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2:39

예산 수덕사 대웅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숭례문
  1.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2.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3. 여주 고달사지 승탑
  4.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5.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6.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9.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10. 익산 미륵사지 석탑
  11.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1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13. 영천 거조사 영산전
  14. 안동 봉정사 극락전
  15.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6.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17.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8. 영주 부석사 조사당
  19. 경주 불국사 다보탑
  20.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21.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22.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23. 경주 석굴암 석굴
  24.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1.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3.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4. 충주 고구려비
  5.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6.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7.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
  8. 보협인석탑
  9.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10.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1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12. 금동탑
  13.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1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 31
  15. 정선필 인왕제색도
  16. 정선필 금강전도
  17. 아미타삼존도
  18.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19.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20.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21.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22. 경복궁 근정전
  23. 경복궁 경회루
  24. 창덕궁 인정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external/www.cha.go.kr/1612236.jpg
수덕사 대웅전 전경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49호
예산 수덕사 대웅전
禮山 修德寺 大雄殿
소재지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시설 1동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 고려 충렬왕 34년(1308)

1. 개요2. 내용
2.1. 상세2.2. 수덕사 대웅전 벽화
3. 외부 링크4. 국보 제49호

[clearfix]

1. 개요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수덕사 대웅전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건축 시기가 명확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며, 한반도 목조건축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재이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은 수덕사 대웅전보다 앞선 시기에 건립됐다 보지만, 두 건물이 언제 건립되었다는 기록은 남은 것이 없고 중수 기록만 전해져서 정확한 건립연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봉정사 극락전과 부석사 무량수전은 중수 기록과 건축양식 등을 통해 대략적으로 건립연대를 추정하여 수덕사 대웅전보다 앞서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1962년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2.1. 상세

수덕사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4칸으로 된 목조건물로 단층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맞배지붕[1]으로 만들어진 주심포 건물이다.[2]

수덕사 대웅전의 건립연대는 고려 충렬왕 34년(1308)이다. 이와 같이 수덕사 대웅전의 건축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이유는 일제강점기인 1936-40년에 걸쳐서 대웅전을 완전 해체수리하던 중 대들보에서 건립연대를 적은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3] 물론 1308년 건립한 후 일제강점기까지 한 번도 수리가 없던 것은 아니고, 조선시대에도 수차례 수리했다.

수덕사 대웅전의 외형은 아주 특별난 것은 없고 오히려 단순한 편이지만, 크게 눈에 띄는 별다른 장식 없이 단정하고 정숙하여 고려시대 목조건축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건물의 맞배지붕이 상당히 장중한 인상을 줘서 무게감까지도 느껴지지만, 건물의 기둥을 한반도의 특징적인 고중세 목조건축 양식인 배흘림기둥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는 무게감을 약화시키고 안정적으로 보이게끔 한다. 이에 대해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다음과 같이 평하기도 했다.
수덕사 대웅전을 앞마당 아래쪽에서 정면 정관으로 올려다보면 지붕골이 아주 길고 높아서 지붕의 하중이 대단히 위압적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더욱이 이 지역 백제계 건축들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것이 특징인바 그로 인하여 위압적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저 팽팽한 팽창감의 배흘림기둥이 탄력있게, 어찌 보면 상큼하게 지붕을 떠받치고 있어서 우리에게 하등의 시각적 불편이나 무리를 느끼게 하지 않는다.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 남도답사 일번지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현존하는 목조건축물 중에 건립 연도가 명확한 가장 오래된 건물로서 절대 연도가 확실하여 한반도 건축사 연구에 중심이 되는 기준 중 하나를 제공하며, 대웅전 건물 그 자체로서도 고려 목조건축의 형태적인 아름다움이 잘 보존된 점과 같은 가치를 높이 인정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었다.

2.2. 수덕사 대웅전 벽화

앞서서 대웅전에 벽화가 있었다고 잠시 언급되었는데,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이는 현전하지 않는다. 수덕사 대웅전의 벽화는 발견 당시 부석사 조사당 벽화와 함께 고려시대의 불교 벽화 작품으로는 유이하게 남은 대단히 귀중한 유물이었는데,[4][5] 대웅전 해체 수리 중의 벽화 발견 당시에도 이미 작품의 여러 군데가 세월의 흐름을 이기지 못하고 떨어져 나간 상태였다. 또한 벽화 전체적으로도 그림 형상들이 희미하게 남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적인 한계로 인해 벽화는 딱히 별다른 보존 처리 없이 벽과 함께 통째로 떼어진 채로 경내에 그냥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해방 이후 정확한 시기도 모를 언제인가 벽화가 완전 소실되어버렸다.[6]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 당시에 벽화를 촬영한 사진과 벽화를 모사해서 그린 모사도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벽화 사진은 18점이 남았는데 대웅전 해체수리의 공사감독이었던 오가와 게이기치(小川敬吉)가 찍은 것이고, 벽화 모사도는 고미술사가이자 동양화가였던 임천(林泉)이 꼼꼼하게 40개를 그린 것이다.[7] 하지만 임천이 그린 모사도 중 일부는 일본인들이 가져갔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모사도의 일부와 사진은 모두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8]
파일:PS01001001_kno01_kno00218.jpg
수덕사 대웅전 벽화 중 공양화의 모사도
전해지는 사진과 모사도를 통해서 추측해보면, 수덕사 대웅전의 벽화는 벽 전면에 크게 그린 대형 벽화가 아니라 벽과 기둥, 또는 대들보 사이에 있는 여백을 채우는 소형 벽화였고, 여기에는 불상과 비천상, 공양화, 나한, 극락조 등이 묘사됐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공양화 그림이 특히 유명한데, 일종의 정물화로서 화려하지만 정갈한 꽃꽂이를 섬세하고 아름답게 묘사한 작품이었던 듯하다.

또한 수덕사 대웅전의 벽화는 고려시대의 벽화만 있던 것이 아니라 조선시대에 그려진 벽화도 함께 있었다. 조선시대에 그려졌던 벽화는 다섯 부처를 그린 오불도(五佛圖)로 그림의 중앙에는 석가여래를, 석가여래의 양옆에는 보살을 그리고 양쪽 끝에는 일월광불(日月光佛)을 그렸다.[9]

비록 원본은 소실되긴 했으나 사진과 모사도와 같은 기록이 남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긴 하다. 하지만 만약에 수덕사 대웅전의 벽화 원본이 현대까지 보존되었다면 부석사 조사당 벽화와 함께 현전하는 유이한 고려의 불교 벽화 작품이자 고려와 조선의 불교 벽화를 함께 볼 수 있는 대단히 드문 유물로서 당연히 국보로 지정됐을 귀중한 작품이었다.

3. 외부 링크


4. 국보 제49호

수덕사는 덕숭산에 자리잡고 있는 절로, 절에 남겨진 기록에는 백제 후기 숭제법사가 처음 짓고 고려 공민왕 때 나옹이 다시 고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또 다른 기록에는 백제 법왕 1년(599)에 지명법사가 짓고 원효가 다시 고쳤다고도 전한다.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은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지은 건물로,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의 하나이다. 앞면 3칸·옆면 4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앞면 3칸에는 모두 3짝 빗살문을 달았고 뒷면에는 양쪽에 창을, 가운데에는 널문을 두었다.

대웅전은 백제 계통의 목조건축 양식을 이은 고려시대 건물로 특히 건물 옆면의 장식적인 요소가 매우 아름답다. 또한 건립연대가 분명하고 형태미가 뛰어나 한국 목조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재로 평가 받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맞배지붕은 지붕 양식 중 하나로 옆면을 보았을 때 팔(八)자형으로 된 지붕면이 크게 노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두산백과 - 맞배지붕 [2] 주심포(柱心包)는 목조건축의 한 가지 방식으로 한반도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이다. 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주심포 [3] 참고문헌에 따라서는 1928년 대웅전의 단청을 새로 칠할 때 발견된 벽화 뒤에서 至大元年 武申 四月十七日 立柱(지대원년 무갑 사월십칠일 입주)라는 묵서명이 발견되었다고도 한다. 출처: 한국건축사 - 수덕사 대웅전 [4] 애초에 벽화로만 한정할 것도 없이 회화 전체로 그 범위를 넓혀봐도, 고려의 회화 작품 자체가 불교 회화를 제외하면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것이 몇 점 되지 않는다. 고려 이전의 회화 작품은 무덤 벽화, 암각화 및 장례용 부장품에 그려진 것을 제외하면 지금까지 제대로 전해지는 것이 실질적으론 단 한 개도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5] 지금까지 전해지는 신라의 회화 작품은 영주시 지역에 위치한 고분 벽화 2점과 장례용 부장품인 천마도를 제외하면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에 그려진 변상도와 초화문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는 안타깝게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진 않다. 그나마 이거라도 있는게 다행이지만.. 그래도 범위를 넓힌다면 암각화 및 비문에 새겨진 그림이 몇 점 남아 있긴 하다. [6] 아마도 해방공간의 혼란한 때나 혹은 6.25 전쟁의 난리통에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7] 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임천 [8]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건립 연대를 알 수 있는 한국 최고의 목조 건축, 수덕사 대웅전, 한국 미의 재발견 불교회화 - 수덕사 대웅전 벽화 모사도 [9] 출처: 두산백과 - 수덕사 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