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0:34:54

M3 105mm 경곡사포

105mm Howitzer M3 (M3 howitzer)

1. 개요2. 제원3. 역사4. 상세5. 미디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파일:attachment/800px-M3_105mm_Howitzer.jpg
박물관에 전시된 M3 105mm 경곡사포

미국에서 개발된 경량형 105mm 곡사포. 공수부대의 포병대를 위해 만들어졌다.

2. 제원

구경 105mm
전장 3.94m(견인상태)/포신장 1.88m
전폭 1.70m
전고 1.27m
전비중량 1,130kg
포탄중량 14.98kg(유탄)
발사속도 최고 분당 4발, 지속 분당 2발
포구초속 311m/s
최대사정 7,586m
유효사정 6,525m
부앙각 -9〜30도
좌우사각 45도

3. 역사

M3 곡사포 보병포로의 활용에도 부합해서 미군의 일반 보병연대급에도 직할로 포병중대로 M3 곡사포 6문이 편제되어 2차대전기 동안 활약했다. 이 편제는 당시에 사단 포병대로 편제된 M101 105mm와 M114 155mm 곡사포 도합 48문과는 별개였다. 전후 재고가 된 M3 곡사포는 밑에 후술되었듯이 우방국에 공여했다.

때문에 M2/M101 계열의 일반적인 105mm 곡사포와 다르게 더 가볍고 길이가 짧지만, 사거리는 더 짧고 분당 발사속도도 떨어진다. 제식번호가 M3인 이유는 개발 당시에는 기본형인 105mm 견인곡사포의 제식번호가 M2였기 때문이다.

4. 상세

기본적으로 포신은 M2/M101 계열의 것을 짧게 만들어 사용했지만, 주퇴복좌기와 나머지 것들은 M116 75mm 경야포의 것을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기본이 된 미군의 M116 75mm 경야포는 보병을 위한 산포(山砲·Mountain Gun)로 제작되었으며, 사거리나 파괴력보다는 직접 사람이 들고 옮길 것을 상정하여 분해가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웠다.[1] 중량이 겨우 653㎏밖에 안 나가며, 6부분으로 나눠 운반이 가능했다. 요컨대 장거리 사격능력보다는 운용 편의성을 노리고 만들어진 물건이므로 그 후속작인 M3도 마찬가지 컨셉이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M3 전용의 부품들이 개발되어 교체되었다.
파일:external/ww2today.com/M3-Howitzer-105mm.jpg
2차대전 당시 프랑스 카랑탕 전선에서 M3를 운용중인 미군 90사단

1943년부터 미국에서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6.25 전쟁, 인도차이나 전쟁 때 쓰였다. 하지만 실제 사용한 미군의 평가가 그렇게 좋지는 않아서 미군의 화포치고는 수량이 적은 2,580문이 생산되었다. 평가가 좋지 않은 이유는 사거리가 짧은데다가 운용 편의성이 M1 75mm 곡사포보다 떨어져서 이도저도 아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퇴물이 된 M3 105mm 곡사포는 미국의 우방국 가운데 중요성이 떨어지며 기술력이 없는 국가들 위주로 공여되었다. 따라서 한국도 한국군 창설 당시 이 대포를 받았으며, 특히 한국전쟁이 벌어질 때까지만 하더라도 대한민국 국군 포병의 주력포였다. 한국전쟁이 터질 때까지 한국군은 M2/M101 계열의 포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렇게 공여된 M3 105mm 곡사포는 6.25 전쟁 개전당시 한국군 포병이 T-34에게 유효판정을 띄울 수 있는 얼마 안되는 대전차 화포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짧은 사정거리 등 능력부족으로 인해 북한군 포병의 사거리 안에서 사격해야 하므로 상당한 피해를 입었으며, 북한군의 T-34-85 전차를 막기 위해 무리하게 대전차포로 사용되다가 격파되기도 했다. 애초에 견인식 대전차포가 대전차전에서 2차대전 이후에는 사실상 퇴역한게 이 문제 때문이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57mm M1 대전차포의 저열한 성능 때문이다. 영국의 6파운더의 라이선스 생산형인 주제에 영국이 개발한 신형 분리철갑탄은 명중률 낮다고 라이선스 안하고 이미 30도 이상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장갑에 명중하면 장갑을 관통하지 못하고 탄자가 붕괴되는 답없는 현상을 보이는 기존 방식의 철갑탄만 생산한데다가 이걸 한국군에게 공여해줄 때 보병포로도 사용하라고 대부분의 포탄을 고폭탄으로만 지급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을 저지른 덕분이다.

설상가상으로 북한군이 몰고 온 전차가 경사장갑으로 유명한 T-34-85가 전면은 45mm의 60도 경사장갑이고 측면도 45mm의 45도 경사장갑이니 고폭탄은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게 당연하고 철갑탄도 이론상 320m까지 초근접한 후에나 관통이 가능한데 그렇게 근접하다가 북한군 전차에게 선제공격 맞고 개박살나기 딱 좋았고 초근접에 성공한 후에도 철갑탄이 경사장갑에 명중한 후 장갑을 관통하지 못하고 깨져나가는 답없는 광경이나 보다가 적들의 보복공격에 처참하게 죽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당시 한국군의 훈련상태도 좋지 않아서 탄종도 구분 못하고 마구잡이로 쏘거나, 빗나간 것을 명중이라고 착각하는 등의 문제까지 발생하니 대전차포가 제 구실을 못했으므로 야포가 대전차포 대신 억지로 투입되었다가 큰 손실을 본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미국 주한미군사고문단 소속의 미국 장교가 직접 철갑탄을 장전하고 57mm M1 대전차포를 북한군의 T-34에 사격해서 정확하게 명중시켰으나 포탄이 튕기거나 깨지는 현상을 목격할 정도였고 그 이후에는 북한군 T-34는 전면장갑에 30mm 추가장갑판을 붙인 개량형이라는 헛소문이 사실처럼 나돌았으며 해당 헛소문은 인천 상륙작전 이후 전장에서 노획한 T-34를 실제로 측정해서 장갑 두께를 확인한 후에나 서서히 사라졌다.

여하튼 이런 이유로 인해 한국전쟁 도중 국군에게 M2/M101 계열의 곡사포가 긴급 도입되었으며, M3 105mm 곡사포는 원래부터 한국군에 배정된 수량이 91문으로 적었던 데다가 전쟁 초반의 손실이 극심했고, 미국에서도 이미 퇴역무기라 부품이나 자재가 없다시피 했으므로 살아남은 M3 105mm 곡사포는 적에게 박살나지 않더라도 고장나면 M2/M101 계열의 곡사포로 즉시 교체되었다. 결국 한국전쟁 중반 이후에는 M3는 모두 사실상 퇴역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파일:Screenshot_20230204-204158_Chrome.jpg
프랑스 국동원정군이 사용하는 M3 105mm 경곡사포

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에도 프랑스 극동원정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출처

M3 견인곡사포는 M2/M101 계열의 포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포신이 짧고 주퇴복좌기와 포가 역시 약했기 때문에 별도로 만들어진 빠르게 연소되며 좀 약한 장약을 사용하였다. 게다가 포신이 짧기 때문에 기존 장약을 사용하면 장약이 다 연소되기 전에 포탄이 튀어나가서 운동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M3의 입장에서는 장약을 과잉하게 넣은 상황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주퇴복좌기가 파손돼서 포가 폭발하거나 사용불능이 되기 십상이었다. 때문에 사거리는 M2/M101 계열의 2/3 수준 밖에 안된다. 그러니까 이 포를 가지고 10km 밖의 누군가를 암살하기는 어렵다. 화포는 일단 방열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아무리 가벼운 105mm라고 해도 발톱자리를 굴토하고 수평 맞추는데만 20분 가까이 걸린다. 긴급방열하면 5분이내로 방열이 가능하긴 하지만 그건 말그대로 긴급방열이라 정밀 사격이 불가능하다.

5. 미디어

파일:곡사포ROV.png
로드 투 발러:월드워2에서 미군이 들고 나온다. M3 경곡사포 진지가 교전지대 6에서 해금되는 건물로 여기서도 사거리가 가장 길다. 미군 심시티 덱의 핵심.

스틸 디비전 시리즈에서 미군과 자유 프랑스군의 보병 지원포로 나온다. 2편 기준 2km까지 직사로 중화기나 보병 처치에 좋다. HEAT의 사거리는 1.5km로 타이거 전차까지 관통되나 사거리가 짧고 명중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화포
보병포 <colbgcolor=#fefefe,#191919> 37mm M1916 보병포
곡사포 75mm M1 경곡사포, 105mm M2 곡사포, 105mm M3 경곡사포, 155mm M1918 곡사포, 155mm M1 곡사포, 8인치 M1/M2 곡사포, 240mm M1 곡사포
평사포 M1 4.5인치 평사포, 155mm M1918 평사포, 155mm M1/M2 평사포 'Long Tom', 8인치 M1 평사포
대전차포 37mm M3 대전차포, 57mm M1 대전차포, 75mm M1897/A1/A2/A3/A4 대전차포, 3인치 M5 대전차포, 90mm T8 대전차포, 76mm T124/T124E2 대전차포, 105mm T8 대전차포
전차포 37mm M5/M6, 75mm 전차포 M2–M6, 76mm M1 전차포, 3인치 M7, 90mm M1/M2/M3, 90mm 73구경장 T15/T15E1/T15E2, 105mm M4 곡사포, 105mm 전차포 T5, 120mm 전차포 T53, 155mm 전차포 T7
대공포 37mm M1 대공포, 1.1 인치 75 구경장 대공포 "시카고 피아노", 40mm M1 대공포, 3인치 M1918 대공포, 90mm M1/M2/M3 대공포, 120mm M1 대공포
박격포 4.2인치 박격포, 리틀 데이비드
열차포 8인치 Mk.VI 열차포
다연장로켓포 T34 칼리오페 ( M8 로켓)
함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6인치 47구경장 Mark 16 함포, 6인치 47구경장 DP Mark 16 함포, 12인치 50구경장 Mark 7 함포, 12인치 50구경장 Mark 8 함포, 14인치 45구경장 함포 시리즈, 14인치 50구경장 함포 시리즈, 16인치 45구경장 함포 시리즈, 16인치 50구경장 Mark 2/Mark 3 함포, Mark 7 16인치 50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파일:필리핀 국기.svg 현대 필리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



<colbgcolor=#FFF> '''[[소총|
소총
]]'''
<colbg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R4A3 | SIG M400 | 타우러스 T4 | M733 | M653P | GA 16" MLC | M16A1 | M16A2 | GA SOCOM-16 | SR 88A/D | AKMD | M-311-1, CQ-A5D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IG716 G2 | MSSR Gen.(4/5) | M14 EBR | M14 DMR | M21 SWS | 85식D
'''[[저격소총|
저격소총
]]'''
CS/LR4AD | M40(A3/A5)
기관단총 퍼프랜스 SCW 7 | MP5(A3/A5) | 우지
권총 글록17 Gen.4 | BUL 체로키 FS | M1911A1 | RIA TAC 울트라 FS HC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K3 | FN 미니미 | {MFR56}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240(B/L) | M134D | MG-M2 | M60(E3/E4) | M1919(A1/A4/A6)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A1)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STK 40 AGL | XRGL-40 | M32A1 | LMP300L360 | M203 EXPIC | M203(A1) | M79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암브루스트 AT | M67 | M40
로켓 RPG-7V2 | 69식 화전통D | ATGL-L2
미사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참고: 틀:현대전/필리핀 유도무기
박격포 M224 | M60MA | M75 | M81MA | M69B | M29 | EXPAL M-98
견인포 쏠탐 M-71 | M114A1 | Mod 56 | M102 | M101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 | LMT CQB | LMT Mk.18 Mod.0 | M4A1 | F88D | AR-M52F | PVA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k.11 Mod.0 | SDMR-16 | NFWS
'''[[저격소총|
저격소총
]]'''
해리스 M-87R | M107 | M95 | M82A1 | 자스타바 M93 | M24 SWS
산탄총 레밍턴 870 TAC-14
권총 글록 21SF
기관총 M60E6
유탄발사기 M320 GLM
대전차 화기 M72 LAW
박격포 M60CMA
의장용 화기 M1(C/D) 개런드 | M3 105mm 예포
※ 윗첨자D: 공여받은 화기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지금도 이 포는 주한미군 등에서 예포(의식에 쓰이는 포)용으로 가지고 있는 모습이 보이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