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08:26:59

달성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문화재 및 사적에 대한 내용은 대구 달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8837>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자치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33B54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c63b7> 논공읍 다사읍 옥포읍
유가읍 현풍읍 화원읍
가창면 구지면 하빈면
}}}}}}}}} ||
대구광역시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達城郡
Dalseong County
}}}
<colbgcolor=#33B540><colcolor=#fff> 군청 소재지 논공읍 달성군청로 33 (금포리)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6 3
면적 428.36㎢
인구 257,580명[1][2]
인구밀도 602.11명/㎢[3]
군수
최재훈 (초선)[4]
군의회
9석[5]

3석[6]
시의원
3석[7]
국회의원
추경호 (3선)
상징 <colbgcolor=#33B540><colcolor=#fff> 군화 참꽃
군목 이팝나무
군조 두루미
군가 달성군민의 노래
지역전화 05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
2.1. 역대 달성군 군정 슬로건
3. 역사4. 지리
4.1. 군청
5. 인구6. 교통
6.1. 관내 철도 목록
7. 경제
7.1. 산업7.2. 상권7.3. 금융
8. 관광9. 생활문화
9.1. 교육9.2. 음식9.3. 의료기관9.4. 스포츠
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산하공공기관13. 여담14. 출신 인물15. 홍보대사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남쪽에 있는 .

동으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경산시, 남으로는 경상남도 창녕군, 서로는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북으로는 대구광역시 북구, 서구, 달서구, 남구, 수성구, 경상북도 칠곡군에 접한다.

명칭은 대구의 역사적 지명인 달성에서 따왔다. 이는 부군면 통폐합 당시 '대구 교외'를 싸잡아 행정구역을 형성하다보니 이렇게 된 것이며, 그로 인해 유래인 대구 달성이 관내에 없다는 아이러니가 있다.[8]

월경지가 많은 편으로 다사읍, 하빈면 달서구를 거쳐야만 달성군청으로 갈 수 있는 진월경지이고, 가창면 비슬산으로 인해 분리된 실질월경지이다. 이 때문에 생활권 역시 분절되어 있는데 크게 다사-하빈 권역(성서 권역 종속), 화원-옥포 권역(크게 보면 군청 근방의 논공지역까지 포함, 월배권역 종속), 현풍 권역(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논공읍 일부), 가창 권역(수성구 종속)으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 후술한다.

국민안전처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기준으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안전 지수가 높은 지역이며[9] 2017년 조사에서도, 가장 안전한 곳으로 선정되어 이 부분에서 전국 행정 지역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보이고 있다.[10]

대구의 기초자치단체 중 면적이 2번째로 넓은 지역(428.36㎢)이다. 1위는 군위군(614.33㎢). 또한 군위군과 함께 대구에서 둘 뿐인 군 지역이기도 하다.[11]

2. 상징

달성군의 CI
파일:달성군 CI.svg
비슬산과 낙동강을 주제로 평화롭고 미래지향적인 의미를 함축하며 안정속에 발전하는 달성의 의지를 담음.
달성군의 마스코트
파일:달성군 마스코트 비슬이.svg
참꽃의 친근하고 부드러운 이미지와 비슬산의 청정함을 형상화하여 자연친화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참꽃제의 고장 달성군을 상징
달성군의 상징물
<colbgcolor=#fff,#1c1d1f> 군화
참꽃
비슬산 정상에 피어나는 붉은 빛의 향연은 밝은 내일을 향해 나아가는 달성군민의 뜨거운 정열을 상징
군목
이팝나무
풍요로운 들녘에 가득한 새하얀 꽃무리는 천혜의 자연이 어우러진 달성군민의 넉넉한 마음을 상징
군조
두루미
달성습지에 무리지어 있는 고고한 자태는 충효의 정신을 품고 있는 달성군민의 꼿꼿한 기상을 상징

2.1. 역대 달성군 군정 슬로건

달성군 군정 슬로건은 현수막 지정 게시대와 달성군 산하 관공서, 달성군 월별 잡지 등에 부착되어 있다.
  • 이종진 군정
    • 후반: 첨단과학기술 중심도시 달성
  • 김문오 군정
    • 초반: flower 대구의 뿌리, 달성 꽃 피다
    • 달성군 출범 100주년 기념: 1914 - 2014 100년, 달성 꽃 피다
    • 후반: flower 대구의 미래, 달성 꽃 피다
  • 최재훈 군정
    • 현재: 군민이 나는 달성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달성군 행정구역 변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3B540> 일자 舊 대구도호부 지역 舊 현풍군 지역
<colcolor=#33B540> 1896. 8. 4. 경상북도 대구군
(慶尙北道 大邱郡)
경상북도 현풍군
(慶尙北道 玄風郡)
1910. 10. 1. 경상북도 대구부
(慶尙北道 大邱府)
1914. 4. 1. 경상북도 달성군
(慶尙北道 達城郡)
1995. 3. 1. 대구광역시 달성군
(大邱廣域市 達城郡)
}}}}}}}}} ||
파일:경상북도 달성군 휘장(1995년 이전).jpg
과거 휘장
1914년 경상북도 대구부 중 현재의 중구 도심과 북구 고성동, 칠성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과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이 되었다.[12]

이후 1938년 성북면[13], 달서면[14], 수성면[15]이 대구부로 편입되었고, 해안면은 1940년 동촌면으로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1957년 공산면[16], 동촌면[17], 성서면[18], 월배면[19], 가창면의 5개 면이 대구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동촌면을 제외한 나머지 4개 면은 파동이 제외된 상태로 도로 달성군으로 환원되었다. 이후 1979년 월배면이 월배읍으로, 1980년 성서면이 성서읍으로 승격되었다가 1981년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월배읍, 성서읍, 공산면이 다시 대구시로 편입됨으로서 현재의 달성군 영역이 이루어졌다. 1992년 화원면이 화원읍으로 승격했다.

1995년 1월 1일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칭되고 동년 3월 1일 도농복합시 정책과 직할시 시역 확장 정책에 의해 달성군은 대구광역시 산하로 넘어갔다. 대구 편입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는데 대구에 군청이 있었고 대구와 역사성을 공유하는데도 경북도는 편입에 완강히 반대했고, 경북도의회에서는 달성군이 대구에 편입되면 세금이 늘고 혐오시설이 들어서는 등 불이익이 커진다. 대구시의 부채가 1조원에 달해 달성군 개발 투자 여건이 없다. 화원, 다사, 현풍 등지의 시 승격 계획[20][21] 등의 내용이 담긴 유인물을 배포하기도 했다. # # 그러나 주민들이 달성군수실에 찾아가고, 학생들까지 서명운동에 나서는 등 강력하게 요구한 끝에 결국 경북도의 반대를 꺾고 대구에 편입될 수 있었다.[22]

대구 편입은 1995년에 이뤄졌지만 시내버스나 택시의 시계외요금 징수는 한동안 남아있었다. 택시는 위천삼거리, 달성터널 이남에 대해선 계속 할증요금을 받았고, 시내버스 역시 편입 직후에는 논공, 현풍, 유가, 구지에서 할증요금을 받았다. 심지어 시계외요금이 없던 좌석버스도 예외가 아니라 대구 관할이 아닌 하양은 기본요금만 징수하는데, 대구 관할인 현풍은 할증요금을 징수하여 달성군 주민들의 불만이 심했고, 결국 1997년 8월 17일자로 달성군 군내버스 요금이 대구 시내와 동일한 운임으로 조정되고, 택시 역시 복합할증이 2001년에 폐지되었다.

대구 산하가 된 이후 1996년 논공면이 논공읍, 1997년에 다사면이 다사읍으로 승격했다. 2018년에는 3개 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는데 유가면은 3월, 옥포면과 현풍면은 11월에 각기 읍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 18일에는 다사읍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 다사역, 대실역이 개통되면서 달성군에도 비수도권 최초로 군단위에 도시철도가 들어왔으며,[23] 2016년 9월 8일 화원읍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구간인 화원역 설화명곡역이 개통하였다.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부지를 둘러싸고 대구 관내 기초자치단체들이 유치 경쟁을 선도하였는데, 달성군 측은 화원읍, 정확히는 설화리의 설화명곡역 인근에 있는 LH대구경북본부 분양홍보관 자리를 주장했다. 그러나 2019년 12월 22일 옛 두류정수장 터로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부지를 최종 확정하면서 결국 무산되었다.

구 현풍군 지역을 제외하면 원래 대구와 역사를 함께한 지역이라 현 달성군 산하는 아니어도 대구에서 '달성'이라는 명칭이 붙은 곳이 남아있다.[24] 그러나 대구 시가지가 확장하면서 개발된 지역은 거의 다 달성군에서 떨어져 나가 자치구로 편성되었고, 아직까지도 달성군으로 잔존한 지역들은 화원읍, 다사읍, 가창면 등 대구 시내 지역과 직접 접하고 있는 곳들을 제외[25]하면 대구 시내로의 이동 시간이 제법 소요되기 때문에 대구광역시에 대한 소속감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특히 연령대가 있는 분들은 지금도 시 지역으로 갈 때 '대구 간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 편이고, 대구 시내 사람들도 '논공 간다', '현풍 간다', '구지 간다' 등 각각의 읍면을 얘기하는 식의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26]

4. 지리

자연지리적 특성으로는 서쪽 성주군, 고령군과의 경계에 낙동강이 있고[27] 남동쪽 청도군과의 경계에 비슬산이 있음을 들 수 있다. 가창면을 제외하면 모두 낙동강변에 형성된 평지를 중심으로 읍면이 형성되어 있다. 다사읍을 중심으로는 금호강이 흐른다.

인문지리적 특징은 딱히 군의 중심지라고 부를 만한 지역이 없다. 그럴 수밖에 없는게 달성군 자체가 부군면 통폐합 과정에서 시내를 대구부로 분리하고 교외 지역을 모아 만든 행정구역이니 자체 중심지는 전무한 채로 시작했고, 그마저도 대구부에 영역을 계속 잠식당하면서 월경지가 생겨버린 상황이다. 1981년 성서읍, 월배읍의 대구 편입으로 북서쪽 다사읍, 하빈면과 남동쪽 지역의 가창면은 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남서쪽 지역과 지리적으로 떨어져게 되어 생활권이 완전히 다르다.[28] 가창면이 있는 남동쪽 지역은 화원읍, 논공읍, 옥포읍, 현풍읍, 구지면, 유가읍이 있는 남서쪽 지역과 붙어 있긴 하지만[29] 중간에 큰 산지가 막고 있어 왕래가 불가능하다. 현재 4차순환도로 앞산터널, 범물터널이 완공되어 달서구 월배 지역, 수성구 파동, 수성구 범물동이 직통으로 연결되었지만 어떤 방식으로도 월배를 거치지 않으면 남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갈 방법이 없다. 가창면 용계리에서 청룡산을 등산해서 넘으면 화원읍 본리리가 나오긴 하지만 당연히 이런 상황을 교통이 이뤄지고 있다고 보는 일은 없다. 즉 가창면도 실질적으로는 월경지다.

군청을 비롯한 주요 기관들도 논공읍, 현풍읍, 화원읍, 옥포읍에 흩어져 있다.[30] 인구로 따지면 화원읍이나 다사읍이 1, 2위를 다투고 있지만, 이 곳들도 달성군의 중심이라기보다는 그냥 대구광역시의 읍, 면지역이라고 보면 맞다. 화원읍, 논공읍, 현풍읍, 구지면, 유가읍, 옥포읍 지역은 달서구 월배 지역, 다사읍, 하빈면 지역은 달서구 성서, 가창면 지역은 수성구 생활권에 종속되어 있다. 우체국만 보아도 화원읍, 다사읍, 하빈면은 달서우체국이 관할하고 옥포 이남 지역은 달성우체국이 관할하며, 수성구와 붙어 있는 가창면은 자연히 수성우체국 관할이다. 우체국 위치를 검색할 때 똑같은 달성군이라도 다사/하빈/화원/가창은 달서구, 수성구를 선택하여 검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생활권에 맞게 지역을 재편해야 한다는 말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이미 달성군의 대구광역시(1995년 1월 이전 대구직할시) 편입에 관련된 논의가 한창이던 시절 자치구와 군을 상대로 어느 방향으로 편제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고 다사읍, 하빈면 달서구에,[31] 가창면 수성구에 편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으나 #1, #2, 지역 국회의원이던 구자춘의 반대 # 등도 있고 해서 현재의 형태가 됐다.[32]

2023년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가창면 수성구 편입을 재추진했지만 # 가창면 주민들의 65.3%의 찬성을 받아냈음에도 # 대구시의회 문턱을 넘지 못해서 또다시 무산되었다.

4.1. 군청

파일:attachment/daegu_dalseong.jpg
현재 달성군청(김문오 군정)
군 청사가 본진인 대구광역시청보다도 크다. 원래는 논밭이었지만 군청이 가장 먼저 들어서고 그 뒤로 수많은 아파트와 상가가 들어서는 중이다.
파일:attachment/dalseong.jpg
과거 달성군청
사진 속 풍경과는 달리 지금은 옛 달성군청 부지 근처에 고층 건물들이 많이 세워져 사진과는 다른 감이 있다. 사진은 1981년 ~ 1986년 사이에 촬영되었다.[33][34]

과거에는 달성군청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1동에 있었다. 인근에 성당못역, 서부정류장, 관문시장이 있고 접근성이 좋아 유동인구가 많았다.[35] 군청이 이전한 후에도 농협중앙회 달성군지부 등 일부 기관은 예산 문제로 계획대로 이전하지 못하고 구 달성군청 근처에 남아 있다.

달성군청이 대명동에 있을 때는 달성군 남서쪽 지역( 화원읍, 옥포읍,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달성군 북서쪽 지역(다사읍, 하빈면), 달성군 동쪽 지역(가창면) 모두 접근성이 좋은 편이었다. 달성군이 3읍 6면이었던 당시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었던 구지면, 유가면[36], 하빈면을 제외하면 모두 대명동까지 직통 시내버스가 있었을 정도.[37] 논공읍으로 이전하면서 시내버스 노선을 개편하려고 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이전 후에도 개편이 이뤄지지 않아서 가창면과 하빈면에서는 접근성이 상당히 나빠졌다.[38]

그러다 2005년 5월 25일 현 위치로 이전했는데, 문제는 금포리가 논공읍의 중심 지역이라고 하기에는 무척 애매한 위치라는 것. 논공읍사무소, 논공파출소, 논공새마을금고, 논공농협, 달성예비군훈련장 등이 몰려있는 곳이지만 주변 인구는 적으며, 논공읍의 실제 중심지는 금포리가 아닌 달성1차산단이 있는 북리다. 주거시설, 상업지역, 편의시설들이 죄다 북리 쪽에 몰려 있다.

사실 달성군청 논공읍 금포리로 이전한 이유는 따로 있다. 달성군 3읍 6면이 지리상 월배 생활권, 성서 생활권, 수성 생활권 3권역으로 철저하게 분리되어 있기에 딱히 중심지가 없기 때문. 그렇다고 인구가 많은 화원읍이나 다사읍으로 이전하면 위치도 어중간하고 일방적인 이전론과 지역 홀대론이 나올 것은 명약관화다. 결국 3읍 6면 중 2읍 4면이 있는 서남부 지역 중에서 논공읍을 선정하게 된 것인데, 마침 논공읍사무소가 금포리에 있고, 달성군청과 함께 다른 유관 기관들도 같이 이전해 달성군청 주변을 본격 행정타운으로 조성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달성군청 이전 후에는 예산 문제로 백지화되어 버리면서 허허벌판에 달성군청만 달랑 남게 되었다.

결국 군 유관기관은 계획대로 논공읍에 집결하지 못한 상태로 군 전역에 흩어져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5. 인구

대구광역시 달성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3,511명
1970년 130,116명
1975년 139,915명
1980년 161,922명
1981년 7월 1일 달성군 월배읍, 성서읍, 공산면 → 대구직할시 편입
1985년 80,300명
1990년 93,797명
1995년 3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 대구광역시 편입
1995년 119,956명
2000년 154,281명
2005년 158,353명
2010년 178,899명
2015년 192,747명
2020년 259,339명
2024년 10월 257,9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군 지역 중 인구 수 1위이다. 여러 신도시 개발과 대구국가산업단지, 대구테크노폴리스 등 각종 대규모 국책 사업에 힘입어 대구에서 가장 성장세가 큰 지역으로 2016년 2월 22일에 인구 20만 명을 돌파하면서 남구 서구의 인구를 추월했으며, 2017년 1월 기존 군 인구 1위였던 울주군(219,201명)을 제쳤다. 2019년 6월 10일자로 26만 명을 달성했다. 인구 수가 경산시와 거의 비슷하다. 다만 그동안의 성장세가 멈칫하면서 2023년 하반기에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인구수가 늘면서 달성시 승격이나 달성구 전환 논의도 나오고 있지만 광역시 산하에서 시 승격은 법적으로 불가능하고 구 단위로는 행정절차를 통해 변경 가능하지만 군 단위에서 누릴 수 있는 농어촌특례[41], 세금 혜택 등이 사라지기 때문에 군청에서는 구로 전환되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 #[42]

현재 군들 중에서는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높다. (숫자가 높을수록 소멸 위험이 낮고, 숫자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이 높다.) 2023년 9월 기준 약 0.745.[43]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다사읍(본청) 53,147명
화원읍 46,833명
다사읍 서재출장소 39,398명
유가읍 29,425명
옥포읍 24,057명
현풍읍 22,633명
구지면 19,624명
논공읍 공단출장소 12,077명
가창면 7,432명
논공읍(본청) 4,538명
하빈면 3,361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 ||

===# 읍면별 인구 추이 #===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화원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003명
1970년 10,805명
1973년 7월 1일 화원면 대곡동 → 월배면 편입
1975년 11,507명
1980년 12,057명
1985년 15,419명
1990년 20,652명
1992년 3월 1일 화원면 → 화원읍 승격
1995년 34,948명
2000년 47,731명
2005년 53,999명
2010년 57,014명
2015년 52,386명
2020년 48,616명
2023년 8월 46,9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논공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881명
1970년 7,917명
1975년 8,197명
1980년 7,463명
1985년 8,990명
1990년 15,264명
1995년 20,851명
1996년 3월 1일 논공면 → 논공읍 승격
2000년 26,599명
2005년 25,727명
2010년 23,751명
2015년 21,680명
2020년 18,487명
2023년 8월 16,73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다사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365명
1970년 6,452명
1975년 6,273명
1980년 5,382명
1985년 5,476명
1990년 6,633명
1995년 10,743명
1997년 11월 1일 다사면 → 다사읍 승격
2000년 29,637명
2005년 30,708명
2010년 55,358명
2015년 63,742명
2020년 89,386명
2023년 8월 92,6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5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유가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384명
1970년 9,078명
1975년 8,448명
1980년 6,545명
1985년 5,625명
1990년 4,787명
1995년 4,541명
2000년 3,738명
2005년 3,358명
2010년 2,977명
2015년 6,987명
2018년 3월 1일 유가면 → 유가읍 승격
2020년 29,713명
2023년 8월 29,3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옥포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711명
1970년 10,962명
1975년 10,910명
1980년 10,195명
1985년 9,603명
1990년 10,281명
1995년 10,769명
2000년 10,008명
2005년 10,391명
2010년 10,830명
2015년 13,936명
2018년 11월 1일 옥포면 → 옥포읍 승격
2020년 25,337명
2023년 8월 24,1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현풍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692명
1970년 12,273명
1975년 11,861명
1980년 11,117명
1985년 10,749명
1990년 14,300명
1995년 15,137명
2000년 12,549명
2005년 11,141명
2010년 10,949명
2015년 13,670명
2018년 11월 1일 현풍면 → 현풍읍 승격
2020년 23,310명
2023년 8월 22,7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가창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835명
1970년 11,630명
1975년 11,667명
1980년 11,524명
1985년 11,016명
1990년 10,573명
1995년 9,417명
2000년 9,155명
2005년 8,060명
2010년 9,033명
2015년 8,483명
2020년 7,972명
2023년 8월 7,4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하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223명
1970년 8,556명
1975년 8,279명
1980년 6,558명
1985년 6,044명
1990년 5,255명
1995년 5,078명
2000년 4,619명
2005년 3,846명
2010년 4,492명
2015년 4,360명
2020년 3,702명
2023년 8월 3,3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구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205명
1970년 11,679명
1975년 11,334명
1980년 8,706명
1985년 7,392명
1990년 6,053명
1995년 5,538명
2000년 4,516명
2005년 3,525명
2010년 4,495명
2015년 7,506명
2020년 13,263명
2023년 8월 19,6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6. 교통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33b54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3b540>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33b540> <colbgcolor=#ffffff,#191919> 가창동로 · 가창로 · 과학남로 · 과학동로 · 과학마을로 · 과학북로 · 과학서로 · 구지남로 · 구지동로 · 구지서로 · 국가산단남로 · 금강로 · 금포로
논공로 · 논공중앙로
다사로 · 다사역로 · 달성군청로 · 달성2차1로 · 달성2차2로 · 달성2차3로 · 달성2차4로 · 달성2차5로 · 달성2차6로 · 달성2차동1로 · 달성2차동2로 · 달성2차동3로 · 달성2차로 · 달성2차서로 · 달창로 · 대동월포로 · 대실역남로 · 대실역북로 · 돌미로 · 돌미상업로 · 동고령로 · 달구벌대로
매곡로 · 명곡로 · 명천로
본리로 · 비슬로
사문진로 · 상리공단로 · 서재로 · 성산로 · 성암로 · 성천로 · 성화로 · 세천남로 · 세천로 · 세천북로
용산유산로 · 왕선로
창리로 · 창리서로 · 창한로
테크노공원로 · 테크노남로 · 테크노북로 · 테크노순환로 · 테크노폴리스로
하빈남로 · 하빈로 · 현풍동로 · 현풍로 · 현풍서로 · 현풍중앙로 · 화암로 · 화원로
[[틀:대구광역시의 도로|
대구광역시의 다른 도로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달성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사읍에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이 다니고, 화원읍에는 대구도시철도 1호선이 다니고 있다.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군답게, 현재, 모든 읍·면지역에 도시철도· 광역전철 계획이 존재한다.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다사읍 화원읍,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을 경유할 예정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연장이 옥포읍, 대구 도시철도 6호선 가창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또는 성주경전철 하빈면을 경유할 계획이 있다.

6.1. 관내 철도 목록

7. 경제

7.1. 산업

달성1차산업단지(논공읍), 달성2차산업단지(구지면), 대구 테크노폴리스(유가읍, 현풍읍), 성서제5차일반산업단지( 다사읍) 등 대구의 주요 산업단지가 몰려 있으며, 구지면에는 대구국가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또한 화원읍과 옥포읍에 대구미래스마트기술국가산업단지가 건설될 예정이다.

서구와 북구[44]가 대구 제조업의 과거(몰락), 달서구가 대구 제조업의 현재(정체)를 상징한다면, 달성군은 대구 제조업의 미래(신산업)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공업단지들을 기반으로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 성장성이 가장 밝다고 볼 수 있다.

7.2. 상권

달성군 전체의 중심 상권은 없고, 화원읍, 다사읍, 현풍읍의 세 축으로 나뉜다. 화원읍은 천내리가 중심지로 중소규모 시 정도의 중심상권을 형성하고 있지만 동네 한복판의 교도소 때문에 상권 발달에 제약이 있었으나, 2023년 하빈면으로 이전해서 미래가 밝다. 다사읍은 대실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달구벌대로 북쪽에 몰려 있다. 현풍읍은 원래 군청소재지 수준의 재래시장 중심의 상권이었으나, 테크노폴리스가 읍내에 딱 붙어 개발되면서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한 신도시 상권과 전통상권이 공존하고 있는 상태이고 역할도 서로 다르다.

다만 모두 소생활권 수준의 상권으로 상위 기능은 달서구( 성서, 월배)나 동성로에 의존한다.

대형마트의 경우 화원읍에 있는 농협 하나로마트 달성점 외에는 없다.

7.3. 금융

달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달성우체국 (6) 대구달서우체국 (4) 대구수성우체국 (1)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1)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1)
하나은행 (1) 국민은행 (5)
iM뱅크 (30)
지방은행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다사농협 (5) 달성축산농협 (5) 화원농협 (5) 하빈농협 (2)
옥포농협 (4) 논공농협 (3) 현풍농협 (3) 유가농협 (2)
구지농협 (3) 가창농협 (1)
새마을금고
옥포새마을금고 (2) 화원새마을금고 (3) 달성새마을금고 (2) 다사새마을금고 (3)
유가새마을금고 (1) 구지새마을금고 (1) 평화그룹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포산신용협동조합 (3) 달성대건신용협동조합 (1) 대경신용협동조합 (1) 화원신용협동조합 (1)
대구성서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대구달성산림조합 (1)

8. 관광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달성군 관광 관련 틀 모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883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중구 신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경상감영과 옛골목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동성로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수성못 · 대구스타디움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비슬산 · 강정고령보와 디아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팔공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83타워
}}}}}}}}}}}} ||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 12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논공읍 달성 100년 타워
구지면 도동서원
가창면 가창댐
화원읍 달성습지 남평문씨본리세거지 마비정 벽화마을 사문진 주막촌과 낙조
다사읍 디아크문화관 강정고령보
유가읍 비슬산참꽃군락지 국립대구과학관 대견사 비슬산암괴류
옥포읍 옥포벚꽃길
}}}}}}}}} ||
대구 12경 중 강정고령보 디아크, 비슬산이 달성군 관내에 위치한다.

9. 생활문화

9.1. 교육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달성군 관내 학교 틀 모음
[ 펼치기 · 접기 ]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달성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대구가창초등학교 대구강림초등학교 대구구지초등학교 대구금계초등학교
대구금포초등학교 대구남동초등학교 대구논공초등학교 대구다사초등학교
대구대실초등학교 대구도림초등학교 대구동곡초등학교 대구매곡초등학교
대구명곡초등학교 대구반송초등학교 대구북동초등학교 대구비슬초등학교
대구서동초등학교 대구서재초등학교 대구세천초등학교 대구세현초등학교
대구옥포초등학교 대구왕선초등학교 대구용계초등학교 대구유가초등학교
대구죽곡초등학교 대구천내초등학교 대구테크노초등학교 대구포산초등학교
대구하빈초등학교 대구현풍초등학교 대구화남초등학교 대구화동초등학교
대구화원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달성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창중학교 경서중학교 구지중학교 논공중학교
다사중학교 달서중학교 달성중학교 북동중학교
서동중학교 서재중학교 심인중학교 왕선중학교
유가중학교 천내중학교 포산중학교 한울안중학교
현풍중학교 화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달성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다사고등학교 달서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대원고등학교 비슬고등학교 심인고등학교 포산고등학교
현풍고등학교 화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교육으로는 특별한 것은 없는 편이지만 군 지역답게 농어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구 중심지와 멀리 떨어진 현풍쪽의 경우 교육열이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루가캠퍼스, 유스티노캠퍼스)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대명동캠퍼스)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수성캠퍼스)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대구캠퍼스)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고등교육기관으로는 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관내에 위치하여 고등교육 한정으로 수성구를 이길 수 있다. 명목상으로는 다른 대학들도 있지만 달성군에 들어오기로 한 대학들이 부지만 잡아두고 별다른 행동이 없어 실질적으로 달성군에 위치한 유일한 4년제 대학이다.

9.2. 음식

파일:대구음식 브랜드 대찬맛 로고.jpg 대구10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전역
누른국수 · 뭉티기 · 복어 불고기 · 야끼우동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중구
납작만두 · 따로국밥 · 동인동 찜갈비 · 막창구이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서구
무침회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군
논메기 매운탕 }}}}}}}}}

다사읍 문양리 문양역 근처 일대가 대구10미 중 하나인 논메기 매운탕으로 유명하다.

9.3. 의료기관

인구 26만명 답지 않게 의료기관이 충분하지 않은데, 아무래도 생활권이 파편화되어 있고 상위 소비기능을 대구 시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종합병원으로 분류되는 의료기관이 단 하나도 없고, 병원급도 딱 5개 있으며 그나마도 가장 큰 병원이 화원연세병원(114병상)이다. 다만 다사읍은 강 건너 달서구에 상급종합병원인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있다.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에 거주중인 주민의 경우에는 간단한 CT촬영마저도 차로 최소 20분은 이동해야하며, 응급실도 임시방편으로 운영될 예정인 행복한병원이 유일하다. 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되고 거의 10년만에 생기는 첫 응급실이다.

9.4. 스포츠

대한민국 6부 축구리그인 K6리그 대구리그에 참가하는 대구 상록 FC의 소재지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달성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달성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산하공공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33B540>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3B540><colcolor=#fff> 지방공기업 달성군시설관리공단
지방출연기관 달성교육재단 | 달성문화재단 | 달성복지재단
재단 산하 <colbgcolor=#33B540> 문화재단 산하 달성문화센터 | 달성군여성문화복지센터 | 달천예술창작공간 | 하빈행복생활문화센터
복지재단 산하 대구달성군가족센터 | 달성군청소년센터
교육재단 산하 달성군립도서관
기타 기관 달성군농업기술센터 | 달성청년혁신센터
}}}}}}}}} ||


대구광역시 달성군 산하 공공기관으로 달성군시설관리공단 달성교육재단[48], 달성문화재단, 달성복지재단 등이 있다. 이들은 설화명곡역 근처에 있으며 달성 하나로마트 가는 길에 있다.

자치군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대구광역시 산업의 약 70% 정도가 달성군에 몰려있다보니 재정형편이 주변의 다른 지자체보다 사정이 나은지는 몰라도 복지시설 및 문화시설[49] 등이 상당히 많고 지속적으로 확충 중이다.

13. 여담

14. 출신 인물

15. 홍보대사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달성군 홍보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송해 신유 크리스 존슨 전무송 최종원 보겸
}}}}}}}}} ||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8837>
대구광역시 관할
시설관리공단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군
파일: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흰색 CI.svg 파일:달성군시설관리공단 CI.svg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달성군시설관리공단
군위군의 시설관리공단 출범은 백지화되었으며, '군위군시설관리사업소'가 그 역할을 대신함.
}}}}}}}}}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8837>
대구광역시 관할
농업기술센터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시 전역
대구광역시농업기술센터
<rowcolor=#fff>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_White.svg 군위군
달성군농업기술센터 군위군농업기술센터
}}}}}}}}} ||



[1]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 전국에 있는 모든 자치군 중 인구가 가장 많다. [3] 2024년 10월 기준. [4] 전국 지자체장 중에서 가장 젊다. 대구광역시 관할 기초자치단체 중 주민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곳이 달성군이다. [5] 달성군 가선거구 (화원읍, 가창면): 신달호, 전홍배
달성군 나선거구 (논공읍, 옥포읍): 김은영, 서도원
달성군 다선거구 (유가읍, 현풍읍, 구지면): 곽동환, 최재규
달성군 라선거구 (다사읍, 하빈면): 박주용, 신동윤
달성군 비례대표: 이연숙
[6] 달성군 다선거구 (유가읍, 현풍읍, 구지면): 박영동
달성군 라선거구 (다사읍, 하빈면): 김보경
달성군 비례대표: 양은숙
[7] 달성군 제1선거구 (화원읍, 가창면): 하중환 (초선)
달성군 제2선거구 (논공읍, 유가읍, 옥포읍, 현풍읍, 구지면): 김원규 (재선)
달성군 제3선거구 (다사읍, 하빈면): 손한국 (초선)
[8] 같은 사례로 화성시, 울주군, 완주군이 남아있다. [9] 대구 달성군은 어떻게, 한국에서 제일 안전한 곳이 됐나 [10] 가장 안전한 지역 '대구 달성군'…부산 중구는 최하점 [11] 2023년 6월 30일까지는 대구에서 유일한 군 지역이었으며 가장 면적이 넓은 기초자치단체였지만, 2023년 7월 1일 군위군이 대구에 편입되면서 1위 타이틀을 군위군에게 내줬다. [12] 그래서 2014년에 개청 100주년 행사를 거하게 했다. [13] 현 북구 침산동, 산격동, 검단동, 복현동, 동변동, 서변동 [14] 현 서구 평리동, 비산동,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원대동, 내당동, 북구 조야동, 노곡동, 노원동, 달서구 감삼동, 성당동, 두류동 [15] 수성구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황금동, 범어동, 만촌동, 상동, 중동, 수성동 일부와 남구 대명동, 봉덕동, 이천동과 중구 남산동 일부, 대봉동 일부와 동구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 북구 대현동 [16] 현 동구 덕곡동, 송정동, 중대동, 신용동, 지묘동, 내동, 미대동, 신무동, 백안동, 용수동, 미곡동, 도학동, 진인동, 능성동, 평광동과 북구 연경동 [17] 현 동구 지저동, 도동, 입석동, 불로동, 봉무동, 검사동, 둔산동, 방촌동, 부동, 신평동 [18] 현 달서구 파호동, 호산동, 호림동, 신당동, 이곡동, 용산동, 죽전동, 갈산동, 장동, 장기동, 송현동, 본리동, 본동 [19] 현 달서구 상인동, 도원동, 진천동, 유천동, 월성동, 월암동, 대천동 [20] 그러나 1992년 고양군 전체가 고양시로 승격하고, 당초 별개 시로 분리될 예정이었던 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의 독립시 승격이 무산되고 분당구 일산구가 설치되고, 전국적으로 도농통합이 추진되던 당시 분위기 상 읍면들의 독자적인 시 승격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특히 당시 다사읍 현풍읍은 읍도 아닌 면이었고, 이들 지역은 대구 편입 후 택지개발로 인구가 증가해 읍으로 승격했다. [21] 행정구역 개편 논의 초기에는 독자 시 승격 여론도 없지는 않았다. # [22] 그나마 경북의 강한 반발 때문에 달성 외에 편입 대상으로 고려되었던 경산, 칠곡, 고령, 청도 등은 편입 대상에서 제외되어 달성 외에는 경북의 영역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훗날 2023년 7월 1일 군위도 대구에 편입하게 되나 이는 경북 입장에서 군위가 딱히 가치가 있는 땅이 아니라서 가능했던 일이다. 대구에서 편입 여론이 높은 경산, 칠곡은 경북에서도 알짜배기 지역이라 편입 가능성이 희박하다. [23] 국내 최초의 사례는 아닌데, 국내 최초 군 단위 행정구역 소재 도시철도역은 1990년 개통한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이며 당시 경기도 고양군 신도읍 시절에 개통했다. 부산에서는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에 1999년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2호선(당시 부산 지하철 2호선) 호포역이 첫 번째 사례이다. 수도권 광역전철 역까지 포함할 경우 각기 시흥군 남면, 의왕면 시절이었던 1974년 8월 15일 경부선 국철로 개통한 군포역 부곡역이 효시이다. [24] 이를테면 달성군에도 있지만 달서구에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달성습지, 중구 달성동에 있는 달성공원, 서구 원대동에 있는 대구달성초등학교, 서구 내당동에 있는 달성고등학교 등이 있다.(다만 달성중학교는 화원읍에 있다.) 달성공원과 유사한 사례로는 수원시에 있고 화성시에 없는 수원화성이 있다. [25] 이것도 직접 시가지와 연담되거나 접경하고 있는 일부 리 지역에 해당하는 것이지, 해당 읍면 중에서도 시내 지역으로 나가기가 상당히 불편한 리 지역들도 꽤 있다. [26] 단 유가읍(당시 유가면)의 경우 '유가 간다'는 표현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원래 현풍군 영역이기도 했고 현풍과 가까워서 그런지 현풍에 묻어 가는 듯하고, 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된 뒤로는 테크노폴리스 한정으로는 '테크노(폴리스) 간다'는 표현을 많이 한다. [27] 이러한 특성상 달성군이 갓 대구에 편입된 1990년대 ~ 2000년대 초 대구시 당국의 달성 개발 캐치프레이즈가 낙동강 시대였다. [28] 이 상황은 1957년 달성군 성서면, 월배면이 대구에 편입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63년에는 다시 달성군으로 환원됐다가 1981년 재차 대구로 편입되었다. [29] 가창면 정대리가 화원읍 본리리, 옥포읍 반송리, 김흥리, 유가읍 양리와 붙어 있다. [30] 사실 예전에 대구광역시 도심에 잔존한 기관들을 현재의 군청 인근으로 함께 옮기려고 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31] 당시 달서구 인구는 50만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었는데, 당시 광역(직할)시의 분구 기준이 인구 50만 이상이었던 것을 고려할 시 다사와 하빈을 성서로 묶어 성서구를 신설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다. [32] 정작 구자춘은 15대 총선을 앞두고 심장수술 중 사망하여 선거에 출마하지 못했다. [33] '새경북 영광의 전진' 슬로건은 1981년 부임한 김성배 도지사 시절 사용되기 시작해 1986년 이상희 도지사가 내무부장관으로 이동할 때까지 사용됐다. [34] 구 달성군청 부지는 공개입찰에 부쳐졌으나, 12차례 유찰된 끝에 6년 동안 흉물로 방치되어 있었다. 결국 2011년 7월 대구시는 옛 건물들을 모두 철거하고 아예 공영 주차장으로 활용한다고 발표했지만 2012년 3월 21일, 모 사업자가 건물 8동, 대지 6,197㎡·연면적 6,000여㎡ 전부를 152억 8,500만원에 사들인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그 해 4월부터 철거공사에 들어가서 7월 무렵에는 완전히 철거되고, 2013년 5월 관문빌딩, 군청빌딩, 한영메디아이, 유니존 공동 소유한 한영빌딩 세 빌딩이 완공되어 이제 더이상 구 달성군청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35] 물론 이 곳은 원체 교통의 요지라서 지금도 여전히 유동인구가 많다. [36] 대구 테크노폴리스 조성으로 인해 읍으로 승격되었다. [37] 1998년 개편 이전에는 하빈면 빼고 모두 직통 시내버스가 있었다. [38] 남서쪽 지역, 즉 논공읍, 화원읍, 옥포읍, 현풍면, 구지면, 유가면 주민들 입장에서는 좋아졌다. [39] 영화 페이스메이커의 촬영장소 중 하나이기도 하다. [40] 과거에는 남구 대명동에 있다가 이전했다. [41] 농어촌특례는 엄밀히는 군 단위가 아닌 읍면 단위이지만,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상 자치구는 산하에 읍면을 둘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서술. [42] 반면에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군 환원 논의가 있었지만 지금은 흐지부지된 상태이다. [43] 반면 같은 대구광역시 산하 자치군인 군위군은 군들은 물론 전국에서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다. [44] 정확히는 북구 서부, 즉 3공단 지역을 말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괄호] [48] 최재훈 제37대 달성군수가 설립한 재단이다. [49] 달성군 산하기관 틀에 있는 시설이 전부가 아니다. [50] 지역구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갑이었다. [51] 지역구: 대구광역시 중구·남구 [52] 국회의장만 3차례 역임하였고 국회의원 선수도 9선으로 김영삼 전 대통령, 김종필 전 국무총리와 함께 현재까지 최다선 기록을 가지고 있다. [53] 영화 「 빨간 마후라」의 실제 주인공 [54] 연주 현씨 집성촌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