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0:27:28

알제리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30 50%,#fff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D1D1D,#e2e2e2
<colcolor=#fff><colbgcolor=#006230> 상징 국가 · 사막여우
역사 역사 전반 · 누미디아 · 반달 왕국 · 함마드 왕조 · 알제리 독립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민족해방전선 · 민주국민연합 · 알제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알제리 디나르
국방 알제리군 · 알제리 해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플리사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프란츠 파농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압델카데르 벤살라 · 압델마지드 테분
지리 사하라 사막 · 아틀라스 산맥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 · 베르베르
}}}}}}}}}}}} ||
알제리 인민국군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شعبي الجزائري
Algerian People's National Army
파일:ANPlogo1.png
세계 군사력 순위 28위 ( 2020년)
상비군 130,000명(77위)
예비군 290,000명[1]
육군력
1세대 전차 275대
2세대 전차 625대
3세대 전차 180대(+?대)
전차 총합 1,105 대(+?대)
장갑차(APCs/IFVs) 2,663대
견인포 100문
박격포 350문
자주포 250대
MLRS 0대
수송 차량 550대
해군력
4,000톤급 호위함[2] 0 척
3,000톤급 호위함 0 척(+3 척)
2,000톤급 호위함[3] 3 척(+2 척)
초계함, 고속정 18 척[4]
잠수함 4 척
전투함 총합 41 척
공군력
5세대 전투기[5] 0 기(14 기[6])
4.5세대 전투기[7][8] 42기 + 16기
4세대 전투기[9][10] 32 기 + 14기
조기경보관제기( AWACS) 0 기
공중급유기 0 기
공군기 총합 440 기
헬리콥터 191 기
항공기 총합 440 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육군3. 해군4. 공군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알제리의 군대. 알제리 인민 국가군은 아프리카 내에서 이집트군과 함께 가장 고도의 전력을 보유했다고 평가받는 무력집단이다. 줄여서 알제리군이라고 불린다.

알제리에서도 역시 징병제를 채택했으며, 의무복무기간은 1년이다.

2. 육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nks-Algeria.jpg
알제리 육군
창설 1962년
정규군 107,000 명 (2007)
예비군 150,000 명 (2007)

파일:알제리 국기.svg 현대 알제리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30 50%, #FFFFFF 50%)"
알제리 인민군 (1962~현재)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شعبي الجزائري | Armée Nationale Populaire
<colbgcolor=#006633> 기타전차 <colbgcolor=#006633> 경전차 AMX-13/75R
중형전차 T-34/85R
MBT 1세대 T-55(AMR/AMV) | T-54R
2세대 T-72(M/M1) | T-62
3세대 T-90SA | T-72(M1M/B/AG)
장갑차 차륜장갑차 복서 IFV | 푹스 2 | M1224 MaxxPro | BTR-80 | BTR-60(PB/PU) | OT-64A | BRDM-2(M) | 파나르 M3 | BCL-M5R | BTR-40R | BTR-152R
궤도장갑차 BMPT-72 체르미나토르 2 | BMPT-62M | BMP-2M 베레조크M | BMP-1M | OT-62 토파스R
차량 소형 GAZ 티그르 코넷-EM | 님르 II | 험비 | 오토카르 코브라 | 메르세데스-벤츠 G바겐 · 스프린터 | 랜드로버 디펜더 | 토요타 랜드 크루저 픽업 | UAZ-469R
트럭 SNVI M120 · M230 · M350 |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 제트로스 · 악트로스 · 악소르 | ZiL-157R
자주포 자주곡사포 PLZ-45 | 2S3(M/M1) 아카치야 | 2S1 그보즈디카
자주박격포 님르 II 하피트 640A 6x6 SPMM | WMZ-551 SM-4 | AML-60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판치르-S1(M) | ZSU-23-4M4 쉴카-M | ZSU-57-2R
자주식 SAM 9K332 토르-M2E | 9K33 오사 | 9K31 스트렐라-1R
다연장로켓 TOS-1 부라티노 | BM-30 스메르치 | SR-5 | BM-21 그라드 | BM-14 · 16 · 24R
공병차량 구난차량 BREM-1SA | 이바노베츠 KS-69731 크레인 | 립헬 G-BKF 크레인
AEV IMR-2MA
교량차량 MTU-55 | MTU-20
기타 PTS-2 수륙양용 수송차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44px; margin-bottom: -6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3. 해군

4. 공군[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lgerianHercules7T-WHE.jpg
알제리 공군
창설 1962년
항공기 440기
헬기 191기
알제리 공군의 보유 항공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MiG-29S/UB/M/M2 다목적 전투기 러시아 46 기 14 기
MiG-25P/PD/RBSH 정찰기/ 요격기 러시아 18 기
Su-24MK2 전폭기 러시아 38 기
Su-24MRK2 정찰기 러시아 4 기
Su-24MP 전자전 러시아 2 기
Su-30MKA 다목적 전투기 러시아 57 기 16 기
Su-30BM 다목적 전투기 러시아 16기
Su-34ME 전투폭격기 러시아 14기
Su-57 다목적 스텔스 전투기 러시아 0기 14기
알제리 공군은 2006년 34대의 MiG-29SMT를 주문하였는데 2007년 15대를 시작으로 MiG-29SMT인도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돌연 성능상의 하자를 이유로 반품을 요구하였다. 이후 반품과 함께 대금의 환불을 요구하며 계약을 취소하였다. 이는 미그29의 성능의 하자보다 국방예산을 같이 도입하던 SU-30에 집중하기 위해 알제리 정부가 벌인 소동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결국 이 기체들은 러시아 공군이 인수하였으며 현재 쿠르스크 항공군에서 잘 운영하고 있다.

SU-30MKA 성능에 매우 큰 만족을 표한 알제리 공군은 노후화 된 MiG-29S 버전 기체를 대체 하기 위해 2019년 9월 9일 추가로 러시아제 전투기 30대를 총 미화 20억 달러 이상 규모에 16대의 다기능 중전투기 Su-30MKA와 14대의 중형 MiG-29M/M2 버전 전투기 도입 계약을 MAKS-2019 에어쇼에서 체결 하였다고 알제리 방위 산업 블로그 MenaDefense 는 방위 산업의 Vedomosti에 소식통을 인용 하여 공식 발표 하였다. #

2019년 SU-34M의 수출 버전 SU-34ME를 14대 구매 하였으며 통신 시스템이 러시아 내수 버전과 차이를 둔 거 외에는 다운그레이드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하며, 알제리 공군이 구매한 SU-34ME 14대의 인도는 2023년 까지 완료한다고 한다. #

2020년, 러시아로부터 Su-57 14대를 공급 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총 금액은 20억 달러 규모 라고 한다. 2028년 부터 첫 기체가 인도 될 예정이다. #[12]

2021년 7월 29일 밀리터리 워치 매거진 보도에 의하면 알제리 공군이 노후화 된 구형 MiG-29S 버전 전투기 전력 대체를 위해 프랑스제 라팔 전투기를 거부하고 러시아의 Su-30MKA 전투기 현대화 및 추가 도입을 선호 하고 있다고 한다. # 한편, 알제리 공군은 2019년 Su-30MKA 16대와 MiG-29M/M2 버전 14대를 추가로 더 주문했으며, 2024년 까지 70대 이상의 SU-30MKA 전력화를 이루게 된다. #

5. 관련 문서


[1] 국가별 병력 현황 [2] 다른 국가와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광개토대왕급을 4,000톤급 호위함으로 분류함. 구축함급은 최하 만재배수량이 5,000톤급 이상인 군함으로 구축함으로 분류하며 모든 국가에 공통적으로 적용함. [3] 2,000톤급은 전후 300톤 까지는 융통성 있게 분류함. 예: 2,300톤~1,700톤 이면 2,000톤 호위함으로 분류. 4,000톤급은 전후 400톤 까지는 융통성 있게 분류함. 3,600톤 이상부터 4,000톤급으로 분류함. 이렇게 분류하는 이유는 만재 배수량에서 오차가 있고 상당수의 군함들이 이 오차내에서 몰려있기에 그러함. [4] 1,500톤 미만인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특수작전부대(특작부대) 제압, 기습전, 해안방어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기에 각종 병기의 위력이 낮은 편이라 5,000~10,000톤급 이상의 함정이 여럿 투입되는 대규모 함대전에 쓸 수 있는 유효한 전력이라고 볼 수 없다. 적군 측에 혼란을 주거나 해당국의 최대 함정이 초계함 혹은 고속정이라는 해괴한 상황이 아니라면 대형 함정들의 함포 및 어뢰에 의해 순식간에 파괴될 수 있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투입하지 않는다. [5] 5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6] 러시아로부터 Su-57 14기 공급 계약 체결 [7] 4.5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8] 4.5세대 분류법 (2) [9] 4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10] 4세대 전투기 분류법(2) [11] 알제리 공군기 [12] 이로서 알제리는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5세대 전투기를 도입하게 되는 국가가 되었다. [13] 공군기지 목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