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문화유산 | ||
석굴암과 불국사 |
해인사 장경판전 |
종묘 |
|
창덕궁 |
수원화성 |
경주역사유적지구 |
|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
조선왕릉 |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
|
남한산성 |
백제역사유적지구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
한국의 서원 |
가야고분군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221e1f,#fff> 자연유산 ||
}}}}}}}}}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
한국의 갯벌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colbgcolor=#000><colcolor=#fff>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 Villages historiques de Corée : Hahoe and Yangdong |
|
국가·위치 |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경상북도 안동시[1], 경주시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지정번호 | 1324 |
등재연도 | 2010년 |
등재기준 | (ⅲ)[2], (ⅳ)[3] |
Yangdong Historic Village 慶州 良洞─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길 93 |
[clearfix]
1. 개요
6대 국반(國班) - 우리나라 6대 명문 양반 가문 중 하나의 집성촌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600여년의 전통을 가진 양반 집성촌이자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민속마을이다. 1984년 12월 24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 189호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7월 31일에는 경상북도 안동시에 소재한 하회마을과 함께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개최된 제34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4]에서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013년에는 유네스코가 1972년 선포한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협약’이 2012년 40주년을 맞아 세계 160여 나라에 산재한 981점의 세계유산 전체를 대상으로 심사한 결과 세계유산의 핵심 정신인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장 잘 구현한 26개 사례 가운데 하나로 뽑히는 영광을 안았다.
포항시와 인접해 있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출발하려면 하양읍, 대구대를 거쳐서 금호교차로에서 포항 가는 28번 국도로 올라가야 한다. 국립영천호국원과 옥산서원도 당연히 지난다.
1.1. 키워드
1.1.1. 처가입향, 씨족마을, 양반세거지
오늘날 남자와 여자가 혼인 후의 생활하는 방식을 '시집 간다'라고도 표현한다. 이는 조선시대 중후기 이래 유교적 종법 질서가 자리 잡음으로써 양반사회에서 혼인 후 여자가 남자 집에서 사는 시집 간다라는 형태가 보편화된 결과다. 그러나 그 전인 조선 전기까지는 혼인 후 남자가 여자 집에서 사는 장가 간다가 일반적인 생활 형태였다. 양동은 남자가 장가들어 사는 처가입향'(妻家入鄕)의 대표적인 사례로, 풍덕 류씨 남자가 여주 이씨 처가에 장가 들고, 시간이 지나 경주 손씨 남자가 풍덕 류씨 처가에 장가 들고, 뒤이어 또 다른 여주 이씨 남자가 경주 손씨 처가에 장가들면서 정착해 간 사례다.그런데 조선 전기 이후부터는 유교적 종법 질서가 확실하게 자리매김하면서, 장자 상속을 기반으로 같은 성씨의 부계 혈연집단이 대를 이어 모여 사는 유교 문화 특유의 세거지인 집성촌이 자리한다. 이를 '씨족마을'이라 한다. 이 씨족마을은 특히 생산영역(농경지)과 생활영역(거주지), 의식영역(유보지)으로 구성을 마쳤고, 그에 따라 건축물을 세워갔다. 양동은 조선 전기 이후 처가입향으로 맨 마지막에 들어온 경주 손씨와 여주 이씨 양성이 유교적 종법질서를 신봉하고, 또한 국가적으로 명성을 얻은 인물들을 배출하기 시작하면서 장가 '가지 않고' 시집 '오게' 하면서 집단으로 세거해왔다. 이러한 역사를 약 600년 째 이어오고 있는 양동마을은 조선 시대 남아 있는 씨족마을의 가장 오래된 사례이다. 또한 이러한 씨족마을 공간을 기능적, 경관적으로 완전하게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 유산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이끌어냈다.
양동마을은 씨족마을인 동시에 양반세거지로서, 경주 손씨와 여주 이씨 양반들을 보필할 노비들이 공존하는 형태였다. 즉 양반들의 기와집 아래 서너 호의 초가집 소위 가랍집이 딸린 형태, 혹은 기와집 안에 초가로 된 집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 사회의 엄격한 신분 질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양반들도 초가에서 생활했다. 따라서 양동을 '민속마을'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
1.1.2. 풍수지리
그러면서도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학인 풍수지리에 입각한 구성을 보여줌으로써 자연과 인공건축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우선 풍수지리상 길지(吉地)에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산기슭 입지의 대표적인 사례인 물(勿)자 형을 이루면서 삼남지방(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4대 명당으로 손꼽혔다. 물자형이라 함은 정확히는, 뒷배경이자 주산인 설창산의 문장봉에서 산등성이가 뻗어 내려 네줄기로 갈라진 능선과 골짜기가 여럿 나란히 있는 형국인 것이다.
양동의 여러 건축물들은 이런 길지 하에 터(址)와 양택(陽宅)을 고려하며 이러한 지형의 경사에 기대어 집의 자리를 잡고, 집에서 바라보이는 조망점을 풍수의 원칙에 따라 조정하여 세워졌다.
1.1.3. 6대 명문 양반가문, 영남 남인 핵심의 터전
여주 이씨와 경주 손씨가 세거하는 곳이다.특히 여주 이씨는 우리나라 성리학의 태두이자 영남 남인의 종장이며 조선시대 이황,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 등과 함께 문묘 및 종묘에 동시에 배향되어 있는 성리학자이자 재상 문원공 회재 이언적을 배출하면서 국반(國班) 대우를 받았다. 그리고 그의 외가인 경주 손씨는 적개공신 양민공 손소, 이조판서 등을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된 손중돈을 배출하면서 명문 도반(道班)으로 행세했다.
이언적과 손중돈 등을 배출함으로써 양동은 조선 중후기 이후 영남 남인의 구심점 역할을 했으며, 그들의 후손들 중에는 문과 31명 포함 과거 급제자가 총 116명에 달했고 이밖에도 수많은 학자와 충절대의 명장 및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면서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1.1.4. 문화재의 보고
이런 전통으로 인해 이들 양반이 남긴 건축유산은 물론이고 학술적-문화적 성과물인 고문헌과 예술작품을 보관하고, 전통적인 가정의례와 특징적인 무형의 마을 행사를 오늘날까지 잘 유지해오고 있다.특히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기와집의 수는 전국 최다로 이를 포함하여 국보 1점, 보물 5점, 국가민속문화재 12점, 경상북도지정문화재 8점 등 도합 26점의 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마을 전체가 또 하나의 국가민속문화재이다.
1.1.5. 유산
양동의 또 다른 특징은 사람이 떠나고 마을과 건축물만 남은 사적지가 아니라 현재까지도 양반의 후손들이 자연 속에서 살고 있는 정주형 문화유산(living heritage)이라는 점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중에 이러한 정주형 문화유산은 극히 드물고 국내에서는 유일하다. 민속촌 같은 꾸며놓은 관광지가 아닌 실제 거주지인 만큼 함부로 고택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2. 역사
2.1. 기원전 ~ 삼국시대
학자들은 기원전 4세기, 못해도 삼국시대부터 이곳에 부족 단위의 마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근거로는 이곳에서 청동기 시대의 석관묘가 마을에서 출토되었다는 점, 근처에서 100여 기의 돌널무덤이 발견되었고, 이웃 마을인 안계리에서도 고분군이 발견되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삼국사기 기록상 안강읍 일대에는 음즙벌국이라는 나라가 있었으며 신라의 파사 이사금에게 정복되었다.일설에는 신라시대에 아산장씨(牙山蔣氏)가 처음 이 마을에 들어와 5, 6호의 작은 마을을 형성하였고, 그 때부터 양좌촌(良佐村)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2.2. 고려 말 ~ 조선 시대
문헌상으로 이곳에 먼저 입향했다고 기록된 인물은 손소이다. 손소가 양동마을로 오게 된 이야기는 여주이씨 문서의 경주파 문단에서 매우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손소의 고명딸과 여주이씨 이번이 혼인하여 이번이 양동마을에 재입향하여 살기 시작했다. 이번의 아들은 바로 영남학파의 근간이 된 이언적으로, 이언적 덕분에 후손들은 명문대가로서의 지위를 누리게 되었고, 그때부터 양동마을은 발전하게 되었다.양동마을 양반들은 갑술환국 이후에도, 노론에 의해 중앙 정계에서 거의 배제되다시피 한 영남 남인 가문임에도 불구하고, 문과 급제자 29명 등 총 116명의 과거 합격자를 배출했고 이외에도 수많은 학자들과 선비들이 탄생하였다.
양동마을 역사 가계도 | ||||||||
안동 권명리 | 사위 경주 손사성 | 손소 | ㅡ | 손백돈 | 요절 | |||
ㅣ | 손중돈 | 관가정→서백당 | ||||||
ㅣ | 손숙돈 | 낙선당 | ||||||
ㅣ | 손계돈 | 서백당 | ||||||
ㅣ | 손윤돈 | |||||||
ㅣ | 사위 여강 이번 | |||||||
아들 권자용 | ㅣ | ㅣ | ||||||
ㅣ | ㅣ | ㅣ | ||||||
여주 이지언 | 이성호 | 사위 안동 권자용 | ㅣ | ㅣ | ||||
ㅣ | ㅣ | |||||||
이광호 | 이상도 | 사위 풍덕 류복하 | 사위 손소 | ㅣ | ||||
여주 이춘언 | 이권 | 이숭례 | 이수회 | 이번 | ㅡ | 이언적 | 이응인 | 이의윤(무첨당) |
이의징(양졸당) | ||||||||
이의활(설천정) | ||||||||
이의잠(수졸당) | ||||||||
이언괄 | 이응기 | 이의주(향단) |
2.3. 일제강점기 ~ 현대
일제강점기때 일본인들은 이 마을의 지형이 ‘물( 勿)’자 모양의 길지여서 풍수지리에 입각한 우리의 전통 사상과 우리 강산의 기(氣)를 흐리게 하기 위해 1913년에 마을 정면에 양동초등학교를 세워 마을 지형을 ‘혈(血)’자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전한다. 또한 일본인들은 여기서도 철길을 마을 앞으로 지나가도록 만들었다고 한다지만 일본은 풍수지리라는 개념 자체를 아예 몰랐으므로 그냥 풍설. 자세한 것은 일제풍수모략설 참조.1984년 12월 24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 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7월 31일에는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안동시 하회마을과 함께 대한민국의 10번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덤으로 인근 독락당과 옥산서원도 함께 등재.[5] 특히나 2013년에는 유네스코가 1972년 선포한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협약’이 2012년 40주년을 맞아 세계 160여 나라에 산재한 981점의 세계유산 전체를 대상으로 심사한 결과 세계유산의 핵심정신인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장 잘 구현한 26개 사례 가운데 하나로 뽑히는 영광을 안았다.
3. 구조
풍수지리에 입각해 물(勿)자 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양동 내에서는 크게 골짜기 즉 곡(谷)에 따라 영역이 나뉘어진다.
- 분통골 : 마을 입구 쪽에서 보이는 가장 바깥 골짜기. 위 설명 기준으로 1번
- 갈구덕 : 분통골과 물봉골 사이로 들어가 더 뒤로 넘어감. 위 설명 기준으로 서백당이라고 쓰여 있는 글자 지역
- 물봉골 : 두 번째 골짜기 위 설명 기준으로 2번
- 거림 : 세 번째 골짜기 3번
- 안골 : 네 번째 골짜기 4번
- 하촌 또는 아릿마 : 마을회관에서 양동의 북쪽 끝단으로 이어지는 하천과 도로를 중심으로 마을회관이 속한 지역 1번 아래 평지
- 두동 : 아릿마에서 좀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도로의 오른쪽 지역. 2, 3번 아래 평지
- 장태골 : 가장 안쪽 평지 지대 4번 아래 평지
이처럼 마을 입구에서 보이는 것과 달리 규모가 워낙 커서(한국 최대 규모) 마을을 전부 돌아보려면 최소 이틀이나 사흘은 소요된다.
4. 주요 기록 문화재
4.1. 지정조격
2003년에는 뒤이어서 서술할 경주 손씨 종가 소장 고문서 사이에 끼어 있던 지정조격(至正條格)이라는 원나라 시대의 법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원혜종(順帝) 지정(至正) 6년[6]인 서기 1346년에 완성된 원의 법전으로, 손씨 종가의 고문서들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대여 위탁관리하는 과정에서 당시 한국학중앙연구원 안승준 장서각 책임연구원이 발견했다. 공개 당시에는 몽골 제국 최후의 법전이라는 타이틀로 언론에 소개되었다. 중국에서도 실전되어 전하지 않는 책으로 상당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미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법전 제정에 있어서도 지정조격을 참고할만큼 한국법제사에서도 중요한 책이다.) 2010년 3월에는 남바린 엥흐바야르 전 몽골 대통령을 비롯한 몽골 방문단이 이 '세기적 발견품'을 보겠다고 직접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기사
4.2. 통감속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283호 | |
통감속편 通鑑續編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경기도 성남시 |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
수량/면적 | 24권6책 |
지정연도 | 1995년 3월 10일 |
제작시기 | 조선 세종 4년(1422) |
[clearfix]
대한민국의 국보 제 283호. 원나라 말 명나라 초기에 집필된 중국 역사서로 조선 세종 시대인 1422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책이다. 1420년인 경자(庚子)년 세종이 주자소에서 만든 구리활자인 경자자(庚子字)로 만들어 가치가 있을 뿐더러, 무엇보다 ‘집희경지(緝熙敬止)’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는 것은 단종이 세자 시절 공부하던 자선당(資善堂)의 서적에 찍힌 도장 즉 왕의 책이라는 점에서 귀중본으로 여겨진다. 역시 경주 손씨 종가에서 소장하고 있었으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위탁 및 기증하였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4.2.1. 외부 링크
4.3. 국보 제283호
원(元)편으로 중국 고대 반고씨부터 고신씨까지 그리고 당나라 천복 1년(901)에서 송(宋)나라 상흥 2년(1279)까지의 사적을 기록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원나라 1361년에 중국에서 발간된 적이 있고, 그후 60년만에 우리나라에서 찍어냈다. 이 책의 크기는 가로 18.3㎝, 세로 29.2㎝이다.
판본은 권말에 있는 변계량의 주자발(鑄字跋)에 의하면, 세종 2년(1420) 11월에 공조참찬 이천에게 명하여 새로운 활자를 만들어서 인쇄한 경자자본으로서 세종 4년(1422)에 간행된 것이며, 서, 목록, 서례는 계미자이다. 권말에 있는 변계량의 주자발은 『통감속편』 외에도 『세종실록』 권18, 『춘정집』 권12, 『동문선』 권103에 실려있다.
이 책은 서지학 및 고인쇄기술사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판본은 권말에 있는 변계량의 주자발(鑄字跋)에 의하면, 세종 2년(1420) 11월에 공조참찬 이천에게 명하여 새로운 활자를 만들어서 인쇄한 경자자본으로서 세종 4년(1422)에 간행된 것이며, 서, 목록, 서례는 계미자이다. 권말에 있는 변계량의 주자발은 『통감속편』 외에도 『세종실록』 권18, 『춘정집』 권12, 『동문선』 권103에 실려있다.
이 책은 서지학 및 고인쇄기술사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4.4. 손소 초상
대한민국의 보물 제 1216호. 1476년 경 왕실의 도화서 화원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손소(孫昭, 1433-1484)는 양동마을 경주 손씨의 입향조이며 이언적의 외조부이다. 세조 5년 1459년 문과에 급제하고 주부, 병조좌랑 등을 지내다가 1467년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당상관인 내섬시정에 특진되었으며 이후 공조참의와 안동대도호부사, 진주목사 등을 역임했고 양민공(襄敏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5. 주요 건축문화재
5.1. 분통골
5.2. 물봉골
사진 | 설명 |
|
무첨당 대한민국의 보물 제 411호. 1510년 경 지어진 회재 이언적의 종가(宗家) 종택(宗宅)이다. 현재 종손은 17대 종손인 이지락(李址洛)씨. 이언적이 1508년 정경부인 함양 박씨와 혼인하고 1510년 외조모 풍덕류씨가 별세하면서 받은 유산으로 분가하면서 지었고, 이후 이언적 종가 종택이 되었다. 엄밀히 무첨당이라 하면 ㅁ자 모양의 대규모 살림집(안채), 이언적과 정경부인 함양 박씨의 신주를 모신 사당, 그리고 무첨당이란 이름의 별당 등 총 세 채를 모두 합한 것이지만 보물로 지정된 건축물은 이 별당이다. 별당은 종손의 학문 수련, 손님 맞이, 문중 회의, 그리고 대제(大祭) 등의 공식 행사에 사용된다. 대제는 의정부 좌찬성에 올라 영의정에 증직되어 종묘의 명종실에 배향되고, 한국 성리학 최초의 체계적인 저술을 남겨 영남학파와 남인의 태두로 추앙되며 성균관 문묘에 종사된 회재 이언적의 국불천위(國不遷位) 제사로 음력 11월 23일이다. 무첨당(無忝堂)이라는 당호는 이언적의 적장손인 이의윤(李宜潤, 1564-1597)의 호로 훌륭한 조상에게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을 살겠다는 뜻이다. 그는 일찍이 가학을 전수받고 한강 정구의 문인이 되었으며 과거시험의 1차 관문인 향시에도 합격했으나 불행히도 그 해 임진왜란을 맞았으며, 아버지인 수암공 이응인 상을 당하여 정성을 다해 상을 마쳤고, 또 이어 둘째 동생인 양졸당 이의징이 죽자 정성으로 상복을 입었다. 이후 몸이 쇠하여 1597년 34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 그의 후손들은 무첨당파를 형성하여 여강 이씨 이언적 계열의 대종가를 형성하고 있다.
이밖에도 종손 이원상(李元祥, 1762-1813)을 포함해 이재직(李在直, 1805-1837), 이능섭(李能燮, 1812-1871) 등 3대가 태어났고 문과에 급제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이능섭은
흥선대원군의 비호 하에
갑술환국 이후
영남
남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성균관 대사성을 지냈고,
경주시 태생으로는 최초로 종2품 경주부윤에 봉직했으며 이조참판 등에 올랐으나 병으로 죽었다.
경주부윤이나 일제 시대 월성군수가 새로 부임하면 반드시 예방하던 장소였고 이밖에도 수많은 명사들이 찾던 곳이었다.흥선대원군은 집권 전 무첨당을 방문하여 좌해금서(左海琴書)라는 죽편을 남겼다. '좌해'란 한양의 왼쪽 즉 영남을 말하며 '금서'는 거문고와 서책으로 정신문화와 지식을 상징한다. 영남의 대표 가문이란 소리다. 지금은 도난 위험으로 사본을 걸어놨다. 다른 한편 청나라 형부상서를 지낸 문신이자 명필로서 조선 사신이기도 했던 문각공(文恪公) 조광(趙光, 1797-1855)은 경복궁과 창덕궁 낙선재 등 여러 조선 궁궐 건물에 현판을 남겼는데, 이능섭의 부탁 등을 겸해 물애서옥(勿厓書屋)이라는 현판을 남겼다. '물애'는 무첨당이 위치한 물봉골이며 '서옥'은 학문하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조선 제일의 반촌 중 하나라는 점을 상징한다. |
5.3. 거림
사진 | 설명 |
|
수졸당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 78호. 1616년 이언적의 넷째 손자인 수졸당 이의잠(守拙堂 李宜潛, 1576-1635)이 분가하면서 지었으며, 사당을 보유한 여주 이씨 수졸당파의 파종가이다. 당호인 수졸은 졸렬함과 어리석음을 지키는, 분수를 안다는 뜻이다. 이의잠은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불과 17세의 나이로 경주시의 왜구를 토벌했다. 1595년 창의해 의병을 일으켰고, 1596년에는 곽재우 등과 함께 제1차 팔공산회맹(八公山會盟)에 참가했다. 종전 후에는 형과 함께 박성, 정경세, 조호익에게서 수학하였다. 1612년 소과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항복에게 이언적의 묘지(墓誌)를 찬하기를 부탁했다. 1623년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고 같은 해 하양현감으로서 외직을 나갔다. 그러나 이후 사직하여 양동마을에서 가학의 전수와 자손의 번창에 힘썼고 경주 옥산서원 원장을 역임하다가 별세했다. 정조 때 사헌부 대사헌, 예조참판 등을 지내고 기로소에 든 이의잠의 주손 양한당 이정규(養閒堂 李鼎揆, 1735-1810)가 태어나고 살던 곳이기도 하며, 그가 사랑채를 증축하였고 양한당이라는 현판을 남겼다고 한다. |
5.4. 안골
사진 | 설명 |
|
서백당 경주 손씨 손소-손중돈 종가. 국가민속문화재. 2017년 2월에 송첨종택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
|
상춘헌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 75호. 수졸당 이의잠의 증손으로, 경종 때 소과에 입격하여 생원이 된 이덕록(李德祿, 1677-1743)이 1730년 경 건립하였으며, 그의 증손이자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해 사간원 대사간을 역임한 창애 이정덕(蒼厓 李鼎德, 1752-1801)이 살았던 곳이다. 그가 사랑채 동편 언덕 위에 터를 닦아 사당을 증축하였다. 사랑채의 마당 위쪽에 깎아서 이루어진 암벽에서 사당의 담까지는 계획적으로 조성된 3단의 화단이 있고, 암벽에는 상춘대(賞春臺)라는 세 글자가 새겨져 있다. 집의 이름을 상춘헌이라 한 것은 1910년대에 이 집을 사서 살던 이덕록의 후손인 이석찬(李錫贊, 1897-1963)의 호가 상춘헌이기 때문이다. |
|
해저고택 외무부 장관을 지낸 이원경의 큰 집. 해저고택이라 불리는 이유는 경북 봉화군 해저리에 살던 의성 김씨 규수가 시집왔기 때문. |
6. 교통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2시간 내에 경주역이나 포항역에 도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바로 버스를 타고 갈 수 있다. 포항시에서 오는 경우 5000번을 타고 포항터미널에서 내려서 600번을 타고 강동~안강 구간 아무데서나 내리면 203번을 타고 갈 수 있다. 경주시 안강읍에서 포항시로 넘어가는 길목에서도 빠져서 갈 수 있다. 위치상 경주의 다른 관광지가 많이 몰려있는 경주 시가지 쪽과는 거리가 먼 편이고 오히려 포항 시가지에서 더 가깝다.
위에 나와있는 시간표는 마을 안쪽까지 들어가는 203번 시간표이다. 배차가 그렇게 좋지는 않으므로 시간이 맞지않으면 경주 시내에서는 안강행 노선인 200, 201~208, 212, 217번 버스, 포항에서는 600번을 타고 양동마을 입구에 내려 걸어가면 된다. 정류장에서 마을초입부까지 약 10~1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차를 타고 올 경우 서울 기준으로는 경부고속도로- 신갈JC- 영동고속도로- 여주JC- 중부내륙고속도로- 낙동JC- 상주영천고속도로- 동영천IC- 28번 국도로 가는 게 가장 빠르다. 영천에서 안강/포항까지 28번 국도가 잘 닦여 금방간다.
과거 포항 측에서 접근하려면 악명높은 외팔교를 건너야했으나, 현재는 유강터널로 이설되어 안전하게 포항에서 양동마을로 갈 수 있다.
마을 입구 바로 근처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양자동역이 있었지만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선로가 이설되어 폐지되었다. 가장 가까운 안강역에서 내려서 차로 5분 가량. 203번은 배차가 좋지 않으며, 택시를 타면 높은 확률로 바가지를 씌운다.[7]
마을 주민이나 출향한 후손들 이외에는 차량은 커녕 자전거도 진입이 불가하다. 양동마을이 길이 협소하여 안전사고등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마을 입구에 주차장이 있으니 거기에 주차를 하고 움직이면 된다. 단 타지인 차량이더라도 마을 주민이 동승했다면 들여보내준다.
7. 입주민들의 이탈
현재도 사람이 살고 있지만 문화재기 때문에 문화재청의 여러 간섭으로 사람들이 떠나고 있다. 예를 들어 판기와 였던 집도 기와집으로 바꾸려 하자 초가집으로 해야한다고 하고 원래 초가집인 곳도 마찬가지로 기와로 바꾸지도 못한다고 한다. 결국 집을 놔두고 아파트로 이사가는 주민이 늘면서 관리가 안된 집도 늘어났다. 이대로라면 민속촌이 될 판, 과거와 현재의 공존을 위해 주민과 문화재청이 합의를 봐야할 부분이다.
8. 사건사고
2017년 포항 지진으로 고택들이 다수 피해를 입었다.대한민국의 보물 제 411호이자 이언적 종갓집인 무첨당 별당의 마루기와가 탈락했다. 한국의 목조 건축 살림집 가운데 가장 오래됐으며, 임진왜란에도 살아남았던 서백당 담장 기와가 무너졌다. 여주이씨의 파종가이자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 78호 수졸당은 행랑채 벽이 균열되었으며 기와가 흘러내렸다.
경주 양동마을 수졸당 행랑채 |
수졸당의 증손이자 경주사마소를 중건한 동고 이덕록의 큰집인 삼산고택은 담장 기와가 무너져내렸다. 이밖에 두곡고택의 담장 벽체가 훼손되고 사호당고택의 와구토가 탈락하는 등 양동마을 내 안골, 물봉골, 아릿마 등 거의 전 지역의 고택이 피해를 입었다.
9. 여담
경주 지역의 토종견종인 꼬리가 없는 동경이를 키우는 집들이 있는데 아무 사람 말이나 잘 듣는 견종 특성상 지나가는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는다.은근히 길고양이들이 많다. 대부분 중성화된 녀석이고, 마을 사람들에게 손을 타서 인지 관광객들을 보고 크게 도망가지 않는다. 심지어는 러시안블루도 한마리 돌아다니고 있다.
양동초등학교를 지나 본격적으로 마을이 시작되는 곳에 다다르면 '오동나무집 식당'이 있는데 간판을 특이하게 써놔서 '오나집 동무식당'으로 보인다. 은근히 양동마을의 랜드마크처럼 대우받는다.
양동마을 뒷쪽으로 가면 '안계저수지'라는 큰 저수지가 있다.
엠넷의 예능 프로그램 유학소녀 6회에서 출연자들이 양동마을에 방문하여 문화체험을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tvN 예능 프로그램 바퀴 달린 집 시즌 2 5~6화에서 캠핑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하지만 이는 방송 목적의 허가지 외부인들은 캠핑은 고사하고 일반 승용차도 진입하기 어렵다.
마을 입구에 양동초등학교가 있는데, 경주답게 한옥 디자인에 지붕이 기와로 덮여 있다.
양동마을 인근에는 옥산서원과 동강서원이 소재해 있으며 특히 옥산서원의 경우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0. 둘러보기
경주시의 관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 경주읍성 ‧ 동궁과 월지 ‧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 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 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 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 분황사 ‧ 월정교 ‧ 일정교 ‧ 황룡사지 ‧ 황리단길 ‧ 경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 |
북부 유교문화권 | 양동마을 ‧ 옥산서원 ‧ 운곡서원 | ||
송화산 | 김유신장군묘 ‧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 ||
소금강산 | 백률사 ‧ 소금강산 ‧ 탈해왕릉 ‧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
남산 | 남산 ‧ 나정 ‧ 망덕사지 ‧ 배동 삼릉 ‧ 오릉 ‧ 포석정 ‧ 서출지 ‧ 배동 삼릉 ‧ 용장사곡 삼층석탑 ‧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 ||
낭산 | 사천왕사지 ‧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 ||
토함산 | 토함산 ‧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 석굴암 ‧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 ||
배반동 | 효공왕릉 ‧ 수오재 | ||
동해안 |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 ‧ 이견대 ‧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 ||
보문관광단지 | 보문관광단지 ‧ 경주월드( 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 ‧ 강동워터파크 ‧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 ||
교통 | 경주역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
기타 | 골굴사 ‧ 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 ‧ 진덕여왕릉 ‧ 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 |
[1]
하회마을
[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3]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4]
2010년 7월 25일~8월 3일
[5]
옥산서원은
2019년
7월 6일에 '
한국의 서원'이란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여담으로 이와 비슷하게 세계문화유산에 중복 등재된 곳은
류성룡을 배향한 안동의
병산서원.
[6]
고려 충목왕(忠穆王) 2년이다.
[7]
이는 경주 택시 전체의 문제다. 하지만 파훼법이 있기 마련인데, 카카오 택시 등 호출택시를 부르면 된다. 이 경우 알짤없이 메터기 요금이 청구되기 때문에 바가지 요금을 요구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