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4a96><colcolor=#fff>
필리핀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필리핀 육군 |
필리핀 해군 [[필리핀 해병대| 필리핀 해병대 ]]
|
필리핀 공군 | }}}}}}}}} |
필리핀군 관련 틀 | ||||||||||||||||||||||||||||||||||||||||||||||||||||||||||||||||||||||||||||||||||||||||||||||||
|
<colcolor=#fff> 필리핀군 Sandatahang Lakas ng Pilipinas Armed Forces of the Philippines |
||||
파일:필리핀군기.svg | ||||
<colbgcolor=#004a96> 국가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
|||
소속 | 필리핀 국방부 | |||
통수권자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필리핀 대통령) | |||
지휘권자 | 질베르토 C. 테오도로 (필리핀 국방부장관) | |||
군령권자 | 로미오 브라우너 주니어 (필리핀 합동참모의장) | |||
상비군 | 150,000명 | |||
예비군 | 1,400,000명 | |||
병역제도 | 모병제 | |||
육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4a96><colcolor=#fff>
장갑차 (APCs/IFVs) |
559대 | ||
자주포 | 12문 | |||
다연장로켓 | 18문 | |||
수송 차량 | 8,438대 | }}}}}}}}} | ||
해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4a96><colcolor=#fff> 해군 전투함 총합 | 120척 | ||
호위함 | 2척 | |||
초계함 | 8척 | |||
LPD | 2척 | |||
LST | 3척 | }}}}}}}}} | ||
공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4a96><colcolor=#fff> 항공기 총합 | 214기 | }}}}}}}}} | |
예산 | ||||
국방비 | 2,856억 페소 (2024년) |
[clearfix]
1. 개요
필리핀의 국군.2. 상세
필리핀은 2013년부터 견실한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낙후되었던 군사 전력 확충에 나섰다. 고급 체계는 제대로, 하위 체계는 가능한 저렴하게 확충하는 극단적인 하이 로우 믹스 방식으로 장비를 도입하고 있다.두테르테 정부 당시 과격한 치안정책으로 서방 국가들에게 인권범죄국으로 낙인찍혀 무기 도입이 막혔고,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무기를 도입하면 제재가 더 심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력확충의 많은 부분을 이스라엘제 무기에 의존하고 있었다. 두테르테 이전부터 필리핀군 당국은 서방규격에 맞는 돌격소총을 찾다가 K-2 돌격소총과 K-1 기관단총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한국제 무기 또한 적잖이 도입하고 있다. 육군은 한국제 차량 2종류 및 구룡, K2 소총, K16 기관총, K3 경기관총 등을 사용하고 있고, 공군은 FA-50PH, 해군에서도 참수리급이나 포항급, 호세 리잘급과 같은 한국제 군함을 운용하고 있다. 다만 한국의 주요 방산수출품인 K-2 흑표전차와 K-9 자주곡사포와 같은 기갑 전력에 대해선 필리핀의 좁은 국토와 환경, 예산 문제로 난색을 보이고 있어 큰 규모의 계약보다는 소규모 계약 또는 점진적 형태의 계약을 주로 하고 있다.[1]
3. 예산
( 2000년~ 2014년) 필리핀의 명목 GDP [2], 경제성장률, 국방비 흐름[3] | |||||||||||||||
종류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추정치 |
전체 명목 GDP(10억달러; 약 1조 원) | 81 | 76 | 81 | 83 | 91 | 103 | 122 | 149 | 173 | 168 | 199 | 224 | 250 | 272 | 289 |
경제성장률(%) | 4.4% | 2.8% | 3.6% | 4.9% | 6.6% | 4.7% | 5.2% | 6.6% | 4.1% | 1.1% | 7.6% | 3.6% | 6.8% | 7.1% | 6.2% |
전체 국방비(100만 달러; 약 10억 원) | 2,120 | 1,973 | 2,071 | 2,282 | 2,127 | 2,145 | 2,202 | 2,414 | 2,391 | 2,322 | 2,438 | 2,225 | 통계가 없음 | 통계가 없음 | 통계가 없음 |
GDP 대비 국방비(%) | 1.6% | 1.5% | 1.5% | 1.6% | 1.4% | 1.3% | 1.3% | 1.3% | 1.3% | 1.3% | 1.2% | 통계가 없음 | 통계가 없음 | 통계가 없음 | 통계가 없음 |
4. 수뇌부
4.1. 현재 수뇌부
통수권자 | 국방부장관 | 합동참모의장 | 육군사령관 | 해군사령관 | 공군사령관 |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질베르토 테오도로 | 대장 로미오 브라우너 주니어 | 중장 로이 M. 갈리도 | 중장 토리비오 아다치 주니어 | 중장 스티븐 파레뇨 |
5. 역사
흔히 피지배 민족은 군대를 가질 수 없다는 착각을 하지만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현지인들로 구성된 군대를 보유할 수 있었다.[4] 1897년 육군이 창설된 이후로 50년 뒤 태평양 전쟁때 일본군과 싸웠고, 일본군에게 필리핀이 함락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게릴라 활동을 벌여 미군의 필리핀 탈환이 수월하게 만들었다.일본 제국의 괴뢰국이었던 필리핀 제2공화국 시기에는 대통령 경호대를 제외한 군대가 해산되었고 일본은 정규군 대신 마카필리라는 친일반공 무장단체를 창설해 반게릴라 활동을 시켰다. 근데 대부분은 일본군의 기밀을 미국에 비밀리에 누설하는 등 역으로 행동했으며 비협조적이였다. 미국이 신뢰하는 이유가 있는 것.
독립 이후에도 필리핀 공산당(1968)이나 아부 사야프 등 공산반군들과 이슬람 반군을 상대로 주기적으로 싸우고 있다. 그러므로 아시아 보병 중에서는 실전경험이 풍부한 셈이다. 역사적으로 스페인, 영국, 미국 등 당대 서양 패권국들에게 군사 훈련을 받거나 동맹으로 군사활동에 참가한 역사가 아시아 국가중에서 가장 길다. 필리핀/역사 참조.
또한 필리핀군은 6.25 전쟁 당시 한국에 7,500명가량의 군사를 파병한 국가이다. 900명의 필리핀군이 40,000명의 중공군 공세를 막아낸 율동 전투에서는 중공군을 맞아 정확히 한국영화 고지전(영화)과 정반대로 했다.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맥아더의 극찬발언과 더불어 UN군 기록, 적국인 중공군전 기록사에도 동시에 극찬될 정도의 전설적인 전투였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도 필리핀군 또는 미군 소속으로 참전해 활약하였다.
2011년 11월 21일, 필리핀은 남중국해의 긴장으로 인해 영해가 불안해지자 대한민국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 # 현재 해당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시위로 긴장이 증가되는 중이다. #
2017년부터 남서부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들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민다나오섬에 대규모의 병력을 투입해 다에시 추종 모로인 반군 토벌에 나섰다. 필리핀군과 모로 반군 간의 전투는 격렬해서 사망자만 해도 민간인을 포함해 정부군과 반군 양측이 수백명이나 나왔을 정도다. 2017년 벌어진 마라위 전투가 대표적인데 그래도 필리핀군의 토벌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 #
2017년 10월 16일, 필리핀군은 아부 사야프의 지도자 이스닐론 하필론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 2017년 10월 23일 마침내 반군의 근거지인 마라위 시를 탈환하는 데 성공하여 내전에서 승리했음을 선언했다. # 그러나 반군 무장단체들은 여전히 게릴라전으로 저항하고 있기에 필리핀군은 남부에서 토벌을 진행중이다.
2017년 11월 25일, 필리핀군은 그동안 휴전 상태였던 공산 반군과의 휴전을 취소하고 전면전에 나섰다. #
2018년 1월 7일, 필리핀군은 남부의 마긴다나오 주에서 이슬람 반군 방사모로이슬람자유전사단(BIFF)의 기습공격을 받았다. 이때 필리핀군은 교전을 벌이면서 전투기 공습과 포격 지원을 받아 BIFF 대원 9명을 사살하며 격퇴했다. 그러나 필리핀군도 1명이 전사하고 1명이 부상당했다. #
2019년 1월 31일, 필리핀 남부에서 27일 성당 테러가 발생해 131명의 사상자가 나오자 필리핀군은 반군에 대한 토벌에 나섰다. #
2019년 2월 3일, 필리핀군은 필리핀 남부의 아부 사야프 근거지를 습격하여 총격전을 벌였고 아부 사야프 대원 3명을 사살하고 15명을 부상입혔다. 이때 필리핀군은 5명이 전사하고 5명이 부상당했다. #
2019년 4월 14일, 필리핀군은 IS 추종 반군 마우테 그룹의 지도자 아부 다르를 사살했다. #
2019년 11월, 필리핀군은 아부 사야프에 납치된 영국인 남편과 필리핀인 아내를 구출했다. #
2020년 6월 5일, 필리핀군은 IS 추종 반군과 순찰중에 교전을 벌여 2명을 사살했다. 이때 정부군은 4명이 전사하고 17명이 부상당했다. # 27일에는 필리핀군이 경찰과 함께 마닐라 근처에서 숨어있던 아부 사야프 대원 4명을 찾아냈고 그들과 교전을 벌여 모두 사살했다. #
2020년 8월 30일, 필리핀군은 필리핀 남부의 술루 주에서 아부 사야프 반군 30명과 교전을 벌여 2명을 사살하고 격퇴했다. 하지만 필리핀군은 1명이 전사하고 7명이 부상당했다. #
2020년 12월 3일,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섬에서 IS 연계 반군 50명이 군 부대를 습격해서 필리핀군과 총격전을 벌였고 필리핀군이 이를 격퇴했다. 반군은 퇴각하면서 필리핀 경찰차를 불태웠다. #
2020년 1월에 필리핀군은 남부 술루주에서 아부 사야프에 납치된 인도네시아인 어부를 구출했다. #
2021년 2월에 필리핀 국방장관은 미얀마에서 일어난 쿠데타를 보고는 필리핀군은 미얀마군의 전철을 밞지않고 그런일은 일어나지 않을것이라고 밝혔다. # 23일 필리핀군은 19일에 남부 술루주에서 자폭테러 계획을 세우던 아부 사야프 반군 관련 여성 9명을 찾아내어 체포했다고 밝혔다. #
2021년 3월, 필리핀군은 아부 사야프의 지도자 아포 마이크를 사살하고 그들에게 인질로 잡혀있던 인도네시아인 4명을 구출했다. #
2021년 10월 31일, 필리핀군은 공산 반군인 신인민군과 교전을 벌여 신인민군의 수장인 호세 마들로스를 사살하는데 성공했다. 다만 신인민군이 보복해올 가능성이 있어 경계령을 내렸다. #
동남아시아 특수부대에서 최강이라고 평가받는 필리핀판 네이비 씰인 NAVSOG(NAVY SPECIAL OPERATION GROUP)을 운영하고 있다.
6. 계급
6.1. 육군, 해병대
구분 | 계급명 | 육군 계급장 | 해병 계급장 |
OR-1 | Private 이등병 | ||
OR-2 | Private First Class 일등병 | ||
OR-3 | Corporal 상등병 | ||
OR-4 | Sergeant 병장 | ||
OR-5 | Staff Sergeant 하사 | ||
OR-6 | Technical Sergeant / 1st Sergeant 중사 | ||
OR-7 | Master Sergeant 상사 | ||
OR-8 | Senior Master Sergeant 원사 | ||
OR-9 | Chief Master Sergeant 선임원사 | ||
First Chief Master Sergeant 주임원사 | |||
OF-1 | Second Lieutenant 소위 | ||
First Lieutenant 중위 | |||
OF-2 | Captain 대위 | ||
OF-3 | Major 소령 | ||
OF-4 | Lieutenant Colonel 중령 | ||
OF-5 | Colonel 대령 | ||
OF-6 | Brigadier General 준장 | ||
OF-7 | Major General 소장 | ||
OF-8 | Lieutenant General 중장 | ||
OF-9 | General 대장[5] |
6.2. 공군
구분 | 계급명 | 계급장 |
OR-1 | Airman 이등병 | |
OR-2 | Airman Second Class 일등병 | |
OR-3 | Airman First Class 상등병 | |
OR-4 | Sergeant 병장 | |
OR-5 | Staff Sergeant 하사 | |
OR-6 | Technical Sergeant 중사 | |
OR-7 | Master Sergeant 상사 | |
OR-8 | Senior Master Sergeant 원사 | |
OR-9 | Chief Master Sergeant 선임원사 | |
First Chief Master Sergeant 주임원사 | ||
OF-1 | Second Lieutenant 소위 | |
First Lieutenant 중위 | ||
OF-2 | Captain 대위 | |
OF-3 | Major 소령 | |
OF-4 | Lieutenant Colonel 중령 | |
OF-5 | Colonel 대령 | |
OF-6 | Brigadier General 준장 | |
OF-7 | Major General 소장 | |
OF-8 | Lieutenant General 중장 | |
OF-9 | General 대장[6] |
6.3. 해군, 해안경비대
구분 | 계급명 | 해군 계급장 | 해안경비대 계급장 |
OR-1 | Apprentice Seaman 이등병 | ||
OR-2 | Seaman Second Class 일등병 | ||
OR-3 | Seaman First Class 상등병 | ||
OR-4 | Petty officer, third class 병장 | ||
OR-5 | Petty officer, second class 하사 | ||
OR-6 | Petty officer, first class 중사 | ||
OR-7 | Chief Petty Officer 상사 | ||
OR-8 | Senior Chief Petty Officer 원사 | ||
OR-9 | Master Chief Petty Officer 선임원사 | ||
First Master Chief Petty Officer 주임원사 | |||
OF-1 | Ensign 소위 | ||
Lieutenant Junior Grade 중위 | |||
OF-2 | Lieutenant Senior Grade 대위 | ||
OF-3 | Lieutenant Commander 소령 | ||
OF-4 | Commander 중령 | ||
OF-5 | Captain 대령 | ||
OF-6 | Commodore 준장 | ||
OF-7 | Rear Admiral 소장 | ||
OF-8 | Vice Admiral 중장 | ||
OF-9 |
|
7. 구성
7.1. 육군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 육군 문서 참고하십시오.7.2. 해군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 해군 문서 참고하십시오.7.3. 공군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 공군 문서 참고하십시오.8. 장비
현대 필리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colbgcolor=#FFF> 개
인 화 기 |
<colbgcolor=#FFF> '''[[소총| 소총 ]]'''
|
<colbg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
R4A3 | SIG M400 | 타우러스 T4 | M733 | M653P | GA 16" MLC | M16A1 | M16A2 | GA SOCOM-16 | SR 88A■/D | AKMD | M-311-1, CQ-A5D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SIG716 G2 | MSSR Gen.(4/5)■ | M14 EBR | M14 DMR | M21 SWS■■ | 85식D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CS/LR4AD | M40(A3/A5)■ | |||
기관단총 | 퍼프랜스 SCW 7 | MP5(A3/A5) | 우지 | |||
권총 | 글록17 Gen.4■■ | BUL 체로키 FS | M1911A1■■ | RIA TAC 울트라 FS HC■■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K3 | FN 미니미■■ | {MFR56}■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240(B/L) | M134D■■ | MG-M2 | M60(E3/E4)■■ | M1919(A1/A4/A6)■■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A1)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STK 40 AGL | XRGL-40 | M32A1■ | LMP300L360■■ | M203 EXPIC■ | M203(A1)■■ | M79■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암브루스트 AT■■ | M67■■ | M40■■ | ||
로켓 | RPG-7V2 | 69식 화전통D | ATGL-L2■■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필리핀 유도무기 | |||
박격포 | M224 | M60MA | M75■■ | M81MA | M69B | M29■■ | EXPAL M-98■ | |||
견인포 | 쏠탐 M-71■■ | M114A1 | Mod 56■■ | M102 | M101■■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HK416■■ | LMT CQB■ | LMT Mk.18 Mod.0■ | M4A1 | F88D | AR-M52F | PVAR■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Mk.11 Mod.0 | SDMR-16 | NFWS■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해리스 M-87R | M107 | M95■ | M82A1 | 자스타바 M93■■ | M24 SWS | |||
산탄총 | 레밍턴 870 TAC-14 | |||
권총 | 글록 21SF■ | |||
기관총 | M60E6■ | |||
유탄발사기 | M320 GLM■■ | |||
대전차 화기 | M72 LAW | |||
박격포 | M60CMA | |||
의장용 화기 | M1(C/D) 개런드 | M3 105mm 예포 | |||
※ 윗첨자D: 공여받은 화기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필리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colbgcolor=#FFF> 기타 전차 |
<colbgcolor=#FFF> '''[[경전차| 경전차 ]]'''
|
ASCOD 사브라 | M41 워커 불독R | M5A1 스튜어트R | ||
중형전차 | M4(A1/ A3) 셔먼R | M4 컴포지트 헐R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VBTP-MR 과라니 | 판두르 II 사브라 | CS/VP3 빅풋 | V-300 Mk.II FSV■ | GKN 심바 | V-150(S) | M8 그레이하운드R | M3A1 스카웃 카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KAAV7A1■ | M113(A1/A2+) FSV | M113A2+ IFV | AIFV-25 | PIFV-12.7 | ACV-15 AAPC | M113(A1/A2/A2+) | LVTH-6■ | M3 하프트랙R | |||
차량 |
''' 초소형 '''
|
ATV 가와사키 테릭스 | 캔-암 디펜더 맥스 TX HD10
|
||
소형 |
IMV
험비■■ |
BJ2022 |
KLTV■■/D | MX-8 |
KM450■■ |
MMPV■ | M1777 미니크루저■ |
M151■민수용
토요타 하이럭스 |
닛산 나바라 D23 · D40 |
미쓰비시 스트라다
|
|||
트럭 |
군용
KM250■■ |
KM500■■ |
M939■■ | M916A1 |
M809 |
M35(A1/A2/A3) |
M52 |
GAZ-3308 |
우랄-4320D | 둥펑 EQ2082 · EQ2102 | 시노트럭 ZZ2167D · ZZ2057D상용
MAN TGS ·
TGM |
이베코 682 |
이스즈 포워드 ·
엘프 |
미쓰비시 후소 캔터 |
히노 300 |
프레이트라이너 M2■ | 맥 그래니트■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ATMOS 2000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M125A1 → M125A2 카돔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M18 헬캣R | M3 GMC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M16 MGMCR | ||
다연장로켓 |
{차기 다연장로켓 사업} | |
|||
지원차량 | 구난차량 | ASCOD 2 ARV | YPR-806 ARV | ACV-15 ARV | 노부스 AWS 견인차 | KM250 견인차 | M916A1 견인차 | M826 견인차 | M60 LWB 견인차 | ||
공병차량 | FNSS 쿤두즈 전투공병도저 | 케이스 1650L 장갑 불도저 | 암트랙 100-350 지뢰탐지차 | |||
교량차량 | 메르카바 AVLB | 노린코 GQL-111 가교부설트럭 | |||
기타 | KM452 정비샵 | M936 정비샵 | M109A3 정비샵 | LARC-V 수륙양용 운반차■ | GKN 아쿠아트랙 수륙양용 운반차■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D: 공여받은 차량 ※ 윗첨자†: 계약했으나, 도입 거부 또는 취소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필리핀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 SSK '''
|
{호라이즌 P3 잠수함 사업} | |
구잠정 (PC) | 카가얀급R | 카마린스 수르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마리아노 알바레즈급D | 호세 안드라다급 | 알베르토 나바레테급 | MPAC Mk.(1~3) | 966Y형D | 드 해빌랜드 9209급R | 얀가급R | |
PG | PGM-39급R | PGM-33급 | PGM-9급R | 제너럴 에밀리오 아기날도급R | 타를라크급R(초대/1948) | ||
'''[[고속정| 고속정 ]]'''
|
''' PCH '''
|
본톡급R | 카미긴급R | |
PK | 아체로급 | 토마스 바틸로급D/R | 카기팅안급R | 콘라도 얍급D/R(초대/1993) | ||
''' PCF '''
|
스위프트 Mk.3급 | 아브라급R | 스위프트 Mk.1 & 2급R | ||
원양초계함(OPV) | { HDP-2200+} | 델 필라급D | 하신토급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콘라도 얍급D(2대/2019) | 미겔 말바르급(초대/1948) | 리잘급R | |
호위구축함(DE) | 다투 칼란티아우급R | 라자 라칸둘라R | 라자 솔리만R | ||
'''[[호위함| 호위함 ]]'''
|
PF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급R | |
''' FFG '''
|
{ 미겔 말바르급} (2대/2025) | 호세 리잘급 | ||
'''[[상륙함| 상륙함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LPD 추가사업} | 타를라크급 (2대/2016) | |
''' LST '''
|
바콜로드 시티급 | 다바오 오리엔탈급 | LST-542급R | LST-491급R | LST-1급R | ||
''' LSM '''
|
바타네스급R | ||
''' 상륙정 '''
|
''' LCH '''
|
이바탄급 | |
''' LCU '''
|
마노보급 | 물개급 | 타그바누아급 | LCU Mk.6급 | ||
''' LSSL '''
|
LCS(L) Mk.3급 | ||
''' LCI '''
|
LC-601급 | ||
'''[[소해함| 소해함 ]]'''
|
''' MSO '''
|
다바오 델 노르테급R | |
''' MSC '''
|
잠발레스급R | ||
''' 지원함 '''
|
''' 급유함(AOR) '''
|
레이크 칼리라야급R | |
''' 수리함 (ARL) '''
|
아클란급R | ||
''' 정보 수집함 (AGS) '''
|
포트 산 안토니오급 | ||
''' 병원선 (AH) '''
|
베네와급R | ||
''' 해저 조사선 (AGOR) '''
|
그레고리오 벨라스케스 | 만자니타급R | ||
''' 해상 크레인 (YD) '''
|
YU-206급 | ||
지원정 | 망얀 (AS, 화물정) | 레이크 부히급 (AF, 급유정) | 레이크 라나오급 (AW, 청수정) | 이고로트급 (YT, 예인정) | 레이크 마이닛급R (YO, 급유 바지)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D: 공여받은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현대 필리핀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필리핀군|
필리핀군 (1946~현재) ]]'''Sandatahang Lakas ng Pilipinas | Armed Forces of the Philippines |
|||
<colbgcolor=#FFF>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AW109E■■ | MD 520MG | Bo 105M■ | 벨 47 | ||
''' 다목적 헬기 '''
|
{ 벨 412EPX} | S-70i 블랙 호크 | S-76A | W-3A 소쿠우 | 벨 412EP | UH-1(D/H) 휴이 | 벨 205A | 벨 214 | UH-34D · HH-34J 초크토우 | UH-19 치카소 | |||
공격헬기 | T129B ATAK | AH-1S 코브라 | |||
대잠헬기 | AW159 와일드캣■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D 머스탱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8H 크루세이더 | F-5(A/B) 프리덤 파이터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FA-50PH 파이팅 이글 | {호라이즌 P3 MRF} | |||
공격기 | AS-211 | A-29B 슈퍼 투카노 | OV-10(A/C) 브롱코 | SF.260TP 워리어 | |||
건쉽 | AC-47 스푸키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T-33A | ||
ISR | 세스나 208B EX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95(M/W) | NC-212i | 노매드 N.22B | C-123K 프로바이더 | DHC-2 비버 | C-47D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B/T/H) 허큘리스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 ATR 72MP LRPA} | TC-12B 휴론■ | TC-90M■ | BN-2A-21 아일랜더■→■ | 포커 F27-100MAR | ||
''' 연락기 '''
|
O-1A 버드 도그■■■ | |||
다목적기 | 쇼트 330■ | 세스나 210 · 172■■ · 421B■ · 206■ · 150■ · 185 · 310 | 에어로 커맨더 690A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타롯 X4■ |
DJI 스파크■ ·
팬텀■ ·
매빅■클래스 1 - 초소형 RQ-20A 푸마 AE■ |
RQ-11B 레이븐■ | 스카이라크 I-LEX■ | MAG 슈퍼 스와이퍼 II■클래스 1 - 소형 스카이라크 3■ | 엘빗 THOR■ | RQ-27 스캔이글■■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헤르메스 450■■클래스 3 - MALE급
헤르메스 900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41(B/D) 메스칼레로 | SF.260(FH/MP/MZ) | T-34(A/B) 멘토 | T-28(A/D) 트로젼 | T-6G 텍산 | ||
제트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R44■■ | R22■ | TH-55 오세이지 | FH-1100 | |||
VIP 탑승기 | 포커 F28-3000 | 포커 F27 | 걸프스트림 G280 | 호커 800XP | S-70A-28 | 벨 412HP | YS-11A | 벨 212 | S-62 | SA.330L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해병대■/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필리핀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휴대형
|
BGM-71(E/H) TOW-2A | |
탑재형
|
소형함정
스파이크 NLOS |
스파이크-ER
|
||
공대지
|
회전익기
스파이크 NLOS고정익기
AGM-65G 매버릭
|
||
''' 유도로켓 '''
|
공대지
|
지리트 (70mm, T129B) | |
함대함
|
SSM-700K 해성 | ||
지대함
|
브라모스 | ||
어뢰 |
경어뢰
|
K-745 청상어 | |
중어뢰
|
{차기 잠수함용 중어뢰} | ||
''' 중거리 '''
|
SPYDER-MR | ||
''' CIWS '''
|
SIMBAD-RC | ||
''' 개함방공 '''
|
{차기 호위함용 대공미사일} | ||
''' 단거리 '''
|
AIM-9(L/BR) 사이드와인더 | ||
유도폭탄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9. 출신 인물
- 그레고리오 피오 카타팡
- 매니 파퀴아오 - 선수가 되기 전 군에서 복무하였다. 국민 영웅이 된 이후 예비역 신분으로 육군 대령까지 진급하였다.
10. 관련 문서
11. 구성
- 유엔군사령부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1]
K-21 보병전투차 105mm 주포 사양이 차기 경전차 후보 중 하나로 경합했으나 엘빗 사의 사브라 105mm에 밀려 수출이 불발됐다.
[2]
(2000년~2014년)필리핀의 명목 GDP, 경제성장률 흐름
[3]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군비자료
[4]
때문에 한국인들은
필리핀 탈환전을 미국과 일본만의 전쟁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지인들도 필리핀 자치령과 제2공화국으로 나뉘어서 참전했다.
[5]
합참의장에 임명된 장성에게만 계급이 부여된다.
[6]
합참의장에 임명된 장성에게만 계급이 부여된다.
[7]
합참의장에 임명된 제독에게만 계급이 부여되는데, 2021년 현재까지 해군 출신 필리핀군 합참의장이 등장한 사례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