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04:00:10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1. 개요2. 특징3. 규정
3.1.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3.2. 제2장 표기 일람3.3. 제3장 표기 세칙
4. 87년 표기법과 달라진 점5. 02년 표기법과 달라진 점6. 기타 용례
6.1. 지하철 역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1. 개요

1987년 문교부 편수자료로 마련된 한국어 가나(문자)로 쓰는 표기법이다. 1980년대 한국 정부는 일본의 매체에 한국 관련 고유명사를 일본식 독음 아닌 한국어 원음대로 표기할 것을 요구했는데, 일본의 외래어 표기법은 물론 한국에서조차 한국어 명사를 가나로 표기할 규정이 전무했었다. 그리하여 문교부에서 교과서 편수자료로서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을 공고한 것이다.

행정규칙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달리 행정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구속력이 작다. 물론, 완전히 묻힌 것은 아니고 서울시 외국어 표기 기준 등 자체적인 표기 기준의 바탕으로 인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까도 말했듯이 행정 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구속력이 없어 규정이 완전히 준수되는 것은 아니다.[1][2]

초기 문서는 1987년 마련된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에 기준하여 적었으나,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개정이 이루어져,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 교과서 편수자료로서 다시 나오게 되었고, 2009개정교육과정 편수자료로 이어져왔으나,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일부 개정이 이뤄져 교육과학기술부 편수자료로서 재공고되었기 때문에 이에 맞춰 수정을 하였다.

자세한 규정은 2015개정교육과정 일본어 편수자료를 참고 바람. 아래에서 간단히 설명하겠지만 전문(前文)과 후문에 개정 이유 및 개정된 내용에 대해서도 기술되어있다.[3]

2. 특징

1987년에 마련된 탓에, 당시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이나 1984년 고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처럼 평음의 유/무성음 구분을 하여 가타카나로 적는다. 다시 말해, 어두의 ㄱ, ㄷ, ㅂ은 각각 カ행 タ행 パ행으로 적는다. 단, 해당 원칙에 의해 변별성이 사라지는 성(姓)과 지명 등 고유 명사의 경우 구별하여 적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는 로마자처럼 어깻점(')을 적을 수 없는 가나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약간의 융통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002년 개정 이후로 일본의 외래어 표기법을 참고하는 등, 더욱 융통성 있게 바뀌었다.

규정에 따라 고유명사의 한자를 병기할 수 있는데, 이때의 한자는 한국식 정자(正字)로 적는다. 보통 명사일 경우 일본식 한자로 적는다.

3. 규정

여기에선 기존의 내용 중 달라진 부분만 수정하였기 때문에 원 규정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규정 참고 바람.

3.1.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대로 적는다.
제2항 표기는 가타카나로 한다.
제3항 가나 문자는 음절 문자이므로 음절 단위로 적되, 국어의 '자음+모음' 음절은 두 박(mora)이 넘지 않게, 받침은 한 박이 넘지 않게 적는다.[4]

3.2. 제2장 표기 일람

제1항 모음 음절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표1] 모음
어, 오 우, 으 애, 에
ウェ ウィ
여, 요 얘, 예 왜, 웨
イェ ウェ ウォ ウィ
  • 보기
    안동 アンドン / 완도 ワンド / 예산 イェサン

[붙임]: 1.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イ’로, 조사의 '의'는 'エ'로 적을 수 있다.
  • 보기
    의정부 ウィジョンブ / 여의도 ヨウィド(ヨイド) / 우리의 ウリウィ(ウリエ)

제2항 '자음+모음' 음절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표2] 파열음 및 파찰음
자음\모음
ㄱ, ㅋ, ㄲ カ(ガ) コ(ゴ) コ(ゴ) ク(グ)
ㄷ, ㅌ, ㄸ タ(ダ) ト(ド) ト(ド) トゥ(ドゥ)
ㅂ, ㅍ, ㅃ パ(バ) ポ(ボ) ポ(ボ) プ(ブ)
ㅈ, ㅊ, ㅉ チャ(ジャ) チョ(ジョ) チョ(ジョ) チュ(ジュ)
자음\모음
ㄱ, ㅋ, ㄲ ク(グ) キ(ギ) ケ(ゲ) ケ(ゲ)
ㄷ, ㅌ, ㄸ トゥ(ドゥ) ティ(ディ) テ(デ) テ(デ)
ㅂ, ㅍ, ㅃ プ(ブ) ピ(ビ) ぺ(べ) ぺ(べ)
ㅈ, ㅊ, ㅉ チュ(ジュ) チ(ジ) チェ(ジェ) チェ(ジェ)
자음\모음
ㄱ, ㅋ, ㄲ クェ(グェ) クィ(グィ) キャ(ギャ) キョ(ギョ)
ㄷ, ㅌ, ㄸ トェ(ドェ) トゥイ(ドゥイ) テャ(デャ) テョ(デョ)
ㅂ, ㅍ, ㅃ プェ(ブェ) プィ(ブぃ) ピャ(ビャ) ピョ(ビョ)
ㅈ, ㅊ, ㅉ チェ(ジェ) チ(ジ) チャ(ジャ) チョ(ジョ)
자음\모음
ㄱ, ㅋ, ㄲ キョ(ギョ) キュ(ギュ) キェ(ギェ) キェ(ギェ)
ㄷ, ㅌ, ㄸ テョ(デョ) テュ(デュ) ティエ(ディエ) ティエ(ディエ)
ㅂ, ㅍ, ㅃ ピョ(ビョ) ピュ(ビュ) ピェ(ビェ) ピェ(ビェ)
ㅈ, ㅊ, ㅉ チョ(ジョ) チュ(ジュ) チェ(ジェ) チェ(ジェ)
자음\모음
ㄱ, ㅋ, ㄲ クァ(グァ) クェ(グェ) クォ(グォ) クェ(グェ) キ(ギ)
ㄷ, ㅌ, ㄸ トァ(ドァ) トェ(ドェ) トゥオ(ドゥオ) トェ(ドェ) ティ(ディ)
ㅂ, ㅍ, ㅃ プァ(ブァ) プェ(ブェ) プォ(ブゥ) プェ(ブェ) ピ(ビ)
ㅈ, ㅊ, ㅉ チャ(ジャ) チェ(ジェ) チョ(ジョ) チェ(ジェ) チ(ジ)

[붙임] 1. 예사소리가 어중의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화하면 [표 2]의 ( ) 안과 같이 적는다.
  • 보기
    경기 キョンギ / 분당 プンダン / 제주 チェジュ

[붙임] 2. '계, 뎨, 볘(폐)'는 발음에 따라 'ケ(ゲ), テ(デ), ペ(ベ)’로 적을 수 있다.
  • 보기
    계룡산 キェリョン山(ケリョン山) / 한계령 ハンギェリョン(ハンゲリョン) / 폐백 ピェベク(ペベク)

[표3] 마찰음
자음\모음 ㅓ, ㅗ ㅜ, ㅡ ㅐ, ㅔ
ㅅ, ㅆ スェ スィ
フェ フィ
자음\모음 ㅕ, ㅛ ㅒ, ㅖ ㅙ, ㅞ
ㅅ, ㅆ シャ ショ シュ シェ スァ スォ スェ
ヒャ ヒョ ヒュ ヒェ ファ フォ フェ

[붙임] 1. '셰, 혜'는 발음에 따라 'セ, ヘ’로 적을 수 있다.
  • 보기
    민혜 ミンヒェ(ミンヘ) / 혜성 ヒェソン(ヘソン)

[표4] 비음 및 유음
자음\모음 ㅓ, ㅗ ㅜ, ㅡ ㅐ, ㅔ ㅕ, ㅛ
ミャ ミョ
ニャ ニョ
リャ リョ
자음\모음 ㅒ, ㅖ ㅙ, ㅞ, ㅚ
ミュ ミェ ムィ ムァ ムォ ムェ
ニュ ニェ ヌィ ヌァ ヌォ ヌェ
リュ リェ ルィ ルァ ルォ ルェ

[붙임] 1. '몌'는 발음에 따라 'メ'로 적을 수 있다.
  • 보기
    몌별(袂別) ミェビョル(メビョル)

[붙임] 2. '자음+ㅘ'는 [표 2], [표 3], [표 4]와 같이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 'クヮ'등과 같이 'ァ' 대신에 'ヮ'를 덧붙여 적을 수 있다.
  • 보기
    광주 クァンジュ(クヮンジュ) / 봉화 ポンファ(ポ[5]ンフヮ) / 황해 ファンヘ(フヮンヘ)

제3항 폐음절인 받침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받침 ㄱ, ㅋ, ㄲ, ㄳ, ㄺ ㄼ, ㄿ, ㅂ, ㅄ, ㅍ ㄷ, ㅌ, ㅈ, ㅊ, ㅅ, ㅆ, ㅎ ㅁ, ㄻ ㄴ, ㄵ, ㄶ, ㅇ ㄹ, ㄽ, ㄾ, ㅀ
대표음 n, ŋ l
표기
[붙임] 1. 받침의 표기에 사용하는 가나 문자는 작게 적을 수 있다.
  • 보기
    속초 ソクチョ(ソㇰチョ) / 합천 ハプチョン(ハㇷ゚チョ) / 김해 キムへ(キㇺへ) / 달성 タルソン(タㇽソ) / 장산곶 チャンサンゴッ[6](チャゴッ)

3.3. 제3장 표기 세칙

  • 제1항
    어두의 파열음과 파찰음의 예사소리는 무성음[淸音]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되, 고유 명사와 같이 어두음의 예사소리와 거센소리를 구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표기 목적 및 관용에 따라 유성음[濁音]으로 적을 수 있다.
    • 청주: チョンジュ
      정주: チョンジュ(ジョンジュ)
    • 천경자: チョン・ギョンジャ
      전경자: チョン(ジョン)・ギョンジャ
    • 추미란: チュ・ミラン
      주미란: チュ(ジュ)・ミラン
    • 편호진: ピョン・ホジン
      변호진: ピョン(ビョン)・ホジン
  • 제2항
    받침 소리가 연음(다음 음절의 초성화)되는 경우에는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 (1) 받침 소리가 모음과 결합되는 경우
      • 안양[아냥]: アニャン
        설악[서락]: ソラク
        담양[다먕]: タミャン
        백암[배감]: ペガム
        읍애리[으배리]: ウベリ
      • 옷 안[오단]: オダン
        낱알[나달]: ナダル
        부엌 안[부어간]: プオガン
    • (2) 'ㄱ, ㄷ, ㅂ, ㅈ'이 'ㅎ'과 어울려 나는 소리
      북한[부칸]: プカン
      낙화암[나콰암]: ナクァアム
      묵호[무코]: ムコ
      집현전[지편전]: チピョンジョン
  • 제3항
    'ㄱ, ㄲ, ㅋ' 받침 다음에 'ㄱ, ㄲ, ㅋ' 초성이 오면 'ッ'로 적는다.
    • 역곡: ヨッコク
      옥구: オック
      석관: ソックァン
      북가좌: プッカジャ
  • 제4항
    'ㅁ' 받침 다음에 'ㅁ, ㅂ, ㅃ, ㅍ' 초성이 오면 'ン'으로 적는다.
    • 남문: ナンムン
      남부: ナンブ
      김포: キンポ
      삼포: サンポ
  • 제5항
    ‘ㅂ, ㅍ’ 받침 다음에 ‘ㅂ, ㅃ, ㅍ’ 초성이 오면 ‘ッ’로 적는다.
    • 합포: ハッポ
      입북동: イップク洞

제6항 ‘ㄴ’ 받침 다음에 ‘ㄹ’ 초성이 오면 ‘ン’으로 적는다.
(보기)
신라: シンラ / 한라: ハンラ

제7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한 음대로 적는다.
(1) 'ㄱ, ㄲ, ㅋ, ㄷ, ㅌ, ㄹ, ㅂ, ㅍ, ㅅ, ㅈ, ㅊ'이 비음화되는 경우
(보기)
독립문[동님문]: トンニンムン / 답십리[답심니]: タプシムニ / 왕십리[왕심니]: ワンシム二

(2) 'ㄴ'음이 첨가되는 경우
(보기) 떡잎[떵닙]: トンニプ / 앞일[암닐]: アムニル

(3) 구개음화되는 경우
(보기) 씨받이[씨바지]: シバジ / 같이[가치]: カチ

제8항 행정 구역, , 선로명 등의 접미어는 일본의 한자 표기법에 따라 한자로 적되, 필요에 따라 가나로 표기할 수 있다. 단, 접미요소는 앞의 말과 연음시키지 않는다.[7]
(보기)
서울 특별시: ソウル特別市 / 인천 광역시: インチョン広域市 / 강원도: カンウォン道 / 전주시: チョンジュ市 / 도봉구: トボン区 / 북구: プク区 / 봉화군: ポンファ郡 / 장성읍: チャンソン邑 / 남면: ナン面 / 서초동: ソチョ洞 / 사직동: サジク洞 / 경부선: キョンブ線 / 호남선: ホナム線 / 서울역: ソウル駅 / 광주역: クァンジュ駅 / 경부 고속 도로: キョンブ高速道路 / 서해안 고속 도로: ソヘアン高速道路

제9항 국명의 경우에는 전체를 소리나는 대로 적고, ( ) 속에 한자를 병기한다. 단, 한자는 국어의 한자 표기법에 따른다.
(보기) 대한 민국: テハンミングク(大韓民國[8]) / 한국: ハングク(韓國)

제10항 공공 시설물 및 자연 지물의 명칭 중 보통 명사 부분은 한자로 적는다. 단, 국어에서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 보통 명사(寺, 島, 海 등) 및 일본에서 통용되지 않는 보통 명사(宮, 江, 嶺 등)의 경우는 발음대로 적되, ( ) 속에 한자를 병기할 수도 있다. 단, 보통 명사 부분의 한자는 일본의 한자 표기법에 따라 약자로, ( ) 속에 병기하는 한국 고유 명사의 한자는 국어의 한자 표기법에 따라 정자로 적는다.
(보기)
부산 대학교: プサン大学校 / 한라산: ハンラ山 / 서울 고등 학교: ソウル高等学校/ 성인봉: ソンインボン(聖人峰) / 개원 중학교: ケヴォン中学校 / 남한산성: ナムハンサンソン(南漢山城) / 개포 초등 학교: ケポ初等学校 / 추풍령: チュプンニョン(秋風嶺) / 제주 시청: チェジュ市庁/ 대한 해협: テハン海峽 / 현대 해운 주식 회사: ヒョンデ海運株式会社 / 황해: フヮンヘ(黃海) / 인천 국제 공항: インチョン国際空港 / 태안 반도: テアン(太安)半島 / 덕수궁:トクスグン(德壽宮) / 독도: (獨島) / 불국사: プルグクサ(佛國寺) / 경포 해수욕장: キョンポ海水浴場 / 동대문 시장: トンデムン市場 / 한강: ハンガン(漢江) / 잠실 운동장: チャムシル運動場 / 청평호: チョンピョンホ(淸平湖) / 종로: (鐘路) / 백암 온천: ペガム溫泉 / 을지로: (乙支路) / 마포 대교: マポデギョ(麻浦大橋)

[붙임1] 시설물 명칭 중 외래어 부분은 일본식 외래어로 적는다.
(보기) 안동 댐: アンドンダム / 롯데 호텔: ロッテホテル / 육삼 빌딩: ユクサムビル / 서울 타워: ソウルタワー

[붙임2] 지명으로 관용화된 문(門)의 이름은 모두 발음만을 적는다.
(보기) 남대문:ナムデムン / 서대문: ソデムン / 남문: ナンムン / 광화문: クァンファムン(クヮンフヮムン)

제11항 인명은 성과 이름을 가운뎃점으로 구별하여 적는다. 성과 이름은 연음시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개인적인 관용에 따라 연음도 허용한다. 단, 이름만을 따로 적는 경우에는 성과 이름을 같이 적는 경우의 표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름의 경우에는 발음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개인의 관용적인 표기를 허용하도록 한다.
(보기)
박경자: パク(バク)・キョン(ギョン)ジャ
김동민: キム(ギム)・トン(ドン)ミン / 김연우: キム(ギム)・ヨヌ(ヨンウ) / 박동순: パク(バク)・トン(ドン)スン / 이(리)영미: イ(リ)・ヨンミ / 유(류)시운: ユ(リュ)・シウン / 최영: チェ(チョエ)・ヨン

제12항 이상의 세칙 이외에 가나 문자 표기의 특성상 다른 고유 명사와 혼동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 ) 속에 한자를 병기하도록 한다.
(보기)
보기 광주: クァンジュ(光州), クァンジュ(廣州) / 정: チョン(鄭), チョン(丁)

4. 87년 표기법과 달라진 점

  • 모음표 및 모음 배열 순서를 수정하였다.
  • '의'의 관용 발음을 인정하였다.
  • 일부 규정 통합 또는 삭제
  • 성과 이름의 구별 및 표기 방법 수정
  • 일본의 외래어 표기법에 맞춰 자음+ㅘ의 표기를 ウ단+ヮ에서 ウ단+ァ로 수정

5. 02년 표기법과 달라진 점

2002년의 표기법은 여기서 볼 수 있다. 2009개정교육과정 일본어 편수자료[9]
  • 장음 규정 삭제
  • 읍면동에서 앞의 말과 연음시키라는 규정을 없애고 접미요소는 앞 말과 연음시키지 말라고 규정하였다
  • ㄴㄹ[ㄹㄹ]의 표기를 ル+ラ행으로 표기하는 것에서 ン+ラ행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87년의 표기법에선 ン으로 적던 것을 ル로 바꾸었다가 또다시 ン로 바꾼 것이다. 즉 '신라[실라]'의 표기가 シンラ→シルラ→シンラ로 바뀌었다.

6. 기타 용례

나무위키: ナムウィキ
세종대왕: セジョン大王 ([ruby(世宗, ruby=セジョン)]大王)
서울대학교: ソウル大学校
중앙대학교: チュンアン大学校 ([ruby(中央, ruby=チュンアン)]大学校)
울릉도: ウルルンド[10] ([ruby(鬱陵島, ruby=ウルルンド)])
대관령: テグァンリョン ([ruby(大關嶺, ruby=テグァンリョン)])

6.1. 지하철 역

역명 표기 추세가 일어와 중국어를 병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나 표기법과 가장 밀접한 요소이다. 하지만 실제 역명에서 표기되는 가나 표기는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을 기준삼아 제정된 서울시 외국어 표기 기준을 따르기 때문에 세칙 등에서 약간씩 동떨어져 있다. 이는 이 표기법이 행정 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구속력을 갖지 못하는 탓이다.

아래는 실제 역명 표기와 상이한 역의 사례이다.

역을 뜻하는 駅자는 제4항 붙임4에서처럼 표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생략하였다. 또한 87년 표기법에는 반하지만 개정된 표기법에는 올바른 표기는 삭제하였다.

한성대입구역: ハンソンデ入口(실제 표기: ハンソンデイック) ( 후리가나식: [ruby(漢城大, ruby=ハンソンデ)]入口)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トンデムン歴史文化公園(실제 표기: トンデムン·ヨクサムンファゴンウォン) ( 후리가나식: [ruby(東大門, ruby=トンデムン)]歴史文化公園)
선릉역: ソンルン(실제 표기: ソンルン/ソンヌン) (후리가나식: [ruby(宣陵, ruby=ソンルン)])


[1] 다만 이 기준은 87년 자료가 아닌 교과부의 교과서 편수자료에 기준을 둔다 [2] 링크에서는 87년 자료를 제시하지만 다른 문서에선 교과부 자료를 준용한다고 나와있다. [3] 다만 후문은 2002년 또는 09개정 교육과정의 편수자료를 기준으로 한 개정 내용 및 사유가 나와있고 이는 2015개정교육과정의 것과 내용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문서 수정 시 주의를 요한다. [4] 예를 들어 '앙'을 쓸 때 アング라고 적으면 받침에 해당하는 ング가 두 박이 되므로 アン이라고 적는다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안'과 구별할 수 없게 되지만 이건 가나 문자의 한계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5] 규정에는 ボ(bo)로 제시되어있으나 다른 용례들로 미뤄보아 오타로 판단된다. [6] 링크의 원문은 ツ로 제시하였으나 다른 편수자료본은 ッ로 제시하였음을 미뤄보아 오타로 보인다. [7] 이전 규정에는 邑, 面, 洞(읍, 면, 동)에 후리가나를 병기한다고 되어있었으나 삭제되었고, 접미요소를 연음하라는 규정도 바뀌었다. [8] 이때의 國은 일본 신자체 国이 아니다. [9] 해당 링크에 제시된 pdf 파일 참고. 5페이지에 '가, 카, 까'의 표기를 'カ(ガ)'가 아니라 '(ガ)'로 쓴 오류가 있다. 닮은꼴 문자인 '力(힘 력)' 자를 쓴 것. [10] ウンルンド가 아니다. 유음화가 아니기 때문이다.운릉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