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15:04:01

강기운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출생 1897년 4월 24일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남문밖 #
(現 함경북도 회령시)
사망 1944년 9월 5일
함경북도 회령군
직업 독립운동가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97년 4월 24일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남문밖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0년 음력 4월 간도 화룡현(和龍縣)에서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에 가입하여 제1남부지방 경호부장 장성순(張成順) 휘하의 송언지회(松堰支會) 경호원으로 복무했다. 이후 1920년 7월 말에 장성순의 지휘하에 함경준(咸京俊), 장여극(張汝極) 등의 동지들과 함께 화룡현 사대사(四對社) 증봉동 부근 야산에서 일제의 밀정 이덕선(李德善)을 처단했다.

이후 두만강을 건너 회령군 화풍면 무심동 김형섭(金亨涉)의 집에서 머물며 무심동 주민들로부터 군자금 1백원을 제공받았고, 같은 마을의 허육(許六)으로부터는 별도로 120원의 군자금을 지급받았다. 이어 같은 해 음력 8월 중순에 동료 고진홍, 신언규(申彦奎) 등과 함께 사대사 증봉동 부근에서 일제 헌병 보조원을 지내는 것으로 의심되던 남성률(南聖律)을 심문했지만 혐의가 드러나지 않자 풀어줬다.

그러다가 일본 경찰에게 체포된 강기운은 1922년 4월 24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1933년 2월 7일에 출옥했고 고향에서 일제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어렵게 지내다가 1944년 9월 5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강기운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