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 |
|
|||||||||||||||||||
|
|
|
||||||||||||||||||
|
|
|
||||||||||||||||||
|
|
|
|
양이재 |
|
|||||||||||||||
|
|
|
||||||||||||||||||
┏ | ━ | ┓ | ||||||||||||||||||
┃ | 돈덕전 | ┗ | ━ | 생양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관헌 |
|
|
|
||||||||||||
|
|
|
┃ | 석조전 | 준명당 |
즉조당 명례궁터 |
석어당 |
|
|
┃ | ||||||||||
중명전 |
|
석조전 서관 |
정원 | 중화전 | 덕홍전 | 함녕전 |
|
|
|
|
|
┃ | ||||||||
|
ㅣ |
|
광명문 |
|
|
|
||||||||||||||
|
|
|
중화문 |
|
|
금천교 | 대한문 | |||||||||||||
┗ | ━ |
|
━ | ━ | ㅡ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덕수궁 즉조당 관련 틀
|
||||||||||||||||||||||||||
|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
<colbgcolor=#e3ba62> 덕수궁 즉조당 德壽宮 卽阼堂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 정동 5-1) | |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 1904년 (중건) |
|
<colbgcolor=#e3ba62> 즉조당[1] |
[clearfix]
1. 개요
덕수궁의 건물이다.2. 이름과 현판
'즉조(卽阼)'는 '즉위'와 같은 말로, 인조가 이 곳에서 왕위에 오른 것을 기념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자세한 내용은 역사 단락 참조.
|
|
<colbgcolor=#e3ba62> 즉조당 현판[2] | <colbgcolor=#e3ba62> 경운궁 현판[3] |
3. 역사
1592년(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이 전부 불탔다. 1년 뒤인 1593년(선조 26년) 한양 수복 후 환도[4]한 선조는 지낼 곳이 없자 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집과 주변 민가들을 행궁으로 삼아 임시로 머물렀다. 처음엔 '정릉동 행궁(貞陵洞 行宮)'으로 불렀고 광해군 때 이름을 '경운궁(慶運宮)'으로 바꾸었다.광해군 때 창덕궁, 창경궁을 복구한 후 임금들은 그 곳에서 거처했고, 인조 재위 초반에는 건물 대부분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면서 경운궁을 사실상 해체했다. 하지만 이 때 정릉동 행궁 시절을 기억하기 위해 건물 2채를 남겼다. # 이후 왕실 소용의 내탕을 마련하고 관리했던 명례궁으로 사용했다.
|
<colbgcolor=#e3ba62> 경운궁에 많은 관심을 보인 영조 |
영조 승하 이후에도 왕들은 즉조당을 때때로 찾았다. 1893년( 고종 30년) 10월에 고종과 왕실은 선조의 환궁 300주년을 맞아 즉조당에서 기념 행사를 했다. #
3.1. 아관파천 이후
|
<colbgcolor=#e3ba62> 경운궁을 중건한 고종황제 |
1897년( 건양 2년) 2월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7]했다. 그러나 경운궁은 위에 언급했듯 즉조당 포함 2채만 남아있었다. 그래서 중건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상 궁궐을 새로 짓는 것이었기에 제대로 모습을 갖추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정식 침전인 함녕전 역시 아직 완공 전이었고, 신하들은 즉조당에 머물 것을 권했으나 고종은 거절했다. #[8]
정전으로 쓸 전각 역시 없었고 그래서 1897년( 광무 원년) 8월 경부터 즉조당을 임시 정전으로 사용했다. #[9] 그 해 10월 7일 대한제국을 선포하기 며칠 전에 이름을 태극전(太極殿)으로 바꾸었다. # 제국의 정전이니 이름 역시 제일 높은 급인 '전(殿)'으로 올린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각 앞에 넓은 월대를 설치하여 건물의 격을 높이고 여러 국가의 중요행사를 성대하게 치를 수 있게 만들었다.
3.2. 대한제국 수립 이후
태극전에서 고종은 국호를 대한으로 바꾸고 황제로 즉위할 것을 반포했다. # 즉 태극전은 대한제국의 상징적인 탄생 장소였던 것이다. 제국 수립 이후 고종은 이곳에서 백관들의 하례를 받았으며 # 황실 가족들에게 옥책과 금보를 내리고 책봉식[10]을 거행하는 등 # 정전으로써 태극전을 활발히 사용했다.고종은 태극전의 이름을 1898년( 광무 2년) 2월에 다시 중화전으로 바꾸었다. # 중화전으로 개칭한 후에도 이곳에서 국가와 황실의 주요 행사를 꾸준히 열었다. 태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식과 # 황실 제사와 관련된 행사를 주로 행했으며 # # 1900년(광무 4년) 8월에는 황자 의화군 이강과 이은을 여기서 각각 의친왕, 영친왕으로 책봉했다. #[11] 같은 해 10월 경운궁 선원전이 불타 그 안에 있던 어진도 사라져 다른 곳에 있던 어진들을 옮겨와 모사할 때 여기에 어진을 보관했다. #
|
<colbgcolor=#e3ba62> 중화전으로 사용하던 때에 즉조당에 걸려있던 중화전 현판[12] |
|
정전으로 쓰이던 당시의 즉조당 그림(가운데 빨간 원 안). 1901년(광무 5년) 명헌태후 홍씨의 71세 생일 축하연 모습을 다룬 책인 《신축진찬의궤》에 실린 그림이다.[13] |
|
<colbgcolor=#e3ba62> 《경운궁중건도감의궤》의 즉조당 모습[14] |
4. 구조
- 장대석을 3벌대로 쌓아 기단을 구성하고 기단의 상부는 전돌로 마감했으며, 정면에 4벌짜리 계단을 3세트 두었다. 기단의 서쪽 측면은 기단 자체를 계단식으로 쌓았으나 동쪽 측면은 그렇지 않다. 그리고 그 위에 네모난 주춧돌과 기둥을 쌓아 건물을 올렸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로,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를 쌓아 마감했으며 용두를 올렸으나 잡상은 두지 않았다.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뒷면의 외관은 앞면과 꽤 차이가 있다. 기단부터 다른데 지형의 특성 상 뒷면 기단은 장대석 1벌대이다. 그리고 동, 서 온돌방 바깥 칸에 각각 가퇴를 설치했으며 양 가퇴 사이에 쪽마루를 설치했고 마루의 가장자리엔 난간을 두었다. 이 난간은 중간 부분을 아(亞)자 형태로 장식하고 돌림띠대에 하엽동자[15]를 세워 돌난대를 받치는 모습으로 양쪽으로 각각 10개 씩 있다. 난간 사이에 사람 한 명이 지나다닐만한 빈 공간이 있으며 이 앞에 2단의 댓돌이 있다.
<colbgcolor=#e3ba62> 대청[A] |
<colbgcolor=#e3ba62> 서온돌[A] | <colbgcolor=#e3ba62> 동온돌 |
- 바깥 창호의 경우, 정면의 온돌방 바깥 칸과 뒷면의 가퇴 부분은 정(井)자 살이다. 이를 제외하고는 전부 띠살이다. 실내 창호의 경우 대청에서 뒤로 나가는 문짝은 화려한 아(亞)자 살이고, 서온돌에서 측면의 툇간과 연결되는 창의 경우 정(井)자 살이다. 동, 서 양 온돌방에서 뒷면의 툇간으로 나가는 문은, 가운데는 정(井)자 살로, 위와 아래는 용(用)자 살로 꾸몄다. 나머지는 전부 용(用)자 살이다.
5. 여담
- 문화재청에서 2016년 이후 3월 말 ~ 4월 초 봄의 1주일 가량을 즉조당과 준명당, 석어당, 중화전, 함녕전 등 덕수궁의 주요 전각 내부를 개방했다. # 해설자의 인솔 하에 단체관람을 했으며 덕수궁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하고 가야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colbgcolor=#e3ba62> 즉조당에 재현해놓은 집기류 |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3]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4]
還都.
임금이
수도로 돌아오는 것.
[5]
임금이
서울로 돌아온 후 60
갑자가 세 번째로 돌아왔다는 뜻. 1653년(
효종 4년)이 1주갑, 1713년(
숙종 39년)이 2주갑, 1773년(
영조 49년)이 3주갑이다.
[6]
기록 상으로 석어당 명칭은 이 때 처음 보이며 원래 즉조당을 달리 일컬었던 이름임을 알 수 있다.
#
# 자세한 내용은
덕수궁 석어당 문서 참조.
[7]
還宮. 궁궐로 돌아감.
[8]
이 때 머문 전각은 확실하지 않으나
석어당으로 보인다.
#, 이 무렵에 즉조당에 걸린 석어당의
현판을 지금 자리로 옮겨, 즉조당과 석어당을 분리한 듯 하다. 자세한 내용은
덕수궁 석어당 문서 참조.
[9]
고종은 즉조당에 있던
어진을 이미 같은 해 4월에 완공된
경운궁 선원전으로 옮겼다.
[10]
왕국에서
제국으로 바꾸었으니 그에 맞게 기존
왕족들 역시
황족으로서의 지위를 다시 정해 책봉하는 의례가 필요했다.
[11]
단, 이 때 의친왕은
미국에서
유학 중이었다.
[12]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13]
사진 출처.
[14]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15]
荷葉童子.
연꽃
잎 모양의 짧은
기둥.
[A]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