고 현재까지 러시아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5. 경제

사할린은 석유, 천연가스, 부유식 해양 천연가스, 석탄의 채굴 및 임업,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소련 붕괴 이후 석유 붐이 일어서 석유와 가스의 비중이 높은데 2006년 기준 석유와 가스가 공업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석유와 가스 덕택에 실업률이 2%에 불과할 정도로 경제는 활황이다. 다만, 산악 지형과 고위도 지역이라는 특성상 농업은 거의 발달하지 않았지만 200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활성화에 들어가고 있다.

6. 교통

파일:attachment/사할린/Map.jpg

예나 지금이나 사할린 섬의 수도나 마찬가지인 유즈노사할린스크 유즈노사할린스크 역 철도 교통의 중심이다. 위 지도에서 특별히 이름이 빨간색인 역.

사할린 섬의 철도 남쪽은 일제강점기에 깔아놓은 철도를 바탕으로 약간씩 연장한 것이다. 북쪽 부분은 제정 러시아 말기/소련 시대 지은 산업철도이다.

특이한 것은 본토의 러시아 철도 광궤인 것과 달리 이 곳에는 일본 철도와 같은 케이프 협궤 철도가 깔려 있었다. 한동안 과거 일본이 깔았던 철도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이다. 북쪽 부분도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러시아 본토의 광궤가 아닌 700㎜/762㎜ 협궤 경편철도로 부설된 것을 1945년 이후 단일 철도국으로 통합되면서 운영편의를 위해 남사할린와 같은 1067㎜ 케이프 협궤로 개궤했다. 한때 D51형 증기 기관차도 굴러 다녔고 차량 한계도 일본 기준으로 맞춰져 있어서 소련 시기에 자국산 차량을 사할린에 맞게 변경하는 대신 아예 일본산 디젤 동차를 굴리기도 했다. 오랜 개궤 공사 끝에 2019년부터 러시아 본토와 동일한 1520㎜ 광궤 차량이 운행하기 시작했다.

과거에는 일본이 치하쿠 연락선을 통해 홋카이도 소야 본선 철도와 연계하여 운행하였으나 2차 대전 이후 소련이 사할린을 병합하고 냉전기 내내 일본과 소련은 잠재적 적국이었던 관계로 두 섬을 잇는 항선은 끊어졌다. 냉전이 끝난 현대에는 양국의 관계가 개선되어 정기여객선이 다시 취항했으나 철도와 해저터널의 연결은 재정적 문제와 정치적 사정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외 일반교통은 주로 자가용과 시외버스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거리 여객은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 항공편을 주로 이용한다. 한국 인천국제공항과의 직항편은 아시아나항공 오로라항공 등이 운항하고 있으나, 아시아나항공은 노선 구조개선의 일환으로 2019년 9월부터 운휴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할린 노선은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아시아나항공의 국제선 노선 중 가장 낮은 탑승률(56.8%)를 기록했다.

장기적으로는 사할린과 타 지역을 잇는 철도 해저터널 / 해상교량이 계획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를 잇는 사할린 터널과, 사할린과 일본 홋카이도를 잇는 사할린-홋카이도 해저터널이 있다. 개통이 성사되면 섬 밖으로 나가는 단거리 여객수요를 끌어들임과 동시에, 물류 수송에도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7. 인구

소련 말기인 1991년에는 71만 명에 달하였으나, 소련 붕괴 후 인구가 빠르게 줄어들어 2016년에는 48만 명으로 크게 감소하였다.[22] 그나마 2016년 이후에는 인구감소세가 반전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도시 유즈노사할린스크에 섬 전체 인구의 40% 가량인 20만 명이 모여 살고 있다.

2002년 인구조사에 의하면 러시아계 주민이 전체 인구의 83%를 차지해서 1위이며, 2위는 바로 한국계 러시아인이다. 약 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5% 남짓이다. 일본인은 2차대전 직후 거의 모두 강제추방되었고 일부 극소수의 일본계 및 러시아-일본계 혼혈인들 정도나 남아있다.

남쪽에 접한 홋카이도와 크기는 비슷하지만 높은 산지의 비율, 러시아 중심지로부터 매우 먼 위치, 좀 더 한랭한 기후 등의 요인으로 인구는 훨씬 적다. 홋카이도 인구는 500만 명 가량으로 사할린의 10배에 이른다. 그런 홋카이도도 일본 전체로 보면 매우 인구가 적은 곳으로 손꼽힐 정도이니 그보다 인구가 10배 적은 사할린은 전세계 기준으로도 인구 밀도가 낮은 곳에 속한다. 사할린의 인구밀도는 5.4명/km2로, 시베리아 전체의 인구밀도(2.8명/km2)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다.

7.1. 원주민

사할린의 원주민이었던 니브흐, 윌타, 사할린 아이누는 인구 비중에서 극소수를 차지한다.[23]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 격인데 이러한 현상은 비단 사할린이나 쿠릴 등지 뿐만 아니라 발트 지역, 카렐리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러시아 제국-소련 치하에 흔하게 일어나던 일이다. 일본 역시 홋카이도와 혼슈 북부의 아이누인들을 몰아내고 강제적인 동화를 시행했다. 더욱이 사할린 아이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인과 함께 추방되면서( 히키아게샤) 더욱 비율이 낮아졌다. 그나마 일부 잔류한 인원들도 러시아인들과의 통혼으로 동화되어 사실상 사멸했다.

사할린섬에서는 아이누어의 사할린 방언, 니브흐어, 윌타어, 오로치어 등의 언어도 쓰였지만, 소수 민족들의 수가 줄어들고 사할린 섬의 아이누족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대부분 일본으로 이주하면서 거의 소멸되었다.

7.2. 사할린 한인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사할린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소수민족 한민족이다. 1945년 태평양 전쟁에서 패배하자 일본은 한국계들을 방치한 채 일본인들과 아이누인들만 데리고 본국으로 철수했기 때문이다.

사할린 섬에 한국인들이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일찍이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였다. 이 지역을 개척하기 시작한 러시아와 일본은 척박한 사할린섬의 석탄, 광산 개발, 석유개발, 어업, 임업 등을 위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고, 심지어 유배온 죄수들도 노동에 동원할 정도였다. 당시 조선은 국가의 기반이 흔들리면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내기 어려운 위태한 상황이었으므로 이 시기에 많은 농민과 육체 노동자들이 일거리를 찾아 외국으로 떠났고 사할린도 그 중 하나였다. 다만 오늘날의 사할린 한인은 대부분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의해 강제 이주 및 징용당한 이들(과 그 후손)이다.[24]

강제징용자가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사할린 한인은 구한말부터 자발적으로 만주 및 소련 지역으로 이주한 고려인과는 차이가 있다. 연해주 지역 고려인은 주로 평안도, 함경도 등 이북 지역에서, 사할린 한인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 남한 지역에서 이주한 지라 서로 간 정체성 차이가 존재한다. 사할린에도 자발적 이주자들이 일부 있었고 이들은 따로 사할린 고려인이라고 부른다. 한반도 남부 출신 강제징용 피해자와 그 후손들은 스스로를 고려인이 아닌 한인이라고 여긴다.

이후 한국계 귀국 문제로 일본에 소송을 제기한 적도 있었지만 성과는 없었다. 1989년부터 실무자 접촉 등 가시적 진척이 있었고, 그 후 2000년에 407세대(814명)가 귀국하는 등 성과를 내었다. 그러나 아직도 영구 귀국을 희망하는, 미처 귀국하지 못한 사할린 한국계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있어서인지 유즈노사할린스크에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 총영사관의 출장소가 생겨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8. 식문화

사할린의 식문화는 중앙아시아 러시아의 고유한 식문화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동아시아의 식재료가 들어간 음식이 현지화된 것이 특징이다. 과거 이 지역을 통치한 일본 제국의 영향도 있고, 상술한 사할린 한인들의 영향도 있다. #

오징어, 조개, 나물, 도축 후 남은 부산물들, 다시마 미역 등 해초류들,[25] 고사리[26]가 들어간 음식이 사할린 요리에는 많으며 현지 한식들도 순대에 비계를 많이 넣는다거나, 김치돼지볶음에 두꺼운 비계를 그대로 넣는다든가, 된장과 고추를 섞은 장으로 연어조림을 만드는 등 상당한 로컬라이징이 일어났다. 관련 다큐멘터리를 보면 성게, 조개, 다시마나 산나물 채집도 하러 돌아다니고, 채집한 걸 사할린 한인들에게 되파는데 가장 인기가 많은 식재는 고사리이다. 옛날에는 그냥 내버리던 갑오징어도 지금은 비싸게 팔린다.

관련 다큐멘터리에서도 옛날에는 금방 쉽게 얻는 해산물도 요새는 러시아인들이 자신들도 먹으려고 해서 값이 비싸졌다고 푸념하는 할머니의 증언이 있다. 막걸리는 재료를 못 구해서 사라져버렸지만 육개장, 닭도리탕도 먹고 1990년대 이후에는 두부 배추김치까지 먹는다. 그러다 보니 러시아의 본토인들은 사할린 사람들의 식문화를 신기하게 여긴다.

9. 영토 분쟁

일본에서 발간되는 지도에서는 북위 50도 이하의 남사할린 지역이 어느 나라의 영토로도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사할린과 쿠릴 열도의 귀속 문제를 보류했고, 소련이 이 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쿠릴 열도 분쟁이 발생하여 영토 관련 협의가 모두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일본 정부의 입장은 "일본이 남사할린을 포기한 것은 맞지만, 러시아(당시 소련)가 인계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다만 국제법적인 문제와는 별개로 러시아는 사할린 지역에 대해서 실효 지배를 수행하고 있다.[27]

물론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서명을 했기 때문에 남사할린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진 않는다. 같은 조약에서 마찬가지로 포기하기로 명시한 쿠릴 열도에 대해서 분쟁을 이어나가는 것은 쿠릴 열도가 여러 섬으로 되어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기 때문인데, 사할린은 한 덩어리의 섬이므로 왈가왈부할 여지가 없다. 한때 가라후토청의 소재지였던 유즈노사할린스크(舊 도요하라)에는 일본 총영사관마저 두었으므로 러시아의 영유권을 승인한 것이나 다름없다.[28] 만약 일본이 남사할린을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지 않았다면 결코 총영사관을 설치하지 않았을 것이다.

정부 입장과는 별개로, 일부 일본의 극우 단체들은 북방영토에 쿠릴 열도와 남사할린도 포함하여 러시아로부터 돌려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주류 정치권에서는 무시당한다. 역사적으로도 남사할린은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넘긴 이후 러일전쟁으로 빼앗았다 2차 대전으로 도로 빼앗긴 땅이며 사할린의 포기를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명문화했기 때문에 일본으로서도 반환 명분이 전혀 없다. 쿠릴 열도 분쟁에서 일본의 입장을 지지하는 미국 유럽연합도 사할린은 러시아령으로 인정한다.

10. 여담

  • 남사할린이 일본 영토인 가라후토로 불렸던 20세기 초반 이곳에서 하드로사우루스류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당시 학자들은 '일본의 도마뱀'이란 뜻의 니폰노사우루스라는 학명을 명명했다.
  • 소련 붕괴 직후인 1995년 사할린 섬 북부에 있는 네프테고로스크시에서 규모 7.6, 진도 IX의 강진으로 전체 인구 3,500명 중 약 2천 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일어났는데 이 지진으로 네프테고르스크는 유령도시가 되었다. 이때 한국도 의약품을 포함한 30만 달러 규모의 구호물자를 피해 지역에 지원했는데 지원한 식료품 중 하나가 초코파이였다.
  • 한반도의 부족국가들과 간접적인 교류가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는데, 특히 신라 탈해 이사금의 출신지가 이곳이었다는 설이 있다. 출신지에 대해서는 인도 남부 출신이라는 설과 캄차카 반도 출신이라는 설, 말갈족 출신이라는 설, 강원도 지역에 존재한 한국계 부족 출신이라는 설 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이 중 주류 학계로부터 크게 주목을 받는 설은 한반도 북부 출신설과 캄차카 반도 출신설, 그리고 사할린 출신설 이렇게 세 가지가 있다.

11. 스포츠

아이스하키, 축구, 여자 배구 선수단으로 구성된 PSK 사할린이라는 팀이 있다. 아이스하키팀은 2014-15 시즌부터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참가하여 항상 상위권을 지키는 강팀이다.

축구 구단은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에 소속되었다. 2014-15 시즌에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2부리그까지 승격했는데 당시 같이 2부리그에 소속되어 있었던 FC 발티카의 연고지인 칼리닌그라드까지의 직선 거리는 약 7500㎞에 달하여 그야말로 세계 최장거리의 원정경기를 치렀다. 이 팀이 1부리그로 올라가서 모스크바에서 오려면 12시간 이상이 걸린다. 그러나 1시즌 만에 다시 3부 리그로 강등당했다.

배구 구단은 오랫동안 우승과 인연이 없다가 2017년에 시베리아-극동 여자배구 컵에서 처음으로 우승했다. 러시아 선수권에서는 중하위권 정도의 성적을 거두고 있다.

12. 대중매체에서

의사이자 극작가로 유명한 안톤 체호프 1890년도에 이곳의 유형지를 답사하면서 만든 보고서인 '사할린 섬'으로도 유명하다. 당시 사할린의 지질학, 지리학적 정보 뿐만 아니라 당대 시베리아 지역 유형지의 모습을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비록 형식은 실무 보고서이지만 글 좀 쓰는 사람이 써서 그런지 딱딱한 느낌이 아니라 기행문처럼 술술 읽히므로 관심 있는 사람은 읽어봐도 좋다. 한국어 번역서도 출간되었다. 체호프의 사할린 기행은 그의 문학관에도 큰 변화를 주었는데 기존작들은 레프 톨스토이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사할린을 여행하면서 그의 영향에서 탈피하고자 했다.

일본의 가공전기에서는 여전히 일본 제국의 영토이거나 일본 국방군이 북방영토, 쿠릴 열도를 비롯한 남사할린, 아예 러시아령인 북사할린까지 사할린 전체를 다 차지하기도 한다.[29] 물론 실제 역사처럼 소련-러시아의 영토로 편입되는 전개도 존재한다. 그게 아니라도 아예 분쟁지역으로 분류해서 물밑싸움이 격렬하게 일어나는 곳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대마인 아사기 결전 아레나에 등장했던 가상의 도시인 토미하라 같은 설정이 대표적.


[1] 이 정도 크기의 섬에는 섬 하나를 국토로 삼는 섬나라들도 보인다. 스리랑카, 아일랜드가 딱 사할린과 비슷한 면적에 섬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크기는 약간 더 크지만 북방이라 인구밀도가 매우 낮은 섬이라는 점은 아이슬란드와 유사하다. 인구를 비교해보면 아이슬란드가 37만 명으로 사할린보다 더 적다. [2] 북극해에 있는 노바야제믈랴 섬은 실제로는 섬 2개이다. [3] 그런데 사할린이 위치한 위도 50도부터는 일반적인 지도 도법인 메르카토르 도법의 면적 확대 현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지도로 보면 홋카이도보다 좀 더 커보이기도 한다. [4] 애초에 '유즈노사할린스크'라는 지명부터가 "남사할린시"를 의미한다. [5] 남한 최북단이 북위 38도 60분, 남북한( 한반도) 최북단인 온성군이 북위 43도이다. 사실 사할린 남쪽에 있는 홋카이도만 해도 최남단이 한반도 최북단과 거의 위도가 비슷한 정도이다. [6] 북위 43~53도 [7]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직선거리가 대략 330㎞ 정도이다. [8] 사할린 남단의 크릴론 곶 역시 이 인물이 명명한 지명이다. 울릉도도 관측하여 '다즐레'(Dagelet)라고 명명한 바 있다. [9] 소야 해협의 '소야'는 소야곶 문서에서도 보듯 아이누어 토착 지명으로, 본래 곶 서쪽의 암초를 가리키던 표현이라고 한다. [10] 아무르강의 중국 측 명칭인 헤이룽장(黑龍江, 흑룡강) 역시 검다는 뜻이다. 흑수말갈의 흑수(黑水)에서도 보듯 아무르강은 실제로 어두운 빛을 띄기에 검은색을 포함한 지명으로 불려왔다. 한편 같은 색으로 이름이 지어진 지구 반대편의 흑해는 실제 색과는 큰 상관이 없고 관념적 오방색과 연관되어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11] '아무르강'의 '아무르'는 현지 언어로 "강"을 뜻한다고 한다. 만주어일 것이라는 견해도 있긴 한데 근거가 확실치는 않은지 영어 위키백과 아무르 강 문서에서는 퉁구스계일 것이라고만 추측하고 있다. [12] 그냥 '사할린 강 건너편에 있는 섬을 사할린이라 불렀다'뿐이기 때문에 헤이룽장성의 만주어 이름도 사할린이었다. 단, 헤이룽장의 본 이름의 의미로서는 사장되고 오히려 파생어인 사할린 섬이 훨씬 유명해진 것. [13] 금나라는 요와 북송으로부터 빼앗은 남쪽의 중원 지방을 관리하는 것을 중시했기 때문에 이런 변방의 외딴 섬 지역을 개발하는 일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전대의 요나라도 마찬가지로 연운 16주 개발에 매진했다. 자료에 따라서는 이 두 나라의 영토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그만큼 기록이 부실했고 중요한 지역이 아니었다. [14] 아이누를 가리키는 蝦夷를 한국식으로 읽은 것이다. [15] 마츠마에 번 봉행으로, 표주록에는 新谷十郞兵衞(신곡 십랑병위)로 기록되었다. 일본어로는 아마 '니야 주로베'(にいや⁼じゅうろうべえ) 정도로 읽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홋카이도 북부에는 금광 채굴을 목적으로 파견되었다고 한다. [16] 이 시기에는 홋카이도 북부도 일본인의 정착이 이루어지기 시작하기는 했지만 그렇게 본격적이지는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표주록의 묘사를 보면 현 왓카나이 일대에 표류한 저자 이지항은 주변에 한문을 아는 사람은커녕 일본인조차도 남쪽으로 좀 내려가서야 발견할 수 있었다. [17] 일례로 홋카이도와 비교했을 때 두 섬 모두 19세기에 와서 중앙 정부에 의한 개발과 주민 이주가 본격화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홋카이도는 에조치라 불렸음에도 이미 15세기 중반 일본의 진출이 시작한 이래, 17~18세기경 다이묘 가문인 마츠마에 번의 주도 하에 일본인들이 홋카이도 해안가 전역에 진출했고 홋카이도 아이누를 형식적으로 의 지배 하에 복속해 관리했기 때문에 러시아도 홋카이도를 일본의 영토로 인식하며 관심에 두지 않았다. 즉,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개척하고 오호츠크 해로 진출한 18세기 무렵 홋카이도 핵심지역은 이미 마츠마에 번의 통제 하에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도 이곳에 손쓸 겨를이 없었다. 반면 사할린과 쿠릴 열도는 일본 본토인 혼슈에서 너무 멀고 일본인의 진출과 원주민의 복속 정도가 매우 약했으며 특히 사할린은 일본인의 거주지가 오도마리(코르사코프)를 비롯한 섬 남부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남북으로 길쭉한 사할린의 지형상 러시아가 무리없이 식민 정책을 펼 수 있는 제반 환경이었다. [18] 그래서 오늘날에도 일본에서는 타타르 해협을 마미야 해협으로 부른다. [19] 일본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을 은근히 불평등 조약으로 인식하는데 이는 사할린에 비해 쿠릴 열도가 너무 협소하기 때문이다. 실제 사할린 내에서의 파워 게임에서 신생 근대화 국가인 일본은 대제국인 러시아와 겨룰 힘이 없었지만 형식적인 수준의 평등 조약을 맺어 국제사회에서의 체면을 지켜야 했기 때문에 사할린에서 물러나는 대신 쿠릴 열도를 양도받았다. 다만 쿠릴 열도는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에 단순 면적만으로 두 지역의 가치를 비교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 [20] 레닌만의 주장은 아니고 안톤 체호프도 기행문에서 사할린은 원래 일본의 땅이라고 기록하는 등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사할린은 일본으로부터 획득한 외지로 여겨졌다. 이는 지구 반대편의 유럽 러시아인들 입장에서 사할린이 일본과 마찬가지로 인데다 지리적으로 일본 열도의 연장선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러시아인들이 처음 발견한 시점에 코르사코프를 비롯한 섬 남부에 이미 일본인 정착촌이 소규모나마 존재했으며 초기에는 일본이 사할린을 더욱 적극적으로 탐사하는 등 한층 더 강한 역사적 클레임을 가졌기 때문이다. 반면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직접 답사를 수행한 18세기 러시아 탐험대는 느슨하게나마 마츠마에 번의 통제 하에 있던 홋카이도는 대체로 일본령으로 인식한 반면 일본인의 활동이 적었던 사할린과 쿠릴 열도는 러시아가 개척할 수 있는 사실상의 빈 땅으로 인식했다. [21] 소련군 일본의 항복 이후인 8월 26일에 사할린을, 9월 4일에 쿠릴 열도를 완전히 장악했다. 9월 2일에 일본이 미주리함에서 항복문서에 서명했는데 하보마이와 시코탄 등을 항복 조인식 시점까지 점령하지 못한 상태였다. 참고로 스탈린은 홋카이도까지 침공해 쿠시로- 루모이 선을 경계로 홋카이도를 분할하는 계획도 구상했으나 이는 남사할린과 슘슈 섬에서의 출혈 미국의 격렬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22] 소련 붕괴 후 러시아는 국가 전체적으로 인구가 상당 폭으로 줄었다. # 더구나 시베리아 외곽 지역 같이 원래부터 인프라가 부족했던 곳은 소련 붕괴를 기점으로 더욱 인구가 크게 줄어들었다. [23] 니브흐족은 하바롭스크 지역 인구를 제외하면 절반인 2천명대이고, 월타족은 2002년 기준으로 300명대였으니 현재는 더 감소했을 공산이 크다. [24] 따지고 보면 초기에는 재일교포, 소련 점령 이후에는 고려인 비슷하게 되었지만 지금은 저둘과 다른 정체성을 가진다. [25] 동아시아권을 제외한 문화권들은 해초류를 잘 소비하지 않는다. [26] 동양과 달리 서양에서는 고사리를 이용한 요리가 매우 적다. [27] 국제법적 지위는 다소 애매하지만 통치가 이루어지는 지역들은 세계 곳곳에 꽤 있다. 조약이나 협정에서 모든 지역에 대해서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당장 대한민국 역시 38선 이북의 수복지구는 국제법적 지위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수복지구 지역이 대한민국 영토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28] 이는 한때 독일령 동프로이센과 슐레지엔, 소속이던 러시아 칼리닌그라드(舊 쾨니히스베르크)와 폴란드 브로츠와프(舊 브레슬라우) 등지에 독일 총영사관을 설치한 독일의 사례와 유사하다. [29] 반면 일제가 패망하는 전개일 경우 사할린과 쿠릴은 물론 종종 홋카이도까지 소련 혹은 공산 일본에 강점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