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 관련 정보|
일본의 역사서 ]]日本史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고사기 | 고사기 | |
정사 | 육국사 | 일본서기 | 속일본기 | 일본후기 | 속일본후기 | 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 | 일본삼대실록 | |
근현대 실록 | 고메이 천황기 | 메이지 천황기 | 다이쇼 천황실록 | 쇼와 천황실록 | ||
무가정권 사서 | 아즈마카가미 | 도쿠가와 실기 | ||
기전체 | 대일본사 | ||
편년체 | 본조통감 | 부상략기 | ||
기타 | 일본세기(실전) | 풍토기 | 유취국사 | 신장공기 | 선대구사본기 | }}}}}}}}} |
風土記
ふどき
1. 개요
풍토기(風土記)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각 지방의 풍습이나 지리 등을 기록한 책이다. 이 때문에 제목이 '풍토기'인 책은 중국, 일본, 한반도의 많은 국가를 통틀어 굉장히 많지만, 일반적으로 풍토기라고 하면 나라 시대 일본에서 편찬된 고풍토기(古風土記)를 일컬으므로 여기서도 일본의 고풍토기를 다룬다.2. 내용
풍토기는 나라 시대 초기에, 겐메이 덴노의 칙명으로 편찬되었다. 당시 일본은 율령제를 실시하여 중앙집권화를 시도하던 때였으므로, 조정에서도 각 율령국들을 좀더 자세하고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어서 편찬했다고 한다. 만요가나가 아닌 정통 한문체로 주로 작성했는데, 각 율령국에 따라 나누어서 서술함이 특징이다.속일본기에 의하면, 풍토기는 다음 5가지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고 한다.
- 군향(郡郷)의 이름
- 토산물
- 토지의 비옥도
- 지명의 기원
- 각 지방에 전해져 내려오는 고사(古事)와 기이한 사건들
3. 구성
편찬의도를 염두에 두면, 당시 일본에 있던 모든 율령국별로 풍토기가 있었으리라 추정한다.안타깝게도 세월이 지나면서 내용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현재는 이즈모국 풍토기가 거의 완전한 사본으로, 하리마국 풍토기, 히젠국 풍토기, 히타치국 풍토기, 분고국 풍토기가 일부 내용이 결손된 사본으로 내려온다. 나머지 부분은 속일본기 등 다른 서적에서 일부 발췌/인용한 극히 일부 내용만 전해 내려올 뿐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처음부터 모든 율령국을 설명한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4. 의의
비록 많은 부분이 유실되었지만, 고사기, 일본서기와 더불어 고대 일본에서 저술된 서적이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몇 안 되는 경우라 가치가 크다. 특히 다른 서적에서는 소홀한 각 지명의 유래, 전승되는 이야기 등을 위주로 저술하여, 고대 일본어와 당대 문화상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특히 거의 완전한 판본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이즈모국 풍토기가 유명한데, 이즈모국(현대의 시마네 현 일대) 자체가 초기 일본 신화 형성에 굉장히 중요한 지역이기도 하고,[1] 흔히 기기 신화(記紀神話)라고 일컬어지는 일본 신화와는 비슷하지만 다른 전승이 기록되어 관련 학자들이 중요하게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