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19:13:43

남궁억

파일:독립협회 검은색 글자.svg
지도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회장
<rowcolor=#87ceed> 초대
안경수
제2대
이완용*
제3대
서재필
제4대
윤치호
간부
위원장 이완용* 고문 서재필
위원
김가진 남궁억 박정양 송헌빈
안창호 오세창 유길준 윤치호
이상재 이승만
* 1898년 7월 17일 제명되었다.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파일:남궁억 선생.jpg
자 / 호 치만(致萬) / 한서(翰西)
본관 함열 남궁씨
출생 1863년 12월 27일
한성부 서부 황화방 서소문계 왜송골
(現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1]
원적 강원도 홍천현 감물악면 모곡리
(現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446번지)
사망 1939년 4월 5일 (향년 75세)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학력 동문학(同文學) (수료)
부모 아버지 남궁영(南宮泳), 어머니 덕수 이씨
배우자 양혜덕
자녀 딸 남궁숙경, 남궁자경
아들 남궁염
종교 개신교 ( 감리회)
묘소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홍천한서남궁억묘역[2]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2. 생애

1863년 12월 27일 한성부 서부 황화방 서소문계 왜송골(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남궁영(南宮泳)과 어머니 덕수 이씨 사이에서 12남매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형제 중 9명은 천연두로 일찍 죽어 그를 비롯한 누이 2명만이 살아남았다.

7세 되던 1870년부터 13세 되던 1876년까지 한문을 수학하고, 1884년 관립 외국어 교육기관인 동문학을 수료하였다. 이후 1884년 경성 총해관(總海關) 서기를 시작으로 내부아문 부주사, 칠곡군[3] 등으로 일하였으며 1894년 내부토목국장으로 중용되어 한성부 종로와 정동 일대 및 육조 앞~ 남대문 사이의 도로를 정비하고 파고다공원을 세웠다.

1896년 2월 아관파천 후에 관직을 사임하고 1896년 7월 서재필, 이상재 등과 독립협회를 창립하여 간부로 활동하였다. 1898년 9월 나수연, 유근 등과 황성신문을 창간하고 사장에 취임해 국민 계몽과 독립협회 활동을 지원하는데 힘을 쏟았다. 대한제국의 정치 체제를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개혁해 의회를 설립하고 대대적 개혁을 단행하려는 독립협회 운동 지도자로 활동하다 1898년 11월 익명서 사건에 연루되어 16명의 지도자와 함께 체포되었다. 이때 이승만이 배재학당 학생들을 이끌고 경무처와 평리원에서 밤샘 농성을 벌여 석방시켰다.

1905년 3월 고종의 간곡한 요구로 다시 관직을 맡아 성주군수로 부임했다. 그러나 1905년 11월 일본이 강제로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하자 사임하고 서울로 돌아왔다. 1906년 2월 양양군수에 임명되자 애국계몽운동에 참가하였다. 1907년 일본이 헤이그 밀사사건을 이유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정미 7조약을 체결해 침략 정책을 강화하자 사임하고 애국계몽운동에 주력하였다. 1910년 8월 경술국치 이후 교육을 통한 구국 운동에 노력하여 1910년 10월 배화학당 교사가 되었다.

1918년 건강이 악화되자 강원도 홍천군으로 내려갔으며 1919년 9월 모곡 학교를 설립하고 나라꽃인 무궁화를 전국에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4]에는 남궁억이 설립한 한서감리교회와 한서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교회 옆에는 기념관이 건립되어 있다. 초등학교 뒷편에는 남궁억의 묘역이 있고 초등학교 주변에는 보기 힘든 무궁화 나무가 무리지어 있다.

1933년 11월 개신교 계열 독립운동 비밀 결사인 '십자당'을 조직해 활동하다 홍천경찰서에 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거되어 8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이후 노령이 참작되어 석방되었으나 1939년 4월 5일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파일:남궁억.png
1934년 1월 26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3. 여담

  • 새찬송가 580장(구 371/북한 261[5])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일하러 가세[6])" 이 그가 작사한 노래다. 이 찬송가는 도니제티의 루치아(오페라) 중의 합창곡을 개사한 것이다.


[1] # [2] 2000년 11월 18일 강원도 기념물 제77호로 지정되었다. [3] 당시 칠곡군 관아는 오늘의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었다 [4] 함열 남궁씨 집성촌이며 남궁억의 본적지이다. [5] 월래 신편 261은 민로아 선교사 작사 구 342곡조 떠날 것이올시다인데 북한에서는 현세에 비관적인 내용이라고 판단하여 곡 변경 [6] 이게 원제목인데, 현재 발행 중인 찬송가는 원제목 대신 가사 첫줄로 제목을 대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