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7:31:32

인도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육군 해군 공군
인도군
भारतीय स्थलसेना[1]
Indian Armed Forces (IA)
파일:Indian_Armed_Forces.svg.png
<colbgcolor=#046a38> 국가 <colbgcolor=#fff,#1f2023>
[[인도|]][[틀:국기|]][[틀:국기|]]
소속 인도 국방부
상비군 1,455,550명
예비군 1,155,000명
병역제도 모병제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30a17><colcolor=#fff> 3세대 전차 2,204대
2세대 전차 2,410대
전차 총합 4,614대
장갑차
(APCs/IFVs)
2,836대
자주포 100문
다연장로켓 900문
수송 차량 8,660대 }}}}}}}}}
해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navy><colcolor=#fff> 해군 전투함 총합 295척
주력 수상함
방공구축함 7척
구축함 6척
호위함 12척(+9척)
초계함 29척
모함, 상륙함, 수송함
항공모함 2척
LPD 1척
LST 9척
잠수함
SSBN 1척(+5척)
SSN (+7척)
SSK 16척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7CEEB><colcolor=#fff> 4.5세대 전투기 295기
4세대 전투기 112기
3세대 전투기 259기
조기경보관제기
(AWACS)
4기
공중급유기 6기
공군기 총합 849기
헬리콥터 576기
항공기 총합 1,425기 }}}}}}}}}
예산
국방비 총합 729억 달러
1. 개요2. 연루된 분쟁3. 창설4. 현황5. 복무 제도6. 예산과 경제규모7. 수뇌부8. 계급9. 구성
9.1. 육군9.2. 해군9.3. 공군9.4. 해안경비대9.5. 준군사조직
9.5.1. 아삼 수비대9.5.2. 특수국경군9.5.3. 무장경찰
9.5.3.1. 경찰예비대9.5.3.2. 국경수비대9.5.3.3. 티베트 국경경찰9.5.3.4. 네팔/부탄 국경경찰9.5.3.5. 산업시설경비군9.5.3.6. 국가보안군9.5.3.7. 특수수비대9.5.3.8. 철도수비대9.5.3.9. 국가재해대응군
10. 장비
10.1. 육군
10.1.1. 차량
10.2. 해군10.3. 공군10.4. 전략무기
11. 출신 인물12. 관련 문서13. 기타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도의 군대.

2. 연루된 분쟁

인도군은 성립 이래로 수많은 전쟁과 각종 분쟁을 치렀다.
  • 1947년~1948년 - 파키스탄과의 1차 카슈미르 전쟁
  • 1954년 - 포르투갈과의 다드라 나가르하벨리 분쟁, 북동지역 분리주의자들과의 군사분쟁 (현재진행중)
  • 1961년 - 포르투갈과의 고아 주 분쟁
  • 1962년 - 중국과의 중인전쟁
  • 1965년 - 파키스탄과의 2차 카슈미르 전쟁
  • 1967년 - 낙살라이트 반군과의 전쟁 (현재진행중), 중국과의 나투 라•초라 분쟁
  • 1971년 - 파키스탄과의 방글라데시 전쟁
  • 1984년~2003년 - 파키스탄과의 시아첸 빙하 분쟁
  • 1987년~1990년 - 스리랑카 내전 평화유지군 파병
  • 1989년 - 카슈미르 분리주의 분쟁 (현재진행중)
  • 1999년 - 파키스탄과의 카길 전쟁
  • 2001년 - 방글라데시와의 국경분쟁


3. 창설

인도군의 전신은 영국령 인도 제국의 군대인 영국령 인도군(British Indian Army)이다. 기존에 인도에 주둔하던 영국 동인도 회사 세포이 사병부대에서 기원한 벵골, 봄베이, 마드라스군의 3개 군대를 1895년 4월 1일 단일 군대로 통합한 것이 영국령 인도군의 시초이다. 때문에 영국령 인도군이 창설된 1895년 4월 1일은 현 인도군의 창군 기념일이기도 하다.

1947년 인도가 자치령의 형태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함에 따라 인도군 역시 독립 국가의 군대가 되었다. 동시에 파키스탄과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인도 제국군 역시 인도군과 파키스탄군으로 분리된다. 한편 인도는 독립 직후 공화제 국가를 수립하면서 영국 식민지 시절 난립하던 수많은 인도 번왕국들을 정리하여 병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도군은 번왕국들이 인도 제국 식민정부와는 별개로 가지고 있던 자치 군대[2]들도 편입하였다. 그들은 개별 연대의 형태로 인도 육군에 속하지만 과거의 전통 역시 여전히 기리고 있다. 거의 유일한 예외는 인도로의 합병을 거부했던 하이데라바드 왕국의 군대였으나 이들은 1948년 인도군과의 짧은 전쟁을 거쳐 분쇄되었다.

4. 현황

해군은 영국 식민지 시절의 경험을 통해서 중국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에 이은 아시아 3위이다. 1990년대까지는 해군력에서 중국을 앞섰으나, 중국 해군이 2000년대 들어 엄청난 속도로 확장을 한 결과, 해군력이 인도 해군보다 우세해서 인도도 상당한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파키스탄과 근 50년 동안 세 차례에 걸친 전쟁을 벌여 풍부한 실전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아시아에서 가장 선진적인 항모운용국이다. 항모 운용경험은 아시아 국가 중 최고로 길다. 뛰어난 전투실력을 가진 것으로 유명한 전투민족 시크교도와 구르카족들을 병력으로 보유하고 있는 군대이기도 하다.

인도 해군은 원자력 잠수함 보유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으나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오래도록 그 꿈을 이루지 못했다. 소련으로부터 찰리급 순항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1척을 임대해서 몇년 썼으나 제대로 된 공격 잠수함이 아니라 별 재미 못 보고 반환. 그러나 찰리급에 탑승했던 승조원들은 이후 인도 잠수함대의 중심 인물들로 성장하였다.

2009년 들어 드디어 자국산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SSBN) '아리한트' 함을 진수시키고(진수식에 총리 부부가 직접 참석할 정도로 기대가 크다), 러시아에서 아쿨라급 잠수함 1척을 도입하여 호위용으로 쓸 계획...이었지만 아리한트는 원자로 트러블로 진수하자마자 다시 도크로 들어갔으며, 러시아에서 오던 아쿨라급 잠수함은 동해를 지나다가 화재 사고를 일으켜 다수의 사망자 발생.

인도 공군의 경우 200시간 가까운 비행 훈련을 하기로 유명하며, 미 공군도 인정하는 몇 안되는 공군이기도 하다. 특히 전술적 이점을 많이 살리는 군대이기도 하고, 조종사 개개인의 기량도 뛰어난 편이다.[3] 2004년 미 공군과의 합동훈련인 Cope India 2004에서 F-15 편대를 압도한 적이 있다. 물론 인도 공군은 GCI를 받으며 Su-30K,[4] MiG-21 Bison, 미라주 2000 16대가 모든 고도를 점유하고 AWACS 지원도 못 받는 미 공군 F-15 6기 편대를 압박해서 얻어낸 전과다.

어쨌든 이러한 공군의 비결은 따로 있으니, MiG-21을 1년에 4대씩 꼬박꼬박 40년 가까이 비전투 추락시키며 훈련을 하고있다.[5] 참고로 2005년에 140대 추락을 달성했다. 물론 MiG-21의 복좌형이 훈련기로 많이 쓰이긴 했다지만 이건 90년대 이후고 그 전만 해도 그냥 날다가 추락. 거기다가 영국 프랑스에서 잘만 운용하는 재규어 또한 걸핏하면 추락. 잦은 사고로 이미지가 나쁜 공군이지만 전력유지와 향상에 대한 투자의지는 대단해서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종에 대해서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이거나 계획에 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양한 종류로 도입한 MiG-21 기체 중 상태가 양호한 것 위주로 Bison으로 성능향상 후 운용 중에 있고 MiG-27은 수명 연장과 전자장비의 성능향상을 2009년에 완료하였다. 인도 공군이 보유한 MiG-29의 경우에는 1980년대 도입한 초기 형태인데 90년대 엔진을 교체하고 몇 차례의 성능향상이 진행되었고 2000년대 들어서는 보유하고 있는 69대를 수명 연장 및 파조트론(Phazotron)사의 Zhuk-ME 레이더를 장착 등을 포함한 대대적인 성능향상으로 MiG-33 수준으로 성능개량사업을 진행중에 있고 50여대 규모의 다소 미라지 2000H를 엔진, 레이더, 무장, 항전장치 등을 최신형인 미라지 2000-9수준으로 향상하는 계획을 2011년 말에 확정하고 진행 중이다. 그 외에도 SPECTAT 재규어 공격기의 성능개량을 기획 중에 있고 아직 배치가 끝나지도 않은 Su-30MKI를 Su-35급으로 성능향상을 벌써 고려하고 있는데 Su-30MKI의 경우에는 답답한 부품 수급 때문에 러시아군과 동일한 부품사용으로 부품난에서 탈출하려는 의도도 있는 걸로 보인다. 그리고 프랑스와 협상하면서 라팔 전투기도 도입할 예정이다. #

인도군은 무기 사업에 관해서 되도록이면 자국산화를 꾀하고 있다. 물론 자국산화를 하면서 검증된 외국의 기계나 기술을 많이 접목시키는 등 나름 좋은 시도를 하고 있으나... 긴 말 할 거 없이 희대의 병맛전차 아준 전차의 원산지가 이 나라다. 거기에 더해 제식 소총조금만 추워져도[6] 총열이 무너지고 탄창이 무너지는 INSAS 소총, 그리고 열정페이 전투기 HAL 테자스까지. 라이센스산 무기도 다를바 없어서 같은 T-72도 원산과 라이센스산의 품질차이가 확연하다. 뒤떨어지는 정비,보수,유지 인력수준과 주가드 에 익숙한 엔지니어들의 불량한 관리, 이를 책임지기 싫은 부정부패까지 겹쳐 인도군의 높은 비전투손실률이 있는 것이다.

여하튼 예산과 인구, 실전경험 두루 풍부하고 국방력 강화에 의욕도 높은데 운영이나 전술, 정부(아르준 전차를 뽑으라고 한 것만 봐도)가 그다지 유능하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긴 하다. 인도군 자체도 정부가 추진한 자국산 무기를 사기보다는 외산 무기를 꽤나 자주 많이 사는 편인데, 정비라든가 기타 지원 시스템에 있어선 타국에 비해 떨어지는 면이 많기에 아예 주기적으로 새 장비를 사는 것이 오히려 싸게 먹혀서 그렇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렇게 내실없는 군대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거의 개발도상국의 모병제 군대가 갖는 군대의 성격때문에 그렇다. 인도는 규모의 경제 버프로 GDP 규모만 큰데다가 빈익빈부익부가 심하며 대다수 국민들 삶의 질이 떨어지다보니, 인도 군대는 인도의 서민층 청년들에게 일반병이라고 할지라도 모병제로서 장기복무가 가능하고 연금까지 주는 선망의 직종이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하층민 청년들이 과도하게 몰리게 되고 여기에 정치논리가 연결되어 군의 선진화를 방해한다. 여기다 인도는 역사적으로 수많은 다민족, 다종교 국가로 식민지 이전때부터 민족과 종교가 얽혀서 서로 견제하고 내부경쟁하느라 군의 일원화가 불가능했고, 영국 식민지때 세포이 항쟁 등 많은 군의 쿠데타로 곤욕을 치렀기 때문에 독립후 국가 안정을 위해 어떻게든 군의 힘을 빼려고 노력해왔고,[7] 그로 인해 한번도 쿠데타 없이 70년을 평화롭게 정권을 유지했지만 그 대가로 외부간섭이 많고 일관된 목표가 부재한 군대가 된 상태다. 하지만 현재는 중국과의 국경문제가 다시 본격적으로 대두되고 파키스탄, 스리랑카, 미얀마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정치적 갈등이 군사적 갈등으로까지 확대되다 보니 군의 체질을 더이상 방치할 수 없게 되어, 모디 정부 주도로 군사 개혁을 하며 강군이 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군사장비는 주로 러시아제를 사용중이나 미국과 유럽권 국가의 무기도 상당수 도입하여 사용중에 있다. 러시아는 인도에 항공모함이나 원자력 잠수함 등의 정치적으로 민감한 고성능 최신 무기도 판매할 정도로 인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전투기도 주로 러시아제이며 PAK-FA 개발에도 참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의 군사관계는 순탄하지는 않다. 왜냐면 러시아제 무기를 구입할 때 러시아는 비싼 값을 부르거나 도입일정을 지연시켜 인도와 갈등을 빚고 있는데[8] 특히 러시아측이 이미 도입한 장비의 부품을 인도가 주문한 시기에 제대로 공급하지 않아 수시로 러시아에 항의하기위해 사절단을 보내야 되었고[9] 2011년에는 아예 자체적으로 러시아를 배제하고 부품 공급 조달자 선정을 시도할 정도였다.

더군다나 러시아제 무기는 대체로 부품 교체 주기가 짧다. 특히 전투기 엔진의 경우 서방제 엔진에 비해 수명이 몇 분의 일 수준으로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개발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서방제 무기와 비슷한 성능을 발휘하되 짧은 교체주기는 군수 생산력으로 보완한다는 러시아 특유의 무기체계 공급 정책 때문이다. 소련 시절의 소련군이라든지 경제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상태의 러시아군에서는 그런 식으로도 자체 생산을 통해서 충분히 부품 수급이 가능하지만 러시아제 무기를 수입해서 쓰는 나라들 입장에서 러시아가 무기 부품 수급을 정치외교적 카드로 이용하기 시작하면 답이 없는 상태가 되어버린다.

인도는 이러한 무기 공급의 어려움으로 자국산 병기의 개발과 생산을 늘리려 시도 중이지만, 자체적인 개발능력 부족+ 정경유착+무능하기 짝이 없는 CEO 스테레오타입인 국방연구개발기구라는 대환장 삼위일체 콤보로 인해, 자국산 병기랍시고 개발된 것들이 바로 위에서 줄기차게 언급한 아준 전차 / INSAS 소총 / HAL 테자스 전투기이다. 이렇게 인도군 방위산업 3대 흑역사로 대표되는 암담한 수준의 방위산업 능력으로 인해 무기 도입의 다변화로 국방력을 향상시키려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인도의 핵개발로 경제제재와 미국 무기만이 아니라 유럽의 무기 도입선까지 끊어버려 인도의 정치가와 군관계자들의 증오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미국과의 군사협력 강화와 동시에 C-130,[10] C-17, P-8 대잠 초계기 등을 도입중이거나 협상 중에 있고[11] 차기 중등 전투기 사업에서는 러시아의 MiG-35를 초기에 탈락시키고 라팔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최종 후보에 두고 선정 중에 있는 등 예전에 비하면 러시아제 무기에 대한 의존도가 많이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핵잠수함이나 항공모함과 같은 정치적인 문제가 걸린 무기들은 러시아만이 공급해줄 수 있기에 어쩔 수 없이 러시아에 대한 의존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국경분쟁을 일으켰던 적도 있는 만큼 중국과 대립 관계이고, 파키스탄과는 당연히 주적 관계이다. 그래서 인도를 견제하려는 중국과 파키스탄은 밀접한 동맹관계를 맺었으며, 반대로 러시아는 또 중국을 견제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인도를 밀어주는 구도. 사실 핵무장이나 탄도 미사일 개발 등도 중국과의 패권 다툼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그러나 역시 아직까지 인도의 핵무기는 그 위력이 미지수이다.[12]

탈와르급 등 신형함의 건조로 원양 작전능력이 향상되면서 2008년 11월부터 소말리아 해적 소탕 작전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15척의 해적선을 격침시켰다. 탈와르급 3번함인 타라르 함은 2009년 11월18일 오만 해역에서 먼저 공격해온 해적선을 격침시켰는데 실은 해적에 납치된 태국 어선으로 밝혀졌다.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해사국 해적 정보 센터에서 2009년 11월 26일 “문제의 해적선이 해적에게 납치된 태국어선이었다”고 발표했다. 13명의 선원중 한명만이 살아남았고 그 한 사람도 인도 해군이 구출해준 것이 아니라 수영으로 가까운 육지까지 가서 이 사실을 알렸다고 한다. 자랑스럽게 해적소탕작전의 성과를 발표한 인도군 입장에서는 공개적으로 망신만 당한 셈이다.

2010년부터 인도군 36,000명이 중국 국경지대로 재배치되고 있다고 한다. 티베트 지역의 칭짱철도 개통으로 향상된 중국군의 수송 능력에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하며 2011년 3월까지 완료했고 추가로 2017년까지 10만의 병사를 배치할 예정에 있다. 중국과의 긴장감이 다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링크 링크

ADEX에 전시용으로 비치했던 실물 미사일을 인천항에 한 달 동안 방치하는 사고를 치기도 했다. #

파일:7k2akku.jpg

인도는 미사일 기술이 상당히 발달한국가이다. 2014년, 사거리 4,000km에 달하는 ' 아그니-4'의 시험 발사에 성공하여 중국의 대부분 지역을 핵으로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사 사거리 5천km의 '아그니-5'도 2015년 1월에 시험발사를 했다. 2018년 2월 아그니-5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

최근에는 낙살라이트 반군[13]에 대한 토벌을 시작했다. 반군에 대한 토벌은 정예부대들 뿐만 아니라 특수부대들까지 대규모로 투입되었다. 물론 낙살라이트 반군은 산악과 정글에 의존하며 게릴라전을 펼치는데다 다른 반군에 비해서도 가난에 시달리는 인도 국민들의 지지가 높기 때문에 인도군으로서 토벌이 쉽지 않을 듯하다.

이외에도 카슈미르에서 카슈미르 무장단체들을 토벌하며 파키스탄군과 산발적인 교전을 벌이고 있다.

파일:external/de29c5869707a2f35e2e110a5e39a4f9e2fa5f35364c406fc83cef229a4c4341.jpg
흔히 '인도군의 기행'이란 제목으로 이렇게 오토바이를 타고 묘기를 부리는 모습이 돌아다니기도 하는데, 사실 이들은 일반 야전부대가 아니라 묘기를 부리기 위해 만든 일종의 곡예부대다. 이들은 인도군의 국경 경비 부대인 BSF(Border Security Force) 소속 Dare Devils라는 오토바이 묘기단이다. 다른 국가의 공군/항공대 곡예비행팀과 비슷한 개념이다. 인도군 창설 기념식 등 큰 규모의 열병식을 행할 때 자주 등장한다.

2024년 10월 10일, 인도군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차세대 핵잠수함 2척을 자체 건조하기 시작했다. #

5. 복무 제도

인구가 많은 나라인 인도는 징병제를 하지 않고 모병제만을 시행한다. 또한 인도군은 장기 복무제를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진급누락을 자주 받지 않는다면 최대 35년 이상 근무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을 채운 이에게는 연금 혜택이 주어진다.

기본학력(중졸 이상)만 있다면 지원 가능한데다가[14], 한번 입대하고 사고만 안치면 장기복무가 가능하고, 사는 곳도 제공해주고 명예제대 후 나오면 국가에서 연금까지 주니 빈곤층과 서민들에게는 그야말로 꿈의 직장이나 다름 없어서 그 어느 나라보다 모병 신청자가 매우 많으며 군대 입대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나라다.

이로 인한 예산이 부담되어 나렌드라 모디 정권은 이를 개혁하고자 17.6세부터 21세의 젊은이를 대상으로하는 아그니패스(Agnipath)라는 이름의 4년 복무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연금 혜택이 없으며 복무 기간을 마친 후 75%는 제대해야 한다. 이에 인도에서 큰 반발이 일어나고 있다. # # # 이웃 국가 네팔에서도 외인부대 관련 협정 위반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

지원자가 많아서 병역판정검사는 굉장히 까다롭게 진행되며, 조금이라도 신체에 이상이 있거나 체력이 떨어지면 가차없이 현역띄우는 한국과 다르게 떨어트린다. 사회 일자리에 비해 군대가 매우 낫기 때문에 신검에 떨어진 지원자들이 군대를 가고 싶다고 울고 불고 애원하는 경우도 수두룩하다. 관련 글, 영상1, 영상2

6. 예산과 경제규모

( 2005년~ 2018년) 인도의 명목 GDP[15], 경제성장률, 국방비 흐름[16]
<colbgcolor=#c7c7c7,#333> 전체 명목 GDP(10억달러; 약 1조원) 경제성장률(constant prices; %) 영어위키 국방비 자료[17]: SIPRI(10억달러; 약 1조원)
2005년 834 9.2% 23.1
2006년 949 9.2% 24.0
2007년 1,238 9.8% 28.2
2008년 1,224 3.8% 33.0
2009년 1,365 8.4% 38.7
2010년 1,708 10.2% 46.1
2011년 1,823 6.6% 49.6
2012년 1,827 5.4% 47.2
2013년 1,856 6.3% 47.4
2014년 2,039 7.4% 50.9
2015년 2,102 8.1% 51.3
2016년 2,273 7.1% 56.6
2017년 2,602 6.6% 63.9
2018년 2,689 7.3% -

군사력과 경제력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국가의 경제규모나 경제력이 떨어지면 군사력도 쇠락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군사력의 예산 항목을 볼 때는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률, 명목 GDP도 함께 보아야 한다. 이것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GDP 대비 국방비도 국방예산의 중요한 참고자료이다. 신흥공업국 브릭스의 하나인 인도는 지속적으로 경제규모가 확대되었지만 2011년을 정점으로 명목GDP와 국방예산이 정체되는 국면에 빠졌다. 하지만 불변가격으로 집계한 경제성장률은 다른 국가와 다르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2011년 이후 명목상의 GDP기준 성장률이 일시적인 저성장 상태였으나 2014년에 탈출하였다. 2011년 이후 국방비도 정체되는 추세였으나 2014년 이후는 다시 증가하고 있다.

국방비 지출은 3위다. #

7. 수뇌부

명목상 통수권자 실질적 통수권자 국방장관 참모의장 [18]
파일:Droupadi_Murmu.jpg 파일:나렌드라 모디.jpg 파일:Shri_Rajnath_Singh,_in_New_Delhi_on_May_09,_2023.jpg 파일:Anil_Chauhan_Chief_of_Defence_Staff_(CDS).jpg
드라우파디 무르무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총리 라즈나트 싱 장관 (육)대장 아닐 초한
인도 육군
육군참모총장
인도 해군
해군참모총장
인도 공군
공군참모총장
통합참모의장 [19]
파일:Gen_Manoj_Pandey.jpg 파일:Adm_R._Hari_Kumar_CNS.jpg 파일:Chief_of_the_air_staff_ACM_Vivek_Ram_Chaudhari_PVSM_AVSM_VM_ADC.jpg 파일:LT_GEN_JOHNSON_P_MATHEW,_UYSM,_AVSM,_VSM.jpg
대장 마노즈 판데 대장 R. 하리 쿠마르 대장 비벡 람 차우다리 (육)중장 JP 마튜

오랫동안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은 탓인지 정복에 훈장을 주렁주렁 매다는 관습이나 군복 자체 등에서 영국군과 판박이고 계급 체계도 비슷하다. 같은 이유로 문민통제 또한 강력한 편인데 1947년 독립 이후에 아시아 국가에서 흔하게 일어났던 군사 쿠데타가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다.[20]

8.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군/계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구성

인도군는 군의 문민통제를 강화하고 쿠데타 군사정변을 막기 위해서 단순히 군종을 육해공으로 나누지 않고 국경경찰, 특수국경군 등 여러가지 군종으로 나누어서 서로 견제하도록 되어있다.

9.1.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2. 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 공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 공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4. 해안경비대

9.5. 준군사조직

특수국경군과 특수수비대는 인도 내각사무국 예하, 철도수비대는 철도부 예하, 나머지 조직들은 모두 내무부 예하 조직으로 되어있다. 이 중 아삼 수비대의 군정권은 내무부가 가지고 있지만 군령권은 국방부가 가지고 있다.

9.5.1. 아삼 수비대

1853년 'Cachar Levy'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고 1917년 현재의 이름인 아삼 수비대(Assam Rifles)로 개칭했다. 그간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등 수훈이 많고 현재는 내무부(Ministry of Home Affairs)산하로 현재 46개 대대가 편제되어있다.

9.5.2. 특수국경군

영어로는 SFF(Special Frontier Forces)로 중인전쟁에 참전했었고, 티벳으로부터의 망명객이 많이 입대했다.

9.5.3. 무장경찰

9.5.3.1. 경찰예비대
32만명으로 246개 대대가 편제되어있다. 인도 내의 준군사조직들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9.5.3.2. 국경수비대
인터넷에 흔히 보이는 인도-파키스탄 국경의 인도군이라고 나오는 사진의 주인공들이다. 국경 순찰용으로 오토바이를 많이 운용하다 보니 이륜차 운전에 도가 튼 사람이 많아서 국경수비대에서는 오토바이 묘기단까지 운영 중이다. 인도군이 열병식을 해서 퍼레이드 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오토바이 묘기의 주인공이 여기 소속.
9.5.3.3. 티베트 국경경찰
인도-티베트 국경을 수비한다.
9.5.3.4. 네팔/부탄 국경경찰
Sashastra Seema Bal. 인도- 네팔 국경과 인도- 부탄 국경을 수비한다.
9.5.3.5. 산업시설경비군
주요 산업 시설을 경비한다.
9.5.3.6. 국가보안군
대테러 신속대응 부대로 엘리트 군에 속한다. 3,000명의 부대원이 있고 인도의 주요 인사를 경호하는 역할도 맡는다.
9.5.3.7. 특수수비대
인도 총리와 그 직계 가족을 경호한다.
9.5.3.8. 철도수비대
철도를 경비한다.
9.5.3.9. 국가재해대응군

10. 장비

10.1. 육군

파일:인도 국기.svg 현대 인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인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INSAS/1B1 INSAS, T91, AKM, Vz.58*, MPi-KM*, AK-103, AK-203, CAR-15, M4A1, TAR-21, SCAR, CAR-817
저격소총 갈라츠, 드라구노프 SVD59, OSV-96, PSG1, 마우저 SP66, NTW-20/비드완사크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SAF 카빈 2A1, MSMC, ASMI, UZI, MP5, MP9, Mx4
권총 자동권총 9mm 1A, 글록 17
지원화기 기관총 INSAS LMG, 네게브, PKM, MG 2A1/5A/6A, M2 브라우닝, NSV, KPV
유탄발사기 GP-25, MGL 40mm, AGS-17, AGS-30
대전차화기 RCL Mk II, RCL Mk III, 106mm M-40A1*, 밀란 1/2T, 스파이크, 9M113 콘쿠르스, 9K135 코넷, B-300/시폰, RPO-A 시멜
박격포 OFB E1 51mm*, OFB E1 81mm, L16 81mm 박격포, OFB E1 120mm
맨패즈 FIM-92 스팅어, 9K38 이글라
*: 도태 여부 미확인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인도 국기.svg 현대 인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인도군 (1947~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M4A1E6C/R, M4A3E4, M4A4R, M4A1E9 (SA50)M/R M4A4 (76)C/R, M4A4 (SA50)M/R, M4A4 (D-56T)M/R
MBT 1세대 센추리온R, T-54BR, T-55(A/1951년형)R, 59식 전차C/R, 인디엔 판처
2세대 T-72A, 비쟈얀타R
3세대 T-90S 비쉬마 Mk.(1, 2) · T-90MS 비쉬마 Mk. 3, T-72M1 아제야 Mk.(1, 2), 아준 Mk.(1, 1A)
경전차 AMX-13R, PT-76, M3A3 스튜어트R, { 조라와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 BRDM-2, FV701 페렛, 카스피르, 아디트야, 타타 WhAP
궤도장갑차 BMP-2 사라스, BMP-1R, FV432, 타모르 HAPCM, PRP-3, NAMICA, { FICV}, Sisu NA-201, TOPAS(2A)/FRT TOPAS
차량 소형 마힌드라 550, 마힌드라AXE, 미쓰비시 파제로, 마루티 집시, 윈디 505, 타타 사파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티그르
트럭 KrAZ-6322, 스와라즈 마츠다, 이스즈 F시리즈,
VFJ-LPTA713TC · 스탈리온 Mk.(3/4),
타타 LPTA1615TC/1621 · 프리마 4038S/4938S · 타트라 BEML 시리즈
자주포 자주곡사포 FV433 애봇R, 2S1, K-9 바즈라-T, {MGS}
자주평사포 M-46 캐터펄트R
자주박격포 CMT
대전차자주포 Mk.I 아처R, M36B2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2K22M1 퉁구스카, 소스나-R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9K35 스트렐라-10, 9K33 오사, { BMP-2 아카시M}
다연장로켓 BM-21, 9A52-2T, 피나카 MBRL Mk.(1, 2, 3)
공병 차량 구난차량 VFJ 경구난차, 유크티라스 경구난차, CL-70, ARV-2, ARV-3, VT-72B
AEV AERV, BMP-2 불도저M, OT-62 FV180 C.E.T.
교량 차량 카르틱 ABL, MT-55, T-72 BLT, 살바트라, CEASE
기타 하이드레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10.1.1.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군/차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해군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현대의 인도 해군 함선 파일:인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393b42> 칼바리급(1967)R, 벨라급R, 시슈마르급, 신두고쉬급, 칼바리급, { P-75I}
SSN 차크라R, 차크라급
SSBN 아리한트급
고속정 비드윳/차마크급R, 방가람급, 트린카트급
원양초계함 {피파바급}, 수칸야급, 사리우급
초계함 마드라스급R, 아르날라급R, 두르그급R, 코라급, 쿠크리급, 압하이급, 카모르타급, 비르급
호위함 탈와르급(1958)R, 닐기리급(1972)R, 고다바리급, 쿠크리급R, 브라마푸트라급(초대)R, 브라마푸트라급, 탈와르급, 쉬발릭급, { 투쉴급}, { 트리푸트급}, { 닐기리급}
구축함 고다바리급R, 라지푸트급, 델리급, 콜카타급, 비샤카파트남급
상륙정 LCU 51급
상륙함 LPD 잘라슈와, {차기 LPD}
LST 가리알급R, 쿰비르급, 마가르급, 샤르둘급
정보수집/연구함 사가드와니급, 샌드하약급, 마카르급
경항공모함 비라트R
항공모함 비크라마디티야, 비크란트급, {비샬급}
소해함 퐁디셰리급
군수지원함 아디티야급, 디팍급, 죠티급, {FSS}
무인기 UUV 후긴 AUV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10.3. 공군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현대 인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인도군 (1950~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 Indian Armed Forces
<colbgcolor=#fff> 회전익기 <colbgcolor=#fff> 경헬기 <colbgcolor=#fefefe,#393b42>HAL LUH | 치타 | 체탁육/해/공 | 휴즈 269C해/R | 벨 47G-2R
다목적 헬기 드루브 Mk.(I/II/III)육/공 · 드루브 Mk.III(MR/CG해경) | Mi-17-(1V/V5) | Mi-8(T/MT) | 시킹 Mk.42(C) · UH-3H | S-62BR | Mi-4AR | S-55CR
수송헬기 CH-47F 치누크 | Mi-26
공격헬기 프라찬드육/공 | 루드라 Mk.(III/IV)육/공 | Mi-25 · 35E | AH-64E(I) 가디언 아파치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Ka-28 | 시킹 Mk.42B | Ka-25(C/PL)해/R
전투기 프롭 스핏파이어 (FR.XIVE/FR.XVIIIE)R | 템페스트 Mk. IIR
1세대 뱀파이어 (F.3/FB.52/NF.10/NF.54)R | 냇 F.1R | 아지트 Mk.1R | 시호크(FGA.6/Mk.100)해/R | 투파니R | 미스테르 IVAR
2세대 헌터 (F.56/FGA.56)R | MiG-21(F-13/FL/PF/SPS)R
3세대 MiG-21 바이슨M ·  MiG-21(M/MF/bis)R | MiG-23MFR
4세대 / 4.5세대 LCA 테자스 Mk.1(A) · { MWF 테자스 Mk.2} | MiG-29(B/UB/UPG) ·  MiG-29(K/KUB) "바아즈" | Su-30MKI | 라팔 (DH/EH) | 미라주 2000(H/I) "바즈라" | { TEDBF}
5세대 { AMCA} | FGFA
공격기 재규어(IS/IM/IB) "샴셰르" · 재규어 (GR.1/GR.3A)R | 시 해리어 FRS.51해/R | MiG-27(M/ML/UPG) "바하두르"R | MiG-23BNR | HF-73 | HF-24 마루트 (Mk.1/2)R | Su-7BMKR
폭격기 B-24J 리버레이터R | 캔버라 (B(I).58/B(I).66)R
수송기 HS 748 | Il-76MD "가자라지" | ERJ 135 | C-295W | An-32(RE) | C-130J-30 슈퍼허큘리스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 An-12AR | DH.104 도브R | DHC-3R | DHC-4AR | C-47(A/B)R ·  다코타 Mk.IVR | C-119(F/G)R | Il-14R | L-1049(C/E/G) 슈퍼 컨스텔레이션R | Tu-124(K/V)R
다목적기 BN-2(B/T) 아일랜더 | 오스터 AOP.6/AOP.9R | SA-6A 시랜드 Mk.I해/R | HAOP-27 키리샥R | 와피티 Mk.IIAR | 칸푸르 IIR
무인기 SUAV 아이디어포지 스위치 | 네트라 V
UAV IAI 헤론 TP | IAI 헤론 1육/공 | 서처 Mk.(I/II)육/해/공 | 니샨트육/R
UCAV 하롭 | { MQ-9B}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EI | ERJ145SM 네트라 AEW&C | Ka-31
전자전기 걸프스트림 III SRA-1
해상초계기 { C-295 MRMR} | P-8I 넵튠 | Il-38SD | Do 228-201해/공/해경 | Tu-142(M/MK-E/MZ)해/R | Br.1050 알리제해/R
정찰기 봄바디어 글로벌 5000 SIGINT | IAI 아스트라 1125 | B707-337C ELINT | MiG-25(RBK/RU)R | 캔버라 (PR.57/PR.67)R | 뱀파이어 PR.55R
공중급유기 Il-78MKI
훈련기 프롭 PC-7 Mk II | 바이러스 SW 80 가루드공/해 | HTT-40 | HPT-32 · HTT-34 디팩공/해 | CFM 스트릭 SL | DH.82 타이거 모스R | HAL HT-2R | AT-16 하버드 Mk.IIBR | 프렌티스 (T.1/T.3)R | HUL-26 푸시팍R
제트 호크 Mk.132공/해 | { HJT-36 시타라}공/해 | HJT-16 키란 Mk.(I/IA/II)공/해 | 미라주 2000(TH/TI) | 해리어 (T.60/T.4N)해/R | 재규어 T.2R | TS-11 이스크라 bis (D/DF)R | MiG-21(U/UM)R | 캔버라 T.4R | 헌터 T.66R | 마루트 Mk.1T | 뱀파이어 (T.11/T.55)공/해/R
표적예인 파이어플라이 (TT.1/TT.4)해/R
정부전용기 B737-7HI BBJ | B777-337/ER | 엠브라에르 레거시 600 | Mi-8PS | B737-2A7/AdvR | 빅커스 비스카운트R | Ae-45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10.4. 전략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그니 미사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출신 인물

12. 관련 문서

13. 기타

여느 개발도상국 국가의 군대가 공통적인 듯, 인도군도 이집트군이나 사우디군처럼 군악대 실력이 엉망인 것으로 유명하다.

14. 둘러보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46a38> 상징 국호 · 국가 · 국장 · 티랑가
역사 역사 전반
시대 인더스 문명 · 베다시대 · 십육대국 · 마가다 · 난다 왕조 · 마우리아 왕조 · 쿠샨 왕조 · 굽타 왕조 · 팔라 왕조 · 델리 술탄국 · 무굴 제국 · 인도 제국 · 인도 자치령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인도 연구분석원 · 인도 총리 · 인도/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영연방 · 상하이 협력기구 · Quad · BRICS · G20 · G4 · D10 · IPEF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인도 루피
사회 사회 전반 · 카스트 · 암살단
국방 인도군 ( 인도 육군 · 인도 해군 · 인도 공군)
문화 문화 전반 · 인도 신화 · 힌두교 · 요리 · 남인도 요리 · 커리 · 비르야니 · 인도/스포츠 · 인도 영화 · 인도 드라마 · 인도/관광 · 인도 크리켓 국가대표팀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 힌디어 · 인도/언어 · 인도 공과대학교
인물 고타마 싯다르타 · 아소카 대왕 · 찬드라굽타 1세 · 바부르 · 악바르 대제 · 샤 자한 · 아우랑제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 자와할랄 네루 · 마더 테레사 · 인디라 간디 · 나렌드라 모디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지리 데칸고원 · 힌두스탄 · 인도 반도 · 히말라야산맥
민족 인도인 · 인도아리아인 · 드라비다인 · 마라티인 · 구자라트인 · 카슈미르인 · 펀자브인 · 라지푸트 · 구자르인 · 파르시 · 타밀족 · 콘칸인
디아스포라 인도계 미국인 · 인도 유대인 · 인도계 영국인 · 인도계 프랑스인 · 인도계 러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계 캐나다인 · 인도계 피지인 · 재한 인도인 · 인도계 멕시코인 · 인도계 일본인 · 인도계 호주인 · 인도계 뉴질랜드인 · 인도계 독일인 · 인도계 스페인인
기타 인도/인구 · 인도인 캐릭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인도 제국 인도 제국군
인도 인도군 }}}}}}}}}



[1] 힌디어로 '바라티야 스탈라세나' 라고 읽는다. [2] 인도 제국의 영국 직할령과 달리 번왕국들은 간접 통치를 받았기에 명목상의 자치권을 유지했다. 전쟁 발발 시에도 번왕국들의 군대는 인도 제국군이 아닌 제국 의용병대에 속했다. [3] 미 공군의 평가로는 포스트 스톨기동( 코브라 기동)에 집착하는 점만 제외하면 우수하다는 평가. [4] N001VE 레이더 탑재기로서 능동유도미사일인 R-77을 사용할 수 없다. 인도 공군 전투기들이 R-77을 사용할 수 있게 된건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장착한 Su-30MKI로 업그레이드된 2008년부터이다. [5] 대한민국과는 대조되는데 다음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의 손실이 F-4E 팬텀으로 70년대에 도입한 노후 기종이다. 공군의 문제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참고로 F-4E 팬텀은 전량 대체 예정이다. # 다만 MiG-21 또한 팬텀과 같은 3세대 노후 전투기이니 그렇게 따지면 인도 공군의 문제도 아닌게 되는 셈. 좌우간 노후 전투기는 제때 교체를 해줘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고 인도 공군도 그 점을 모르지 않기 때문에 MMRCA 사업도 진행하고 이것저것 노력하고 있다. [6] 설계미스긴 해도 있음직한 일이다. 왜냐하면 문제가 생긴 전장이 카슈미르와 히말라야다. 즉 조금 추운 데가 아니다. [7] 예를 들어 세포이 항쟁의 원인이기도 했고, 파키스탄과의 분단이 현실화 된만큼 인도군에서 무슬림을 받아들일 수 없으니, 무슬림 비율이 높고 식민지 시절 군에서 문제를 일으켰던 펀자브나 벵갈인들은 노골적으로 군에서 배제했다. 그렇게 되니 다른 민족들도 한군데에 모으게 되면 그 자체가 정치세력화 될 것을 우려해 장교는 물론이고 사병들도 어떻게든 같은 민족 또는 같은 종교끼리 뭉치지 못하도록 여기저기 쪼개고 군령권, 군정권과 편제를 어떻게든 흩고 섞어서 내부 사조직화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8] 대표적인 사례가 항공모함 비크라마디티야함이다. [9] 러시아와 인도의 군사협력관계의 상징과도 같은 Su-30MKI마저도 부품수급의 곤란으로 정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리도 있었다. [10] 인도 공군참모총장은 C-130J를 인도받는 날 인도 공군에 있어 역사적인 날이라고 말했는데 왜 역사적인 날이냐 하면 최초로 인도일보다 빨리 받아봤기 때문이란다. [11] 아직까지는 무기금수조치와 경제제재로 미국에게 당한 감정이 있기에 전투기와 같은 핵심 전력은 미제를 기피하고 있다. 중형 전투기 선정사업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에 방문한 만모한 싱 총리에게 미국산 F-16이나 F/A-18의 도입을 직접 부탁했지만 초기에 탈락했다. [12] 생각보다 파괴력이 적은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자국에서도 나오고 있다. 우리 핵은 고작 작은 국가 하나밖에 못 날려먹어! 어쩌지? [13] 인도 마오주의계 공산당의 준군사조직이며 인도 정부에서는 테러집단으로 지정했다. 실제로도 극빈곤층이 죽창 대신 총들고 일어난 세력에 가까워서 부패한 기득권층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부자. 그리고 그들을 비호하는 공권력 종사자들 한정이긴 하지만 무차별 테러를 일삼고 있다. [14] 다만 그 "기본 학력"을 충족하는 인구가 전체의 40%도 안된다. [15] (2005년~2018년)인도의 명목 GDP, 경제성장률 흐름 [16]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군비자료 [17] List of countries by past and projected military expenditure (current US$) [18] 인도군의 경우 해당 보직이 공석일시, 후임자가 나올때까지 돌아가면서 각군 참모총장들 중 한 사람이 겸직하는 체제로 되어 있다. [19] Chief of the Integrated Defence Staff [20] 사실 세포이 항쟁만 보더라도 알지만 인도는 지역성이 강하기 때문에 반란에 동조할 구심점 자체를 가지기도 어려우며 성공해도 델리나 그 주변에서만 알아주는 정권이 되어 버릴 확률이 높다. [21] 경찰의 주요 무장 중 하나로 인도 뭄바이 테러 진압에도 등장. [22] 일부 특수부대에서 사용 중. [23] 대 중국전을 대비해 5천m 이상의 고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2022년 11월부터 양산에 들어갔으며, 수출에도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어서 약간 늦긴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경쟁하게 될 LAH에 대해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는 중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