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의 지명
1.1. 오르도스 고원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아래쪽의 진한 붉은색 지역만을 말하는 게 아니다.
중국 서북쪽에서 황하 본류가 북쪽으로 크게 올라갔다 남쪽으로 크게 내려오는 곳. 지금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를 중심으로 간쑤성,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에 걸쳐 있으며, 오르도스 고원 서북부는 전통적으로 반농반목 지역이자 서역과 아시아를 잇는 관문 지역이었다. 유목과 농경의 경계지이자 황허 문명과 인접했기 때문에, 이 지역을 차지한 민족들이 고대 동아시아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대표적인 것이 흉노인데, 이 지역에서 사카족이 흉노 연맹에 청동기 문물을 전수해준 흔적으로 남은 오르도스 청동기 유물들이 유명하다. 서역의 경우 전한, 후한도 남흉노의 힘이 없다면 무역이 힘든 곳이였다. 서역 지방으로부터 돌궐과 위구르가 나타나면서 당나라 수도를 유린하고 당나라는 멸망 직전까지 수세에 몰렸다. 한때 한나라때 병주의 일부분을 차지했었다[1].
송대에는 서하가 흥기하면서 이 지역에서부터 중국을 공략, 공세하고 심하게 압박하였다. 사학도들에게는 오르도스식 동검으로 유명하다.
태항산맥이 위치한 지역이기도 하며 유목민족이나 중원의 국가 군대가 서로를 향한 기동전을 펼칠 때마다 주요 통로로 기능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곳에 위치한 삭방군, 운중군은 기동로로 자주 언급되는 유서깊은 지명이다. 특히 북방에서 황하를 크게 우회하여 관중을 노릴 경우 반드시 지나가는 지역이어서 사기 등의 사서에서 계속 언급된다.
Ordos는 튀르크어의 ordu(천막, 궁전 등)[2]에서 온 것으로, 현대 오르도스 지역을 차지하고 있던 몽골 부족의 이름이기도 했다. 부족명에서 지명을 따온 것.
여담으로 또한 쓰촨성 출신 쑨궈여우(孙国友,손국우)는 닝샤후이족자치구 인촨시 링우시 마자탄 근처 사막에 18,000에이커 정도 나무를 심고 농장도 만들어 사막화방지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소식도 있다.
1.2. 오르도스 시
위 문단에서 명칭을 따온 도시 이름. 어얼둬쓰시 문서로.2. 대중매체
2.1. 듄 시리즈의 가문
오르도스 가문 항목으로.2.2.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야외 공격대 우두머리
오르도스(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항목으로.
[1]
220년 후한이 멸망한 이후 임읍(
참파)과 오르도스 지방, 서역도호부(
타림 분지 일대)를 상실.
[2]
인도,
파키스탄
무슬림들이 사용하는
우르두어도 “(무굴 제국) 군영에서 사용하는 언어”란 뜻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