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inch Gun Motor Carriage M10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
3-inch Gun Motor Carriage M10 |
1. 개요
|
오버로드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제645대전차대대 소속 M10 GMC 기동 영상 |
M3 75mm GMC의 후속 기종으로서 북아프리카 전역에 처음 투입되어 6.25 전쟁 때까지 활발히 쓰였고, 후계 차량인 M36 GMC이 등장할 때까지 현역으로 1선에서 사용되었다. 미군의 대전차 자주포 중 제일 많은 6,400문 정도가 생산되었다. M4 셔먼 만큼은 아니지만, 세계 각지에 공여되었고 꽤 오랜 기간 전선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한편, 영국에서는 M10 GMC의 높은 범용성에 주목하여 셔먼 VC, 셔먼 IC, IC 하이브리드와 같이 17파운더 대전차포를 장착한 " 아킬레스 자주포"로 개수하여 기존 M10보다 더욱 강한 화력을 확보하기도 하였다.
미 육군은 시범용으로 투입한 기존의 하프트랙 기반으로 만들어진 M3 대전차자주포의 불충분한 화력, 고정식 전투실, 공격에 취약한 하프트랙이라는 구조 등의 문제점 때문에 앤드류 브루스 중장에게 새로운 대전차자주포를 개발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앤드류 브루스 중장이 M4A2 셔먼의 하판과 구동계를 유용하여 신형 차체 및 포탑을 개발하여 제식화하게 되었다.
하지만 M10은 지속적으로 저평가받던 병기이기도 한데, 이는 미군 내에서 대전차 자주포라는 교리를 잘 이해하지 못해 철저히 수비적으로 사용해야하는 대전차 자주포를 공세 병기로 사용하는 우를 범했기 때문으로, 이는 Tank destroyer 교리가 미군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지지 못했던 배경이 있다.[1]
이 탓에 셔먼보다 장갑이 얇고 오픈탑 형태였던 M10은 자연스레 장점을 제대로 보여줄 수 없었으며, 일선 지휘관들에게 사용 부적격 무기라는 혹평을 듣기도 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이를 공여받은 영국군, 프랑스군, 소련군 측에서는 외려 이 무기가 전차가 아니라 자주포라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었기에 공세 병기로 사용하지 않았으며, 철저히 수비적인 형태로 운영하여 미군의 M10보다 더 크게 활약하기도 했다.[2]
그러나 이후 기존 M10이 사용하던 76mm M7 대공포의 화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에 따라 후임인 M36 GMC로 대체되었음에도, 일부 대전차대대에서는 지속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상술한 개수형인 아킬레스 자주포의 경우 캐나다에서 한번 더 개수를 거쳐 1980년대 중후반까지 덴마크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등, 저평가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지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병기이기도 하다.
M10에는 독특한 내부 구조가 적용되었는데, 바로 포수 뿐만 아니라 전차장이 포가 바로 위의 예비 발사장치를 작동시켜 포수가 모종의 이유로 무력화되었을 시, 전차장이 탈취하여 곧바로 사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일종의 원시적인 헌터 킬러와 비슷하다 볼 수 있다.
프로토타입에서는 76mm 주포의 중량 탓에 포탑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전면으로 무게중심이 쏠린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어 후방에 무게추를 장착하는 개선조치가 이루어졌다.
세계 대전 후반부, M10은 기존의 M4A2 뿐만 아니라, M4A3과의 부품 동류 호환성을 위하여 M4A3가 사용하는 포드 사의 V8 GAA 엔진으로 개수를 거친 "M10A1 GMC"라는 형식이 생산되어 기존 디젤엔진에서 가솔린으로 연료가 바뀌어 일선에서 연료 보급에 차질이 없도록 개수되었다.
오랫동안, M10 GMC는 " 울버린"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출처 불명으로,[3] 미군 및 영국군에서는 울버린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제식명 그대로 M10 GMC 또는 Tank destroyer라고 불렀으며, 일선 병사들은 더욱 단순히 "TD"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2. 제원
<colbgcolor=#808000> 3-inch Gun Motor Carriage M10 | |
제원 | |
개발국가 | 미국 |
개발기관 | 미 육군 병기부 |
개발자 | 앤드류 데이비스 브루스 |
생산기관 |
M10:
피셔 바디 M10A1: 포드 모터 컴퍼니 |
개발연도 | 1942년 |
생산기간 | 1942년 9월 ~ 1943년 12월 |
사용기간 | 1942년 ~ 현재[4] |
생산단가 | 47,900$ |
전장 | 전장 6.83m (돌출된 포신 포함) |
전폭 | 3.05m |
전고 | 2.57m |
장갑 |
전면 57도 경사 38.1mm 측,후면: 38도 경사 19.05mm 엔진 데크, 차체 상판, 바닥: 13mm 전면 하부 변속기 커버 55도 경사 50.8mm |
포탑 장갑 | 포탑 전방위 25.4mm |
포방패 상하 45도 경사 57.2mm | |
구동계 |
M10: 제너럴모터스 6046 트윈 디젤 6-71 (410hp)[5] M10A1: 포드 GAA V8 가솔린 엔진 (450hp) |
싱크로매쉬 변속기 (전진 5단, 후진 1단) | |
추중비 |
M10: 12.5hp/t M10A1: 15.5hp/t |
현가장치 | 수직 벌류트 스프링 현가장치 (VVSS) |
주무장 |
M10:
76.2mm M7[6] 대전차포 1문 (54발) M10A1: 76.2mm M1A2 대전차포 1문 (54발) |
부무장 | 대공/대보병용 12.7mm M2HB 1정 (300발) |
항속 거리/속력 | 300km |
노상 51km/h, 야지 41km/h | |
탑승 인원 |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무전수) |
생산 대수 |
M10: 4,993문 M10A1: 1,413문 도합 6,406문 |
3. 내부
|
M10 GMC 내부 구조도 |
우선적으로, M10의 주 무장은 M7 대공포로, 이 대공포는 3인치 대공포 M1918에서 파생되어, 해당 포의 대전차 전용 형식인 M5를 M10에 장착 가능하도록 개수한 형식이었다. 하지만 이 포의 무게가 너무 무거운 탓에, 프로토타입 개발 당시 포탑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전면으로 무게중심이 쏠린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어 후방에 무게추를 장착하는 개선조치가 이루어졌다.
이 M7 대공포에는 독특한 내부 구조가 적용되었는데, 바로 포수 뿐만 아니라 전차장이 포의 고저 조절은 물론, 포가 바로 위의 예비 방아쇠를 작동시켜 포수가 모종의 이유로 무력화되었을 시, 전차장이 탈취하여 곧바로 사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종의 원시적인 헌터 킬러가 적용된 선진적인 구조를 채용하고 있었다.[7]
대전 초기와 달리, 대전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M7 포가 사용하는 탄약인 M79 AP 및 M62 APCBC 탄약의 위력 부족으로 고전을 겪었지만, 아르덴 대공세 시기 본격적으로 M93 HVAP 탄약이 보급되며 해당 단점은 수그러들었다.
M10 GMC의 부무장은 셔먼과 달리 동축기관총이 존재하지 않지만, 그 대신격으로 포탑 후면에 장착 가능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이 장착되어 있으며, 도합 약 400여발의 기관총 탄약을 적재 가능하였다. 해당 기관총은 고저각이 낮아 대공용으로 사용하기는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적 보병과의 전투에서는 좋은 효율을 내는 것이 가능하였다.[8]
구동계는 M4A2 셔먼과 동일한 GM 6046 디젤엔진을 그대로 유용했는데, 이는 초창기 M10 GMC가 투입된 북아프리카 사막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화재 가능성이 높은 가솔린 엔진 대신 연료의 발화점이 높은 디젤 엔진이 더 나을 것이라 사료되었기 때문으로, 후기형인 M10A1 GMC는 반대로 유럽 전선에서 자주 사용된 M4A3와의 호환성을 위해 포드 GAA 엔진을 장착하게 되었다.
이 밖에도, 기존 셔먼에 적용되어있던 리벳 접합식 변속기 커버 대신, 용접형 커버를 장착하여 정면 방호력을 증강시키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9] 이는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 해당 리벳형 변속기의 단점 탓에 피격 직후 변속기 손상 및 조종수에게 살상을 입힐 수 있다는 문제점 때문이었다.
추가로, 차체 정면에 포신 잠금장치가 있는 셔먼 시리즈와 달리, M10 GMC는 차체 후면에 포신 잠금장치가 있었는데, 이는 포신의 길이 탓에 전장이 길어져 운송 및 이동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감안하였기 때문이었다.
또한, M10 GMC의 장갑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장갑의 수치가 줄어들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 뿐만 아니라, 측후방 모두 경사장갑으로 이루어져 있어, 방호력의 증가를 꾀하기도 했다.
4. 개발사
|
M10 GMC와 승무원들 |
|
시제 자주포 T35 GMC |
사실 90mm 대공포라는 훌륭한 상위단계 주포로 쓸 수 있는 화포가 이미 존재하였고 탑재도 충분히 가능하였지만 당시 미군 고위층들의 대전차전 분야 미숙 및 발상 부족으로 인해 화력 업그레이드의 적절한 시기를 놓쳤다는 문제가 크다. M10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중 상당 부분이 주포와 관련된 것이었다.
|
시제 자주포 T35E1 GMC |
5. 형식
5.1. M10 GMC
|
3-inch Gun Motor Carriage M10 |
구동계로는 GM 6046 트윈 디젤엔진을 사용하였으며, 76mm M7 대공포를 주 무장으로 사용했다.
5.2. M10A1 GMC
|
3-inch Gun Motor Carriage M10A1 |
총 1700대가 생산되었고, 후기형인 300대는 정비의 편의성과 보급의 편리를 위하여 M4 셔먼의 76mm 사양이 사용하는 76mm M1A2 주포가 장착되었다.
M10 GMC와의 구분법은 차체 후방 경사각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6. 평가
6.1. 장점
-
기동성
M4A2 셔먼의 차체 및 구동계를 이용하고, 중량을 축소시켜 만들었기에 셔먼 이상의 우수한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었는데, 이는 신속함이 생명인 대전차 자주포로써는 기본 소양이라 볼 수 있다.
-
명중률
원본이 항공기 잡는 대공포였기에 명중률과 탄속은 8.8cm 대공포와 대등할 정도였다. 75mm M3 전차포가 원본이 야포에다 단포신이었기에 장거리 명중률이 상당히 떨어졌던 것을 생각하면 명중률 분야에 한해서는 포 자체의 부족 점은 없던 셈으로, 이후에 나온 76mm 대전차포 시리즈 또한 이 M7 대공포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되었다.
-
회전 포탑
타 국가들의 구축전차나 자주포는 좌우각이 평균적으로 10도 수준에 그쳐서 사격 각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차체를 수시로 여러 방향으로 선회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 때문에 현가장치에 막대한 무리가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10] 그러나 M10은 철저히 대전차전을 상정하고 만든 대전차자주포였기에 설계자인 앤드류 브루스는 대전차전에서 더 나은 능동성을 확보해야한다고 판단, 회전포탑을 탑재하게 되었는데, 타국의 자주포들과는 달리 360도 전방위를 관측할 수 있기에 그로 인한 대처성도 매우 뛰어났다.
-
넓은 포탑용적
셔먼보다 포탑 내부가 넓었기 때문에 그 크고 무겁다는 17파운더를 무리없이 장착 가능할 정도였으며, 그랬기에 덤으로 승무원들의 작전 시 피로도도 낮았다.
-
낮은 차체 및 좋은 시야
셔먼은 높은 차체로 인하여 시야가 넓지만, 대신 자신도 눈에 띄인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초창기 프로토타입 시기에는 간단하게 셔먼의 차체를 사용하여 제작하려 했으나 이러한 문제 때문에 태생적으로 매복을 해야하는 대전차자주포에게 맞지 않았다. 이를 의식한 앤드류 브루스 소장은 셔먼의 차체를 사용한다는 계획을 버리고 노선을 바꿔 구동계와 하판, 현가장치 등만 사용하고, 차체를 전고를 낮추는 등의 개량을 거친 전용으로 만들었다. 부족한 시야는 포탑을 상부개방형으로 제작하여 해결했으며 은닉성은 셔먼보다 나았고 그 시야는 셔먼에게 결코 뒤쳐지지 않았으니 매우 좋은 선택이었다고 평가받는다.
-
주요 부품들의 호환성
상술했듯 셔먼의 부품들을 최대한 활용했기에 중요부위인 구동계와 현가장치가 셔먼과 호환되면서 정비 편의성도 뛰어났다. 당장 독일의 경우 전황이 악화되면서 채산성도 좋지 않은데 마구잡이로 파생형이 생산되면서 혼란이 가중화 되었으며, 티거 2, 야크트티거의 경우 M10이나 셔먼처럼 전면에서 간단하게 변속기를 수리할 수 없어서 상부 장갑을 제거하고 크레인으로 변속기를 뜯어내 새로 교체한다는 어마어마하게 시간이 걸리고 불편한 수리 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기에 이와 비교하면 M10은 매우 뛰어나다 평할 수 있다.
-
빠른 하차
하술할 단점에선 승차가 불편했다는 점이 있었으나, 반대로 하차시에 매우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었다. 사실 전면에서 피격당했을 때 해치로 빠져 나온다는 선택지는 상당히 위험천만하다. 대전차전의 대부분은 전면을 마주보고 있기에, 탈출 도중 적 전차병에게 눈에 띄어서 동축기총으로 사살당하기도 하고, 해치에서 빠져나가는 도중에 몸이 어딘가 부속에 걸리기라도 하면 꼼짝없이 전차와 같이 산화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부 개방형 포탑을 채용한 M10의 승무원들은 포탑으로 빠르게 빠져나와 도망칠 수 있었기에 생존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특히 해치로 탈출할 때보다 포탑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훨씬 빨랐다고 한다.
6.2. 단점
-
장애물 돌파력의 부족
기동성에서는 셔먼보다 가벼웠기 때문에 훨씬 빨랐지만, VVSS의 문제점인 장애물 돌파력의 부족이 있었다. 그라우저를 추가한다면 3피트(90cm)의 벽도 넘을 수 있지만, 보통은 안달았기 때문에 1.5피트(45cm) 밖에 넘질 못했다. 이는 셔먼 차체를 선택한 것 때문에 벌어진 문제로 당시 상황으로는 어쩔 수가 없었다.
-
느린 포탑 선회속도
포탑의 구동모터가 없으므로 포탑이 돌아가는 속도가 겨우 초당 4.5°에 불과했기 때문에 1대 1이 아닌, 다수와 싸우게 되는 경우에는 고전했다고 한다. 이는 단적으로 비교하기는 좀 그렇지만서도 그 무겁다는 아이오와급 전함의 16인치 50구경장 Mark 7 3연장 주포탑의 포탑 회전 속도가 초당 4°로 해당 자주포보다 조금 느린 수준이었으니 말 다한 셈이다.
-
얇은 장갑과 상부 개방형으로 인한 단점
장갑이 얇은 관계로 전차처럼 돌격했다가는 적의 대전차포나 보병에게 취약했다.
게다가 본질적으로 매복에 더 적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유사시 신속한 대전차화력을 지원하고 싶어도 빈약한 방어력으로 인해 이동하다가 당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으며, 적 전차를 먼저 발견하고 빠르게 사격하기 위해 장비한 오픈탑 형식의 주포탑은 적 보병의 수류탄 투척 및 박격포 화력에 매우 취약했다.
비가 내린다거나 숲 같이 나뭇가지 같은 것이 떨어질 수 있는 곳에서는 차량 내부가 엉망이 돼버리므로 이걸 막으려고 캔버스 같은 것을 포탑 위에 씌워야 했다. 후기형 중에는 장갑판으로 오픈된 상부를 막는 시도도 있었으나 장갑판 자체가 얇은데다가 큐폴라가 설치되지 않은 관계로 시야 확보에는 그만큼 어려움을 겪었다.
이와 관련해서 한 일화가 있는데, 영국군 제86대전차연대 소속 M10 한 대가 출격할 때마다 포탑 내 승무원이 사망하는 일이 있었다. 그러나 무려 3번이나 기적적으로 생환했는데, 각각 한 명은 88mm 포의 시한신관탄 때문에, 다른 한 명은 박격포로 사망했으며, 3번째는 포탑이 직접 가격당한 탓에 사망했다.
그런데 불운인지 행운인지 항상 같은 조종수가 타고 있었는데, 결국 네 번째 승무원과 함께 배치되었을 때 조종수는 " 요나"[11]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모두들 저주받은 조종수라며 같이 전차에 탑승하길 거부했다. 결국 그는 다른 보직으로 옮겨졌고 상부는 이 사건에 대해 쉬쉬했다.
-
승차의 어려움
차체가 매우 얇아서 초기 미국제 전투차량이라고는 믿을 수 없게도 측면까지 경사장갑으로 이루어졌는데, 약간의 방어력 향상은 이론적으로 가능했지만, 이 경사장갑이 궤도까지 가려버리는 바람에 승하차를 하기가 매우 불편했고, 오를 수 있는 손잡이도 없기 때문에 아주 기를 쓰고 올라가야 했다. 이는 적도 올라가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라 백병전에서 의외의 장점을 얻을 수 있었다.
-
화력의 부재
분명 1943년까지는 매우 좋은 관통력을 자랑하는 포였지만, 세계 대전이 후반부로 치달으며 해당 포에 대한 화력 부족이 대두되기 시작한다. 자세한 내용은 76mm M1 전차포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
대보병전 취약
76.2mm 포는 탄속이 매우 빨랐기에 그 특성상 작약을 많이 넣을 수 없어 작약량이 75mm 고폭탄의 절반밖에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술될 아킬레스 자주포도 이 문제로 크게 진땀을 뺐는데, 동축기관총도 없고 M2 중기관총 1정만 대공사격용으로 포탑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적군의 보병들이라도 맞닥뜨리게 되면 전차장이 총탄이 빗발치는 와중에 재빨리 엔진룸 위에 올라타서 제대로 된 엄폐물 없이 기총을 잡아야 하는 위험한 상황이 자주 연출되었다. 그리고 상술되었듯 오픈탑의 문제점으로 까딱 잘못하면 내부로 수류탄같은 게 들어갈 수 있었기에 M10은 대보병전에서 매우 고전했다.
-
고가의 제작비용
셔먼과 많은 부품이 호환되도록 만들었는데 이는 장점이자 단점이 되어버려서 가격도 셔먼과 비슷해져 버렸다. 대전차자주포의 등장 목적이 전차보다 싼 기동형 대전차 병기였으니 이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6.3. 총평
"방어적인 대전차무기는 본질적으로 포병이다."
제이콥 L. 데버스 장군, 북아프리카 전역을 시찰한 뒤. 당시 M10에 대한 미국 장성들의 보편적인 평가라고 볼 수 있다.
제이콥 L. 데버스 장군, 북아프리카 전역을 시찰한 뒤. 당시 M10에 대한 미국 장성들의 보편적인 평가라고 볼 수 있다.
장점은 확고했지만,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생산량에 비하여 전선에서의 요청량이 적었다. 위력도 썩 신통치가 않았는데 장갑이 얇은 데다가 보병한테도 쉽게 깨지니 이런 단점 탓[12]에 최전방에서 긴박하게 싸우는 부대들이나 전문적으로 대전차전을 하는 TD 대대 소속을 제외하고[13] 요청이 없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14]
특히 가격과 중량 문제는 대전차 자주포라는 분야의 목적과 상반되어, 후속작인 M18 헬캣은 이 부분을 주요 개선점으로 삼아 만들게 되었다. 화력의 경우는 M36 GMC으로 해결했다.
그래서 조지 S. 패튼이나 오마 브래들리 같은 많은 미국 장성들이 대전차 자주포는 실패작이라고 평했는데, 이는 레슬리 맥네어가 해당 대전차 자주포 부대를 견인식 대전차포 부대로 변경하는데[15]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장성들이 대전차자주포라는 특수한 지위를 이해 못한 채로 전차 대용으로 배치하는 실수를 저질러 놓고 섣불리 실패작이라는 판단을 내놓은 탓에 셔먼들만 배치되어 있는 소대가 어쩌다 티거나 판터를 만나게 되면 맥없이 추풍낙엽처럼 쓰러질 수밖에 없었다.
분명 위의 장군들은 매우 유능한 명장들이긴 하지만, 장비의 화력만 생각하고 어떻게 사용해야 할 지를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로 배치하여 일어난 상황만을 단편적으로 보고 평가했다는 점은 비판받아야 한다.
그렇기에 M4 셔먼과 같이 매우 불리한 상황에서도 선전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TD 대대는 이 물건을 M36 GMC이 등장했음에도 고속철갑탄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종전까지 열심히 사용했다.
이후 M36 GMC가 등장하며 1선에서 물러나며 잉여 차량이 남게 되었는데,[16] 영국과 소련, 대만이나 프랑스 같은 나라에 공여되거나, 혹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명령으로 상당수의 차량들이 M36의 포탑으로 업건을 진행했다. 또한 전선에서 격파되어 후송된 M10도 수리 할 겸 화력증강을 목적으로 역시 무장을 업그레이드 하였다.
그래서 M36은 미국의 차량답지 않게 생산량이 제대로 집계되지 않았는데, 이렇게 M36 중 M10을 개조하여 생산한 모델을 'M36B2'라고 부른다.
이후 이 M36B2들은 한번 더 개수되어 동축기관총을 달고, M46 패튼과 동일한 무장인 M3A1 포로 환장한 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앤드류 브루스 중장은 이후에도 M18 헬캣 을 만들어 냈으나, 시기를 놓친 불운의 작품이라 평가받고 전차 개발을 중지하였지만, 그가 추구했던 대전차자주포 이론을 토대로 만들어진 M36 GMC는 훗날 대한민국과 대만에까지 공여되어 사용되었다.[17]
7. 파생형
자세한 내용은 M10 GMC/파생형 문서 참고하십시오.8. 실전
자세한 내용은 M10 GMC/실전 문서 참고하십시오.9. 운용국
자세한 내용은 M10 GMC/운용국 문서 참고하십시오.10.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M10 GMC/미디어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모형
자세한 내용은 M10 GMC/모형 문서 참고하십시오.12. 참고 문헌
- M10 잔존 개체 목록
- 아킬레스 자주포 잔존 개체 목록
- 위키피디아 M10 문서 영어판
- 위키피디아 M10 문서 러시아어판
- Tank encyclopedia M35 견인차 문서
- 붉은 군대의 M10 사용기
- 이스라엘 군대의 M10 사용기
13. 둘러보기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
|||||
M6 GMC "Fargo" | M3 GMC | T48 GMCLR | |||
M10 GMC / M10A1 GMC | M18 GMC "Hellcat" | M36 GMC / M36B2 GMC | |||
M36B1 GMC | M50 Ontos | M56 SPAT | |||
※ 윗첨자LR: 미 본토에서 사용한 차량이 아닌 렌드리스로 타국에 공여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차종 | 차량 | ||
승용차 | EV1 · 하이드로젠3 · 하이드로젠4 | |||
상용차 |
올드 룩 버스 ·
뉴 룩 버스 ·
버팔로 버스 ·
퍼더라이너 · TDH-4801 & TDM-4801 · PD-4103 · PD-4501 시닉크루저 · 클래식 |
|||
대전차 자주포 | M10 GMC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각 브랜드별 차량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현재 계열사별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쉐보레의 차량 목록 | |||
GMC의 차량 목록 | ||||
뷰익의 차량 목록 | ||||
캐딜락의 차량 목록 |
}}}}}}{{{#!folding [ 과거 계열사별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GM대우의 차량 목록 | ||
마르퀘테의 차량 목록 | ||||
홀덴의 차량 목록 | ||||
브라이트드롭의 차량 목록 | ||||
올즈모빌의 차량 목록 | ||||
허머의 차량 목록 | ||||
폰티악의 차량 목록 | ||||
새턴의 차량 목록 | ||||
아스나의 차량 목록 | ||||
지오의 차량 목록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 방위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크루세이더, M3 스튜어트 | |||
중형전차 | 셔먼 Mk.IV, 셔먼 IIA, 셔먼 V, 셔먼 VC, 셔먼 IB, 밸런타인 Mk.I | ||||
장갑차 | SARC Mk.I, SARC MK.II, SARC Mk.III, SARC Mk.IV, SARC MK.V, SARC Mk.VI(2파운더), SARC MK.VI(6파운더), SARC MK.VII, SARC MK.VII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프리카 연방ㆍ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모리스-커머셜 LRC, 다임러 장갑차, 험버 Mk. IV 장갑차, 폭스 장갑차 | ||||
정찰차량, 기타 차량 | 링스 정찰장갑차, 모리스-커머셜 LRC,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험버 Mk. I 정찰차, 오터 LRC 경정찰차량,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C15TA 장갑 트럭, 브렌건 캐리어 | ||||
전차 | 경전차 | M2A4, M3 스튜어트, 경전차 Mk.VI, M24 채피 | |||
중(中)형전차 | M3 리/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V, 셔먼 VC | ||||
중전차 | Mk.VI | ||||
순항전차 | 센토어 IV, 그리즐리 I, 램 Mk.I, 램 Mk.II | ||||
보병전차 | 처칠 Mk.I, 처칠 Oke, 마틸다 II, 밸런타인 Mk.VII, Mk.VIIA | ||||
화염방사전차 | Ram Badger flame tank | ||||
자주포 | 비숍, 섹스턴, M7 프리스트 | ||||
대전차 자주포 | M10 GMC, M10 아킬레스, 아처 | ||||
자주대공포 | Crusader III, AA Mk.I, Mk.II/III, 스킹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자유 프랑스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color=#001489>
제2차 세계 대전 자유 프랑스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color=#ef3340> 차륜형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 팡하르 165/175, 팡하르 178 | ||||
전차 | 경전차 | 르노 R35, R39, R40 | ||||
기병전차 | 오츠키스 H35, H38, H39, 소뮈아 S35 | |||||
전투전차 | 르노 B1, B1 bis, B1 ter, 르노 D2 | }}} | 랜드리스 | 브렌건 캐리어, 크루세이더 Mk.II, 크루세이더 Mk.III, 밸런타인 Mk.IV, 센토어 Mk.VII, M3A3 스튜어트, M5 스튜어트, M2, M2A1, M3, M3A1, M5, M5A1, M9, M9A1 하프트랙, M8 그레이하운드, M20 스카웃 카, M4A2, M4A3, M4A3(76), M4A3E8, M4A1, M4A4, M8 스콧, M4 (105), M4A3 (105), M10 GMC, M7 프리스트, M36 GMC, M24 채피 | ||
노획차량 |
Sd.Kfz. 251,
4호 전차,
3호 돌격포,
마르더,
헤처,
4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티거 2,
Skoda 76,2mm 치하, 하고, 치로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국공내전 시기의 국민혁명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국공내전 국민혁명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94식 경장갑차 TK, L3/35, 아식 구돈반전차, M3A3 스튜어트, M5A1 스튜어트 | |
중형전차 | 치하, 치하 지휘차형, 치하 개량형, M4A1, M4A2, M4A3, M4A4 | ||
자주포 | 제8식 75포 전차, M10 105호미 자행곡사포, 94식 75mm 산포 탑재 치하 | ||
장갑차 | 91식 소모, LVT(A)(4), LVT (4), M8 그레이하운드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현대 벨기에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000> |
벨기에군 (1945~현재) Belgisch leger Armée belge |
||
기타전차 | <colbgcolor=#000000> 경전차 |
M3 스튜어트R,
M22 로커스트R,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FV101 스콜피온R, |
||
중형전차 | 셔먼 파이어플라이R, M4A1E8R, M4A3 (105)R, M26 퍼싱R | |||
MBT | 1세대 | M46 패튼R, M47 패튼R | ||
2세대 | 레오파르트 1(A1/A5) BE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
VBMR 그리폰}, {
EBRC 재규어},
판두르 I,
피라냐 IIIC, FN 4RMR,
M6 스태그하운드R,
M3A1 스카웃 카R, |
||
궤도장갑차 |
AMX-13 mod.56(VTT/PC/Cargo)R,
CVR(T)R, M113A1-BR, AIFV-B-(.50/C25)R, M75 APCR, M3 하프트랙R, |
|||
차량 | 소형 | { L-ATV}, ATF 딩고 2 MPPV, 장켈 폭스, 이베코 LMV, 폭스바겐 일티스, 랜드로버 디펜더R | ||
트럭 |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우니모크 1.9T · 1350L ,
이베코 M250 · ALC 8X4, 스카니아 T144, 그라운드 호그, M-게이터, 르노 케락스, 볼보 N10R, 마지루스-도이츠 주피터R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 프리스트R, M41 HMCR, M108R, M109(A2/A4 BE)R, M55 SPHR, { CAESAR NG} | ||
자주박격포 | AMX-13 mod.56 MorR, M113A1-B MorR, { 그리폰 MEPAC}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게파트R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R | ||
전투공병차량 | PiPz 2 닥스R | |||
기타 | 카노넨야크트판처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둘러보기 :
벨기에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네덜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Nederlandse krijgsmacht |
||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 전차 | <colbgcolor=#ffffff,#191919> 89식 중전차 이고/치로C/R, 97식 경장갑차 테케C/R, M4A1E9R, 램 Mk.II, 셔먼 VR, 셔먼 V 크랩R, M4A3 (105) HVSS | ||
MBT | 1세대 | 센추리온 Mk.7R | |
2세대 | 레오파르트 1 NL · 1-VR | ||
3세대 | 레오파르트 2(A1/A4/A5) NLR | ||
3.5세대 | { 레오파르트 2A8} | 레오파르트 2(A6S/A7) NL | ||
경전차 | M3A1 스튜어트R, M3A3 스튜어트R, M24 채피R, AMX-13 FL-(12/15)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XA-188R,
PWV 복서,
LGV 페넥,
부쉬마스터 LSV, 훅스 1 CBRN, YP-408R, YP-104R |
|
궤도장갑차 |
CV9035 NL,
YPR-765KMar/R,
Bv 206,
BvS 10, M113A1KMar/R, AMX-PRIR, LVT-4R |
||
차량 | 오토바이 | BMW R650 GSR, 트라이엄프 3TAR, KTM 400LS-E, 야마하 FJR1300AKMar | |
소형 |
벤츠
볼프 · G바겐KMar ·
비토KMar ·
스프린터KMar,
폭스바겐 아마록KMar, 벡터, {
카라칼}, 랜드로버 디펜더 109KMar/R, NEKAF M38R, 오펠 록스-e |
||
트럭 |
DAF YA 328 · 2300KMar · 4440 · 4442, 스카니아 그리푸스 · 4 시리즈, 이베코 스트라리스, 벤츠 유니목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R, M109(A3/A5) NLR, M110A2R, AMX-105 Mk.61R, PzH2000 | |
자주박격포 | YP-408 PWMTR, M106A1R, 페넥 MR, { 묠니르} | ||
대전차 자주포 | M10 IIC 아킬레스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치타 PRTL(A1), M19 더스터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페넥 SWP, NASAMS, { NOMADS} | ||
다연장로켓 | M270R, PULS | ||
무인 차량 | UGV | 테미스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R, BPz 3 뷔펠 | |
전투공병차량 | AEV 3 코디악 | ||
교량차량 | 비버, 레구안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KMar: 왕립 네덜란드 국가헌병대 (Koninklijke Marechaussee)에서도 같이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
||||
기타전차 |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 ||||
MBT | <colbgcolor=#198019> 1세대 | M47 패튼R | |||
2세대 |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 ||||
3세대 | C1 아리에테 | ||||
3.5세대 | { 아리에테 AM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 |||
궤도장갑차 |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 ||||
차량 | 소형 | VM-90, AR-90, VTLM 린체 | |||
트럭 |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B1 HMCR,
섹스턴R,
M44R,
|
|||
자주박격포 |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 ||||
대전차 자주포 |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113 SIDAM-25*,
|
|||
다연장로켓 | M270 MLRS, { M142 HIMARS}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M74 TRVR, M32B1 TRVR, BPz 2 | |||
전투공병차량 | PiPz 2 닥스 | ||||
교량차량 | 밸런타인 가교전차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덴마크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40000>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
||||
기타전차 | M4A3E4R, 3호 전차 N형R, mKPz T-34/85MP/R | ||||
MBT | <colbgcolor=#a40000> 1세대 | 센추리온 Mk.(3, 5/2)DKR | |||
2세대 | 레오파르트 1(A3/A5)-DKR | ||||
3세대 | 레오파르트 2A5-DKR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7-DK | ||||
경전차 | M24 채피R, M41 DK-1M/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6 모세가이스R, 피라냐 III(C/H)/V, XA-185L, ISS 쿠거 6×6L | |||
궤도장갑차 | M3A1 하프트랙R, M5 하프트랙R, IKK CV9035-DK, PMV M113(A1/G3) · PMNK M/92 M113A2M, 아르마딜로*, Sd.Kfz. 251/1 D형R | ||||
차량 | 오토바이 | BMW F650GS · R850RT, 가와사키 KLR650, KTM 450 EXC | |||
소형 |
M151R,
디펜더R,
Spejdervogn M/95 (이글 I/IV), 겔란데바겐 G240 U/270 · 280 CDI/300 EOD, 험비L, 수파캇 HMT400 |
||||
트럭 |
Magirus Deutz 주피터R,
벤츠
유니목 404 · 416 · L1550, RMMV HX77 · SX45 · 8.135 · 13.192 · 18.225 · 27.314 · 26.372 · 25.322 · 27.314 · 40.400 · 35.460 · 41.372 · 41.480 모바크 DURO-III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KH M109(G/A3-DK)R,
|
|||
자주박격포 | M106A1R, M125A1R, 카돔 10 | ||||
대전차 자주포 | Panserjæger M10 "Achilles"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GMC M45,
|
|||
다연장로켓 | M270A1 MLRSR, PULS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L: 리스한 차량 ※ 윗첨자P: 기증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테스트용으로 운용 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1961~현재) Suid-Afrikaanse Nasionale Weermag |
|||||
<colbgcolor=#007a11> 기타전차 | 셔먼 II AUK/R, 코멧UK/R, 셔먼 IBUK/R | |||||
MBT | <colbgcolor=#007a11> 1세대 | T-54C/R, 센추리온 Mk.(II · III · V)I | ||||
2세대 | 올리판트 Mk.1(A/B)M | |||||
3세대 |
올리판트 Mk.2M,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루이캇트,
라텔,
RG-31 · 32 · 33, 맘바 Mk.3,
카스피르 MPV Mk.3, AMV 뱃저, 사라센R, 버펠R, 마몬-헤링턴R, AML |
||||
차량 | 소형 | 랜드로버 디펜더, 토요타 랜드 크루저 | ||||
트럭 | 새밀-20 · 50 · 100, SHE 카발로 8X8 트럭, 토요타 다이나, 이베코 30톤 트럭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섹스턴 자주포R, G-6 레노스터, { T5-52} | ||||
대전차 자주포 | M10 GMCUK/R | |||||
대공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크로탈R | ||||
다연장로켓 | 발키리 Mk.1, 베틀러 Mk.2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남아프리카 연방 시기 영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I: 전량 타차량으로 개수됨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공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뉴질랜드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뉴질랜드 방위군 (1945~현재) New Zealand Defense Force | Te Ope Kātua o Aotearoa |
||||
<colbgcolor=#AEC4EE> 기타 전차 | <colbgcolor=#AEC4EE> 경전차 | M41 워커 불독R | FV101 스콜피온R | M3(A1/A3) 스튜어트R | |||
보병전차 | 밸런타인 (II/III/V)R | ||||
MBT | 1세대 | 센추리온 Mk.(3 · 5/1)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NZLAV | 부시마스터 PMV | FV701 페렛 Mk.(1/2)R | ACV-IPR | 다임러 Mk.II 딩고 Mk.IIR | |||
궤도장갑차 | M113A1R | ||||
차량 | 소형 |
ATV
폴라리스 MRZRIMV 수파캇 HMT 익스텐다 |
험비L/R | 랜드로버 S3 109R · S2 (88/109)R · S1 80R민수용
닛산 나바라 |
미쓰비시 트라이톤 |
토요타 라브4 |
이베코 데일리
|
|||
트럭 |
군용
RMMV HX(58/60/77) |
핀츠가우어 |
벤츠 유니목 | 랜드로버 101FCR | 베드포드 RLR상용
벤츠 악트로스
|
||||
자주포 | 대전차 자주포 | M10 · M10C 아킬레스R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RMMV HX44M 견인차 | M1089 견인차 | |||
교량 차량 | RMMV HX REBS | 커버넌터 AVLBR | ||||
기타 | JCB HMEE 백호로더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임대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 폴란드군 (1990~현재) Wojsko Polskie |
||
기타전차 | 셔먼 VCR, T-34-85M1/M2R, IS-2R, IS-3R | ||
MBT | <colbgcolor=#fff> 1세대 | T-55(A/L/AM1 · M2) MéridaM/R | |
2세대 | T-72A | ||
3세대 |
T-72(M/M1 · 1D) Jaguar,
PT-91(MA/MA1) 트바르데M, 레오파르트 2(A4/A5), M1A1SA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PL, M1A2 SEP v3, K2GP, { K2PL} | ||
경전차 |
PT-76B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쿠부시R, KTO 로소막, BRDM-2, SKOT-(1A/2A · 2AP), BTR-40R | |
궤도장갑차 |
TOPASR,
BWP-1(C/D),
BWP-2(D)R,
MT-LB, {
BWP 보르숙}, {CBWP 사업
K-9 차대기반},
|
||
차량 | 소형 | { K-151 레그완}, 타르판 혼커 2000 · 스콜피온 · 스콜피온-3, 투막, 온실라, 디펜더, 벤츠 GD 290/250, WD-43, 샌드캣 | |
트럭 |
벤츠1017A ·
유니목 1300L,
ZiL-131, ZiL-157,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MP720 시리즈 · M40.12WM, Star 200 · 244 · 266(M) · 660(M) · 944K ·1466ML · 1444, Jelcz P/S662D · P662D · P642D · C642D · C662D · P/S862D · P/S842D 타트라 T-815, KrAZ-255, 우랄-375D, 우랄-4320, GAZ-66, FMTV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7 PiwoniaR, 2S1(M/T) Goździk, wz. 1977 DANA-T, AHS 크라프, AHS 크릴, K-9A1, { K9PL} | |
자주박격포 | TOPAS-2APR, { 로소막-Rak} | ||
대전차 자주포 | SU-57R, M10 아킬레스R, ASU-57R, ASU-85MR, SU-100R, ISU-152R, M36B1C/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MP BiałaM,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Strzała-1R 9K35 Strzała-10MR, ZRK-SD RombR · 9K33BM3 ŻądłoM, Mała NAREW | ||
다연장로켓 | BM-24R, BM-21R, WR-40 랑구스타M, RM-70/85, M142 HIMARS, { 호마르-K}, { 호마르-A}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 { M88A2 허큘리스} | |
교량차량 | { M1110 JAB} | ||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기갑군 사령관인 데버스 중장이 북아프리카 전선을 시찰하던 중 "방어적인 대전차무기는 본질적으로 포병이다."라고 발언할 정도로
Tank destroyer 개념은 환영받지 못했고,
레슬리 맥네어가 오폭으로 전사하자 버팀목을 잃은
Tank destroyer 개념은 얼마 버티지 못하고 해체되게 된다.
[2]
당장 유명한 사례는 프랑스군 소속 M10 네임드 차량인 "시로코"가 장거리 저격으로 판터를 완전 격파한 기록, 소련군 소속 M10이 1:6으로 판터 소대와의 조우에서 기만 전술로 대활약을 해낸 기록 등이 존재한다.
[3]
캥거루,
램 등 전차에 동물이름을 붙이길 좋아하는 캐나다군이 붙여준 별칭이라는 설과 전쟁 중 크라이슬러의 광고에서 언급되었다는 설이 존재하나, 서부전선의 캐나다군을 주제로 다루는 박물관인 주노 비치 센터에서는 해당 명칭이 전혀 언급되지 않으며, 크라이슬러 자사 내 명칭이라는 설의 경우 해당 명칭이 기술된 광고 포스터 또는 크라이슬러의 브로슈어 등의 사료를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M36의 "잭슨"이라는 별칭과 같이, 출처를 알 수 없는 명칭이다.
[4]
영국 및 프랑스에서 기동 가능한 차량을 의장 및 행사용으로 운용 중. 본국에서는 종전 직후 퇴역.
[5]
1938년 개발된 디트로이트 71 디젤엔진 시리즈의 개조형.
[6]
3인치 M1918 대공포를 기반으로 개발된 M5 대전차포에서 파생되었다.
[7]
기존의 방아쇠는 고저장치 핸들에 부착되어 있다.
[8]
명예 훈장 수상자(
어디 머피)도 있다.
[9]
막상 야전 정비를 거친 M10 GMC 중에서 초기형 셔먼의 리벳 접합 변속기 커버를 장착한 경우가 소수 존재하는 것을 보아, 정비창에서는 M10 GMC의 커버와, 셔먼의 커버를 분류하지 않고 수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10]
이 문제는
야크트티거의 사례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장갑 탓에 무게도 매우 증가한 마당에 계속 차체를 움직여야만 하니 설계자였던
페르디난트 포르셰 박사 본인도 현가장치를 소모품이라고 볼 정도였다.
[11]
성경에서 등장하는 예지자로 기상천외하고(...) 엄청난 일을 자주 겪은 인물이다. 아마 이 때문에 요나라는 별명이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12]
이 문제로 태평양 전쟁에도 참전했지만 소수 운용에 그쳤다.
[13]
당장 방어선에서 판터나 티거를 만나는데 격파 가능한 차량이 M10 밖에 없으니...
[14]
75mm 셔먼을 1944년 말엽까지 사용할 수 있었던 이유기도 한데, 미군과 독일군이 대전차전을 하는 사례는 후방에서 상당히 적었다. 대부분이 대보병전이나 대전차포 Vs 전차 구도였기에 고폭탄 화력이 끝내주는 75mm를 선호했던 것.
[15]
미 보병들이 적 전차를 상대할 일은 많지 않았고, 대전차 대대도 전차처럼 보병을 위한 직사 화력 지원을 담당한 경우가 더 많았기에 결과론적 관점에서 개악이란 평을 받기는 하지만, 대전기에 견인식 대전차포와 대전차 자주포의 역할은 달랐기 때문에 당시의 시점에서 개악이라고 하기엔 부적절하다는 평이 있다. 견인 대전차포는 일선 보병과 함께 진지를 구축하고 지역 방어를 수행하는 것이 주 역할인 반면, 대전차 자주포는 주 방어선 전방의 전초에서 적의 접근을 경보하고 빠르게 철수하거나 상위 제대의 대전차 예비로써 적 기갑 전력의 돌파를 저지하는 역할이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대전차 자주포의 역할은 전차에 흡수되었고, 견인 대전차포는 보병의
무반동포, 대전차 미사일, 소련군(러시아군)의 견인 대전차포 편제 등으로 계승되게 된다.
[16]
아이러니하게도 M36은 대전차 자주포를 반대하던 미국 병기국장 글래디언 M. 반즈 중장의 손에 의해 만들어졌다.
[17]
M18 헬캣도 저평가를 받았지만 기동성 하나만큼은 끝내주었기에 경전차 대용으로 사용하다가 이후
APC로 개조되어 생산되며
베트남전까지 사용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에도 APC로 개조된 헬캣들이 수없이 많은 장병들의 생명을 살리고 물자 보급도 도맡아 하는등 대활약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