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7:59:19

병산서원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
병산서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 다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6px -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강원권 원대리 자작나무 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 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 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 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 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 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 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 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 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 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 독도 | 불국사 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3px solid 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margin-top: -12px; margin-bottom: -7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60호
<colbgcolor=#315288> 안동 병산서원
安東 屛山書院
Byeongsanseowon Confucian Academy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 / 면적 27,251㎡
지정연도 1978년 3월 31일
건축시기 1572년 ( 선조 5년)
관리자
(관리단체)
안동시 }}}}}}
파일:attachment/BSSWM.jpg
<colbgcolor=#7a3a2c> 병산서원
1. 개요2. 역사3. 구조
3.1. 복례문(復禮門)3.2. 광영지(光影池)3.3. 만대루(晩對樓)3.4. 동직재(動直齋), 정허재(靜虛齋)3.5. 입교당(立敎堂)3.6. 신문(神門)3.7. 존덕사(尊德祠)3.8. 장판각(藏板閣)3.9. 전사청(典祀廳)3.10. 고직사(庫直舍)3.11. 달팽이 뒷간
4. 제향 인물5. 향사6. 교통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위치한 서원이다. 류성룡과 관계가 있는 서원이며, 도산서원과 함께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배산임수 한국 건축의 철학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근래에는 만대루를 비롯한 건축물과 주변 풍경의 아름다움으로 이름이 높다. 특히 '병산'이라는 이름처럼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있다. 비 온 뒤의 안개와 고즈넉한 분위기가 절경이다.

1978년 사적 제260호로 지정되었다.

옥산서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중복으로 등재되어 있는데 2010년 7월 31일에 하회마을의 일원으로 먼저 등재되었으며 2019년 7월 6일에는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도 등재되어 세계유산 2관왕이 되었다.

2. 역사

고려 시대의 사림의 교육 기관인 풍산현의 풍악서당(豊岳書堂)을 선조 5년(1572년)에 류성룡이 안동으로 옮겨왔고, 이후 1614년에 병산서당으로 개칭되었다. 철종 14년(1863년)에 사액(賜額)되어 서원으로 승격하였다.

고종 5년(1868년)에 벌어진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령이 내렸을 때에도 가치있는 47개 서원으로 지정되어 훼철(毁撤)되지 않고 보호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대대적인 보수가 행해지면서 강당은 1921년에, 사당은 1937년에 각각 다시 지어졌다.

대한민국의 서원 중에서 유일하게 교육기관으로서의 명맥을 이어나가는 곳이다. 후학들이 돈을 모아 비교적 교통이 편한 안동시 풍산읍에 풍산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공식적인 후신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3. 구조

3.1. 복례문(復禮門)

파일:복례문.jpg
<colbgcolor=#7a3a2c> 복례문
병산서원에 들어가기 위한 외삼문. 이름은 논어의 구절 중 '일일극극기복례 (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에서 따 지었다. 병산서원의 외삼문이자 출입문이며, 병산서원의 첫인상이 되는 공간이다.

3.2. 광영지(光影池)

파일:광영지.jpg
<colbgcolor=#7a3a2c> 복례문
외삼문과 만대루 사이의 공간에 조성한 부속 정원. 이름은 주자의 관서유감 시의 '천광운영공배회 (天光雲影共徘徊)'에서 따 지었다.

전통적인 천원지방(天圓地方) 형태의 연못으로, 베롱나무 한 그루가 옆에 심어져 있다.

3.3. 만대루(晩對樓)

파일:병산서원 만대루.jpg
<colbgcolor=#7a3a2c> 만대루
복례문과 광영지를 지나면 나오는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의 누각이다. 이름은 두보의 시인 「백제성루(白帝城樓)」에 나오는 구절 '취병의만대 (翠屏宜晚對)'에서 따왔다. 공부하던 유생들의 휴식 공간이었다.

건립시기는 전해지지 않지만, 존덕사와 함께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계단은 통나무를 깎은 특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단은 자연석을 쌓아 조성하였으며, 1층 공간의 기둥은 18개의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2020년 12월 2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104호로 지정되었다.

3.4. 동직재(動直齋), 정허재(靜虛齋)

<colbgcolor=#7a3a2c> 동직재
<colbgcolor=#7a3a2c> 정허재
동·서재 기숙사이다. 두 건물이 입교당과 만재루 사이 마당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이다.

두 건물은 똑같이 작은 2개의 방과 가운데 1칸 마루로 구성되었다. 강당쪽의 작은 방은 학생회장격인 유사(有司)의 독방이거나 서적을 보관하는 장서실이다. 2칸 규모의 큰 방은 학생들이 단체로 기거하는 방이었다. 동재에는 상급생들이, 서재에는 하급생들이 기거하였다.

3.5. 입교당(立敎堂)

파일:병산서원 입교당.jpg
<colbgcolor=#7a3a2c> 입교당
강의와 토론이 열렸던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강당. 병산서원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이름은 소학 중 「입교」편에서 따 지었다.

마루에 해당하는 강학당과 양쪽에 위치한 온돌방 협실 2개로 이루어져 있다. 마루 양쪽의 협실인 명성재와 경의재는 교사들이 지내는 곳으로 현대 학교의 교무실에 해당한다. 그 중에서도 명성재는 원장실, 경의재는 부원장실 혹은 교무실에 해당한다. 이름은 각각 중용 제21장, 주역 문언전에서 따왔다.

3.6. 신문(神門)

파일:병산서원 신문.jpg
<colbgcolor=#7a3a2c> 신문
사당의 출입문 역할을 하는 정면 3칸 규모의 솟을대문 형태의 내삼문.

특이하게 외삼문 중앙 두 기둥에 주역의 8괘를 그려놓았는데, 병산서원 측에서는 이를 '서애 선생의 일생과 그 시기의 시대적인 분위기를 나타낸 것'이라 설명했다.

3.7. 존덕사(尊德祠)

파일:병산서원 존덕사.jpg
<colbgcolor=#7a3a2c> 존덕사
서애 류성룡과 셋째 아들인 수암 류진의 위패를 모신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사당이다. 이름은 중용에 나오는 구절 '존덕성이도문학 (尊德性而道問學)'에서 따왔다.

본래 서당이었던 이곳을 서원까지 끌어올린 역할을 한 건물로, 사당은 신성한 공간이므로 추가로 담장을 둘렀으며, 서원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건물이다. 건물 전면에는 노주석을 배치하였으며 좌우에 계단을 배치하였다.

3.8. 장판각(藏板閣)

<colbgcolor=#7a3a2c> 장판각
목판과 유물을 보관하던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장판각.

습기를 피하기 위해 정면에는 판문을 세웠으며 화마를 피하기 위해 다른 건물들과 거리를 두었다.

3.9. 전사청(典祀廳)

<colbgcolor=#7a3a2c> 진사청
존덕사에서의 제사에 사용하는 제기 제구를 보관하는 건물.

보통 진사청은 사당과 한 구역에 위치하지만, 특이하게도 병산서원의 존덕사와 진사청은 개별적인 구역으로 나누어져 지었다. 이는 고직사와 중심을 맞추어 지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디.

3.10. 고직사(庫直舍)

<colbgcolor=#7a3a2c> 고직사
서원의 관리인이 거주하는 ㅁ자형 건물군.

묘지기, 장무, 정지지기 등이 거주하였으며, 향사제 기간 동안의 참가자들의 숙소로도 활용되었다. 부엌과 침실 등이 위치한 생활형 건물이며, 출입문인 일각문과 고직사와 연결되는 쪽문 하나가 있다.

3.11. 달팽이 뒷간

파일:달팽이 뒷간.jpg
<colbgcolor=#7a3a2c> 달팽이 뒷간
고직사 건물 밖에 위치한 화장실이다. 이름은 뒷간의 모양새에서 따 지은 것이다.

진흙 돌담의 시작부분이 끝부분에 가리도록 감아 쌓았는데, 이는 출입문을 달지 않아도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유생들이 사용하던 것은 아니고 고직사에 거주하던 일꾼들이 사용하던 것이다. 옛 기록에 따르면 대나무로 지어져 있었다고도 전해진다.

4. 제향 인물

사당에 모신 인물을 말한다.

존덕사에 들어가면 정면에 류성룡의 위패가 있고 오른쪽에 아들 류진의 위패가 있다.

5. 향사

향사는 제사를 말한다. 이러한 향사는 매년 음력 3월과 9월 상정일에 진행된다. 상정일이란 매달 첫번째로 맞이하는 정일을 말한다. 향사 준비와 절차는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 향사 준비
    • 제관천망
    • 제수구입 - 제사음식 재료 구입, 흥정은 하지 않음.
    • 제주 담그기 - 제사용 술을 만드는 과정.
    • 망기 작성
  • 재계
    • 입재
    • 집사분정
    • 축문수축
    • 제물봉치
    • 제물진설
  • 향사절차
    • 취위
    • 분향례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망예

6. 교통

가는 길이 비포장도로에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많지만, 경차들도 잘만 다닌다.

버스 교통으로는 210번이 이곳에 일 3회 정차한다. 병산서원에서 시내로 가는 버스가 15시 30분에 마지막으로 출발하므로 대중 교통으로 방문하려면 시간 안배에 유의할 것.

병산서원에서 강가를 따라 인근 하회마을까지 가는 선비길이라는 산책로가 존재한다. 두 관광지가 대중교통으로 오가기엔 버스 배차간격이 길어서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에 체력에 문제가 없다면 그냥 둘 사이는 걸어서 이동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길 자체는 고즈넉하고 가볍게 등산하기에 좋은 코스이며 약 1시간 정도 걸린다. 단 카카오 지도 네이버 지도에서도 뚜렷하게 표시가 안 될 정도고[1] 관광안내사나 주민들만이 알고 있는 코스이니 관심이 있다면 주민들에게 물어물어 가보도록 하자. 지도에는 화산을 넘어가는 등산로만 표시되지만 산허리 아래를 걸어가는 산책로도 존재한다. 다만 거의 도보로 1시간 정도의 코스이니 체력 안배와 여행 시간 계획을 잘 짜는게 좋으며, 인적이 드문 곳이라 여성 혼자 걷기는 좋지 않을 수 있고 흙길이라 비가 온 직후는 피하는 것이 좋다.

그나마 최근에는 커브구간 시멘트 포장과 나머지 구간도 자갈을 깔아두어 그나마 다니기 편해졌다. 도로 사정이 근본적으로 험하다는 점은 여전하긴 하지만...
[1] 위성지도로 확대해 보면 길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