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7:09:12

대한제국

구한국에서 넘어옴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 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 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대한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NondescriptCapriciousThreateningTray, 합의사항1=한사군과 미소군정을 틀에 존치하는 대신 첨자로 추가설명, 토론주소2=AnUtopianAndLudicrousThrill, 합의사항2=대한민국의 역대 공화국들은 글자 크기를 줄여서 존치, 토론주소3=SelfishFaultyLongingTurkey, 합의사항3=부제에 강조 표현을 삽입하기, 토론주소4=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4='구한말(개화기)' 서술을 '개화기'로 서술, 토론주소5=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5='남북국시대' 서술은 존치, 토론주소6=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6='삼국시대' 시대구분 표 내 칸은 세로 3칸으로 분리하며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중 첫 번째 칸은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를 서술 -> 두 번째 칸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를 서술하며 -> 세 번째 칸은 '고구려'/ '백제'/ '신라'만을 서술, 토론주소7=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7= '주호'는 삭제하되 -> '탐라' / '우산' 서술은 존치, 토론주소8=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8=조선건국준비위원회 서술은 존치하되 -> 남북한 / 임시정부 / 미군정 / 소련군정을 제외한 현대의 단체들의 이름 및 수식어는 모두 삭제한다., 토론주소9=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9=세로 열에 height를 모두 동일하게 지정하여 시각적으로 각 칸이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 토론주소10=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10=본 틀 내 가야에 대한 첨자로 '가야는 신라의 복속 이후에도 사료에서 존재가 확인되어 7세기 중엽까지 반독립적 상태로 존속했다는 학설도 있음'을 서술한다., 토론주소11=RealChildlikeExclusiveJewel, 합의사항11=근대시점을 개화기\, 일제강점기로 구분하고 해당 정치체로서 개화기에는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조선\, 대한민국 임시정부만을 링크한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min(1em, 4.2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01010> 상고​시대 <nopad> 부여 <nopad> <nopad> 진국 <nopad> 탐​라 <nopad> 우​산
원삼국​시대 한사군[2] <nopad> 마한 <nopad> 변한 <nopad> 진한
<nopad> 낙랑 <nopad> 동예 <nopad> 옥저 <nopad> 고구려
삼국​시대 고구려 <nopad> 백제 <nopad> 가야[3] <nopad> 신라
고구려
<nopad> 신라
남북국​시대 발해 통일신라
후삼국​시대 <nopad> 태봉 <nopad> 후​백제 신라
고려
고려​시대 고려
조선​시대 조선
개화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4] 대한​민국​임시​정부
현대 <nopad>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소련군정[4] 미군정[4]
<nopad>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pad>
[1] 기자조선은 현대 주류 학설에서는 인정되지 않음.
주요 민족: 예맥 · 삼한 · 한민족 }}}}}}}}}



만주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FF,#121212>


산융
동호
고조선 예맥 숙신
고조선 고리국
흉노 부여
~
4
세기초
고구려 {{{#!wiki style="margin:30px -10px -16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65px -10px 4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6A544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부여 읍루
(부여)
오환
선비
서진 읍루
4
~
6
세기
물길
   
거란 실위 고구려 두막루 말갈
(고구려)
7
~
9

말갈
발해 말갈
(발해)
10
~
12세기
{{{#!wiki style="margin:-5px -10px -2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발해부흥운동 여진
오국부
{{{#!wiki style="margin:-2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0px -10px -2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B82647><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13세기
동요
후요
동하
몽골 제국

요양행성 · 동방 3왕가 · 심왕
14
~
16세기
북원 여진족
고려 요동 군벌 우량카이 삼위
여진족
17
~
18
세기
후금
 
 
 
 
19세기
{{{#!wiki style="margin:-60px -10px -1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20세기
일본 제국 관동주
중화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
봉천군벌
러시아 공화국
중화제국
중화민국
봉천군벌
극동 공화국
중화민국 소련
만주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 동북3성
러시아 연방 | 극동 연방관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4500, #EE7600 20%, #EE7600 80%, #FF45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화제국 (대월) (야마토 왕권)
일본
대일본제국
일본국
(고려) ?
(대남) 대한제국
번외
소중화 사상
(괄호는 외왕내제 왕조)
}}}}}}}}}
{{{#29176e 대한제국[1]대한국(大韓國)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다.]
大韓帝國 | Empire of Korea}}}
[2]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파일:대한제국 독수리 문장.svg
독수리 문장
국기 국장[3]
광명천지[4]
光明天地
파일:대한제국 지도.svg
1897년의 행정구역
1897년 10월 12일 ~ 1910년 8월 29일
(12년 320일)
칭제건원 이전 경술국치 이후
조선 일제강점기
상징
국가 <colbgcolor=#fff,#1f2023> 애국가
국기가 국기가
국화 오얏꽃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897년 칭제건원, 광무개혁
1899년 대한국 국제 반포
1899년 경인선 개통
1900년 만국우편연합 가입
1904년 러일전쟁, 한일의정서 체결
1905년 을사조약 체결
1906년 통감부 설치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 국채보상운동, 고종 강제 퇴위, 군대 해산
1909년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 제국 멸망
}}}}}}}}}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d9241d> 위치 <colbgcolor=#fff,#1f2023> 한반도 및 부속 도서[5]
수도 한성부
최대도시
면적 220,903km² (내수면 비율 2.8%)
접경국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d9241d><colcolor=#ffd800> 인구
(추산)
<colbgcolor=#d9241d><colcolor=#ffd800> 총인구 <colbgcolor=#fff,#1f2023>17,420,000명(1910년)
인구밀도 78명/km²
민족 한민족
공용어 근대 한국어, 한문
공용 문자 한글, 한자[6]
종교 유교( 성리학), 불교, 천도교, 정교회, 가톨릭, 개신교, 무속
군대 대한제국군 }}}}}}}}}
행정구역
13도 7부[7] 1목[8] 331군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d9241d><colcolor=#ffd800> 정치 체제 <colbgcolor=#fff,#1f2023> 전제군주제(1897~1907)[9]
입헌군주제(1907~1910)[10]
국가원수 황제(대황제[11])
역대 황제 초대 고종 (1897년 ~ 1907년)
2대 순종 (1907년 ~ 1910년)
국성 전주 이씨(全州 李氏)
정부수반 의정대신 내각총리대신
중앙정치기구 의정부 내각( 통감부) }}}}}}}}}
경제
통화 [12][13]
전체 GDP: 105억$(세계 26위)[14]
1인당 GDP: 620$
단위
연호 광무 ,(1897년 ~ 1907년),
융희 ,(1907년 ~ 1910년),
기타
현재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위치
파일:조선과 대한제국의 지도(1392-1910).svg
파일:덕수궁_중화전_및_중화문_중화전_전경.jpg
덕수궁 중화전[15]
파일:덕수궁 석조전.jpg
덕수궁 석조전[16]

1. 개요2. 상징
2.1. 국호2.2. 국기2.3. 국가2.4. 국장2.5. 국제2.6. 국새
3. 역사
3.1. 제국 선포3.2. 국제 반포3.3. 근대화 추진3.4. 순종 즉위와 멸망3.5. 3.1 운동 이후
4. 조선과 대한제국의 연속성5. 대한제국의 근대성 논쟁6. 외교7. 군대
7.1. 편제
8. 황사
8.1. 대한제국 황실8.2. 대한제국 계보도
9. 한국통감부
9.1. 역대 통감
10. 행정구역11. 행정 기관 및 기타 관청12. 대한제국의 황궁13. 대한제국 시기 유입된 근대 문물14. 대한제국의 국가제례와 오악(五嶽)15. 대한제국의 공휴일16. 대한제국의 인물 목록17. 역사적 사건 목록18. 대한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18.1. 드라마/뮤비
18.1.1. 가상의 대한제국을 다룬 드라마
18.2. 영화18.3. 소설/만화18.4. 게임18.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은 1897년( 광무 원년) 10월 12일 조선 제국을 선포하여 세워진 전제군주제 국가로, 한국사에서 성립된 마지막 군주국이다.[17]

대조선국의 대군주 고종 건양 2년(1897년) 칭제건원하여 황제를 선포하고 국호를 대조선국에서 대한제국으로 변경하였다. 미국을 비롯한 수교국들의 공식 승인을 받았으며 이전 조선국의 영문 국호이던 Korea에서 따 와 국제적으로 Empire of Korea로 불렸다.[18] 과거 고려왕조가 역성혁명으로 무너져 조선왕조가 개국했던 것과 달리 대한제국의 국체는 조선에서 그대로 이어졌다.[19]

1895년(고종 32년) 명성황후가 살해된 을미사변 이후 고종은 일본과 친일내각이 장악한 경복궁을 탈출하여 러시아 공사관으로 망명했고 이후 친러내각을 수립한 뒤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황제에 오르고 대한제국을 건국하였다. 동시에 광무개혁을 통하여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 제국으로부터 지속적인 방해를 받았고, 러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돌아가자 이후 외교권과 경찰권을 차례로 강탈당했다. 이를 시작으로 군대해산을 거쳐 대한제국의 주권은 침해되기 시작됐다. 일본은 1904년 7월 20일에 군사경찰훈령(軍事警察訓令)을 만들어 치안권(治安權)을 빼앗은 데 이어 1904년 8월 22일에는 한일외국인고문용빙(韓日外國人顧問傭聘)에 관한 협정서로 재정권을 빼앗았고, 1905년 11월 17일에는 《 을사늑약》(乙巳勒約)을 체결하여 외교권을 강탈하였다. 1910년 8월 22일에 《한일병합조약》이 강제체결되고, 1910년 8월 29일에 공포됨으로써 대한제국은 경술국치로 멸망하였다.

2. 상징

2.1. 국호

심순택(沈舜澤)이 아뢰기를 "우리나라는 기자(箕子)의 옛날에 봉(封)해진 조선(朝鮮)이란 이름을 그대로 칭호로 삼았는데 애당초 합당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나라는 오래되었으나 천명이 새로워졌으니 국호를 정하되 응당 전칙(典則)에 부합해야 합니다."
上曰: 我邦乃三韓之地, 而國初受命, 統合爲一。 今定有天下之號曰‘大韓’, 未爲不可。 且每嘗見各國文字, 不曰‘朝鮮’, 而曰韓者, 抑有符驗於前, 而有竢於今日, 無待聲明於天下, 而天下皆知大韓之號矣。

상이 이르기를 우리나라는 곧 삼한(三韓)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 나라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韓)이라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
고종실록 고종 34년(광무 원년, 1897년) 양력 10월 11일 3번째 기사: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 이하의 관리들을 인견하다 # [20]
심순택이 아뢰기를 "삼대(三代) 이후부터 국호는 예전 것을 답습한 경우가 아직 없었습니다. 그런데 조선은 바로 기자가 옛날에 봉해졌을 때의 칭호이니, 당당한 황제의 나라로서 그 칭호를 그대로 쓰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대한'이라는 칭호는 황제의 계통을 이은 나라들을 상고해 보건대 옛것을 답습한 것이 아닙니다. 성상의 분부가 매우 지당하니, 감히 보탤 말이 없습니다."
상이 이르기를 "국호가 이미 정해졌으니, 원구단에 행할 고유제의 제문과 반조문에 모두 대한으로 쓰도록 하라."
《고종실록》, 1897년 10월 11일

정식 국호는 '대한제국(大韓帝國)' 또는 '대한국(大韓國)'으로, 대한은 삼한을 일컫는 다른 말로써 한반도 전역을 이르는 말이다. 기원전 8세기 주나라 선왕의 명을 받아 추와 맥을 복속해 북국을 다스렸다는 한(韓)후가 있고, # 기원전 4세기 고조선의 군주가 한(韓) 씨라는 기록이 있으며 이후 준왕이 위만에게 왕위를 뺏긴 후 건마국의 군주가 될 때 한왕(韓王)을 자처한 대서 한(韓) 국호의 유래가 있다. 이후 한반도 중남부의 마한, 진한, 변한 삼한으로 불렸다. 마진변한이 사라진 지 이미 수백년이 지난 삼국시대 후반부 당시에는 의미가 변형, 확장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셋을 삼한이라고 불렀고,[21] 이것을 통일신라 고려가 통일할 때 스스로 삼한일통이라 했기 때문에 '한'은 한민족의 영역 전체를 의미하는 별칭으로도 쓰이고 있었다. 삼한이 원래 삼국시대 초반 한반도 중남부에 있던 여러 나라들을 의미했다는 것은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고증에 의해 밝혀졌지만, 관용적 용법은 계속 이어져 대한제국을 선포한 이 때까지 삼한이란 단어는 삼국= 삼한일통= 한국이란 의미였다. 의미 변화에 대해서는 삼한 문서 참조. 고종은 이 한을 정식 국호로 정한 것이다.

별칭은 ' 대한국'이다. '대한국 국제'에서 보이듯이 혼용되었다. 약칭으로는 '대한'과 '한국'이 사용되었는데, 현대의 대한민국과 약칭이 같다. 나라 이름은 '대한'이고, '제국'과 '민국'은 각각 황제국과 공화국이라는 정체를 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이다. 정체가 달라졌을 뿐, 국호는 같은 이름을 쓰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서 대한제국을 구한(舊韓)이나 구한국(舊韓國)이라 하기도 하며, 흔히 쓰이는 구한말(舊韓末)이라는 말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반대로 대한제국을 기준으로 보아 대한민국을 신한국(新韓國)이라 하기도 한다. 독립군가의 첫 소절에 등장하는 '신대한국' 역시 대한제국을 구한국으로 두고 대한민국을 신한국으로 보는 시각을 담고 있다.

영어명인 Empire of Dai Han은 대한제국 정부가 초기 내세웠던 명칭이었고 외국 공사관에 요청했지만 이미 Korea가 한국을 뜻하는 말이 된지 수백년이 지난터라 바뀌지 않았다. 결국 Korea(프랑스어 Corée/러시아어 Корея)를 수용하여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명칭은 당시 발행한 여권이나 우표에도 반영되어 있다.

일본은 대한제국을 강제병합한 후 대한 및 한국이라는 용어를 금지하는 한편, 한반도와 부속도서에 대해 전 국호인 조선으로 통칭하고 황실을 이왕가(李王家)로 격하했다.[22] 그 예로 '대한매일신보'는 ‘매일신보’로 ‘대한민보’는 ‘민보’로 ‘대한신문’은 ‘한양신문 등으로 바꿔야 했고 바꾸지 않는 단체들은 전부 판매금지를 당했다. 그리고 강점 직후 일본인들이 출판한 4종의 조선사 책은 고종을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暗弱君主)’로 폄하도색했다.[23]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대한제국은 잊혀 갔으나 3.1 운동을 통해 대한이라는 국호가 널리 알려지고[24]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거쳐 대한민국으로 계승되었다.[25] [26]

2.2.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극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2.3.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 애국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제국 애국가
근대 한국어 현대 한국어
상뎨는 우리 황뎨를 도으ᄉᆞ
셩슈무강ᄒᆞᄉᆞ ᄒᆡ옥듀를 산갓치 ᄡᆞ으시고
위권이 환영에 ᄯᅳᆯ치ᄉᆞ
오 쳔만셰에 복녹이 일신케 ᄒᆞ소셔
상뎨는 우리 황뎨를 도으소셔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사
성수무강하사 해옥주를 산같이 쌓으시고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
오 천만세에 복록이 일신케 하소서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영상에 적힌 로마자 가사 영상의 음성
상제여,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해옥주를 산가치 쌓으시고
인민은 안락하여 오천만 국민에게
상제여,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반만년의 역사 배달민족
영원한 번영
해와 달이 무궁토록
성지동방의 문명과 원류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민영환이 작사하고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하였다. 1902년 7월 1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사용되었다. 국권 피탈 이후 금지곡이 되었다가 광복하면서 남북으로 갈라지고 양쪽이 서로 다른 국가(하지만 제목은 둘 다 애국가)를 채택했다.

2.4.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Ihwamun_korean_empire_seal.png 파일:Ihwamun_korean_empire_seal_2.png 파일:대한제국 독수리 문장.svg
이화문(음각문과 양각문) 독수리 문장
황실 상징이자 국장은 이화문(李花紋, 오얏꽃 문장)이다. 이화문은 전주 이씨 종친회, 대동종약원 등이 계승하여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27] 우표나 주화에서는 이화 문양과 독수리 문양이 혼용되었다.

2.5. 국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국 국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국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새 문서
3.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새 황제지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사

3.1. 제국 선포

청일전쟁 을미사변으로 일본군에게 경복궁을 두번이나 점령당하고 건청궁에 감금당해 감시받던 고종은 러시아 제국의 도움을 얻어 1896년 2월 아관파천을 단행한다. 러시아 공사관에 망명한 고종은 친일 내각을 구성한 대신들을 잡아들이고 일본에 대항할 힘을 갖추기 위해 중앙과 지방조직의 개편 등 내부 개혁을 추진하고 대신들을 유럽과 북미에 파견시켜 각국의 외교에 힘을 쏟으며 정무를 해나간다. 특히 러시아 공사인 카를 베베르와 러시아 황제인 니콜라이 2세와 교류가 잦아지며 일본을 견제할 힘을 가진 러시아에 매력을 느끼고 국가를 변모시킬 것을 구상한다.

고종은 일본의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외교에 힘을 쏟았다. 무력으로는 답이 안 나온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당시 외교적 인식의 한계이기도 하다.[28] 또한 고종은 전제군주제를 추구했는데, 미국인과 영국인이었던 당시 법률 고문들이 전제 군주정이 아니라면 반란의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고,[29] 근대 사회의 후발주자인 조선이 위로부터의 개혁을 위해서는 강력한 통치가 수반되어야 했기에 고종의 황제 즉위가 고려되었다. 반면 아관파천 이후부터는 언제 러시아와 일본 사이에 전쟁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황제 즉위를 준비하면서 주변국이 반발할까 고심하기도 했다.

즉위를 준비하면서 고종은 환구단을 지었다. 환구단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이전에는 사직단이었다. 사대부 중에서는 환구단을 짓고 제국을 선포하게 되면 나라 예산만 축날 뿐이니 하지 말자고 반대한 사람들도 있었다. 원구단은 세조가 실제로 지었고, 광해군이 시도했다 못한 것이기도 했다.

1년 남짓한 기간동안 러시아 장교의 훈련으로 양성한 1천여 명의 호위병력인 시위대를 갖추고 1897년 2월 20일 러시아 공사관과 매우 가까운 경운궁으로 환궁한다. 그로부터 약 8개월 뒤인 10월 12일 ( 화요일) 그동안 구상했던 대한제국을 건국한다. 또한 당일에 을미사변 이후 국장을 미뤄왔던 왕후 민씨를 명성황후로, 왕세자를 황태자로 책봉하였다. #

3.2. 국제 반포

초기 대한제국의 체제는 고종이나 독립협회나 독일식이냐 영국식이냐의 차이는 있지만 입헌군주제가 고려되었다. 하급 관료와 황실 종친이 주축인 독립협회 영국 입헌군주제를 줄기차게 주장해왔고, 고위 관료가 추축인 근왕파는 독일 입헌군주제를 주장했다.

독일식과 영국식을 단순하게 설명하면, 영국식이 지금 널리 알려진 바로 그 형태라면, 독일식은 제국의회가 국왕권의 영역과 약간의 특수성은 인정하는 형태로 공존하는 체계로 군주정과 민주정의 중간 정도 되는 시스템이다. 영국식은 영국이, 독일식은 당연히 독일 제국이 채택하고 있었다. 이 둘의 결정적 차이는 군주가 정치에 참여할 권한이 있느냐 없느냐였다. 이 때문에 군주가 주도하거나 동의한 경우는 독일식이 되는 거고, 하부에서 군주권을 빼앗는 식으로 입헌 군주제가 되면 영국식이 되는 것이다.

이 주장은 독립협회와 정부 간의 협상 과정에서 성립된 것에 가깝다. 독일 모델은 고위 관료라기보다는 홍종우를 중심으로 하는 황국협회(皇國協會)를 중심으로 나왔다. 황국협회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황권 강화에 방해되는 단체(즉 독립협회)에 대항하는 성격을 띄고 있으며, 조직 건설에 고위 관료들이 대거 관여 되어 있고,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언제든 시위와 집단행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보부상들의 지지를 받았다.[30] 독립협회의 실력도 권력을 인수하기엔 부족했다. 독립문 만들겠다는 목표 하나로 시작했던 독립협회가 당시 한양 내 여론을 등에 업고 국내 외국 공사관들의 암묵적 지지를 배경[31]으로 해서 정권 하나를 통으로 먹으려고 했던 것이다. 그래도 대강 절충이 되어서, 영국식 입헌 군주국은 아니지만 그래도 독립협회가 주축되었던 중추원(행정심의회) 설립이 우여곡절 끝에 성공으로 끝나는가 싶더니, 고종의 반발을 사는 독립협회 임원들의 무리한 행동으로 해산된다.

당시 법제상으로 중추원에서는 내각 추천 권한이 없었는데 바로 1회의 첫 번째 의제로 내각 구성을 들고 나온 것이 문제였다. 내각 구성권을 중추원이 가지게 되면 실질적으로 영국식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그 내각 구성원으로 당시 명성황후 암살 모의 사건[32]으로 일본에 망명했다가 귀국한 박영효나 국외 추방된 미국인 서재필(필립 제이슨)[33] 등의 이름이 나온 것도 원인이었다. 이것은 독립협회가 정권을 장악하고 고종을 허수아비로 만들겠다는 정치적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었다. 그리고 이 둘은 각각 일본과 미국의 대변인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이었기 때문에, 독립협회 내부의 친미, 친일 성향을 그대로 반영할 인물들이었다. 무엇보다 고종이 가장 혐오하던 인물들이기도 했는데, 이들을 귀국시켜서 각료에 앉힐 수 있다는 것은 고종의 인사권이 완전히 사라진다는 의미였다. 이 사실을 듣고 분노한 고종은 무기명으로 행해진 투표지를 하나하나 필적 대조로 다 잡아내었고,[34] 중추원은 바로 해산당한다. 더불어 이전과는 달리 독립협회에도 유례 없이 강하게 나서서 바로 해산시켰다.

이 시기 독립협회는 당시 조선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매우 급진적이어서 공화주의까지 이야기되고 있었다. 박영효 대통령 주장은 입헌 군주정과 공존할 수 없는 주장이었다. 독립협회 지도부도 이를 인식하고 정부와 협상 과정에서는 공화정 언급을 특별히 단속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일단 중추원이 성립되자 바로 기존의 자세로 돌아갔고, 강경파들을 제어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1899년 8월 17일 대한국 국제가 반포되었다.

3.3. 근대화 추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무개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국은 멋으로 붙여놓은게 아니라는것을 보여주듯 대한제국 시기에 급속도로 근대화가 추진됐다. 정부 기관과 제도를 개편하여 13도를 골자로 하는 지방행정도 개편되어 오늘날 대부분의 의 구역과 명칭이 이때 탄생하였다.[35] 외국자본에 각종 부설권과 광산개발권을 주고 세금을 부여하였고 도로망과 등 기간시설을 구축하고 상공업을 진흥시켜 이전에 비하여 세수를 크게 늘렸다. 광무양전으로 경작지에만 국한되던 토지측량을 임야와 해안 등 모든 국토에 대해 호구조사 지질조사와 병행해 측량하여 종래의 토지결수를 늘리고 집세를 부과하였다. 서울 시내와 인천 간에는 전철이 다니며 대로변과 시가지가 정리되고 수많은 유럽풍의 근대 건축물이 들어섰다. 전기회사와 발전소를 설립하여 전신, 전화 통화가 가능해졌고 밤에는 가로등이 시내를 밝혔다.

복식도 크게 변화하여 1895년에 일본이 시행했던 1차 단발령은 실패한 반면 대한제국이 시행한 단발령은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행하였고, 중앙정부 관료들만 입던 서양식 복식도 지방관과 대중들에게 확대되었다.[36] 상공업을 장려하여 한국인이 설립한 수많은 기업과 가게가 들어서고 많은 서양 문물이 전파된다. 오늘날의 많은 대학교 등 관립·사립학교와 각종 외국어·실업교육기관이 대폭으로 설립되어 근대식 교육이 시행되었고 공문서의 국문화 또는 국한문화와 함께 12개의 신문을 발행하였다. 대한제국 시기 한반도를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과 군사력은 위협적이었고 그만큼 변화도 빨랐다. 광무개혁 이전에 방문했던 외국인 기자와 선교사들은 몇년 사이에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했다고 평가할 만큼 급진적이었다.

식생활에서도 서양 문화가 많이 도입 되었다. 대한제국 곳곳에 경양식 식당들이 개업했고 여전히 밥, 국, 반찬으로 먹었지만 한국인들도 서양 요리를 먹기 시작했다. 실제로 서양 음식을 먹는 한국인들 사진이 찍히기도 하였다. 황제 고종은 아예 궁전 내부에 카페를 만들어서 커피, 홍차, 디저트를 즐겨먹었고 수라상에도 사이다, 디저트, 커피, 홍차, 파스타, 스테이크, 돈까스 같은 서양 요리들이 차려졌다.

군사적으로도 많은 개혁을 진행하여 근대식 군대인 대한제국군이 탄생하였고 육군무관학교를 설립하여 장교들을 양성하였으며 기관총, 서양식 대포 같은 최신무기들을 도입했고 비록 사기당했고 무장이 빈약했지만 양무호라는 순양함을 도입했으며 초계임무 수행이 가능한 등대순시선 광제호, 현익호와 민간에서도 상선으로 쓰인 증기선을 도입했다. 계급체계도 서양식으로 바꾸었다.

하지만 재정과 지지세력의 한계[37], 일본을 비롯한 외세의 개입과 외국 자본의 침투로 어려움을 겪었다. 게다가 제국 치곤 정치체제는 전제군주제를 탈피하지 못했고 재정은 황실비자금인 내탕금[38] 통해 운영되는 비중이 컸다. 고종의 직권으로 정책의 추진력은 높았으나 일본의 지속적인 방해를 받았다. 1904년 1월 21일 고종은 국외에 중립을 선언했지만 2월 8일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인천, 부산, 마산, 원산 등지에 군대를 상륙 후 서울을 점령하여 한일의정서를 강제로 체결하고 1904년 8월 22일 1차 한일협약으로 일본의 고문정치가 시작되며 자주적 개혁은 끝나고 일본의 개입을 받게 된다.

3.4. 순종 즉위와 멸망

1905년 일본은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후 《 을사조약》(1905년 11월 17일)을 맺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미국 영국 가쓰라-태프트 밀약 영일동맹을 통해 역시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해주었다. 대한제국이 멸망한 것은 1910년이지만 사실상 이 시기에 대한제국이 멸망한 것으로 평가하는 경우도 많다.[39][40]

고종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에게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호소하였고 빌헬름 2세는 "한국의 황제께(Kaiser von Korea)"라고 쓴 답장을 써서 관심을 표명했으며, 황제의 내탕금 백만 냥(500억 상당)을 독일 은행에 입금까지 시켜주었지만 결과적으로 국제정세 하에서 독일 황제가 직접적으로 힘을 쓰지는 못하게 되었다.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면 독일이 싫어하는 영국과 그 동맹인 일본을 견제할 좋은 찬스로서 독일이 한국에 적극 개입했을지도 모르나 결과적으로 안됐다.

이에 고종은 일본의 《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만국평화회의 특사를 보내게 되지만 이미 눈치를 챈 일본이 손을 써서 특사들이 회의장에 들어가는 데 실패했다. 이 사건에 분노한 일본은 이를 빌미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을 옹립했다.

1907년 7월 19일 순종이 새 황제로 즉위하자 일본은 《 정미7조약》,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등의 조약으로 군대를 해산하고 사법권, 경찰권 등의 국가 권력을 뺏어갔다. 결국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 황실은 이왕가라는 이름의 일본 귀족으로 편입되고, 연호 또한 융희 4년에서 메이지 43년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대한제국은 공식적으로 멸망하여 일본 제국 식민지가 된다.

3.5. 3.1 운동 이후

융희 황제가 삼보(영토, 인민, 주권)를 포기한 경술년(1910) 8월 29일은 즉 우리 동지가 삼보를 계승한 8월 29일이니, 그 동안에 한순간도 숨을 멈춘 적이 없음이라. 우리 동지는 완전한 상속자니 저 황제권 소멸의 때가 곧 민권 발생의 때요, 구한국의 마지막 날은 즉 신한국 최초의 날이니 (하략)
『1917년 대동단결선언[41]

경술국치 9년 뒤인 1919년 3월 1일 고종의 죽음과 민족자결주의의 확산으로 한반도의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3.1 운동이 한반도의 전역에서 발생하고, 이를 계기로 대한제국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표방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창립하게 된다.

임시정부를 창립하는 과정에서 국호에 대하여 의견이 둘로 나뉘었다. 신석우는 '대한민국'을 주장했는데 여운형 등은 망한 국호를 다시 쓰기 부적절하다는 이유로 대한이 아닌 ' 조선'[42]을 주장했다. 그러자 신석우는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해 보자."라고 했고, 이 말에 다들 찬성하며 만장일치로(혹은 다수결의 투표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임시 헌장(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본법)에서는 대한제국의 황족에 대하여 우대를 강조하는 한편으로, 임시 헌법에서 《대한민국의 영토=대한제국의 판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대한민국이 대한제국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선언했다.

대한제국 멸망 이후에도 대한이란 국명은 남아서 새로운 국호( 대한민국)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는 대한제국의 의미를 찾을 수가 있다. 대한제국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이란 국호도 없었을 확률이 매우 높고, 북한과 남한에 대하여 지금도 ' 북조선'이라고 호칭하거나 ' 남조선'이라고 호칭하면서 지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북한의 국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기도 하고. 그 밖에도 한국민주당고려공화국을 지지하였다.

이후 초대 임시의정원 의장이었던 이동녕은 1919년 4월 13일 상해에서 “지금부터 이 나라는 대한제국이 아니라 인민이 주도하는 대한민국이다.”라고 정식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대한민국의 역사는 이때를 기점으로 시작한다.

4. 조선과 대한제국의 연속성

대한제국 시대에는 공문서는 물론 모든 신문·잡지를 비롯한 모든 사적인 출판물조차 국호를 엄격히 지켜 '대한국', '대한', '한국'으로 사용하였다. 황제가 바꾸어 공포한 새 국호를 무시하고 예전의 국호를 고집하는 것 자체가 불충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이니 당연하다. 일본도 대한제국을 공문서 등에서 경술국치 전까지 '조선'이라고 칭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남한대토벌작전 등), 한일병합조약문에서까지 '한국'이라는 국호는 유지되었다. 따라서 대한제국과 조선의 실체가 동일하다고 하여 대한제국 시대를 다룬 미디어에서 대한제국을 함부로 '조선'이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 역사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하지만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본 제국은, 황제국이었던 대한제국에 대한 격하 작업을 통해 대한 및 한국이라는 용어를 금지하는 한편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에 대해 전 국호인 조선으로 통칭하는 등 대한제국이 잊혀지도록 철저히 작업하였다. #

이 때문인지 대한제국을 구한이라고 부르면서도 조선시대가 언제까지냐는 물음에 1910년 경술국치 이전까지라 말하는 사람이 대부분일 정도로 오랫동안 대중들은 조선과 대한제국을 구분하지 않고 바라봤고, 한국사 교과과정 때만 자세히 접할 뿐이었다. 그러다 2010년대 이후 학계와 언론에서의 대한제국 재조명과 〈 미스터 션샤인〉 등의 대한제국을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 영화 등이 방영되면서 대중들에게 크게 인식이 되었다.

조선과 대한제국은 역성혁명이 아닌 원래 있던 왕조의 국명만 바뀌었고, 군주의 호칭이 황제로 바뀐 것과 그에 맞게 묘호·존호·관제 등이 바뀐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모든 것이 단절 없이 그대로 계승된 점 등을 연속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 때에도 왕실에 관련된 몇 것을 제외하면 과거제도의 효력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것들이 그대로 이어졌다.

궁예의 태봉의 경우 '고려'나 '마진'으로 불리던 시절이 있었지만 마찬가지로 한 나라로 취급하며, 심지어 조선마저 극 초창기(1392년 ~ 1393년)에는 이전 왕조의 국호인 '고려'를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그렇다고 하여 그 시기만을 따로 떼어 내어 이때의 조선을 '고려'라고 부르거나 조선의 건국 연도를 1392년이 아닌 1393년이라고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고구려는 장수왕 때 국호를 '고려'로 바꿨으며 이의 사용 기간 역시 '대한제국'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래되어 후기에 이르러서는 대내외적으로 '고려'라는 호칭이 널리 보편화되었으나, 그렇다고 하여 단지 국호 변경만을 이유로 ' 고구려'의 멸망 시기를 장수왕 때라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고구려'로 불리든 '고려'로 불리든 700년 역사 전체를 고구려의 것으로 보고 있지. 백제도 '십제'나 ' 남부여'로 불리던 시절이 있었고, 신라 또한 ' 사로국' · '서라벌' · ' 계림' 등 다양한 국호를 사용하다가 지증왕의 통치기인 503년에 이르러서야 '신라'로 국호를 통일하지만 일반적으로 그냥 전체 역사를 통칭해서 ' 백제'나 ' 신라'로 부른다. 이름만 바꾸었을 뿐 왕조 교체 없이 국체가 조선에서 물 흐르듯 그대로 이어진 대한제국을 '조선'으로 부르는 게 아주 잘못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오히려 조선과 대한제국을 칼로 무 베듯 생판 별개로 취급하여 조선이 1897년에 끝났다고 생각하는 게 되레 이상하다고 할 수도 있다.

한 예로 1900년 10월 14일 경운궁(지금의 덕수궁) 선원전에 화재가 발생하여 그 안에 있던 어진들이 소실되자 ' 정묘년 병자년의 오랑캐 난리말고는 이처럼 큰 재앙이 없었다.' 라는 표현까지 써 가며 매우 비통해한 고종은 넉넉지 않은 자금 사정에도 불구하고 사비(= 내탕전(內帑錢))까지 털어 가며 선원전 복원 및 어진 모사 작업을 추진했으며, 모사를 위해 함경남도 준원전의 태조 어진을 한양으로 옮길 때에도 대규모의 화려한 행렬을 꾸렸을 만큼 극진한 예를 갖추었다. 당연한 일이지만 고종이 이렇게까지 심혈을 기울였던 이유는 조선과 대한제국이 동일한 국체(國體)이기 때문이다. ( 관련 기사) 이 외에 대한제국 시대에도(심지어 일제 강점기에도) 황실에서는 태조 이성계의 생일을 꼬박꼬박 챙겼으며, 순종 역시 즉위 조서에서 '' 우리나라의 터전을 열어준 분은 태조 고황제'라고 똑똑히 명시해 놓았다.

대한제국이 조선에서 그대로 이어져 온 나라라는 사실은 대한제국 스스로 '500년간' 전래되어 왔음을 밝힌 대한국 국제 제2조로도 확인 가능하며, 대한제국 수립 이후의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에도 '500년 종묘 사직'라는 문구가 다수 등장한다. 조선시대에 역적으로 몰린 신하들을 대한제국 시대에 대거 신원한 것도,[43][44] 박지원 정약용 등 조선시대의 명신들을 대한제국 시대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린 것도 조선과 대한제국은 동일한 국체라는 인식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대한제국 수립 후 일반적인 추존 대상인 고종의 4대조뿐 아니라 한참 옛날의 인물인 조선 왕조의 개창자 태조 이성계까지 그 범위에 포함시켜 ' 태조 고황제'로 추존했다.[45]

5. 대한제국의 근대성 논쟁

대한제국은 흔히 한반도 최초의 근대 국가로 평가되나 이에 대한 논쟁이 있다.

황태연 동국대 교수는 《백성의 나라 대한제국》을 펴내면서 대한제국이 명실상부한 근대 국가였다고 주장했다. 황태연 교수는 근대성(modernity)을 논할 때 종교에서 분리해 세속화된 정치, 신분적으로 차별이 없는 국민, 국민개병제에 바탕을 둔 군대의 정예화, 시장화와 산업화 등을 두루 살피자고 제안했으며, 대한제국은 이를 모두 달성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대한제국이 비록 전제군주제 국가였지만 독일 제국, 일본 제국 등의 예를 들어 근대성과 전제군주제는 반드시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군사적으로도 큰 성과를 거두어 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은 군사력을 갖추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대한제국의 근대성이 오랫동안 대한제국을 끝장낸 일제에 의해 폄하되어왔다고 주장하면서 대한제국에 대한 복권을 주장한다. 황태연 교수 이전에도 이태진 전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등은 대한제국의 근대성을 강하게 옹호한 바 있다. "대한제국이 제정한 헌법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가 무한한 군권과 전제정치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대한제국을 근대 국민국가로 보기 어렵다면 메이지 시대 일본 역시 헌법에 천황이 통치권을 총람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니 메이지 시대 일본도 봉건왕조로 보아야 한다"라고 주장하면서, 대한국국제에는 대일본제국 헌법과 같은 민선 입법회의 규정이 없지만, 황제와 독립협회의 추천으로 구성되는 중추원을 탄생시켜 이에 법률 칙령의 폐지, 개정의 권한을 부여해왔고, 갑오개혁 때 없어진 신분제를 되살리지 않으며 만민이 평등한 근대 국민국가가 되고자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기,전차,철도,수도,우편같은 근대 문물들이 고종의 의지로 들어오거나 보급되었고 고종이 주도한 광무개혁, 한성개조사업등의 근대화 정책으로 행정, 국방, 금융, 상공업등 각종 분야에서 근대화가 이뤄졌으며 이는 당시 대한제국을 방문했던 여러 서양인의 평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중앙일보》에서는 식민사관에 폄훼된 대한제국을 새롭게 조명하는 특집 기사를 내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대한국국제에서 나타나는 전제군주제의 유지와 왕권에 집착하는 고종의 태도, 광무개혁의 문제점으로 미루어볼 때 대한제국은 제대로 된 근대 국민국가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록 전제군주제가 근대성과 모순되지는 않는다고 하나 서구의 근대식 전제군주제는 절대왕정에서 계승된 것으로써 그를 지지할 사회적 계층( 부르주아)이 있었는데 고종은 그런 사회적 계층 없이 친위세력으로만 정권을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더불어 대한제국의 헌법이라고 볼 수 있는 대한국국제의 전근대성(premodernity)은 전제군주제적 성격이 강한 청나라의 흠정헌법대강과 일본의 대일본제국 헌법과 비교해도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근대 국민국가가 수립된 뒤의 군사제도는 국민개병제인데, 국민적 통합에 기반한 국민군제는 대외적으로도 강력하지만, 실제 대한제국 군대는 대내적으로 강력한 전제군주제를 바랐던 고종에게만 충성하는 왕의 사병일 뿐이었다. 게다가 고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만 군대를 사용했지 정작 열강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사용하는 일은 없었다. 김재호 전남대 교수는 아예 대한제국을 고종이 권력을 사유화하려 했던 반동적 시도로 보고 대한제국의 근대성을 부정한다.

이태진 교수와 김재호 교수는 대한제국 및 고종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 서로 상반되는 주장을 펼치며 논쟁한 바 있고, 이는 《고종황제 역사청문회》(이태진, 김재호 공저)에 잘 정리되어 있다.

6.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내의 주요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덴마크에서는 외교공관을 두지 않았다. }}}}}}}}}


다음 국가들은 수교한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괄호 안의 날짜는 태양력이다.

대한제국은 사실상 조선의 연장선이었기 때문에 조선의 외교관계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1905년 을사조약에 의해 대한제국이 외교권을 상실하면서 대부분의 수교국과 단교되었고, 이 가운데 일본만 1910년 국권 침탈 때까지 수교 상태로 남아 있었다.

미수교국 중 스페인(西班牙)과 네덜란드(荷蘭)는 차기 수교국으로 고려되어 조약 초안 단계까지 진행되었으나 을미사변 아관파천 등으로 인해 혼란한 정세로 인해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46]

이 중 미국, 영국(이탈리아도 관할), 프랑스, 독일(오스트리아도 관할)과 러시아에는 현지 한국 공사관이 세워졌으나 을사조약으로 인해 모두 폐쇄되었다.[47] 다만 주러공사 이범진은 홀로 현지에 남아 개인자격으로 외교를 계속하다가 대한제국 멸망 이후인 1911년에 자결하였다.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은 강제합방 이후 일본의 손에 넘어가 민간에 매각되었고, 21세기 들어 한국 정부에서 매입하여 전시관으로 활용중이다.

현대 한국 정부는 일본[48], 중국[49], 러시아[50]를 제외하고 대한제국(및 조선 왕조)의 외교관계를 현대 대한민국이 계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예로 2001년 한국과 벨기에는 한-벨기에 수교 100주년 행사를 치렀는데 대한제국과 벨기에의 수교년도인 1901년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관련 기사

7. 군대

7.1. 편제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 대한제국군의 편제 }}}}}}
원수부 군부 참모부 교육부 시종무관부 동궁배종무관부 육군무관학교
대한제국군
친위대
대한제국군
시위대
대한제국군
진위대
대한제국군
호위대
대한제국군
헌병대
대한제국군
상무영
대한제국 해군


8. 황사

8.1. 대한제국 황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황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황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29176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영친왕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


8.2. 대한제국 계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왕조 문서
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한국통감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의 한반도 통치기관
1905~1910 1910~1945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제강점기
파일:통감기.svg 한국통감부 파일:고시치노키리.svg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조선총독부

9.1. 역대 통감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설명
임시 하세가와 요시미치 1906년 2월 1일 ~ 1906년 3월 1일 조선군 사령관 / 이토 부임까지 직무 대리
1 이토 히로부미 1905년 12월 21일[51] ~ 1909년 6월 13일 1대 통감
2 소네 아라스케 1909년 6월 14일 ~ 1910년 5월 29일 2대 통감
3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년 5월 30일 ~ 1910년 9월 30일 3대 통감 / 이어서 초대 총독으로 취임

10.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3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제국 지도.svg
1897년의 대한제국 행정구역

11. 행정 기관 및 기타 관청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경각부 | 京各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황제
의정부
,의정부,
궁내부 중추원
,중추부,
원수부
,친위부,
내부
,이조,
외부
,통리,
탁지부
,호조,
군부
,병조,
규장각
비서원

시종원
장례원
종부사
법부
,형조,
학부
,예조,
농상공부
,공조,
경부
,포도,
고려 중앙정치기구 · 조선 중앙정치기구
}}}}}}}}} ||

파일:이화문 원형.png
대한제국 중추원
大韓帝國中樞院
중추원 의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황국협회 로고.svg
황국협회

16석
파일:독립협회 검은색 글자.svg
17석
※ 중추원은 독립협회의 해산으로 사실상 기능이 정지됐다.
재적
50석
}}}}}}}}}

일반적으로 내각을 포함한 산하 관청 및 궁내부, 사법 기관 등의 관청들로 칭제건원 후부터 1905년 《제2차 한일협약》(을사조약)이 있기 이전의 관제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12. 대한제국의 황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德壽宮
창덕궁
昌德宮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대한문
德壽宮 大漢門
창덕궁 돈화문
昌德宮 敦化門
덕수궁의 원래 정문은 인화문이었으나 후일 폐쇄되고 대한문으로 바뀌었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중화문
德壽宮 中和門
창덕궁 인정문
昌德宮 仁政門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조원문
德壽宮 朝元門
창덕궁의 중문 진선문은 황궁이 된 직후 철거되었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중화전
德壽宮 中和殿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중화전 이전 덕수궁의 정전은 즉조당이었다.
덕수궁에 서양식 정전으로 석조전을 지었으나 완공 전에 국권을 빼앗겼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수인당
德壽宮 壽仁堂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금천교
德壽宮 禁川橋
창덕궁 금천교
昌德宮 錦川橋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창덕궁 대조전
昌德宮 大造殿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선원전
德壽宮 璿源殿
창덕궁 선원전
昌德宮 璿源殿
창덕궁 신선원전대한제국 멸망 이후 세운 것이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13. 대한제국 시기 유입된 근대 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성신문
京城新聞
경성일보
京城日報
경향신문
京鄕新聞
국민신보
國民新報
대한매일신보
大韓每日申報
대한민보
大韓民報
대한신문
大韓新聞
독립신문
獨立新聞
만세보
萬歲報
매일신문
每日新聞
제국신문
帝國新聞
한성순보
漢城旬報
한성신보
漢城新報
한성주보
漢城周報
황성신문
皇城新聞
협성회회보
協成會會報
}}}}}}}}} ||

14. 대한제국의 국가제례와 오악(五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태묘
太廟
태사태직
太社太稷
환구단
圜丘壇
선농단
先農壇
}}}}}}}}}

북악 백두산
서악 묘향산 중악 북한산 동악 금강산
남악 지리산

천자국은 악해독(嶽海瀆)과 같은 중요한 자연물에 깃든 신령에게 제사를 지낸다는 관례에 따라 지정했다.[54] 악은 오악이라 하여 다섯 곳을 꼽았지만 바다와 하천은 각각 사해(四海)[55], 사독(四瀆)[56] 즉 네 곳을 꼽았다.

15. 대한제국의 공휴일

대한제국 선포 이전인 1896년 을미개혁 당시 서양식 주7일 요일제가 도입되면서 이미 공휴일 제도도 함께 도입되었다. 이 당시에는 조선의 건국일인 개국기원절(음력 7월 16일), 고종의 생일인 대군주 탄신일(음력 7월 25일), 고종의 즉위를 종묘사직에 고한 서고일(음력 12월 2일)이 공휴일이었다. 또 연말연시인 12월 30일부터 1월 3일까지도 5일 연휴로 지정되었다. 공휴일에는 주요 관공서와 상점들이 문을 닫았으며, 전국에서는 축하 행사가 개최되고 거리에는 태극기가 게양되었다. 순종이 즉위한 후인 1908년부터는 총 5개의 공휴일이 있었다. 사계절 중에는 가을에 1일, 여름에 2일, 겨울에 6일 있었다.
  • 건원절(양력 3월 25일, 음력 2월 8일): 순종의 탄신일
  • 개국기원절(양력 8월 14일): 조선의 건국일
  • 즉위예식일(양력 8월 27일): 순종의 즉위일
  • 계천기원절(양력 10월 12일): 대한제국 선포일
  • 묘사서고일(양력 12월 18일): 순종의 즉위를 종묘사직에 고한 날
  • 신정연휴: 12월 30일 ~ 1월 3일 중 5일

태상황인 고종의 탄신일인 만수성절[57]과 황후 순정효황후의 탄신일인 곤원절, 황태자 이은의 탄신일인 천추경절은 국가 경축일이자 궁중 내 기념일이었으나, 공휴일로 선포되지는 않았다.

16. 대한제국의 인물 목록

<colbgcolor=#c0c0c0><colcolor=#000,#ddd> 대한제국 매국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을사오적
이지용 박제순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
||<-7><tablewidth=100%><#c0c0c0><tablebgcolor=#fff,#1f2023> 정미칠적 ||

||<-8><tablewidth=100%><#c0c0c0><tablebgcolor=#fff,#1f2023> 경술국적 ||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화기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역사적 사건 목록

대한제국 국권 피탈 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75년 9월 20일 운요호 사건 일본의 근대적 군사 도발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 최초의 근대적, 불평등 조약 체결
1882년 7월 23일 임오군란 군란을 제압한 청군 주둔
1882년 8월 30일 제물포 조약 군란을 이유로 일본공사관 경비 병력 주둔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일본의 지원을 받은 급진개화파의 정변, 청군에 의해 진압
1885년 1월 9일 한성조약 갑신정변으로 입은 피해에 대한 사과 및 배상을 요구하는 일본의 함대 무력 시위. 이로 인한 조선과 일본의 협상
제물포 조약에 의거한 경비 병력 주둔 재확인
1885년 4월 18일 톈진 조약 갑신정변 이후 조선에 대한 청일 양국의 논의
파병된 청일 양국 군대 철수 및 향후 조선 출병시 상호 통지
1894년 7월 23일 갑오사변 동학 농민 운동 진압을 위해 청나라에 파병 요청, 제물포 조약 톈진 조약을 빌미로 일본이 파병
전주 화약 후 조선의 양국 군대 철수 요청
이를 무시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친일내각을 구성하고 갑오개혁 추진
1894년 7월 25일 청일전쟁 서해 아산만 풍도에서 일본군이 청군을 기습하며 전쟁 발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에 반발한 동학의 2차 봉기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로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종주권 상실
1895년 4월 23일 삼국간섭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압력으로 일본이 요동반도 반환
친일내각의 붕괴와 친러파의 대두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 일본이 명성황후 살해 후 친일내각을 재구성 하고 을미개혁 추진, 이에 항거한 을미의병의 발발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 고종이 감금돼 있던 경복궁을 탈출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망명
친일 내각 몰락, 친러 내각이 구성되고 근대화 추진과 대한제국 구상
1896년 5월 14일 베베르-고무라 각서 일본제국이 한반도 세력권은 러시아 제국에 포함됨을 공인함.
러일 양국이 각국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하는 것을 동의함.
1896년 6월 9일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일본제국과 러시아제국은 조선이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차관을 도입하고자 한다면 합의하에 제공하고, 러시아와 일본에 한반도 내 전신선의 보호권이 있음을 명시. 양국은 한반도에서 소요사태 발생시 군대를 투입할 권한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함.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선포 경운궁으로 환궁했던 고종이 황제에 오르고 제국을 선포, 광무개혁 추진
1898년 4월 25일 니시-로젠 협정 러시아와 일본 간 협정. 대한제국에 대한 내정 불간섭, 대한제국의 군사적 지원 요청 시 상호협상 없이는 응하지 않을 것, 한일 양국 간 경제적 교류에 대해 러시아가 저해치 않을 것을 약속
1902년 1월 30일 1차 영일동맹 일본이 대한제국에 특별한 이익이 있다고 영국이 승인
1904년 1월 21일 대한제국 중립선언 대한제국은 러·일간 전쟁 시 중립임을 세계 각국에 선언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 일본군의 러시아군 기습 공격으로 전쟁 발발. 일본군의 인천, 부산, 마산, 원산 상륙과 서울 경운궁 점령
1904년 2월 23일 한일의정서 일본군의 대한제국 거점 주둔
1904년 5월 31일 대한시설강령 발표 일본의 대한제국에 대한 이권 강화
1904년 8월 22일 한일 외국인고문 용빙에 관한 협정서
(제1차 한일협약)
외국인 고문을 두어 일본이 국정에 간섭(고문정치)
1905년 4월 1일 한일통신기관협정서 대한제국의 통신 주권 침해
1905년 4월 16일 대한제국군 감축 일본의 강요로 친위대 해산, 시위대 진위대 감축
1905년 7월 29일 가쓰라-태프트 밀약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종주권, 외교권을 대행할 것을 미국이 승인
1905년 8월 12일 2차 영일동맹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정치상⋅군사상⋅경제상 특별한 이익이 있다고 영국이 승인
1905년 8월 13일 한국 연해 및 내하의 항행에 관한 약정서 대한제국의 연근해 주권 침해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관리, 감독, 보호할 것을 러시아가 승인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
(제2차 한일협약)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일본인 통감이 외교권 행사(통감정치), 한국의 보호국
을사의병 발발
1907년 7월 20일 고종 황제 퇴위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고종 황제가 이토 히로부미의 협박으로 강제 퇴위, 순종 황제 즉위
1907년 7월 24일 정미 7조약
(제3차 한일협약)
일본인 차관의 내정 간섭(차관정치)
부속각서에 대한제국군 해산 명시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군 해산 시위대 해산을 시작으로 8~9월 진위대 해산
남대문 전투, 정미의병 발발
1909년 7월 12일 기유각서 대한제국의 사법권⋅교도 행정권 박탈, 일본이 대행
한국의 속령
1909년 9월 1일 남한대토벌 10월 말까지 두달에 걸친 일제의 남한 내 모든 의병 소탕, 항일의병의 만주 이동
1909년 9월 4일 간도협약 조선과 대한제국의 간도영유권 시도 전면 수포화, 일본의 만주 철도부설권 확보
1910년 6월 24일 한일약정각서 대한제국의 경찰권 박탈, 일본이 대행
1910년 8월 29일
(체결일 8월 22일)
경술국치
( 한일병합조약)
대한제국 멸망, 한반도의 식민지화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a)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제주도, 거문도 및 울릉도를 비롯한 한국에 대한 일체의 권리와, 소유권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 제2조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
}}}}}}}}}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대한제국의 대외 전쟁 · 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29176e><colcolor=#fff> 한청 국경 분쟁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한러 국경 분쟁 파일:러시아 제국(1858-1896) 국기.svg 러시아 제국
남대문 전투
1907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정미의병
1907
서울 진공 작전
1907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남한 대토벌 작전
1909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대한제국 선포 후에 일어난 사건 목록이다.

18. 대한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같은 왕조이자 직전 국가였던 조선을 소재로 한 창작물은 많다 못해 넘쳐 흐르지만 정작 대한제국을 제대로 다룬 창작물은 거의 없다시피하며 있어도 조선 말기를 다룬 작품에 곁다리로 나오거나, 단막극 및 특집극으로 짧게 나오거나, 실제보다 훨씬 부강한 대체역사 속의 강대국 혹은 열강으로 성장한 대한제국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마 시대도 짧은 데다 나라가 망해가는 우울하고 슬픈 역사를 직접적으로 다뤄야 하고[58] 제국 선포 직전에는 흥선대원군 명성황후의 대립이라는 좋은 소스거리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와 드라마가 다수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2018년 tvN에서 방영한 〈 미스터 션샤인〉은 정말 간만에[59] 대한제국기를 메인으로 다루었고 대박을 터뜨렸다. 대한제국기를 다루어도 흥행에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으니 앞으로 기대해 봐도 좋을 듯.

대체역사물/소재/군주제 현대 한국의 경우 대한제국이 그대로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것이므로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2010년대를 즈음하여 부각된 웹소설에서는 이라는 소재가 로맨스에 활용하기 좋기 때문인지 대한제국 배경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근대적 서양 판타지[60] 의상들을 작품 세계에 구현하기에는 대한제국 시대만한 것이 없다.

일반적으로 왕이나 황제가 있다면 국호도 왕국/제국 식으로 불리지만[61] 1980년대 들어 국호에 '제국'을 쓰는 국가는 전부 없어졌으므로[62] 황제 체제를 유지하더라도 일본처럼 공식 국호가 '대한국'으로 바뀌었을 수도 있다. 다만 '민국'이나 '공화국'은 왕이 있는 상태에서는 국호로 쓰기 부적합하다. 창작물에선 종종 황제 체제가 유지되면서 '대한민국'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어서 아이러니한 부분.

상기한 이유로 이 항목의 상당수는 조선/창작물 구한말/창작물, 개화기/창작물과 겹친다. 단, 문서가 문서이니만큼 조금이라도 대한제국이 나온 작품에 한해서만 올리고 개화기를 다뤘어도 대한제국 배경이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면 등재하지 말 것.

18.1. 드라마[63]/뮤비

18.1.1. 가상의 대한제국을 다룬 드라마

18.2. 영화

18.3. 소설/만화

18.4. 게임

  • THE LAST EMPIRE : 한국이 근대화에 성공하고 일본은 실패한 세계. 그래서 OTL의 일본제국 포지션을 대한제국이 맡고 있다. 대한제국은 나치독일과 손잡고 세계에 침략전쟁을 벌이고 있으며 일본의 히로히토는 일본민족혁명을 통해 일본을 근대화하고 대한제국에 맞선다.
  • Victoria 3 : 조선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는 결단을 내리면 9년간 위신이 25% 오르며 국가 색상이 보라색으로 바뀐다. 보라색인 이유는 태극의 적·청을 섞어서 나온 색이라는 설이 유력하며 한국 유저들은 대한제국을 퍼플 피닉스, 제4의 로마라고 부른다.

18.5. 기타



[1] 대한국 국제, 조약 등에서는 [2] 초기에 대한제국 측에서 요구하던 영문 표기는 Empire of Dai Han이었다. Korea의 어원이 고려이고, 그 왕조를 무너뜨리고 개창한 왕조가 조선이기 때문이다. 다만 서양권에서 받아들이지 않자 Empire of Korea를 인정했다. [3] 이화문은 동아시아식 국장으로, 이화(李花)는 전주 이씨 황실의 상징인 오얏(자두)꽃을 의미하며 아래는 서양 국가들의 쌍두독수리, 사자 같이 동물 형태로 디자인 한 서양식 국장으로, 이화문과 함께 광무개혁 때 제정되었다. 주로 러시아 제국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태극, 팔괘, 전통검, 한반도 중심의 지구 등 한국적 요소가 추가되었다. 주로 동전이나 우표에 사용되었다. [4] "온 세상을 밝히리라" [5] 간도 연해주 일대의 경우 고종 대한제국-청 국경 분쟁 대한제국-러 국경 분쟁이 존재함. [6] 갑오개혁을 계기로 국가 공문서에서 한문을 지양하게 되었으나 《 조선왕조실록》 등 여러 국가 기록들이 여전히 한문으로 쓰였다. 한편 이 시기 한국어, 한문과 함께 문자 언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던 이두는 한글 한국어의 확산으로 급격히 쇠퇴한다. [7] 한성부 제외 [8] 제주목. [9] 이전엔 갑오개혁 독립협회에 의해 입헌군주제의 틀을 마련했었고, 형식상이긴 해도 전국자문회의 겸 행정심의회로서 중추원이 존재하였지만, 독립협회(중추원) 해산 후 대한제국에서 공인한 헌법 황제 무한한 군주권을 규정한 대한국 국제(1899년 제정) 밖에 남지 않았다. [10] 을사조약으로 일제의 보호국으로 전락하고, 정미 7조약으로 고종 황제가 물러난 이후에는 사실상 이완용의 친일 내각과 조선 통감이 정치를 했기 때문에 황제권이 무력화되었다. [11] 대한국 국제나 수호 통상 조약 등에서 사용되는 표현. [12] 1892년 ~ 1902년 [13] 1902년 ~ 1910년 [14] 의외로 경제 규모가 큰데, 한반도 자체가 인구가 꽤 많은 지역이라 한민족 국가들은 어느 정도의 경제력은 가지고 있었다. [15] 1902년에 2층으로 중건된 정전이었으나 1904년 화재로 불탄 이후 1906년 단층으로 재건되었다. [16] 1897년 대한제국 건국 해에 짓기 시작하여 1910년 대한제국 멸망 해에 중건된 근대식 정전이다. [17] 다만 현재 북한은 3대째 김씨가 정권을 잡고 있어 김씨 왕조나 다름이 없기에 명목상 공화국일뿐 사실상의 군주국이긴 하다. [18] 현재는 Korea가 대한민국 북한의 영문 명칭인 관계로, 전근대 한국의 왕조인 조선에 대해서는 구분을 위해 Korea보다 Joseon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나 당대에는 조선을 국제적으로 Korea로 표기했다. 조선이 Korea로 불린다는 사실은 전기 조선 시기부터 조정에서도 인지하고 있었는데 서양에서 조선을 자신들이 무너뜨린 고려라는 이름으로 부른다는 사실에 황당해 했다. 대한제국은 자국의 국호를 Empire of Dai Han으로 불러줄 것을 각국에 요구했지만 당시 국제사회에서는 과거부터 통용되던 국호인 Korea를 따와 Empire of Korea로 표기했다. [19] 그로 인해 대한제국을 조선으로 병합하여 보기도 한다. 가령 순종을 조선 27대 왕으로 간주한다던가. [20] 이와 관련해 13일 반포한 조문 # 이와 관련한 참고글 # [21] 마진변한에 포함되지 않는 고구려인의 묘지명에서 스스로나 고구려인을 삼한이라고 부르는 금석문 자료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변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진 묘지명, 고현 묘지명 등이 있다. [22] 관련기사 [23] ‘대한민국’ 국호의 기원과 의미. 황태연. 6쪽 # [24] 3.1운동 초기에는 만세 구호가 조선독립만세였으나 이후 대한독립만세로 구호가 바뀌었다. [25] 1919년 4월 10일 임시정부의 임정 회의에서 신석우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제안했다. 그러자 여운형이 '대한'이라는 이름으로 망했는데 또 다시 쓰기엔 부적절하다고 반대했다. 그러자 신석우가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다시 흥해보자"라고 했고 이 말에 다들 찬성하며 만장일치로(혹은 다수결의 투표로) 결정 되었다고 한다. [26] 한편 임시정부의 국호 논의 이전부터 대한민국이란 말은 꽤나 자주 쓰이고 있었는데 1899년 친정부성향으로 논조가 바뀐 독립신문, 1907년 대한매일신보, 1909년 대동공보 등 신문과 여러단체의 기념사 등에서 '황제 만세, 대한민국 만세'라 외치는 등 대한민국이 쓰이고 있었다. ‘대한민국’ 국호의 기원과 의미. 황태연 [27] 엄연히 조선시대 당대부터 왕족의 가계를 정리한 전용 족보 선원록과 왕족 밖 전주 이씨 일반 종친의 족보가 구분되었으며, 훗날 흥선대원군 섭정 때 덕흥대원군 계파를 한 집안처럼 묶었지만 이는 정치적 의도에 따른 것이다. [28] 이 문제는 중립화론, 3.1 운동의 독립 청원, 임정 국제연맹 위임통치 청원 등 끝이 없이 이어진다. [29] 박영효 등의 야심가는 국내와 연락해서 꾸준히 반란 시도를 이었고, 부친인 흥선 대원군과 고종의 형제들은 수시로 반란을 일으키거나 반란과 연루되었다. [30] 흥미로운 건 서울과 중추원(행정심의회)으로 제한을 두려고 한 독립협회에 대항해서, 황국협회는 전국적인 선거를 통한 하원 설치를 주장했다는 것이다. 이는 출범한 지 얼마 안 되는 독립협회의 영향력 범위가 아직 서울 일부로 제한적이었다는 약점 때문이었다. 지방민들은 여전히 왕을 섬기는 근왕 의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독립협회보다는 황국협회의 세력과 지지도가 훨씬 컸다. 또 단순히 독립협회에 반발하는 전근대적 반동이라고만 볼 수는 없는 것이, 황국협회를 주도한 홍종우 역시 프랑스 유학을 거친 근대적 지식인이었다. [31] 고종이 독립협회 해산 과정에서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한양 내 독립협회 지지층이 아니라, 정동에 있던 외국 공사관들이었다. 독립협회를 해산하는 것이 대외적으로 나쁜 이미지를 주지 않을까를 고민했던 흔적이 많이 보인다. 그러나 그 서양 공사관들은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독립협회의 해산에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32] 을미사변 이전에 일어난 다른 사건이다. [33] 당시 박영효는 반란 시도를 하다 일본으로 망명한 상황, 서재필은 갑신정변 이후 미국으로 귀화한 다음 독립문과 관련해서 귀국했다가 다시 정치적으로 사고를 쳐서 추방된 상황이었다. 이 시점에서는 한국(조선) 국적도 포기했다. [34] 특히 박영효를 쓴 사람이 주요 대상이었다. 박영효는 이 시점에서도 조선 내부와의 연결과 반란을 시도하고 있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즉 박영효를 추천한 사람은 외환죄로 취급된 것. [35] 아관파천 이후 시기인 건양 원년(1896년 8월) '칙령 36호-지방제도개정'으로 개편하였다. [36] 을미개혁 때의 단발령은 엄청난 반발로 인해 철회하였다가 1900년에 고종이 단발령을 재공포하고 관리들의 양복 착용을 법제화하였다. 또한 관공서에 근무하거나 신학교에 입학하는 조건이 단발이어야 한다는 조칙을 넣어 상당수가 자발적으로 단발을 하였고 복식이 변화하였다. 그래도 여전히 버티는 사람은 있었다. [37] 당시엔 근왕사상이 충만했던 대다수의 민중들과 보부상은 고종을 지지했지만 친일 성향이 강했던 일부 독립협회의 인물들은 수뇌부의 여러 차례 정변과 고종내외 암살시도 등으로 고종과 척을 졌다. 김홍륙독다사건 처리과정에서 고종에 반대하고 중추원 내각대신으로 앙숙인 박영효, 서재필을 뽑았다. 또 군주제를 폐지하고 대통령을 근간으로 하는 공화제를 추진하여 당시엔 혁명적인 사상을 추구하자 격노한 고종이 해산시켰다. [38] 내탕금을 이용할 수밖에 없기도 했다. 당시 탁지부를 쥐락펴락 했던 고문들은 열강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들이었기 때문. 다만 이들도 건드릴 수 없었던 것이 내탕금이었다. [39] 을사조약으로 한국은 일본의 보호령으로 전락했는데, 해외에서는 보통 보호국을 주권국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통가, 브루나이 등도 영국의 보호령에서 벗어난 것을 ' 독립'했다고 간주할 정도로 보호령은 사실상의 식민지로 취급받고 있다. [40] 영어 위키피디아 Korea under Japanese rule 문서에서도 일제강점기의 범위를 1905년~1945년으로 잡았으며, Korean Empire 문서에서도 대한제국이 주권 국가였던 것은 1905년까지라고 보고 그 이후는 일본의 보호령이라고 보고 있다. [41] 1917년 7월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조소앙, 신석우, 박용만, 한진교 등 14명의 명의로 발표된 선언문이다. [42]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을 지지했다. [43] 이것이 의미가 있는 이유는 삭탈된 자에 대한 신원 행위는 같은 왕조 안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이전 왕조의 것은 그 왕조가 망하면서 의미가 없어지는 만큼... 물론 정몽주와 같이 특이 케이스가 아주 없는 건 아니다. [44] 1908년 이완용이 건의하고 순종이 명을 내려 신원된 대표적인 신하로 이징옥, 윤원형, 정인홍, 윤휴, 조태구, 김일경, 정후겸, 김익순 등이 있다. 다들 조선시대에는 그 언급조차 조심히 해야 했던 인물들. [45] 4대조 추존이 고종의 '조상'들에 대한 예우 차원이었다면, 이성계 추존은 고종이 속한 '왕조'에 대한 예우 차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같은 추존이지만 그 성격은 판이하게 다르다. [46] 결국 스페인, 네덜란드와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50년 3월 17일, 1961년 4월 4일에 각각 수교하였다. [47] 이 과정에서 최후의 주영공사 이한응이 1905년 자결한다. [48] 1965년 맺어진 《 한일기본조약》 제2조에 나와있는 식민통치 이전의 조선(대한제국) - 일본제국 간 조약 및 협정은 무효라고 명시했기 때문에 인정하지 않는다. [49]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 초기의 대중외교 관계는 청나라 중화민국(현재의 대만)과 맺은 것이며, 지금의 한중 외교관계(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는 중화민국과의 단교 이후 새로 수립한 것이다. [50] 러시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무너질 때 대부분의 나라에서 소비에트 러시아를 인정하지 않은 탓에 소련이 안정되고 나서 새로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51] 서울 부임은 1906년 3월 2일 [52] 해당 와플틀의 정식 명칭은 철제제과기이다. [53] 제조사는 DAWN S&T CO이다. [54] 악해독의 악은 큰 산, 해는 바다, 독은 큰 하천을 말한다. [55] 동해, 서해, 남해, 북해를 꼽았는데, 여기서 북해는 함경북도 경성 앞바다를 뜻한다. 한반도 반도라 북쪽에 바다가 없으니까 어쩔수 없이 동해의 북쪽을 북해로 정한 것이다. [56] 한강, 낙동강, 패강, 용흥강 [57] 고종이 황제였을 때는 당연히 국가 공휴일이었으며, 민간단체에서 기념식을 개최했을 정도로 국민적인 축제였다. 1896년 이전에도 고종의 생일을 기념하긴 했으나, 이 당시에는 정부 대신들을 불러 연회를 개최하는 것에 그쳤다. [58] 역설적으로, 그래서 8.15 광복 6.25 전쟁 직후 애국심을 고취시키던 시기에 많이 다뤄지기도 했다. [59] 1984년에 방영한 〈독립문〉 역시 이 시대를 주 배경으로 한 드라마다. 하지만 너무 오래되었고 자료도 별로 없어 〈미스터 션샤인〉이 현재 청장년층들에게는 거의 처음으로 인식된다. [60] 흔히 '중세 판타지'라고 하지만, 문서에서 다루듯 17~18세기 근세의 이미지를 반영한 작품들도 상당히 많다. [61] 사실 이 역시 19세기 서구 관습이 한자문화권에 전래된 것으로, 동아시아에서는 보통 국가 체제를 공식 국호에 반영하지 않고 '(대)-국' 식으로 쓰는 것이 보통이었다. 조선도 500년 내내 군주제 국가였지만 '조선 왕국'이라는 국호를 쓴 적은 없다. [62] 1970년대만 해도 에티오피아 제국, 이란 제국, 중앙아프리카 제국이 있었다. 이렇게 줄어든 것은 제국, 구체적으로 세습제의 절대권력자가 있는 국가체제에 대한 인식이 안 좋아졌기 때문이다. [63] 단막극, 특집극 포함. [64] 주 시대배경은 조선 말 개화기. 종반부에야 대한제국이 수립되고, 명성황후의 장례와 흥선대원군의 사망으로 드라마가 끝난다. [65] 1920년대에 존재하는 대한제국이 배경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