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6:20

음차

훈차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음역(번역)
,
,
,
,
,

1. 개요2. 방식3. 경향과 양상
3.1. 언어별3.2. 고유명사
4. 이중음차 오류5. 비교
5.1. 번역과 번역 차용5.2. 음차 오류와 번역 오류5.3. 훈독 활용 (훈차)
6. 창작물에서의 음차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음차(, transliteration and transcription)는 외국어를 받아들일 때 그 소리(음)만 빌려(차) 자국의 문자 체계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apple'을 한글로 ' 애플'로 쓰듯이 영단어의 발음을 한글로 쓰는 것이 음차다.

순우리말을 한자로 나타내는 것은 음차이지만[1], 외국어를 한글이 아닌 한자로 나타내는 것은 음역이다.[2]

문자까지 통째로 갖고 오는 경우에는 음차라고 하지 않는다. 문자가 같은 경우에도 도착 언어의 표기 체계에 따라 수정한 경우에는 음차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국어화 참고. 상술했듯 외국어의 음을 한자로 나타낸 것은 음역(音譯)이라 한다.

2. 방식

음차의 방법에는 음성을 특정 규칙에 따라 문자화한 전사(轉寫, transcription)와 문자를 다른 문자 체계에 최대한 일 대 일로 대응시킨 전자(轉字, transliteration)가 있다. 한국어에서 외국어를 받아들일 때에는 한글이 완전히 다른 문자 체계이기 때문에 대체로 전사법을 사용한다.

3. 경향과 양상

사실 음차라고 해서 언제나 원음에 가까운 표기가 선택되는 건 아니고, 오히려 원음과 더 차이가 나는 표기가 선택되는 경우도 있다. 관습이 원음보다 더 우선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은 경우들이 있다.
  • 사실상 외래어 표기법의 일부인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에는 독일어에서 모음 또는 l 앞의 ng [ŋ]에는 ㄱ을 첨가하여 적는다는 규정이 있다. 그래서 독일어 Engels는 원음에 [ɡ] 발음이 없고 한글로 '엥엘스'(또는 '엥얼스')라고 더 원음에 가깝게 적을 수 있는데도 ' 엥겔스'로 적는다.
  • 한국인 이름의 로마자 표기의 경우, 한국어 발음과 한글 철자에서는 두음 법칙을 반영하지만 로마자 표기에서는 두음 법칙을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들은 '' 씨를 흔히 Lee로 적는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분명히 한글 철자도 '이'고 발음도 [이]인데도, 그리고 Yi 등 한국어 원음 [이]에 더 가까운 발음을 유도할 수 있는 철자가 있는데도,[3] 원음과 더 먼 발음을 유도하게 되는 Lee를 흔히 선택한다는 것이다.
  • 러시아어의 'щ'(발음 [ɕː])를 흔히 영어식 로마자 표기 방식으로는 'shch'로, 프랑스어식 로마자 표기 방식으로는 'chtch'로, 독일어식 로마자 표기 방식으로는 'schtsch'로 적는다. 로마자 표기만 보면 마치 [ʃt͡ʃ]처럼 발음되는 것처럼 보인다.[4]
  • 우크라이나어의 в는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 [w]~[u̯]로 발음되지만, 그런 경우에도 로마자 표기는 보통 v로 한다. 예를 들어 Київ의 발음은 [ˈkɪji]지만 로마자 표기는 Kyiv이다. v 대신 w 등을 쓸 수도 있는데 말이다.
  • 중국어에서는 영어 이름 John을 约翰(Yuēhàn)으로 적는다. 히브리어 יוֹחָנָן(Yohanan, 요한)을 约翰으로 음역한 걸 어원이 같다는 이유로 영어 이름 John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영어 John의 발음은 분명히 [d͡ʒɒn](영국식) 또는 [d͡ʒɑːn](미국식)인데도, 그리고 章(Zhāng) 등 영어 원음에 더 가깝게 적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도,[5] 영어 원음과 차이가 큰 约翰이 선택된다는 것이다. 한국어로 치자면 John McCain을 ' 존 매케인'이 아니라 '요한 매케인'이라고 하는 셈이다.

3.1. 언어별

언어의 권력에 따라 음차/번역의 비율이 달라진다는 주장이 있다. 차별의 언어(2018) 파급력이 강한 언어의 경우 인지도가 높으므로 음차로 도입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는 언어는 번역해서 들여오는 경우가 많다. 본문에서는 ' 스파게티'와 '( 쌀국수)'의 예를 들고 있다. 스파게티는 스파게티라고만 말해도 뭔지 알지만 베트남의 퍼는 퍼라고 하면 모르니까 한국어로 뜻풀이한 쌀국수라는 이름으로 불린다는 것. 그러나 꼭 그것만이 원인인 것은 아니고 도착 언어에서의 형태소의 의미 다양성, 곡용/활용의 복잡성, 역사적 연원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는 영어랑 같은 라틴문자를 쓰지만 음차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band( 밴드)를 각각 bändi(밴디)와 bänd(밴드)로 적는다든가, team()을 각각 tiimi(티미)와 tiim(팀)으로 적는다든가, loser( 루저)를 각각 luuseri(루세리)와 luuser(루세르)로 적는다든가. 과거에 예를 들어 스페인어에서 football( 축구)을 fútbol로, baseball( 야구)을 béisbol로 음차하는 일이 있었다.

같은 한자문화권인 한국이나 일본 계통의 명사나 이름의 경우는 한자 표기를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가 많으나, 한자로 바꿀 수 없는 고유어의 경우 상단의 외래어 음차 표를 따른다. 다만 일본 이름의 경우, 히라가나/가타카나 표기에서 해당하는 한자로 새로 창작해 표기하기도 한다.[6]
  • 한국어에서는 해방 이후 일본어 잔재 청산 등부터 시작해서 언어순화 운동이 정치, 사회적 세력을 지니고 있는 편이나, 실제 회화에서는 외래어가 차용되는 빈도도 꽤 높은 편이다. 특히 1990년대 이후로 럭키금성 LG로 사명을 변경하거나 선경그룹 SK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는 사례가 있었고, 언론계와 연예계에서도 일상용어도 외래어로 된 것을 쓰는 빈도가 높은 등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한자어 자체를 점차 낯설어하는 세대가 많아지다 보니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한자어를 외래어 음차로 바꾸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상기한 일본어 잔재 청산을 위한 언어순화를 명분으로 한자어나 일본어 유래의 외래어를 서양권 언어의 음차 표현으로 교체하는(결국은 한자어나 외래어를 또 다른 외래어로 교체하는 것이니 제대로 된 언어순화는 아니다) 사례도 적지 않다.
  • 일본어에서는 음차를 굉장히 많이 한다. 그러나 폐음절이 적고 음절문자라는 가나의 특성에 이이토코토리(良いとこ取り, 좋은 것은 기꺼이 취한다)까지 덧붙여져 원어와는 다르게 변하는 경우가 많아 ' 가타카나 영어' 같은 말도 있다. 일본어/역사 문서 및 귀축영미 문서에 따르면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 시기에 '적성어'(敵性語, 적성국의 언어)라고 서구 외래어를 한자나 고유어로 강압적으로 순화했던 것의 반작용이라고 한다. 과거에 한자로 음역했던 단어들까지 가면 갈수록 가타카나 음차로 바뀌는 것을 보면 한자가 어려워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 중국어 한자라는 문자 체계상의 특징으로 음차를 잘 쓰기 힘들며, 심지어 고유명사까지도 어떻게든 한자어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중국식 표기 등을 참조하면 좋다. 음차할 때 주로 쓰는 글자는 한국 외래어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언어별로 약간 다른데, 영어 기준의 표는 이곳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경우는 대충 발음이 비슷한 한자를 갖다 붙이는 것이기에 뜻을 해석하면 개판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한자를 사용하는 지명은 그대로 읽는다. 예를 들어 타키카와역은 한자로 '滝川'인데, 한자를 중국식으로 읽어 '롱촨'으로 발음한다.

3.2. 고유명사

고유명사는 번역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애플은 일반명사로 '사과'를 뜻할 수 있지만, iPhone iPad를 만드는 회사인 ' 애플'은 고유명사이기 때문. 예를 들어 '나는 사과를 한 입 깨물었다'라는 문장을 '나는 애플을 한 입 깨물었다'라고 바꾸는 건 일반 명사를 마음대로 바꾸는 이상한 행동이다. 마찬가지로 '나는 애플 제품을 구입하였다'라는 문장을 '나는 사과 제품을 퍼처스 하였다'라고 하는 것도 괴상한 번역이다.

한편 고유명사의 음차를 해야 한다는 관점이 한국에서 정론이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과거에는 고유명사라고 무조건적으로 음차를 하거나 하진 않았다. 음차는 의미 정보를 날리고 소리만을 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유명사여도 뜻을 전달하기 위해 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Snow White라는 이름이 백설공주로 번역된 것이 좋은 예다.

어떤 것이 고유명사인지 알기 어려운 때도 있다. 예컨대 WoW의 지명 중 하나인 '칼날주먹 만'은 사실 카르가스 블레이드피스트의 이름을 딴 것이어서 고유명사의 일종이다. 그런데 또 생각해 보면 오크는 영어를 쓰지 않는다는 설정이므로 톨킨의 지침처럼 'bladefist'라는 영어 표기는 단순히 중간언어일 뿐이고, "칼날주먹 카르가스"라고 하는 게 맞을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배경이나 심지어 이야기의 전개까지도 도착 언어의 상황에 따라 바꾸게 되면 번역을 넘어 번안(飜案)이 된다. 구한말 서구 문물 유입기에는 조선의 현 상황과 서구의 이야기가 너무나 달랐기 때문에 번안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오병이어의 기적은 당연히 '빵'과 '물고기'지만 구한말에 천주교가 전파되었을 당시에는 빵이 '떡'으로 번안되었다.

4. 이중음차 오류

중역의 폐해와 비슷하게 음차 역시 한 다리 걸쳐서 일어나는 경우 원음이 크게 변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 사례가 벌어지는 십중팔구의 원인은 음운의 개수가 적은 일본어가 끼어들면 발생한다. 즉, 다른 언어→일본어→한국어의 순서를 거치면서 일본어 음차만 보고 번역하다 보니 원음을 알아차리기 힘들어지는 것. 원문 작가가 순수 창작한 단어거나 작가의 착각에 기인하여 변형된 단어가 아닌 이상 가타카나 표기 그대로 인터넷 검색만 해보아도 그 기원과 본래의 스펠링을 알 수 있는 단어가 상당수이지만, 실제로 그조차 하지 않는 번역자가 많은 것인지 수많은 오류가 발생하곤 한다. 일본식 외래어 표기 오류 수정에서 비슷한 사례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의 경우 근대 시기에 서양문물을 일본을 통해 받아들인 데다가 광복 이후로도 1990년대 이전까지도 해외서적을 번역할 때 일본서적을 참고하거나 일본어판 책을 중역하는 일이 다반사였던지라 음차 역시 일본어식 음차를 또다시 음차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본어의 신통찮은 서양 언어 표기법 및 재플리시 때문에 일본어로 적힌 서양식 이름을 중역하는 과정에서 이름이 일본식 음차로 둔갑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 반대로 일본식 영어표기에서 ''[7]나 'ム' 등을 무조건적으로 앞 음절의 받침으로 섭입시켜 오역하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받침 'ㄱ'과 독립음 '그'/'크'/'구'/'쿠'를 모두 '쿠(ク)/구(グ)'로 발음&표기하며, 받침 'ㄷ'소리를 '도'/'토'로 구분하여 발음&표기하므로, 원음을 모르고 일본어만 아는 번역자는 그 원형태를 구분해내지 못한다.
  • 동화 파랑새의 'Tyltyl'과 'Mytyl'이 '틸틸'과 '미틸'로 옮겨지는 대신 'チルチル/치르치르'와 'ミチル/미치르'로 옮겨진 것.
  • '알카드'로 오역된 アルカード(Alucard)와 '알케인'으로 오역된 G アルケイン(arcane) 그리스어 '케르베로스(kerberos)'가 한국에서 '켈베로스'로 알려진 것 역시 그 일본 발음 '케루베로스(ケルベロス)'에서 '루'를 기계적으로 받침 'ㄹ'로 인식한 번역자의 게으름 때문이다. 은영전 을지판의 인명&지명은 빠짐없이 이 수난을 당했다.
  • '수리수리 마수리'에 해당하는 독일어 주문 '호쿠스 포쿠스 피디부스(hokus pokus fidibus)'가 <은하영웅전설>의 을지판과 서울판에는 모두 '혹스폭스 휘집스'라 되어 있는데, 이는 다나카 요시키가 쓴 가타카나 '호쿠수 포쿠수 치지부스(ホクス ポクス チジブス)'에 대해 번역자들이 원음을 고찰하지 않은 채 '쿠'는 받침 ㄱ으로 넣고 '치'를 '휘(f발음)'로 읽고 '부'를 받침 'ㅂ'으로 넣는 기계적인 번역을 따른 탓이다.
  • 창룡전》에서는 카를 오르프의 성악곡 <카르미나 부라나(carmina burana)>도 '부(ブ)'는 무조건 받침 'ㅂ' 아니면 '브'로 바꾸는 오버센스를 발휘하여 '카르미나 브라나'로 번역했다.
  • 마계마인전( 로도스도 전기)》에서 '서클렛(circlet)'의 일본음 '사쿠레토(サクレト)'를 '사크레트'로 번역한 것과, <청소년을 위한 북유럽 신화>에서 '가름(Garm)'의 일본음 '가루무(ガ"ル"ム)'를 '갈므'로 번역한 것이다. 'ル'가 두 개나 들어간 묠니르가 완전 반대인 '묘르닐'로 둔갑하는 거나 총기회사 및 인명 발터(Walther)를 '와루사' 또는 '왈샤'로 번역하는 것은 이미 고전이 되었다.]
  • 원피스》에서는 이를 피한 경우와 못한 경우가 혼재되어 있다. 몇 가지 예시를 들자면 볼사리노의 경우 해당 캐릭터 이름을 이탈리아 남성 브랜드 ' 보르살리노(Borsalino)'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에 저렇게 번역하는 게 옳다. 비브르 카드의 경우 정발판이 옳게 번역한 케이스로 프랑스어 '비브르(Vivre)'를 제대로 번역했고, 인터넷에서 '비블 카드'로 잘못 음차되는 경우가 많았다.

묘하게 덕국어를 사랑하는 일본에서 제작된 매체가 국내로 들어오는 경우에 일본 특유의 발음과 더불어 해당 단어의 원음을 모르는 일본어 번역자가 해당 단어를 다르게 읽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하지만 관련 팬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여 널리 퍼진 시점에서는 이를 바로잡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이 부분에 대해선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중 음차는 아니지만 이중 음차 비슷하게 된 것이 은하영웅전설이다. 원작자가 원어 표기법까지 모두 고려해 놓은 것 같고, 번역자도 독일어 읽기에 대한 지식이 있었는지, 웬만한 지명이나 인명은 몇몇 오류를 빼면 90년대 초반에 나온 을지문고본에서도 그럴듯하게 번역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애초에 여기서 번역 오류로 지적하는 것은 인명과 지명뿐이다(일본어 저자가 쓴 글을 저본으로 한국어 역자가 번역한 것이니 중역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는 외국어 인명사전에서 이름을 차용해서 사용했고, 그 이름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식으로 가타카나를 써서 표기를 했다. 따라서 해당 인명에 대한 원어식 철자는 존재하나, 저자가 굳이 이를 작품 내에 표기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가타카나식 이름만 전해져 왔고, 역자는 이를 유사한 영어나 독일어 식 이름으로 쓴 것뿐이다. 그래서 일본에서 사용하는 식의 인명이 많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현재 이타노 판에서 '발터 폰 셴코프'로 되어 있는 인명은 원저에서 '월터 폰 쉔코프(의 가타카나)'로 되어 있고, 을지판은 이를 그대로 '월터 폰 쉔코프'로 사용했다. 이는 그 뒤의 원저에 쓰여 있는 것을 원래 독일식 이름을 사용했다고 반영하여 '발터 폰 셴코프'로 다시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어찌 보면 원작에 있는 말을 바꾼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성경 중에서 특히 개역한글판/개역개정판은 히브리어/ 고전 그리스어 라틴어 영어[8], 중국어 한국어 중역을 거치면서 고유 명사와 표현의 경우 원어와의 괴리감이 상당히 커졌다. 헬라의 도시 파포스(터키어로는 바프)가 바보(...)로 표기된 것도 이러한 산물. 거기다가 한국어의 변화와 한국 사회의 변화가 성경에 반영되지 않음으로써 괴리감이 더 켜졌다. 성경의 한국어/영어 발음 차이 참조.

국명 중에서 자신들이 쓰는 자칭(endonym)이 아닌 타칭(exonym)은 과거에 이러한 음차에 음차를 거듭해서 와전되는 경우가 많았다. 아무래도 바로 이웃한 국가들끼리 주로 교류하다 보니 멀리 떨어진 나라에서는 중간 국가를 통해서만 이름을 전해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영어 명칭 'Japan' 역시 日本이라고 적었던 것을 당시 중국 발음으로 파찰음으로 읽었던 것이 세계적으로 전파된 예이다. 오늘날에는 "벨로루시가 아니라 벨라루스로 불러주세요"라고 요청하는 등 그나마 자칭에 가까운 음으로 바꾸는 홍보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편, 해당 언어에서도 외국어로서 음차한 게 아니라 외래어로 굳어진 것이면 해당 언어(외래어)로 보아도 무방하므로 본래의 언어를 따를 필요가 없다. 그 예로 태풍 이름으로 일본에서 제출한 'コンパス'는 일본 측에서 일본어 단어 가운데 하나로서 제시한 것이므로 굳이 영어 'compass'의 발음을 따라갈 필요는 없고, 한국에서도 ' 곤파스'로 음차했다. 로마자로도 그래서 'COMPASS'가 아닌 'KOMPASU'로 썼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 비교

5.1. 번역과 번역 차용

만약에 '사과'라고 한다고 하면 일반적인 '번역'(translation)이다. 한편 도착 언어에 대응되는 표현이 없어서 의미를 가져와서 말을 만드는 경우에는 ' 번역 차용'(loan translation, calque)이라고 한다.[9]

5.2. 음차 오류와 번역 오류

음차 오류를 '번역 오류', ' 오역'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왕왕 보인다. 예를 들어 얼음과 불의 노래 국내 번역본에는 분명히 수많은 오역이 존재하지만 'Jaime'를 ' 제이미'가 아닌 '자이메'로 옮긴 것 등은 음차 오류이고 번역 오류는 아니다. 해리 포터 시리즈의 'Hermione'를 '헤르미온느'로 옮긴 것도 이 예이다.

5.3. 훈독 활용 (훈차)

한자의 특성상 글자에 뜻도 같이 붙어있기 때문에 한자 문화권에서는 이를 음차에 이용하기도 했다. 훈독을 이용하는 음차이므로 '훈차'라고도 한다. 이 가운데에서도 뜻을 잘 반영하면 ' 훈독자'(訓讀字)라 하고, 그냥 훈의 음만을 사용한 것이면 '훈가자'(訓假字)라고 한다.

고대 한국어를 복원하는 중요한 소재다. 지명의 경우 '새말'-'신촌(新村)', '길동'-' 영동(永同)' 등이 예. 그리고 삼국사기 지리지를 보면 고대 지명에는 벌(伐), 부리(夫里), 화(火), 로 끝나는 지명이 많은데 이 중 '벌'이나 '부리'는 벌판을 의미하며, '벌'과 '불'로 발음이 비슷한 불 화(火) 자는 한글이 없던 삼국시대에 벌판을 표기하기 위해 훈차에 흔히 쓰인 한자다. 예를 들어 대구광역시를 고대에 달구벌이라고도 했고 달구화라고도 했는데 음차냐 훈차냐 차이지 둘 다 같은 곳이다.

인명 역시 삼국사기에는 백성군 사산에서 사는 사람인 ' 소나(素那)'를 '금천(金川, 쇠내)'이라고도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10], 이처럼 같은 인명을 다르게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고대 인물 사이에도 따로 적었을 뿐인 동일 인물인가 하는 주장이 제기되는 인물이 있다. 견훤의 아들 '금강'-'수미강'이 대표적. 다만 이 방식은 신라 경덕왕 이후에 지명이 대부분 중국식으로 바뀌었다. 그래도 경덕왕이 한 번에 해치운 것은 아니고 고려시대~조선시대 동안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경덕왕 문서의 보성군 부분을 참조하면 나오듯 중국식이라고 해서 완전히 뜬금없는 형태로 바꾼 것은 아니고 나름대로 고유 음과 의미 양쪽을 모두 챙겼거나 그러려고 노력한 게 대부분이다.

그리고 지명 외에 인명도 고대에는 음차가 많았다. 현대인이 이해하기 쉬운 것이 ' 거칠부(居柒夫)'인데, '거칠부'를 다른 이름으로 '황종(荒宗)'이라고도 했다. '황(荒)'은 당시에나 지금이나 똑같이 거칠다는 의미고, '종(宗)'은 부(남자)에 해당하는 말이다. 곧 '거칠부'의 '거칠'은 고대 한국어를 의미에 관계없이 소리가 같은 한자들로 쓴 것이며,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거칠부라는 이름의 의미는 울'보', 먹'보'를 이은 \'거칠보'. 신라 터프가이.

이는 중앙귀족급은 신라 중대쯤부터, 지방 호족급은 고려 초기부터 현대 한국인과 비슷한 중국식 작명법으로 바뀌었다. 고려 광종이 과거 제도를 시행한 것이 컸는데,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선 성명을 기재해야 했기 때문. 단 비교적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순우리말을 음차한 것으로 보이는 단어들은 조선시대까지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훈몽자회에는 자음들이 초성과 종성에 쓰인 예를 각각 모음 'ㅣ'와 'ㅡ'로 음차해서 적었는데, '읃'과 '읏'의 음이 같은 한자가 없어서 비슷한 발음을 찾아 '末', '衣'로 훈차하여 '귿'과 '옷'이 되었다. '윽'도 같은 이유로 소리가 비슷한 '역'이 되었는데, '역'은 그냥 음차한 경우이다.

일본어의 훈가자는 대개 홋카이도 쪽의 아이누어 지명에 많다( 일본어의 훈독자는 ' 훈독' 문서에 있다). ' 室蘭(무로란)'은 "작은 내리막을 내려온 곳"이라는 뜻의 '모 루에라니'가 유래인 말이지만 '室(しつ)'의 훈인 '무로(むろ)'가 쓰였다. '室'의 뜻과는 아무 상관없이 다른 말을 적으려고 쓴 것이다. 일본어가 기준으로 음/훈이 이미 나눠진 상태로 아이누어를 토대로 훈을 추가하기도 그렇고, 음독만을 쓰려니 3~5 글자로 길어져서 훈독을 활용한 것 같다. 만약 여기에 숙자훈을 적용했으면 '小坂下'로 적고 'モルエラニ(모 루에라니)'로 읽을 수도 있었을 듯.[11]

다른 예로 ' 바카(馬鹿)'의 '카'('鹿'의 훈인 '시카'의 '카')도 훈차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6. 창작물에서의 음차

양판소나 게임에서 배경이 서구식의 판타지인 경우 아무래도 그 세계관을 잘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가 ' 드래곤'[12]이나 ' 매직' 같은 식으로 영어 음차를 나타내는 것이라 그런지 음차가 자주 등장한다. 일본 작품에서는 그런 경향이 더 심해서 갑자기 프랑스어 독일어 음차가 등장하는 경우도 많고, 여러 언어가 뒤섞여있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같은 의미라고 하더라도 우리말 단어로 쓰면 촌스럽고 외국어 단어로 쓰면 뭔가 있어보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가 잦았다는 것. 초창기 국내 게임업계에는 이러한 언어사대주의적 인식이 팽배해 있었다. 원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게임인 바람의 나라에 ' 헬파이어'라는 기술명이 나왔던 것은 이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러한 현상은 2000년대 중후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가 영어 음차를 버리고 한자어 혹은 순수 한국어 조어로 번역하는 방식을 택하고 해당 방식이 대유행하면서 트렌드가 바뀌게 된다. 단 워크래프트 3의 경우 한국어판이 나왔으나 일부 예외[13]를 제외하면 음차로 나왔다. 반면 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는 완역으로 출시했다.

국내 게임에서는 테라가 전형적인 서구 판타지를 배경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각종 지명이나 기술명들을 음차하지 않고 우리말 단어로 훌륭하게 대체하여 호평을 받았다. 이후 아키에이지 검은사막도 이러한 행보를 이어가며 국산 판타지 게임의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다.

레드얼럿 2의 경우에도 한국어 더빙까지 해준 영향인지 음차보다는 번역을 더 많이 했다. 'war miner'는 ' 전투 굴착기'가 되는 식. 그랜드 캐논과 같이 음차가 된 것도 이따금 있다.

보통 정식발매가 되는 경우에는 한글로 음차라도 해주는 게 일반적이지만 배틀렐름과 같은 경우에는 아예 유닛 이름 등을 모두 로마자 그대로 표기하기도 했다.

6.1.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음차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타크래프트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스타크래프트 정식 발매판에 동봉된 사용자 설명서에는 유닛과 건물 등 고유 명사에 대한 한국판 공식 명칭이 존재했었다. 다만, 이때는 현재와는 달리 음역을 한 케이스와 번역을 한 케이스가 혼용된 형태였는데, 예를 들어 Marine은 해병대로 번역하였고, Firebat은 파이어뱃으로 음차하였다. 다소 일관성은 떨어졌을지언정 당시에도 한국식 공식 명칭 자체는 존재 했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실제 게임 본편은 영문판으로만 수록되었고, 한국에선 PC방을 통해 게임 본편 만을 접한 케이스가 많았기에 이 사실이 알려지진 않았다. 또한, 스타리그 같은 게임 중계 방송에서조차 사용자 설명서의 표기를 따르지 않았던 것도 공식 명칭이 보급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유저마다 부르는 명칭이 달라질 소지가 생겼기에, 통일성이라는 암묵적인 합의로 영어 발음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다. 물론 이와는 별개로 당시에는 영어는 음차하는 것이 보편적인 시절이었다는 점도 있었다.

한국 유저들 사이의 암묵적 합의에 따른 것이어서 ' archon' 같은 경우 '아콘/아칸'으로 갈렸다. 마찬가지로 ' 럴커/러커'처럼 좀 갈리는 예도 있고, ' 마린'이나 ' 질럿'처럼 실제 영어 발음과는 조금 멀어진 예도 있다.

이는 정말 암묵적인 합의에 따른 것이어서 'citadel of Adun'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단어는 ' 아둔의 성지[14]'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infested terran' 같은 경우는 음차하면 ' 인페스티드 테란'인데 워낙에 길고 복잡하다 보니 거의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고 '자폭맨'이나 '감염된 테란, 감테' 등으로 불렀다.

이후 동일 제작사 작품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로 고유명사 완역에 대한 한국인들의 심리적 거부감을 줄이고, 이 기조를 따라 스타크래프트 2도 완역하는 형태로 출시되었다. 스타크래프트 2는 저글링과 -리스크 돌림자 유닛들(히드라리스크, 뮤탈리스크, 울트라리스크 등)을 제외하면 완역으로 나왔다. 다만, 완역 자체에 대해선 와우로 어느 정도 내성이 생기긴 했지만, 스타크래프트는 그 이상으로 오랜 기간동안 사용된 음차에 너무 익숙해진 탓에 게이머들이 반발하기도 했고, 스타2 리그의 캐스터와 해설자들도 새로운 명칭이 입에 붙지 않아서 초기에는 기존 명칭과 혼용하여 중계하기도 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에서는 완역/음역[15]을 둘 다 지원하고, 더빙까지도 두 종류로 나눠서 했다. 음역판은 한국 스타크래프트 유저의 취향을 반영하고 있는바 그러한 합의를 상당수 따랐다. 앞서 말한 'archon'은 현 블리자드 코리아 프로토스어 고유명사 음차 표기에 따르면 '아르콘'이 맞으며[16], 영어로서도 '아칸/아컨'이지 [o\]로 발음되지는 않지만 한국에서 '아콘'이 흔히 통용되기에 '아콘'이라고 하였다. 한편 'supply depot'을 ' 서플라이 디팟'이라고 하던 것과 같은 음역 오류는 고쳐져있다.

6.2. 톨킨 지침

J. R. R. 톨킨의 저서는 작가 본인이 번역지침을 두었기 때문에 불가피한 것이나 특별히 음차할 것을 지정한 것[17] 외에는 음차를 거의 하지 않는다. 자신의 이야기는 그 세계의 일을 영어로 번역한 것일 뿐이라는 설정이므로, 굳이 중간 언어에 불과한 영어의 음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 한국에서는 그런 것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톨킨 저작이 대중화되기 전에는 매우 어색하게 여겼다.

톨킨의 저작과 함께 이를 상당히 일소한 것으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번역지침(사실 이것도 톨킨식 지침의 연장선이다)을 들 수 있다. 이전까지 음차하던 관습을 과감히 버리고 한국어 조어로 옮겼다. 반발이 꽤 있었지만 사용자들은 익숙해졌고, 오히려 국산 게임이 음차를 하고 있는 현실에 충분히 큰 충격을 주어 이후로 고유어나 한자어를 사용하는 게 보편화되었다.

7. 기타

  • 음차는 ' 음역'이라고도 하지만 의역(意譯)은 이들 단어와 완전히 뜻이 다르다. 위에서 말한 번역, 번역 차용, 음차는 어휘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이야기지만, 의역 직역과 맞대응되어 번역의 방식과 관련된 것이다.
  • 동아시아에서는 고유 문자가 없던 시절 고유어를 한자로 표기하는 일이 많았는데, 이는 음을 빌려온 게 아니라 글자를 빌려온 것이므로 '차자(借字) 표기'라고 한다.

8. 관련 문서



[1] 이 원리로 후술한 훈차도 생겼다. [2] 표준국어대사전 "음역2(音譯) 명사「1」언어 한자음을 가지고 외국어의 음을 나타내는 일." [3] 실제로 Yi라는 표기는 19세기 종반~20세기 초반부터 쓰였다. 예: 독립신문 니건하 Yi Kön Ha, 니한용 Yi Han Yong [4] 사실 러시아어에서 щ의 발음은 원래 [ɕt͡ɕ\]였으나 현재는 [ɕː\]로 변했는데, 옛 발음에 기반한 로마자 표기 방식들이 지금도 쓰이는 것이다. 아무튼 현대어의 발음을 반영하지 않는 표기 방식들이라 하는 점은 다름없다. 현대어 발음을 기준으로 한다고 하면 영어식 'ssh' 또는 'shh', 프랑스어식 'chh', 독일어식 'ssch' 또는 'schh' 이런 식으로 적을 수 있을 것이다. [5] 章이라는 표기는 이 음역표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6] 예를 들면, 히나기쿠 - 雛菊, 카즈사 - 和纱, 마시로 - 真白, 하루히 - 春日, 이치고 - 莓, 카구야 - 辉夜, 우루카 - 潤香 등. 다만 이를 읽을 경우엔 중국식 독음으로 읽는다. [7] ル로 끝나는 단어의 음차 양상은 ル 문서에 정리돼 있다. [8] ASV 영어 성경 [9] 근대 서구 학문 유입기에 일본에서 만들어낸 일본식 한자어 역시 번역 차용에 속한다. [10] 원문은 "素那(或云金川)白城郡蛇山人也", 해석하면 '素那(또는 '金川'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 예문은 고등학교 1학년 국어2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11] 일본에서 '小坂下'로 적는 지명이 실제로 있는데, 지역에 따라 'こざかけ( 사이타마)'/'こざかした( 아키타)'/'こさかか( 니가타)'/'おさかしも( 시즈오카)' 네 가지로 다르게 읽는다. [12]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드래이지만, 이렇게 표기한 예는 거의 없다. [13] 'Medallion of Courage'는 '용기의 메달'로 번역되었다. [14] 아둔의 성지 항목에서도 나오는 사항이지만 오역이다. 아둔의 '성채'가 옳다. [15] 본디 음역은 한자로 음차한 경우를 가리키는 용어이나 당작에서 '음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에 본 문서에서도 인용으로써 그대로 적는다. [16] 라틴어 그리스어 한글 표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엑스컴 2에서 같은 단어를 '아르콘'이라고 음차하였다. [17] 작중 호빗 등 주인공이 어색하게 느끼는 표현은 주인공이 제대로 알아듣는 말이 아니기에 외국어의 느낌이 나도록 음차할 것을 주문하고 있고, 복잡한 성씨의 변천사나 이름의 의미를 나타내는 사물(대표적으로 특정 문화권에서만 자라는 꽃)의 현지화는 하지 않아도 용인한다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