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6:45:23

검독수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8년부터 대한민국 해군이 전력화한 신형 고속정에 대한 내용은 검독수리급 고속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해남학도래지
  4. 해남학번식지
  5.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6.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7. 어의궁의은행나무
  8. 서울 문묘 은행나무
  9. 고양 송포 백송
  10. 진천의측백수림
  1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4. 울주 목도 상록수림
  1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6.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7. 선남리의음나무
  18.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9. 금란굴
  20.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2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22.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3.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24.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2. 보은 속리 정이품송
  3. 보은의백송
  4. 부여의동매
  5. 예산 용궁리 백송
  6.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7.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8. 서귀포의곰솔
  9.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0.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2.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3.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4.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5.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6. 청송의향나무
  17.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8.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 음성의학번식지
  20. 예산삽교의학도래지
  2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2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24. 구례원달리의산수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2.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3. 함양 상림
  4. 울진 성류굴
  5.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6.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7. 울진 후정리 향나무
  8.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9. 제주 산천단 곰솔 군
  10.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1.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12.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13.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14.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15.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6.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7.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8.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9. 홍도 천연보호구역
  20.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21.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22.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23.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24.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5.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6.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7.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9.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0.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 황금굴,협재굴)
  1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2. 금강의 어름치
  1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4. 서울 선농단 향나무
  15.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6. 까막딱따구리
  17. 독수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8. 소백산 주목군락
  19. 철원 철새 도래지
  20.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2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22.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3.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24.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6.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7.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8. 부산 구포동 당숲
  9. 무안 현경면 팽나무
  10.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2. 청송 장전리 향나무
  13.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4.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5.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6.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7.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8.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9.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20. 연기 봉산동 향나무
  2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22.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23. 올빼미류, 부엉이류(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24. 기러기류( 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3.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4.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5.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6.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7.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8.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9. 통영 추도 후박나무
  20.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21. 제주의 제주마
  22.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23. 영월 청령포 관음송
  24. 명주 삼산리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7.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8. 정선 산호동굴
  9. 평창 섭동굴
  10.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2.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3. 영덕 도천리 도천숲
  1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5.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6. 제주 물장오리 오름
  17.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8. 영양 무창리 산돌배
  19. 강릉 방동리 무궁화
  20.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2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2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6.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7.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8. 제주 강정동 담팔수
  19.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20. 제주 흑우
  2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23. 정선 용소동굴
  24.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검독수리
Golden eagle
파일:ㄱㄷㅅㄹ.jpg
학명 Aquila chrysaetos
(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수리목(Accipitriformes)
수리과(Accipitridae)
아과 검독수리아과(Aquilinae)
검독수리속(Aquila)
검독수리(A. chrysaetos)
아종 A. c. japonica[1]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CCC,#212121> 한국어 검독수리, 검수리, 검둥수리
영어 Golden eagle
중국어 金鵰 / 金雕
일본어 イヌワシ(犬鷲, 狗鷲)
독일어 Steinadler
프랑스어 aigle royal
스페인어 águila real, águila caudal
러시아어 беркут, Berkut
}}}}}}}}}||
파일:golden eagle.jpg

1. 개요2. 생태
2.1. 사냥 및 비행
2.1.1. 먹이2.1.2. 경쟁자
3. 아퀼라(Aquila) / 라이히스아들러(Reichsadler)4. 기타5. 유사종6. 참고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척삭동물문 조류강 수리목 수리과 맹금류에 속하는 종이다. 구 대륙권에서 흔히 독수리 이글하면 이 새를 일컫는다.[2][3] 참고로 검독수리의 독자는 禿( 대머리 독)이라 엄연히 정수리에도 깃털이 풍성한 이 새와는 안 맞는 이름이며 오히려 '독'자를 뺀 검수리가 맞을 법할 이름이다. 한국에서는 1973년 4월 12일 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부[4], 서아시아, 아프리카 북중부, 유럽[5],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북반구에 넒게 분포하고 있다. 대형 맹금류로서 전 세계 각지에서 먹이사슬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영어로는 Golden Eagle인데 학명과 마찬가지로 황금과 관련되어 있다. 그 이유는 목의 황금색 깃 때문이다. 이름에는 독수리가 들어가 있지만 실제로는 독수리(벌처)가 아닌 수리(이글)다. 독수리는 대머리수리를 말하며 아과 혹은 속 수준에서 수리와 구분된다. 이 문제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잘못 붙여진 이름인 검독수리가 아니라 검수리나 검둥수리로 호칭하자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아직까지 해당 종의 명칭은 검독수리로 고정되어 있다. 검독수리가 다큐멘터리나 TV 동물농장 등의 TV 매체에 등장할 경우 전문가들이 검수리로 지칭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실수로 잘못 발음한 것이 아니다.

2. 생태

파일:Беркут_(Aquila_chrysaetos).jpg

날개길이 57 ~ 63cm, 익장 평균 2.1m[6], 꽁지길이 31 ~ 35cm, 몸무게 약 4.4 ~ 6kg이며 몸길이는 수컷이 81cm, 암컷이 89cm로 다른 맹금류처럼 암컷이 더 크다. 기록상 검독수리의 최대 익장은 2.8m, 체중은 약 12kg 정도지만 대부분의 검독수리들의 크기는 평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온몸이 짙은 갈색이고 꽁지깃은 흰바탕에 가로무늬가 있다. 부리와 발톱이 날카로워 동물을 사로잡는데 적합하다. 깊은 산속에 살면서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절벽이나 험한 산같은 고지대에 주로 살아서 보기 매우 힘들다. 보통 다른 맹금류들보다 사람을 더 극단적으로 경계해[7] 숲에 길이 나거나 둥지가 보이는 곳에 인공 건조물이 들어서고 나무가 베어져 나가면 번식 장소를 옮긴다. 그러나 몽골에서는 간혹 볼 수 있으며, 지방 포장도로에 멀뚱히 서있기도 한다. 몽골의 인구밀도가 극도로 낮은 만큼 아무래도 사람으로부터 받는 압박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둥지는 사람 손이 닿지 않는 산지의 절벽에 굵은 나뭇가지로 만들며, 흰색 알을 1~3개 낳는다. 보통 한 두 마리의 새끼가 태어나는데 두 마리가 있는 둥지의 경우 먹이가 충분하면 둘 다 성체가 되지만 먹이가 부족할 경우 한쪽이 굶어 죽는게 일반적이다. 부화 초기에는 먼저 태어난 새끼와 나중에 태어난 새끼가 다투면서 서열을 정하다가 다툼이 심해질 경우 약한 쪽을 물어죽이기도 한다. 어미새는 상황이 여의치 않음을 알기에 이것을 방관하며 심지어 죽은 새끼를 살아있는 새끼에게 먹이로 주기도 한다. 부화한 지 2주가 지나면 새끼들간의 공격성은 거의 사라지며 독립해 각자 살기 전까지 서로 놀거나 장난을 치는 등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번식 후에는 암수 1쌍이 함께 생활하며 번식 중에는 3 ~ 4마리의 가족 단위로 지낸다.

국내에서는 주로 겨울철새로 찾아오지만 70년대까지만 해도 번식 기록이 있었다.[8]

2.1. 사냥 및 비행

부채머리수리 필리핀수리, 흰꼬리수리, 참수리처럼 검독수리보다 몸집이 큰 수리들은 있지만 검독수리는 다른 맹금류들에 비해서도 식성 적응력이 뛰어나 먹이의 범위가 넓다. 아예 영어 위키백과에 먹이 항목이 따로 분류되어 있을 정도다.
파일:검수리1.gif

사냥을 할 때는 하늘을 비행하다 빠르게 땅을 보며 급강하, 먹이한테 거의 다 다다랐을 때 순간적으로 고개를 뒤로 빼고 발톱이 바닥을 보게 한 후 날개를 최대한 접으며 나비가 날개접듯 양날개를 뒤로 빼서 최대한 공기저항을 줄이고 그대로 발부터 입수하듯 먹잇감에게 발톱을 박는다. 현대 비행기는 비행중 난기류( 급변풍, 항공난류 등)를 만나면 양력을 잃지만 검독수리는 반대로 가속한다. 일반적으로 날기 위해 상승기류를 이용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젔으나 최근 코넬 대학에서 검독수리에 GPS와 가속도계를 장착해 연구한 바로는 이런 불규칙한 바람에도 오히려 추력을 얻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9]

일반적으로 혼자 사냥하지만 간혹 한 쌍이 협동하는 경우도 관찰된다. 주로 한 마리가 먹이의 주의를 끌고 다른 한 마리가 공격하는 방식으로 사냥한다.

악력도 무지막지하게 강한데 발톱을 움켜쥐는 힘이 750psi 정도라고 한다. 그 정도면 여타 다른 대형 맹금류를 압도하는 수준이고, 대형 고양이과 맹수의 치악력에 거의 가깝다. 그래서, 이론상 검독수리가 사람의 팔을 발톱으로 잡혀서 쥐게 되면 충분히 뼈를 부러뜨릴 수도 있다.

2.1.1. 먹이

파일:bruno-liljefors-ornar-jagande-hare-1911-6d2c7f.jpg
토끼를 사냥하는 검독수리 한 쌍
확인된 척추동물 먹잇감만 400종이 넘으며 분포 범위가 넓은 만큼 지역에 따라 주로 노리는 먹잇감도 달라진다.

주요 먹이는 4kg 이하의 토끼 고슴도치, 생쥐, 땅다람쥐, 다람쥐, 청설모, 마멋, 프레리도그 같은 설치류, , 뇌조, 칠면조, 자고새 같은 지상성 조류, , 거북, 도마뱀 같은 파충류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640px-Aquila_chrysaetos_1_(Bohuš_Číčel).jpg
붉은여우를 사냥한 검독수리

경우에 따라 반격의 위험성이 있는 식육목 포유류들도 자주 사냥한다. 보통은 어린 개체만을 사냥하지만 성체의 경우 주로 주둥이를 붙잡아 무력화시키기 상대적으로 쉬운 개과 동물이나 족제비과 동물 등이 많이 노려지는데 족제비, 담비, 밍크, 너구리, 여우, 주머니쥐, 라쿤, 스컹크 등 작은 종들이 주된 목표이다.[10] 그 외에도 고양이과 동물인 고양이, , 마눌, 들고양이도 사냥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붉은여우, 피셔, 붉은스라소니, 오소리, 코요테처럼 자기보다 크거나 체급이 비슷한 동물들도 사냥할 수 있다[11][12].

그 외에도 호저도 사냥한 기록이 있다.

다른 맹금류와는 다르게 일부 검독수리 개체군은 먹이가 부족해지면 우제목도 노린다. 대부분 어린 개체만을 사냥하지만 먹이가 부족한 경우 성체들도 검독수리에게 먹잇감이 되는데 이는 우제목의 신체구조상 등 위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성체 몽골가젤, 고라니, 노루, 마코르염소, 아이벡스, 가지뿔영양, 알프스산양 등 20~30kg 정도의 중형 우제류들이 사냥 대상이 된다.[13][14]
파일:검수리3.gif
산양을 절벽으로 떨어뜨리는 검독수리
일반적으로 큰 초식동물을 사냥할 때는 급강하해 발톱으로 움켜쥐고 날개를 펴서 공기 저항을 높여 먹잇감의 속도를 늦추고 쓰러뜨리는데 어떨 때는 발톱으로 몸을 움켜쥔 채 산 채로 몸을 뜯어먹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산악 지대에 서식하는 검독수리 중 일부가 염소 산양을 겁주거나 공격해 절벽에서 떨어뜨려 추락사시킨 뒤 잡는 모습도 포착되었다. 상술한 우제목들보다 큰 동물들은 일반적으로는 잘 노리지 않는 편이지만 그나마 사슴이 제일 많이 잡아먹히는 편이다. 실제 러시아에서 50kg 이상의 암컷 꽃사슴이 잡아먹힌 사례가 카메라에 포착된 적이 있는 데다[15] 성체 암컷 순록, 성체 , 최대 114kg 정도의 어린 가 잡아먹힌 적도 있다.[16]

조류는 상술했듯 뇌조, 자고새, 꿩 따위의 닭목의 새들이 가장 선호되지만 이러한 새들의 개체 수가 적은 환경에서는 오리, 기러기, 원앙, 물닭, 갈매기, 도요새, 물떼새 같은 물새류나 비둘기 까치, 까마귀류, 어치 등은 물론이고[17] 간혹 왜가리 백로, 황새, 소형 두루미 종류[18], 고니 같이 자신과 크기가 비슷하거나 더 큰 조류를 공격해 잡아먹기도 한다. 맹금류도 예외가 아닌데 경쟁자를 제거하듯이 죽이기보다는 정말 배고파서 잡아먹는 경우도 있다. 지금까지 황조롱이, 조롱이, 매[19], 올빼미, 부엉이, 솔개, 말똥가리, 물수리뿐만 아니라 스캐빈저 칠면조독수리 역시 검독수리에게 잡아먹힌 기록이 있다.

파충류는 상술했듯 뱀이나 거북, 도마뱀을 노리는데 이들 중 거북을 제일 많이 잡아먹는다. 거북을 잡을 때는 절벽에서 떨어트려서 등딱지를 깨뜨리고 잡아먹는다. 반대로 양서류나 곤충은 알려진 바가 없다.

간혹 잉어 연어 등의 물고기[20][21]도 사냥한다.

2.1.2. 경쟁자

보통 먹이가 겹치는 다른 맹금류와 경쟁하는 경우가 많은데, 검독수리는 맹금류 중에서 체급이 큰 편에 속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먹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일이 많다. 배가 고프면 직접 사냥하기도 하지만 배가 고프지 않을 경우에는 무시하거나 쫓아내는 정도에 그치는데, 그렇게 해도 상대가 물러나지 않으면 죽이기도 한다. 체급이 비슷한 흰머리수리나 체급이 더 큰 흰꼬리수리, 참수리의 경우, 먹이는 겹치지 않는 대신 영역을 두고 서로 견제하거나 새끼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는 경우도 있다.

야행성인 부엉이나 올빼미는 검독수리와 활동 시간이 겹치지는 않지만 실제로 수리부엉이 흰올빼미, 큰회색올빼미가 검독수리에게 잡아먹힌 기록이 있는데다가 큰뿔부엉이가 검독수리에게 죽임을 당한 적이 있다.

자기보다 큰 맹금류인 독수리, 캘리포니아콘도르 역시 경쟁 관계인데 독수리나 콘도르는 보통 시체를 먹고 살지만 간혹 검독수리가 사냥한 먹이를 빼앗기 위해 검독수리를 힘으로 쫓아내고 시체를 빼앗아 먹는 경우도 있는데, 검독수리 역시 가끔 이들을 몰아내는 경우도 있다.

식육목 포유류인 울버린이나 스라소니는 검독수리가 사냥한 먹이나 시체를 두고 경쟁하는 관계인데 이들은 둥지에 있는 새끼에게 위협 요소가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이들의 새끼가 검독수리에게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보다 몸집이 큰 포유류들[22]하고의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3. 아퀼라(Aquila) / 라이히스아들러(Reichsadler)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제국의 Aquila(검독수리) 휘장
검독수리를 상징으로 하는 국장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고대 로마 제국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아퀼라(Aquila, 검독수리)라고 불리는 상징은 군단기에서부터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이 SPQR, 즉 로마 국가 자체의 휘장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는데 로마 제국의 권위를 계승하고자 하는 후대의 수많은 제국과 왕국들이 검독수리를 국가의 상징으로 채택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서로마 제국의 후예 독일 동로마 제국의 후예 러시아가 현재까지 검독수리를 상징으로 삼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358px-Coat_of_Arms_of_Leopold_II_and_Francis_II%2C_Holy_Roman_Emperors-Or_shield_variant.svg.png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문장(1815).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장.svg 파일:오스트리아 국장.svg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문장 오스트리아 제국의 국장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국장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국장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장.svg 파일:독일 제국 국장(1889).svg 파일:바이마르 공화국 국장.svg 파일:독일 국장.svg
프로이센 왕국의 국장 독일 제국의 국장 바이마르 공화국의 초기(1919~1928) 국장 바이마르 공화국의 후기(1929~1935) 국장이자 독일연방공화국의 국장
신성 로마 제국[23], 프로이센 왕국[24], 독일 연방,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플렌스부르크 정부, 서독 ~ 현재까지 국장에 사용되는 새가 검독수리다.

특히 '국가수리( 독일어: Reichsadler, 라이히스아들러)'라고 하면 독일어권 국가( 라이히)들에서 전통적으로 국장으로 사용한 검독수리(독일어: Steinadler, 슈타인아들러)를 말한다. 중세 쌍두수리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근세 이후 국가수리는 주로 오른쪽(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왼쪽)을 바라보는 단두수리의 모습을 하고 있다.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라이히스아들러(Reichsadler) 파르타이아들러(Parteiadler)

나치 독일 시대의 국가수리(1935~1945)는 그 이전/이후 국가수리와 디자인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데 수리가 혀를 내밀고 있지 않고 날개를 쫙 펼친 디자인이다. 나치당은 국가수리와 비슷한 디자인이나 머리가 왼쪽(보는 사람 입장에서 오른쪽)을 바라보는 당수리(독일어: Parteiadler, 파르타이아들러)를 상징으로 사용했다.(1933~194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 군복에 붙은 국가문장도 독일 국방군은 국가수리, 무장친위대는 당수리를 사용했다.[25] 참고로 국가수리와 당수리는 군복에도 들어갔는데, 국가수리(국방군) 문양은 착용자의 오른쪽 가슴에 부착하였으며 당수리(무장친위대) 문양은 착용자의 왼팔에 부착하였다.
파일:독일 연방 국장.svg
독일 연방 국장

나폴레옹 전쟁 이후 독일 연방 시절에는 신성 로마 제국을 계승하는 의미로 쌍두수리를 사용했다.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현재의 독일 연방의회 로고. 과거보다 뚠뚠해졌다.[26]

현재 독일 오스트리아에서도 검독수리를 국장으로 사용하는데 두 국가의 국장은 나치의 이미지를 지우기 위해 국가수리가 아니라 연방수리(독일어: Bundesadler, 분데스아들러)라고 부른다.
파일:러시아 제국 국장.svg 파일:러시아 국장.svg
러시아 제국의 국장 러시아 연방의 국장
러시아에서도 공국, 제국을 거치면서 꾸준하게 사용해 왔으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이 세워지면서 한동안 뜸했다가 소련 붕괴 다시 자본주의 국가인 러시아 연방으로 돌아오고 나서는 잘 사용하고 있다. 독일은 중세 이후 단두 수리로 변했으나 러시아는 쌍두수리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러시아 제국 소련을 거친 후에도 유지 중이다.
파일:미국 국장.svg
미합중국의 국장
건국 초기 로마 제국의 정치 체제를 많이 참고한 미국은 자국의 국조 흰머리수리로 변형 차용했다.
파일:폴란드 국장.svg
폴란드 공화국의 국장
폴란드는 자국의 국조 흰꼬리수리로 변형 차용했다.
파일:인도네시아 국장.svg
인도네시아의 국장 가루다
인도네시아의 국장에 들어가는 새는 가루다라는 상상의 동물이지만 디자인적 측면에서 위의 수리 휘장들과 유사성이 있다.
파일:1280px-Eagle_of_Saladin_blank.svg.png 파일:Hawk_of_Quraish_blank.svg.png
살라딘의 독수리 쿠라이시의 매
위는 아랍 국가에서 자주 사용하는 국장 도안 2개로 주로 저런 도안을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나라마다 문장의 도안이 제각각인 곳도 많다.

중동에 위치한 적지 않은 수의 나라들에서 나라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라크, 팔레스타인, 시리아, 요르단, 이집트, 예멘, 아랍에미리트, 수단, 남수단, 쿠웨이트인데 주로 바트당 내지는 아랍사회주의가 뿌리내린 나라들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파일:대한제국 독수리 문장.svg
대한제국의 국장 중 하나였던 독수리 문장
대한제국 광무개혁 당시 러시아 제국을 모방하여 국가 휘장에 국가수리를 도입했는데 그때까지 한국을 포함하여 동아시아에서 황실의 상징 문양으로 맹금류를 쓴 전례가 없기 때문에 이는 꽤나 파격적인 도입이었다. 이후 대한민국에선 대통령기에 전통적인 길조 중 하나인 봉황을 사용한다. 태극으로 떡칠을..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국장 외에는 현재 대한민국 공군 경찰청 해양경찰청, 그리고 소방청에서 독수리 문양을 사용한다. 엄밀히 따지면 공군은 독수리, 경찰청은 참수리, 해양경찰청은 흰꼬리수리, 소방청은 새매지만 독수리가 맹금류의 표준 이미지로 자리잡아서 다들 독수리인 줄 안다. 그런데 사용하는 문장들을 보면 독수리처럼 머리가 까진 대머리 모습이 아니라 검수리처럼 머리깃이 풍부한 형태인게 또 모순이다. 한국 공군의 T-50 골든이글 국산 초음속 훈련기의 별칭도 검독수리의 영어 명칭에서 따 왔으며 황금독수리부대의 상징이기도 하다.

4. 기타

  • 생김새와 몽골에서 늑대사냥에 쓰는 것 때문에 꽤 유명하지만 같은 속의 새인 초원수리 항라머리검독수리 그리고 흰죽지수리는 아는 사람도 거의 없다. 이 중 항라머리 검독수리는 우리가 독수리 했을 때 흰머리수리와 함께 떠오르는 생김새를 지녔지만 흔하지도 않고 멸종위기종이라 사람들이 많이 모른다. 항라머리라는 뜻은 검은 머리라는 뜻이다.
  • 대한미식축구협회 소속 KNFL 리그에 검독수리의 이름을 딴 서울 골든 이글스라는 팀이 있다.
  •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꽃중년 독수리라고 회자된 이 독수리의 종이 바로 검독수리다. 일본의 한 동물원에 살던 '초카이'라는 일본 검독수리이며 47세까지 살았다. 인간 나이로 환산하면 거의 150살을 넘게 산 셈이니 미노년이라고 하는 것이 맞다. 이 독수리는 2017년 4월 25일 노환으로 자연사했다.
  • 사람의 아기를 채가는 검수리가 검색어 선상에 오른적도 있으나 조작으로 판명되었다. 캐나다의 한 학교에서 그래픽 관련 과제물로 제출한 동영상이었다. 그 학교의 자비로운(?) 교수님은 동영상이 10만 이상의 조회를 찍으면 100점을 주겠다고 했다. 그리고 2019년 1월 기준 조회수는 4천5백만으로 무려 목표를 450배 초과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 신 도라에몽 새 모자 편에서 날지 못하는 청둥오리를 노리는 것으로 등장하는데 검독수리 모자를 쓴 퉁퉁이와 비실이에 의해 사냥에 실패한다. 이 때는 그냥 독수리라고만 나왔지만 겉모습과 습성을 보아 검독수리가 맞는 듯하다.
  • 흰머리수리 흰꼬리수리, 참수리처럼 가끔 헤엄을 치기도 한다.
  • 멋있게 생긴 것에 비해 울음소리가 참새에 가까운 울음소리를 낸다.[27] 이는 다른 맹금류들도 마찬가지다. 참수리를 제외한 흰꼬리수리속 맹금류들처럼 매우 짧게 연달아 울지 않고 조금 짧게 운다. 암컷과 수컷의 울음소리의 톤도 별로 차이 없는 편.
  • 의외로 동물원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데 한국에서 검독수리를 사육하는 동물원은 서울동물원이 유일하다. 이는 검독수리가 다른 맹금류에 비해 사람에 대한 경계심이 극도로 강한 것도 있다.
  • 하강 속도는 시속 320km로, 모든 새 중 2위이다.[28]

5. 유사종

6. 참고 문서

영문 위키백과 Golden eagle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상징 국가( 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 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 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 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지리 ||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하위지역) · 헤센( 하위지역) · 튀링겐( 하위지역) · 니더작센( 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 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지역) · 바이에른( 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하위지역) · 자를란트( 하위지역) · 작센( 하위지역) · 작센안할트( 하위지역) · 함부르크 · 브레멘( 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베스트팔렌 · 라인강 · 라인란트 · 엘베강 · 도나우강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 산맥 · 보덴 호 · 모젤강 · 네카어강 ||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 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Thalys)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독일 마르크(폐지) · 유로 (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 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 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 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문화 ||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 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 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 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 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 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1] 국내에 도래하는 아종. [2] 나머지는 흰꼬리수리. 특히 폴란드에서는 흰꼬리수리가 해당 포지션을 차지한다. [3] 일본에서는 참수리가, 북미에서는 흰머리수리가, 남미에서는 콘도르가 해당 포지션이다. [4] 미얀마 북부 [5] 서유럽과 중부유럽, 남유럽, 동유럽, 북유럽을 비롯한 유럽 전역 [6] 최고기록 2.8m [7] 흰꼬리수리속 맹금류들은 주로 강가나 호수, 바닷가 등의 물가나 숲의 나무 같은 저지대에 둥지를 지어 사람과 가까운 곳에 있을 때를 생각해보면 대조적인 부분. 게다가 이 친구들은 먹이가 부족할 때 가끔식 쓰레기통을 뒤지기도 한다. [8] 1948년 4월 1일 서울 예봉산, 1948년 4월 11일 경기도 천마산, 1974년 8월 3일 내장산 도집봉 절벽에서 번식기록이 확인되었다. [9] Turbulence explains the acceleration of an eagle in natural flight, PNAS 2021. 6. 8 [10] 이 점이 문제가 되기도 했는데 채널 제도에 아일랜드여우를 방사하는 족족 다 잡아먹어서 복원 사업에 방해가 되기도 했다. 결국 검독수리 40마리를 붙잡아 다른 곳으로 방사하고 경쟁자인 흰머리수리를 재도입하는 등 온갖 노력을 거친 뒤에야 겨우 복원했다. [11] Olendorff, Richard R. (1976). "The Food Habits of North American Golden Eagle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95 (1): 231–236. doi:10.2307/2424254. [12] Grinnell, George Bird. "Eagles' prey." Journal of Mammalogy 10.1 (1929): 83-83. [13] Ellis, D.H., Tsengeg, P., Whitlock, P. & Ellis, M.H. 2000. Predators as prey at a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eyrie in Mongolia. Ibis, 142: 139 – 141. [14] Deblinger, R. D. & Alldredge, A.W. 1996. Golden Eagle predation on pronghorns in Wyoming's Great Divide Basin. Journal of Raptor Research, 30: 157-159. [15] "Golden eagle attacks deer in rare camera trap footage". ZSL Conservation. 2013-09-26. Retrieved 2014-08-02. [16] Phillips, R. L., Cummings, J. L., Notah, G. & Mullis, C. 1996. Golden eagle predation on domestic calves. Wildlife Society Bulletin, 24: 468-470. [17] 이보다 작은 새들은 너무 날쌔서 자주 노리지는 않는다. [18] 검은목두루미, 쇠재두루미, 캐나다두루미, 북미흰두루미 아성체 등. [19] 매목과 수리목 모두. [20] Watson, Jeff (2010). The Golden Eagle. A&C Black. ISBN 978-1-4081-1420-9. [21] Thompson, S.P., Johnstone, R.S. & Littlefield, C.D. 1982. Nesting history of Golden Eagles in Malheur-Harney Lakes Basin, southeastern Oregon. The Raptor Research Foundation, 16: 116-122. [22] 호랑이(중국, 연해주), 표범(중국, 연해주), , 늑대, 눈표범(몽골, 중국, 히말라야), 퓨마(북미), 재규어(멕시코) 등. [23] 보면 알겠지만 초반에는 쌍두독수리 도안이였다. [24] 여담으로 독수리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시절부터 사용되었다. 다만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시절에는 브란덴부르크의 상징색을 딴 빨간 독수리가 사용되었다. [25] 국방군은 국가의 군대, 즉 국군이니 국가수리를, 무장친위대는 당 소속의 군대이니 당을 상징하는 당수리를 쓴 것이다. [26] 파일:Bundesrat_Adler.svg.png
다만 독일 연방상원의 로고는 호리호리하다.
[27] 대충 '삐악 '내지는 '끼룩' 에 가까운 울음소리를 낸다. [28] 1위는 시속 389km의 송골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