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01:44:55

탐라어

'''[[한국어족|한국어족
Koreanic Language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고대 한국어
[[부여어족|{{{#!wiki style="background: #cdcdcd; margin: 1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현대 한국어
[[대한민국 표준어|{{{#!wiki style="background: #2449a6; margin: 1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제주어
탐라어 제주어*
: 고어
* 한국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함.
}}}}}}}}}
탐라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탐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d473d> 역사 <colcolor=#000,#fff> 연표 · 주호국 · 탐라총관부 · 탐라만호부
왕사 시조 · 역대 군주 · 성주 및 왕자
외교 신라-탐라국 관계
지리 무근성 · 제주성지 · 성주청 · 삼성혈
문화 탐라어
}}}}}}}}} ||

탐라어
Tamna language
파일:tamna.png
<colcolor=#fff><colbgcolor=#003074> 유형 불명
주요 사용 지역 제주도 일대 (역사적)
사용 시기 15세기 이전 (추정)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탐라어(耽羅語)는 중세 한국어 제주도에 유입되기 전까지 탐라에서 사용되었다고 가정되는 이론상의 언어이다. 참고로 현대의 제주 방언은 이후 유입된 중세 한국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며, 고대 탐라어와는 계통상 직접적인 관계가 발견되지 않는다. 현재 남아있는 문헌 자료가 많지 않아 대부분의 연구는 고대 탐라의 인명과 지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2. 상세

탐라국이 쓰던 탐라어가 한국어족과 소통이 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고대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 삼국지》와 《 후한서》를 보면 탐라국의 전신으로 추정되는 주호국의 언어가 한(韓)과 다르다는 대목이 있다. 여기서의 '한(韓)'은 고대 한반도 중남부의 삼한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탐라어의 계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가능성이 제기된다. 첫째는 한반도 남부까지 들어온 한국어족( 고대 한국어)과 달리 반도 일본어파 언어가 남아있었다는 설이다. 일단 신당서, 일본서기 등 문헌에는 7세기의 탐라국 인명으로 유리도라(儒李都羅), 아파기(阿波伎), 고여(姑如), 구마기(久麻伎), 도라(都羅), 우마(宇麻), 가라(加羅) 등이 등장한다. 이 가운데 구마기, 도라, 우마 3명은 각각 일본어로 을 뜻하는 쿠마(くま), 호랑이를 뜻하는 토라(とら), 을 뜻하는 우마(うま)와 발음이 비슷하여 주목할 만하다. 이외에도 탐라국의 세 형제 중 막내가 수여받았다는 관직인 도내(都內)[1]를 일본어의 토노(との)와 동원어로 여기기도 한다.[2]

둘째로 탐라어가 한국어족도 일본어족도 아닌 제3의 언어였다는 견해도 있다. 이 경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몽몐어족 등의 고대 대륙계 남방 제어의 한 갈래로 짐작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 떨어진 지리적 특성상 백제, 신라, 고려 순서로 속국이 되고 편입되기 전까지, 제주어 이전의 탐라어는 탐라국 시대 중에도 언어학적으로 독특했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다.


[1] 內의 삼국시대 당시 한자음은 '노'에 가까웠다. [2] 나머지 두 형이 받은 관직은 각각 성주(星主), 왕자(王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1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