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22:25:12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숭례문
  1.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2.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3. 여주 고달사지 승탑
  4.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5.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6.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9.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10. 익산 미륵사지 석탑
  11.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1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13. 영천 거조사 영산전
  14. 안동 봉정사 극락전
  15.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6.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17.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8. 영주 부석사 조사당
  19. 경주 불국사 다보탑
  20.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21.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22.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23. 경주 석굴암 석굴
  24.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1.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3.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4. 충주 고구려비
  5.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6.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7.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
  8. 보협인석탑
  9.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10.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1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12. 금동탑
  13.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1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 31
  15. 정선필 인왕제색도
  16. 정선필 금강전도
  17. 아미타삼존도
  18.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19.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20.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21.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22. 경복궁 근정전
  23. 경복궁 경회루
  24. 창덕궁 인정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220호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靑磁 象嵌龍鳳牡丹文 盒 및 托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면적 1조
지정연도 1984년 8월 6일
제작시기 고려 시대(13세기)
파일:국보220호청자상감용봉모란문합및탁.jpg
<colbgcolor=#315288>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국보 제220호

[clearfix]

1. 개요

靑磁 象嵌龍鳳牡丹文 盒 및 托.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고려청자 대접 세트로 대접과 뚜껑, 대접 받침, 숟가락까지 해서 한 세트를 이룬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이라는 이름은, 상감 기법으로 봉황, 모란 무늬를 새겨 넣은 청자로 된 대접과 그 받침이라는 것이다.

삼성 이병철 전 회장이 소유하고 있던 골동품 가운데 국보 등과 같은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대다수 유물들이 그렇듯이,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도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현재로선 전혀 알 수 없다. 하지만 본 청자 대접 세트는 대접과 대접 뚜껑, 대접 받침에다가 수저까지해서 온전하게 한 세트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대단히 높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대접과 뚜껑, 받침의 내부와 외부에 조형된 장식들도 수준이 아주 높고 대단히 호사스럽다는 점에서 고려의 지배층이 사용한 식기구로 보이는데, 화려했던 고려 귀족 사회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유물이기도 하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전체 세트로 묶여서 국보 제22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삼성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전체 높이 약 19cm, 대접의 입지름은 18.5cm 크기이다. 문화재명에서 가리키는 합(盒)은 뚜껑이 달린 음식을 담는 그릇을 말하는데, 본 유물은 숟가락까지 세트로 온전히 전해진다는 점에서 실제로도 음식을 담는 그릇 용도로 만들어져 쓰였을 것으로 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세트를 이루는 각 기구들에 새겨진 장식은 상감 기법으로 조형된 것이다. 상감 기법이란 흙으로 도자기를 빗어낸 뒤에 칼로 흙 표면에 홈을 파서 문양을 새기고 이 홈을 백토(하얀 흙)나 흑토(검은 흙)와 같이 색이 있는 흙으로 채우고 유약을 발라 도자기를 구워서 완성시키는 방식의 세공 기술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주로 백토 상감이 쓰였지만 흑토도 간간히 섞어서 쓰고 있다. 그리고 이 상감 장식은 대접, 뚜껑, 받침에 모두 섬세하게 새겨져 있다.

대접 내부
본체인 대접은 운두가 큰 그릇으로, 그릇의 내부와 외부에는 모두 상감 기법으로 꾸민 화려한 장식이 새겨져 있다. 대접 내부 표면은 백토 상감 기법으로 번개 무늬 띠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네 마리의 봉황이 장식됐고 대접 밑바닥에는 둥근 원 모양의 모란 무늬와 원 안에는 봉황 두 마리가 새겨져 있다.

대접 외부 표면은 상하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에는 띠를 두르고 띠 아래에는 구름 무늬를 새겨넣었고,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국화 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두 겹의 원 안에 들어간 모란 문양으로 포인트를 줬는데 이 모란도 백토와 흑토로 상감(흑백상감)하여 또 포인트를 줬다. 외부 표면 역시 모두 상감 기법으로 장식되어 있다.

대접 뚜껑 외부
대접의 뚜껑은 대접과는 다른 문양이지만 역시나 섬세하고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우선 뚜껑 표면의 맨 위에는 짐승형의 꼭지가 달려있는데, 이 짐승은 다람쥐 또는 작은 용으로 보고 있다. 뚜껑은 꼭지를 중심으로 해서 동심원을 그리며 여러 띠가 구성되어 있는데, 꼭지에서 가장 가까운 동심원은 흑백상감으로 연꽃 무늬 띠를 이루고 있다. 다음 동심원은 백토로 물결 무늬 띠를, 물결 무늬 띠 밖으로는 용 두 마리와 봉황 두 마리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모습(용봉문)을 역시 백토로 조형하였고 테두리를 원점 무늬(안에 작은 점이 찍힌 원의 모양) 띠로 달았으며, 뚜껑 가장자리는 번개 무늬 띠를 새겨놨다.

대접 뚜껑 내부
또한 뚜껑도 외부 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문양을 장식했다. 뚜껑 내부 천장에는 흑백상감으로 장식된 모란 꽃 한 송이가 있고, 이 주위로 두 겹의 동심원을 그리면서 내부 원에는 연꽃 무늬 띠를, 외부 원에는 원점 무늬 띠를 만들어놨다. 동심원 밖으로는 두 마리 씩 쌍을 지은 총 여덟 마리가 구름 사이를 날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두 겹의 원 안에 들어간 모란 문양 네 개가 학 한 쌍과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뚜껑에서 한 가지 눈길을 끄는 부분은 가장자리 한 쪽 구석의 이가 빠져 있다는 것인데, 이 부분은 소실된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빠져 있던 것으로 뚜껑을 덮은 상태로도 그릇에 숟가락을 꽂아 넣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살린 것이다. 이를 통해 숟가락 역시 원래의 한 세트임이 드러난다.

파일:국보220호청자상감용봉모란문합및탁받침상면.jpg
대접 받침 윗면
대접 받침은 안이 비어 있는 굽 위에 쟁반형의 받침이 올라가 있는 형태인데, 받침에도 역시 상감 장식이 새겨져 있다. 받침의 윗면의 장식은 대접 뚜껑 표면 장식과 흡사한데, 용 두 마리와 봉황 두 마리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모습이다. 가장 테두리에는 번개 무늬 띠가 있고 띠 안쪽으로는 용봉문이 새겨져 있다. 안이 비어 있는 굽의 내부의 중심에는 모란 꽃 한 송이가 있으며 모란 주위로 물결 무늬를 새겨놨다.

대접 받침 아랫면
받침 아랫면은 대접 내부 표면과 비슷한 장식을 해놨는데 여기는 번개 무늬 띠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네 마리의 봉황이 새겨져 있다. 아랫면에 붙어 있는 굽의 몸통에도 연꽃 무늬를 장식해놨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에 딸려있는 숟가락은 금속제로 손잡이 부분은 구부러져 있고 그 끝에 꽃봉오리 모양으로 마무리를 해서 포인트를 주었다.
파일:국보220호청자상감용봉모란문합및탁전체.jpg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전체 세트
이와 같이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전체적으로 상감 장식이 되어 있고, 그 문양과 장식도 대단히 다양하여 당시 존재하던 문양이 모두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렇게나 섬세한 조형 정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본 청자 대접 세트는 최소 고려의 귀족층 또는 왕족이 사용할 목적으로 특별히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세트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는 점에서 보존상태가 아주 우수하고, 미적인 아름다움과 고려시대의 높은 청자 제작 공예 수준을 보여주며, 화려한 고려 귀족 문화를 보여준다는 점 등의 가치를 인정 받아 1984년 8월 6일 국보 제220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국보 제220호

고려시대 만들어진 뚜껑있는 청자대접으로 높이 19.3㎝, 아가리 지름 18.5㎝, 밑 지름 6.8㎝이다.

뚜껑과 받침, 수저까지 완전하게 갖추어진 유물로서, 뚜껑에 다람쥐 모양의 꼭지를 만들었다. 다람쥐를 중심으로 그 아래에 흑백상감의 겹 연꽃무늬 띠와 물결무늬 띠를 두었고 그 밑으로 봉황과 용을 새겼다.

그릇 안에 수저를 꽂았을 때 뚜껑과 사발의 사이가 뜨지않도록 뚜껑의 한쪽 귀퉁이에 홈을 파 놓았으며, 대접 아가리의 가장자리에는 번개무늬 띠를 두르고 그 아래로 학과 구름무늬를 규칙적으로 새겼다. 표면에는 두 겹의 원을 그리고, 그 안에 모란을 흑백상감으로 장식하였으며 나머지 여백은 국화 무늬로 메우고 있다. 유약은 부분적으로 황록색을 띠지만 대체로 맑은 편이다.

뚜껑, 대접, 받침 전면에 걸쳐 상감되어 있는 문양 표현이 돋보이며, 당시의 상감문양이 거의 망라되어 있어 이 유물이 왕족 계층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