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15:08:27

이화문


국장 (國章)
정렬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멕시코 국장.svg 파일:미국 국장.svg 파일:브라질 국장.svg 파일:볼리비아 국장.svg 파일:에콰도르 국장.svg
멕시코 미국 브라질 볼리비아 에콰도르
파일:엘살바도르 국장.svg 파일:온두라스 국장.svg 파일:캐나다 국장.svg 파일:쿠바 국장.svg 파일:파라과이 국장.svg 파일:파라과이 국장(뒷면).svg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캐나다 쿠바 파라과이
파일:페루 국장.svg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대만 국장.svg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파일:레바논 국장.svg 파일:몰디브 국장.svg 파일:몽골 국장.svg
대만 대한민국 레바논 몰디브 몽골
파일:미얀마 국장.svg 파일:바레인 국장.svg 파일:방글라데시 국장.svg 파일:부탄 국장.svg 파일:북한 국장.svg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부탄 북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장.svg 파일:시리아 국장.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장.svg 파일:예멘 국장.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장.svg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예멘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장.svg 파일:이란 국장.svg 파일:인도 국장.svg 파일:인도네시아 국장.svg 파일:일본 황실.svg
이라크 이란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파일:중국 국장.svg 파일:카타르 국장.svg 파일:캄보디아 국장.svg 파일:쿠웨이트 국장.svg 파일:타지키스탄 국장.svg
중국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장.svg 파일:파키스탄 국장.svg 파일:팔레스타인 국장.svg 파일:필리핀 국장.svg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장.svg 파일:리비아 국장.svg 파일:모리타니 국장.svg 파일:부룬디 국장.svg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장.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리비아 모리타니 부룬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앙골라 국장.png 파일:에리트레아 국장.svg 파일:이집트 국장.svg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장.svg 파일:카보베르데 국장.svg
앙골라 에리트레아 이집트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카보베르데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뉴질랜드 국장.svg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장.svg 파일:바누아투 국장.svg 파일:통가 국장.svg 파일:피지 국장.svg
뉴질랜드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통가 피지
파일:호주 국장.svg
호주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그리스 국장.svg 파일:독일 국장.svg 파일:라트비아 국장.svg 파일:러시아 국장.svg 파일:루마니아 국장.svg
그리스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파일:산마리노 국장.svg 파일:스페인 국장.svg 파일:아르메니아 국장.svg 파일:아이슬란드 국장.svg 파일:아일랜드 국장.svg
산마리노 스페인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장.svg 파일:에스토니아 국장.svg 파일:영국 국장.svg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파일:오스트리아 국장.svg 파일:이탈리아 국장.svg
아제르바이잔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장.svg 파일:포르투갈 국장.svg 파일:폴란드 국장.svg 파일:프랑스 국장.svg 파일:헝가리 국장.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지위상실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파일:소련 국장.svg 파일:티베트 문장.svg 파일:백합 문장.svg
대한제국 소련 티베트 플뢰르 드 리스 }}}}}}}}}}}}
관련 틀: 국기 · 국가 · 국호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 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 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1. 개요2. 역사
2.1. 종류
3. 활용 예시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 국장. 또한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가문인 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자두꽃(이화, 李花)[1]을 도안화한 문장이다. 자두의 순우리말인 '오얏'을 써서 '오얏꽃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파일:석조전 박공.png
덕수궁 석조전 이화문 부조
19세기 근대 서방 국가들이 국가 상징 문양을 대내외로 사용하던 시스템을 본따 만들었으며, 이화문을 공식 상징으로 지정한 시기는 대한제국 1897년이다. 원래는 왕조를 상징하는 문양이지만 군주국이기 때문에 사실상 국장으로도 사용했다.

때문에 대한제국 시기 국가/황실 성격이 부여된 곳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데 공문서나 궁궐 건물들은 물론이고 내/외부 장식, 가구, 심지어 가정용품에서도 이화문을 새긴 문화재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화문 장식을 직접 보고 싶다면 덕수궁 석조전에서 마련한 황실 복원관을 견학해 보면 좋다. 또한 창경궁 대온실 이화문 장식도 있고 운현궁 이로당 툇마루에 앉아 있으면 양관(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건물이 보이는데 양관 지붕에도 금속으로 된 이화문 투각을 볼 수 있다.

1908년 순종 즉위 이후에는 황제기, 태황제기, 황후기, 황태자기 등을 만들었는데 깃발의 바탕에 따라 지위를 구분하고 중앙의 문양에는 삼중으로 겹친 이화문을 쓰도록 했다. #

2.1. 종류

파일:운현궁 이화문.svg 파일:Sadonggung_Ihwamun.png 파일:deoksugung_ihwamun.jpg 파일:대한제국 이화문 국장.png 파일: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종문.svg
운현궁 이화문 사동궁 겹꽃잎 이화문 덕수궁 석조전 내실 이화문 덕수궁 석조전 페디먼트 및
대한제국군 원수, 대원수 피켈하우베 월계관 이화문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화문

잉크와 인쇄기라는 근대식 장비를 통해 소도구와 비품 등에 적용하였는데 디자인 변형도 다양해서 꽃술이 없는 것에서부터 3개, 5개까지 있는 문양도 있고 겹꽃잎이 추가된 문양도 있으며 여타 서양식 문양들이 겉에 월계수를 두듯 오얏 가지를 두르거나 황금으로 만든 원을 장식한 문양도 있다.

색은 주로 노랑색(금색) 또는 빨강색이 많으며 전주 이씨 종친회의 경우 꽃술 안쪽에 '종(宗)' 자를 새겨넣기도 한다. 만약 대한제국 황실이 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면 변형된 이화문들이 더 다양했을 가능성도 있다.

3. 활용 예시

  • 파일:대한제국 20원.png

    대한제국 20원 주화. 20원이라는 글자 위에 이화문이 보인다.
  • 파일:202102220913320.jpg
해방 후 미군정 시기의 수입인지에도 이화문이 들어갔다. 해방 후 과도기 동안은 일제강점기 시기 쓰다가 해방과 함께 재고로 남은 일본제국의 인지에 대충 조선정부라는 국명만 덧인쇄해 쓰다가[2] 정국이 어느정도 안정되고 새 인지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도안으로 참고할 만한 일제강점기 이전 조선의 정부 상징은 대한제국 이화문이 대표적이니 일제 이전 대한제국을 계승한다는 상징도 포함해 겸사겸사 넣은 것으로 보인다. 모양새는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과 유사해 보인다.


[1] '花'( 이화학당,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가 이것)가 아님에 유의. 이화문의 이화는 배꽃이 아닌 자두(오얏)꽃이다. [2] 심지어 우표를 붙이는 사례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