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근대 중국의 군사 조직에 대한 내용은 막부(중국) 문서
, 모스크바의 음차 막부(莫府)에 대한 내용은
모스크바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021F70> | |||
}}}}}}}}} |
일본어 | [ruby(幕, ruby=ばく)][ruby(府, ruby=ふ)] |
영어 | Shogunate |
1. 개요
일본의 중세, 근세에 군주인 천황을 상징과 신앙적 존재로 두고, 실권은 쇼군이 보유한 무인 정권의 통치기구 또는 그 체제. 일어 발음으로는 '바쿠후(ばくふ)'라 한다.2. 어원
막부(幕府)는 사령부를 의미하는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표현으로, 전근대 중국의 막부에서 유래했다.참고로 이 '막부'라는 명칭을 일본의 정권 형태에 사용하게 된 것은 에도 시대 중기부터로, 이전에는 '도노(殿)', '정권' 등의 접미사를 붙인 표현을 썼다. 가마쿠라 막부는 '가마쿠라도노'로 불렸는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위시로 한 쇼군을 칭하는 말이기도 했다. 무로마치 시대 초기에도 요리토모의 후계자라는 의미로 아시카가 쇼군 역시 이 호칭과 '가마쿠라 쇼군'으로 불렸다. 이후 무로마치에 거처를 세우자 쇼군 대신 가마쿠라 쿠보와 관동관령의 명칭으로도 쓰였다.
무로마치 막부도 '무로마치도노'로 불렀던 경우도 있지만, 많이 쓰인 편은 아니었고 대체로 ' 쿠보(公方)'라고 불렸다.
3. 구조
기본적으로 수도 교토의 천황과 공가로 구성된 조정과는 독립적으로 막부를 열고 쇼군[1]이 지도자가 된다. 이하 직역이란 나름의 품계(영외관)를 정해 쇼군의 방계들 혹은 창업 공신들을 앉히고 임명직 영주를 각 지방에 보내거나 각 지방의 유력자들에게 직위를 주어 지방을 통솔하게 했다. 어떤 군대도 막부의 명령 없이 사사로이 움직일 수 없었으며, 어기면 징벌이 따라왔다.반면 수도 교토는 천황 및 후지와라 씨 등 공가 귀족들에게 기존 율령품계를 인정해 줘 일본 중세, 근세 정치는 마치 일국양제스러운 이원화된 정부 구성을 띄었다. 대중국, 대고려-조선 외교를 할 때도 막부가 외교 서신을 썼지만 천황을 대신해 보낸다는 형식으로 상징적 국가원수는 천황으로 두었다.
쇼군은 영외관의 최고이자 막부의 직역이었지만 교토 조정의 율령품계와는 분리된 것이라, 막부에 소속된 사람들은 율령 품계 역시 함께 주어졌다. 가마쿠라 막부의 장군 미나모토 씨는 아직 중앙 귀족으로부터 무신 정권으로 넘어가는 첫 과도기라 막부를 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조차도 율령품계를 특별히 정2위로 받긴 했지만 실제 역임 관직은 곤노다이나곤(정3위) 겸 우근위대장(종3위)으로 최고위 품계는 아니었다. 중세 후기 무로마치 막부 전성기의 아시카가 요시미츠는 태정대신까지 올랐지만, 아시카가 요시테루 등 전국시대 혼란기의 쇼군들은 좌근위중장, 종3위에 그치는 등 편차가 심했다. 권력이 가장 안정적이었던 근세 에도 막부의 쇼군들은 종2위 내대신은 기본으로 가져갔으며, 생전에 태정대신에 이른 이들도 3명이나 된다.
일본은 가마쿠라 막부를 시작으로 총 3번의 막정을 거쳤는데, 미나모토 씨, 그 중에서도 카와치 겐지 계열의 후손이 아니면 정이대장군 자리에 오를 수 없다는 관념적 전통을 만들었다.[2] 무로마치 막부의 아시카가 씨(足利 氏) 역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에도 막부의 도쿠가와 씨(德川 氏) 역시 이를 자칭했다.[3]
중앙 귀족정을 경계했던 가마쿠라 막부는 일본 간토 지방에 위치한 현 가마쿠라시에, 그리고 훗날 에도 막부는 에도에 막부를 차렸으나, 남북조시대를 정리하고 천황 옹립에 공이 있었던 무로마치 막부는 천황이 있는 교토에 막부를 차렸다.[4]
막부의 수장은 쇼군이지만, 의외로 쇼군조차도 덴노와 마찬가지로 전제권력을 행사한 시기는 짧았다. 정치적 역량이 부족한 쇼군의 즉위가 이어지면 휘하의 대신들이 실권을 잡거나, 지방 다이묘들이 막부의 통제에서 벗어나였기 때문이다. 가마쿠라 막부는 정무 총괄직인 집권을 차지한 호조 가문이 실질적인 군주로 군림했다. 무로마치 막부 역시 정무 총괄직인 관령직을 차지한 호소카와 가문에 실권이 넘어갔으며, 심지어 지방 다이묘 통제에도 실패해 전국시대가 열리며 쇼군은 교토를 차지한 다이묘들의 허수아비로 전락하였다. 그나마 에도 막부는 쇼군의 권위가 가장 강한 막부였지만, 실무 상당부분을 노중(老中)에게 대행시키며 쇼군의 실권이 점차 약해진 것은 동일하다.[5]
4. 역사적 변천
가마쿠라 막부가 권위를 잃고 세력을 잃으면서 고다이고 천황 치세(1318 ~ 1339)에는 천황이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막부를 폐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천황과 중앙 귀족이 다시 약해진 혼란기( 남북조시대, 1336 ~ 1392)를 겪자 새 천황[6]을 옹립한 무로마치 막부가 생겨났다.1467년 경 오닌의 난으로 11년간 내전이 이어져 다시 막부가 권위를 잃자, 총 백 년간 내전을 하게 되었으며, 사무라이 봉건 영주들이 전국 곳곳에서 할거하며 하극상을 반복하는 전국시대가 도래했다. 결국 오다 노부나가가 막부 소재지인 교토에 입성하고 막부를 폐지하면서 1575년 무로마치 막부가 망했다. 그러다 여러 과도기를 거쳐 다시 에도 막부가 들어서게 된다. 이 시대에는 이전의 봉건제를 유지하면서도 지방 통제에 신경을 기울여 중앙집권 국가의 면모가 나타나기도 했다. 참근교대제 실시와 무가제법도 제정 등 막부 체제를 유지하는데 힘썼다. 다만 평화가 지속됨에 따라 상공업과 서민문화가 발달하면서 이전까지의 무사 중심 질서는 금이 가기 시작한다.
17세기부터는 유교적 존왕론을 바탕으로 하여 천황과 고대 국가 체제의 복권을 주장하는 세력이 힘을 얻었다. 19세기 중반에는 외국 열강들이 압박해 들어오고 지방 세력들의 독자적 교역로 운영 등으로 실력을 갖게 되자 막부의 위엄이 크게 떨어졌다. 반대 세력들은 서양 열강에 굴종적인 막부를 비난하면서 '다시 천황에게 정치 권력을 돌려주고 오랑캐들을 타도하자'는 존황양이의 기치를 걸고 막부에 도전했다. 당시 유력 번국(藩國)이었던 사쓰마(薩摩)와 쵸슈(長州) 등이 연합해 대정봉환을 이뤘다(薩長, 삿초 동맹). 이후 삿초 동맹은 어린 천황을 설득하여 막부직할령을 조정에 귀속하고 쇼군의 내대신 직위를 해임한다는 칙령을 발표하였고 교토 지역에서 벌어진 무력충돌서 패배한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조정에 투항하고 보신 전쟁에서 막부 잔당 세력이 토벌된 후 일본 역사에서 막부는 완전히 소멸된다. ( 1867년 11월 9일)
5. 해외 사례와의 비교
세계사에서 군주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집권하여 통치한 권신은 많지만 그러한 권신 정권이 권신 자리에만 만족하며 막부처럼 대를 이어 세습하며 국가를 통치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대를 이어 국가를 통치할 정도로 권력이 있는 가문이라면 2인자 자리에 만족하지 않고 왕위를 찬탈하거나 선양받아 본인 가문이 직접 군주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표적으로 권신인 조조, 사마의도 그 아들이나 손자 대인 조비, 사마염 대에서 헌제, 조환에게서 선양을 받아 직접 황제가 되었다. 반면에 그 정도 권력이 없다면 그 권신의 정권도 당대에 끝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막부처럼 3대 이상 대를 이어 세습하며 국가를 통치하는 실권자 가문이지만 명목상의 상위 군주는 그대로 놔두고 인정해주는 체제가 흔하지는 않으나 다른 나라에도 역사적으로 이런 사례가 없지는 않다.한국사에는 고구려 말기의 연씨 정권과 고려 무신정권기의 최씨 정권 및 임씨 정권이 있었고 네팔 왕국에는 군주인 샤 왕조를 꼭두각시로 만들고 국가를 통치한 라나 가문이 있었다.[7] 후 레 왕조를 바지사장으로 내세우고 통치한 찐씨 정권과 아바스 왕조 칼리프를 자신들의 수도인 카이로에 데려와서 허수아비로 옹립해놓고 명목상 칼리프에게서 술탄으로 임명받은 이집트의 맘루크 술탄들도 이와 비슷하다. 권신 피핀 가문이 궁재직을 세습했던 메로빙거 왕조 말기의 프랑크 왕국도 봉건제 + 세습 권신 조합이라는 부분은 비슷하다. 다만 피핀 가문의 경우는 상술한 사례들과는 달리 궁재 자리에 만족하지 않고 결국에는 국왕을 폐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카롤링거 왕조를 세웠다.
가장 비슷한 체제는 인도의 마라타 제국인데 교토에 군주인 천황이 있으나 실제 통치는 에도의 정이대장군이 지방에 영주로서 할거한 고위 사무라이인 다이묘들을 통솔하는 형태인 막부 체제와 비교해보면 마라타 제국도 명목상 수도인 사타라에 있는 차트라파티가 명목상 군주였으나 실질적으로는 페슈와( 재상)직을 독점하여 세습하는 실권자 바트 가문이 실질적 수도인 푸네의 재상부에서 권신으로서 각 지방에서 사실상 봉건제후처럼 할거하고 있던 장군들의 가문들[8]을 통솔하며 통치하는 형태의 체제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 많다. 막부와 마라타 제국 모두 말기에 가면 실권자 가문(쇼군, 페슈와)조차도 힘을 잃고 지방 영주 세력들에 대한 통제력이 약해지는 것도 비슷하다.[9]
캄보디아의 총리인 훈 센도 38년간 장기 독재를 하다가 2023년에 자신의 장남인 훈 마넷에게 총리직을 세습했는데 천황을 바지사장으로 앉혀놓고 쇼군이 세습한 막부처럼 캄보디아도 사실상 국왕인 노로돔 시아모니를 꼭두각시로 앉혀놓고 훈센 가문이 총리직을 독점하는 세습 체제가 되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6. 기타
[1]
원래
정이대장군(征夷大將軍)이란
헤이안 시대
일본 열도의 동쪽(지금의
도호쿠(동북) 지방.
교토 일대가 일본의 중심이던 고대 일본에는 도호쿠 지방에
에미시(현재의
아이누)를 중심으로 조정에 대항하는 이민족이 있었다.)으로 정벌가는 자에게 주는 호칭이었다.
[2]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지켜지면 좋은 관념 정도로 취급받았다. 때문에 가마쿠라 막부는 요리토모의 직계가 단절되자 더 고귀한 혈통인
섭관가와 황실 출신의 쇼군들을 옹립했다. 또한 원평교체 관념도 있었기에
타이라의 후손을 자칭한
오다 노부나가도 조정으로부터 쇼군 취임을 제안받았다.
[3]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정이대장군에 오르기 위해 아시카가 가의 양자로 입적하려는 등의 시도를 하였으나
고셋케의 일원인 고노에 가로 입적하고
관백의 자리에 오르자 미련을 끊었다. 히데요시가 오른
관백은 명목상 쇼군보다 높고 더 혈통을 따지는 직위이다.
[4]
당시 간토 지역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잔당 세력이 남아있었고, 남서쪽으로 도망간 남조 세력을 상대로 교토를 사수해야 할 필요도 있었기에 무로마치 막부는 다른 막부와는 달리 간토를 본거지로 만들 수는 없었다. 당장 호조씨 충성파를 이끈
호조 도키유키에게 가마쿠라가 3번이나 점령당했다.
[5]
다만 에도 막부의 로주는 세력이 비교적 약한 후다이 다이묘 출신만 맡을 수 있었고 그보다 큰 세력을 가진 다이묘가 임명되는 자리인 대로(大老)는 비상설직이라 한 가문이 대를 이어가며 막부의 정치를 길게 좌지우지할 수는 없었다.
[6]
실제로
메이지 유신기에도 북조보다는 남조가 더 정통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남조 조정의 충신이었던 자들의 후손이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으로 인정받았다.
[7]
라나 가문은
트리부반 왕이
왕정복고를 단행하여 왕권을 되찾아온
1950년까지 이런 식으로 통치했다. 일본 막부보다도 거진 83년이나 더 갔다. 기껏 권력을 획득해 놓고 불과 50년 만인 2001년 이 가문 여자를 사랑한 왕세자에 의해 일가족이
몰살을 당하고 네팔 왕실이 몇년안가 사라져서 그렇지...
[8]
괄리오르의 신데 가문 세력, 구자라트의 바로다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가에크와드(가이크와드, 가이콰드) 가문의 세력, 인도르의 홀카르 가문 세력, 나그푸르의 본슬레 가문 세력 등등
[9]
정치 체제는 아니지만 일본의 막부 체제와 마라타 제국 둘 다 종교적으로 다신교(
힌두교,
신토) 체제였다는 것까지 비슷하다.
[10]
보통은 가장 후대의 막부인
에도 막부.
[11]
은혼,
백화요란 사무라이 걸즈,
사무라이 가드, 에도로 가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