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219호 | |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立壺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 한남동) |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 |
수량/면적 | 1개 |
지정연도 | 1984년 8월 6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15세기) |
1. 개요
白磁 靑畵梅竹文 立壺.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는 조선 세조 재위 시기에 왕의 명으로 광주 분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청화백자다.현재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국보 제219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높이 41cm, 입지름 15.7cm, 밑지름 18.2cm.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는 현존하는 조선백자 가운데 크기도 제일 큰 편에 속하고 외형에 손상이 없이 아주 깨끗하며 아름다운데, 보존 상태가 보통 좋은 편이 아니라 최상급인지라 가짜 논란이 있기도 했다.굽 아래에 가는 모래를 받친 후 고운 담청색 백자 태토를 구운 작품으로, 우리나라에서 청화백자가 처음 생산되기 시작하던 경기도 광주 지역의 도마리·무갑리 등의 가마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윤곽선을 먼저 그리고, 그 안에 색을 칠하는 구륵진채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런 제작 방식과 백자 양식을 보았을 때 청화백자 개발 초기인 조선 세조 시기(15세기 중엽 초기)에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세조 9년(1463)부터 1460년대 말까지 『세조실록』에 보이는 회회청 개발과 시험구이에 관한 내용은 당시 조선 왕실에서 사용할 청화 백자를 기존과는 달리 더 이상 중국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제작하겠다는 노력을 기록한 것이었다. 특히 세조 연간에는 중궁전 주방에서도 청화 백자를 사용하게 될 정도로 궁중에서 청화 백자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광주 분원에서도 다수의 청화백자를 번조하였는데, 그 때 만들어진 초창기 작품 중 하나이다.
문양의 표현 기법과 색, 형태 면에서 매우 아름다운 항아리로 유명하다. 이렇게 매화와 대나무, 매화와 소나무, 소나무와 대나무가 '×'자로 교차되어 등장하며, 회화성이 강한 이들 문양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은 15세기 한국의 청화백자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양식이다. 세조 당대에는 많은 양을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3. 기타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와 똑같은 청화 백자 항아리 동체 파편이 서울 관철동에서 공사중에 출토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 외부 링크
5. 국보 제219호
조선 전기에 제작된 높이 41㎝, 아가리 지름 15.7㎝, 밑 지름 18.2㎝인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아가리는 안으로 약간 오므라들었으며, 몸통 윗 부분이 불룩하고 아랫 부분이 잘록하게 좁아졌다가 살짝 벌어진 형태이다. 아가리 맨 윗쪽에 두 줄의 가로선이 있고, 그 아래에 꽃무늬와 이중의 원무늬를 번갈아 그렸고 아랫쪽으로 다시 한 줄의 가로선을 둘렀다.
어깨 부위에는 장식적이면서 화려한 연꽃무늬가 있고, 굽 바로 위쪽에도 같은 문양을 배치하였다. 중심 문양으로는 매화와 대나무가 몸통 전체에 그려졌는데, 가지가 교차하는 매화와 그 사이사이의 대나무 표현이 세밀하며 뛰어나다. 특히 윤곽선을 먼저 그리고, 그 안에 색을 칠하는 구륵진채법이 돋보인다.
이 백자는 문양의 표현 기법과 색, 형태 면에서 아름다운 항아리이며, 구도와 소재면에서 중국 명나라 청화백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15세기 중엽 초기에 경기도 광주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가리는 안으로 약간 오므라들었으며, 몸통 윗 부분이 불룩하고 아랫 부분이 잘록하게 좁아졌다가 살짝 벌어진 형태이다. 아가리 맨 윗쪽에 두 줄의 가로선이 있고, 그 아래에 꽃무늬와 이중의 원무늬를 번갈아 그렸고 아랫쪽으로 다시 한 줄의 가로선을 둘렀다.
어깨 부위에는 장식적이면서 화려한 연꽃무늬가 있고, 굽 바로 위쪽에도 같은 문양을 배치하였다. 중심 문양으로는 매화와 대나무가 몸통 전체에 그려졌는데, 가지가 교차하는 매화와 그 사이사이의 대나무 표현이 세밀하며 뛰어나다. 특히 윤곽선을 먼저 그리고, 그 안에 색을 칠하는 구륵진채법이 돋보인다.
이 백자는 문양의 표현 기법과 색, 형태 면에서 아름다운 항아리이며, 구도와 소재면에서 중국 명나라 청화백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15세기 중엽 초기에 경기도 광주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