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20:10:27

그리스어

헬라스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헬라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대에 쓰였던 그리스어에 대한 내용은 고전 그리스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흔히 헬라어로 지칭되는 시기의 언어에 대한 내용은 코이네 그리스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어 관련 틀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인도유럽어족
Indo-European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도유럽조어
켄툼제어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켈트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 도서켈트어군 게일어군
브리튼어군
대륙켈트어군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어군
오스크움브리아어군
헬라어파
아나톨리아어파
루비아어군
토하라어파
사템제어 발트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동발트어군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
동슬라브어군
알바니아어파
아르메니아어파
트라키아어파
다키아어파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
인도아리아어군
* † 표시는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d5eaf>상징 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올리브
역사 역사 전반 · 미노스 문명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제국 · 동로마 제국 · 파나리오테스 · 그리스 독립 전쟁 · 그리스 제1공화국 · 그리스 왕국 · 그리스 내전 · 그리스-오스만 전쟁· 그리스 제2공화국 · 그리스 군사정권
지리 행정구역 · 펠로폰네소스 반도 · 할키디키 반도 · 이오니아 해 · 에게 해 · 도데카니사 제도 · 레스보스 섬 · 크레타 · 키클라데스 제도 ( 산토리니) · 에우보이아 · 코르푸 · 히오스 섬 · 델로스 섬 · 트라키아 · 올림포스 산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그리스 대통령 · 그리스 총리 · 그리스 의회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탈퇴 논쟁) ·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그리스 드라크마(폐지) · 유로
국방 그리스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교통 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 · 에게안 항공 · 아테네 지하철 · 코린토스 운하
문화 문화 전반 · 그리스 로마 신화 · 그리스 교회 · 영화 · 그리스 요리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어 ( 고전 그리스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렘베티카 · 세계유산 · 관광 · 필헬레니즘
사회 그리스 마피아
민족 그리스인 · 흑해 그리스인 · 우룸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 그리스계 미국인 · 그리스계 캐나다인 · 그리스계 호주인 · 그리스계 멕시코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칠레인 · 그리스계 영국인 · 그리스계 독일인 · 그리스계 프랑스인 · 그리스계 튀르키예인 · 그리스계 이탈리아인 · 그리스계 스페인인 · 그리스계 네덜란드인 }}}}}}}}}

<colcolor=#D578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4e5b31>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키프로스 왕국 · 키프로스 전쟁
사회 인구
정치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 영연방
경제 경제 전반 · 키프로스 파운드(폐지) · 유로
국방 키프로스군
문화 문화 전반 ·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어 · 튀르키예어 · 키프로스 정교회
인물 키티온의 제논 · 안드레아스 네오클레우스
지리 니코시아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키프로스 섬
민족 그리스인 · 튀르키예인 · 아르메니아계)
}}}}}}}}} ||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0 auto; text-align:left''
관련 문서: [[:분류:개별 언어]] · [[언어 관련 정보]]
<colbgcolor=#eee,#000>· 종류 (위키에 문서가 등재되어 있는 언어만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 5천만 명 이상 언어는 굵게 표시함.
갈리시아어 객가어 · 게일어 · 광동어 · 구자라트어 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나바호어 · 네덜란드어 · 네팔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 독일어
라다크어 · 라오어 · 라트비아어 · 라틴어 · 라파누이어 · 러시아어 로망슈어 롬바르드어 · 루마니아어 · 룩셈부르크어 · 류큐어 · 르완다어 · 리구리아어 · 리투아니아어
마라티어 · 마오리어 · 마인어 · 마케도니아어 · 맨어 · 몰타어 · 몽골어 · 미얀마어 · 민어(언어)
바스크어 · 반달어 · 베네토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벵골어 · 불가리아어
상어(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부아노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 · 소토어 · 스반어 · 스와힐리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스페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시칠리아어
아디게어 · 아람어 · 아랍어 · 아르메니아어 · 아이누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아이티 크레올어 · 아제르바이잔어 · 아파르어 · 아프리칸스어 · 알바니아어 · 암하라어 · 에스토니아어 · 영어 · 오어 · 오크어 · 요루바어 · 우르두어 · 우즈벡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이보어 · 이디시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자메이카 파트와 · 자바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줄루어 · 중국어
차모로어 · 체코어 · 축치어 · 츠와나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캄보디아어 · 코르시카어 · 코만치어 · 코사어 · 콘월어 · 콥트어
타밀어 · 타지크어 · 태국어 · 텔루구어 · 통가어 · 튀르키예어 · 티베트어
펀자브어 · 페로어 · 페르시아어 ·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풀라어 · 프랑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리지아어 피에몬테어 · 피지어 · 핀란드어 · 필리핀어
하와이어 · 하우사어 · 한국어 · 헝가리어 · 히브리어 · 힌디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
그리스어
Ελληνικά | 희랍어(希臘語)

Greek languag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ioma_Griego.png
청색: 국어
<colcolor=#fff,#000><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동사-주어-목적어 (VS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그리스 문자
점자 언어에서 사용되는 점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그리스|]][[틀:국기|]][[틀:국기|]]


[[키프로스|]][[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1500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헬라어파
아티케 그리스어
그리스어
언어
코드
<colcolor=#fff,#000><colbgcolor=#75b5e7> ISO 639-1 EL
ISO 639-2 GRE(B)
ELL(T)
ISO 639-3 ELL
Ναμουβίκι, το δέντρο της γνώσης που καλλιεργείται από όλους ανθρώπους.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역사
2.1. 원시 그리스어
2.1.1. 그리스어 기층설 (Pre-Greek substrate theory)
2.2. 고전 그리스어2.3. 코이네 그리스어2.4. 중세 그리스어2.5. 현대 그리스어
3. 방언4. 음소
4.1. 자음4.2. 모음
5. 문자
5.1. 기본 문자5.2. 다중문자 및 확장 문자
6. 현대 그리스어의 구조
6.1. 문법의 특이성6.2. 수사 구조
6.2.1. 기수6.2.2. 서수
7. 들어보기8. 기본 회화9. 한국에서의 학습10. 매체11. 구사자
11.1. 캐릭터
12. 기타

[clearfix]

1. 개요

그리스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1]
그리스 키프로스에서 쓰는 언어이자 공용어. 유럽연합의 공용어로도 포함되어 있고 그리스를 포함해서 그리스 영토 밖의 해외 그리스인 공동체[2]에서도 쓰이고 있다.

헬라어(헬라스어) 또는 한자 가차로 희랍어(希臘語)라고도 한다. 헬라어라 쓰는 사람들은 '그리스'는 영어 기준이기에 더욱 원어에 가까운 이 표기를 선호한다. 여기서 '헬라'는 명사형이 아니므로 명사형 '헬라스'를 통해 헬라스어라 표기하는 사람들도 있다.[3] 물론 이렇게 깊게 따지고 든다면, '헬라스'는 고전 발음이니 중세 이후의 발음인 '엘라스'가 더 알맞을 수도 있겠다.

2. 역사

워낙 오래된 언어인지라 시대별로 차이가 많이 난다.

고전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화와 철학, 신학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주었으며, 주로 고중세에 쓰인 철학, 신학 서적 등도 이를 바탕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고전 그리스어나 코이네 그리스어가 학자들의 관심을 받는 경우가 많다. 서양고전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거의 라틴어와 동일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후기 고대를 제외하면 고대 로마의 지식인들은 기본적으로 그리스어를 잘했기 때문에 라틴어 고전에서도 그리스어 표현이 갑툭튀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을 당해 숨이 넘어가는 와중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더러 그리스어로 "너도냐, 얘야(καὶ σύ, τέκνον)"라고 했다는 전승이 그 단적인 예이다.[4]

따라서, 라틴어 고전을 공부하다 보면 그리스어도 덩달아 공부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고전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를 '헬라어'라고 구분하여 문어(文語)로 가르친다. 때문에 대체적으로 그리스어에 능통했다는 분은 대개 읽는 것에만 능통한 경우가 다이며 신학과나 철학과, 사학과에서 행해지는 그리스어 교육은 사어나 다름 없는 언어의 문법과 단어를 암기하는 옛날 방식으로 교육이 된다.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차이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 소크라테스가 타임머신을 타고 현대에 오면, 후손들이 하는 말을 알아 들을 수는 없으나, 신문을 읽으면 무슨 내용인지 얼추 이해할 수 있다."라고 한다. 이는 현대 그리스어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고급 어휘들을 고전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따와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음은 심하게 바뀐 반면 문법은 오래된 언어치고는 아주 많이 바뀌지는 않았다는 것. 헌데 이것도 케바케일 수 있는 것이, 현재 그리스 정교회 성찬예배에서는 동로마 제국 시절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데, 딱히 이쪽으로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은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다. 때문에 학교 교육에서 그리스어 수업은 일상어인 현대어뿐만 아니라 고전 그리스어와 중세 그리스어를 모두 가르친다.

2.1. 원시 그리스어

인도유럽어족으로 분류하는데 아르메니아어와 친연관계라고 추정된다.

남은 실체는 기원전 2천여 년 무렵 크레타에서 번성한 미노스 문명과 이후에 그리스 본토에서 융성한 미케네 문명의 문자 자료뿐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체를 알기는 어렵다. 미노스 문명에선 어족 차원에서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고 추측하고 있다.자료가 남겨진 시기보다 훨씬 이전부터 사용했으리라 추측들 한다. 현재까지 해독된 이 시대의 유일한 문자인 선문자 B로 기록된 내용을 보면 고전 그리스어보다 문법이 복잡했던 듯하고 일부 어휘들, 이를테면 사신을 의미하는 akero(후대 그리스어로는 αγγέλος), 왕을 뜻하는 qasilew(βασιλεύς)[5] 같은 것이 재구성되었다는 점 외에는 알려진 게 없다. 이런 이유로 원시 그리스어의 전파 이전의 그리스의 토착 언어( 그리스어 기층설)를 인도유럽어족에 끼워넣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있다.

2.1.1. 그리스어 기층설 (Pre-Greek substrate theor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어 기층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년 기준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그리스어에 포함된 상당수의 고유럽 제어 계통 어휘들을 토대로 그리스어의 기층언어를 재구하는 연구를 진행된다. 이 미지의 기층언어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그리스의 선주민들을 가리켜서 '펠라스고이'라고 불렀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잠정적으로 펠라스기어(Pelasgian language)로 불린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2.2. 고전 그리스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전 그리스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호메로스 등의 시대에 쓰이던 그리스어. 현대에도 옛 스파르타 지방 인근에서는 '차코니카(τσακονικά)'라는 방언이 통용되는데, 이것은 고전 그리스어, 특히 라코니아 방언의 직계후손으로 제주도 방언 이상으로 이질적이라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못 알아 듣는다. 다른 그리스어 방언은 모두 아티케와 이오니아어에서 나왔으나 이 방언만은 도리아어에서 나왔다고 한다.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 타 어파와 친연관계가 없는 알바니아어가 도리아어와의 관련성을 주목 받은 바 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2.3. 코이네 그리스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이네 그리스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전 그리스어 방언 간의 혼합으로 최초로 형성된 공통 그리스어.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 그리스를 통일하고 남유럽 서아시아를 정복하면서 형성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가 널리 퍼지면서 남부유럽과 근동으로 전파되었고, 발칸반도 동부와 아나톨리아에서는 현지어를 완벽하게 대체하였다. 때문에 당대에 그리스어를 썼다고 해서 꼭 혈통 혹은 민족적 의미로 그리스인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기독교 신학을 공부할 때 중요하게 다루는 언어인데, 이는 신약성경의 원문과 구약성경의 첫 번역판인 70인역(septuaginta) 성경이 바로 이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조금 더 엄밀하게 말하면 히브리어, 아람어의 영향을 받은 코이네 그리스어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고, 그냥 코이네 그리스어 내부의 사회 방언으로 보면 된다.

그래서 그런지 한국에서 코이네 그리스어에 대해서 가장 빠삭하고 자료가 많은 집단이 바로 신학대학/신학과. 주요 교단의 신학생들은 원어 강의를 듣기 때문에 그리스어를 배우고, 목사가 아닌 전문적인 신학자 같은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다. 때문에 한국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외국에서도, 그리스어에 대한 수요는 현대 그리스어보다 오히려 코이네 그리스어가 많다. '헬라어' 또는 이를 한자로 음차한 '희랍어(希臘語)'라고 하면, 코이네 그리스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현대 그리스어는 그냥 '그리스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비단 신학뿐만이 아니라, 다른 학문에서도 중요시되는 언어인데, 유클리드 등 헬레니즘 시기의 그리스 학자들도 라인업이 상당히 화려하기 때문이다. Ἀθῆναι를 고전어 아테나이가 아니라 코이네 아테네로 쓰는 것만 하더라도, 코이네의 강력한 영향력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로마 그리스 사상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근동, 유럽에 널리 전파되었다. 국제어로서 기능했기 때문에 고전기 그리스어에 비해 수많은 외국어 어휘들을 차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고대 로마 제국 동부에서는 소위 '동서 로마 분열' 이전부터 그리스어가 지식인들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코이네 역시도 그 내부에서는 여러 시대적 변화를 겪은 발음이다. 고전 발음 구사자들이 어느 날 갑자기 "오늘부터 코이네를 써볼까?"라며 발음을 바꾼 것은 아니듯이 말이다.

후술하다시피 중세가 끝나고 그리스가 독립한 직후 주로 코이네 크리스어를 표본으로 그리스어를 복원했기에 현대 그리스어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진다.

2.4. 중세 그리스어

파일:Linguistic_Map_of_Justinian_I's_Empire_c._560.png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 동로마 제국 영토 내 언어 분포
그리스어
그리스어와 토착 언어
라틴어
라틴어와 토착 언어
아람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 카르트벨리어족

중세에 들어서면서 그리스어는 동로마 제국에서는 여전히 쓰였지만, 서유럽에서는 일상 언어로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동로마 제국의 영토가 이슬람 세력에 정복당했지만 동로마 제국에서 떨어져 나간 레반트와 이집트 일대에서는 이슬람화 이후로도 상당기간 동안 그리스어가 학문 언어로 쓰였다. 그 영향으로 아랍어 방언에서 그리스어의 영향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이집트 아랍어가 대표적인 예. 그러다가 시간이 갈수록 아랍인 다수 지역에서는 아랍어로 대체되어갔고, 아나톨리아 일대에서도 현지 그리스어 사용자들이 점차 튀르키예화되어 가면서 튀르키예어로 점차 대체되어 갔으며, 발칸반도 중부 일대에서도 슬라브족들이 정착하고 현지의 그리스계 주민들을 슬라브족에 동화하면서 슬라브 계통의 언어로 대체되어 갔다. 헬레니즘 시대의 코이네 그리스어는 중세 그리스어로 연결되었다. 15세기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그 이후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오늘날 크레타 키프로스 등등 그 외 대부분의 그리스 지방에서 통용되는 방언은 모두 이 언어의 후손이다. 폰토스 그리스어,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등 아나톨리아 반도 방언 역시 여기에서 파생되었지만 1924년 튀르키예 독립 전쟁 이후 체결된 로잔 조약에 의거하여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이뤄지는 대규모 이민족 교환인 이른바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에 의해 이스탄불을 제외한 튀르키예 모든 지역의 그리스인들이 그리스로 추방되어 이 방언들은 소멸되었다. 오늘날 남아 있는 중세 그리스어의 흔적은 이러한 방언들과 정교회에서 사용하는 그리스어의 억양과 어휘들뿐이다.

동로마 제국 시절에는 황족들을 유배하는 데 쓰였고,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환락의 중심지'였던 코스탄티니예(현재의 이스탄불) 및 에게해 주변의 도서들에는 현재까지도 튀르키예 국적의 그리스인들이 상당수 거주하고 있으며 조지아에도 그리스인들이 소수 민족으로 살아간다. 남아 있는 아나톨리아 방언 화자들의 언어 습관에 따르면 이들의 방언은 거의 그리스어와 튀르키예어 피진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튀르키예어와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테면 거리(street)를 뜻하는 표준 그리스어가 οδός(odhos)인 반면에 이스탄불 방언으로는 튀르키예어의 sokak과 비슷한 σοκάκι(sokaki)이다. 현대에도 크레타 방언에 남아 있는 Ταμάμ(tamam, 튀르키예어로 OK의 의미) 같은 어휘들과 같이 오스만 제국 시절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서유럽에선 5세기를 끝으로 식자층에서의 그리스어 지식이 쇠퇴하고[6] 학술어 자리를 라틴어가 완전히 대체하고, 그리스 철학서 및 신학서의 라틴어 번역이 활발히 진행된다. 그러다가 중세 말-근대 초, 성경의 토착어 번역 증가와 에라스무스 등 인문주의자들의 활약으로 다시 그리스어 지식이 매우 중요해졌는데, 이 시기에 진행된 고전 그리스어 연구는 서유럽의 문화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7]

2.5. 현대 그리스어

지금 그리스에서 쓰는 언어. 중세 그리스어에서 이어진 민중어(디모티키)의 단순화된 문법에 많은 수의 코이네 그리스어 어휘를 이식해서 만들어졌다. 현대 그리스어는 튀르키예어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어휘들을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되살려 사용하고, 근대시대에 걸맞은 어휘들을 기존의 그리스어 형태소들을 접합시켜 그리스화해 그리스어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가령 버스는 그리스어로 λεωφορείο(leoforio)인데, 라틴어 'omnibus'를 그리스화한 단어다. 경찰을 뜻하는 αστυνομία (astynomia)도 '법을 수호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창조된 단어.[8]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현대 그리스어로 넘어가는 현상은 이중모음 발음의 변화에서 추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이미 동로마 제국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령 사도 바오로의 그리스어 표기는 'Ὁ Ἅγιος Παῦλος(모노토니코스 표기: Ο Άγιος Παύλος)'인데, 그리스도교 형성기에는 /ho ˈaɡios ˈpawlos/ 라고 발음했던 듯하지만, 그리스도교 공인기에 이르면 마찰음화 때문에 /o ˈaɣios ˈpaβlos/ 로 발음되었다. 이후 9~11세기쯤에 구개음화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와 거의 동일한 발음인 /o ˈaʝios ˈpavlos/ 로 굳어졌다. 단적으로 Γεώργιος 또한 코이네 시절에는 게오르기오스였으나 중세의 예오르이오스(구개음화)를 거쳐 오늘날에는 예오르요스(구개음통합)로 읽는다.

비록 고대에 각 폴리스마다 다른 방언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코이네 그리스어의 경우 아티케 지역의 말을 뿌리로 한 것이며, 후대의 고전 연구자들은 아티케 발음을 정통으로 취급했다. 그러나 로마 제국의 비잔티온 천도 및 동서분열, 그리고 결정적으로 동로마 제국의 그리스어 공인으로 비잔티온(콘스탄티노폴리스) 발음이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동로마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공용어가 튀르키예어가 되어 버리면서 어느 지방도 주도권을 갖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19세기 그리스 민족주의의 발흥을 기점으로 각 지방이 서로 내 발음이 정통이네, 누구의 표기법이 맞네 틀리네 주장하면서 서로 치고 박고 싸웠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이후에는, 튀르키예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을 이미 1천여 년 전에 사라진 고대어를 부활시켜 가면서까지 갈아치우는 등, 대대적인 언어순화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구어체와 문어체 간 차이가 외국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커지는 바람에 그리스어 표준화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논란이 일었다.

이렇게 19세기 그리스가 독립하면서 그리스어에 내재한 튀르키예어의 영향을 배제하고 고전 그리스어의 규범을 살려 새로이 만들어진 그리스어 형태를 카사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 '순수한 것'이라는 뜻)라고 했고, 당시 일반인들이 입말로 쓰던 그리스어는 디모티키(Δημοτική, '민중의 말'이라는 뜻인 Δημοτική γλώσσα의 줄임말)라 했다. 카사레부사는 그리스 정부에서 규정한 그리스어의 표준이 되었다. 카사레부사를 밀어주던 세력은 모든 그리스인이 카사레부사를 문어체로도 구어로도 쓰기를 원하였으나, 카사레부사는 따로 공부를 하지 않았을 경우 일반인들이 알아듣기 어려운 수준이었기 때문에 문어체와 공식 언어로만 쓰여 그리스는 양층 언어 국가가 되었다.

카사레부사와 디모티키 중 무엇을 쓸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그리스 독립 이래 100년 넘도록 치열하게 진행되었다. 이 논쟁을 그리스에서는 토 글로시코 지티마(το γλωσσικό ζήτημα), 즉 '언어 문제'라 하였는데, 이 논쟁이 치열했던 것은 그리스 민족의 자존심을 걸고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 수백 년 동안 그리스어가 받은 오스만의 영향을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는 이상론 측과 그리스 민족 대부분이 이미 사용하는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 측 모두 각자의 명분이 확고했기 때문이다.

그리스의 독립 이후로 많은 그리스의 문학가들은 카사레부사뿐만 아니라 디모티키로도 자신의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한 흐름은 운율이 중요한 시로부터 시작되어 1880년대 이후로는 산문 문학으로도 확산되었다. 그들의 노력으로 디모티키는 카사레부사에 뒤지지 않을 만큼 체계성과 표현력을 갖추었다. 이는 '디모티키로는 고급 표현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카사레부사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보수파들의 주장을 약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사레부사와 디모티키의 대립은 갈수록 커져갔다. 1901년에는 복음서의 디모티키 번역본 출판을 둘러싸고 그리스 정교회를 비롯한 카사레부사 지지세력이 대대적인 디모티키 반대 시위와 폭동을 일으킨 바 있으며, 의무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카사레부사를 가르칠 것인가, 혹은 디모티키 사용을 허가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은 그리스 독립 이래 현대까지 쭉 이어져 왔다.

1967년에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한 군부는 디모티키를 비난하고 카사레부사를 적극적으로 밀어줬다. 이들은 교육 현장이나 일반 문어체에서 허용되어 왔던 디모티키 요소들을 싸그리 없애고자 하였다. 그러나 군부의 과도한 디모티키 탄압과 카사레부사 옹호는 오히려 그리스 민중의 뇌리에 카사레부사는 '낡은 것', '고루한 것'이라는 이미지를 완전히 뿌리 박고 말았다.

결국 군사정권이 무너지고 새로 구성된 민주 정부는 1976년에 그리스어 표준 규범을 디모티키(Δημοτική) 위주로 개혁하였고, 이로써 길고 긴 카사레부사와 디모티키의 싸움은 디모티키의 승리로 끝났다. 더 나아가 1982년에 카사레부사에는 필요하지만 디모티키에는 불필요한 그리스 문자의 각종 다이어크리틱(diacritic)을 폐지하였다. 그렇지만 마치 오늘날 중국어에도 글에서 한문식 표현이 많이 보이듯이 현대 그리스어 문어체에서도 카사레부사의 영향력이 적지 않다. 예를 들면 그리스의 중앙은행인 '그리스 은행'은 Τράπεζα της Ελλάδος(뜨라뻬자 띠즈 엘라도스)라고 쓰는데, 디모티키 문법으로는 της Ελλάδας가 되어야 한다. 카사레부사의 흔적이 남은 것이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λεωφορείο(leoforio)같은 근대 문물에 대한 그리스어 명칭도 현대 디모티키 위주의 표준 그리스어에서 잘 쓰이지만 이는 대부분 디모티키 문법이 아닌 카사레부사 문법으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현대 그리스에서 카사레부사는 민중의 입말과 동떨어졌다는 결점에도 불구하고 현대 그리스어의 표현력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대 그리스어 문헌으로는 니코스 카잔차키스, 나나 무스쿠리의 저작이 유명하다.

3. 방언

1976년에 표준 그리스어 규범이 디모티키 위주의 것으로 개혁되면서 현대 표준 그리스어는 아테네의 방언에 기초해 있다. 하지만 중세 그리스어가 현대어로 넘어가면서 전 국가적으로 언어순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지역별 사투리 편차는 그렇게 심하지 않다.

그래도 두드러지는 방언이 좀 있는데 크레타와 키프로스, 서 트라키아, 펠로폰네소스 남부의 차코니카 방언 사용지역 그리고 섬 지역들이다. 대체로 섬 지역은 사투리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9] 특히 크레타와 키프로스의 경우 본토보다 더 오랫동안 튀르키예의 지배를 받았고 크레타 섬에서는 튀르키예인 인구가 전체 섬주민의 50%에 달할 만큼 많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튀르키예어와 섞이게 되었다. 결국 중세 그리스어+튀르키예어 어휘들로 인해 본토 사람들은 도대체 못 알아먹는 방언이 되어버린 것. 그리스 코미디 프로그램 AMAN에서는 이런 크레타인들의 웃긴(?) 그리스어를 소재로 삼은 유머도 있다.

크레타 친구: 안녕 친구!
주인공: 오! 오랜만이네
크레타 친구: 어떻게 지냈어?
주인공: 나야 잘 지내지. 나 일하러 테살로니찌에 가게 됐어.
크레타 친구: 그래, 잘 갔다와. 근데 조심해야 할 게 몇 가지 있다구.
주인공: 지금 나 바보 취급하는 거야? 도대체 뭔데?
크레타 친구: 그러니까, 우리 말의 '찌'가 다르게 발음된다는거지. '까바' 처럼
주인공: 썅, 좀더 쉽게 설명해봐!
크레타 친구: 그러니까 '찌다' 발음은 모두 '끼다' 발음으로 바뀐다는 거야.
주인공: 하! '찌다' 발음은 모두 '끼다'가 되고, '쩨' 발음은 모두 '께'가 된다는거지?
크레타 친구: 브라보!
주인공: 그리고 '쩨바' 발음은 '까바'가 된다고?
크레타 친구: 브라보!
주인공: 설명 고마워. 잘 지내라구.
크레타 친구: 즐거운 여행 되길 바란다 친구야! 그리고 말야…
주인공: 좋아 좋아, 알았으니까 잘 지내!

(2일 후에)

주인공: 여기요! 여기 당신 가게요?
가판대 주인: 네
주인공: 그러니까, 끼가라(찌가라, "담배")[10] 1갑을 사려고 하는데요
가판대 주인: 뭐라고요??
주인공: 아 끼가라 있잖아요 끼가라! 뻐끔뻐끔 끼가라!
가판대 주인: 찌가라 달라고요?
주인공: 뭐야! 당신도 크레타 출신이었잖아, 왜 진작에 말 안했어 멍청아!!

비록 섬이 아닌 육지이지만 서트라키아 또한 언어, 문화적으로 튀르키예의 영향이 강하다 보니 튀르키예어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은 그리스어 방언이 쓰인다. 정확히는 그리스어가 모어인 이들 한정이며, 서트라키아 내에서도 튀르키예어가 모어인 튀르키예계 주민들은 비교적 현대 표준 그리스어에 가까운 그리스어를 구사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atolian_Greek_dialects.png

1923년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 이전에 아나톨리아에서 쓰이던 그리스어 방언으로는 흑해 그리스인들이 사용하던 폰토스 그리스어(주황)와 카파도키아 그리스어(녹색)가 있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그리스에서 현재도 40만 가량이 사용한다고 추정되며 러시아 내 그리스인들이 사용하던 언어이기도 했다. 튀르키예에도 폰토스 그리스어 사용자가 남아 있다. 본인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로메이카(Romeika, Ρομαϊκα)라고 부르는데 ' 로마어'라는 뜻이다. 폰토스 그리스어 위키백과도 따로 있다[11]. 한편 튀르키예어의 영향 또한 걸쭉하게 받은 카파도키아 그리스어는 1960년대 이후 멸종된 줄 알았으나, 2015년 조사에 따르면 그리스 북부와 중부에 거주하는 2800여 명이 모어로 사용한다고 한다.

이탈리아 반도 남부의 몇몇 지방에 'Griko'라는 언어가 남아 있다. 현대 연구자들은 이탈리아 남부에 있던 그리스계 식민도시의 문화가 남은 흔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2000년대에는 급격히 사멸해가는 추세다.

한편 고대 스파르타 지방의 언어를 계승한 방언도 있다. 차코니카어라고 부르는 것으로 스파르타에서 가까운 차코니카 지방에서 사용하는 방언이다. 현대 그리스어를 비롯하여 현존하는 그리스어 방언 대부분이 아티카 방언에서 유래한데 비하여 차코니카어는 스파르타가 사용한 도리아 방언을 계승한 유일한 말이다.

이 외에 그리스 서부의 이오니아 제도 오스만 제국이 아닌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아서[12], 이오니아 제도의 방언에서는 튀르키예어의 흔적은 없고 대신 이탈리아어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 동남부의 도시인 마리우폴에 거주하는 그리스계 주민들을 중심으로 마리우폴 그리스어란 그리스어 방언이 쓰이기도 했지만, 2022년에 러시아 우크라이나로 침공한 와중 마리우폴에 대대적인 폭격을 가해서 장장 40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나왔으므로, 2022년 10월 기준으로는 이 방언 화자들의 현황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4. 음소

4.1. 자음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치경구개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성문
VI V Vl V Vl V Vl V Vl V Vl V Vl V Vl V Vl V Vl V Vl V
<colbgcolor=white,#1f2023> m n ŋ
파열 p b t d k ɡ
파찰 t͡s d͡z
마찰 f v θ ð s z x ɣ
접근 j
[ruby(접근, ruby=설측, color=black)] l
ɾ

4.2. 모음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U R U R U R U R U R
<colbgcolor=white,#1f2023> i u
근고
중고 e o
중저
근저
a

5.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 문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리스 알파벳은 에트루리아 문자를 통해 현대 라틴 문자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키릴 문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집트 지역에서도 콥트어를 표기할 때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다. 그리스어의 사용 범위가 축소된 현재는 그리스와 키프로스(그것도 북키프로스는 제외)에서만 쓰인다.

수학이나 공학 관련 서적을 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알파(Α, α), 베타(Β, β), 감마(Γ, γ), 델타(Δ, δ)… 등이 바로 그것. 수학, 공학 등에서 흔히 보는 그리스 문자와 달리 실제 그리스어의 그리스 문자는 여기에 발음을 돕는 악센트 기호나 이것저것 덧붙는 것도 많으며 ι, η, ει, οι처럼 같은 발음을 다르게 써놓는 경우도 많다. 이는 고대에는 서로 발음이 달랐던 모음이 폭풍 단순화를 거쳐 같아졌기 때문으로, 코이네의 시대에 이미 나타나던 현상이다.

유럽연합에서 인정받는 언어라서 유로를 보면 밑에 그리스 문자로 ΕΥΡΩ(에브로)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보조단위인 센트 역시 그리스어로 ΛΕΠΤΟ(렙또), 복수형은 ΛΕΠΤΑ(렙따)로 동전에 적혀 있다.

수학을 하게 되면 지겹도록 볼 수 있다. 보통 상수나 계수를 적는데 사용되며, 수학, 물리학, 공학 등을 전공하는 사람이면, 음가(音價)는 몰라도 글자를 보여주면 글자 이름은 다 알아맞출 수 있다. 또 음가를 알면 이 개념에 왜 이 문자를 썼는지 유추하기 쉬워지기도 한다.[13] (이과생 기준) 고등학생에게도 익숙할 그리스 문자에는 알파(α), 베타(β), 감마(γ), 델타(Δ), 세타(θ), (μ), 시그마(Σ), 파이(π), 오메가(Ω/ω) 등이 있겠다. 다만 이렇게 관용적으로 많이 부르는 이름은 영어식 발음이 일부 반영되었기 때문에, 실제 그리스어 발음과는 조금 다른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μ는 고전 그리스어식으로는 '뮈', 현대 그리스어식으로는 '미'라고 읽으며, π는 고대와 현대 그리스어 모두 '삐'에 가깝게 읽는다. 다만 굳이 한글로 적어야 한다면 현대 그리스어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피'라고 적어야 한다. θ(θήτα)의 경우 현대 그리스에서는 '시타'라고 읽지만, 고전 그리스어에서는 '테따'였다.

그리스 문자를 쓸 때는 모음 글자 위에 여러 가지 점 모양의 다이어크리틱(diacritic)이 붙는다. 이는 강세를 표시해 주기 위한 부호로, 그리스어에서 강세는 의미를 구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세부터 붙이기 시작했다. 실제로 대문자로만 쓰였고, 띄어쓰기도 부호도 없는 옛날 사본들을 보면 가독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자면 ψύλλος, ψηλός는 둘 다 발음은 psilos지만 강세 위치에 따라 '벼룩'과 '키가 큰(남성)'이란 의미로 구분된다. 아래에 설명하는 복잡한 다이어크리틱을 쓰는 것을 polytonic이라고 하는데, 이는 대부분 현대 그리스어에서 의미가 없는 부호들이라 1976년 카사레부사 그리스어에서 구어체 그리스어(=디모티키)로 표준 그리스어 규범을 개혁하면서 1982년 다이어크리틱을 단순화한 이후 ΄, ¨만 남았고, 이를 monotonic이라고 한다.

그리스어의 다이어크리틱(diacritic)은 이중모음 중 뒷글자에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예를 들어 Ευα는 Ευ(에우/에브)와 α(아)로 나뉘어지므로, acute와 smooth breathing은 Ευ의 뒷글자인 υ에 붙어 Εὔα로 표기한다.
acute
ὀξεῖα
´ 단모음은 높은 음으로, 장모음은 피치를 높이며 발음한다. 현대 그리스어로는 영어 악센트마냥 그냥 강세를 줘서 발음한다.
grave
βαρεῖα
` 평이하게 발음한다. 평이한 모든 모음에 표시하는 경우도 없진 않지만 보통 acute가 약화되어 평이하게 바뀔 때만 표시한다.
circumflex
περισπωμένη
높아지다 낮아진다. 단모음에는 붙지 않는다. 기호 자체가 acute와 grave의 조합을 그냥 곡선으로 그린 것에서 유래되었는데, 글꼴에 따라 ~ 모양으로 나올 수도 있다.
rough breathing
δασὺ πνεῦμα
[h] 발음이 나던 고대 문자 Ͱ에서 유래한 기호로, 모음 앞에 h가 붙음을 나타낸다. 또는 ρ에 붙어 무성음화됨을 나타낸다. 고전 그리스어는 어두 이외에는 [h] 발음이 거의 나오지 않기 때문에 ῤῥ를 제외하고는 거의 어두에서만 볼 수 있다.
smooth breathing
ψιλὸν πνεῦμα
᾿ h가 없음을 나타낸다. 모음으로 시작한다면 항상 어두에 붙이고, 어두 이외에는 ῤῥ를 제외하고 나오지 않는다.
koronis
κορωνίς
᾿ 모음이 합쳐져서 새로운 모음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smooth breathing과 동일하게 생겼으나 기능이 다르므로 어두 이외에 나올 수 있다.
iota subscript
ὑπογεγραμμένη
ͺ ᾱι, ηι, ωι는 원래 그대로 [aːi̯], [ɛːi̯], [ɔːi̯]로 발음되었으나,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는 끝의 [i̯] 발음이 탈락한다. 이후 이 발음되지 않는 ι를 쓰기도 뭣하고 지우기도 뭣했는지 그냥 앞의 모음 밑에다 적는 표기법이 출현했다.
diaresis
διαίρεσις
¨ 이중문자로 읽지 않고 각각 따로 읽는다. 예를 들어 αι는 현대 발음 기준 [e]로 읽지만 αϊ는 [ai]/[aj]로 읽는 식. 단, 이중문자의 앞에 악센트가 붙은 경우는 이 기호를 생략한다. [e]로 읽는 αι는 악센트가 항상 αί 형태로 뒷글자에 붙으므로, άι라고 표기한 것만으로도 [e] 발음이 아니라는(그래서 [ai]/[aj]로 읽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macron ˉ 붙은 모음이 장음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는 생략하고 거의 쓰지 않고, 단어나 문법을 가르칠 때 장음임을 확실하게 표기하려고 쓰는 정도다.
breve ˘ 붙은 모음이 단음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는 생략하고 거의 쓰지 않는다.

5.1. 기본 문자[14]

그리스 문자
(대문자/소문자)
명칭 발음
Α α 알파 (άλφα) /a/
Β β 비타 (βήτα) /v/
Γ γ 가마 (γάμμα) /ɣ/, /j/
Δ δ 델타 (δέλτα) /ð/
Ε ε 엡실론 (έψιλον) /e/
Ζ ζ 지타 (ζήτα) /z/
Η η 이타 (ήτα) /i/
Θ θ 시타 (θήτα) /θ/
Ι ι 요타 (ίωτα) /i/, /j/
Κ κ 카파 (κάππα) /k/
Λ λ 람다 (λάμδα) /l/
Μ μ 미 (μι) /m/
Ν ν 니 (νι) /n/
Ξ ξ 크시 (ξι) /ks/
Ο ο 오미크론 (όμικρον) /o/
Π π 피 (πι) /p/
Ρ ρ 로 (ρω) /ɾ/
Σ σ ς[15] 시그마 (σίγμα) /s/
Τ τ 타프 (ταυ) /t/
Υ υ 입실론 (ύψιλον) /i/
Φ φ 피 (φι) /f/
Χ χ 히 (χι) /x/, /j̊/
Ψ ψ 프시 (ψι) /ps/
Ω ω 오메가 (ωμέγα) /o/

5.2. 다중문자 및 확장 문자

  • αι - /e/
  • αυ - /af/, /av/
  • γγ - /ɣ/
  • γε - /je/
  • γι - /ji/
  • γκ - /ɡ/
  • ει - /i/
  • ευ - /ef/, /ev/
  • ηυ - /if/, /iv/
  • μπ - /b/
  • ντ - /d/
  • οι - /i/
  • ου - /u/
  • Τσ - /t͡s/
  • Τζ - /d͡z/
  • υι - /i/
  • ωυ - /oj/
  • χχ - /x/
  • χε - /j̊e/
  • χι - /j̊i/
  • ´ - 해당 부호가 붙은 모음을 강하게 발음함.
  • ¨ - 이중모음을 분리함. ( αι : 에, αϊ : 아이)

6. 현대 그리스어의 구조

그리스어는 영어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다. 고전 그리스어는 히타이트어 등과 비슷한 발전상을 겪어왔지만, 이 언어들은 사어가 되었다. 로마 제국의 발흥 후에는 많은 고전 그리스어 단어들이 라틴어에 차용되었으며, 때문에 이 라틴어에서 파생되었거나 라틴어 단어를 차용한 다른 유럽어들에 그리스어 단어들이 남아 있다. 그러나 영어, 프랑스어와 그리스어 단어는 사용법이 전혀 다른 경우도 많다. 이 후의 그리스어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튀르키예어의 영향을 받는 등, 현대 그리스어는 다른 유럽계 언어들과는 다소 다른 발전과정을 거쳐왔다.

6.1. 문법의 특이성

  • 고유명사에도 정관사를 붙인다.
    나는 니코스 포르토칼리스입니다. 나는 그리스에서 왔습니다.
    Είμαι ο Νίκος Πορτοκάλης. Είμαι από την Ελλάδα.
    (Íme o Níkos Portokális. Íme apó tin Eládha.)
    (I’m the Nikos Portokalis. I’m from the Greece.) → 직역

    그리스어의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성과 수에 맞춰서 명사가 굴절된다. 과거에는 호격도 존재했지만,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κύριε(키리에, 주님, 선생님)정도를 제외하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정관사 표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ο το η[16] οι τα

    대격 τον τη(ν) τους τις

    속격 του της των


    부정관사 표
    남성 중성 여성

    주격 ένας ένα μία/μια

    대격 έναν μία(ν)/μια(ν)[17]

    속격 ενός μίας/μιας


    명사의 성은 어미를 통해 규정되는데, 남성명사의 경우 주격기준으로 -ας, -ος, -ης, -ούς, -ές 형태(ex: άντρας, σκύλος, τίγρης, παππούς, καναπές)가 있고, 여성명사는 -α, -η, -ος, -ού 형태(ex: Ελλάδα, όψη, οδός, αλεπού) 가 있고, 중성명사의 경우 -ι, -ο, -μα, -ος, -ας 형태(ex: τυρί, νερό, χρώμα, μέρος, τέρας)가 존재한다. 각각의 어미들은 나름대로 복수변화를 하고, 인칭에 따라 굴절한다. 초심자의 경우 중성명사인 πρόβλημα, χάρισμα 같은 명사들을 여성명사로 변화시키는 실수를 자주 하는데, -μα 어미로 끝나는 중성명사들은 복수형이 -ματα가 되므로 전혀 다르다.

    예:
    ο άνθρωπος (그 사람), του ανθρώπου (그 사람의), τον άνθρωπο (그 사람에게, 그 사람을)
    οι άνθρωποι (그 사람들), τών ανθρώπων (그 사람들의), τους ανθρώπους (그 사람들에게, 그 사람들을)
  • 접속사를 풍부하게 사용한다.
    그리스어에는 다양한 접속사가 존재하며, 다른 유럽어와 비교해봐도 접속사를 남발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별 이유 없이 접속사를 붙이는 경우도 흔하다.

    예: Προτιμώ να πάω. '나는 가고 싶어' → Προτιμώ να πάει ο Γιάννης. '난 얀니스가 갔으면 좋겠어.'
    위 예문을 직역하면 '나는 가는 것를 선호해(I prefer to go)', '나는 얀니스가 가는 것을 선호해'(I prefer to goes Giannis)가 된다. 영어로는 어색하기 짝이 없는 문장이지만, 그리스어에서는 접속사를 사용해서 문장을 연결하거나, 동사의 의미를 확장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접속사인 'να' (영어의 to 처럼 쓴다)는 동사 여러개가 연결될 때도 쓰이는등 다양한 용법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어 공부의 발목을 잡는 원흉

    그리스어의 접속사는 대충 이정도가 있다.
    용법 접속사 의미

    연결 και (κι), ούτε, μήτε, ουδέ, μηδέ 그리고, ~~도

    분리 ή, είτε 또는, ~~또한

    부정 μα, αλλά, παρά, όμως, ωστόσο, ενώ, αν και, μολονότι, μόνο 하지만, ~~할지라도, 그러나, 어느곳이든, 다만

    추론 λοιπόν, ώστε, άρα, επομένως, που 그래서, 마찬가지로, 그러므로

    결론 δηλαδή 즉, 그러므로

    특별용법 ότι, πως, που 이,저,그

    시간 όταν, σαν, ενώ, καθώς, αφού, αφότου, πριν (πριν να), μόλις, προτού, ώσπου, ωσότου, όσο που, όποτε 언제, 하는 동안, 이후에, 이전에, 까지

    설명 γιατί, διότι, επειδή, αφού 왜냐하면

    가정 αν, εάν, άμα, σαν 만약, ~~라면

    결론 lνα, για να 그러므로

    목적 ώστε (να), που ~하기 위한

    주저하는 듯한 뉘앙스 μη(ν), μήπως 아마도, 혹시

    비교 παρά ~~보다 더
  • 그리스어의 어순
    그리스어의 어순은 영어와 같이 주어(S)+동사(V)+목적어(O) 형태이지만 소유대명사를 표시할 때 어순이 변하며, 전치사의 사용법이 다르다. 또 고유명사에도 정관사를 붙이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예:
    나의 친구 - ο φίλος μου (o filos mu = the friend my)
    그녀의 어머니 - η μητέρα της (i mitera tis = the mother her)
    너의 집 - το σπίτι σου (to spiti su = the house your)

    나는 와인을 1병 사기를 원합니다.
    Θέλω να αγοράσω ένα μπουκάλι κρασί.
    (thelo na agoraso ena bukali krasi)
    (I want to buy a bottle of wine)
  • 고전 그리스어와의 발음 차이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는 모음 읽는 방법이 상당히 다르다. 그리스인들은 학교에서 누구나 고전 그리스어를 배우는데, 그리스 도처에 흩어져 있는 유적지들의 비문을 읽어내는 신기도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 그리스어식으로 읽는다. 가령 마라톤 전투가 벌어진 전장에 세워진 비석의 명문은 다음과 같이 읽는다.

    "Ελλήνων προμαχούντες Αθηναίοι Μαραθώνι χρυσοφόρων Μήδων εστόρεσαν δύναμιν"
    고대식: "hellénon promakhúntes athenaíoi marathóni khrysophóron médhon estóresan dhýnamin"
    현대식: "ellínon promahúndes athinéi marathóni hrysofóron mídhon estóresan dhýnamin"[18]
    그리스의 수호자 아테네인은 마라톤에서 황금옷으로 치장한 메디아인의 세력을 파멸시켰도다.[19]
  • 차용어
    현대 그리스어에는 상당히 많은 튀르키예어 어휘가 들어와있다. 독립 직후 대규모의 언어정화 운동을 벌여 상당수의 단어가 고대어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많은 튀르키예어가 남아 있다. (주로 식품, 튀르키예로부터 유입된 문물들에 대해) 또한 튀르키예어에도 오스만 제국 시절부터 해산물 등 바다에 관련해서는 상당수의 그리스어 단어가 유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어와 튀르키예어는 거의 1만 2천여 개에 달하는 어휘를 공유한다. 그리스와 튀르키예는 오늘날에도 종교와 언어만 다를뿐 많은 문화를 공유한다. 사실 서로 얼굴도 비슷하게 생겼다.

    몇 가지 예시> (튀르키예어에서 그리스어로 넘어간 단어는 ★, 그리스어에서 튀르키예어로 넘어간 단어는 ☆로 표시한다.
    그리스어 단어 튀르키예어 단어 한국어 단어

    ο αφέντης (오 아펜디스) efendi (에펜디) 어르신, 선생님 (★)

    ο απτάλης (오 압딸리스) aptal (압탈) 바보 (★)

    γαρίδα (가리다) karides (카리데스) 새우 (☆)

    εκκλησία (에끌리시아) kilise (킬리세) 교회 (☆)

    το γιαούρτι (또 야우르띠) yoğurt (요우르트) 요구르트 (★)

    το καλπάκι (또 깔빠끼) kalpak (칼팍) 모자 (★)[20]

    καλαμάρι (깔라마리) kalamar (칼라마르) 오징어 (☆)

    το καντήλι (또 깐딜리) kandil (칸딜) 램프 (☆)

    το καρπούζι (또 까르뿌지) karpuz (카르푸즈) 수박 (★)

    το κεχριμπάρι (또 께흐리바리) kehribar (케흐리바르) 호박(보석)[21] (★)

    το κούτι (또 꾸띠) kutu (쿠투) 상자 (☆)

    το λιμάνι (또 리마니) liman (리만) 항구 (☆)

    το λουκούμι (또 루꾸미) lokum (로쿰) 로쿰 (★)

    ο μάγκας (오 망가스) manga (망가) 음? 선원, 멋쟁이 (★)

    το μαγκάλι (또 망갈리) mangal (망갈) 화로 (★)

    το μπαϊράκι (또 바이라끼) bayrak (바이락) 깃발 (★)

    ο μπαλτάς (오 발따스) balta (발타) 도끼 (★)

    το μπαχαρικό (또 바하리꼬) baharat (바하랏) 향신료 (★)

    η μπίρα (이 비라) bira (비라) 맥주 (★)

    η ντομάτα (이 도마따) domates (도마테스) 토마토 (☆)

    το παντζάρι (또 빤자리) pancar (판자르) 사탕무 (★)

    η πατάτα (이 빠따따) patates (파타테스) 감자 (☆)

    το πιπέρι (또 삐뻬리) biber (비베르) 후추, 고추, 피망 (☆)

    η σάλτσα (이 살짜) salça (살차) 소스 (특히 고추나 토마토로 만든것) (★)

    το σεντούκι (또 순두끼) sandık (산득) 상자, 주로 혼례함이나 옷 보관용 트렁크를 의미한다. (★)

    το σπανάκι (또 스빠나끼) ıspanak (으스파낙) 시금치 (☆)

    ο τενεκές (오 떼네께스) teneke (테네케) 깡통 (★)

    το τσαϊ (또 짜이) çay (차이) (茶, tea) (★)

    το τσακμάκι (또 짜크마끼) çakmak (차크막) 라이터 (★)

    το τσουράπι (또 쭈라삐) çorap (초랍) 양말 (★)

    το τσουρέκι (또 쭈레끼) çörek (최렉) 튀르키예에서 유래하여 치즈나 감자, 고기등의 속이 들어간 식사 및 간식용 빵 (★)

    το τζατζίκι (또 자지끼)[22] cacık (자즉) 요구르트로 만든 소스 (★)

    η τσάντα (이 짠다) çanta (찬타) 가방 (★)

    το φασόλι (또 파솔리) fasulye (파술예) (☆)

    το φίλντισι(또 필디씨) fildişi (필디쉬) 상아[23] (★)

    το φιντζάνι (또 핀자니) fincan (핀잔) 커피잔 (★)

    το φιστίκι (또 피스띠끼) fıstık (프스특) 피스타치오 (★)

    το φουντούκι (또 푼두끼) fındık (픈득) 헤이즐넛 (★)

    το χάνι (또 하니) han (한) 숙소, 여관 (★)

    χταπόδι (흐따뽀디) ahtapot 문어 (☆)

    ωκεανός (오께아노스) okyanus (오키야누스) 대양 (☆)

6.2. 수사 구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그리스 숫자
,
,
,
,
,

고전 그리스어의 수사에 비해 현대 그리스어의 수사는 간결한 편이다. 다만 끝자리가 3, 4에 해당하는 기수는 복수명사에 따른 변화가 있으며, 서수는 남성, 여성, 중성에 따라 일치시켜야 한다. ( ) 친 부분이 기수명사의 복수변화 형태이다. 즉 τρία μέρες 가 아니라 τρείς μέρες, τέσσερα άντρες가 아니라 τέσσερεις άντρες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 격변화도 해줘야 하는데 다행히도 현대그리스어의 격변화는 꽤 규칙적이다. 또한 7, 8, 9엔 현대 그리스어의 정서법 개정 이전의 흔적이 남아 있어 두 가지 표기가 있다. 이 또한 , 옆에 표기한다.

전통적으로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는 그리스 숫자가 존재하며, 현재는 서수를 나타낼 때 사용되고, 타 유럽 지역에서 로마 숫자가 쓰이는 상황에 대신 사용되고 있다. 숫자로 쓰이는 글자는 옆에 '표시를 붙여서 일반글자와 구분한다.

6.2.1. 기수

그리스어 한국어 그리스 숫자 그리스어 수 한국어 그리스 숫자
ένα (μία) 하나 Α' ένδεκα 열 하나 ΙΑ'
δύο Β' δώδεκα 열 둘 ΙΒ'
τρία (τρείς) Γ' δεκατρία (δεκατρείς) 열 셋 ΙΓ'
τέσσερα (τέσσερεις) Δ' δεκατέσσερα (δεκατέσσερεις) 열 넷 ΙΔ'
πέντε 다섯 Ε' δεκαπέντε 열 다섯 ΙΕ'
έξι 여섯 Ϛ'(ΣΤ)[24] δεκαέξι 열 여섯 ΙϚ'(ΙΣΤ')
επτά, εφτά 일곱 Ζ' δεκαεπτά 열 일곱 ΙΖ'
οκτώ, οχτώ 여덟 Η' δεκαοχτώ 열 여덟 ΙΗ'
εννέα, εννία 아홉 Θ' δεκαεννέα 열 아홉 ΙΘ'
δέκα Ι' είκοσι 스물 Κ'
  • 20이상 100사이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카사레부사나 고전그리스어의 수사법과 비교하면 상당히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τριάντα (30, Λ'), σαράντα (40, Μ'), πενήντα (50, Ν'), εξήντα (60, Ξ'), εβδομήντα(70. Ο'), ογδόντα(80' Π), ενενήντα (90, Ϙ'/Ϟʹ[25]), εκατό (100, Ρ')
  • 200이상 900사이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대체로 뒤에 -κόσια가 붙으며 강세가 옮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διακόσια (200, Σ'), τριακόσια (300, Τ'), τετρακόσια (400, Υ'), πεντακόσια (500, Φ'), εξακόσια (600, Χ'), επτακόσια (700, Ψ'), οκτακόσια (800, Ω'), εννιακόσια (900, Ϡ'[26])
  • 1000이상, 900000이하의 기수는 기수 + χίλια (1000)의 복수형인 χιλιάδες를 사용한다. 강세위치가 변한다.
    χίλια (1000, ,Α'), δύο χιλιάδες (2000, ,Β'), τρία χιλιάδες (3000, ,Γ'), τέσσερα χιλιάδες (4000, ,Δ'), πέντε χιλιάδες (5000, ,Ε') ... δέκα χιλιάδες (10,000, ,Ι'), είκοσι χιλίαδες (20,000, ,Κ') ... εκατό χιλιάδες (100,000, ,Ρ' )
  • 21, 22, 23등의 숫자는 규칙적이다. 10단위 숫자 + 1단위 숫자로 표기하며 성,수,격 변화를 시켜주면 된다.
    είκοσι ένα (21, ΚΑ'), είκοσι δύο (22, ΚΒ'), τριάντα πέντε (35, ΛΕ'), εξήντα εννέα (69, ΞΘ΄), εβδομύντα τέσσερα (74, ΟΔ'), ενενήντα εννέα (ϞΘ'), εξακόσια εξήντα εξί (666, ΧΞΣΤ' 혹은 ΧΞϚ'), οκτακόσια ογδόντα οκτώ (888, ΩΠΗ'), δύο χιλιάδες δεκαεπτά (2017, ,ΒΙΖ'), πέντε χιλιάδες πέντε (5005, ,ΕΕ')...
  • 100만 이상의 숫자는 그리스어 특유의 방식이 쓰인다. 잘보면 라틴어의 tri, quad, quint... 접사가 그리스어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복수, 격 일치도 지켜야 한다. 100만을 뜻하는 εκατομμύριo를 뜯어보면 100과 μύριo의 결합인 것을 볼 수 있는데, 고대에는 이 숫자는 1만의 의미로 썼다. 고대식으로 표기하면 μυρίοι. 때문에 100이 붙어 εκατομμύριo가 된 것이다.
    (ένα) εκατομμύριο (100만), δύο εκατομμύρια (200만), τρία εκατομμύρια (300만)
    (ένα) δισεκατομμύριο (10억), δύο δισεκατομμύρια (20억), τρία δισεκατομμύρια (30억)
    (ένα) τρισεκατομμύριο (1조)
    (ένα) τετρακισεκατομμύριο (1000조)
    (ένα) πεντακισεκατομμύριο (100경)

6.2.2. 서수

서수는 영어와 비슷하다. 하지만 첫번째를 뜻하는 πρώτο부터 시작해서 전부 성, 수, 격변화를 모두 지켜줘야한다. 대략적으로 예를 들면 남성은 -ος, 여성은 -η, 중성은 -ο 식이다. 강조한 부분을 변화시키면 된다. 기본형은 중성으로 표기했다. 한편 그리스어의 요일표기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서수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일요일을 시작으로 월요일은 둘쨋날(δεύτερη μέρα), 화요일은 셋쨋날(τρίτη μέρα), 수요일은 넷쨋날(τετάρτη μέρα), 목요일은 다섯쨋날(πέμπτη μέρα)라고 불리던 것이 정착한 것이다.[27]

πρώτο (Α'), δεύτερο (Β'), τρίτο (Γ'), τέταρτο (Δ'), πέμπτο (Ε'), έκτο (ς', ΣΤ'), έβδομο (Ζ'), όγδοο (Η'), ένατο (Θ'), δέκατο (Ι'),
  • 11이상의 서수는 11, 12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10단위의 서수 + 3-9의 서수를 따라가면 된다.
    ενδέκατο (ΙΑ'), δωδέκατο (ΙΒ'), δέκατο τρίτο (ΙΓ'), δέκατο τέταρτο (ΙΔ'), δέκατο πέμπτο (ΙΕ')
  • 20이상의 서수는 카사레부사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기수와 비교했을 때 굉장히 이질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εικοστό (Κ'), τριακοστό (Λ'), τεσσαρακοστο (Μ'), πεντηκοστο (Ν'), εξηκοστό (Ξ'), εβδομηκοστό (Ο'), ογδοηκοστό (Π'), ενενηκοστό (Ϟʹ), εκατοστό (Ρ')

7. 들어보기

그리스어가 어떤 언어인지 들어보고 싶다면 라디오 살라사(Ράδιο θάλασσα)에 들어가보길 추천한다. 24시간 내내 그리스 노래만 트는 방송국인데, 튀르키예 음악의 영향이 물씬 풍기는 전통적인 음악(렘베티카)과 가끔 록 음악도 틀어준다. 가뜩이나 빠른 그리스어로 록을 하면 그야말로 무섭다. 외국인들은 그리스어가 굉장히 빠르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남유럽 언어들이 그렇지만 억양이 굉장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싸우는 것처럼 들린다고. 한 번 그리스어로 말하는 영상 몇 개를 보자.


한국의 88만원 세대와 비교될 수 있는 그리스의 700유로 세대[28] (Η γένια τών 700 Ευρώ)에 대한 뉴스. 이 뉴스에서는 그리스의 물가가 다른 유럽국가들보다 훨씬 비쌈에도 불구하고 임금수준은 유럽 최저수준이며, 노동시간은 유럽 최장수준이라고 비판한다. 그리스의 임금수준은 기준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긴 하지만 한국의 절반 정도다. 원래도 유럽 기준으로 임금수준이 그리 높지는 않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 전반적인 임금수준이 깎이고 취업시장에서 정규직이라는 개념자체도 거의 사라지다시피 하면서 한국보다 낮아지게 된 것.


그리스 유머 프로그램 AMAN의 한 장면. 한 남자가 기로스 가게에 들어와서는 아침시간이라 아직 준비되지 않은 수블라키[29]를 자꾸만 찾자 빡친 주인이 그를 쫒아냈는데, 그 뒷사람도 수블라키를 찾아 화내는 이야기. 보통 그리스에서는 기로스[30]와 수블라키를 함께 판다.


마찬가지로 그리스 유머 프로그램 AMAN의 한 장면. 미국인처럼 입은 관광객이 기로스를 사러 들어왔는데, 바가지 장사꾼이 기로스 하나를 15유로에 팔아치우기 위해 온갖 약을 다 파는 이야기이다. 마침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이 있던 해의 일인데 기로스에 들어가는 온갖 재료들을 올림픽에 연관지어서 마치 대단한 의미라도 있는 양 약을 판다. 예를들면 피타빵은 원반던지기 선수들이 연습하는거, 올리브유는 올림픽 선수들이 몸에 바르는거, 자지키는 마라톤 선수들이 직접 씹어서 섞고, 돼지고기는 올림포스산에서 기른 돼지라고 하고... 그러고나서 감동받은 관광객이 "10개 주시오!" 하니 1천 유로를 부른다. 이야기가 시작되기 전에 "올림픽 게임 동안 이러한 일들은 우리 나라의 명예를 더럽힐 것입니다." 라고 말하는 경고문을 볼 수 있다.


한국인에겐 가장 친숙한 선율일 그리스어 노래 <기차는 8시에 떠나네> - "To Treno Fevgi Stis Okto"


그리스의 국가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 자유의 찬가


그리스 정교회의 성모송(Θεοτόκε Παρθένε).[31]


노틀담의 꼽추의 < The Bells of Notre Dame>(Reprise) 그리스어 더빙판 <ΣΤΑ ΣΚΑΛΙΑ ΤΗΣ ΠΑΝΑΓΙΑΣ>(노틀담의 계단)
Ε, να που η αγάπη στο τέλος νικά στα σκαλιά της Παναγιάς
아, 그리하여 끝내는 사랑이 노틀담의 계단 위에서 승리하리니

Δεν μας τρομάζουνε εμάς τα στοιχειά!
우리는 짐승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Και ηχούν παντού καμπάνες στην καρδιά της Παναγιάς)
(그리고 종소리는 노틀담의 중심에서 계속 울려 퍼지리)

Τα ωραία παραμύθια που λεν' την αλήθεια αγγίζουνε πάντα βαθιά
아름다운 이야기 속에서 그들이 말하네. 진실은 언제나

στην καρδιά της Παναγιάς
성모 마리아를 깊이 감동시킨다는 것을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의 오프닝 테마곡인 문 라이트 전설의 그리스어 버전


더 랍스터 킬링 디어로 국제적으로 알려진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알프스

8. 기본 회화

발음할 때 주의할 점은 그리스어의 경우 의문문 억양과 평서문 억양이 별로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덕분에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키프로스의 튀르키예어가 난해하기로 악명높다. 강세가 찍힌 부분에 악센트를 넣으며, 강세가 들어가는 모음은 다른 모음에 비해 조금 늘여서 발음된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colbgcolor=#ffffff,#1f2023>Γεια (σου/σας)! 야 (수/사스)! [32]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Καλημέρα (σας). 칼리메라 (사스).
안녕하세요! (오후,저녁 인사) Καλησπέρα (σας). 칼리스뻬라 (사스).
안녕하세요! (옛스러운 표현) Χαίρετε. 혜레떼.[33]
안녕히 주무세요. (밤 인사) Καληνύχτα. 칼리니흐따.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습니다! (부활 시기 인사) Χριστός ανέστη! 흐리스또스 아네스띠!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부활 시기 인사에 대한 대답) Αληθώς ανέστη! 알리쏘스 아네스띠!
예. Ναι. 네.
아니요. Όχι. 오히.
반갑습니다. Χαίρω πολύ. 혜로 뽈리.
어떻게 지내십니까? Τι κάνεις(κάνετε); 띠 까니스(까네떼)?
잘 지냅니다. 당신은요? Είμαι καλά ευχαριστώ, και εσύ(εσείς); 이메 깔라 에프하리스또, 께 에씨?(에씨스)? [34]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Πώς σας(σε) λένε; 뽀스 사스(세) 레네?
(내) 이름은 @@입니다. Με λένε @@. 멜 레네 @@.[35]
또 만나요. Εις το επανιδείν 이스 또 에빠니딘.[36]
잘 지내세요. Να' σαι καλά. 나 세 깔라.
즐거운 하루 되세요. Καλημέρα (σας). 칼리메라 (사스)
즐거운 주말 되세요. Καλό σαββατοκύριακο. 칼로 삽바또끼리아꼬.
감사합니다. Ευχαριστώ. 에프하리스또.
실례합니다. Συγγνώμη. 시그노미.
죄송합니다. Συγγνώμη./ Με συγχωρείτε. 시그노미/ 메 싱효리떼.
당신은 어디에 살아요? Πού μένετε; / Πού κατοικείτε; 뿌 메네떼? / 뿌 까띠키떼?
나는 시내에 살아요. Μένω στο κέντρο της πόλης. 메노 스또 껜드로 띠스 뽈리스.
당신은 어디에서 일하세요? Πού δουλεύετε; 뿌 둘레베떼?
나는 공장에서 일해요. Δουλεύω σε ένα εργοστάσιο. 둘레보 세 에나 에르고스따시오.
당신은 어느 나라 사람인가요? Από πού είσαι/είστε? 아뽀 뿌 이쎄/이스떼?
나는 한국인이에요. Είμαι από την Κορέα. 이메 아뽀 띤 꼬레아.[37]
저는 서울에서 왔습니다. Είμαι από την Σεούλ. 이메 아뽀 띤 쎄울. (도시는 거의 모두 여성명사이다. 꼭 그렇지도 않다. 외국어에서 차용해 온 그리스 도시 단어의 경우 여성 명사가 될 수도 있지만 흔히 중성 명사가 되기도 한다.)
저는 그 도시에서 왔습니다. Είμαι από την πόλη. 이메 아뽀 띤 뽈리. [38]
당신은 어디로 가세요? Πού πηγαίνεις/πηγαίνετε? 뿌 삐게니스/삐게네떼?
나는 기차역으로 갑니다. Πάω στον σιδηροδρομικό σταθμό. 빠오 스또 시디로드로미꼬 스따쓰모.[39]
이것은 무엇입니까? Τι είναι αυτό; 띠 이네 아프또?[40]
(어서) 버스터미널로 갑시다. (Χαντί) πάμε στο σταθμό των λεωφορείων. (하디) 빠메 스또 스따쓰모 똔 레오포리온. [41]
테살로니키로 가는 (학생)표 한 장 주세요. Παρακαλώ δώστε μου ένα εισιτήριο (για φοιτητή) στη Θεσσαλονίκη. 빠라깔로 도스떼 무 에나 이시띠리오 (야 피띠띠) 스띠 쎄살로니끼.
이것은 책입니다. Είναι άνα βιβλίο. 이네 에나 비블리오.
이것은 책입니까? Αυτό είναι βιβλίο; 아프또 이네 비블리오?
아니오. 그것은 책이 아니고 노트입니다. Όχι, δεν είναι ένα βιβλίο, ένα σημειωματάριο. 오히, 덴 이네 비블리오, 에나 시미오마따리오.
이 사람(남자/여자)은 누구입니까? Ποίος είναι αυτός άντρας/αυτή γυναίκα; 피오스 이네 아프또스 안드라스/ 아프띠 기네까?
그는 누구입니까? Ποιος είναι; 피오스 이네?[42]
그/그녀는 @@씨(남자/여자)입니다. Αυτό/αυτή είναι κύριος/κύρια @@. 아프또/아프띠 이네 끼리오스/끼리아 @@.
그는 교사입니다. Είναι ο δάσκαλος. 이네 오 다스칼로스.
그 여자는 무엇 일을 하는 사람입니까? Τι δουλεύει αυτή γυναίκα; 띠 둘레비 아프띠 기네까?
그 여자는 대학생입니다. Αυτή είναι φοιτητή. 아프띠 이네 피띠띠.
그 사람들은 니콜라스와 마리아입니다. Αυτοί είναι ο Νίκολας και η Μαρία. 아프띠 이네 오 니콜라스 께 이 마리아.[43]
그는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Πού είναι (τώρα); 뿌 이네 (또라)?
그/그녀는 그/그녀의 집에 있습니다. Είναι στο σπίτι του/της 이네 스또 스삐띠 뚜/띠스.
그림은 어디에 있습니까? Πού είναι η εικόνα; 뿌 이네 이 이꼬나?
벽에 걸려 있습니다. Είναι κρεμασμένο στον τοίχο. 이네 끄레마즈메노 스똔 띠호.
그리스는 어느 지역에 있습니까? Σε ποια περιοχή βρίσκεται η Ελλάδα; 세 피아 뻬리오히 브리스께떼 이 엘라다?
남동유럽에 있습니다. Στη νοτιοανατολική Ευρώπη. 스띠 노티오나아똘리끼 에브로삐.
그는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Τι κάνει αυτός; 띠 까니 아프또스?[44]
그는 (어머니께) 보낼 편지를 씁니다. Γράφει (στη μητέρα του) ένα γράμμα. 그라피 (스띠 미떼라 뚜) 에나 그람마.
당신은 그리스어를 어디서 배우십니까? Πού μαθαίνεις ελληνικά; 뿌 마쎄니스 엘리니까?[45]
나는 (그리스어)를 학교에서 배웁니다. Μαθαίνω (ελληνικά) στο σχολείο. 마쎄노 (엘리니까) 스또 스홀리오.
그것은 얼마입니까? Πόσο κάνει; 뽀소 까니?[46]
15유로 주세요. Δεκαπέντε ευρώ (παρακαλώ). 데까뻰데 에브로 (빠라깔로).
(정말) 비싸군요! Είναι (πολύ) ακριβό! 이네 (뽈리) 아크리보! [47]
2개 살테니 좀 깎아주실래요? Θα αγοράσω δύο, θα μπορούσατε να μειώσετε την τιμή, παρακαλώ; 싸 아고라소 디오, 싸 보루사떼 나 미오세떼 띤 띠미 빠라깔로?[48]
여기서 좋은 식당 좀 추천해 주시겠습니까? Μπορείτε να μου συστήσετε ένα καλό εστιατόριο εδώ; 보리떼 나 무 시스띠세떼 에나 깔로 에스띠아또리오 에도?[49]
주문하시겠습니까? Μπορώ να πάρω την παραγγελία σας, παρακαλώ; 보로 나 빠로 띤 빠랑겔리아 사스, 빠라칼로?
메뉴좀 볼 수 있을까요? Μπορώ να δω το μενού παρακαλώ; 보로 나 도 또 메누 빠라칼로?
수블라키 삐따 두개에 토마토, 감자튀김, 양파 많이 넣어서 주세요. Δύο σουβλάκια με πίτα πολλές ντοματούλες, πατατούλες και κρεμμυδάκια παρακαλώ. 디오 수블라끼아 메 삐따 뽈레스 도마뚤레스, 빠따뚤레스 께 끄렘미다끼아 빠라칼로.
그리스식 커피 한 잔에 설탕을 넣고/빼고 주세요. Δώστε μου ένα φλιτζάνι ελληνικό καφέ με/χωρίς ζάχαρη, παρακαλώ. 도스떼 무 에나 핀자니 엘리니꼬 까페 메/호리스 자하리 빠라칼로.
여기있습니다! Ορίστε! 오리스떼!
맛있게 드세요! Καλή όρεξη! 깔리 오렉시!
계산하고 싶습니다. 전부 얼마죠? Θα ήθελα να πληρώσω, πόσο είναι συνολικό; 싸 이쎌라 나 쁠리로소, 뽀소 이네 시놀리꼬?[50]
잠깐만 기다려주세요. Μισό λεπτό. 미솔 렙또.
나는 그리스어를 배운다. Μαθαίνω Ελληνικά. 마쎄노 엘리니까.
우리는 그리스어를 배운다. Μαθαίνουμε Ελληνικά. 메쎄누메 엘리니까.
몇 시입니까? Τι ώρα είναι; 띠 오라 이네?
9시(정각)입니다. Είναι εννέα (η ώρα). 이네 엔네아 (이 오라).
9시 35분 입니다. Είναι τριάντα πέντε τελευταία εννέα. 이네 뜨리안다 뻰데 뗄레브테아 엔네아.
9시 55분 입니다. Είναι δέκα πάρα πέντε. 이네 데까 빠라 뻰데.[51]
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 Τι μέρα είναι σήμερα; 띠 메라 이네 시메라?
오늘은 일요일입니다. Σήμερα είναι Κυριακή. 시메라 이네 끼리아끼.[52]
여권 좀 보여주세요. Μπορώ να δω το διαβατήριό σας παρακαλώ; 보로 나 도 또 디아바띠리오 사스 빠라깔로? [53]
이곳에 얼마나 계십니까? Πόσες μέρες θα μείνεις εδώ; 뽀세스 메레스 싸 미니스 에도?
한달간 머뭅니다. Θα ήθελα να μείνω εδώ για ένα μήνα. 싸 이쎌라 나 미노 에도 이야 에나 미나.
당신은 오늘 어디서 머무십니까? Πού μένεις απόψε; 뿌 메니스 아뽑세?
나는 호텔에 있습니다. Θα μείνω σε ένα ξενοδοχείο. 싸 미노 세 에나 크세노도히오. [54]
그곳은 어디에 있습니까? Πού υπάρχει; 뿌 이빠르히? [55]
그곳은 여기에서 멀어요. Υπάρχει μακριά από εδώ. 이빠르히 마크리아 아뽀 에도.
당신은 언제 시간이 있으세요? Πότε έχεις ελεύθερο χρόνο; 뽀떼 에히스 엘렙쎄로 흐로노?
나는 오늘 시간이 있어요. Έχω χρόνο σήμερα. 에호 흐로노 시메라.
당신을 저녁 식사에 초대해도 될까요? Μπορώ να σου προσκαλέσω δείπνο σήμερα; 보로 나 수 쁘로스깔레소 디쁘노 시메라?
무엇을 원하십니까? Τι θέλετε; 띠 쎌레떼?
나는 그리스식 커피를 마시고 싶어요. Θα ήθελα να πιω ελληνικό καφέ. 싸 이쎌라 나 삐오 엘리니꼬 까페.[56]
김씨와 이씨가 여기 계십니까? Ο κύριος Kim(Κιμ) και ο κύριος Lee(Λι) είναι εδώ; 오 끼리오스 킴 께 오 끼리오스 리 이네 에도?[57]
예, (그분들은) 여기 계십니다. Ναι, (αυτοί) είναι εδώ. 네, (아프띠) 이네 에도.
(당신 생각에) 신은 존재합니까? (Πιστεύεις ότι) ο Θεός υπάρχει; (삐오스떼비스 오띠) 오 쎄오스 이빠르히?
예, 신은 존재합니다. Ναι, ο Θεός υπάρχει. 네, 오 쎄오스 이빠르히.[58]
여기에 성당이 있습니까? Υπάρχει εδώ μια εκκλησία; 이빠르히 에도 미아 엑클리시아?[59]
안내소가 어디에 있습니까? Πού είναι τουριστικές πληροφορίες; 뿌 이데 뚜리스띠께스 쁠리로포리에스?
당신은 그리스어를 하십니까? Μιλάτε ελληνικά; 밀라떼 엘리니까?
예, 그리스어를 좀 합니다. Ναι, Μιλάω λίγο ελληνικά. 네, 밀라오 리고 엘리니까.
아니요, 그리스어를 거의 못 합니다. Όχι, μπορώ να μιλήσω πολύ λίγο ελληνικά. 오히, 보로 나 밀리소 뽈리 리고 엘리니까.
너는 그리스어를 굉장히 잘한다. Μιλάς πολύ καλά ελληνικά. 밀라스 뽈리 깔라 엘리니까.
나는 그리스어 단어 몇가지만 안다. Μόνο ξέρω αρκετές ελληνικές λέξεις. 모노 크쎄로 아르께떼스 엘리니께스 렉시스.
천천히 말해주세요. Παρακαλείστε να μιλήσει αργά. 빠라깔리스떼 나 밀리씨 아르가[60]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시겠어요? Μπορείτε να μιλήσετε ξανά; 보리스떼 나 밀리세떼 크사나?
알아들으시겠어요? Καταλαβαίνετε; 까딸라베네떼?
그것을 (한국어로) 번역해 주실 수 있겠어요? Θα μπορούσατε να το μεταφράσετε (σε Κορεατικά); 싸 보루사떼 나 또 메따프라세떼 (세 꼬레아띠까)?
그거좀 적어주시겠습니까? Παρακαλώ γράψτε το κάτω; 빠라깔로 그랍스떼 또 까또?
알겠습니다. Ταμάμ Μάλιστα. 타맘 말리스따.[61]
문제 없습니다. Κανένα πρόβλημα. 까네나 쁘로블리마.
돈을 어디서 바꿀 수 있습니까? Πού μπορώ να ανταλλάξω χρήματα; 뿌 보로 나 안달락소 흐리마따?
여기서 사진을 찍어도 됩니까? Μπορώ να κάνω μια φωτογραφία εδώ; 보로 나 까노 미아 포로그라피아 에도?
네 취미는 무엇이니? Ποιο είναι το χόμπι σου; 피오 이네 또 호비 수?
나는 요리하는 것을 좋아해. Μου αρέσει η μαγειρική. 무 아레시 이 마기리끼.[62]
나는 컴퓨터 게임하는 것을 좋아해. Μου αρέσει να παίζω παιχνίδια στον υπολογιστή. 무 아레시 나 뻬조 뻬흐니티아 스똔 이뽈로이스띠.
마리아랑 엘레니는 춤 추는 것을 좋아해. Η Μαρία και η Ελένη αρέσει να χορεύουν.이 마리아 께 이 엘레니 아레시 나 호레분.
니코스는 낚시를 좋아해. Ο Νίκος αρέσει το ψάρεμα. 오 니꼬스 아레시 또 프사레마.
조르바스는 와인을 좋아하지 않아. Ο Ζορμπάς δεν του αρέσει το κρασί. 오 조르바스 덴 뚜 아레시 또 끄라시.]
나는 미혼/기혼입니다. Είμαι άγαμος/παντρεμένος. 이메 아가모스/빤드레메노스.[63]
나는 여자친구가 없습니다. Δεν έχω κοπέλα. 덴 에호 꼬뻴라.
당신의 전화번호를 알려 주시겠어요? Μπορείτε να μου πείτε τον αριθμό τηλεφώνου σας; 보리떼 나 무 삐떼 똔 아리쓰모 틸레포누 사스?
나는 너를 사랑해. Σ' αγαπώ. 사가뽀.
너는 나를 사랑하니? Μ' αγαπάς; 마가빠스?[64]
나와 결혼해 줄래? Θα με παντρευτείς? 싸 메 빤드레프띠스?
죄송하지만 이만 가봐야 겠어요. Λυπάμαι, πρέπει να πάω τώρα. 리빠메, 쁘레삐 나 빠오 또라.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Ευτυχισμένο το νέο έτος! 에브띠히즈메노 또 네오 에또스!
메리 크리스마스. Καλά Χριστούγεννα! 깔라 흐리스뚜옌나!
생일 축하합니다. Χρόνια πολλά! 흐로니아 뽈라[65]
성모님, 도와주소서! Παναγία να με βοηθήσει! 빠나기아 나 메 보이씨시![66]
하느님만이 아시는 일이다. Μόνο ο Θεός ξέρει. 모노 오 쎄오스 크세리.[67]
천천히. σιγά σιγά 씨가 씨가[68]

9. 한국에서의 학습

전술했듯이 고전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를 주로 가르친다.

고전 그리스어(고대 그리스어)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 학교는 고대 그리스어 이외에도 라틴어 히브리어도 개설된다. 다만 고트어는 2008년 이후로 거듭된 폐강으로 이제 더 이상 개설되진 않는다. 서울대학교에서 학문 언어로서 가르친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대학원에 설치된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에서 주관한다.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고전) 라틴어, 그리스-로마 문학 등 서양 고전 텍스트 전반을 다룬다. 학부 교양과정으로 그리스어 과목이 개설된다. 참고로,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은 입학시험으로 라틴어, 그리스어 고전 독해문제를 낸다. 고려대학교에 희랍어 교양과목이 개설된다. 전남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단국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도 교양과목으로 개설된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일반적으로 전국의 신학대학에 헬라어나 희랍어 등의 이름으로 강의가 개설된다. 신약성경의 언어가 코이네 그리스어이기 때문이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서조차 학부생 대부분이 "Hell라어"라며 저주할 정도.

한국에서 일반인이 현대 그리스어를 전공으로 배울 수 있는 곳은 한국외국어대학교뿐이다. 불가리아어 전공과 묶여 학부제[69]처럼 운영된다. 그렇다고 학부제처럼 칼같이 자르는 건 아니고, 1학년 때 뭘 공부할 건지 알아서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스어가 가지는 문화적 배경 덕분인지 한국인 교수(유재원 명예교수)는 정교회 신자, 원어민 교수는 놀랍게도 정교회 한국대교구 대주교이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직업까지 있으니, 가끔 대주교가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에서 그리스어 강좌를 여는 경우가 있다. 이외에도 한국의 정교회 사제들이나 일부 신자들은 그리스 유학 경험이 있기 때문에, 그냥 읽고 해석하는 수준이 아니라 회화에도 능통하다.

2018년 12월부터 네이버 사전에서는 고대 그리스어 사전 현대 그리스어 사전이 함께 수록되었는데, 현대 그리스어 사전은 듣기까지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리스어는 대한민국에서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들 중의 하나이다.

한국에서는 그리스어 책이 주로 고대 그리스어( 고전 그리스어)책, 코이네 그리스어책이고 현대 그리스어책은 거의 없어서 대개 외서로 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ECK교육에서 현대 그리스어 강좌를 수록했고, 현대 그리스어책도 출판했다.

2022년 초에 문예림에서 현대 그리스어 교재를 출판했다.

9.1. 한국에서 자주 쓰이는 그리스어 출신 외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그리스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매체

11. 구사자

11.1. 캐릭터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그리스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그리스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 등재. 하프나 쿼터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12. 기타

  • 영어 표현 중에서 'That's Greek to me'라는 표현이 있다. 직역하면 '그건 나에게 그리스어처럼 들린다.' 즉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뜻이다. 이런 표현을 처음한 사람은 윌리엄 셰익스피어로 전해진다.


[1] 번역: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2] 호주의 그리스인 공동체가 대표적이다 [3] 사실 예전에는 한국에서 그리스어를 들여올 때 어미 부분을 잘라버리는 경향이 있었고, 다만 영미권을 위시한 서양 쪽에서도 어미를 자르고 자국어로 편입하는 일은 흔했다. 페트로스 베드로로, 파울로스 바울로로 들어온 게 그 예시. 현대 들어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처럼 어미를 자르지 않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있다. [4] 또한 카이사르는 베르킨게토릭스와의 알레시아 전투를 벌였을 당시에 휘하 장교들에게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서찰이나 명령서를 보낸 바 있다. 물론 카이사르에게 반기를 든 갈리아 부족장 대부분이 라틴어는 알아도 그리스어는 몰랐기 때문에, 전달하는 부하들이 잡힐 경우에도 정보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스어를 이용한 것이다. [5] 여기서 q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특유의 구개수음도 아니고 영어나 로망스어의 /k/ 발음도 아닌 [gʷ\] 발음이다. [6] "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어를 몇 년 동안 어렵사리 배운 반면('고백록' I 14,23) 암브로시우스는 유창하게 구사할 정도로 그리스어 교육도 받았다. 실제로 당시 일반 대중어였던 그리스어에 대한 지식이 로마 제국의 서쪽 지역에서 1세기만에 사라지게 되는데, 이 사실은 세 명의 교부, 암브로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대 레오 교황에게서 알 수 있다. 곧, 암브로시우스는 그리스어, 라틴어를 모두 구사하였으나,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어의 기초만 알았으며, 레오 교황은 그리스어를 전혀 몰라 칼체돈 공의회에 관해 협의할 때 통역사가 필요했다."(Hubertus R. Drobner 지음. 하성수 옮김. "교부학" 427쪽). [7] 이탈리아 기호학자 움베르토 에코가 쓴, 중세 시대 서유럽을 배경으로 한 소설인 장미의 이름에서는 소설의 주 무대가 되는 수도원에서 가톨릭 수사들이 성경을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하는 장면이 나온다. [8] 재미있는 점은, 현대 튀르키예에서도 튀르키예어에서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투리든 고어든 튀르크계 단어를 긁어 모은 일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튀르키예어 문서 참고. [9] 튀르키예에 살고 있는 사람이 실제로 겪은 일인데, 사모스 섬에서 " 튀르키예어나 영어 할 줄 아세요?" 라고 물었을때 "둘 다 모른다."라고 대답한 사람에게 하는 수 없이 그리스어로 길을 묻는데, 이 사람이 한 말중 거의 반이 튀르키예어 단어였던 적이 있었다. 아무래도 튀르키예 코앞에 붙은 섬이라 그런지 튀르키예어 단어 사용빈도가 매우 높다. [10] 그리스어로 담배는 τσιγάρα(찌가라)이다. 유머 속에서 주인공은 '담배 1갑'(Ενα πακέτο τσιγάρα - 에나 빠께또 찌가라) 달라는걸 '탐패 1갑'(Ενα πακέτο κιγάρα - 에나 빠께또 끼가라)라 발음하는데 이게 웃음포인트. 한국식으로 치자면 '담배'를 '탐배'라고 달라고 한 격이다. 한국식으로 동무 려권내라우의 '립국'하고 비슷하다. 북한에서도 '입국'이라고 발음하는데 두음법칙이 과도하게 적용된 것. [11] 참고로 폰토스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 이외의 문자로 표기하는 유일한 그리스어 방언이다. 러시아 영토 내에서는 주로 키릴 문자로, 튀르키예에서는 로마자,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한다. [12] 그리스령 지역 중에서는 유일하게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는 곳이다. [13] 예를 들어 시그마(Σ)는 영어의 S에 대응한다. 총합을 뜻하는 영어 단어 Sum의 머릿글자 S를 따서 시그마란 기호를 쓰게 된 것. 수열의 모든 수를 곱하는 기호 Π(파이)도 P에 대응하여, 곱(Product)의 앞글자를 따 만든 기호. [14] 키릴 문자 그리스 문자에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일부 문자는 키릴 문자와 비슷한 것도 있다. [15] 일반적으로는 소문자로 σ을 쓰지만, 어말에서는 ς라고 쓴다. [16] 악센트를 넣어서 ή라고 쓰면 '또는'(=or)이라는 뜻이 된다. [17] 명사가 무성 파열음 π·τ·κ, 이중 자음 ψ·ξ, 두 글자이지만 1개의 음가를 갖는 μπ·ντ·γκ·τσ·τζ 로 시작할 때에는 ν을 붙인다. [18] 각각 대충 "헬레논 쁘로마쿤떼스 아테나이오이 마라토니 크리소포론 메돈 에스또레산 디나민 / 엘리논 쁘로마훈데스 아씨네이 마라쏘니 흐리소포론 미돈 에스또레산 디나민 정도다. 고전 그리스어는 한 언어라기보다는 방언연속체같은 것이라서 어떤 방언에는 /h/가 살아 있고 어떤 방언에서는 사라져 있는데 그리스 문자는 /h/ 발음이 없는 동부 방언의 형태와 발음에 맞춰 확립되었기 때문에 방언에 따라 Ε를 /e/로 읽을 수도 있고 /he/로 읽을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른 발음의 변화들 역시 관찰할 수 있다. [19]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를 지칭할 때 '메디아'라는 표현 역시 사용했다. 민족은 다르지만 메디아 왕국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전신격이며, 아케메네스 제국에 정복당한 뒤에도 페르시아인 다음 가는 2등 민족으로 고관으로서 황제와 함께 있는 모습이 황궁 벽화에 여럿 그려질 정도로 위세를 누렸기 때문. [20] 정확하게 말하면 튀르키예어에서는 챙없는 모자를 의미하며, 그리스어에서는 정교회 신부들이 쓰는 챙없는 모자를 의미한다. [21] 고전 그리스어로는 '전기'의 어원이 되는 ἤλεκτρον을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기에 튀르키예어 어휘를 받아들여 케흐리바리로 굳어졌다. [22] 한국에서는 짜찌끼, 혹은 차치키로도 불리는데, 제대로 된 발음은 '자지끼'다. τζ발음이 영어의 j발음과 동일하기 때문인데 한국어의 ㅉ와 같은 발음은 τσ를 사용한다. [23] 그리스어로는 상아뿐만 아니라, 자개, 낙타뼈를 세공한 것도 전부 φίλντισι라고 부른다. [24] 스티그마(στίγμα)라고 불리는 옛문자로 고전 그리스어 시절부터 사용하지 않던 문자이다. 하지만 숫자 표기에는 남아 있는데, 그 대신 ΣΤ라고 표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90, 900에 나오는 옛문자는 짤없이 쓰이고 있다. [25] 코파(κόππα)라고 불리는 옛문자이다. [26] 삼피(σαμπί)라고 불리는 옛문자이다. 그리고 여기서 그리스문자로 표기하는 옛 숫자표기법은 끝...은 아니고 앞에 쉼표를붙여 다시 알파부터 시작한다. ,Α' (1000),Β' (2000) ,Γ' (3000)식으로. [27] 참고로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의 그리스어는 Κυριακή(日), Δευτέρα(月), Τρίτη(火), Τετάρτη(水), Πέμπτη(木), Παρασκευή(金), Σάββατο(土) 이다. [28] 2010년대에는 긴축정책과 구조조정에 따라 최저임금이 까이면서 592유로 세대라는 말로 대체되었으며 경제상황을 풍자한 동명의 시트콤도 있다. [29] 케밥 비스무리한 돼지고기 꼬치구이. 보통 그리스의 고깃집은 튀르키예와 마찬가지지만 아침에는 아침식사 전용 메뉴를 팔고 점심쯤 되어서 준비해둔 수블라키와 기로스가 익으면 그때부터 팔기 시작한다. 영상에서도 "수블라키 없다니까! 아침부터 수블라키를 다 찾으슈?" 라고 화낸다. [30] 영상에서 큰 고기덩어리가 바로 그것. 저것을 깎아서 삐따에 싸서 먹거나 한다. [31] 쎄오토케 파르쎄네라고 읽으며, 가톨릭의 성모송(Ave Maria)와는 약간 기도문이 다른데, 한국 정교회의 공식 번역문은 다음과 같다. "테오토코스, 은혜로우신 동정녀 마리아여, 기뻐하소서. 주님이 함께 계시며, 모든 여인 중에서 제일 복되시며, 태중의 아기 또한 복되시었나니, 우리 영혼의 구세주를 낳으셨나이다." [32] σου를 붙이면 친근하거나 잘 아는 사이에서 통용되고야수!, σας를 붙이면 좀 더 공손한 표현이 된다. 앞으로 괄호표시하는 σου/σας 모두 동일하다. 짧게 γεια 라고도 쓴다. 야! [33] 원 뜻은 '행복하십시오'라는 뜻이며 매우 격식적인 자리에서 쓰인다. [34] 독실독실한 사람들은 앞에다 하느님을 찬미합시다 라는 뜻의 Δόξα τω Θεώ (독사 또 쎄오)를 붙이기도 한다. [35] 그리스어 이름이라면 해당 이름에 해당하는 성의 목적/여격 어미로 변화시켜야 한다. 가령 이름이 디미트리오스(Δημήτριος)일 경우 Με λένε Δημήτριο. 라고 답한다. [36] 이탈리아어에서 온 Αντίο(아디오) 라는 표현도 많이 쓴다. 다만 그리스어로는 d음가와 nd음가를 모두 ντ로 표시하는데 그리스인들 조차도 '안디오'라고 읽기도 한다. [37] 정확하게 번역하면 "한국에서 왔습니다."가 된다. 나는 한국인이다라고 말하고 싶으면 남성은 Είμαι Κορεάτης. (이메 꼬레아띠스), 여성의 경우 Είμαι Κορεάτισσα (이메 꼬레아띳사)가 된다. [38] 자세한 이야기는 이스탄불 항목 참조. 현재도 유효한 표현인데, 기차나 버스, 비행기 티켓 살 때 "그 도시"라고만 해도 이스탄불 가는 티켓을 살 수 있다. [39] 그냥 σταθμό 라고 해도 된다. 단 역은 남성명사이므로 역 이름을 붙일 경우 남성변화를 해줘야 한다. 가령 라리사역은 Σταθμός Λαρίσης가 된다. [40] 남성명사일 경우 αυτός, 여성명사일 경우 αυτή 식으로 변화시킨다. 하지만 모를 경우 중성인 αυτό를 쓴다. [41] 아테네의 경우 버스터미널을 이용하려면 택시 외엔 답이 없다. 참고로 북부 그리스로 떠나는 버스터미널과 펠로폰네소스 방면으로 떠나는 버스터미널의 위치가 다르다. 북부 그리스로 떠나는 버스들은 리오시온(ΚΤΕΛ Λιοσίων), 남부로 떠나는 버스들은 키피수(ΚΤΕΛ Κηφισού)에서 출발한다. [42] 누군가 집 문을 두드렸을때 누구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도 쓰인다. [43] 그리스어는 고유명사에도 정관사를 붙인다. [44] 여성의 경우 αυτή(아프띠)를 써야한다. [45] σπουδάζω 동사를 쓸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공부하다, 전공하다라는 뉘앙스에 더 가깝게 된다. [46] 영어의 to do에 해당되는 κάνω 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 바로 번역해도 '얼마나 합니까?'로 말이 통한다. [47] 싸다고 말하고 싶으면 Είναι φθηνό (이네 프씨노)라고 한다. [48] 원래 그리스하면 튀르키예수준으로 물가 저렴하고, 흥정하는 재미가 가득한 나라로 유명했었다. 하지만 EU화 도입과 경제위기로 인해 예전만큼은 아니다. 다만 67유로, 104유로, 10.30유로 같이 어정쩡한 금액이 나올 경우 잔돈을 받지 않는 경우는 있다. 유로 동전 종류가 종류이다 보니 상인들도 잔돈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49] 가벼운 분위기에 술도 마실 수 있는 그리스식 식당은 ταβέρνα(따베르나), 생선을 파는 식당은 ψαροταβέρνα(프사로따베르나),후식을 파는 가게는ζαχαροπλαστείο(자하로쁠라스띠오)라고 부른다. [50] 그리스에는 튀르키예와 달리 팁문화가 존재한다. 대체로 거스름돈으로 잔돈을 받았을 때 잔돈을 전부 놓고가거나, 식사비의 10% 정도 팁으로 준다. 다만 직접 주기보다는 식당을 나설 때 테이블 위에 팁을 놓고 나가는 게 예의이다. [51] 10시 5분 전이라는 의미다. [52] 일요일부터 시작해 각각 Κυριακή(끼리아끼, 주님의 날), Δευτέρα(데프떼라, 둘쨋날) Τρίτη(뜨리띠, 셋쨋날), Τετάρτη(떼따르띠, 넷쨋날), Πέμπτη(뻼브띠, 다섯쨋날), Παρασκευή(빠라스께비, 준비하는 날), Σάββατο(삽바또, 안식일)이라고 한다. [53] 보다시피 여권을 뜻하는 단어가 διαβατήριο (디아바띠리오)로 완전히 다르다. 때문에 그냥 passport라고 말하는 공무원들도 많다. 어차피 그리스인들한테 passport라고 말해도 웬만해선 다 알아들으니까. [54] 보다시피 호텔의 그리스어도 영어와 완전히 다르다. ξενοδοχείο라고 쓰며, 외국인(ξένος)이라는 단어가 보인다. 그냥 호텔이라고 말해도 이해한다. [55] υπάρχω 동사는 존재의 유무를 의미할 때 사용한다. 한국어의 '있다'나 튀르키예어의 var를 생각하면 거의 들어맞는다. [56]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 시절부터 커피를 마셔온 유럽에서도 굉장히 오래된 커피 역사를 가진 나라이다. 심지어 튀르키예인들이 국민 음료를 홍차로 갈아탄 이후에도 그리스인들은 커피를 고집했는데, 크림과 커피를 이용해 만드는 일종의 빙수인 프라페의 원조가 바로 그리스이다. 굉장히 싸고 시원하다. [57] 외국인의 명칭은 그리스 문자로 표기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스 문자로 표기할 수 없는 외국어가 사실 너무 많다. [58] 그리스에서 이 질문을 하거나, 받을 일은 많지 않을 것이다. 유럽에서 가장 신앙심 깊은 나라가 그리스다. 독실한 신앙심 덕분에 자살율도 세계 최저수준을 기록하는 나라다. [59] 가톨릭 성당이라고 말하고 싶다면 καθολική εκκλησία(까쏠리끼 엑클리시아), 개신교 예배당이라고 말하고 싶으면 προτεσταντική εκκλησία (쁘로스떼스딴디끼 엑클리시아)라고 한다. 그리스에서는 그냥 성당(교회)이라고만 말하면 정교회 성당을 의미한다. [60] 좀더 쉬운 표현으로 Παρακαλώ μιλήστε πιο αργά. (빠라깔로 밀리스떼 피오 아르가)라고도 할 수 있다. [61] 사실 Ταμάμ은 튀르키예어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하지만 북부 그리스나 크레타 방언의 경우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리스인들도 거의 다 아는 단어이기도 하다. 다만 이 말을 사용하면 튀르키예에서 왔냐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 [62] 약자로 μ`, σ`, τ` 등으로 줄일수도 있다. 참고로 αρέσω 동사는 스페인어의 gustar 같이 특이한 형태를 취하는데, 정확하게 해석하면 "...이 ...의 마음에 들다" 정도의 의미이다. 때문에 위 문장은 요리가 나의 마음에 들기 때문에 동사가 3인칭 단수 형태를 취하고, 목적격으로 1인칭인 μου가 쓰인 것이다. [63] 여자의 경우 άγαμη/παντρεμένη (아가미, 빤드레메니)라고 말해야 한다. [64] 윗문장과 함께 원형은 σου αγαπώ, μου αγαπάς; 이다. [65] "많은 행복이 가득하기를"이라는 뜻이다. 생일을 축하한다는 뜻으로 Χαρούμενα γενέθλια! (하루메나 예네쓸리아)라는 표현도 있다. [66] 그리스인들은 대부분 정교회를 믿으며 성모 신심이 깊다. 거의 습관적으로 성모님(Παναγία; 빠나기아)을 언급하는 걸 볼 수 있다. [67] "나는 잘 모르겠다." 혹은 무슨 일을 했는데 결과는 어찌 될지 모르겠다고 대답할 때 사용하는 관용어이다. [68] 그리스 가면 정말 많이 들을 수 있는 표현이라 추가했다. 빨리 빨리라고 말하고 싶으면 Γρήγορα! (그리고라)라고 하면 되지만 이 나라에서는 매사에 서두르는 사람을 천박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는 점 잊지 말자. [69] 학과명칭은 그냥 그리스·불가리아학과이다. [70] 요르단은 아랍어 사용 국가다(...). 물론 로마 시절엔 그리스어가 쓰이긴 했지만, 작중 시점에선 호랑이가 담배 필 시절의 이야기다. [71] 자막으론 희랍어라 표기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