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5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 |
LoL e스포츠 지역 리그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대 리그 | |||||||||
대한민국 LCK |
중국 LPL |
아메리카 LTA |
유럽·중동·아프리카 LEC |
아시아 태평양 LCP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LTA 하위 컨퍼런스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북아메리카 LTA North |
남아메리카 LTA Sul |
}}} | ||||||||
LCP 하위 리그 | ||||||||||
일본 LJL |
대만·홍콩·마카오 PCS |
베트남 VCS |
||||||||
ERL 인증 리그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파일:LVP_SL_logo.png | |||||||||
프랑스 LFL |
독일 PRM |
스페인 SL |
튀르키예 TCL |
}}} | ||||||
국제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리그 오브 레전드 이미아 챔피언십 |
|||
정식 명칭
|
Riot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rope (2013~2018)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2019~2022)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2023~ ) |
||
출범 연도
|
2013년 ([age(2013-01-01)]주년) | ||
지역
|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 ||
운영 주체
|
라이엇 게임즈 | ||
컬러
|
■[1] ■[2] ■[3] ■[4] ■[5] | ||
약칭
|
LEC | ||
메인 파트너
|
LG 울트라기어, 기아, 킷캣, 산탄데르 은행 | ||
스폰서
|
로지텍 G, 시크릿랩, 프라임 게이밍, 레드불, 워너 뮤직 그룹[6] | ||
경기장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Riot Games Arena Berlin[7][8] |
||
최근 우승팀
|
G2 Esports (2024) | ||
최다 우승팀
|
G2 Esports (11회) | ||
최다 우승자
|
Caps (9회) | ||
커미셔너
|
아르템 바이코프 (Artem Bykov) | ||
하위 대회
|
EMEA Masters | ||
EMEA Regional Leagues | |||
1. 개요2. 참가팀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3.2. 역대 참가팀3.3. 역대 우승팀 및 순위3.4. 역대 우승자 및 입상자3.5.
역대 All-Pro Team3.6. 역대 풀세트 5전제3.7. 역대
퍼펙트 게임3.8. 역대
펜타킬3.9. 국제 대회 관련 기록
4. 특징5. 역사 및 위상6. 관련 문서3.9.1. 역대 FST 진출 LEC 팀3.9.2. 역대 MSI 진출 LEC 팀3.9.3. 역대 RR 진출 LEC 팀3.9.4. 역대 Worlds 진출 LEC 팀3.9.5. 역대 All-Star 출전 LEC 선수3.9.6. 역대 SKE 출전 LEC 선수
3.10. 경기 관련 기록3.11. 역대 한국인 선수[clearfix]
1. 개요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리그 오브 레전드 유럽 리그의 새로운 시작 |
LCS와 더불어 LoL e스포츠와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가장 먼저 영향력을 끼친 리그 중 하나이다. 2019 시즌 이전에는 EU LCS였으나 2019 시즌부터 프랜차이즈 도입과 함께 LEC로 리브랜딩되었으며, 2023 시즌부터는 산하 지역이 EU 지역에서 유럽 전역, 중동, 아프리카로 넓어지면서 리그 공식 명칭이 League of Legends EMEA(Europe, the Middle East and Africa) Championship으로 변경되었다.
국내에서는 LPL에 이어 SOOP에서 LCS와 함께 독점 한국어 중계가 2021년부터 끊긴 상황이였으나, 2022 서머 플레이오프부터 박상현 캐스터, 포니, 김동준 해설이 투입되어 재개되었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C 참가팀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G2 Esports | Fnatic | Movistar KOI | Team BDS | SK Gaming | ||
GIANTX | Team Heretics | Team Vitality | Karmine Corp | Rogue | ||
EMEA Masters 참가팀 | ERL 참가팀 |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2.1. 참가팀 로스터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참가팀 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
LEC 역대 로고 및 명칭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Riot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rope | |||
2019 ~ 2022 | 2023 ~ | ||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 ||
▶ LCS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13 스프링 | 서머 |
2014 스프링 | 서머 |
2015 스프링 | 서머 |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 | |||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 ||||||
2023 윈터 | 스프링 | 서머 | 파이널 |
2024 윈터 | 스프링 | 서머 | 파이널 |
|||||
2025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26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27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28 윈터 | 스프링 | 서머 |
3.2. 역대 참가팀
기준은 2025 윈터 시작 전 시점으로 작성 방식은 아래와 같다.- 정렬 기준은 1) 참가 시즌 수[10]→ 2) 첫 참가 시즌→ 3) 최고 성적 순[11].
- 해체를 공식 발표하지 않는 한 별개의 팀으로 취급한다. 해체하지 않고 멤버만 교체한 경우는 해당 팀의 커리어를 그대로 계승한다.
- 현재 참가하는 팀은 볼드체로 표시한다.
현재 팀명 |
참가 시즌 수 |
첫 참가 시즌 | 연속 참가 기록 |
최고 성적 |
변혁 역사 |
Fnatic | 22 | 2013 스프링 |
진행 중 (2013 스프링 ~ ) |
우승 (7회) |
Fnatic : 2013 스프링 ~ 현재 |
G2 Esports | 16 | 2016 스프링 |
진행 중 (2016 스프링 ~ ) |
우승 (11회) |
G2 Esports : 2016 스프링 ~ 현재 |
Movistar KOI | 16 | 2016 스프링 |
진행 중 (2016 스프링 ~ ) |
우승 (2회) |
Splyce : 2016 스프링 ~ 2019 서머 MAD Lions : 2020 스프링 ~ 2023 MAD Lions KOI : 2024 Movistar KOI : 2025 윈터 ~ 현재 |
SK Gaming | 16 | 2013 스프링 |
진행 중 (2019 스프링 ~ ) |
준우승 (1회) |
SK Gaming : 2013 스프링 ~ 2015 서머, 2019 스프링 ~ 현재 |
Team Vitality | 16 | 2016 스프링 |
진행 중 (2016 스프링 ~ ) |
3위 (1회) |
Team Vitality : 2016 스프링 ~ 현재 |
Schalke 04 Esports | 14 | 2014 스프링 |
2018 스프링 ~ 2021 서머 8회 연속 진출 |
우승 (1회) |
Alliance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Elements : 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FC Schalke 04 : 2016 서머, 2018 스프링 ~ 2021 서머 2021년 6월 시드권 매각, PRL 이전 2024년 12월 팀 해체 |
Astralis | 13 | 2015 서머 |
2019 스프링 ~ 2023 9회 연속 진출 |
준우승 (3회) |
Origen : 2015 스프링 ~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 2019 서머 Astralis : 2020 스프링 ~ 2023 2023년 10월 시드권 매각 |
Misfits Gaming | 12 | 2017 스프링 |
2017 스프링 ~ 2022 서머 12회 연속 참가 |
준우승 (1회) |
Misfits : 2017 스프링 Misfits Gaming : 2017 서머 ~ 2022 서머 2022년 12월 팀 해체 |
GIANTX | 10 | 2019 스프링 |
진행 중 (2019 스프링 ~ ) |
5위 (1회) |
EXCEL : 2019 스프링 ~ 2023 GIANTX : 2024 ~ 현재 |
Team ROCCAT | 10 | 2014 스프링 |
2014 스프링 ~ 2018 서머 10회 연속 진출 |
3위 (1회) |
2019년 LEC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
Rogue | 10 | 2019 스프링 |
진행 중 (2019 스프링 ~ ) |
우승 (1회) |
Rogue : 2019 스프링 ~ 2022 서머 KOI : 2023 Rogue : 2024 ~ 현재 |
Unicorns of Love | 8 | 2015 스프링 |
2015 스프링 ~ 2018 서머 8회 연속 진출 |
준우승 (2회) |
2019년 LEC 프랜차이즈 탈락 이후 LEC 지역 이전 |
H2k Gaming | 8 | 2015 스프링 |
2015 스프링 ~ 2018 서머 8회 연속 진출 |
3위 (3회) |
2019년 LEC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
Giants | 8 | 2013 스프링 |
2015 스프링 ~ 2017 스프링 5회 연속 진출 |
5위 (1회) |
Giants Gaming : 2013 스프링, 2015 스프링 ~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 2018 서머 2019년 LEC 프랜차이즈 탈락 이후 SL 참가 EXCEL과 합병 후 GIANTX로 참가 |
Gambit Esports | 6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2015 서머 6회 연속 진출 |
준우승 (1회) |
Gambit Gaming : 2013 스프링 ~ 2015 서머 2015 서머 이후 LCL로 지역 이전 2021년 4월 팀 해체 |
Nerv | 5 | 2013 스프링 |
2014 스프링 ~ 2015 서머 4회 연속 진출 |
5위 (1회) |
Copenhagen Wolves : 2013 스프링, 2014 스프링 ~ 2015 서머 2017년 6월 팀 해체 |
Team BDS | 4 | 2022 스프링 |
진행 중 (2022 스프링 ~ ) |
4위 (2회) |
Team BDS : 2022 스프링 ~ 현재 |
MeetYourMakers | 4 | 2013 서머 |
2013 서머 ~ 2015 스프링 4회 연속 진출 |
5위 (1회) |
MeetYourMakers : 2013 서머 SUPA HOT CREW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MeetYourMakers : 2015 스프링 2015년 6월 팀 해체 |
Winterfox | 2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2회 연속 진출 |
3위 (1회) |
Evil Geniuses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2013 서머 이후 LCS로 지역 이전 2015년 7월 팀 해체 |
Ninjas in Pyjamas | 2 | 2013 서머 | 2013 서머, 2017 서머 |
6위 (1회) |
2019년 3월 팀 해체 후 LPL의 Victory Five를 인수하며 재창단. |
Millenium | 2 | 2014 스프링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2회 연속 진출 |
6위 (1회) |
2018년 6월 팀 해체 |
Team Heretics | 2 | 2023 |
진행 중 (2023 ~ ) |
4위[SPL] (1회) |
Team Heretics : 2023 ~ 현재 |
against All authority | 1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6위 | 2019년 12월 팀 해체 |
DragonBorns | 1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8위 | 2013년 8월 팀 해체 |
Lemondogs | 1 | 2013 서머 | 2013 서머 | 준우승 | 2014년 6월 팀 해체 |
ALTERNATE aTTaX | 1 | 2013 서머 | 2013 서머 | 5위 |
Team ALTERNATE : 2013 서머 2018년 4월 팀 해체 |
Ad Hoc Gaming | 1 | 2017 서머 | 2017 서머 | 10위 |
Mysterious Monkeys : 2017 서머 2021년 5월 팀 해체 |
Karmine Corp | 1 | 2024 |
진행 중 (2024 ~ ) |
4위[SPL] (1회) |
Karmine Corp : 2024 ~ 현재 |
- 2013 스프링부터 2024 시즌까지 22시즌 동안 LEC에 참가한 팀은 총 28팀이다. 그 중 2시즌 이상 참가한 팀은 22팀이다.
- 첫 시즌인 2013 스프링부터 개근한 팀은 Fnatic 1팀이며 원년 멤버는 Fnatic, SK Gaming 2팀이다.
3.3. 역대 우승팀 및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31521><tablebgcolor=#a3152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Fnatic ★ ★ ★ |
Alliance ★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Fnatic ★ ★ ★ ★ ★ |
G2 Esports ★ ★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G2 Esports ★ ★ ★ ★ |
Fnatic ★ ★ ★ ★ ★ ★ ★ |
|||
역대 LEC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LCS EU 우승팀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G2 Esports ★ ★ ★ ★ ★ ★ ★ ★ |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MAD Lions ★ ★ |
G2 Esports ★ ★ ★ ★ ★ ★ ★ ★ ★ |
Rogue ★ |
||
2023 | 2024 | 2025 윈터 | 2025 스프링 | |
G2 Esports ★ ★ ★ ★ ★ ★ ★ ★ ★ ★ ★ |
||||
역대 LEC 스플릿 우승팀 (2023 ~ 202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스플릿 우승팀 (2023~202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3 윈터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G2 Esports ★ |
MAD Lions ★ |
G2 Esports ★ ★ |
|
2024 윈터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G2 Esports ★ ★ ★ ★ ★ |
|||
역대 LEC 최종 우승팀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plit (2023 ~ 2024) | ||||
<rowcolor=#000>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2023 윈터 | <colbgcolor=#ffd700,#886000> G2 Esports | <colbgcolor=#c0c0c0,#505050> MAD Lions | <colbgcolor=#bd9424,#400004> KOI | <colbgcolor=#f0e68c,#807005> SK Gaming |
2023 스프링 | MAD Lions | Team BDS | Team Vitality | G2 Esports |
2023 서머 | G2 Esports | EXCEL | Fnatic | Team Heretics |
2024 윈터 | G2 Esports | MAD Lions KOI | Team BDS | Fnatic |
2024 스프링 | G2 Esports | Fnatic | Team BDS | Team Vitality |
2024 서머 | G2 Esports | Fnatic | Team BDS | Karmine Corp |
스플릿 종합 | |||||
팀 | 진출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5회 | 5회 | - |
2023 윈터, 2023 서머, 2024 윈터, 2024 스프링, 2024 서머 |
- | |
3회 | 1회 | 2회 | 2023 스프링 | 2023 윈터, 2024 윈터 | |
2회 | - | 2회 | - | 2024 스프링, 2024 서머 | |
1회 | - | 1회 | - | 2023 스프링 | |
1회 | - | 1회 | - | 2023 서머 |
- [ LCS EU 2013~2018 시즌 별 순위 ]
Riot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rope 시즌 별 순위 순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1 FNC ALL FNC G2 FNC 2 GMB LD SK FNC UOL OG SPY UOL MSF G2 S04 3 EG GMB ROC SK H2K FNC H2K FNC SPY VIT 4 SK EG ALL ROC SK UOL H2K UOL MSF H2K VIT MSF 5 CW ATN GMB SHC GMB ROC VIT GIA H2K UOL H2K G2 6 aAa NIP CW MIL CW GIA UOL FNC SPY ROC SPY 7 GIA SK SHC GMB ELE VIT ROC VIT MSF ROC 8 DB MYM MIL CW ROC GMB SPY S04 VIT ROC S04 UOL 9 8팀 체제 GIA SK ROC OG GIA NIP GIA 10 MYM CW GIA ROC OG MM UOL H2K
- [ LEC 2019~2022 시즌 별 순위 ]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시즌 별 순위 순위 2019 2020 2021 2022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1 G2 MAD G2 RGE 2 OG FNC FNC RGE FNC RGE G2 3 FNC S04 MAD RGE G2 RGE FNC 4 SPY RGE OG MAD S04 G2 MSF MAD 5 VIT SPY RGE S04 FNC MSF VIT MSF 6 SK VIT MSF SK VIT XL 7 S04 SK XL MSF XL MAD VIT 8 MSF OG S04 MSF XL AST SK 9 XL MSF SK VIT AST SK BDS AST 10 RGE XL VIT OG VIT S04 AST BDS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시즌 별 순위 | ||||||||
순위 | 2023 | 2024 | ||||||
Winter | Spring | Summer | Finals | Winter | Spring | Summer | Finals | |
1 | G2 | MAD | G2 | |||||
2 | MAD | BDS | XL | FNC | MDK | FNC | ||
3 | KOI | VIT | FNC | MAD | BDS | MDK | ||
4 | SK | G2 | TH | BDS | FNC | VIT | KC | BDS |
5 | VIT | AST | BDS | XL | SK | TH | SK | |
6 | AST | KOI | SK | VIT | MDK | GX | ||
7 | BDS | SK | MAD |
시즌 파이널 |
TH | GX | MDK |
시즌 파이널 |
8 | TH | FNC | KOI | GX | SK | TH | ||
9 | FNC | TH | AST | RGE | VIT | |||
10 | XL | VIT | KC | RGE |
3.4. 역대 우승자 및 입상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 시즌 | 대회 | 우승팀 | 선수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 ||||
2013 | 스프링 | sOAZ · Cyanide · xPeke · YellOwStaR · nRated | ||
서머 | sOAZ · Cyanide · xPeke · Puszu · YellOwStaR | |||
2014 | 스프링 | sOAZ · Cyanide · xPeke · Rekkles · YellOwStaR | ||
서머 | Wickd · Shook · Froggen · Tabzz · Nyph | |||
2015 | 스프링 | Huni · Reignover · Febiven · Steeelback · YellOwStaR | ||
서머 |
Huni ·
Reignover ·
Febiven ·
Rekkles · Steeelback · YellOwStaR |
|||
2016 | 스프링 | Kikis · Trick · Perkz · Emperor · Hybrid | ||
서머 | Expect · Trick · Perkz · Zven · Mithy | |||
2017 | 스프링 | |||
서머 | ||||
2018 | 스프링 | sOAZ · Bwipo · Broxah · Caps · Rekkles · Hylissang · Jesiz | ||
서머 |
sOAZ ·
Bwipo ·
Expect ·
Broxah ·
Caps ·
Rekkles · Hylissang |
|||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 ||||
2019 | 스프링 | Wunder · Jankos · Caps · Perkz · Mikyx · promisq | ||
서머 | ||||
2020 | 스프링 | Wunder · Jankos · Caps · Perkz · P1noy · Mikyx | ||
서머 | ||||
2021 | 스프링 | Armut · Elyoya · Humanoid · Carzzy · Kaiser | ||
서머 | ||||
2022 | 스프링 | BrokenBlade · Jankos · caPs · Flakked · Targamas | ||
서머 | Odoamne · Malrang · Larssen · Comp · Trymbi |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 ||||
2023 | 윈터 | BrokenBlade · Yike · Caps · Hans Sama · Mikyx | ||
스프링 | Chasy · Elyoya · Nisqy · Carzzy · Hylissang | |||
서머 | BrokenBlade · Yike · Caps · Hans Sama · Mikyx | |||
시즌 파이널 | ||||
2024 | 윈터 | |||
스프링 | ||||
서머 | ||||
시즌 파이널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우승 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 시즌 | 대회 | 우승팀 | 스태프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 ||||
2013 | 스프링 | hxd | ||
서머 | ||||
2014 | 스프링 | - | ||
서머 | Leviathan | |||
2015 | 스프링 | Deilor | ||
서머 | ||||
2016 | 스프링 | YoungBuck · Duffman | ||
서머 | ||||
2017 | 스프링 | |||
서머 | ||||
2018 | 스프링 | Dylan Falco · YoungBuck | ||
서머 | ||||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 ||||
2019 | 스프링 | GrabbZ · Duffman | ||
서머 | ||||
2020 | 스프링 | |||
서머 | ||||
2021 | 스프링 | Mac · Kaas · Pad | ||
서머 | Mac · Kaas · Pad · Vizicsacsi | |||
2022 | 스프링 | Dylan Falco · Rodrigo | ||
서머 | fredy122 · SeeEl · Bernie · Blueknight |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 ||||
2023 | 윈터 | Dylan Falco · Rodrigo · Click | ||
스프링 | Mac · Pad · Acchu · Zeph · Orome | |||
서머 | Dylan Falco · Rodrigo · Click | |||
시즌 파이널 | ||||
2024 | 윈터 | Dylan Falco · Isma · Rodrigo · Duffman · Click | ||
스프링 | ||||
서머 | ||||
시즌 파이널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All-Pro {{{#ffd700 1st}}} Team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All-Pro {{{#c0c0c0 2nd}}} Team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All-Pro {{{#bd9424 3rd}}} Team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파이널 MV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LCS EU 파이널 MVP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
Wunder 마르틴 한센 G2 | TOP |
Jankos 마르친 얀코프스키 G2 | JGL |
Mikyx 미하엘 메흘레 G2 | SPT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Armut 이르판 튀케크 MAD | TOP |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2023 윈터 | 2023 스프링 | |
Armut 이르판 튀케크 MAD | TOP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RGE | BOT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Chasy 김동현 MAD | TOP |
|
2023 서머 | 2023 시즌 파이널 | 2024 윈터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Yike 마르틴 순델린 G2 | JGL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BrokenBlade 세르겐 첼리크 G2 | TOP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
2024 시즌 파이널 | |||||
Hans Sama 스티븐 리브 G2 | BOT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정규시즌 MV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LCS EU 정규시즌 MVP | ||||
2019 Spring | 2019 Summer | 2020 Spring | 2020 Summer | 2021 Spring |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Jankos 마르친 얀코프스키 G2 | JGL |
Jankos 마르친 얀코프스키 G2 | JGL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Rekkles 마틴 라르손 G2 | BOT |
|
2021 Summer | 2022 Spring | 2022 Summer | 2023 | 2024 | |
Inspired 카츠페르 스워마 RGE | JGL |
Vetheo 빈센츠 베리 MSF | MID |
Nisqy 야신 딘체르 MAD | MID |
Mikyx 미하엘 메흘레 G2 | SPT |
Caps 라스무스 뷘터 G2 | MID |
|
2023년부터 시상 방식이 시즌 연 1회로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신인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LCS EU 신인왕 | ||||
2019 Spring | 2019 Summer | 2020 Spring | 2020 Summer | 2021 Spring | |
Selfmade 오스카르 보데렉 SK | JGL |
Inspired 카츠페르 스워마 RGE | JGL |
Razork 이반 마르틴 MSF | JGL |
Labrov 라브로스 파푸트사키스 VIT | SPT |
Elyoya 하비에르 프라데스 MAD | JGL |
|
2021 Summer | 2022 Spring | 2022 Summer | 2023 | 2024 | |
Adam 아담 마나네 FNC | TOP |
Shlatan 루찬 아흐마드 MSF | JGL |
JeongHoon 이정훈 AST | SPT |
Yike 마르틴 순델린 G2 | JGL |
Jackies 아담 예르자벡 GX | MID |
|
2023년부터 시상 방식이 시즌 연 1회로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Best Coach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LCS EU Best Coach | ||||
2019 Spring | 2019 Summer | 2020 Spring | 2020 Summer | 2021 Spring | |
Guilhoto 안드레 길료투 OG |
GrabbZ 파비안 로만 G2 |
Mac 제임스 맥코맥 MAD |
Mac 제임스 맥코맥 MAD |
fredy122 사이먼 페인 Blueknight 니코 자넷 外 1명 RGE |
|
2021 Summer | 2022 Spring | 2022 Summer | 2023 | 2024 | |
fredy122 사이먼 페인 Blueknight 니코 자넷 外 1명 RGE |
fredy122 사이먼 페인 Blueknight 니코 자넷 外 1명 RGE |
Mac 제임스 맥코맥 Reignover 김의진 外 2명 MAD |
Dylan Falco 딜런 팔코 Rodrigo 호드리구 올리베이라 G2 |
||
2021 시즌부터는 팀 코치진들에게 통합 시상한다. 2023년부터 시상 방식이 시즌 연 1회로 바뀌었다. |
2000킬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000>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마틴 라르손|마틴 라르손 Rekkles ]]
|
2021.07.10 | - | ||||
,, ID : 현역ID : 은퇴/무소속,,
|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000> 이름 ID |
당시 소속 팀 | 현 소속 팀 | 포지션 | 달성일자 | 최종 기록 |
[[마틴 라르손|마틴 라르손★ Rekkles ]]
|
2017.06.01 | - | ||||
[[마르친 얀코프스키|마르친 얀코프스키☆ Jankos ]]
|
2019.09.08 | - | ||||
[[루카 페르코비치|루카 페르코비치☆ Perkz ]]
|
2019.09.08 | - | ||||
[[에흘란 홀름|에흘란 홀름 Nukeduck ]]
|
은퇴 | 2020.04.13 | 1258킬 | |||
[[라스무스 뷘터|라스무스 뷘터☆ Caps ]]
|
2020.06.13 | - | ||||
[[마르틴 한센|마르틴 한센 Wunder ]]
|
2021.07.17 | - | ||||
[[카스페르 코베룹|카스페르 코베룹 Kobbe ]]
|
2021.07.23 | - | ||||
[[스티븐 리브|스티븐 리브 Hans Sama ]]
|
2021.08.13 | - | ||||
[[안드레이 파스쿠|안드레이 파스쿠 Odoamne ]]
|
2022.01.21 | - | ||||
[[엘리아스 립|엘리아스 립 Upset ]]
|
2022.03.06 | - | ||||
[[에밀 라르손|에밀 라르손 Larssen ]]
|
2023.07.03 | - | ||||
,, ID : 현역ID : 은퇴/무소속☆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31521><tablebgcolor=#a3152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역대 파이널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 역대 LCS EU 플레이오프 MVP | |||
2015 Spring | 2015 Summer | 2016 Spring | 2016 Summer | |
Reignover 김의진 FNC | JGL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ADC |
Trick 김강윤 G2 | JGL |
Mithy 알폰소 로드리게스 G2 | SPT |
|
2017 Spring | 2017 Summer | 2018 Spring | 2018 Summer | |
Expect 기대한 G2 | TOP |
Mithy 알폰소 로드리게스 G2 | SPT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ADC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BOT |
|
2018 서머는 플레이오프 MVP와 파이널 MVP를 모두 선정했다. 플레이오프 통합 MVP는 Caps. | ||||
역대 LEC 파이널 MV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31521><tablebgcolor=#a3152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역대 플레이오프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3 Summer | 2014 Spring | 2014 Summer | 2018 Summer |
xPeke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FNC | MID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ADC |
Froggen 헨리크 한센 ALL | MID |
Caps 라스무스 뷘터 FNC | MID |
|
2018 서머는 플레이오프 MVP와 파이널 MVP를 모두 선정했다. 결승전 MVP는 Rekkles. | ||||
역대 LCS EU 파이널 MV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31521><tablebgcolor=#a3152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역대 정규시즌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4 Spring | 2014 Summer | 2015 Spring | 2015 Summer | 2016 Spring |
Froggen 헨리크 한센 ALL | MID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ADC |
FORG1VENGRE 콘스탄티노스 초치우 SK | ADC |
YellOwStaR 보라 킴 FNC | SPT |
Trick 김강윤 G2 | JGL |
|
2016 Summer | 2017 Spring | 2017 Summer | 2018 Spring | 2018 Summer | |
Trick 김강윤 G2 | JGL |
Vizicsacsi 키스 타마스 UOL | TOP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ADC |
Rekkles 마틴 라르손 FNC | ADC |
Caps 라스무스 뷘터 FNC | MID |
|
역대 LEC 정규시즌 MV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31521><tablebgcolor=#a3152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역대 신인왕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4 Summer | 2015 Spring | 2015 Summer | |
Woolite 파베우 프루스키 CW | ADC |
Huni 허승훈 FNC | TOP |
Niels 제스퍼 스베닝슨 OG | ADC |
||
2016 Spring | 2016 Summer | 2017 Spring | ||
PerkZ 루카 페르코비치 G2 | MID |
NighT 나건우 GIA | MID |
Xerxe 안드레이 드라고미르 UOL | JGL |
||
2017 Summer | 2018 Spring | 2018 Summer | ||
Pridestalker 밀로 웨네스 ROC | JGL |
Jiizuke 다니엘레 디 마우로 VIT | MID |
Bwipo 가브리엘 라우 FNC | BOT |
||
2018 서머는 신인왕 후보 조건을 충족한 선수들의 수가 부족해서 공식적으로 시상하지 않았다. Bwipo의 수상은 팬 투표를 통한 비공식 번외로 공식 수상은 아니다. | ||||
역대 LEC 신인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31521><tablebgcolor=#a3152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Best Coach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5 Spring | 2015 Summer | 2016 Spring | 2016 Summer |
pr0lly 닐 하마드 H2K |
Deilor 루이스 세비야 페팃 FNC |
YoungBuck 조이 스텔튼풀[br] G2 |
YamatoCannon 야콥 멥디 SPY |
|
2017 Spring | 2017 Summer | 2018 Spring | 2018 Summer | |
pr0lly 닐 하마드 H2K |
pr0lly 닐 하마드 H2K |
Peter Dun 피터 던 SPY |
Guilhoto 안드레 길료투 S04 |
|
역대 LEC Best Coach → |
3.5. 역대 All-Pro Team
자세한 내용은 LEC All-Pro Team 문서 참고하십시오.3.6. 역대 풀세트 5전제
2013 스프링부터 2024 시즌 파이널까지 포스트시즌에서 3:2 경기가 펼쳐진 5전제(Bo5), 일명 실버 스크랩스 경기 기록이다.3.7. 역대 퍼펙트 게임
순서 | 달성 팀 | 스코어 | 상대 팀 | 일자 | 경기 | |||||
경기 시간 | 킬 | 타워 | 드래곤 | 전령 | 바론 | |||||
1 | Team Vitality | 27:08 | 13:0 | 9:0 | 2:0 | 1:0 | 1:0 | Splyce | 2016.03.18 | 2016 스프링 87경기 |
2 | Team Vitality | 27:34 | 12:0 | 9:0 | 2:0 | 1:0 | 1:0 | Unicorns Of Love | 2017.08.11 | 2017 서머 B조 18경기 1세트 |
====# 역대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 #====
퍼펙트 게임 조건인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상대팀에게 하나 이상 내줬어도 상대팀의 킬 스코어가 0인 게임을 말하며, 만약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모두 내주지 않았을 경우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와 동시에 자동으로 위에 있는 퍼펙트 게임이 성립된다.
순서 | 일자 | 경기 | 블루 팀 | 킬스코어 | 레드 팀 | 경기 시간 | 퍼펙트 게임 달성여부 |
1 | 2013.02.18 | 2013 스프링 13경기 | Evil Geniuses | 13 : 0 | Giants Gaming | 35:56 | X(타워) |
2 | 2013.03.04 | 2013 스프링 43경기 | DragonBorns | 0 : 12 | SK Gaming | 32:00 | X(타워) |
3 | 2013.06.16 | 2013 서머 7경기 | MeetYourMakers | 8 : 0 | Ninjas in Pyjamas | 22:36 | X(타워) |
4 | 2013.07.22 | 2013 서머 70경기 | SK Gaming | 8 : 0 | Ninjas in Pyjamas | 33:58 | X(타워) |
5 | 2014.03.01 | 2014 스프링 61경기 | Fnatic | 17 : 0 | Gambit Gaming | 35:35 | X(타워, 드래곤) |
6 | 2014.07.02 | 2014 서머 62경기 | Alliance | 12 : 0 | SK Gaming | 21:01 | X(타워, 드래곤) |
7 | 2015.04.13 | 2015 스프링 2라운드 3세트 | Unicorns Of Love | 14 : 0 | SK Gaming | 29:54 | X(타워, 드래곤) |
8 | 2015.08.09 | 2015 서머 1라운드 1세트 | H2k-Gaming | 16 : 0 | Giants Gaming | 29:39 | X(타워, 드래곤) |
9 | 2016.02.20 | 2016 스프링 59경기 | Splyce | 13 : 0 | Fnatic | 33:50 | X(타워) |
10 | 2016.03.18 | 2016 스프링 87경기 | Team Vitality | 13 : 0 | Splyce | 27:08 | 퍼펙트 게임 1호 |
11 | 2016.04.02 | 2016 스프링 1라운드 1세트 | Team Vitality | 0 : 11 | Fnatic | 41:08 | X(타워, 드래곤) |
12 | 2016.04.10 | 2016 스프링 2라운드 3세트 | H2k-Gaming | 12 : 0 | Origen | 30:53 | X(타워) |
13 | 2016.07.09 | 2016 서머 55경기 2세트 | H2k-Gaming | 11 : 0 | Schalke 04 | 26:39 | X(타워) |
14 | 2017.02.04 | 2017 스프링 A조 9경기 1세트 | Giants Gaming | 0 : 12 | G2 Esports | 33:20 | X(전령) |
15 | 2017.02.12 | 2017 스프링 인터리그 6경기 1세트 | G2 Esports | 20 : 0 | Origen | 25:09 | X(타워) |
16 | 2017.07.14 | 2017 서머 인터리그 14경기 1세트 | H2k-Gaming | 13 : 0 | Team ROCCAT | 26:02 | X(타워) |
17 | 2017.08.12 | 2017 서머 B조 18경기 1세트 | Unicorns Of Love | 0 : 12 | Team Vitality | 27:34 | 퍼펙트 게임 2호 |
18 | 2018.01.27 | 2018 스프링 13경기 | Misfits Gaming | 7 : 0 | H2k-Gaming | 31:42 | X(타워, 전령) |
19 | 2018.02.10 | 2018 스프링 31경기 | H2k-Gaming | 0 : 8 | Splyce | 34:02 | X |
20 | 2018.02.11 | 2018 스프링 38경기 | Team ROCCAT | 11 : 0 | Misfits Gaming | 32:05 | X(전령) |
21 | 2018.03.10 | 2018 스프링 75경기 | Fnatic | 10 : 0 | Team ROCCAT | 34:01 | X(타워) |
22 | 2018.03.11 | 2018 스프링 77경기 | H2k-Gaming | 0 : 12 | Splyce | 33:10 | X(타워,바론) |
23 | 2018.07.22 | 2018 서머 50경기 | Team ROCCAT | 11 : 0 | G2 Esports | 28:44 | X(타워,드래곤) |
24 | 2018.08.04 | 2018 서머 61경기 | Unicorns Of Love | 0 : 11 | Splyce | 40:33 | X(타워,바론, 전령) |
25 | 2018.08.12 | 2018 서머 78경기 | Schalke 04 | 15 : 0 | Giants Gaming | 33:05 | X(타워,드래곤) |
26 | 2018.08.19 | 2018 서머 90경기 | Team Vitality | 10 : 0 | G2 Esports | 28:36 | X(타워,드래곤) |
27 | 2019.02.09 | 2019 스프링 34경기 | Fnatic | 4 : 0 | Excel | 28:04 | X(타워) |
28 | 2020.02.08 | 2020 스프링 22경기 | Schalke 04 | 0 : 16 | Misfits Gaming | 29:39 | X(타워, 드래곤, 전령) |
29 | 2020.04.11 | 2020 스프링 패자 2라운드 2세트 | Rogue | 0 : 9 | Origen | 28:55 | X(타워) |
30 | 2020.06.13 | 2020 서머 4경기 | Rogue | 8 : 0 | Excel | 30:24 | X(타워, 드래곤, 전령) |
31 | 2022.06.18 | 2022 서머 4경기 | Excel | 15 : 0 | Misfits Gaming | 26:04 | X(타워) |
32 | 2023.04.17 | 2023 스프링 1라운드 1경기 1세트 | Team BDS | 11 : 0 | Team Vitality | 36:33 | X(타워, 드래곤) |
33 | 2023.04.23 | 2023 스프링 결승전 5세트 | Team BDS | 0 : 14 | MAD Lions | 28:03 | X(타워, 드래곤, 전령) |
34 | 2024.02.10 | 2024 윈터 패자 1라운드 2경기 1세트 | MAD Lions KOI | 15 : 0 | GIANTX | 23:07 | X(타워) |
3.8. 역대 펜타킬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e4be><colcolor=#000> 2013 시즌 | Bjergsen 쇠렌 비에르 1호 · Alex Ich 알렉세이 이체토프킨 2호 |
2014 시즌 | Genja 예브게니 안드류신 3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4호 | |
2015 시즌 | PowerOfEvil 트리스탄 쉬라제 5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6·7호☆ | |
2016 시즌 | Sonstar 손승익 8호 · Expect 기대한 9호 | |
2017 시즌 | Zven 제스퍼 스베닝슨 10호 · Nukeduck 에흘란 홀름 11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12호 | |
2018 시즌 | Kobbe 카스페르 코베룹 13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14호 · Perkz 루카 페르코비치 15호 | |
2019 시즌 | Rekkles 마틴 라르손 16호 · Upset 엘리아스 립 17호 · Nemesis 팀 리포프섹 18호 · Odoamne 안드레이 파스쿠 19호 | |
2020 시즌 | Rekkles 마틴 라르손 20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21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22호 | |
2021 시즌 | WhiteKnight 마티 소르무넨 23호 · BrokenBlade 세르겐 첼리크 24호 · Inspired 카츠페르 스워마 25호 | |
2022 시즌 | Jezu 장 마솔 26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27·28·29호★ | |
2023 시즌 | Nisqy 야신 딘체르 30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31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32호 · Crownie 유시 마루시치 33·35호☆ · Kobbe 카스페르 코베룹 34호 · Carzzy 마티아슈 오르샤크 36호·39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37호 · Oscarinin 오스카르 무뇨즈 38호 | |
2024 시즌 | Supa 다비드 가르시아 40호·44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41호·43호·50호★ · Yike 마르틴 순델린 42호 · Ice 윤상훈 45호·51호☆ · nuc 일리아스 비즈리켄 46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47호·49호☆ · Noah 오현택 48호 | |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펜타킬 기록 |
}}}}}}}}} ||
3.9. 국제 대회 관련 기록
역대 메이저 국제 대회 통산 BO5 전적 LEC vs LCK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기 | LEC | 결과 | LCK | 역대 전적 |
2015 MSI 4강 | FNC | 2:3 | SKT | 0:1 | |
2015 Worlds 4강 | OG | 0:3 | SKT | 0:2 | |
FNC | 0:3 | KOO | 0:3 | ||
2016 Worlds 4강 | H2K | 0;3 | SSG | 0:4 | |
2017 MSI 결승 | G2 | 1:3 | SKT | 0:5 | |
2017 Worlds 8강 | MSF | 2:3 | SKT | 0:6 | |
2019 MSI 4강 | G2 | 3:2 | SKT | 1:6 | |
2019 Worlds 8강 | SPY | 1:3 | SKT | 1:7 | |
G2 | 3:1 | DWG | 2:7 | ||
2019 Worlds 4강 | G2 | 3:1 | SKT | 3:7 | |
2020 Worlds 8강 | G2 | 3:0 | GEN | 4:7 | |
2020 Worlds 4강 | G2 | 1:3 | DWG | 4:8 | |
2021 MSI 4강 | MAD | 2:3 | DK | 4:9 | |
2021 Worlds 8강 | MAD | 0:3 | DK | 4:10 | |
2022 MSI 4강 | G2 | 0:3 | T1 | 4:11 | |
2023 MSI 브래킷 상위권 1R | G2 | 1:3 | GEN | 4:12 | |
MAD | 0:3 | T1 | 4:13 | ||
2024 MSI 브래킷 상위권 1R | FNC | 0:3 | GEN | 4:14 | |
G2 | 2:3 | T1 | 4:15 | ||
2024 MSI 브래킷 하위권 3R | G2 | 0:3 | T1 | 4:16 |
역대 메이저 국제 대회 통산 BO5 전적 LEC vs LPL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기 | LEC | 결과 | LPL | 역대 전적 |
2013 Worlds 4강 | FNC | 1:3 | RYL | 0:1 | |
2015 Worlds 8강 | FNC | 3:0 | EDG | 1:1 | |
2017 MSI 4강 | G2 | 3:1 | WE | 2:1 | |
2017 Worlds 8강 | FNC | 1:3 | RNG | 2:2 | |
2018 MSI 4강 | FNC | 0:3 | RNG | 2:3 | |
2018 Worlds 8강 | G2 | 3:2 | RNG | 3:3 | |
FNC | 3:1 | EDG | 4:3 | ||
2018 Worlds 4강 | G2 | 0:3 | IG | 4:4 | |
2018 Worlds 결승 | FNC | 0:3 | IG | 4:5 | |
2019 Worlds 8강 | FNC | 1:3 | FPX | 4:6 | |
2019 Worlds 결승 | G2 | 0:3 | FPX | 4:7 | |
2020 Worlds 8강 | FNC | 2:3 | TES | 4:8 | |
2022 Worlds 8강 | RGE | 0:3 | JDG | 4:9 | |
2023 MSI 브래킷 하위권 2R | G2 | 1:3 | BLG | 4:10 | |
2024 MSI 브래킷 하위권 2R | G2 | 3:0 | TES | 5:10 |
역대 메이저 국제 대회 통산 BO5 전적 LEC vs LCS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기 | LEC | 결과 | LCS | 역대 전적 |
2018 Worlds 4강 | FNC | 3:0 | C9 | 1:0 | |
2019 MSI 결승 | G2 | 3:0 | TL | 2:0 | |
2022 Worlds 플레이-인 녹아웃 2R | MAD | 0:3 | EG | 2:1 | |
2024 MSI 브래킷 하위권 1R | FNC | 1:3 | TL | 2:2 |
3.9.1. 역대 FST 진출 LEC 팀
<rowcolor=#45002B>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 | - | - | - |
역대 First Stand Tournament LEC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25 | - | - | - |
3.9.2. 역대 MSI 진출 LEC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G2 Esports | 6회 |
2016 2017 2019 2022 2023 2024 |
우승(2019) 준우승(2017) 4강(2022) 4위(2024) 그룹 스테이지(2016) 브래킷 하위권 2R(2023) |
Fnatic | 3회 |
2015 2018 2024 |
4강(2015, 2018) 브래킷 하위권 1R(2024) |
MAD Lions | 2회 |
2021 2023 |
4강(2021) 브래킷 하위권 1R(2023) |
역대 Mid-Season Invitational LEC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15 | Fnatic | 4-6 | 4강 | ||||
2016 | G2 Esports | 2-8 | 그룹 스테이지 | ||||
2017 | G2 Esports | 8-10 | 준우승 | ||||
2018 | Fnatic | 5-9 | 4강 | ||||
2019 | G2 Esports | 11-7 | 우승 | ||||
2021 | MAD Lions | 12-9 | 4강 | ||||
2022 | G2 Esports | 13-8 | 4강 | ||||
2023 | MAD Lions | 0-6 | 브래킷 하위권 1R | ||||
G2 Esports | 9-6 | 브래킷 하위권 2R | |||||
2024 | G2 Esports | 8-6 | 4위 | ||||
Fnatic | 6-8 | 브래킷 하위권 1R |
3.9.3. 역대 RR 진출 LEC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G2 Esports | 3회 |
2017 2018 2019 |
우승(2018, 2019) 준우승(2017) |
Fnatic | 3회 |
2017 2018 2019 |
우승(2018, 2019) 준우승(2017) |
Unicorns of Love | 1회 | 2017 | 준우승(2017) |
MAD Lions | 1회 | 2018(SPY) | 우승(2018) |
Astralis | 1회 | 2019(OG) | 우승(2019) |
역대 리프트 라이벌즈 LEC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17 | G2 Esports | 1-5 | 준우승 | ||||
Unicorns of Love | 3-6 | ||||||
Fnatic | 2-4 | ||||||
2018 | Fnatic | 4-1 | 우승 | ||||
G2 Esports | 3-1 | ||||||
Splyce | 1-3 | ||||||
2019 | G2 Esports | 2-2 | 우승 | ||||
Origen | 3-1 | ||||||
Fnatic | 4-1 |
3.9.4. 역대 Worlds 진출 LEC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Fnatic | 12회[14] |
2011 2013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
우승(2011) 준우승(2018) 4강(2013, 2015) 8강(2017, 2019, 2020) 그룹 스테이지(2014, 2021, 2022) 스위스 스테이지(2023, 2024) |
G2 Esports | 8회 |
2016 2017 2018 2019 2020 2022 2023 2024 |
준우승(2019) 4강(2018, 2020) 그룹 스테이지(2016, 2017, 2022) 스위스 스테이지(2023, 2024) |
MAD Lions | 7회 |
2016(SPY) 2019(SPY) 2020 2021 2022 2023 2024 |
8강(2019, 2021) 그룹 스테이지(2016) 스위스 스테이지(2023, 2024) 플레이-인 녹아웃(2020, 2022) |
Rogue | 3회 |
2020 2021 2022 |
8강(2022) 그룹 스테이지(2020, 2021) |
Gambit Esports | 2회 |
2012(M5) 2013 |
8강(2012) 그룹 스테이지(2013) |
SK Gaming | 2회 |
2012 2014 |
그룹 스테이지(2012, 2014) |
H2k Gaming | 2회 |
2015 2016 |
4강(2016) 그룹 스테이지(2015) |
against All authority | 1회 | 2011 | 준우승(2011) |
Team GAMED.DE | 1회 | 2011 | 8강(2011) |
Winterfox | 1회 | 2012 | 4강(2012) |
Lemondogs | 1회 | 2013 | 그룹 스테이지(2013) |
Schalke 04 | 1회 | 2014 | 그룹 스테이지(2014) |
Astralis | 1회 | 2015 | 4강(2015) |
Misfits Gaming | 1회 | 2017 | 8강(2017) |
Team Vitality | 1회 | 2018 | 그룹 스테이지(2018) |
Team BDS | 1회 | 2023 | 스위스 스테이지(2023) |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LEC 출전 팀 & 최종 성적 | |||||||
시즌 | 우승 | 준우승 | 4강 | 8강[15] | 그룹 & 스위스 | 플레이-인 | |
2011 | FNC[#3] | aAa[#1] | GDE[#2] | ||||
2012 | M5[#1] | SK[#2] | |||||
CLG.EU[#3] | |||||||
2013 | FNC[#1] | GMB[#3] | LD[#2] | ||||
2014 | ALL[#1] | ||||||
FNC[#2] | |||||||
SK[#3] | |||||||
2015 | FNC[#1] | H2K[#2] | |||||
OG[#3] | |||||||
2016 | H2K[#2] | G2[#1] | |||||
SPY[#3] | |||||||
2017 | MSF[#2] | G2[#1] | |||||
FNC[#3] | |||||||
2018 | FNC[#1] | G2[#3] | VIT[#2] | ||||
2019 | G2[#1] | FNC[#2] | |||||
SPY[#3] | |||||||
2020 | G2[#1] | FNC[#2] | RGE[#3] | MAD[#4] | |||
2021 | MAD[#1] | FNC[#2] | |||||
RGE[#3] | |||||||
2022 | RGE[#1] | G2[#2] | MAD[#4] | ||||
FNC[#3] | |||||||
2023 | G2[#1] | ||||||
FNC[#2] | |||||||
MAD[#3] | |||||||
BDS[#4] | |||||||
2024 | G2[#1] | ||||||
FNC[#2] | |||||||
MAD[#3] |
3.9.5. 역대 All-Star 출전 LEC 선수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LEC 출전 선수 | |||||||
시즌 | 출전 선수 | 비고 | |||||
2013 |
폴 부아예 sOAZ |
다닐 레셰트니코프 Diamondprox |
알렉세이 이체토프킨 Alex Ich |
페터 뷔펜 Yellowpete |
에두아르트 아브가리안 Edward |
감독으로
FNC 소속 hxd 참가 |
|
FNC | GMB | EG | GMB | ||||
2014 |
폴 부아예 sOAZ |
라우리 하포넨 Cyanide |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xPeke |
마르틴 라르손 Rekkles |
보라 킴 YellOwStaR |
올스타 챌린지에
ALL 소속 Froggen과 GMB 소속 Diamondprox 참가 |
|
FNC | |||||||
2015 |
허승훈 Huni |
모리스 슈테겐슈나이더 Amazing |
헨리크 한센 Froggen |
마르틴 라르손 Rekkles |
레이먼드 창 kaSing |
식스맨으로
OG 소속 Niels 참가 |
|
FNC | OG | ELE | FNC | H2k | |||
2016 |
폴 부아예 sOAZ |
마르친 얀코프스키 Jankos |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xPeke |
마르틴 라르손 Rekkles |
알폰소 로드리게스 Mithy |
||
OG | H2k | OG | FNC | G2 | |||
2017 |
폴 부아예 sOAZ |
마르친 얀코프스키 Jankos |
트리스탄 쉬라제 PowerOfEvil |
마르틴 라르손 Rekkles |
이동근 IgNar |
코치로
G2 소속 YoungBuck 참가 |
|
FNC | H2k | MSF | FNC | MSF | |||
2018 |
라스무스 뷘터 Caps |
매즈 브록 페데르센 Broxah |
다니엘레 디 마우로 Jiizuke |
리그 파트너로 Alexelcapo, Gob GG, Gripex NoWay, Wickd 참가 |
|||
FNC | VIT | ||||||
2019 |
가브리엘 라우 Bwipo |
라스무스 뷘터 Caps |
마르친 얀코프스키 Jankos |
미하엘 메흘레 Mikyx |
유명인사로 Annchirisu, Noway, JustJohnny, Jacky, Manute, Melon, Nervarien, Sologesang, Evangelion, Narkuss, Lothar 참가 |
||
FNC | G2 | ||||||
2020 |
가브리엘 라우 Bwipo |
오스카르 보데렉 Selfmade |
마렉 브라즈다 Humanoid |
스티븐 리브 Hans sama |
지드라베츠 갈라보프 Hylissang |
전설적인 선수로
Vizicsacsi, Amazing, Exile, Samux, Mithy 인플루언서로 SivHD, Noway, Overpow, Corobizar, Elwind 참가 |
|
FNC | MAD | RGE | FNC |
3.9.6. 역대 SKE 출전 LEC 선수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LEC 출전 선수 | ||||||
시즌 | 팀 | 출전 선수 | ||||
2023 | Team Legacy |
안드레이 파스쿠 Odoamne |
마르틴 순델린 Yike |
루카 페르코비치 Perkz |
테오 보릴레 Sheo |
지드라베츠 갈라보프 Hylissang |
XL | G2 | VIT | BDS | MAD | ||
Team Dynasty ★ |
무라세 슌스케 Evi |
핀 비에스톨 Finn |
토마스 포코 Exakick |
마르틴 라르손 Rekkles |
아드리안 트리부스 Trymbi |
|
TH | AST | SK | FNC | KOI |
3.10. 경기 관련 기록
- 역대 LEC 최장시간 세트: 2016 서머 인터리그 3경기 2세트 Fnatic vs Origen (2016.06.23 / 80분 28초)
- 역대 LEC 최단시간 세트: 2019 스프링 결승전 3세트 G2 Esports vs Origen (2019.04.15 / 18분 31초)
- 역대 LEC 최장시간 Bo3 매치: 2017 스프링 인터리그 Match 20 Team ROCCAT vs Origen (2017.03.10 / 163분 30초)
- 역대 LEC 최단시간 Bo3 매치: 2024 스프링 2라운드 승자조 Fnatic vs G2 Esports (2017.07.14 / 46분 42초)
- 역대 LEC 최장시간 Bo5 매치: 2015 서머 1라운드 Unicorns Of Love vs Team ROCCAT (2015.08.10 / 245분 11초)
- 역대 LEC 최단시간 Bo5 매치: 2019 스프링 결승전 G2 Esports vs Origen (2019.04.15 / 74분 32초)
3.10.1. 역대 LEC 팀들의 승패 관련 기록
-
역대 LEC 세트 최다 연승 : 22연승
Fnatic - 2016 스프링 결승전 5세트 vs Unicorns of Love ~ 2015 서머 P.O 2라운드 3세트 vs Unicorns of Love
-
역대 LEC 세트 최다 연패 : 19연패
Origen - 2016 서머 Match 80 vs Fnatic 2세트 ~ 2017 스프링 인터리그 Match 17 vs Misfits Gaming 2세트
3.10.2. 역대 LEC 챔피언 밴픽 기록
- LEC 역사상 한번도 밴이 되지 않은 챔피언: 가렌, 샤코
- LEC 역사상 한번도 픽이 되지 않은 챔피언: 없음
- 상세 기록(펼치기 / 닫기)
- 최초 챔피언 17인 및 동시 출시 챔피언들의 순서는
나무위키 서술 순서에 따라 기록하였다.
LCS EU 2013 스프링(2013.02.09) 시작 이전 출시 챔피언들 순서 챔피언 출시일 첫 밴 첫 픽 날짜 사용자 승패 1 누누와 윌럼프 2009.02.21 2013.02.09 2013.02.09
1경기Nyph 패 2 라이즈 2009.02.21 2013.02.09 2013.02.09
2경기Alex Ich 패 3 마스터 이 2009.02.21 2015.07.02 2013.06.15
1경기Alex Ich 패 4 모르가나 2009.02.21 2024.02.06 2013.04.21
7경기ShLaYa 패 5 사이온 2009.02.21 2015.02.05 2015.01.22
3경기Odoamne 패 6 소라카 2009.02.21 2014.04.16 2013.03.03
3경기Muvert 승 7 시비르 2009.02.21 2014.01.24 2013.03.24
7경기HosaN 패 8 알리스타 2009.02.21 2015.05.28 2013.03.01
4경기Krepo 승 9 애니 2009.02.21 2014.01.14 2013.07.07
1경기Bjergsen 패 10 애쉬 2009.02.21 2013.07.06 2013.02.17
4경기Jimbz 승 11 워윅 2009.02.21 2014.01.16 2014.01.14
5경기Darien 승 12 잭스 2009.02.21 2014.03.06 2013.03.23
5경기Kev1n 패 13 케일 2009.02.21 2013.02.09 2013.02.09
1경기Cyanide 승 14 트리스타나 2009.02.21 2014.08.15 2013.03.17
6경기Nono 패 15 트위스티드 페이트 2009.02.21 2013.02.09 2013.02.10
1경기Alex Ich 승 16 티모 2009.02.21 2014.07.31 2017.04.02
1경기 2세트Wunder 패 17 피들스틱 2009.02.21 2013.07.13 2013.06.15
1경기D4rker 패 18 신지드 2009.04.18 2013.03.16 2013.02.23
1경기NeeGodbro 패 19 질리언 2009.04.18 2014.07.25 2013.07.06
1경기Czaru 패 20 이블린 2009.05.01 2013.06.15 2013.02.09
1경기sOAZ 승 21 트린다미어 2009.05.01 2013.03.01 2022.02.18
2경기Finn 패 22 트위치 2009.05.01 2013.02.10 2013.02.09
1경기CandyPanda 패 23 카서스 2009.06.12 2013.03.23 2013.02.16
3경기Alex Ich 승 24 아무무 2009.06.26 2021.06.13 2013.02.24
3경기Malunoo 승 25 초가스 2009.06.26 2015.03.26 2013.02.09
1경기hyrqBot 패 26 람머스 2009.07.10 2016.02.26 2014.07.18
4경기Diamondprox 패 27 애니비아 2009.07.10 2013.02.10 2013.02.09
1경기ocelote 패 28 베이가 2009.07.24 2018.01.27 2013.08.15
6경기xPeke 패 29 카사딘 2009.08.07 2013.02.09 2013.02.10
4경기ocelote 승 30 갱플랭크 2009.08.19 2015.07.16 2013.03.17
5경기Cyanide 승 31 타릭 2009.08.19 2013.03.17 2013.02.09
1경기nRated 승 32 말파이트 2009.09.02 2013.02.09 2013.02.09
3경기sOAZ 승 33 문도 박사 2009.09.02 2013.02.23 2013.02.10
3경기Morden 승 34 블리츠크랭크 2009.09.02 2013.02.09 2013.02.23
4경기sOAZ 승 35 잔나 2009.09.02 2015.01.22 2013.03.24
3경기Muvert 패 36 카타리나 2009.09.19 2013.03.17 2013.02.23
1경기xPeke 승 37 코르키 2009.09.19 2014.07.31 2013.03.02
3경기YellOwStaR 패 38 나서스 2009.10.01 2013.03.03 2013.02.23
2경기Diamond 승 39 샤코 2009.10.10 - 2015.04.05
1라운드 2경기 4세트Kikis 승 40 하이머딩거 2009.10.10 2014.03.27 2014.04.01
5경기YoungBuck 승 41 우디르 2009.12.02 2013.07.07 2013.02.09
2경기Diamond 패 42 니달리 2009.12.17 2013.02.10 2013.02.09
3경기xPeke 승 43 뽀삐 2010.01.13 2016.01.14 2015.03.05
2경기Vizicsacsi 패 44 그라가스 2010.02.02 2013.03.24 2013.03.24
3경기Shushei 패 45 판테온 2010.02.02 2014.01.24 2013.04.21
3경기hyrqBot 승 46 모데카이저 2010.02.24 2017.06.30 2014.01.23
2경기Overpow 승 47 이즈리얼 2010.03.16 2013.04.21 2013.02.09
2경기Genja 패 48 쉔 2010.03.24 2013.02.09 2013.02.09
2경기Wickd 승 49 케넨 2010.04.08 2013.02.17 2013.02.09
3경기Jimbz 패 50 가렌 2010.04.27 - 2013.03.01
3경기Samux 패 51 아칼리 2010.05.11 2016.02.11 2013.02.10
2경기Wickd 승 52 말자하 2010.06.01 2016.07.08 2013.04.06
2경기Snoopeh 패 53 올라프 2010.06.09 2013.02.09 2013.02.09
1경기Kev1n 패 54 코그모 2010.06.24 2013.02.10 2013.02.10
1경기YellOwStaR 패 55 신 짜오 2010.07.13 2013.02.09 2013.02.10
1경기Snoopeh 패 56 블라디미르 2010.07.27 2014.06.13 2013.02.17
3경기Darien 승 57 갈리오 2010.08.10 2017.06.02 2013.07.20
1경기Alex Ich 패 58 우르곳 2010.08.24 2015.04.04 2013.02.09
1경기YellOwStaR 승 59 미스 포츈 2010.09.08 2013.03.31 2013.02.10
1경기Genja 승 60 소나 2010.09.21 2013.03.01 2013.02.09
3경기Babeta 패 61 스웨인 2010.10.05 2016.06.02 2014.02.27
3경기Kerp 패 62 럭스 2010.10.19 2013.02.10 2013.02.09
4경기cowTard 패 63 르블랑 2010.11.02 2014.01.14 2013.04.19
6경기Froggen 패 64 이렐리아 2010.11.16 2014.03.20 2013.02.16
4경기Kev1n 패 65 트런들 2010.12.01 2014.02.04 2014.01.14
1경기sOAZ 승 66 카시오페아 2010.12.14 2013.04.06 2013.03.23
2경기Froggen 승 67 케이틀린 2011.01.04 2013.02.17 2013.02.09
1경기xPeke 승 68 레넥톤 2011.01.18 2013.02.17 2013.02.10
1경기Darien 승 69 카르마 2011.02.01 2014.03.21 2013.07.27
2경기Diamondprox 패 70 마오카이 2011.02.16 2013.02.10 2013.02.09
2경기Snoopeh 승 71 자르반 4세 2011.03.01 2013.03.01 2013.02.16
2경기hyrqBot 승 72 녹턴 2011.03.15 2017.01.27 2013.04.06
1경기Cyanide 승 73 리 신 2011.04.01 2013.06.16 2013.02.10
2경기Svenskeren 패 74 브랜드 2011.04.12 2017.08.20 2017.03.11
1경기 1세트AoD 패 75 럼블 2011.04.26 2013.04.21 2013.03.02
2경기Wickd 패 76 베인 2011.05.10 2013.07.20 2013.03.02
4경기Jimbz 패 77 오리아나 2011.06.01 2013.03.16 2013.02.09
4경기ocelote 승 78 요릭 2011.06.22 2013.08.16 2013.08.04
1경기Wickd 승 79 레오나 2011.07.08 2013.03.02 2013.02.16
1경기Muvert 패 80 오공 2011.07.26 2013.02.09 2013.02.09
3경기Samux 패 81 스카너 2011.08.09 2018.01.20 2013.07.07
5경기Mokatte 패 82 탈론 2011.08.24 2017.01.19 2013.07.28
2경기Nukeduck 승 83 리븐 2011.09.14 2014.01.14 2013.04.21
7경기YamatoCannon 승 84 제라스 2011.10.05 2013.07.20 2013.06.16
3경기xPeke 패 85 그레이브즈 2011.10.19 2013.03.03 2013.02.16
3경기Nono 패 86 쉬바나 2011.11.01 2014.01.14 2014.01.14
1경기Diamond 패 87 피즈 2011.11.15 2013.04.14 2013.04.06
6경기Alex Ich 승 88 볼리베어 2011.11.29 2013.03.01 2013.02.10
1경기Diamond 승 89 아리 2011.12.13 2013.06.15 2013.03.30
3경기ocelote 승 90 빅토르 2011.12.29 2015.05.28 2015.03.06
3경기kori 패 91 세주아니 2012.01.17 2015.01.22 2013.06.16
3경기Snoopeh 승 92 직스 2012.02.01 2014.01.14 2014.01.14
4경기xPeke 승 93 노틸러스 2012.02.14 2013.04.20 2013.04.19
1경기Snoopeh 패 94 피오라 2012.02.29 2016.01.14 2016.01.14
2경기Steve 패 95 룰루 2012.03.20 2014.02.28 2013.02.09
2경기Krepo 승 96 헤카림 2012.04.18 2013.06.15 2013.02.17
2경기hyrqBot 패 97 바루스 2012.05.08 2013.03.02 2013.02.16
1경기yellowpete 승 98 다리우스 2012.05.23 2013.03.23 2013.02.17
2경기Spontexx 승 99 드레이븐 2012.06.05 2013.02.24 2013.02.16
1경기HosaN 패 100 제이스 2012.07.07 2013.02.09 2013.02.10
4경기Froggen 패 101 자이라 2012.07.24 2013.02.09 2013.02.09
3경기Exter 패 102 다이애나 2012.08.07 2013.02.17 2013.02.17
3경기FLord 패 103 렝가 2012.08.21 2014.06.21 2013.04.14
4경기Darien 패 104 신드라 2012.09.13 2013.03.01 2013.02.23
3경기Bjergsen 패 105 카직스 2012.09.27 2013.02.09 2013.02.16
3경기Darien 승 106 엘리스 2012.10.26 2013.02.09 2013.02.09
3경기Morden 패 107 제드 2012.11.13 2013.02.09 2013.03.01
1경기Alex Ich 승 108 나미 2012.12.07 2013.06.29 2013.06.15
3경기wewillfailer 승 109 바이 2012.12.19 2013.02.09 2013.02.09
4경기hyrqBot 승 110 쓰레쉬 2013.01.23 2013.02.23 2013.02.23
2경기EDward 승 LCS EU 2013 스프링(2013.02.09) 시작 이후 출시 챔피언들 순서 챔피언 출시일 첫 밴 첫 픽 날짜 사용자 승패 111 퀸 2013.03.01 2016.01.21 2013.06.29
4경기Spontexx 패 112 자크 2013.03.29 2013.04.27 2013.04.26
1라운드 1경기 1세트Wickd 패 113 리산드라 2013.04.30 2013.06.15 2013.06.15
4경기ForellenLord 승 114 아트록스 2013.06.13 2013.07.13 2013.07.13
2경기Darien 승 115 루시안 2013.08.22 2014.01.16 2013.01.14
1경기Genja 패 116 징크스 2013.10.10 2014.01.16 2013.01.14
1경기Rekkles 승 117 야스오 2013.12.13 2014.01.14 2013.01.16
2경기Kerp 승 118 벨코즈 2014.02.27 2018.01.27 2016.01.15
1경기xPePii 패 119 브라움 2014.05.12 2014.06.12 2014.06.13
2경기Jree 승 120 나르 2014.08.14 2015.01.23 2015.01.22
3경기YoungBuck 승 121 아지르 2014.09.16 2015.01.22 2015.01.23
3경기Overpow 승 122 칼리스타 2014.11.20 2015.01.22 2015.01.23
2경기Freeze 패 123 렉사이 2014.12.11 2015.01.22 2015.01.29
2경기Kikis 승 124 바드 2015.03.12 2016.02.11 2015.05.29
4경기nRated 패 125 에코 2015.05.28 2015.06.11 2015.06.11
4경기Froggen 패 126 탐 켄치 2015.07.09 2015.07.23 2015.07.24
3경기fredy122 승 127 킨드레드 2015.10.14 2016.01.14 2016.01.15
2경기k0u 패 128 일라오이 2015.11.24 2016.06.17 2016.06.09
3경기 2세트Vizicsacsi 패 129 진 2016.02.01 2016.03.10 2016.03.11
1경기Rekkles 승 130 아우렐리온 솔 2016.03.24 2016.08.21 2017.04.09
1라운드 2경기 3세트Caps 승 131 탈리야 2016.05.18 2016.06.30 2016.07.08
3경기Wunder 승 132 클레드 2016.08.10 2017.03.25 2017.01.21
1경기 2세트Wunder 패 133 아이번 2016.10.06 2017.01.19 2017.01.19
2경기 3세트Trick 승 134 카밀 2016.12.07 2019.01.19 2017.01.20
1경기 2세트Vizicsacsi 승 135 자야 2017.04.19 2017.06.01 2017.06.02
1경기 1세트Hjarnan 승 136 라칸 2017.04.19 2017.06.02 2017.06.06
1경기 1세트Wadid 승 137 케인 2017.07.12 2017.07.27 2017.07.20
1경기 2세트Pridestalker 패 138 오른 2017.08.23 2018.01.20 2018.01.19
3경기Ruin 승 139 조이 2017.11.21 2018.01.19 2018.01.20
3경기Caps 패 140 카이사 2018.03.07 2018.06.22 2018.06.15
1경기Kobbe 패 141 파이크 2018.05.31 2018.06.15 2018.06.16
1경기Norskeren 승 142 니코 2018.12.05 2019.03.08 2019.03.09
3경기Nemesis 승 143 사일러스 2019.01.25 2019.02.08 2013.02.08
1경기sOAZ 패 144 유미 2019.05.15 2019.06.07 2019.06.08
1경기kaSing 패 145 키아나 2019.06.28 2019.07.12 2019.07.13
5경기Humanoid 승 146 세나 2019.11.10 2020.01.24 2020.01.24
1경기Caps 승 147 아펠리오스 2019.12.11 2020.01.24 2020.01.24
1경기Carzzy 패 148 세트 2020.01.14 2020.01.31 2020.01.31
1경기Finn 패 149 릴리아 2020.07.23 2020.08.08 2020.08.21
1라운드 1경기 1세트Trick 패 150 요네 2020.08.06 2021.03.27 2021.01.30
2경기Vetheo 패 151 사미라 2020.09.21 2021.01.22 2021.01.23
3경기Jeskla 패 152 세라핀 2020.10.30 2021.01.29 2021.01.23
1경기LIMIT 패 153 렐 2020.12.10 2021.01.29 2021.01.24
1경기Trymbi 승 154 비에고 2021.01.21 2021.06.12 2021.06.11
1경기Wunder 승 155 그웬 2021.04.16 2021.06.11 2021.06.12
2경기Jenax 패 156 아크샨 2021.07.23 2022.01.14 2022.01.14
1경기Perkz 패 157 벡스 2021.09.24 2022.01.14 2022.01.14
2경기Sertuss 패 158 제리 2022.01.21 2022.02.04 2022.02.04
5경기UNF0RGIVEN 패 159 레나타 글라스크 2022.02.18 2022.03.06 2022.03.04
5경기Hylissang 승 160 벨베스 2022.06.10 2022.07.01 2022.07.01
2경기Haru 승 161 닐라 2022.07.14 2022.08.06 2022.08.05
5경기Patrik 패 162 크산테 2022.11.04 2023.01. 22 2023.01.21
1경기Odoamne 패 163 밀리오 2023.03.23 2023.06.17 2023.06.17
1경기Kaiser 패 164 나피리 2023.07.21 - - - - 165 브라이어 2023.09.14 - - - - 166 흐웨이 2023.12.07 - 2024.01.22
2경기Humanoid 승 167 스몰더 2024.02.01 - - - -
3.11. 역대 한국인 선수
LEC 역대 한국인 선수 | |||||
<rowcolor=#000> LEC 입성년도 |
TOP |
JGL |
MID |
BOT |
SPT |
2015 | Huni( 허승훈) |
H0R0(
조재환) Reignover( 김의진) |
Ryu( 류상욱) | ||
2016 |
Expect(
기대한) Gamsu( 노영진) Parang( 이상원) |
Mightybear(
김민수) Move( 강민수) Trick( 김강윤) Wisdom( 김태완) |
NighT( 나건우) |
Emperor(
김진현) Police( 박형기) SONSTAR( 손승익) Veritas( 김경민) |
Raise( 오지환) |
2017 |
Jinu(
박진철) Profit( 김준형) |
KaKAO( 이병권) |
Blanc(
진성민) GBM( 이창석) Naehyun( 유내현) Nagne( 김상문) |
Nuclear( 신정현) |
Chei(
최선호) Dreams( 한민국) Hachani( 하승찬) IgNar( 이동근) Wadid( 김배인) |
2018 | Ruin( 김형민) | Totoro( 은종섭) | |||
2019 | Mowgli( 이재하) |
Mickey(
손영민) Pirean( 최준식) |
GorillA( 강범현) | ||
2020 | Bvoy( 주영훈) | ||||
2021 | Hirit( 신태민) | ||||
2022 |
Haru(
강민승) Malrang( 김근성) |
JeongHoon( 이정훈) | |||
2023 |
Chasy(
김동현) Photon( 경규태) |
Peach( 이민규) | Ruby( 이솔민) | Noah( 오현택) | |
2024 | Canna( 김창동) | Juhan( 이주한) |
Ice(
윤상훈) Rahel( 조민성) |
Jun(
윤세준) Luon( 이현호) |
4. 특징
4.1. 복수 국가 리그 중 가장 거대한 리그
구 LCS EU부터 이어진 LEC만의 특징은 단일 국가 내 리그가 아닌 유럽에서, 그리고 2023년부터는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도 개최되는 리그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팀마다 국적이 다른 선수가 함께 있다는 점이 LEC만의 특색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마이너 리그는 대만, 홍콩, 마카오에 아예 비 베트남 동남아시아 지역까지 합쳐버린 PCS와 호주 외에 뉴질랜드 등 다른 오세아니아 국가들이 합세한 LCO, 독립국가연합 즉 구 소련 통합 리그인 LCL과 라틴아메리카 통합 리그인 LLA 등 다수 존재하지만 메이저 중에는 LEC가 유일하다. 게다가 말이 그렇지 PCS는 대만의 비중이 압도적에 홍콩 등이 살짝 섞인 정도, LCO는 호주의 비중이 압도적에 뉴질랜드 등 살짝 섞인 정도, LCL은 러시아의 비중이 압도적에 우크라이나 등이 살짝 섞인 정도라 마이너 중에 LEC와 같이 제대로 된 용광로를 보여주는 리그는 LLA뿐이다. 심지어 LLA는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를 축으로 다른 국가들도 전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히스패닉이라 인종과 언어는 LEC보다 훨씬 동질적이다.여기서 아래의 두 소항목이 파생되는데, 우선 게임 인구가 많고 인프라가 좋은 지역을 굉장히 넓게 커버하는 리그다 보니 인재 풀이 좋을 수밖에 없다. 반면 그 우수한 인재 풀에도 불구하고 최상위 리그의 자본력이 떨어지는 데에 이 통합 리그 구조가 영향을 끼친다는 한계도 지적받는다.
이러한 복수 국가 리그의 잠재적 단점을 LEC의 3차 전성기인 2018년 이후로는 하부 리그 개편을 통한 European Masters(이후 EMEA Masters) 개최를 통해 최대한 극복했다는 호평과 찬사를 받았으나, 그쪽도 체제 장기화 상황에서는 다시 인기 리그 편중이나 1, 2부 인기 역전 등의 문제가 지적되는 편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4.2. 메이저 지역에 걸맞은 우수한 인재 수급
LEC의 장점은 LEC만의 독특한 운영 스타일과 많은 국가들에서 나오는 넓은 인재 풀, 그 중 특이한 챔피언과 전략들을 많이 준비하고 변칙 플레이에 능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는 LPL과 LCS, 대륙은 아니지만 독자적인 국가로 메이저 리그를 차지한 LCK와는 다른 차별점이기도 하고, 그 외에도 세계 최초로 하이머딩거나 가렌 같은 챔피언을 공식전에서 사용하는 등 전혀 예상치 못한 조합과 전략들이 등장하기도 하며 애초에 현재까지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의 공식으로 잡혀있는 EU 스타일부터가 유럽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미드 명가 리그로 유명하다. 특히 덴마크 출신 미드 라이너들이 두각을 나타낸다. 그 중 프로겐- 비역슨- 옌슨- 캡스로 이어지는 덴마크 미드 선수들의 계보가 나오게 되고 전부 당대 LEC 탑급의 실력자들이었다. 그 외에도 슈세이, 엑스페케, 페비벤, 파워오브이블, 퍽즈, 휴머노이드, 라센과 같은 A~S급 미드 라이너를 다수 배출했다.
무엇보다 비역슨 이후의 LEC 최상위권 미드 라이너들은 몇몇 반짝 선수들을 제외하고 대체로 육각형이 굉장히 넓은 다재다능한 선수들이다. LCK의 경우 그간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거뒀던 미드 라이너인 페이커/ 폰/ 루키/ 도인비/ 쇼메이커/ 스카웃과 같은 선수들을 제외하면 LCK가 리그제 전환 이전과 이후부터 쭉 데뷔한 미드 라이너들이 메카닉이 월드 클래스임에도 불구하고 챔피언 폭이 좁다거나, 선봉에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이 부족하다거나, 국내가 아닌 국제 대회에서 저평가를 받는다는 점이 크게 부각되는데, LEC는 퍽즈, 캡스는 물론이고 그 아래 세대인 라센, 휴머노이드 등도 챔피언 폭과 역할 수행의 폭이 대단히 넓다. 특히 이 선수들의 육각형 크기가 현재 한국인 선수들의 뚝배기를 부수고 다니는 나이트만큼 큰지는 논란이 있겠지만 못나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신예 미드 중에서 사파인 네메시스조차 밴 카드로의 저격이 힘들고 이전 스타일리스트들에 비하면 팀 전술에 제약을 거는 정도도 대단히 미미할 정도이니...
그러나 2013, 2014년 유럽 미드들이 프로겐을 제외하면 모조리 동양 미드에 대파당한 뒤로는 언제나 미드 라이너 기량에는 자신감이 넘치던 LEC였지만, 2020 월즈에서 네메시스와 라센이 엄청난 부진을 보여주고 2021년에도 니스퀴와 라센이 극악의 경기력을 보이면서 아직도 미드의 LEC라고 부를 수 있나 고민하는 팬들도 늘었다. 그래도 S급 미드가 부족한 것은 2021년의 LPL도 마찬가지였고, LEC의 소위 미드 라이너 뎁스 자체는 상당히 두터운 편이라 아래의 탑만큼 위기론이 제기되나면 그건 아니올시다. 2022년 국제 대회에서 라센의 포텐이 터진 시점에서 LEC 미드 3대장으로 불리는 캡스, 라센, 휴머노이드를 무시하는 LCK 대표 미드 라이너들은 잘 없다.[61] 다만 이와 별도로 2001~2002년생 미드들의 성장도 정체되는데, 2003년생 이하 미드들은 동양은 커녕 조조편이
한때 기복의 소아즈 외에는 LCS보다 풀이 훨씬 좁았던 탑솔러도 오도암네, 비지챠치, 카보차드의 2015 시즌 빅3를 기점으로 수준이 크게 향상되어 이후로 원더, 알파리, 브위포 등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계속 키워내고 있었고 더샤이의 등장 전만 해도 무소불위의 절대 권력이던 LCK 탑들에 그나마 맞설 수 있는 탑들은 대부분 유럽인이었다.[62] 기존 탑들의 노쇠화와 은퇴, 알파리의 LCS 이적, 기대받던 특급 유망주 슈젠더의 부진 등 2020 시즌부터 심각한 탑 가뭄을 겪고 있다.[63] 이 탑솔러 가뭄은 2022 시즌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LEC 팬들은 현재의 2000년대 초반생 인재들에 대한 기대를 상당 부분 포기하고 2023년 이후로 올라올 Fnatic TQ의 오스카리닌을 필두로 2003년생 미만 어린 탑솔러들에게 모든 기대를 걸고 있다.
원거리 딜러의 경우 LCS EU 시절부터 이어진 미드 중심 운영/한타와 초창기 유럽 프로들의 두뇌 몰빵 성향 때문에 매우 부실한 포지션이었다. 겐자, 옐로우핏, 캔디판다 등 초기 EU 원딜러들은 메타를 선도하거나 한타 딜각은 잘 봐도 메카닉이 떨어져서 웨이샤오와 캡틴잭 이래로 탄탄한 기본기를 가다듬은 동양 원딜러들을 상대로 장기적인 활약이 담보되지 않았다. 다른 지역에서 수많은 유망주가 튀어나오던 시절에도 유럽은 상위권 팀에 우승컵을 들던 시절에도 바위게, 수위아저씨라는 별명으로 놀림당하던 스틸백을 필두로 그 스틸백에게 우승컵을 헌납한 Vardags, 트리스타나 원툴 Samux 등 다른 지역이라면 바텀 라인전부터 폭파당할 원딜러들이 리그 결승전에 수시로 얼굴을 보였다. 그러나 포기븐, 프리즈 등 실력파 원딜러들을 성격이 나쁘다고 천대하고 상위권 팀에서 바위게형 원딜러들을 중용하던 LEC도 2017년의 향로 메타 이후로는 뼈저린 반성을 했고, 이후 LEC 레전드 레클레스와 비슷한 세대인 즈벤, 코베 등의 각성을 필두로 한스 사마, 업셋, 패트릭 등 뛰어난 원딜러들로 세대교체를 이루어냈다.
이후로도 카르지, 엑사킥, 칼리스테 등 거물 유망주들의 지속적인 등장으로 원딜 걱정은 전통적으로 한결같은 서포터 걱정, 과거의 정글 걱정, 현재의 탑 걱정, 미래의 미드 걱정(...)에 비하면 비교적 없는 편이다. LEC 원딜러들의 특징은 잘하는 선수일수록 자체 캐리력도 출중한 편이지만, 원딜 중심의 LPL과 운영 중심의 LCK에 비해 미드 중심 게임에 익숙하여 챔피언 폭 측면에서 바텀 비원딜이나 유틸형 원딜러에 강점이 있다. LEC에서 유독 선호도가 높은 챔프인 드레이븐도 하이 리스크의 원딜 몰빵 픽이 아니라 상체 중심 조합을 강력한 라인전 안티 캐리로 보좌하면서도 플러스 알파로 패시브를 통한 스노우볼 가속을 노릴 때 가장 대회에서 평가가 좋은 픽이다.[64]
다만 원딜까지는 최근 발전이 있어도 개인 플레이가 중심적인 LEC답게 정글-서포터의 실력과 이들의 시너지는 매우 아쉬운 편이다. 암흑기에는 좋은 서포터가 많은 대신 정글 기근이었으나 젊은 정글러[65]들을 발굴하자 노장 서포터들이 줄줄이 노쇠화 크리를 맞으며 LPL을 따라잡기가 쉽지가 않아졌다.[66] 그런데 상대적으로 탑솔러 인재 풀이 박살나고 LEC의 자랑이던 미드 인재 풀조차 악화되는 시점에서 LEC의 정글러는 물론 서포터에 대한 걱정도 줄어든 편이다. 정글러는 일단 언급했듯 1부 팀들이 꾸준히 제대로 써먹질 못해서 그렇지 꾸준히 좋은 선수들이 출현하며, 서포터의 경우 한동안 LEC만 서포터 못한다가 정설이었던 2018~2020년과 달리 전 세계적으로 S급 서포터와 A급 서포터 기근이 점점 심각해지다 보니 나머지 3대 리그의 상황이 LEC에 역으로 맞춰지는 역설적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2023년 기준 정글러는 LPL 전승 정글러 보가 리그 수준 문제는 아니고 본인의 문제로 망했지만 아무튼 망할 수 있을 정도로 만만치 않은 사실상 5포지션 중 정글이 가장 넉넉한 리그인 반면, 서포터는 2000년대생 유망주들이 나오긴 나오는데 그게 LEC 중위권, 하위권의 경쟁력을 올려줄 뿐 아직 기존의 미키엑스, 힐리생과 같은 레전드들을 대체할 거물로 성장하질 못하고 있다.
다만 이런 다국적 인재 수급에 장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닌데, LCS로의 인재 유출, 일부 포지션의 취약성 이상으로 LEC의 약점은 운영 문제, 오더 문제로만 설명할 수 없는 왠지 허술한 팀합이다. 개개인의 메카닉이 폭발적이고 센스도 좋은 것에 비해서는 한타 호흡이 잘 안 맞고, 상남자 메타에 힘입어 운영 페이스를 찾았어도 갑자기 인원 분배가 어그러지는 일이 잦다. 이는 한국 용병이 해외에 진출해서 언어장벽에 부딪힌 몇몇 케이스와도 유사해서, 소통 소통 하지만 정작 유럽끼리도 영어로 소통이 마냥 정교하지는 못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도 한다. 탑이 약하다, 지나치게 호전적이라는 소리를 들은 LPL에게 결국 2018 월즈 트로피를 내준 것도 IG가 LPL의 모든 단점을 초월한 팀이어서도 있지만, LPL의 한계를 극복한 만큼 LPL의 다른 팀들에게는 잘 드러나지 않는 단점을 지녔던 IG 상대로 LCS EU 팀들이 앞서는 부분이 단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국 팬들에게는 독보적인 팀플레이로 유럽을 양강 체제로 철권 통치해온 G2, 프나틱의 인상이 강하다 보니 이 개인 기량은 강한데 팀합이 허술하다는 설명이 받아들여지기 쉽지 않다. 그러나 G2, 프나틱의 암흑기에 급부상한 로그가 LEC의 젠지라는 별명을 얻으면서 한국 팬들도 LEC 중하위권은 오히려 양강 팀보다 로그스러운 단점을 갖는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특이사항으로 동유럽과 북유럽 지역에서 좋은 인재들이 많이 배출된다. 특히 덴마크[67], 스웨덴[68], 폴란드[69]에서 거물급 선수들이 자주 발굴된다. 그 외에는 크로아티아[70]나 루마니아[71], 체코[72], 슬로베니아[73] 등지에서 괜찮은 선수들이 나오곤 한다.
반면 서유럽이나 남유럽 지역에선 약세인 편인데, 그래도 독일[74], 스페인[75], 프랑스[76], 영국[77], 벨기에[78], 불가리아[79] 등에서 인재들이 발굴되는 편이다. 하지만 그 외의 지역에선 선수 수급이 저조하다.
대충 원래 강세였던 북유럽, 동유럽에 더해 ERL 시스템이 자리잡고 흥행하면서 ERL이라는 거대 리그가 커진 서남유럽의 독일, 프랑스, 스페인 출신 유망주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모양새이다. 그러나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80]는 물론 그리스[81], 포르투갈[82]에서도 눈여겨볼 유망주들이 꾸준히 등장해 활약하는 동안 이탈리아[83]만큼은 유독 롤의 인기가 저조한 편이다.
4.3. 4대 메이저 리그 최약의 자본력
LEC로 개편되기 전에는 5대 리그 중 자본력이 가장 떨어지는 리그 중 하나였다. 특히 같은 서구권 리그인 LCS NA에 비해 자본력이 매우 떨어져 LCS NA에 선수를 빼앗긴 적이 많다. 비슷한 맥락으로 LCS EU와 LCS NA는 LCK, LPL과는 차원이 다른 라이벌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84] 하지만 프랜차이즈 제도 도입으로 LEC로 개편된 후에는 상당한 거대 자본이 유입되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슷하게 셀링 리그 처지인 LCK보다도 자본력이 떨어지며, LCK가 역대급 비시즌을 보낸 2021년 스토브리그 시점에는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고 평가받는다. 뷰어십 자체는 2019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타다 2022년 들어 심각한 위기론이 제기되는 LCS보다 오히려 높지만, 북아메리카와의 평균적인 소득 격차 및 경제/사회 체제의 차이도 있고 다국적으로 파편화된 팬층의 잠재력 구매력이 떨어지는 듯. 캐드럴이 밝히길 LEC에서 손가락에 꼽는 선수인 레클레스조차 8억을 받는다고 했으니 말이다.[85] 최저 연봉을 보면 나름 메이저 리그답지만 최고 연봉은 4대 리그 최악임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실제로 LEC 양강 팀인 G2, 프나틱과 프랑스의 간판 바이탈리티, 영미권 자본인 미스피츠 정도를 제외하면 돈을 잘 풀지 않는다. 이 결과 2021년 이후로는 하부 리그인 EM의 최강 리그인 LFL이 비 프랑스 연고 LEC 하위권 팀들의 인기와 자본력을 능가해 버리는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LEC 역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불리는 레클레스의 Karmine Corp행을 시작으로 SK Gaming, Astralis 등의 타 종목 시절부터 뼈대 있는 게임단들이 EM, ERL의 최상위권도 아니고 그냥 상위권 유망주들로부터 외면받는[86] 사태는 충격적이다. 이 결과 2부 상위권에는 과도한 선수 적체가, 1부 하위권에는 뚜렷한 질적 저하가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물은 다른 3대 리그는 물론이고 마이너 지역에서도 도저히 찾아볼 수 없는 매우 기묘한 사태이다. 그나마 2023년부터 그 자본력을 통해 KC가 아스트랄리스로부터 시드권을 구매해 LEC에 참여하게 되면서 조금은 나아지나 싶으면서도 LFL 출신에 프랑스 연고를 바탕으로 세력을 불린 팀 입장에서 프랑스 선수 외의 선수들을 성적을 위해 영입할 지도 의문인지라 리그의 질적 상승이 동반될지는 예측이 되지 않는다. 이 소위 말하는 내셔널리즘식 운영이 2023년 프나틱을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으며, 오히려 자본이 들어오려다가 기존 기반 자체가 흔들려서 투자자들이 떠나려는 코이나 아예 선수가 투자자를 등에 업고 자국 선수들과의 커넥션으로 이루어진 팀을 만드려는 MAD의 조짐도 보이고 있는지라 최악의 경우 EM이 1부에서 재현되는, 국제 대회 성적 따위는 상관없는 그들만의 각축장이 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LCS로의 선수 유출도 2018년 이후 LCS가 완전한 암흑기에 들어서고 LEC의 국제전 성적이 떡상하면서 한동안 잠잠했지만, 꾸준히 해마다 2~3명 이상의 최상위권 선수는 NA Money에 끌려 LCS행을 택하고 있다. LCS가 반등하고 LEC가 하락세를 보인다면 언제든지 그 구도를 자본이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마치 뇌관과도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023년 들어 LEC 1황인 G2가 LCS 1시드 NRG에게 처참히 무너지면서 말이 현실화되는가 했지만, NRG가 용병의 개입이 최소화된, 소위 말하는 로컬 선수들의 활약을 여실히 보여주어 오히려 다음 시즌에
4.4. 한국인 용병의 무덤?
한때 후니, 레인오버, 트릭, 이그나, 류 등 소수의 레전드급 용병들 때문에 잘 드러나지 않았지만, 위의 두 가지 특징으로 인해 LPL과 LCS에 비해 한국인 용병들의 활약이 의외로 저조한 리그이기도 하다. 저 둘에 비해 자본력이 떨어지기에 검증된 S급 용병들은 LPL로, A급들은 LCS로 향하기 때문. 게다가 은근히 시기별로 특정 포지션의 인재 풀은 LCS와는 비교도 할 수 없고 어쩌면 1부 리그로 도약하기 전의 LPL 이상이었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빡빡해서 현지인들과의 경쟁을 뚫어낼 실력이면 그 연봉에 굳이 다른 지역을 다 거르고 LEC를 선택할 이유가 더욱 없다. 결국 LEC에서 성공한 소수의 한국인 선수들도 신인이거나 LCK에서 애매하던 선수들을 로또처럼 긁어서 터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부분 크고 아름답게 터져도 돈을 더 주는 LPL이나 LCS로 이적했다.이런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이 LCK의 운영 우위가 많이 상실된 2018~2019 시즌인데, 와디드, 이그나 등의 서포터들을 제외하고는 밥값을 꾸준히 하는 한국인 용병은 거의 없었다. 과거에는 상위권 팀의 한국인 용병은 로또를 긁어 터진 S~A급이, 하위권 팀의 용병은 LEC가 못하는 운영에 강점을 가진 B급 선수들이 주로 채웠다. 그리고 후자의 선수들은 메타 변화와 현지인들의 수준 향상으로 갈려나갔고, 전자에 해당하는 로또 성공률은 LCK 상위권 팀들의 프랜차이즈화 대비로 안 그래도 낮았던 성공률이 더 내려가면서 거의 멸종했다. 선수 수급 면에서 LCK를 앞섰다고 하면서도 정작 서너 팀 빼고는 용병 슬롯을 2명씩 꽉꽉 채워쓰는 LPL과는 상황이 크게 다르다.
그러나 한국 CL 시스템의 발달과 4대 리그 내 서열의 고착화, 불안정한 마이너 리그의 경제 상황 등이 맞물려 2021년 이후로는 상황이 다시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우선 LCK 주전이 아슬아슬한 CL 유망주나 LCK 상위권 팀의 서브 멤버 입장에서 냉정하게 LPL 진출은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 2020년대의 승승장구하는 LPL이 원하는 용병 선수는 어디까지나 LCK 주전 중에도 잘하는 선수들이며, 이는 LPL의 많은 팀 수와 그 안에서의 팀 순위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대체로 들어맞는 표현이다. 반면 LCS로 넘어갔을 때는 상/중/하위권을 가리지 않고 LCS가 용병에게 지우는 무게가 무거운지라 팀을 개인 기량으로 하드 캐리해야 한다는 부담이 정말로 크다. 그런데 LEC의 경우 어쨌든 LCK와 다시 수준 차이가 살짝 벌어지는 3부 리그이면서, 그때그때 다르긴 해도 인재난을 겪는 포지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포지션 선수들의 수요가 존재한다. 과거 프랜차이즈화 직전 절멸했던 소위 "키워 쓰자" 패턴을 되살린 케이스가 로그의 노망주 말랑이나 아스트랄리스가 틈새 시장에서 잘 빼내온 정훈이다. 특히 LCK에서 항상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던 말랑은 각성한 경기력으로 LEC 서머 우승을 차지하며 LCK에서 적응을 힘들어하는 선수들에게 좋은 선례를 남기게 되었다.
반대로 전성기의 끝물에서 LCK 주전에서 슬슬 밀려나거나 그럴까 걱정되는 노장 선수들이면서 LCS 팀을 캐리할 자신이 없거나 시장에서 입질이 없는 경우, 과거에는 단기간에 돈을 땡길 수 있으면서 월즈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도 노릴 수 있는 마이너 리그행을 선호했다. 그러나 LJL을 제외한 마이너 리그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LEC 2부 리그의 인기와 자본력이 급상승하면서 이들은 대신 LEC 2부에 자신의 LCK 지식을 전파하면서 리그 인기가 높은 ERL에서 지역 리그 입상과 EM 입상 등을 노릴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이 활약은 LEC 팀들의 레이더에 빠르게 포착되기 때문에 바이탈리티의 하루처럼 징검다리나 소방수 역할로 LEC 진출을 통한 메이저 1부 리그 복귀를 노릴 수도 있는 것이다.
말랑의 경우 로그 항목에도 찾아볼 수 있지만 2002년생 유럽 최상급 정글러 인스파이어드의 대체자로 영입되었기에 초기에는 역반응이 컸지만, 이후 히릿과 말랑의 맹활약 덕인지 2019년 Random Korean 사태와 비견될 한국인 용병에 대한 커다란 적대감을 찾아보기는 힘든 편이다. 사실 황부 리그 시절의 LCK도 고여있으니 홀로 갈라파고스화되어 2018 시즌에 대참사를 맞은 적이 있을 정도인데, 리그의 수준과 관계없이 최소한의 교류까지 배척하는 태도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2023년도에는 희박한 탑솔러 자원을 채우기 위해 LCK CL 출신이었던 체이시와[87] 포톤이 영입되었고, 체이시의 경우 스프링 우승에 기여한 바도 있었지만 이후 팀과 함께 경기력이 급락하면서 시즌 종류 후 계약이 종료되었고 포톤은 1군에 데뷔를 LEC에서 했다는 점이 정상 참작되었는지 일단 한 시즌 더 잔류하게 되었다. 또한 말랑은 게임 외적 이슈를 감안해도 워낙 우승 시즌과 대비되는 경기력으로 역시 잔류가 어려워지게 되어 여기까지만 보면 다시 용병 암흑기에 접어드는 모양새였다. 하지만 인선에서 병크를 터뜨렸던 프나틱이 막판 서머 시즌에 영입한 노아로 월즈에 입성한 사례를 만들어내며 아직까지는 긁어볼 만한 복권이라는 인식은 남아있다고 보인다.
그런 기대감에 힘입어 2024년도에는 아이스, 루온, 라헬, 준, 칸나, 주한이 영입되면서 전년도 대비 한국인 용병의 비율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물론 시즌 중에 영입되거나 다전제에서의 부진 등으로 대부분이 리그 결승은 커녕 월즈 시드에도 들지 못하며 끝마무리는 아쉽지만 각 개인이 소속 팀에서 기존 성적 대비 반등한 결과지를 보여 내년에도 용병 영입 기조에 유의미한 지표로 활용될 여지가 생겼다.
5. 역사 및 위상
5.1. 태동기(2013~2017)
최악의 암흑기로 마무리된 2014 시즌까지의 LCS EU 컨셉 픽을 보면 당시까지는 뇌지컬로 게임하던 LCS EU답게 라인전이 애매한 왕귀챔이나 단순히 상대를 당황시킬 수가 있는 픽이거나 솔로랭크 장인 픽이 많았다. 반면 리그 성향이 바뀌는 분기점인 2015 시즌 이후 LCS EU만의 특이한 픽이나 선호 픽, 특히 성공작들을 중심으로 보면 개인 혹은 많아야 2~3인 단위로 뭔가 만들어갈 수 있는 픽인 경우가 많다. 코그모 같은 5:5 한타에서 팀원과의 호흡이 딱딱 맞아야 하는 챔피언은 동양에 비해 크게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이며, 개인 단위 라인전 카운터 픽이나 반대로 자신의 개인 기량으로 라인전을 버틴 후 중반 정도에 폭발적 변수 창출 혹은 시너지 발생이 가능한 픽들을 많이 선보인다.2014 ~ 2017 시즌까지 약 4년 동안 2015 시즌의 Fnatic과 Origen 딱 두 팀을 제외하면[88] LCS EU는 LCS NA와 LMS 밑의 운영을 꾸준히 보여주었다.[89] 오히려 EU 메타를 시작한 프나틱 초기 멤버들(일명 구나틱)과 스노우볼링의 정석을 정립한 갬빗 선수들 대부분이 개인 측면에서 경쟁력을 잃자 LCS EU의 팀적 유산은 후배 팀들에게 전해지지 못했고, 4년간 라인 스왑과 오브젝트 컨트롤을 가장 못하는 지역이었다. 그렇다고 2011~2013 시즌의 창의성을 보존한 것도 아니다 보니 상위 호환의 강팀을 상대로는 변수가 없어서 이 당시 LCK를 상대로 LEC 팀들의 전적은 LPL, LMS 팀들과 달리 굉장히 처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CK를 제외한 지역들 중에서 가장 고르게 강한 개인 기량을 앞세워 월즈 2라운드의 LCS EU라는 이야기를 들으며 2016~2017 시즌의 2차 암흑기를 간신히 버텨냈다.
이러했던 LCS EU를 완전히 부활시킨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롤의 시작과 함께 쭉 이어져오던 기조, 그 중 한동안 퇴색되었다가 2017 월즈 8강 당시 보여준 이그나의 레오나/ 블리츠크랭크를 필두로 다시 시작된 변수 플레이와 창의성, 2018 시즌부터 시작된 상남자 메타, 2019년부터 LEC의 프랜차이즈화 전환과 더불어 정규시즌을 단판제로 실시하게 됨에 따라 기습적인 전략을 시시각각으로 수립할 수 있게 된 것에서 기인한다.
예전까지 늘 LCK를 모방하려 했지만 2015 시즌 딱 1년을 제외하면 LPL, LMS는 물론 그 LCS NA보다도 LCK식 턴게임과 땅따먹기를 체득하지 못하던 지역이 바로 LCS EU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분에서 타 지역을 따라잡기 위한 시도가 쭉 진행되어왔고, 역설적으로 갬빗과 구나틱 시절의 큰 그림을 보는 능력과 창의성을 회복하려던 노력이 당시와 전혀 달리 매우 강화된 하드웨어적인 개인 기량과 시너지를 이룬 2018 시즌을 기점으로 부활하게 되었다.[90] 반면 LCS는 메타 적응에 실패하여 LEC와는 격차가 매우 크게 벌어지게 되었는데, 그래서 LEC 팬들은 더 이상 LCS가 아닌 LPL과 LCK를 라이벌로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단적으로 말해 당시 퍽즈가 이를 두고 "NA는 아직 EU보다 못한다고 생각한다", "NA는 EU 선수들이 돈 벌려고 가는 곳이다"라며 독설한 적이 있을 정도.
5.2. 중흥기(2018~2022)
2019 시즌부터 프랜차이즈 제도가 도입되었다. H2k, UoL, Giants Gaming, Splyce가 프랜차이즈 심사에서 탈락했고, 추가로 Team ROCCAT까지 탈락했다. 그리고 덴마크의 CS:GO 프로게임단인 Astralis가 프랜차이즈 심사를 통과했다. 이후 스플라이스는 재심사에서 통과했고, 아스트랄리스는 모기업이 엑스페케의 Origen을 인수해서 해당 팀명으로 참가가 결정되었다.2019 시즌에 G2가 MSI 우승을 차지해 시즌1 월즈 이래로 메이저 국제 대회에서 8년 만에 우승함으로써 월즈 우승까지 달성하리라는 기대치가 매우 높았으나, "북미나 유럽은 잘하는 팀이 한두 개 정도 있다. 한편 한국엔 7팀 정도, 중국에는 7-8팀 정도가 잘한다. 사실상 유럽은 슈퍼팀을 만들어야 경쟁이 된다."는 G2 감독 그랩즈의 말대로 G2와 나머지 팀들의 실력 차이가 너무 큰 상황이다. 결국 그 말대로 프나틱과 스플라이스 모두 FPX와 SKT에게 일격을 당하며 8강에서 멈췄고, 슈퍼팀 G2마저 FPX에게 0:3으로 완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더 자세히 따져서 리그제로 전환된 2015 시즌 이후 4대 리그의 역대 우승팀 개수를 보면 LPL이 8개[91], LCK가 6개[92], LCS가 6개[93]인 반면 LEC는 프나틱, G2, MAD, 로그 4팀뿐이다. 특히 최근 들어 새로운 우승팀으로 떠오르게 된 MAD와 로그를 제외하면 2014 월즈 진출팀 중 유일한 슈퍼팀인 프나틱, 이들을 꺾은 서머 우승팀 얼라이언스마저 부진해 버리자 전원 그룹 스테이지 탈락이라는 대참사가 터지고 G2가 암흑군주이던 시절 2016 월즈는 다행히 H2K가 선전으로 4강에 진출했으나 결국 2017 시즌에 4강 진출에 실패했다. 역대 LEC의 월즈 4강 진출 실패 사례가 이 2번이라는 점에서 2015년의 오리진, 현재까지도 LEC의 넘사벽의 양대 우승팀으로 군림하고 있는 G2나 프나틱이 리그의 상승세를 이끈 것은 맞지만 반대로 갑자기 부진하는 상황에선 말 그대로 부진하거나 몰락할 만한 수준의 불안 요소가 여전히 남아있다.[94]
하지만 긍정적인 부분도 매우 큰데, 2019년에는 최초로 LEC 3팀이 전부 토너먼트 스테이지에 안착했으며, 3팀 모두 한국인 용병이 1명도 없는 순혈 팀이었다. 이렇게 용병 의존도를 낮출 수 있던 비결은 2019년부터 진행된 리그의 프랜차이즈화의 효과가 큰데, 프랜차이즈를 통해 굉장히 많은 자본이 유입되고, 각 국가별 하위 리그를 통틀어 진행하는 2부 대회 EMEA Masters의 개최로 실전 감각이 충분한 양질의 유망주들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많은 전략 연구가들의 영입으로 전략 면에서 놀라운 발전을 일궈낼 수 있었던 것이다. 전반적인 리그 운영 수준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기에 내년 이후의 시즌에도 굉장히 기대를 해볼 수 있는 부분.
다만 상단에서 언급했던 요소들과 별개로 2년 연속으로 LPL 팀에게 결승전에서 0:3 셧아웃 패배를 허용한 것은 여전히 뼈아픈 요소로[95], LEC가 LPL 팀들에게는 제대로 상성을 잡힌 것으로 볼 수도 있는 상황이 돼버렸다. 현재는 똑같이 선수 풀만 넓으나 LEC보다 유출이 훨씬 심하고 리그 운영에도 문제가 있는 LCK나 선수는 없고 자본만 뛰어난 LCS에 비해서는 뚜렷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자체 저력도 강력하면서 단일 리그의 약점을 자본력으로 보완한 LPL을 상대로는 다소 밀리고 있는 구도로 정리할 수 있다.[96]
LEC의 기술적인 약점을 보자면 여전히 섬세함의 부족과 상호작용의 부족이 설득력 있게 꼽힌다.[97] LCK 팬들은 여전히 "LEC가 개인 기량 측면에서는 LCK보다 낮은 리그가 아니냐", "G2가 독주하는 리그 아니냐"는 이야기를 하지만 2019 MSI와 월즈에서 LCK 1시드 SKT가 G2에 3:8로 압살당한 것은 그렇다 쳐도 롤드컵에서 vs 2시드 프나틱 1:1, vs 3시드 스플라이스 3:1로 생각만큼 LEC 팀들을 씹어먹진 못했다.[98][99] LEC의 약점인 서포터나 LCK의 특별한 강점인 탑 정도를 제외하면 LCK가 개인 기량에서 과연 LEC를 앞서는가도 의구심이 많다. 그러나 LCK가 모험심과 과감함이 여전히 모자라다면, LEC는 예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섬세하고 빡빡한 운영 측면에서의 아쉬움이 월즈 석권을 하지 못하는 이유로 많이 꼽힌다.[100] LPL 순혈 팀으로 상체 캐리력이 모자란 RNG와 과감하지 못한 LCK 팀들을 흔들어 2년 연속 무너뜨렸지만, 더 구멍 없는 압도적인 개인 기량과 초반 폭발력을 가진 IG도 놀라울 만큼 빡빡한 초반 운영을 가졌으면서 LEC의 과감함에 당황하지 않는 FPX도 모두 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주목할 점이라면 FPX는 LEC 3팀을 상대로 모두 우위를 점했으며 특히 상위 시드일수록 더 좋은 전적으로 무너뜨리면서 LEC의 카운터적인 면모를 보여줬다.
그런데 2020 월즈에서 4시드인 MAD Lions가 메이저 리그 최초로 플레이-인에서 졸전과 패배를 거듭하다가 탈락해 버렸다. 이로 인해 LEC라는 리그 자체가 심하게 하향 평준화가 된 게 아니냐는 물음표도 나오는 중.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G2가 쑤닝과 자강두천 하드 쓰로잉 게임 끝에 그래도 승리를 거두며 1시드답게 A조 1위로 올라오나 했으나, TL에게 일격을 맞고 쑤닝에게 2번 압도당하며 2위로 진출했다. 로그는 약체 PSG를 완봉에 가깝게 박살냈으나 강팀 담원, 징동과 만나서 압살당했고, 2주차에서는 약체 PSG에게도 패하며 꼴찌로 탈락했다. 프나틱 역시 TSM전은 TSM이 더 못해서 이김당했고 LGD전에선 명색이 LEC 2시드인 팀이 LPL 4시드에게 순수 경기력 차이로 박살난 것을 보면, LPL을 뛰어넘기는 커녕 LCK에게 2부 리그 자리를 강탈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평이 많다. 그래도 프나틱은 결국 LGD를 누르고 2위로 진출하긴 했다.
아무튼 2020 월즈에서 8강에 두 팀을 올려보내긴 했는데, 또 G2와 프나틱만이 살아남았다. 그것도 둘 다 그룹 스테이지 2위로 진출이라 좋은 성적은 아니다. 물론 이 두 팀은 녹아웃에서 이상하게 경기력이 오르는 팀이긴 하나, 이 두 팀을 제외하면 LEC가 뭔가를 보여준 적이 없다는 것이 큰 불안 요소이다. 결국 4강에서 LCK의 담원에게 G2가 무릎을 꿇으며 2020 시즌을 3부 리그로 마무리했다. 프나틱은 8강에서 우승 후보 TES를 2:0으로 몰아붙이며 기세를 올렸으나 평소처럼 우위를 점하자 신나게 뇌절하다가 2:3으로 역전패당했다. 월즈 역사상 최초의 리버스 스윕을 당한 팀이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은 덤.
그나마 긍정적인 건 2021 스프링 결승에서 사상 최초로 G2와 프나틱이 없는 대진이 성사되며 세대 교체의 시작을 예고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 내용도 로그가 집어던진 5세트를 제외하면 굉장히 치열했던 양상이라 작년 국제 대회 참사보단 더 나을 거라는 전망이 많다.
그러나 2021 MSI에서 MAD의 기복있는 분전에도 불구하고 21 롤드컵 성적은 매우 저조했다. G2/프나틱에서 매드/로그로 넘어가는 세대교체가 과도기를 넘어 결실을 맺어야 했지만, 최대 암흑기였던 14년을 넘기고 15년 이후로 북미와 별 차이 없는 성적(...)을 낸 롤드컵은 21년이 처음이다. 특히 유럽 팀들은 항상 북미와 달리 개인기량 측면에는 아시아에 크게 밀리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보여왔는데, 이번 유럽은 1시드인 매드 라이온즈조차 라인전에 큰 강점은 없을 정도였고 3팀 전체적으로 솔로라이너들의 역량이 그 14년보다도 심각한 역대 최악 수준이었다.[101] 누가 봐도 탑솔 농사 망했다던 20년보다 탑라이너들의 폼은 더 내려갔고, 미드에서는 그나마 휴머노이드만 조별 1주차의 예능에도 불구하고 체면치레를 했지 나머지 둘은 각각 롤드컵 한 번씩 나왔던 미드들이 그때도 못했는데 올해는 더 못했다. 비슷한 성적을 낸 북미에 비해 평균 연령대와 주축 선수들의 연령대는 눈에 띄게 낮은 편이기에 미래까지 어둡다고는 못하지만, 캡스의 연봉 디스카운트 논란이나 다시 조금씩 심화되고 있는 북미로의 선수 유출, 네메시스와 라센 등 2부 시절부터 엄청난 천재성을 보여줬던 특급 유망주들의 성장 정체 등은 리그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많은 고민을 던져주었다.
22 MSI 종료 시점에서 20년부터 시작된 LEC의 동양에 대한 라인전 약세는 무시할 수 없다고 평가되고 있다. 18 프나틱, 19 G2의 충격적인 임팩트와 그 이후의 하락세를 대조하다 보니 아직도 한국에서는 경력이 짧은 라이트팬일수록 유럽 롤을 "떨어지는 라인전을 참신한 운영과 소수교전, 스플릿으로 만회한다, 따라서 당연히 20년 후의 4용메타에 도태되었다."는 식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15~19년 5년간의 유럽은 16, 17년처럼 운영이 나락으로 떨어져서 위기를 겪은 적은 있어도 개인기량에서는 동양에 밀리지 않는다는 자신감이 있었다.[102] 실제 15 프나틱의 롤드컵 EDG전 실질적 4:0 관광도, 16 H2k의 대 EDG전 2연승과 기적같은 4강도, 17 미스핏츠의 SKT전 풀세트 접전도, 그리고 18 G2의 RNG전 풀세트 업셋도 모두 라인전과 한타에서 보여주는 한국과 전성기 중국에 크게 밀리지 않고 17 전반기까지의 중국을 오히려 앞서던 단단한 개인기량에 기반하고 있었다. 어떻게 보면 19 G2가 역대 최강의 유럽팀인 이유도 15 프나틱의 개인기량과 안정적 운영, 18 프나틱의 교전 합과 공격적 운영을 하나로 합쳤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G2 프나틱 전성기 멤버들의 하락세와 매드 로그로의 세대교체, 다시 기존 양강의 리빌딩이 시작되는 20시즌부터 등장한 01년생 이하 선수들은 대부분 선배들과 달리 라인전 기량부터가 애매하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스타급 선수들이 바로 02년생 동갑 카르지와 베테오이며 이보다 급이 떨어지는 선수들 중에도 라인전에 강점을 가진 플레이어 비율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팀간 전력차가 크고 에이징 커브를 거스르는 노장들의 비율이 낮은 유럽 리그다 보니, 선배들의 라인전 노하우가 후배들에게 충분히 자연스럽게 전해지지 않고 동양과의 지식적 수준 차이도 별어지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22 MSI에서 가장 부진했던 타르가마스의 롤 인벤 인터뷰.[103] 단순히 유망주들의 질이 떨어진 것인지 아니면 19년의 성공 이후 과하게 교전을 중시하면서 라인전 디테일을 등한시한 벌을 받는 것인지는 외부에서 알기 힘들다. 그러나 이쯤 되면 일단 내부에서 결과를 인정하고 원인과 해결책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결국 이런 근본적인 문제를 반년만에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했고, 2022 롤드컵에서 1시드 로그 외에는 LCS와 사이좋게 멸망했다. 그러나 동양식 라인 주도권을 어느 정도 쫓아간 로그의 분전과 그 에이스 라센을 필두로 업셋, 엘요야, 캡스, 휴머노이드 등 21년부터 행보가 다사다난했던 주력 스타들의 분전으로 이듬해 반등의 희망 자체는 가질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4월 23일, 프랜차이즈 직후에 규정하였던 1구단 1아카데미 의무 운영 규정을 수정하여 2022년 1월부터는 반드시 아카데미 팀을 운영할 필요가 없고[104] 반대로 1팀이 하부 리그인 ERL[105]에 최대 2팀의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게 만들었다. LEC의 경우 아무래도 지역 연고에 따른 운영상의 난점[106]으로 아카데미 팀과 1군 팀 간의 갭이 큰 것과 코로나로 인해 현실적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5.3. 암흑기(2023~)
5.3.1. 2023 시즌
2023 시즌부터는 리그 포맷이 대폭 변경되었다. 변경사항은 아랫문서를 참고.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3 문서
의
포맷 변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그러나 2023 시즌에 포맷을 갈아엎은 게 오히려 독이 되었는지, 2023 월즈에서 LEC 팀들이 모두 8강은 커녕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전부 탈락[107]하며 LCS에게 밀리는 4부 리그로 전락하는 등 미래가 매우 암울해졌다.[108] 이는 월즈를 확정지은 팀 중에서 강팀 축에 꼽히는 경기력을 가진 게 G2 정도를 제외하고는 전부 서머 이전에 모진 풍파를 겪어서 생겼다고도 볼 수 있다. 당장 2시드 프나틱도 윈터-스프링 정규시즌을 8등-9등을 박다가 서머에 바텀 듀오를 갈아엎고 기존 선수들의 대오각성이 수반되어 시즌 파이널 한 방 역전을 했고, 3시드 MAD는 스프링 8위에서 시작해 미라클 런을 달성하긴 했지만 미라클 런의 원동력이 결국 상대 팀의 저점과 맞물린 우승인지라 결과적으로 국제 대회에서의 끔찍한 경기력에 올해도 역시라는 말을 듣는 저평가의 대명사다. 4시드 BDS는 아예 월즈에 온 것 자체가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저예산 팀이었으며, 마이너 리그와 막상막하를 이루는 처참한 체급으로 스위스 전패 탈락을 했다.
그렇다면 이들에게 밀린 팀들은 예산도 쓰지 않은 약팀들만 모인 저예산 리그냐 하면은 그렇지도 않은 게, 퍽즈를 필두로 각종 이름값 있는 선수들을 모은 바이탈리티, 작년 서머 우승 로스터에서 탑을 교체한 KOI, 시즌 중 영입을 통해 10-10 클럽에서 서머 결승까지 간 엑셀 등 투자를 한 팀들은 얼마든지 있었다. 단지 모두 시즌 중에 실패하면서 돈이 허공에 날아갔다는 점이 문제였고, BDS의 사례 때문에라도 인재 영입보다 유스 콜업에 더 눈독을 들일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2024년에는 샐러리 캡까지 도입되어 당장 월즈를 마친 G2가 이 로스터를 유지하고 싶으면 연봉 삭감을 해야 된다는 루머도 나오면서 긴축재정에 돌입하는 구단이 속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2023년 스토브리그에서 이러한 긴축재정으로 인해 로스터가 약화되었다고 평가될 만한 구단은 의외로 해당 사항이 없다고 볼 만큼 G2를 제외한 모든 구단에서 재정적인 문제보다는 성적을 이유로 로스터를 강화하려는 영입을 보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미스러운 사태가 터진 BDS나 아예 특정 선수 중심의 인맥롤을 위한 카르텔을 형성하고 그걸 받아준 MAD, 이바이의 갑질과 임금 체불 문제가 터진 로그, 승부조작범을 영입했다 망한 바이탈리티, 그런 승부조작범을 영입한 카르민 코프, DRX마냥 핵심 선수를 내치는 막장 스토브리그를 보여주는 엑셀, 서서히 스페인 친목을 시작하는 프나틱의 경우처럼 리그의 근간을 흔드는 문제들이 터지고 있다는 점은 리그 운영 면에서는 작년만큼이나 좋지 않은 신호로 비춰지고 있다. 또한 3스플릿 제도가 계속해서 유지되는 점 또한 작년과 같은 포맷으로 인한 경기력 하락에 우려를 표하는 의견이 즐비한 실정이다.
5.3.2. 2024 시즌
2024년부터 룰이 다시 변경되었는데, 플레이오프 진행 방식 및 세부 명칭이 조금씩 변경되었다. 플레이오프 구조는 이전 시즌의 그룹 스테이지를 합치면 실질적으로 거의 같고, 명칭만 '그룹 스테이지'와 '플레이오프'(4팀)를 '플레이오프'(8팀)로 통합하였다. 그리고 패자조 2라운드 경기[109]에서 반대쪽 브래킷[110]의 승자조 2라운드[111] 패자와 패자조 1라운드[112] 승자가 맞붙는다. 똑같이 8개 팀으로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치르는 MSI와 같은 방식으로 치러지는 셈. 이전 시즌에는 같은 조끼리 맞붙은 것과 대조적이다. 또한 패자조의 동일한 라운드에서 탈락한 팀(1라운드의 경우 7-8위, 2라운드의 경우 5-6위)간의 최종 순위 결정 기준이 '정규시즌 상위 순위'에서 '탈락한 두 팀간의 정규시즌 맞대결 경기 결과'로 변경되었다.또한 나이 제한을 만 17세에서 만 18세로 연령 제한을 늘렸다.
2024년의 LEC의 MSI는 'G2버스' 밖에는 설명할 수 없는 모양새가 되었다. 분명 G2가 TES에게 스윕승을 거두고 T1과의 1차전을 5꽉 승부까지 몰아붙이는 등 전년도는 물론 2019~2020년만큼은 아니지만 눈도장을 찍으면서 기대감을 끌어올린 것은 맞으나, 그와 반대로 1시드라고는 하지만 LCS에, 그것도 용병 미드가 아닌 LCS 로컬 미드에게 서열정리를 당한 휴머노이드의 프나틱이 보여준 저점은 대놓고 LEC가 G2, 심지어는 캡스 원맨 리그라는 조롱을 들을 정도로 처참했다. 그나마 라인 스왑 메타를 서양권 팀들 중 가장 잘 활용하던 G2마저도 T1과의 리매치에서는 각종 전략들이 파훼되고 난 후 드러난 체급 차이에 스윕패를 당하고 나니 아직은 갈 길이 멀다는 것만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리그 역시 정규시즌, 플레이오프 과정에서의 이변은 많았지만 결국 G2가 모든 스플릿과 시즌 파이널을 석권하며 통합우승으로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더불어 이번 시즌 들어 용병, 특히 LCK 및 LCK CL산 용병을 영입한 팀들이 전년도보다 증가했는데, 기묘하게도 기존에 하위권이었던 팀들에게는 솔깃할 만한 퍼포먼스를 보였으나 정작 대부분이 월즈 시드에 들지 못하는 고배를 마셨다. 그럼에도 이러한 활약을 높이 산 것인지 스토브리그에 벌써부터 경쟁력이 부족한 하위권 팀들 위주로 용병 영입 루머가 들려오고 있다.
하지만 결국 홈그라운드에서 개최된 2024 월즈에서 작년과 마찬가지로 LEC는 2년 연속 스위스 스테이지 전원 탈락이라는 흑역사를 남기고 말았다. 어찌 보면 작년보다 더 처참한 게, 2시드 프나틱은 작년보다 전력이 약화되었다고 평가받는 웨이보와 디플러스에게 패배했고, 3시드 MDK는 마이너 지역인 PCS, VCS에 의해 침몰, 마지막 희망이었던 G2마저 작년과 같이 BLG에게 가로막히며 패배했다. 실력적으로 완패를 당했던 작년 월즈와는 달리 올해는 월즈에서 맞대결이 성사되지 않고 LCS가 마지막 라운드 내전을 통해 8강에 한 팀을 올려놓은 것에 대해 매치 편성의 불운에 항변하는 형국이나, 결국 올해도 LCS에게 밀린 4부 리그의 지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심지어 8강에 올라간 FLY가 젠지와 풀세트 접전을 벌이면서 경기력 면에서도 LEC가 LCS에게 판정패로 점쳐지고 있어 더욱 암울한 마무리가 되었다. 관계자들이 그토록 염원하던 2011 프나틱 이후 첫 월즈 우승 유럽인은 T1의 식스맨으로 들어가 무출전 우승을 거둔 레클레스가 되면서 블랙 코미디의 정점을 찍은 것은 덤.
결과적으로 2024년은 LEC에 있어서 출범 이래 최악의 시기로 평하는 여론이 대다수다. 당장 G2의 경기력이 작년보다 나아졌을지언정 여전히 스위스 스테이지를 간발의 차이로 통과하지 못한 것은 약과로, 그 G2의 LEC 제패를 꺾기는 커녕 2부 리그에서 선수를 친목으로 영입했지만 마이너 리그 팀에게 패배하는 등 추한 모습으로 스위스 3라운드 탈락이라는 결과를 받아들인 MDK까지도 단죄하지 못하고 월즈에 보낸 것은 LEC 자체가 자정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리그의 약세가 가속화되고, 월즈에 진출하지 못하고 로그, 바이탈리티 등 이미 리그에서 시즌을 마감지었거나 몰락한 팀들 역시 경쟁력도 하향 평준화되었다고 귀결된다.
그나마 G2를 위협했던 프나틱도 시즌 중에 현지 여론이 그렇게나 비판적인 시선으로 봤던 용병 바텀 듀오가 아닌 휴머노이드의 최저점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전통의 강호라는 명성은 빛이 바래버렸고, 그렇다고 세대 교체를 기대하기에도 당장 미드 라인부터가 포스트 캡스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113] 심지어 MDK는 LCS 출신 영건인 조조편 영입에 대한 이슈가 회자될 정도로 리그 내 차세대 미드 라이너에 대한 기대는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정도이다.
덧붙여 이번 시즌 들어 용병 영입이 활발했는데, 그 이면에는 그만큼 리그 자체적인 유스 및 리그 플레이어들 중 월즈 내지는 리그 우승권 컨텐더급을 기대할 수 없어 비단 미드뿐만이 아닌 타 라이너의 수급도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결국 2025년에도 유의미한 반등을 보여주지 못하고 되려 퇴보하는 모습만 보여준다면 리그 전체가 회복 불가 판정을 넘어 LEC 전체가 사망 선고를 받을 상황이 되어버렸다.
5.3.3. 2025 시즌
결국 LEC 운영팀도 최근 LEC가 2년간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었는 걸 인지했는지 2025년을 앞두고 다시 한 번 포맷이 변경되었다.우선 LCS처럼 라이브 서버로 대회가 진행되며, 시즌 파이널이 폐지되고, 각 스플릿 우승이 이전 시즌 파이널 우승과 동등하게 취급된다. 월즈 진출은 과거 LCS와 비슷하게 서머 성적만으로 결정된다. 윈터는 2024 시즌과 그대로 가되 플레이오프부터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도입된다. 스프링은 LCK 정규시즌 1라운드와 동일하게 진행하고, 서머는 5팀씩 두 그룹으로 나눠 그 안에서 BO3 한 바퀴를 돌린다. 각 플레이오프 진출 팀은 윈터 8팀, 스프링 6팀, 서머 4+2(플레이-인으로 진출)팀.
그럼에도 LEC의 고질점인 경기 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 것은 아닌데, 뷰어십 문제로 토요일/일요일 이외에 경기를 편성하지 못하는 특성상 약팀의 경기 수를 비약적으로 늘리지는 못했다. 그나마 지난 시즌의 소위 '27딱'이라 불리는 최소 27세트까지는 아니지만, 당장 최소 경기 수만 비교해봐도 2025 LCK는 최소 70세트+@를 보장하는 반면 2025 LEC는 35세트+@[114]에 심지어 서머는 작년 서머에 비해 1세트가 줄어든 8세트가 최소 경기 수다. LCK는 같은 스프링 기간 동안 스플릿 두 바퀴를 돌리는 중에 한 바퀴만 돌려버리고, 서머 동안은 같은 방식으로 세 바퀴를 돌리는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경기 수가 적은 방식이다.
6. 관련 문서
[1]
LEC 메인 컬러, LEC Blue, (구) LEC Spring
[2]
LEC Red, (구) LEC Summer
[3]
LEC Winter
[4]
LEC Spring
[5]
LEC Summer
[6]
음악 스폰서로 경기 중간 대기텀마다 데일리뮤직을 선정해서 들려준다.
[7]
Am Studio 20D, 12489 Berlin, 독일
[8]
종전 명칭 LEC Studio
[9]
유럽,
중동,
아프리카에 해당하는 Europe, Middle East, Africa의 머릿글자를 나열한 것. '이미아'라고 읽으면 된다. 다만 현재 LEC 소속팀 중 중동이나 아프리카 팀은 없는 관계로 여전히 유럽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10]
2023, 2024 시즌은 단일 시즌으로 취급한다.
[11]
2023, 2024 시즌의 최고 성적은 시즌 파이널을 우선으로 한다. 단, 2022 서머 이전 성적과 시즌 파이널 진출이 없을 경우에는 스플릿 최고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SPL]
스플릿 최고 성적.
[SPL]
[14]
이는 LEC 최다 진출 기록이자, 역대 최다 진출 기록이기도 하다.
[15]
시즌 1 GDE 6위
[#3]
3시드
[#1]
1시드
[#2]
2시드
[#1]
[#2]
[#3]
[#1]
[#3]
[#2]
[#1]
[#2]
[#3]
[#1]
[#2]
[#3]
[#2]
[#1]
[#3]
[#2]
[#1]
[#3]
[#1]
[#3]
[#2]
[#1]
[#2]
[#3]
[#1]
[#2]
[#3]
[#4]
4시드
[#1]
[#2]
[#3]
[#1]
[#2]
[#4]
[#3]
[#1]
[#2]
[#3]
[#4]
[#1]
[#2]
[#3]
[61]
네메시스도 오히려 2019 월즈에서는 신인이라고 믿기 힘들 정도로 충분히 활약했음을 감안하면 오직 니스퀴가 심각한 예외인 것이다.
[62]
신규 유입 팬들은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더샤이 등장 이전의 LPL 탑솔러들은 LEC를 넘어 LCS, LMS, CBLOL(!)보다 경쟁력이 낮다는 혹평을 받아왔다.
[63]
2020 서머 탑으로 탱커 챔피언을 선호하는 이유로 LEC의 탑솔러 중
너구리나 더샤이 같은 칼챔을 제대로 다를 수 있는 탑이 없다는 점이 꼽힐 정도이다. 이는 국제전 성적으로 이어져 2020 월즈에서 MAD의 오로메가 메이저 지역 최초의 플레이-인 탈락이라는 대참사를 유발하더니, 2021 월즈에서도 2연속 LEC 결승 MVP
아르무트와 정규시즌 유체탑 오도암네가 실로 처참한 경기력을 보이며 LEC 전체의 멸망에 크게 공헌하였다.
[64]
당장 최근 LCK 최고의 드레이븐 장인이
누군지 생각해보자.
LPL 최고의 드레이븐 장인도 당연히 캐리력도 출중하지만 상체 중심의 난전 조합에서 가장 빛나는 원딜러로 평가받는다.
[65]
LEC로 프랜차이즈 이후 2019 스프링부터 신인왕 수상자들 대부분이 2020 서머 서포터인
라브로브, 2021 서머 탑 라이너인
아담을 제외하면 전부 정글러다. 순서대로
셀프메이드-
인스파이어드-
라조크-
엘요야. 또한 2021 서머 신인왕 2위도 정글러인
마르쿤이다.
[66]
2019 월즈 3시드인 스플라이스의 서포터
노스케런의 경우 각종 한국 해외 대회 시청자들에게 혹평을 주로 받았고, LEC 해설 좁쌀도 개인 방송에서 CK급 서포터라고 돌려 말했을 정도였다.
[67]
프로겐, 비역슨, 옌슨, 캡스, 원더,
브록사,
스벤스케런,
즈벤,
산토린,
제시즈,
코베, 센컥스, 콜드, 슈젠더, 틴스. 포지션마다 인재가 많지만 미드 라이너 쪽에 유명 선수가 많다.
[68]
핀, 라센, 레클레스, 야난, 벳시,
트리츠,
언포기븐,
프로미스큐.
[69]
얀코스, 셀프메이드,
키키스, 인스파이어드,
밴더,
트림비.
[70]
퍽즈, 리밋.
[71]
오도암네,
절지.
[72]
프리즈, 패트릭, 카르지, 휴머노이드.
[73]
미키엑스, 네메시스,
크라우니.
[74]
어메이징, 업셋, 파워오브이블,
아베다게,
길리어스,
브로큰블레이드,
카이저.
[75]
엑스페케,
미시, 라조크, 엘요야,
플래키드.
[76]
소아즈, 한스 사마,
옐로우스타, 카보차드,
베테오, 아담, 투쿠이.
[77]
알파리,
카싱.
[78]
크레포, 브위포, 니스퀴,
타르가마스.
[79]
힐리생
[80]
페비벤, 마르쿤, 래블 등
[81]
포기븐,
콤프,
라브로브 등
[82]
아틸라 등
[83]
중국계인
섀도우를 제외하면
지주케 정도가 끝이다.
[84]
이 라이벌 관계를 바탕으로 개최된 대회가
리프트 라이벌즈. 하지만 항목을 참조하면 빛(흥행)과 어둠(상위권 팀 선수 혹사)이 공존한다.
[85]
LEC 역대 최고 선수로 꼽히는
캡스의 연봉도 이보다 살짝 적다는 관계자 피셜이 있었다고 한다.
[86]
그나마 성적을 제대로 내고 있는 로그, 매드, 엑셀이라면 몰라도 아스트랄리스나 SK 같은 팀으로 이적하면 연봉도 애매하고 인기도 그다지 없는데 1부 팀게임을 배우기는 커녕 패배만 습관화하면서 2부 입상보다 오히려 성장에도 악영향이 된다고 여기는 것이다.
[87]
체이시의 경우 ERL에서 반 시즌을 뛴 상태에서 영입되었다.
[88]
그래도 2014 프나틱, 2015, 2016 H2K 정도면 운영이 최악이 아니긴 했으나, 딱히 동시기 LMS이나 LCS NA보다 낫지 않았다. 2015 시즌은 한국인 용병들이 주도한 프나틱과 구나틱 멤버들이 마지막 불꽃을 태운 오리진 단 두 팀이 선사한 인상으로, 엑스페케/옐로우스타의 은퇴와 후니/레인오버의 LCS NA 이적 이후 LCS EU 전반적인 운영 능력은 완전히 무너지고 말았다.
[89]
그렇다고 당시 확실한 5대 리그 최악이라고 보긴 또 조금 애매한 게, 향로 메타가 오기 전까지 LPL이야말로 EDG와 2016 RNG를 제외하면 이 LCS EU 못지 않게 초중후반 가리지 않고 운영적인 면에서 난점을 드러냈다.
[90]
게다가
늘 모방하려고 했던 리그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생각해보면 실로 아이러니하다고 할 수 있다.
[91]
EDG, LGD, RNG, WE, IG, FPX, JDG, TES.
[92]
SKT(現 T1), ROX(現 HLE), KZ(現 DRX), KT, DWG(現 DK), GEN.
[93]
TSM, C9, CLG, TL, 100, EG.
[94]
LCS가 2019 월즈에서 이 전철을 그대로 밟았다. 사실 LCS도 역대 우승팀 개수만 4개지 역대 우승팀 중 CLG는 잠깐 반짝한 LCS판 얼라이언스에 불과하고, 2017 시즌까지는 LCS는 최다 우승팀 TSM, 최다 준우승팀 C9이 LCS NA을 이끌어갔고, 2018 시즌 이후로도 새로운 슈퍼팀으로 TL이 등장했으나 사라진 TSM의 자리를 대체한 상황이 되어버려 LEC와 마찬가지로 슈퍼팀 2개 체제다. 그러나 TSM은 국제전에서 내내 부진해 C9이 혼자서 버텨야 했고 C9이 버티지 못한 2015 월즈에서는 전원 그룹 스테이지 탈락이라는 굴욕을 당했다. 그러다 TL이 2019 MSI 준우승을 하며 LEC처럼 부흥하는 듯 했으나 2019 월즈에서 2팀 다 부진하며 2015 월즈처럼 전원 그룹 스테이지 탈락이라는 상황에 처했다.
[95]
게다가 LEC 양강인 G2, 프나틱은 2018 롤드컵 IG에게 각각 4강, 결승에서 0:3 셧아웃을 당했는데 2019 롤드컵 역시 LPL 팀 FPX에게 각각 결승, 8강에서 0:3, 1:3으로 털려나갔다. 곧 2년 연속 당대 최강 LPL 팀에게 LEC 양강팀이 썰려나간 셈이다.
[96]
특히 LPL 최강 순혈팀인 RNG는 2년 연속으로 LEC 때문에 눈물을 흘린 것을 감안하면 팀적 디테일도 있지만 S급 한국인 용병 활용이 아쉽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97]
실제로 LEC 3시드 로그가 1학년 5반을 찍고 광탈한 2020 월즈에서 객원 해설
플레임의 표현을 빌리자면 로그는 미드와 탑이 사이드를 흔드는 호흡도 좋고 바텀 듀오의 라인전 및 로밍 호흡도 좋지만 5인으로는 호흡이 맞지 않는다고 했다. 이는 위의 챔피언 선택을 봐도 개인이나 2~3인 단위로 만들어가는 챔피언을 선호하고 5:5 호흡이 중요한 챔피언을 기피한다는 LEC의 성향과 일맥상통한다. 중반 포탑 철거 단계에서 제대로 이득을 보지 못하고 뇌절하거나 대충 누워버리는 2~3시드 팀이 꼭꼭 나오는 것도 5인 사이에 제대로 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서라는 악평이 많다.
[98]
2018 월즈에서 LEC는 준우승, 4강, 그룹 스테이지 3위 & LCK는 8강, 8강, 그룹 스테이지 4위였고 2019 월즈에서는 LEC는 준우승, 8강, 8강 & LCK는 4강, 8강, 8강이였다. 보면 알겠지만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지난 2년간 고점으로 따지든, 평균으로 따지든 LEC > LCK인 것은 명명백백한 사실이다. 클템이 개인 방송에서 LEC가 G2밖에 없는 리그라고 하는 것은 LCK가 T1밖에 없는 리그라고 하는 거랑 다른 게 없다고 일침을 가했을 정도.
[99]
재미있는 점은 담원이 2020 월즈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결국 우승까지 차지하자 이제는 거꾸로 몇몇 LEC 팬들이 LCK는 담원만 독주하는 담원 원툴 리그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국내 팬들은 LEC도 G2밖에 없는 리그라고 대꾸하는 중. 애초에 2020 월즈에서 LEC는 플레이-인 탈락, 그룹 스테이지 4위, 8강, 4강 & LCK는 8강, 8강, 우승이였다. 2018 ~ 2019 시즌의 성적이 LEC > LCK인 것이 명백한 사실이라면, 거꾸로 2020 시즌의 성적이 LEC < LCK인 것 또한 명백한 사실이다.
[100]
부활한 LEC의 선봉장인 G2조차도 종종 게임을 던져버리는 모습이 나온다.
[101]
14년엔 나머지가 모조리 바닥으로 추락했어도 프로겐과 프레디가 있었지만, 이번엔 진짜로 휴머노이드 혼자였는데 그 휴머노이드도 저 둘보다 고점은 높았지만 저점은 눈에 띄게 낮았다.
[102]
백번 양보해 최전성기 한국은 라인전도 앞서고 운영도 앞서는데 운영으로 더 크게 앞서니까 운영으로 유럽을 요리했다고 쳐도, 중국이 15 롤드컵의 몰락 이후 17 MSI까지도 2부리그 지위조차 되찾지 못한 것은 유럽보다 개인기량이 밀려서이다.
[103]
다만 서포터는 그 유럽에서도 탑 이상으로 상중하 평균을 가리지 않고 동양 대비 가장 선수층이 얇은 포지션이다. 미시의 TSM 이적과 밴더의 노쇠화 이후로 유럽에서 라인전을 정석적이면서도 강하게 풀어가는 서포터는 없다. 라인전 강자인 힐리생은 너무 사파적이고 그나마 밸런스형인 카이저도 의외로 사파적이다. 타르가마스, 트림비, 메르사, 라브로브 등 00년대생 서포터들 입장에서 원더나 알파리 등이 어느 정도 라인전 기량을 보여주던 21년 외의 유럽 탑라인과 비교해도 극단적으로 누군가를 보고 혹은 맞아보며 배우기 나쁜 환경이라는 것.
[104]
투표 결과, 10개 구단 중 9구단 찬성, 로그만 반대.
[105]
여담이지만 ERL 중에서도 LFL이 특히 시청자 수가
많은 편이다.
[106]
본 팀은 LEC 스튜디오가 있는 독일에서 주로 경기하지만, 아카데미 팀들은 유럽 각국에 흩어져 있어, 1군 - 아카데미 간의 연계가 아무래도 자유로이 로스터를 변경하는 LCS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107]
2014 월즈의 첫 그룹 스테이지 전원 탈락 이후 무려 9년 만에 스위스 스테이지 최초의 전원 탈락이라는 기록까지 쓴 건 덤이다.
[108]
다만
G2를 꺾고 8강에 간
NRG의 형편없는 경기력과 G2의
독감 이슈가 맞물리면서 그저 운이 나빴다는 희망론자들의 의견도 있다.
[109]
이전 시즌의 그룹 스테이지 3라운드 경기(= 그룹 최종전)
[110]
이전 시즌의 "그룹(조)"과 완벽 대응된다.
[111]
이전 시즌의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승자 경기(= 그룹 승자전)
[112]
이전 시즌의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패자 경기(= 그룹 패자전)
[113]
상술한 휴머노이드도 프나틱 팬들 입장에서는 학을 뗄 정도로 여론이 급락했는데, 그럼에도 캡스와 휴머노이드를 제외하면 대부분 그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거나 급격히 몰락했기 때문에 대체 매물을 꼽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114]
윈터 9세트 bo1, 스프링 9경기 bo3(18세트), 서머 4경기 bo3(8세트)를 합산한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