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4 09:42:57

코트디부아르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7F00 33%,#fff 33%,#fff 66%,#009E60 33%)"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F77F00 33%,#fff 33%,#fff 66%,#009E60 3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77F0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콩 제국 · 아샨티 제국 ·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이슬람 협력기구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경제 CFA 프랑/서아프리카
국방 코트디부아르군
문화 문화 전반 ·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코트디부아르 농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트위어 · 풀라어 · 하우사어 · 밤바라어 · 모시어
인물 알라산 와타라
지리 아비장 · 부아케 · 야무수크로 · 콩(코트디부아르)
민족 아칸족 · 아샨티족 · 하우사족 · 밤바라족 · 모시족
}}}}}}}}} ||

파일:IVORIAN BTR.jpg
파일:WZ551 Cote.png
파일:Special force of Cote.jpg
파일:Ivorian p400.jpg
코트디부아르군
Forces Armées de Côte d'Ivoire
FACI
파일:Coat_of_arms_of_Ivory_Coast_(2).svg
국가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상비군 25,000 명 ( 2017년)
준군사조직 7,000 명 ( 2017년)
전차 15 대 ( 2021년)
장갑차 700+ 대 ( 2022년)
견인포, 박격포 30+ 문 (2022년)
자주포 0 대 (2022년)
MLRS 6 대 (2022년)
헬리콥터 15 기 (2022년)
공군기 총합 25 기 (2022년)
예산
국방비 총합 589,900,000 달러 ( 2022년

1. 개요2. 역사3. 육군
3.1. 육군 개요3.2. 육군 편제 및 배치3.3. 육군 장비 현황
4. 해군5. 공군6. 기타

[clearfix]

1. 개요

코트디부아르의 군대로 정식 명칭은 코트디부아르 공화국군 이다. 총 병력은 2022년 기준 22,000명이다. 사하라 이남 서아프리카에서 높은 경제 수준을 보유한 국가이기 때문에 경제력을 바탕으로 지역강국의 위치에 올라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전부터 이어지던 내전으로 인하여 병사 개개인의 숙련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2년부터 재무장 패키지의 일환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우크라이나 등에서 기갑, 포병장비를 구입중이다. 알라산 와타라 현 코트디부아르 대통령이 전쟁으로 약체화된 국가를 성공적으로 회복, 회복 이상으로 높게 경제를 성장시키며 군에 대한 투자도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2010년대 들어 14, 17년에 2번의 임금 인상 파업으로 동원령을 해제하여 병력 규모를 대폭 감소시킨 대신 병사의 임금 수준도 월등히 높아졌다. 2022년 독립기념일 퍼레이드에서 WZ551 장갑차나 프랑스제 VAB가 등장하여 큰 충격을 주었는데 점점 장비, 장구류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2. 역사

전신은 당연히 지배국이였던 프랑스군이다. 코트디부아르 다카르가 수도인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한 지역이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는 20,000명, 제2차 세계 대전때에는 30,000명을 파병하여 큰 활약을 한다.

1960년 8월 7일, 코트디부아르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고 프랑스와의 조약을 통하여 프랑스의 장비 지원, 군사 고문단의 지원을 활성화하였으며 당연히 초기 부대 창설은 프랑스가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또한 아비장에 프랑스군의 주둔을 계속하도록 허가하였으며 소요 사태 발생시에는 프랑스군 지원을 요청할 수 있었다. 독립 직후에는 크게 재정적인 여유같은게 없었기 때문에 5,000명 규모를 유지하였었다. 냉전 종식 7년 후인 1999년 최초의 쿠데타가 발생하며 국가의 안정성은 무척 불안정해졌으며 이후 10년 이상 정국은 혼란스러웠다. 2014년 반군과 통합 이후에도 일부 점조직화된 군을 재편하는 데에 약간의 마찰이 존재하고 있다.

3. 육군

3.1. 육군 개요

<rowcolor=#ffffff> 파일:Coat_of_arms_of_Ivory_Coast_(2).svg
Armée de terre
파일:코트디부아르 그린베레.jpg
파일:cote-divoire.jpg


이 국가는 국방부의 권한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비교적 강한데, 세관과 경찰청이 국방부 산하이다. 2022년 독립기념일 퍼레이드에서도 VAB 장갑차가 국방색이나 카모플라주 없이 경찰 소속으로 나온것도 이 때문이다.
정식적인 군대는 총 5개의 군관구로 나뉘어 운용중이다.

분명히 내전으로 국가 재정이 파탄나고 군사집단이 약체화 되는것이 일반적이지만, 10년이라는 시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경제 재건, 군사 재건에 힘을 쏟았는지 1960년 국가 탄생 이래 군사력 자체는 제일 강력하다. 특히 WZ551이라는 신형 APC를 도입하고 신형 프랑스제 장비인 VAB, 지상군을 지원하기 위해 DT-26등의 소형 드론도 도입하였다.

아래에 장비 현황에 나올 대부분의 장비들은 프랑스제던 프랑스제가 아니던 프랑스의 지원으로 구입하거나 리스받은게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2002년 이후 재무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많은 수량의 장비들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주요 장비로는 그리고 추정에 따라서는 5대의 M1 에이브람스를 구매했을 확률이 있다.

육군은 베레모로 병종을 구분 가능하다.

3.2. 육군 편제 및 배치

육군은 총 14개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신속 대응 대대 (Un bataillon de réaction rapide)
  • 제1 낙하산 특공대대 (Le 1er bataillon de commandos parachutistes)
  • 4개의 보병 대대 (Bataillons d'infanterie)
  • 기갑 대대 (Bataillon blindé)
  • 지대공 포병대대 (Un bataillon d'artillerie sol-air)
  • 지대지 포병대대 (Un bataillon d'artillerie sol-sol)
  • 공병대대 (Un bataillon de génie)
  • 특수부대 (Un groupement des Forces Spéciales)
  • 지휘 및 지원 대대 (Un Bataillon de Commandement et de Soutien)
<rowcolor=#ffffff>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육군사령부
<rowcolor=#ffffff> 제1 군사 사령부 제2 군사 사령부 제3 군사 사령부 제4 군사 사령부
<rowcolor=#ffffff> La Ire région militaire
아비장 본부
La IIre région militaire
달로아 본부
La IIIre région militaire
부아케 본부
La IVre région militaire
코로호 본부

3.3. 육군 장비 현황

코트디부아르 육군의 주력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T-55 주력 전차 소련 10대
M1 에이브람스 주력 전차 미국 5대 운용이 확실하지 않다
코트디부아르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BMP-1 보병전투차 소련 10대
WZ551 보병전투차 중화인민공화국 16+대
ERC-90 차륜형 장갑차 프랑스 7대
AML-60 / AML-90 차륜형 장갑차 프랑스 14대
BRDM-2 병력수송장갑차 소련 18대
BTR-80 병력수송장갑차 소련 6대
BTR-70BM 병력수송장갑차 벨라루스 4대
BTR-60 병력수송장갑차 소련 30대
VAB 병력수송장갑차 프랑스 13대
오토카르 코브라 병력수송장갑차 튀르키예 20+대
BTR-60 병력수송장갑차 소련 30대
RG-31 Nyala MRAP 영국 2대
맘바 MRAP 남아프리카 공화국 10대
카스피르 MRAP 프랑스 2+대
ACMAT VLRA / ALTV 소형전술차량 프랑스 500대
코트디부아르 육군의 다연장로켓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BM-21 다연장로켓 소련 6대

4. 해군

<rowcolor=#ffffff> 파일:Coat_of_arms_of_Ivory_Coast_(2).svg
Marine nationale
파일:voenno-morskie-sily-kot-d-ivuara-nav-images-in-publ.jpg
파일:ivorian-navy-nav-images-in-publ (1).jpg

내전 중 국가의 재정 대부분이 육군 공군에 투자되어 정작 515km의 해안선을 순찰해야 될 연안해군의 목적을 상실했던 집단이다. 내전 직후에는 아비장 주변 해안 감시도 버거운 수준이었다. 그나마 이후 주기적인 투자와 함정 구입, 2022년 9월에 P400급 초계정 1대를 오버홀 후 프랑스로부터 인도받으며 기니 만, 서아프리카 일대의 해양세력중에서는 높은 수준의 전력으로, 단기간에 해군의 규모가 강화되었다.
코트디부아르 해군의 함선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P400급 초계정 프랑스 1대
OPV-45급 순찰선 고속정 이스라엘 2대 1대
RPB-33급 순찰선 고속정 영국 3대
RPB-20급 순찰선 고속정 영국 1대
RPB-12급 순찰정 고속정 영국 4대
바트랄급 LST 상륙정 프랑스 1대

5. 공군

<rowcolor=#ffffff> 파일:800px-Roundel_of_Côte_d'Ivoire.svg.png
Armée de l'air
파일:49726_1386260564.jpg (1024×702) - Google Chrome 2022-10-03 오전 1_13_18 (2).png
파일:tu-vmc-ivory-coast-air-force-casa-c-295w_PlanespottersNet_940668_855f6d140c_o (2).jpg

다수 보유 및 운용중이던 MiG-23, Su-25는 내전으로 파괴되었고, 현재는 각각 2대가 남아 있으며 공격헬기인 Mi-24 6대를 운용중이다.[1] 이외에는 VIP수송기인 보잉 B727 A319를 보유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공군의 기체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Su-25 공격기 소련 2대
MiG-23 공격기 소련 2대
Mi-24 공격헬기 소련 6대 2020년에 1대가 추락
AW139 헬리콥터 이탈리아 1대
AW101 헬리콥터 이탈리아 3대
SA330 헬리콥터 프랑스 3대
알루에트 III 헬리콥터 프랑스 2대
CASA CN-235 수송기 스페인 1대
An-26 수송기 소련 2대
An-12 수송기 소련 1대
B727 여객기 미국 1대
A319 여객기 유럽연합 1대

6. 기타

열병식을 매 독립기념일마다 하는데 생각보다 매우 볼만하다. 장비가 꿇리는것도 아니고 프랑스의 지원으로 기계화율이 높아 난생 처음 보는 프랑스제 장비들도 볼 수 있다.









[1] 이전까지는 7대였으나 2020년에 1대가 추락하여 6대를 운용중이다. 조만간 재보충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