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8:46:53

홋카이도

혹까이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1c1d1f>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都) 도(道) 부(府)
파일:도쿄도 문장.svg 파일:도쿄도 문장_White.svg
도쿄도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파일:교토부 문장.svg
교토부
파일:오사카부 문장.svg
오사카부
현(県)
파일:아오모리현 문장.svg
아오모리현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이와테현
파일:미야기현 문장.svg
미야기현
파일:아키타현 문장.svg
아키타현
파일:야마가타현 문장.svg
야마가타현
파일:후쿠시마현 문장.svg
후쿠시마현
파일:이바라키현 문장.svg
이바라키현
파일:도치기현 문장.svg
도치기현
파일:군마현 문장.svg 파일:군마현 문장_White.svg
군마현
파일:사이타마현 문장.svg
사이타마현
파일:치바현 문장.svg
치바현
파일:가나가와현 문장.svg
가나가와현
파일:니가타현 현장.png
니가타현
파일:도야마현 문장.svg
도야마현
파일:이시카와현 현기표장.svg
이시카와현
파일:후쿠이현 문장.svg 파일:후쿠이현 문장_White.svg
후쿠이현
파일:야마나시현 문장.svg 파일:야마나시현 문장_White.svg
야마나시현
파일:나가노현 문장.svg
나가노현
파일:기후현 문장.svg
기후현
파일:시즈오카현 문장.svg 파일:시즈오카현 문장_White.svg
시즈오카현
파일:아이치현 문장.svg
아이치현
파일:미에현 문장.svg
미에현
파일:시가현 문장.svg
시가현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현
파일:나라현 문장.svg
나라현
파일:와카야마현 문장.svg
와카야마현
파일:돗토리현 문장.svg
돗토리현
파일:시마네현 문장.svg
시마네현
파일:오카야마현 문장.svg
오카야마현
파일:히로시마현 문장.svg
히로시마현
파일:야마구치현 문장.svg
야마구치현
파일:도쿠시마현 문장.svg
도쿠시마현
파일:카가와현 문장.svg
카가와현
파일:에히메현 현기.svg
에히메현
파일:고치현 문장.svg
고치현
파일:후쿠오카현 문장.svg
후쿠오카현
파일:사가현 심볼마크.svg
사가현
파일:나가사키현 문장.svg
나가사키현
파일:구마모토현 문장.svg
구마모토현
파일:오이타현 문장.svg 파일:오이타현 문장_White.svg
오이타현
파일:미야자키현 문장.svg
미야자키현
파일:가고시마현 문장.svg
가고시마현
파일:오키나와현 문장.svg
오키나와현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f304e>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오(道央) 지방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청
}}}
도난(道南) 지방
오시마 종합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히야마 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도호쿠(道北) 지방
{{{#!wiki style="margin: -16px -11px" 루모이 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소야 종합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
도토(道東) 지방
* 이부리와 히다카는 도난 지방으로 분류되거나 아예 닛탄(日胆) 지방으로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틀에서는 일본 정부의 지방공공단체 정보 시스템 기구의 전국 자치단체 지도 검색 분류에 따른다. }}}}}}}}}


[[일본|]][[틀:국기|]][[틀:국기|]] 일본 도(道)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北海道
Hokkaido Prefecture
}}}
<colbgcolor=#2f304e><colcolor=#fff> 도청 소재지
삿포로시 주오구 키타3죠 니시6초메 1[1]
하위 행정구역 14(종합)진흥국 35시 129정 15촌[2]
지방 홋카이도
면적 78,470㎢[3]
인구 5,065,106명[4]
인구밀도 60.7명/km²
GDP $1,877억(2019)[5]
1인당 GDP $35,633(2019)
도지사
[[무소속(정치)|
무소속
]]
스즈키 나오미치
(鈴木直道, 재선)
도의회
(100석)

[→ 회파별로 보기]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49석

[[입헌민주당|
입헌
]]
23석

[[공명당|
공명
]]
8석

[[일본공산당|
공산
]]
2석

[[일본유신회|
유신
]]
1석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석
중의원
(12/465석)

[[입헌민주당|
입헌
]]
9석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3석
참의원
(6/245석)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4석

[[입헌민주당|
입헌
]]
2석
상징 <colbgcolor=#2f304e><colcolor=#fff> 도화 해당화
도목 가문비나무, 사할린가문비
도조 두루미
지역번호 011~016
ISO 3166-2 JP-0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명칭
3.1. 표기
4. 지리5. 기후6. 역사7. 정치
7.1. 국회의원7.2. 지역 정당7.3. 도의회
8. 사회
8.1. 언어8.2. 교통8.3. 교육
9. 관광10. 문화11. 행정구역
11.1. 지방과 진흥국
12. 관련 기업13. 출신 인물
13.1. 실존 인물13.2. 가상 인물
14. 기타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その先の、道へ。北海道
그 앞의, 길로. 홋카이도
홋카이도 캐치프레이즈
홋카이도([ruby(北海道, ruby=ほっかいどう)], Hokkai-dō)는 일본 유일의 (道, どう)[6]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 북해도라고도 한다. 일본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섬이자 보통지방공공단체([ruby(普通,ruby=ふつう)][ruby(地方,ruby=ちほう)][ruby(公共団体,ruby=こうきょうだんたい)], 지방자치단체)[7]이다. 도청소재지이자 최대 도시는 삿포로시이다. 홋카이도 인구의 절반이 삿포로시와 그 근교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후술되어있듯 생각보다 상당히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지만, 인구는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적은 509만 명 정도이다.[8] 이런 면적 등의 독특한 스타일을 바탕으로 인식이 좋은 편이다. 실제로도 13년 연속 가장 매력적인 지역 1위[9], 거주자가 계속해서 거주하고 싶은 지역 1위 #[10], 음식이 맛있는 지역 1위 #, 관광 가고 싶은 지역 1위 #, 성격이 좋아 보이는 지역 1위 # 등, 다수의 선호도 랭킹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많은 여행객들에게도 인기가 높으며 북방 지역에 위치해있다보니 겨울 관광지 이미지가 있지만 여름도 수요가 있다.

2. 상징

파일:홋카이도 도기.svg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rowcolor=#fff> 도기(道旗)[11] 문장(紋章)

3. 명칭

<colbgcolor=#dddddd,#222>언어별 명칭
영어 Hokkaido
일본어 [ruby(北海道, ruby=ほっかいどう)]
한국어 홋카이도, 북해도[12]
표준중국어 [ruby(北海道, ruby=běi hǎi dào)]
홋카이도는 메이지 유신 즈음 일본의 행정구역으로 편입하면서 도카이도(東海道), 사이카이도(西海道), 난카이도(南海道)에 대응하여 지어진 명칭이다. 에도 시대에는 호쿠슈(北州·북주), 짓슈지마(十州島·십주도), 에조치(蝦夷地·하이지), 마츠마에(松前)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또 홋카이도와 쿠릴 열도(일본명 지시마·千島), 사할린(일본명 가라후토·樺太:북에조치)를 모두 포함하여 에조가시마(蝦夷ヶ島)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행정명인 도(道)는 전통적인 일본 행정 단위로서 폐번치현 이전부터 쓰였던 것을 여전히 쓰고 있는 것이다.[13] 원래는 고키시치도(五畿七道·오기칠도)라는 행정구역이 있었는데, 홋카이도를 설치하면서 고키하치도(五畿八道·오기팔도)가 되었다.

홋카이도 내의 많은 지명들이 일본의 다른 지방 지명들과는 매우 판이한데, 이는 홋카이도의 지명 중 상당수가 아이누어의 토착 지명을 일본식으로 바꾼 후 거기에 한자를 끼워 맞추는 형식으로 정해졌기 때문이다.

일본의 다른 도도부현의 경우 이름을 말할 때 뒤의 도/부/현을 떼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ex: 도쿄도→도쿄, 오키나와현→오키나와), 이곳만은 '홋카이'라고 부르지 않고 '홋카이도'라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4] 이는 홋카이도가 도도부현의 명칭일 뿐만 아니라 일본 본토를 구성하는 4대 섬 중의 하나이자 간사이, 규슈, 도호쿠 등과 같이 특정 지방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홋카이도 사람들이 혼슈 등 일본의 본토를 부를 때 종종 내지라고 부른다. 홋카이도는 일본 제국 시절에도 행정상으로 외지가 아닌 내지에 속했으나 전통적인 일본 본토( 야시마)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이 개척된 영토였기 때문에 이런 인식이 존재한다. 재미있게도 이건 오키나와도 동일하다.

3.1. 표기

(후ㅅ)카이도가 아니다. (호ㅅ)카이도가 옳다. '북녘 북(北)' 자의 일본어 음독(音読み)음인 '호쿠(ほく)'가 뒤에 따라오는 '카(か)' 음으로 인해 촉음화되어 '홋(ほっ)'으로 준 것. 특히 활자가 작을 경우 유심히 보지 않는 이상 '홋'과 '훗'이 잘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더 혼동하기 쉽다.[22] 또, 북해도라는 한국식 표기에서의 'ㅜ'를 떠올려 '훗'이라 알고 있는 경우도 많고,[23] 생각 외로 많은 사람들이 틀리기에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덩달아 그렇게 알게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홋'이 들어가는 토트넘 스퍼(Tottenham Hotspur)를 토트넘 스퍼로 오기하는 경우도 많다.

일반인들만이 아니라 국립국어원에서도 훗카이도라고 쓴 적이 있다. 심지어 삿포로 영사관에서도 틀린 적이 있었다.

또한 검색어에 오타가 있을 경우 검색어 제안이 뜨거나, 오탈자를 자동으로 고쳐서 검색해주는 기능이 있는 각종 검색 엔진에서도 '훗카이도'라 검색했을 때는 이런 기능들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24]

한 술 더 떠서 흣(ㅎㅡㅅ)카이도도 있다.
파일:홋카이도 맞춤법.png

외래어 표기법상 '홋카이도'인데 정확한 발음은 'Hokkaido(혹까이도-)'에 가까우며 원어 발음을 그대로 반영하는 번역서들, 특히 문학작품 같은 경우 '호까이도오'라고 표기된 예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고, 북한에서는 실제 ‘혹까이도’라고 표기한다. 남한에서 ‘홋카이도’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일본어 촉음의 경음화 현상이 한국어의 사이시옷과 유사[25]하므로 촉음의 한글표기를 ㅅ받침으로 정형화해 놓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음은 그냥 사이시옷이라고 생각하고 ‘혹카이도-’처럼 하면 된다. 'どう' 는 장음이라서 '도' 를 '도오' 처럼 약간 길게 발음해야 한다.

4. 지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의 지방
서일본
동일본
<colbgcolor=#DC0023> <colbgcolor=#0095C5> <colbgcolor=#2f304e>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상세 정보 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위 구분은 학교 교육과정 기준으로, 관점에 따라 지역 구분이 다를 수 있다.
* 오키나와 규슈의 일부로 보기도 하고 별개로 보기도 한다.
* 혼슈(위에 보라색 표시로 묶인 5개 지방), 홋카이도, 시코쿠, 규슈일본의 4대 섬, 여기에 오키나와 본도(本島)까지 포함해서 국토교통성이 정한 일본의 5대 본토라고 부른다.
파일:일본 지방 지도.svg }}}}}}}}}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동아시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뱀섬 · 영도 · 붕어섬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우도(창원)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가우도 · 가거도 · 고이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팔미도 · 해녀도 · 하의도 · 하태도 · 우도(서해 5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두미도 · 추봉도 · 방축도
비단섬1 · 초도 · 가도 · 기린도 · 반성열도 · 봉곳도 · 창린도 · 능라도 · 석도 · 소수압도 · 소초도 · 소화도 · 순위도 · 신미도 · 대계도 · 대수압도 · 대초도 · 대화도 · 두로도 · 황금평 · 황토도 · 마양도 · 마합도 · 양각도 · 양도 · 어화도 · 여도 · 용매도 · 우리도 · 운무도 · 웅도 · 월내도 · 위화도 · 검동도 · 관마도 · 구리도 · 다사도 · 벌등도 · 어적도 · 유초도 · 임도 · 막사도
혼슈1 · #지리 · 규슈 · 시코쿠 · 오키나와섬 · 사도섬 · 아마미오섬 · 쓰시마섬 · 아와지섬 · 야쿠섬 · 다네가섬 · 이리오모테섬 · 이시가키섬 · 리시리섬 · 나카도리섬 · 히라도섬 · 미야코섬 · 쇼도섬 · 오쿠시리섬 · 이키섬 · 야시로섬 · 오키노에라부섬 · 에타섬 · 구라하시섬 · 오사키카미섬 · 하카타섬 · 이즈오섬 · 하시마섬 · 히메섬 · 요나구니섬 · 이츠쿠시마섬 · 오미섬 · 이쿠치섬 · 나오시마섬 · 도시마섬 · 니지마섬 · 미야케섬 · 미쿠라섬 · 고즈섬 · 하치조섬 · 아오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오키 제도 · 토리시마섬 · 미나미토리섬 · 마게섬 · 우니섬 · 레분섬 · 이헤야이제나 제도 · 게라마 제도 · 아구니 제도
하이난섬1 · 홍콩섬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웨량섬 · 창허섬 · 란타우섬 · 샤먼섬 · 구랑위 · 충밍섬 · 핑탄섬 · 마완 · 스프래틀리 군도* · 파라셀 군도 · 완산 군도 · 창산 군도 · 먀오다오 군도 · 저우산 군도
타이완섬1 · 진먼섬 · 란위섬 · 둥사 군도 · 타이핑다오
동남아시아
티모르섬*1 · 아타우루섬
스프래틀리 군도* · 라부안 · 세바틱섬 · 보르네오(칼리만탄)*1 · 피낭섬
깟바섬 · 꼰선섬 · 박롱비섬1 · 푸꾸옥섬 · 혼쩨섬 · 쯔엉사 군도*
싱가포르 섬(폴라우 우종)1 · 센토사섬 · 페드라 브랑카섬
뉴기니섬*1 · 보르네오섬* · 수마트라섬 · 술라웨시섬 · 자바섬 · 티모르섬* · 할마헤라섬 · 스람섬 · 숨바와섬 · 플로레스섬 · 요스 수다르소섬 · 방카섬 · 숨바섬 · 부루섬 · 발리섬 · 니아스섬 · 롬복섬 · 벨리퉁섬 · 마두라섬 · 부톤섬 · 웨타르섬 · 와이게오섬 · 얌데나섬 · 탈리아부섬 · 무나섬 · 오비섬 · 펠렝섬 · 야펜섬 · 모로타이섬 · 바탐섬 · 부톤섬
푸켓1 · 사멧섬 · 따오섬 · 코 타푸 · 사무이섬 · 팡안섬
루손섬1 · 민다나오섬 · 비사야 제도 · 팔라완섬 · 보라카이섬 · 네그로스섬 · 세부섬 · 사마르섬 · 민도로섬 · 레이테섬 · 보홀섬 · 마스바테섬 · 파나이섬 · 술루 제도 · 칼라얀 군도*
남아시아
볼라섬1 · 모헤시칼리섬
실론(스리랑카)섬1
안다만 제도1 · 니코바르 제도 · 스리하리코타 · 노스센티널섬 · 사우스센티널섬
아스톨라섬1
서아시아
바레인섬1
파라산 군도1
아르와드섬1
더 월드 · 야스 섬 · 팜 아일랜드
소코트라섬1 · 페림섬
케슘섬1 · 호르무즈섬 · 아부무사섬
서유럽
아루바 · 퀴라소 · 사바 · 보네르 · 신트외스타티위스 · 세인트마틴섬* · 서프리슬란트 제도1
아일랜드섬*1 · 스켈리그 마이클 · 토리섬
아일랜드섬* · 그레이트브리튼섬1 · 와이트섬 · 몬트세랫 · 버뮤다 · 케이맨 제도 · 포클랜드 제도 · 세인트헬레나 · 어센션섬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스탄다쿠냐 · 앵귈라 · 채널 제도 · 맨섬 · 비숍 록
코르시카섬 · 누벨칼레도니1 · 몽생미셸 · 마르티니크 · 마요트 · 레위니옹 · 왈리스 푸투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케르겔렌 제도 · 과들루프 · 생피에르 미클롱 · 클리퍼턴섬 · 세인트마틴섬* · 생바르텔레미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중부유럽
뤼겐섬1 · 우제돔섬* · 페마른섬 · 쥘트섬 · 푀르섬 · 펠보름섬
우제돔섬* · 볼린섬1
남유럽
크레타섬1 · 에비아섬 · 레스보스섬 · 로도스섬 · 케팔로니아섬 · 키오스섬 · 케르키라섬 · 렘노스섬 · 산토리니섬 · 사모스섬 · 델로스섬 · 낙소스섬 · 자킨토스섬 · 타소스섬 · 안드로스섬 · 레프카다섬 · 카르파토스섬 · 코스섬 · 키티라섬 · 코르푸섬 · 히오스섬
몰타섬1 · 고조섬 · 코미노섬 · 필플라섬 · 마노엘섬 · 세인트 폴섬
마요르카섬1 · 메노르카섬 · 이비사섬 · 포르멘테라섬 · 테네리페섬 · 그란 카나리아섬 · 라팔마섬 · 란사로테섬 · 카브레라섬 · 푸에르테벤투라섬 · 라고메라섬 · 엘이에로섬
시칠리아1 · 사르데냐 · 엘바섬 · 카프리섬 · 토스카나 제도 · 판텔레리아섬 · 펠라지에 제도 · 람페두사섬
키프로스섬*1
크르크섬1 · 코르출라섬 · 브라치섬 · 흐바르섬 · 라브섬 · 파그섬 · 로시니섬 · 우글랸섬 · 치오보섬 · 무르테르섬 · 비스섬 · 츠레스섬 · 비르섬 · 파슈만섬 · 솔타섬 · 두기오토크섬 · 믈레트섬 · 라스토보섬 · 이주섬 · 시판섬 · 프리비크섬 · 실바섬 · 즐라린섬
괵체아다섬1 · 뷔위카다섬
아조레스 제도1 · 마데이라 제도
동유럽
쿤진살라섬1 · 킵살라섬
사할린섬1 · 쿠릴 열도 · 노바야제믈랴 · 브란겔랴섬 · 유즈니섬 · 모네론섬 · 코틀린섬 · 고글란트섬 · 다이오메드 제도* · 루스키섬 · 벨콥스키섬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콜구예프 섬
키아울레스 누가나섬1 · 루스네섬
사레마섬1 · 무후섬 · 보름시섬 · 히우마섬 · 루흐누섬
즈미이니섬
북유럽
스발바르 제도1 · 트롬쇠위아섬 · 우튀위아섬 · 얀마옌섬
그린란드섬1 · 셸란섬 · 벤쉬셀티섬 · 퓐섬 · 롤란섬 · 보른홀름섬 · 팔스테르섬 · 모르스섬 · 알스섬 · 랑엘란섬 · 묀섬
고틀란드섬1 · 오루스트섬 · 히싱엔섬 · 베름되섬 · 쇠른섬 · 욀란드섬
아이슬란드섬1
파스타 올란드*1
북아메리카
히스파니올라섬*1
티뷰론섬1
하와이 제도1 · 푸에르토 리코 · · · 알류샨 열도 · 마리아나 제도 · 다이오메드 제도* · 아메리칸 사모아 · 라인 제도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맨해튼 · 롱아일랜드 · 염소 섬
히스파니올라섬*1 · 토르투가섬
자메이카섬1
멜빌섬 · 빅토리아섬 · 데번섬 · 엘즈미어섬 · 배서스트섬 · 콘월리스섬 · 배핀섬1 · 뉴펀들랜드섬 · 뱅크스섬 · 밴쿠버 섬 · 액슬하이버그 섬
쿠바섬1 · 카요라르고델수르섬 · 후벤투드섬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1
마라조섬1 · 케이마다 그란지섬
로스에스타도스섬 · 티에라델푸에고*1
갈라파고스 제도1
티에라델푸에고*1 · 이스터섬 · 디에고 라미레스 제도 · 후안페르난데스 제도 · 칠로에섬
아프리카
쿤타 킨테섬
로벤섬 · 프린스 에드워드 제도1
마다가스카르섬1 · 노지베섬 · 생트마리섬 · 주앙데노바섬
모리셔스섬1 · 로드리게스섬
상투메섬 · 프린시페섬
마에섬
비오코섬1 · 코리스코섬 · 엘로베이그란데섬 · 엘로베이치코섬 · 안노본섬
산티아구섬
잔지바르1 · 펨바섬 · 우케레웨섬
제르바섬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남섬· 북섬)1 · 쿡 제도 · 니우에 · 토켈라우 · 채텀 제도 · 뉴질랜드 남극 연안 섬
통가타푸섬1 · 에우아섬 · 하파이 제도 · 바바우 제도 · 니우아섬
푸나푸티섬 · 나누메아섬 · 누이섬 · 누쿠페타우섬 · 누쿨라엘라에섬 · 바이투푸섬1 · 나누망가섬 · 니울라키타섬 · 니우타오섬
뉴기니섬*1 · 뉴브리튼섬 · 뉴아일랜드섬 · 부건빌섬 · 비스마르크 제도 · 애드미럴티 제도 · 당트르카스토 제도
비티 레부섬1 · 바누아 레부섬 · 로투마섬
캥거루섬 · 태즈메이니아섬1 · 멜빌섬 · 배서스트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섬 · 허드 맥도널드 제도
남극
킹 조지섬 · 페테르 1세섬 · 조인빌섬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1 · 부베섬
}}}}}}}}} ||
<colbgcolor=#363><colcolor=#fff> 홋카이도
北海道 | Hokkaido
파일:홋카이도 위성사진.jp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행정구역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홋카이도 지방 지도.svg
}}}}}}}}}
위치 동아시아 동부 / 일본 열도 북동부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면적 77,983.90km²
해안선 2,676km
최고해발 2,291m(아사히다케[26])
인구 5,118,082명
인구밀도 61.4명/km²
최대도시 삿포로시

도도부현으로서 행정구역상의 홋카이도 면적은 5,036.14㎢의 영유권을 주장중인 러시아 연방 쿠릴 열도 섬까지 포함하여 83,423.84㎢이며, 홋카이도 본섬 자체는 77,983.90㎢으로서, 혼슈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로 넓은 섬이다. 홋카이도는 생각보다 면적이 상당히 넓은 섬으로, 남한 영토 면적(100,431.8㎢)의 약 80%에 달하고[27], 바로 북쪽에 있는 사할린 섬보다도 넓으며, 국가 중에서는 체코, 세르비아, 파나마와 면적이 비슷하다. 세계에서 21번째로 넓은 섬으로 타이완 섬의 두 배, 스리랑카보다도 넓어 세계적 기준으로도 꽤 큰 편에 속한다. 47개 도도부현 중에서도 가장 면적[28]이 넓다.

이 때문에 홋카이도 여행 시 주의할 점 중 하나가 "생각보다 크다"라는 점인데, 같은 홋카이도인 삿포로시에서 왓카나이시까지의 거리는 편도로 5시간 이상 걸릴 정도다.[29] 실제 이 점을 파악하지 못해서 홋카이도 여행자들이 이동 시간이 계획보다 길어지는 일을 자주 겪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 때문인지 JR 홋카이도에서는 아예 홋카이도가 얼마나 넓은지 체감시켜주기 위해 홋카이도 영토와 다른 지역들을 비교해보는 사이트를 만들어놓을 정도였다. 일본 내에서는 데카이(크다)도라는 별명도 있다.
파일:홋카이도vs대한민국.png
홋카이도를 한반도 남부로 옮겨왔을 때의 면적 비교.

하지만 인구는 일본 전체 4% 정도밖에 안 되는 약 520만 명에 불과해, 인구밀도가 낮다. 중심도시 삿포로와 근교 지역은 홋카이도 인구의 상당수가 집중되어 있다 보니 상당히 북적거리지만, 그 외의 지역은 도시조차도 일본 내 다른 지방이나 대한민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산하다. 면적은 대한민국의 80%에 육박하는데 반해 인구는 대한민국의 10분의 1 정도이다.[30]

지형은 대규모의 산지, 화산, 평야가 펼쳐져 있다. 낙농업이 발달했고 기계 농업이 대부분이다. 일본 해구를 마주보는 동부를 제외한 홋카이도 대부분은 일본 내에선 그나마 지진의 영향을 덜 받는다.

홋카이도가 다른 일본 열도의 지역에 비해 지진 피해가 적은 이유는 홋카이도 내에 M7급 이상의 대지진을 일으킬 만한 내륙단층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31] 따라서 홋카이도 해안가 도시들은 해저지진으로 인한 쓰나미 피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내륙에는 고베 대지진(1995)이나 구마모토 지진(2016)과 같은 단층형 직하지진의 위험은 위에서 상기한 몇몇 지역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더군다나 대다수의 인구가 동해와 접해 있어 쓰나미 위협도 덜한 편. 이러한 연유로 삿포로는 후쿠오카, 히로시마와 더불어 일본 주요 대도시 중 가장 지진에서 안전한 도시로 정평이 났다.[32] 또한 홋카이도 서부에 한정하면 지진 다발지대인 일본 해구에서 멀찍이 떨어진 덕에 유감지진도 적다.

하지만 이곳 역시 타국과 비교해 보자면 많다.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은 수백명의 부상자를 야기했고, 2018년 홋카이도 지진으로 수십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홋카이도 서부지역도 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으로 쓰나미 피해를 입는 등, 올때는 오는 편이다.

추가로, 화산 활동도 현재진행형이다. 홋카이도 곳곳에 활화산이 포진해 있으며, 제법 많은 화산들이 지금도 쉬지않고 활동중이다. 도남 지역만 해도 하코다테 동쪽 끝에 있는 에산(恵山)이 있고, 도오 지방에는 온천으로 유명한 노보리베츠가 24시간 유황가스를 뿜어내고 있으며, 심지어 토야호 인근의 우스잔은 2000년도의 분화로 16,000여명이 대피하고 화산 근처 마을을 초토화시켰다. 도북에는 다이세츠잔 국립공원에 위치한 아사히다케와 토카치다케가 쉬지않고 연기를 뿜어내고 있고, 도동의 시레토코, 이오잔(유황산), 마슈호도 매우 유명한 화산지대이다.

파일:Hokkaido-agriculture.png
일본 전 국토를 통틀어 유일하게 식량 자급이 가능한 지역이라고 한다. 일본 식량자급률을 계산할 때 홋카이도를 빼고 계산하면 퍼센티지가 반토막날 정도이며[33], 반대로 홋카이도 내의 식량 자급률은 평균 약 200%라고 한다. 이는 넓은 면적에 비해 인구가 적기 때문이다.

한국을 기준으로 했을때 북쪽으로도, 동쪽으로도 굉장히 먼 거리[34]에 있음에도 같은 시간대를 쓰기에[35] 일출, 일몰 시간이 크게 차이난다. 하지 무렵에는 3시만 지나도 하늘이 밝아져 오고, 동지 무렵에는 16시 쯤부터 해가 지니 한국에서의 시간 감각과는 큰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보다 한 시간 정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면 알차게 하루를 보낼 수 있다.

삿포로는 바둑판식 계획도시라 반듯한 도로와 직사각형 블럭 구조가 특징이다. 삿포로뿐만 아니라 아사히카와, 치토세, 토마코마이, 키타미 등 홋카이도의 다른 도시들도 위에서 보면 네모반듯한 바둑판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근대에 개발된 홋카이도 도시들의 특징이다.

이렇게 추운 환경인 탓에 살고 있는 동물들의 경우 본토와 다르며 시베리아나 사할린에 사는 종과 유사한 경우가 많은데 드넓은 평원과 높은 산맥, 타이가에 가까운 산림지역으로 우거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5. 기후

홋카이도의 겨울 영상
겨울이 되면 오호츠크해의 습기를 머금은 해풍이 부는 까닭에, 눈이 많이 내린다. 홋카이도는 냉대 습윤 기후가 나타나며[36], 다이세츠잔 국립공원과 같이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 지역은 고산기후가 나타난다. 야마가타, 니가타 등 도호쿠, 호쿠리쿠 지역과 함께 일본 최대 다설지 중 한 곳.[37] 홋카이도는 니가타와 함께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세계 최대 다설지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런 이유로 일본에서 반팔을 입을 수 있는 시기가 가장 짧은 동네이기도 하다.[38]

홋카이도는 일본의 각종 매체에서는 매우 추운 지방이라는 이미지로 등장하고, 실제로 대부분의 지역이 냉대기후(Dfa, Dfb, Dfc)에 속하긴 하지만, 모든 지역이 그런 인식만큼 추운 것은 아니다. 춥다는 건 겨울에도 영하로 잘 떨어지지 않는 일본 기준에서 춥다는 것이지[39], 한반도의 중부 지방도 냉대기후인 곳이 있는 만큼 칼바람 추위에 익숙한 한국 중부지방 사람에게는 그렇게 춥게 느껴질 정도는 아니고, 홋카이도 겨울 관광도 추위로 크게 고생하는 일은 잘 없다.

인구의 절반 정도가 몰려있는 삿포로시 근방은 그렇게 추운 편은 아니다. 서울에 비해 겨울 기후가 길게 이어지고 일교차가 작기 때문에 최고 기온이 서울에 비해 꽤 낮아서 체감 온도는 제법 낮지만 최저 기온은 오히려 서울이 더 낮은 날이 많기도 하다. 1월 평균기온은 삿포로가 -3.2°C로 -2.0°C인 서울보다 1°C가량 낮다.[40][41] 그 넓은 한강도 얼지 않는 해가 드문데, 삿포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소세이강(創成川)은 개천 수준의 폭인데도 불구하고 한겨울에도 얼지 않는다. 즉, 체감상 여름에는 서울보다 시원하고, 겨울에는 서울과 비슷한 기후이다.[42] 겨울철 습도가 높긴 하나 칼바람이 불지 않는데다 일교차도 크지 않기 때문이다. 단지 겨울 강수량이 많아 눈이 많이 올 뿐이다. 다만 대체로 그렇다는 것이지 칼바람이 아예 없다는 건 아니므로 여행 계획이 있다면 날씨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눈이 매우 많이, 자주 오는 곳답게 겨울철 일조량이 굉장히 낮고 해가 없는 날이 많다. 특히 12월 삿포로의 한 달 평균 일조시간은 82시간으로, 1개월 중 9분의 1가량의 시간동안만 해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알려지지 않지만 오로라도 가끔 볼수 있는 곳이기도 한다. 사진

남부의 에리모(襟裳), 우라카와(浦河)나 슷츠(寿都), 무로란(室蘭)같은 곳들은 훨씬 온화해 서안 해양성 기후(Cfb)를 띤다. 강수량과 상대습도가 여름에 가장 높은 것이 특징이다.

내륙이나 동안으로 가면 온도가 많이 내려간다. 일본의 도시 중 연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아사히카와(1월 평균기온 -7.0℃)는 평창의 대관령(-6.9°C)이나 철원군 김화읍(-7.4°C)과 비슷하다. 1902년에는 최저 영하 41도까지 기록되었다. 북부 태평양을 접하는 쿠시로시 또한 1월 평균기온 -4.8℃로 제천시 태백시 수준으로 상당히 춥다. 일본에서 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리쿠베츠(陸別)의 1월 평균기온은 -11.1℃로 남한의 그 어느 곳보다도 더 춥고 북한의 혹한지 강계와 비슷한 수준으로 -30°C 수준의 추위가 오기도 한다. 다이세츠잔 국립공원의 경우 2천m대의 해발고도까지 더해져 2월에도 따뜻한 낮이 영하 5도, 추운 아침은 영하 20도까지 내려간다. 그러나 당연히 추운 만큼 이런 지역의 인구는 많지 않아 아사히카와를 제외하면 존재감이 크지 않다. 그나마 아사히카와가 30만, 오비히로, 키타미가 10만을 넘는 인구로 지방도시로는 작지는 않다고 해도 200만에 가까운 삿포로에 비하면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없다.

2020년 12월 31일 북극한파로 인해 홋카이도 일부 내륙 지역이 영하 30도 이하로 내려갔다. 슈마리나이호(朱鞠内) -31.5도, 에탄베츠(江丹別) -31.4도, 왓사무(和寒) -30.7도, 호로누카(幌糠) -30.5도를 기록하는 등 5개 지역에서 기온이 영하 30도 이하로 떨어졌다. 홋카이도에서 12월에 영하 30도 이하를 기록한 것은 2002년 이후 처음이었다. 이처럼 홋카이도 내륙은 매우 강한 한파가 몰아칠 때는 최저 영하 30도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여기에 눈과 흐린 날씨, 칼바람까지 겹쳐 체감기온은 훨씬 더 낮아진다.

서안의 동해를 접하는 도시들은 추위가 덜한 대신 높은 습도와 낮은 일교차를 보인다. 왓카나이, 루모이 등은 연중 일교차가 5~6도 선에 머물며 겨울에는 2~3도에 불과할 때도 잦다. 한낮에도 아침보다 따뜻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거기에 동해에서 불어치는 눈과 바람이 더해져 체감상의 추위는 상상 이상이다.

대체로 겨울에는 한국의 삼한사온 같이 들쑥날쑥한 날씨가 나타나기보다는 늘상 비슷한 기온을 기록하는 편이다. 동해와 오호츠크해의 영향을 받아 일교차도 크지 않다. 즉 겨울 내내 추운 지역은 영하 15~영하 5도 사이, 보다 따뜻한 지역은 영하 10~0도 사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날씨이다.

일본에서 기온이 가장 낮은 선선한 지역이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예전보다 여름에 더운 날이 많아졌다고 한다.[43] 일본 최북단인 왓카나이시조차 30도를 훌쩍 넘어가는 날이 많아지는 등 이제는 홋카이도도 혹서기 더위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한 편. 게다가 원래 서늘한 편이었던 탓에 냉방 설비가 여타 지역에 비해 좀 부실해서[44] '여름에도 시원한 홋카이도'라는 옛 인상을 그대로 품고 여름에 홋카이도를 찾았다가 당황했다는 여행담도 종종 들린다. 또한 예전에는 없던 바퀴벌레 파리 같은 해충까지 늘어나 방제업체의 새로운 시장이 되어주고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성인이 될 때까지 바퀴벌레 구경도 못 해본 홋카이도인이 태반이라서 다른 따뜻한 도시에 갔다가 바퀴벌레를 보고는 신기해서 맨손으로 잡아 구경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2020년대에는 겨울철 이상고온이 계속돼, 통칭 유키무시(雪虫)라고 불리우는 작은 벌레가 기승을 부렸다. 이 때문에 외출했다가 건물 안으로 들어간 사람들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외투, 머리 등에 달라 붙은 벌레를 털어내는 일이었다. 벌레를 막기 위해 우산을 쓰거나, 입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마스크는 필수였다.

일본에서 유일하게 야광운이 관측되는 지역이다. 오직 홋카이도 북부에서만 관측된다고 한다.

2018년 8월 17일 새벽, 홋카이도에서 1974년 기상 관측이 시작된 후 가장 빠른 첫눈이 내렸다. 관련 기사

6.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홋카이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정치

7.1. 국회의원

홋카이도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홋카이도 선거구
2025년 개선 2028년 개선
다카하시 하루미 가쓰베 겐지 이와모토 쓰요히토 하세가와 가쿠 도쿠나가 에리 후나하시 도시미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구 2구 3구 4구 5구
미치시타 다이키 마쓰키 겐코 아라이 유타카 오쓰키 구레하 이케다 마키
6구 7구 8구 9구 10구
아즈마 구니요시 스즈키 다카코 오사카 세이지 야마오카 다쓰마루 가미야 히로시
11구 12구
이시카와 가오리 다케베 아라타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시노다 나오코 이토 요시타카 니시카와 마사히토 나카무라 히로유키 사토 히데미치
비례 6 비례 7 비례 8
가와하라다 에이세이 무코야마 준 우스키 히데타케
[🗺️중원선 선거구 지도 보기]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파일:일본국 정부기.svg 홋카이도의 국회의원
파일:Sangiin_logo.png 참의원
선거구 정당 의원명
홋카이도 선거구 2025년 개선


다카하시 하루미

가쓰베 겐지


이와모토 쓰요히토
2028년 개선


하세가와 가쿠

도쿠나가 에리


후나하시 도시미쓰
파일:shuugiin_logo.png 중의원
선거구 정당 의원명
홋카이도 제1구
미치시타 다이키
홋카이도 제2구
마쓰키 겐코
홋카이도 제3구
아라이 유타카
홋카이도 제4구
오쓰키 구레하
홋카이도 제5구
이케다 마키
홋카이도 제6구

아즈마 구니요시
홋카이도 제7구

스즈키 다카코
홋카이도 제8구
오사카 세이지
홋카이도 제9구
야마오카 다쓰마루
홋카이도 제10구
가미야 히로시
홋카이도 제11구
이시카와 카오리
홋카이도 제12구

다카베 아라타

한때는 사회당의 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었다. 20세기 당시 일본에서 자민당 지지세가 비교적 약한 대도시 지역 선거구는 사회당 우세인 곳도 간혹 있었지만 낙후되거나 도농복합적인 성격이 강한 지역에선 자민당이 압세를 보였는데 특이한 부분. 홋카이도는 사회당의 지지세가 꽤 확고하게 유지되는 지역 중 하나였는데 이는 1960년대 중후반 공명당, 민사당, 공산당, 신자유클럽이 사회당 지지층을 잠식하는 와중에도 사회당이 자민당과 비등한 세력을 유지한 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45]

그러다 1990년대 중선거구제에서 소선거구제로 선거제도가 재편된 뒤부턴 사회당이 사민당으로 재편되고 이때 사민당을 탈당한 당원들이 대거 민주당으로 쏠리면서 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해졌는데, 자민당이 승리한 2005년 중의원 선거에서도 홋카이도만은 민주당이 우세였을 정도. 허나 정작 민주당에 세를 뺏겨버린 공산당 사민당은 참의원 정수를 8명에서 4명으로 감축한 이후부턴 홋카이도 선거구에서 의석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2010년대 들어서부턴 민주당 세가 약해지면서 자민당이 치고 올라와 2012년 중의원 선거에서 뒤집어졌고, 2013년 참의원 선거에서도 자민당과 민주당이 1:1로 갈라먹었다. 다만 참의원 선거는 애초 1995년 정수가 8명에서 4명으로 감축된 뒤부턴 쭉 자민당과 민주당(95년 당시 신진당)이 갈라먹고 있는 상태였다. 2014년 중의원 선거에선 총 20개 의석 중 무려 지역구 8석, 비례대표 4석 총 12석을 자민당이 가져가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참의원 선거에선 민주당의 후신인 민진당이 다시 2석을 확보했다.

2017년 중의원 선거에선 야권분열로 민진당을 뛰쳐나온 입헌민주당이 선전해 자민당과 비슷한 비례득표율을 보이며 정당 의석으론 각각 3석씩을 챙겼다. 지역구 의석수는 자민6, 입민4, 공명1,[46] 민진계 무소속 1석이었으나, 이후 무소속 의원이 입헌민주당에 입당하면서 자민6, 입민5, 공명1이 되었다.

2019년 통일지방선거에선 무려 16년 동안 도지사를 역임한 다카하시 하루미 도지사가 일본 참의원 선거 출마 의향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도지사를 뽑게 되었다. 홋카이도는 통일지선 광역(도도부현)지자체장 선거 유일의 여vs야 구도가 조성되어 관심을 끌었다. 자민/공명/신당대지에서는 전 유바리시 시장 스즈키 나오미치(鈴木直道)를 추천했으며, 입민/국민/자유/공산/사민당은 전 홋카이도 제11구 중의원 이시카와 도모히로(石川 知裕)를 추천했다. 선거 결과 스즈키 나오미치가 당선되었다. 그는 당선소감에서 유바리시의 재정난 속에서 지역 재생과 재정 재건을 양립시킨 경험을 살려,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JR 홋카이도의 재정 관련 사안에 대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이번 도지사 선거 투표율은 58.34%를 기록하며 최저치를 갱신했다.

같이 치러진 정수 100명의 도의원 선거에는 134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선거 결과 자민당이 51석, 입헌민주당이 24석, 공명당이 8석, 공산당이 3석을 확보했으며, 무소속 후보 14명이 당선되었다. 국민민주당과 일본유신회는 의석을 얻지 못했다. 이전의 30기 의회와 비교해 봤을 때 자민당 1석 증가, 입헌민주당 2석 증가, 공명당 동수, 공산당 1석 감소, 무소속 1석 증가로 큰 변동은 없었으나, 자민당은 36년만에 도의회에서 단독으로 과반 의석수를 확보했다.[47] 한편, 공산당은 대표질문에 필요한 의석 4석을 확보하지 못해 연립회파를 구성하지 않는 이상 대표질문권을 잃게 되었다. 특기할만한 사안으론 일본에서 첫 트렌스젠더 광역의원이 탄생하였다. #

2019년 참의원 선거에서도 여전히 민주당 시절부터 지지해온 것들이 드러나며 입헌민주당이 1석을 가져갔고, 장기적으로는 입헌민주당이 다시 해볼만한 상황이 됐다.

2024년 중의원 선거에서 입헌민주당이 12석 중 9석을 가져가며 다시 확실한 우세를 보였다. 자민당이 당선된 나머지 지역에서도 모든 입헌민주당 후보들의 석패율 비례 부활을 성공시키면서, 향후 민주당계 텃밭화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삿포로 하코다테 도시권에서는 전부 승리하였고, 아사히카와가 중심인 6구와 북방 지역을 관할하는 7구 12구만 넘어갔다. 그것도 6구는 정당보단 인물론에서 갈린 탓이 커서 후보만 제대로 냈더라도 입헌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을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48]

7.2. 지역 정당

홋카이도에는 지역정당이 있는데, 바로 신당대지 아이누 민족당이다. 사실 아이누 민족당의 경우 아이누 '민족'을 대변하는 정당이라 엄밀히 말해 '지역' 정당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아이누 인구가 많은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만 둘 다 당세가 크지 않은 군소정당이다.

7.3. 도의회

파일:홋카이도 도기.svg
홋카이도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여당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도민회의
54석
]]
[[공명당|공명당
8석
]]
야당
[[입헌민주당(2020년)|민주・도민연합
26석
]]
[[무소속|홋카이도 결지회
9석
]]
[[일본공산당|일본 공산당
2석
]]
[[일본 유신회(2016년)|유신・대지
1석
]]
※ '자민당・도민회의'는 자유민주당으로 구성된 회파이다.
※ '민주・도민연합'은 입헌민주당 25 + 무소속 1으로 구성된 회파이다.
}}}}}}}}}}}}
  • 도의회 건물은 도청 블록 남서쪽에 있다.
  • 정당 소속 의원의 정당과 회파는 일치힌다. 무소속 의원 14명은 9명이 결지회, 2명이 자민당・도민회의, 3명이 민주・도민연합에 소속되어 있다.
제31기 홋카이도의회
(2023년 4월 30일 ~ 2027년 4월 29일)
의장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무라타 노리토시(村田憲俊) | 부의장 : [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다카하시 도루 (高橋亨)
자민당・도민회의 - 53석 (53%)
민주・도민연합 - 26석 (26%)
홋카이도 결지회[49] - 9석 (9%)
공명당 - 8석 (8%)
일본 공산당 - 2석 (2%)
유신・대지 - 1석 (1%)
공석 - 1석 (1%)
정수 : 100명

8. 사회

8.1. 언어

일본어를 배우는 유학생에게 있어서 자신이 배운 말이 알아듣기 쉽고, 전국 어디에서도 통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삿포로는 표준어화가 진행되어 홋카이도 특유의 방언이나 엑센트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지방도시이면서 표준어에 가까운 일본어를 배울 수 있는 것도 삿포로 유학의 큰 장점입니다.
- 삿포로 시청, 표준어에 가까운 일본어
홋카이도 방언이 존재한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도호쿠벤의 영향을 받은 면이 드러난다. 홋카이도는 굉장히 넓기 때문에 지역차가 존재하지만, めっちゃ→なまら (엄청) 등 홋카이도 전역에서 통용되는 단어들도 있다. 이 링크(3분40초 부터)에서 확인 가능하다.

오시마 반도 남부를 제외한 홋카이도는 19세기 후반부터 계획적인 이주 정책으로 인해 타 지역 사람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곳이다. 따라서 사투리와 같은 언어적 변형이 생길 여지가 적었고[50], 삿포로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그 경향이 더 강해서 현재에는 언어상 간토 등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근대 이전에는 아이누족이 살던 곳이었기 때문에 아이누어가 사용되었지만 일본의 홋카이도 개척 이후 아이누들도 일본어를 모어로 쓰게 되었다. 현재는 현존하는 화자들도 모어는 일본어이고, 아이누어는 제2언어로 쓰는 상황으로 그나마 아이누 민족단체의 노력으로 일부 소학교에서 교육이 이뤄지는 수준에 불과하다. 다만 홋카이도의 지명 중 상당수가 아이누어의 토착 지명을 음차해서 한자를 끼워 맞추는 형식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지명의 경우는 아이누어가 기원인 곳이 많다. 윌타어, 니브흐어, 오로치어 등의 다른 소수민족들의 언어도 쓰였지만, 거의 소멸되었다.

또한 일본 최북단이자 홋카이도 최북단에 위치한 왓카나이의 경우, 러시아 사할린 섬에서 50km 정도밖에 안 떨어져 있기에 러시아어 병기된 표지판도 있다. 다만 러시아어가 일상에서 쓰이는 것은 아니다.[51]

8.2.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홋카이도/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3. 교육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국립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홋카이도대학 오타루상과대학 오비히로축산대학 키타미공업대학
무로란공업대학 홋카이도교육대학 아사히카와의과대학
※ 둘러보기: 일본의 국립대학
}}}}}}}}}||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공립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쿠시로공립대학 나요로시립대학 공립치토세과학기술대학
삿포로시립대학 삿포로의과대학 공립하코다테미래대학
※ 둘러보기: 일본의 공립대학
}}}}}}}}}||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사립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 도쿄이과대학 오샤만베캠퍼스 도쿄농업대학 오호츠크캠퍼스 홋카이가쿠엔대학 치토세과학기술대학
하코다테대학 니혼의료대학 홋카이도정보대학 호쿠세이가쿠엔대학
후지여자대학 삿포로국제대학 홋카이도과학대학 삿포로보건의료대학
삿포로대학 홋카이상과대학 홋카이도의료대학 토마코마이코마자와대학
호쿠쇼대학 아사히카와대학 홋카이도분쿄대학 왓카나이호쿠세이가쿠엔대학
도카이대학 삿포로캠퍼스 라쿠노가쿠엔대학 삿포로가쿠인대학 일본적십자홋카이도간호대학
텐시대학 세이사도토대학 삿포로오타니대학 홋카이도치토세리허빌리테이션대학
※ 둘러보기: 일본의 사립 대학
}}}}}}}}}||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단기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사히카와대학 단기대학부 오비히로오타니단기대학 쿠시로단기대학
코엔가쿠엔여자단기대학 고쿠가쿠인대학 홋카이도단기대학부 삿포로오타니대학 단기대학부
삿포로국제대학 단기대학부 삿포로대학 여자단기대학부 타쿠쇼쿠대학 홋카이도단기대학부
하코다테오타니대학 단기대학부 하코다테단기대학 호쿠쇼대학 단기대학부
호쿠세이가쿠엔대학 단기대학부 홋카이도의과대학 단기대학부 홋카이도무사시여자단기대학
러시아 극동연방종합대학 하코다테교
※ 둘러보기: 일본의 단기대학
}}}}}}}}}||
  • 구 제국대학이자 명문 국립대학 중 하나인 홋카이도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홋카이도대학 삿포로 캠퍼스의 경우 그 광대한 면적과 아름다운 환경이 유명한 곳이며, 제국대학이었기에 역사적·학술적으로도 유서 깊은 시설이 다수 존재하는 곳이다.

9.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홋카이도/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홋카이도/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f304e>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오(道央) 지방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청
}}}
도난(道南) 지방
오시마 종합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히야마 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도호쿠(道北) 지방
{{{#!wiki style="margin: -16px -11px" 루모이 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소야 종합진흥국
(▶ 하위 행정구역)
}}}
도토(道東) 지방
* 이부리와 히다카는 도난 지방으로 분류되거나 아예 닛탄(日胆) 지방으로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틀에서는 일본 정부의 지방공공단체 정보 시스템 기구의 전국 자치단체 지도 검색 분류에 따른다. }}}}}}}}}


하위 행정구역으로 14개의 지청(支庁)이 있었으나, 어디까지나 행정상 편의를 위한 기구인지라 주소 표기시에는 생략된다. 이는 2010년 4월 1일 진흥국(振興局)으로 개정되었는데 이것 또한 마찬가지다. 한국어 표현으로 치면 출장소가 연상되는 명칭이지만, 자치 권한을 보면 캐나다 준주 개념과 더 유사하다.

다른 섬들과 달리 유일하게 크기가 작은 최상위 행정구역인 현(県)을 두고 있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 1882년부터 잠시 3개의 현으로 나뉘어 관리되었던 역사는 있다. 다만 단 4년뿐이라 일본인들조차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흔치 않다. 하코다테현, 삿포로현, 네무로현으로 나누었지만 인구가 너무 적고 개척이 지지부진해 도로 통합되었다. 또한 1871년부터 1년간 본토 아오모리현에 섬 일부가 편입된 적도 있었다. 1897년에 지청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홋카이도 도의회의 자민당 소속 의원들이 다시 홋카이도를 4개 또는 6개의 현으로 나누자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 애초에 홋카이도가 다른 섬들과 달리 현(県)이 아닌 도(道)이고, 하위 행정구역도 다른 섬들과 달리 지청(現 진흥국)인 것도 당시에는 홋카이도의 주류민족인 아이누족이 규슈, 시코쿠, 혼슈의 주류민족인 야마토 민족과 동질성이 낮은 데다, 북방정책에 따라 개발된 지 얼마 안된 시점이었기에 홋카이도만 특별관리할 목적으로 다른 섬들과 다른 행정구역으로 적용한 것이다. 일본 제국 시절 일본의 영토였던 북부의 가라후토청(현재는 러시아에 넘어간 사할린 섬)도 홋카이도와 비슷하게 4개의 지청이었고, 태평양의 남양 군도(패전 후 미국과 여러 국가로 독립) 또한 6개의 지청이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일본국을 거치면서 홋카이도 주민들과 아이누 역시 이젠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이 강하기에 혼슈, 시코쿠, 큐슈와 마찬가지로 홋카이도도 현으로 환원하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홋카이도의 인구 감소 추세에 역행하고 비삿포로 지역 소외가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많으며[52] 현지사 및 공무원 자릿수만 늘리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있다. 결국 2016년 제시된 위의 분현 계획은 모두 파탄되었고, 후속 계획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1.1. 지방과 진흥국

파일:홋카이도 지역구분 및 진흥국.svg
진흥국 구분도, 네무로 진흥국쪽에 현재 일본이 러시아에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4개의 섬[53]이 보인다.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일본은 이 네 섬이 일본령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일본이 그린 홋카이도 지도를 보면 이 네 섬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파일:external/mujina.sakura.ne.jp/20100401.gif
홋카이도 전체 행정구역. 연한 빨강은 구, 노란색은 시, 연두색은 정, 하늘색은 촌을 나타냄.

2010년 4월 1일부터 기존에 설치된 지청 대신 진흥국으로 대체하면서 일부 마을의 관할 지역이 바뀌었다. 다음은 진흥국 이름 뒤에 붙는 지명은 진흥국 소재지이다.

진흥국들의 면적은 매우 넓어서 타 지역의 현에 거의 필적한다. 특히 진흥국 중 면적이 넓은 토카치 종합진흥국,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카미카와 종합진흥국은 면적이 10,000km2 이상으로 일본 타 현 면적 순위로 쳐도 10위권 안에 든다. 대략 아오모리현~ 기후현 급의 사이즈이다.

12. 관련 기업

13. 출신 인물

13.1. 실존 인물

13.2. 가상 인물

14. 기타

  • 곳곳에 소규모로 조선계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지만, 민단보다는 조총련계가 압도적 우위. 이들은 자신들이 사는 땅을 혹가이도라고 부른다. 관련 다큐멘터리 영화로 2004년부터 촬영하여, 2007년에 개봉한 우리 학교가 있다.
  • 홋카이도가 일본 본토 기준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독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인 문화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99] 홋카이도는 19세기 메이지 시대가 되어서야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된 지역이라, 이주민들이 많아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프런티어 기질이 강하다고 평가받는다. 그러한 성향과 함께 홋카이도는 오키나와 지역과 마찬가지로 일본 내에서도 가장 이국적이고 개성이 강한 곳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 2023년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방문했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 관광객을 포함한 해외 관광객들이 겨울 명소인 비에이초에 몰림에 따라 비매너 관광객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한다. # 관광 명소로 알려진 곳들이 대부분 사유지이기 때문에 도로에서의 사진 촬영은 금지하며, 농지 위에서의 눈 놀이는 금지다.
  • 일본 기준으로는 매우 광대하면서도 인구는 적은 인구 희박 지역으로 유명하지만, 바로 북쪽에 접한 사할린보다는 인구가 훨씬 많다. 사할린은 면적은 홋카이도와 비슷하지만 인구는 50만 명 안팎으로 홋카이도의 1/10 수준이다.

15. 둘러보기

홋카이도 지방 北海道 地方
홋카이도
北海道
북방영토
北方領土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상세 정보 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_ 일본__ 홋카이도_를, _ 러시아__ 쿠릴 열도_의 남부인 _ 북방영토_를 실효 지배 중이다.
* _ 북방영토_는 현재 _ 일본__ 러시아_를 상대로 _ 영유권을 주장_중인 지역이다.
파일:홋카이도 지방 지도.svg
}}}}}}}}}


[1] JR 삿포로역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다. 여기서 남쪽으로 더 내려가면 오도리공원. 참고로 구 청사는 그대로 놔둔 채 같은 부지에 현재의 청사를 지었다. [2] 군은 74개. 이 외에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북방영토에 5군 6촌이 명목상으로 존재한다. [3]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중인 쿠릴 열도 남부 4개 도서를 포함할 시 83,424㎢ [4] 2024년 3월 31일 기준 주민기본대장 [5] 2022년 기준 내각부 확정치 [6] 도쿄도의 도(都, と)와는 다르다. 도 자체는 현보다 오래 된 행정구역의 구분 개념으로, 과거에는 고키시치도(오기칠도)로 호쿠리쿠도(北陸道), 도카이도(東海道), 도산도(東山道), 산요도(山陽道), 산인도(山陰道), 사이카이도(西海道), 난카이도(南海道) 등 7개의 도가 존재했다. 홋카이도는 메이지 시대에 와서야 정식으로 도로 편입되었다. [7] 하나의 ''으로서의 홋카이도와 일본의 한 '행정구역'으로서의 홋카이도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현대 일본에서 '도민(道民)'으로 지칭한다면, 홋카이도에 거주하는 사람일 것이다. [8] 그래도 도도부현 전체에서 9위이다. [9] 보도 기사 참고. 1,700개가 넘는 일본의 시정촌 순으로 보아도, 하코다테시가 1위, 삿포로시가 2위, 오타루가 4위, 후라노가 9위를 차지하는 등, 10위권 내에만 홋카이도의 도시 4곳이 랭크되었다. [10] 지역 만족도와도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다. [11] ( 칠각성) 모양이다. 개척의 칠광성이라고 하며, 메이지 시대에 있었던 홋카이도 개척사 문장의 북극성에서 따온 것이다. [12] 한국 한자음 [13] '도'를 쓰는 또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도쿄도가 있지만 한자가 도(都)로 다르다. 역사도 폐번치현과는 관련없이 1943년에 도쿄를 위해 만든 행정구역 단위다. [14] 일본 현지나 타국에서도 마찬가지. [15] 보통 홋카이도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쿠릴 열도, 사할린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16] 작게 쓰는 リ(ㇼ)는 일본어에서 안 쓰이는 확장 가나이므로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경우를 위해 HTML 태그를 사용해 일반적인 リ를 작게 보이게 했다. [17] 이 이름을 일본어의 외래어로서 표기할 때는 모든 글자를 크게 쓴 アイヌモシリ라고 표기한다. [18] 도도부현 중 도(都)·부·현은 Prefecture라는 단어를 쓸 때 도·부·현을 발음으로 옮기진 않는다. 예를 들어 도쿄도는 전부 일본식으로 Tokyo-to로 쓰든가 Tokyo Prefecture라고 쓰지 Tokyo-to Prefecture라고는 안 쓴다. 하지만 홋카이도는 일반적으로 일본어에서 홋카이도의 '도(道)' 부분을 생략하는 경우가 드물어서인지 마지막의 do를 절대로 빼지 않는다. -do 식으로 하이픈을 긋지도 않는다. 그리고 원래 '도(道)'가 전통적인 율령제하의 행정구역 단위였던 점도 감안한 것 같다. 홋카이도는 현행 행정구역상 구 율령제 행정구역을 그대로 현대적인 최상위 행정구역명으로 사용 중인 유일한 지역이다. [19] '北海'가 아니다. 다른 모든 섬(島)의 이름은 \'시마'나 \'지마'로 나오고, 예를 들어, '冒険島( 모험도)'는 일본어로 'ぼうけんどう'가 아닌 'ぼうけんじま'로 읽는다. 그런데 다른 나라의 섬은 'とう'나 'どう'라고 읽는데, 예시로, '獨島( 독도)'는 'トクとう'나 'どくとう'라고 읽고, 'ヨースター島( 요스터 섬)'는 'ヨースターとう'라고 읽는다. [20] 일본의 신자체에서 海의 오른쪽 부분은 毎, 즉 (말 무) 자가 들어간다. 반면 일본 구자체나 다른 나라에서 쓰는 海는 每 즉 (어미 모)가 들어간다. 그런데 유니코드에서는 두 글자를 하나의 문자 코드로 병합했다(그러나 海의 구성요소인 每와 毎는 구분한다. 母와 毋는 원래 다른 글자라서 구분하지만 每와 毎는 이체자다). 그래서 여기서는 홋카이도의 한자 표기에 부득이 폰트를 직접 지정해서 의도한 대로 표시하기 위해 노력했는데도 일부 기계에서는 한자가 의도한 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본의 신자체에서는 道의 부수 부분의 점이 1개다. 하지만 구자체(강희자전체 기반)에서는 점이 2개이다. 한국의 폰트들도 2개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중국 간화자로도 점이 1개인데, 海는 일본 신자체와 달리 어미 모(母)가 들어간 형태를 쓴다. [21] 우리가 사용하는 海(안에 어미 모·母가 들어간 형태)를 출력할 경우 한중일 호환용 한자( 유니코드 문서 참고) 영역에 있는 U+FA45(&#xFA45;)를 대신 쓸 수도 있다. 하지만 이 U+FA45(&#xFA45;)는 전적으로 일본 문자 코드의 구자체 문자와 호환이 필요할 때 쓰는 코드이기 때문에 때문에 사용을 추천하진 않는다. 한중일 통합 한자 영역에 있는 바다 해 자는 U+6D77인데, 이건 일본 폰트로 지정해 놓고 보면 신자체의 바다 해(말 무·毋가 들어가 있음)로 보이지만, 다른 나라의 폰트로 지정해 놓고 보면 어미 모(母)가 들어간 바다 해 자로 표시된다. 만약 일본 폰트를 지정한 상태에서는 한중일 통합 한자 U+6D77와, 한중일 호환용 한자 U+FA45가 형태상 구분이 되지만(전자는 말 무·毋가 들어간 바다 해, 후자는 어미 모·母가 들어간 바다 해), 일본 이외 국가의 폰트를 사용하면 두 글자 모두 어미 모(母)가 들어간 바다 해로 렌더링되어서 구분이 없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한중일 호환용 한자 영역에 있는 U+FA45(&#xFA45;)는 쓰지 않는 게 좋다. 이건 다 유니코드에서 초기에 이체자를 폭넓게 인정하지 않아서 문제가 생겼다. 요즘엔 유니코드에서 이체자 지원을 강화해서 한자 이체자 선택자(IVS)라는 것을 쓰기도 하는데, 아직 널리 보급되진 않아서 사용을 자제하는 게 좋다. 아직까지는 바다 해(海) 자처럼 유니코드에서조차 나라마다 렌더링되는 형태가 다른 문자의 경우, 그냥 한중일 통합 한자 영역 내의 한자로 입력한 뒤 적절한 국가의 폰트를 지정해주는 게 현실적이다. 道 자의 경우 대만 정체자가 쓰이는 중국어권 국가·지역에서 부수 부분을 도 아니고 도 아닌 형태로 인쇄하는 경우가 많다. 대만 표준 자형인 국자표준자체(國字標準字體)도 이 형태가 표준이다. 그리고 필기할 때는 중국 대륙이나 일본에서도, 심지어 한국에서조차 인쇄 표준과 무관하게 형태로 쓰는 경우가 많다. [22] 비슷한 사례로는 튜토리얼을 '듀토리얼'이라 쓰는 사례, 또는 포천시 소흘읍이 있다. 이 또한 소흘(ㅎㅡㄹ) 대신 소홀(ㅎㅗㄹ)로 오기되는 일이 꽤나 있다. # [23] 이런 식으로 음의 일부분이 다른 형태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형태론에서는 '오염'(contamination)이라고 한다. 폭넓은 의미에서는 유추(analogy)에 속한다. [24] 네이버, 네이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에서는 검색어 제안이 뜨며, 구글, Bing에서는 '홋카이도'의 검색 결과를 포함한다는 알림이 나온다. [25] 인터넷에 보면 '웃기다'를 '욱기다'나 '우끼다'로 표기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남욱이의 욱기는 일상도 있다. 뒤의 자음에 따라 음편현상이 생기는데 촉음도 비슷하다. [26] 히가시가와정에 있는 화산 [27] 지도에서는 남한보다 홋카이도가 더 커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건 극지방에 가까워질수록 왜곡이 커지는 메르카토르 도법의 문제이다. [28] 다만, 이 면적은 러시아가 실효통치 중인 하보마이 군도, 시코탄, 쿠나시르(구나시리), 이투루프(에토로후)의 5,036.14㎢를 포함한 수치이며 실제 홋카이도의 관할 면적은 부속도서를 포함하여 약 78,000㎢이다. 분쟁 지역을 제외해도 2위인 이와테현이 15,278.77㎢로 5배 넘게 차이가 난다. 참고로 도도부현 중 면적이 가장 작은 카가와현과 비교하면 무려 44.45배의 차이가 난다. [29] 홋카이도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두 여행지인 삿포로 하코다테만 해도 기차로 편도 3시간 30분씩이나 걸릴 정도로 멀어 당일치기로 끝낼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정 당일치기 여행을 원한다면, 40분밖에 안 걸리는 비행기를 타자. 다만 비행기 특유의 탑승 전후 소요 시간이 있고, 신치토세 공항이 삿포로 시내에서 거리가 좀 있기 때문에 만약 삿포로 시내에 묵을 예정이라면 체력적으로 힘들 수 있다. 반대로 하코다테 공항은 시내 접근성이 좋고 바로 옆에 온천 마을이 있어 상대적으로 그런 부담이 덜하다. [30] 재미있는 것은 홋카이도 내의 인구 분포이다. 홋카이도 제1도시 겸 도청소재지인 삿포로시는 광역권 인구가 260만명인데, 이는 대한민국 제1도시이자 수도인 서울특별시 광역권 인구 2600만명의 10분의 1 정도이고, 홋카이도 제2도시인 아사히카와시는 인구가 32만명으로 대한민국 제2도시인 부산광역시의 인구 330만명의 10분의 1 정도이며, 홋카이도 제3도시인 하코다테시는 인구가 24만명으로 대한민국 (실질적인) 제3도시인 대구광역시의 인구 240만명의 10분의 1 정도이다. 즉, 대한민국 인구를 규모만 10분의 1로 줄이면 홋카이도 인구 분포와 매우 비슷해진다. [31] 홋카이도 남부 하코다테 일대와 중남부 이부리 일대 및 중부 일부에는 존재하고 있다. 2018년에 이부리 일대에서 규모 7급 지진이 발생했다. [32] 물론 어디까지나 일본 대도시 중 가장 안전할 뿐 타국과 비교했을 때 위험지대인건 매한가지이다. 참고로 인구 70만급의 정령지정도시로 범위를 확장해서 보면 오카야마가 가장 안전한 도시다. 한편 주요 도시 기준 오사카와 교토, 고베, 나고야는 그보다 좀 더 위험하고, 센다이가 주요 도시 중 가장 위험하다. 역설적으로 가장 끝판왕은 3개 판이 충돌하는 도쿄다. [33] 참고로 일본의 식량자급률은 39%로 한국보다 낮다. [34] 서울-삿포로 기준, 위도 5°30', 경도 14°22' 가량 차이가 난다. 경도의 경우 거의 시차가 1시간 차이 나야 할만큼 먼 것이다. UTC+9 시간대의 중심인 동경 135도는 간사이 지방을 지나가고, 한국이 서쪽 끝자락, 홋카이도가 동쪽 끝자락에 있는 셈이다. [35] 한국과 일본 전역은 같은 시간을 사용한다. [36] 온대기후 냉대기후를 가르는 기준으로 최한월 평균 기온 -3℃ 기준을 적용하면 북부는 냉대 습윤 기후, 남부는 서안 해양성 기후가 된다. [37] 기후 덕분인지 이 동네의 스키장들은 10월에는 개장하고 빠르게는 9월에도 연다. 폐장하는 시기는 이듬해 5월 쯤. [38] 반대로 규슈 남부나 오키나와는 빠르면 2월 하순, 늦어도 3월부터는 반팔이 보이기 시작해 11월 하순이나 12월 초까지 반팔이 보이고, 규슈에서는 3월 말이나 4월 초부터 10월 하순이나 11월 초까지 반팔 차림이다. [39] 일본 열도 자체가 난류 쿠로시오 해류와 그 지류인 대마 난류가 연안을 감싸고 흐르는 탓에 비슷한 위도인 한국이나 중국 화북 지방보다 기후가 훨씬 온화하여 겨울 평균기온도 꽤 높은 편이다. 물론 홋카이도 외에도 도호쿠나 내륙 산지 같은 곳도 영하로 잘 떨어지긴 한다. 다만 인구의 대부분이 집중된 수도권 간사이, 규슈 등의 지역이 워낙 따뜻하니 추위에 대한 사회적 기준이 낮은 것이다. [40] 사실 서울 외곽지도 이 정도 기온이 나타난다. 삿포로 인구밀도의 9배가 넘는 서울의 열섬현상이 강해 도심이 따뜻한 것이다. [41] -3℃기준 적용하면 기후대가 달라진다. 삿포로와 서울 모두 온대/냉대 점이지대여서 그렇다. [42] 다만 평균적인 겨울 날씨는 서울이 -0.4°C, 삿포로가 -2.3°C로 확실히 삿포로가 더 춥다. 홋카이도는 1월 한겨울 날씨가 겨울 내내 지속되는 편이다. [43] 8월 초에 가면 대충 한국의 5월 말 ~ 6월 초 날씨로 느껴지는 정도다. 한국보다야 선선해서 좋긴 하겠지만 정작 상가 매장 쪽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냉방 시설이 부실한 편. [44]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집에 에어컨이 기본 옵션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홋카이도에서는 에어컨이 딸린 집을 찾기가 정말 어렵다. [45] 참고로 오키나와도 정치성향이 일본 본토와는 사뭇 다르다. 본토에서 사회당(사민당)이 완전히 밀려나가고 공산당도 지역구에서 당선자를 영 잘 못내는 수준인데 비해, 오키나와는 혁신계 정당의 세가 아직 꽤 남아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46] 홋카이도 제10구의 현역 공명당 지역구 의원인 이나쓰 히사시 후보가 정치신인이었던 입헌민주당 가미야 히로시 후보에게 520표차로 신승하였다. 참고로 가미야 히로시 후보는 석패율제로 구제되어 비례대표에 당선되었다. [47] 이전 30기 의회는 자민당이 50석으로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정원이 101명이었기 때문에 과반에 1석 차이로 못미쳤다. [48] 6구의 니시카와 후보의 경우 아사히카와 시장 재임 시절의 왕따 사건 대응 문제로 인하여 큰 비판을 받았던 전적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입헌민주당이 사사키 의원의 은퇴로 인해 수성하려고 안간힘을 쓰던 2021년 선거 당시에도 득표율 차이가 10%에 가까운 대패를 당했었다. [49] 전원 무소속 [50] 비슷한 경우로 러시아의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지역과 중국의 동북 3성이 있다. [51] "왓카나이"라는 지명은 다른 홋카이도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이누어의 얌 왓카 나이(Yam Wakkanai)에서 유래했다. 의미는 '차가운/먹는 물/시내'. [52] 홋카이도 인구의 절반 이상이 홋카이도 전체에 비하면 지극히 일부 면적을 차지하는 삿포로시 인근에 몰려있으니 삿포로가 포함되지 않은 현은 처지가 더욱 열악해질 가능성이 높다. [53] 에도로후(러시아명: 이투르프), 구나시리(러시아명: 쿠나시르), 하보마이, 시코탄(두 섬은 러시아명도 동일). 이들 섬의 이름은 어차피 아이누어 이름을 표기한 것이라 일본 이름과 러시아 이름이 대동소이하다. [54] 이부리, 히다카 지역은 분류법에 따라 독립적인 닛탄(日胆, にったん), 혹은 도난, 혹은 도오로 분류되는 애매한 지방이다. 홋카이도청 구 본청사의 홋카이도 박물관 아카렌가 분관에서는 도오남부 지방으로도 분류되어있다. 이 경우 소라치, 이시카리, 시리베시 지역은 도오북부 지방. 긴급지진속보에서는 닛탄 지방을 도난으로 분류한다. [55] 탄광 산업이 활발했을 때는 번화했으나, 현재는 대체로 쇠락한 지역이며 인구 유출도 극심하다. 홋카이도의 러스트 벨트. 현재의 위상에 비해 시가 이상할 만큼 많은 것도 그 당시의 번영을 간접적으로나마 보여준다. [56] 진흥국 내에 시(市)가 전혀 없는 곳이며, 아이누인의 거주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기도 하다. [57] 진흥국 내에 시(市)가 전혀 없다. 중간의 쿠마이시초(熊石町)가 오시마 종합진흥국 쪽으로 합병되며 월경지가 생긴 곳이기도 하다. [58] 혼슈의 동북(東北)지방을 나타내는 도호쿠와는 발음이 다르다. 이쪽은 とうほく. [59] 후라노시 이외에도 주변에 카미후라노쵸(上富良野町), 나카후라노쵸(中富良野町), 미나미후라노쵸(南富良野町)의 3개 쵸까지 전부 모여 "후라노"라는 한 이미지로 엮이곤 한다. 후라노 하면 라벤더가 먼저 떠오를 만큼 라벤더가 유명한데, 그 후라노 라벤더의 대명사로 손꼽히는 농장 팜 토미타 역시 주소지는 나카후라노쵸. [60] 죽은 소녀를 위한 파반 마츠마에 루모이는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61] 2010년 4월에 홋카이도의 지청이 진흥국으로 개편되기 전까지는 아바시리 지청(網走支庁)이었다. 개칭한 이유에 대해서는 문서 참조. [62]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최대도시. [63] 쿠타 시리즈로 유명한 게임 제작사. [64] 교자 체인. 홋카이도 위주로 점포를 전개하는데 도민들 사이에서는 교자 음식점으로서 가장 인기가 높다. [65] 시골 마을에서 시작한 로켓개발업체. 우에마쓰전기에 대한 취재 참고. [66] 제과제빵 기업. 한국에도 '베이크'라는 이름으로 들어와 있다. [67] 오타켄이 설립한 영상 촬영 및 편집 전문 회사. 국내의 연예 기획사 WM엔터테인먼트와는 다른 회사이다. [68] 48G은 신기할 정도로 홋카이도 출신이 없다. 모든 자매그룹 포함해서 10명뿐. [69] 태어난 곳은 무로란시이다. [70] 생년월일이 이틀 차이인 이이다 카오리와 아베 나츠미는 태어난 병원도 같아서 같은 신생아실에 뉘어있었다고 한다. 물론 그걸 알게 된 건 둘 다 모닝구 무스메가 되고 난 뒤이지만. [71] 과거 역대 모닝구무스메 최다 배출 지역이였지만, 현재는 당연하게도 고토 마키, 츠지 노조미, 카메이 에리, 후쿠무라 미즈키 등을 배출한 도쿄가 최다 배출 지역. [72] 뉴욕 양키스 메이져리거 다나카 마사히로의 부인. [73] 성씨 소라치 종합진흥국(소라치 지청)에서 따왔으며, 이름 부분만 본명이라고 한다. [74] 목장 출신. 한밤중에 곰을 경계하며 밭을 갈았다고 한다. [75] 홋카이도 지역 버라이어티 스이요 도데쇼로 인기를 얻은 배우. 현재는 NHK 홍백가합전 사회로도 발탁될만큼 유명해졌다. [76] 태어난 곳은 삿포로시. [77] 출신은 아사히카와지만 현재는 삿포로 거주중. 삿포로 아사히가오카고 출신. [78] 전술한 스즈키 아이나의 여동생이다. [79] 자세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방송이나 잡지에서 홋카이도 출신이라고 알려지기는 하였다. [80] 4번 항목의 일본 4인조 걸즈밴드. 소속 사무소가 삿포로에 있고, 멤버는 홋카이도 출신만 선발. 전국구 아이돌로 활동했으나 사무소 거점은 삿포로였다. [81] 아이누. [82] 한국판은 무국적화라서 가상지역인 스노우 시티로 언급. [83] 후라노시 출신. [84] 쿠시로 생이다. [85] 목장 출신. [86] 삿포로시 출신. [87] 이 지역에서 살고 있었다. 우스잔 고교의 경우는 일단 출신지에 해당하지만, 멤버 전원이 모두 해당 출신이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현 시점에는 판단을 보류하기로 한다. [88] 모두 홋카이도에 살다가 G아일랜드로 이사왔다. [89] 삿포로 시계탑이나 애니메이트등이 배경. 작가인 아이소라 만타가 삿포로 시민. [90] 삿포로시 출신이라고 언급되고 작품에서는 아사히카와시 히가시카와쵸 일대에서 활동하는 카메라맨으로 나온다. [91] 하치켄 신고의 아내가 러시아인... [92] 삿포로시 출신. [93] 마찬가지로 아이누. [94] 北海道産子. 뒤의 세 글자는 홋카이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인 '도산코'이다. [95] 토마코마이시 출신. 원래 살던 곳은 도쿄였지만 아버지의 전근 때문에 홋카이도로 가게 된다. [96] 공식 설정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본사가 삿포로에 위치해 고향으로 친다. [97] 과육이 주황색이다. [98] 포켓몬스터 DP 디아루가·펄기아, 포켓몬스터 Pt 기라티나에도 이 도시를 모델로 한 ' 무쇠시티'가 나온다. [99] Kitayama, S., Ishii, K., Imada, T., Takemura, K., & Ramaswamy, J. (2006). Voluntary settlement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Evidence from Japan's" northern fronti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3), 369.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