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공군
,
미국 우주군
,
미국 북부사령부
,
캐나다군
,
캐나다 공군
<colbgcolor=#000099>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North American Aerospace Defense Command (NORAD) Commandement de la Défense Aérospatiale de l'Amérique du Nord (CDAAN) |
|
창설일 | 1958년 |
홈페이지 |
1. 개요2. 역대 사령관3. 편제
3.1.
알래스카 NORAD 지역 / Alaskan NORAD Region3.2.
대륙 미국 NORAD 지역 / Continental U.S. NORAD Region
4. 샤이엔산 기지5.
크리스마스 산타 추적 행사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7.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1958년 미국과 캐나다가 창설한 항공 우주 공동방위조직으로, 북아메리카 대륙 상공의 감시와 관리 임무를 맡고 있다. 한국으로 치면 공군방공관제사령부와 비슷한 조직이다.여기에는 항공기나 미사일 혹은 인공위성과 같은 우주비행체로부터의 공격을 경보하는 임무가 포함된다. 1989년 여름부터는 미국과 캐나다의 방공식별권 안으로 들어오는 모든 항공기를 탐지·확인·추적하고 있다.
1992년부터는 레이더를 탑재한 열기구와 비행선으로 멕시코만과 멕시코 국경 지역을 감시하는 임무가 추가되었다. 현재는 냉전 종식과 더불어 새로 부여된 마약 밀수 감시 임무가 NORAD가 하는 일의 3분의 1을 차지한다고 한다.
유사한 성격의 대한민국 공군방공관제사령부[1]나 타국의 다른 조직을 볼 때 공군 장성이 사령관으로 보임될거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지만 미군의 통합군 체제에서 북부사령관이 겸직을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꼭 그렇지는 않다. 2016년 상반기에는 로리 로빈슨 공군 대장이 사령관을 맡았지만, 그 전임인 윌리엄 가트니나 전전임인 찰스 재코비는 각각 미국 해군 대장과 미국 육군 대장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군 대장이 계속 사령관을 맡고 있으며 2024년 현재 그레고리 기요 공군 대장이 미국 북부사령부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를 모두 지휘하고 있다.
냉전 시대에 우주사령부가 따로 존재했을 때에는 NORAD 사령관직은 전부 미국 공군이 쓸어 갔다. 부사령관은 캐나다군 중장이 맡는다. 캐나다군 국방참모총장을 지낸 토머스 로슨이 이곳 부사령관 출신이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미국 공군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조직이지만, 미국 우주군 창설 이후로는 피터슨 공군기지와 반덴버그 공군기지를 비롯한 여러 휘하 시설들이 공군에서 우주군으로 이관되기도 했다. 심지어 NORAD의 상징인 샤이엔산 기지까지도 공군에서 우주군으로 이관되었다.
2. 역대 사령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공군 얼 E. 파트리지 |
공군 로렌스 S. 커터 |
공군 John K. Gerhart |
공군 Dean C. Strother |
공군 Raymond J. Reeves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공군 Seth J. McKee |
공군 루시어스 클레이 주니어 |
공군 대니얼 제임스 주니어 |
공군 James E. Hill |
공군 James V. Hartinger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공군 로버트 헤레스 |
공군 John L. Piotrowski |
공군 도널드 쿠티나 |
공군 Charles A. Horner |
공군 Joseph W. Ashy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공군 Howell M. Estes III |
공군 Richard B. Myers |
공군 Ralph E. Eberhart |
해군 티모시 키팅 |
공군 Victor E. Renuart Jr.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해군 제임스 윈펠드 |
육군 Charles H. Jacoby Jr. |
해군 윌리엄 가트니 |
공군 로리 로빈슨 |
공군 Terrence J. O'Shaughnessy |
|
제26대 | 제27대 | ||||
공군 글렌 밴허크 |
공군 그레고리 기요 |
}}}}}}}}} |
3. 편제
3.1. 알래스카 NORAD 지역 / Alaskan NORAD Region
하위 문서: 제11공군#!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 캐나다 NORAD 지역 / Canadian NORAD Region / Région CDAAN Canadien #===
- 제1전대 / 1 Wing
- 제400전술헬리콥터비행대대 / 400 Tactical Helicopter Squadron[CH-146]
- 제403헬리콥터작전훈련비행대대 / 403 Helicopter Operational Training Squadron[CH-146]
- 제408전술헬리콥터비행대대 / 408 Tactical Helicopter Squadron[CH-146]
- 제430전술헬리콥터비행대대 / 430 Tactical Helicopter Squadron[CH-146]
- 제438전술헬리콥터비행대대 / 438 Tactical Helicopter Squadron[CH-146]
- 제450전술헬리콥터비행대대 / 450 Tactical Helicopter Squadron[CH-147]
- 제3전대 / 3 Wing
- 제3항공정비대대 / 3 Air Maintenance Squadron
- 제12레이더대대 / 12 Radar Squadron
- 제425전술전투비행대대 / 425 Tactical Fighter Squadron[CF-18]
- 제433전술전투비행대대 / 433 Tactical Fighter Squadron[CF-18]
- 제439전투지원비행대대 / 439 Combat Support Squadron[CH-146]
- 제3전대 항공예비편대 / 3 Wing Air Reserve Flight
- 이칼루이트 캐나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지역 전방작전장소 / Canadian NORAD Region Forward Operating Location Iqaluit
- 제4전대 / 4 Wing
- 제1항공정비대대 / 1 Air Maintenance Squadron
- 제10야전기술훈련대대 / 10 Field Technical Training Squadron
- 제42레이더대대 / 42 Radar Squadron[AN/TPS-70]
- 제401전술전투비행대대 / 401 Tactical Fighter Squadron[CF-18]
- 제409전술전투비행대대 / 409 Tactical Fighter Squadron[CF-18]
- 제410전술전투작전훈련비행대대 / 410 Tactical Fighter Operational Training Squadron[CF-18]
- 제417전투지원비행대대 / 417 Combat Support Squadron[CH-146]
- 제419전술전투훈련비행대대 / 419 Tactical Fighter Training Squadron[CT-155]
- 제4전대 항공예비편대 / 4 Wing Air Reserve Flight
- 이누비크 캐나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지역 전방작전장소 / Canadian NORAD Region Forward Operating Location Inuvik
- 옐로우나이프 캐나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지역 전방작전장소 / Canadian NORAD Region Forward Operating Location Yellowknife
- 제5전대 / 5 Wing
- 제444전투지원비행대대 / 444 Combat Support Squadron[CH-146]
- 제5전대 항공예비편대 / 5 Wing Air Reserve Flight
- 구스 베이 캐나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지역 전방작전장소 / Canadian NORAD Region Forward Operating Location Goose Bay
- 제8전대 / 8 Wing
- 제2항공이동대대 / 2 Air Movements Squadron
- 제8항공정비대대 / 8 Air Maintenance Squadron
- 제412수송비행대대 / 412 Transport Squadron[CC-144]
- 제424수송 및 구조비행대대 / 424 Transport and Rescue Squadron[CC-130][CH-146]
- 제426수송훈련대대 / 426 Transport Training Squadron
- 제429수송대대 / 429 Transport Squadron[CC-177]
- 제436수송대대 / 436 Transport Squadron[CC-130]
- 제437수송대대 / 437 Transport Squadron[CC-150]
- 제440수송대대 / 440 Transport Squadron[CC-138]
- 제8전대 예비편대 / 8 Air Wing Reserve Flight
- 다중엔진 다목적편대 / Multi-Engine Utility Flight[BE-350]
- 캐나다군 얼러트 기지 / Canadian Forces Station Alert
- 캐나다 육군 고급전투센터 / Canadian Army Advanced Warfare Centre
- 트렌턴 합동구조조정센터 / Joint Rescue Coordination Centre Trenton
- 수색 및 구조네트워크작전통신센터 / Search and Rescue Network Operations Communications Centre
- 제9전대 / 9 Wing
- 제103수색 및 구조비행대대 / 103 Search and Rescue Squadron[CH-149]
- 제9전대 예비편대 / 9 Wing Reserve Flight
- 제12전대 / 12 Wing
- 제14전대 / 14 Wing
- 제14항공정비대대 / 14 Air Maintenance Squadron
- 제14건설공병대대 / 14 Construction Engineering Squadron
- 제404장거리정찰 및 훈련대대 / 404 Long Range Patrol and Training Squadron
- 제405장거리정찰비행대대 / 405 Long Range Patrol Squadron[CP-140]
- 제413수송 및 구조비행대대 / 413 Transport and Rescue Squadron[CC-130][CH-149]
- 제415장거리순찰전력개발대대 / 415 Long Range Patrol Force Development Squadron
- 제14전대 항공예비편대 / 14 Wing Air Reserve Flight
- 제91건설공병편대 / 91 Construction Engineering Flight
- 제143건설공병편대 / 143 Construction Engineering Flight
- 제144건설공병편대 / 144 Construction Engineering Flight
- 제17전대 / 17 Wing
- 제402"시티 오브 위니펙"대대 / 402 "City of Winnipeg" Squadron
- 제17전대 항공예비편대 / 17 Wing Air Reserve Flight
- 캐나다 공군 밴드 / Royal Canadian Air Force Band
- 제19전대 / 19 Wing
- 제19항공정비대대 / 19 Air Maintenance Squadron
- 제407장거리순찰비행대대 / 407 Long Range Patrol Squadron[CP-140]
- 제418수색 및 구조작전훈련대대 / 418 Search and Rescue Operational Training Squadron
- 제435"친테"수송 및 구조비행대대 / 435 "Chinthe" Transport and Rescue Squadron[CC-130]
- 제442수송 및 구조비행대대 / 442 Transport and Rescue Squadron[CC-115][CH-149]
- 제19전대 항공예비편대 / 19 Wing Air Reserve Flight
- 제192건설공병편대 / 192 Construction Engineering Flight
- 캐나다군 수색 및 구조학교 / Canadian Forces School of Search and Rescue
- 제22전대 / 22 Wing
- 제21항공우주통제 및 경보대대 / 21 Aerospace Control and Warning Squadron
- 제51항공우주통제 및 경보작전훈련대대 / 51 Aerospace Control and Warning Operational Training Squadron
- 제22전대 항공예비편대 / 22 Wing Air Reserve Flight
- 제2분견대, 제1공군(미국 공군) / Detachment 2, First Air Force (U.S. Air Force)
3.2. 대륙 미국 NORAD 지역 / Continental U.S. NORAD Region
4. 샤이엔산 기지
정문의 모습[37] |
정식 명칭은 샤이엔 마운틴 컴플렉스(Cheyenne Mountain Complex). 콜로라도의 콜로라도 스프링스 샤이엔 산 지하에 건설된 지하기지이다. 1951년 미국 중부 지역 영공을 방어하고, 항공 관제를 위해 이 지하기지의 지상에 공군 기지가 설치되었다.
1958년부터는 NORAD가 이 기지를 사용하게 되었다. 1960년대 들어 소련의 핵무기, 미사일 전력이 급속히 성장하자, 어떠한 핵 전쟁시에도 안전한 군사 기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1961년부터 지하기지 건설이 시작되었다. 건설 기간 동안 쿠바 미사일 위기 등과 같은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에, 건설 예산을 사후 정산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최고 스펙으로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화강암반 지하에 거대한 공간을 파고, 그 아래에 1319개의 초거대 스프링을 박아 넣고 그 위에 지하 기지를 건설하였다. 이러한 조치로 인해, 전술 핵무기가 이 기지를 직격으로 타격하더라도, 충격이 지표면으로 완전히 분산되어 기지 내 인원 피해가 최소화된다.
중앙 입구는 1m 두께의 25톤 짜리 문으로 방호되는데, 이는 완벽한 화생방 방호 능력을 지니고 있다. 기지 내에는 6개의 비상 발전기가 있으며, 최대 수용 정원은 1100명으로, 기지 내부에 병원, 약국, 교회, 이발소, 체육관 등 복지 시설도 완비되어 있다. 1966년 지하 기지가 완성된 후 정산한 건설 비용은 2,300만 달러였다.
샤이엔산 기지의 지휘센터 |
그러나 2006년 막대한 유지 비용 때문에 사용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NORAD와 NORTHCOM은 20km 떨어진 콜로라도 스프링스시의 피터슨 공군기지로, SPACECOM 작전센터는 캘리포니아의 반덴버그 공군기지로 이전했다. 냉전 종식 이후 전면적 핵전쟁의 가능성이 대단히 희박해졌기 때문에 비싼 유지비를 부담하면서 계속 샤이엔산 지하에 처박혀 있을 필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기지 이전은 2년에 걸쳐서 무려 120억 달러가 들어갔다.
스타게이트 SG-1에서 미국 정부가 막대한 운영비 때문에 스타게이트 사령부를 폐쇄하려는 에피소드가 나오는데 실제로 샤이엔 산 기지가 폐쇄되면서 이게 다 스타게이트 때문이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2015년, 미군은 레이시온사와 70억 달러 상당의 계약을 체결한 후 NORAD와 NORTHCOM의 통신설비들을 다시 샤이엔산 기지로 이전하기 시작했다.
당시 NORAD 사령관이었던 윌리엄 고트니 제독은 이전 결정에 대해 샤이엔산 기지만큼 EMP 방호가 잘 되는 곳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반덴버그 기지도 EMP 방호를 위한 추가 공사에 들어갔으나 지하 수백 미터 깊이에 위치한 샤이엔산 기지의 방호력을 당해낼 수는 없다.
미국 우주군 창설 이후로는 상기한 피터슨 공군기지 및 반덴버그 공군기지와 함께 공군에서 우주군으로 이관되었다. 피터슨 공군기지와 반덴버그 공군기지는 각각 피터슨 우주군기지와 반덴버그 우주군기지로 개명되었고, 샤이엔산 기지도 명칭은 바뀌지 않았지만 우주군에서 관리하는 시설이 되었다.
5. 크리스마스 산타 추적 행사
자세한 내용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의 산타 추적 문서 참고하십시오.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영화 워게임에서 주요 배경으로 등장한다.
- 기갑전기 드라고나에도 NORAD가 등장한다. 천신만고끝에 도착한 켄 일당이 가져온 드라고나의 데이터 백업과 등록해제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마이요 플라토가 플랙티즈의 단 크루거와 잠입해서 파괴공작을 꾀했으나 실패했다. 다만 극중 묘사는 실제 NORAD와 약간 거리가 있는 편이다.
- 기동전사 건담 유니콘에도 콜로니 레이저 그리프스2 제어시설로 등장. 코드네임은 '시스템2'. 샤이엔 산이라는 지명까지 거론되며 작중 묘사는 영락없이 NORAD. 제간 D형과 제타플러스 A1에 최신예기인 구스타프 칼까지 배치되어 있으나 트라이스타를 비롯한 제스타부대를 앞장세운 론도 벨에 경비병력이 제압당한다.
-
스타게이트 SG-1의 주요 배경이다. 정확히는 SG-1팀이 속한 스타게이트 사령부가 샤이엔산 기지에 NORAD와 함께 위치하고 있다. 작품의 설정에 따르면 지하 21층에 NORAD가 있고 스타게이트 사령부는 지하 28층, 게이트룸이 지하 29층이다.
그래서 SGC의 존재를 의심하거나 눈치챈 사람들이 '샤이엔산 지하에서 뭘 하고 있죠?'라고 물으면 주인공들은 'NORAD에서 뭘 하겠어요? 하루종일 모니터만 보고 있죠'라고 받아친다. 그러나 간혹 이미 선을 넘어버린 사람들이 'NORAD 말고, 더 밑에 뭐가 있냐고요'라고 질문해 곤란한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SGC가 상대하는 대상이 대상이다보니 작품 내에서 쉴새없이 공격받고 무수한 미 공군 군사경찰들이 죽어나가는 데다 자폭할 뻔한 적도 여러 번이지만, 현재까지는 무사히 미 공군이 통제하고 있다.
- 레인보우 식스에서는 모든 흉계가 밝혀지자 브라질에 마련한 시설로 도망가는 호라이즌 사 간부진 및 공모자들을 추적하려는 레인보우의 요청을 받고 E-3기에 호라이즌 사의 걸프스트림을 추적하라는 지시를 내리면서 짤막하게 언급된다.
- 인디펜던스 데이에서 에어포스 원에 탑승한 미국 대통령과 미군 합참의장을 제외한 정부 수반들이 샤이엔산 기지로 대피한다. 대통령과 합참의장이 NORAD로 가지 않은 이유는 내각이 한 데 모여 있다가 몰살당하는 것을 막기 위함인데, 영화에서도 외계인들이 샤이엔산 기지를 점령하면서 내부에 있던 관료들이 모두 살해되면서 에어포스 원은 유일한 안전지대인 AREA 51로 항로를 돌린다. 속편인 인디펜던스 데이: 리써전스에선 합참의장이 51구역으로 가고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료들은 샤이엔산 기지로 향한다.[38] 그러나 전편과 마찬가지로 외계인이 샤이엔 산을 점령하고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지 못한 이들은 다시 한 번 목숨을 잃는다. 이후 대통령 승계가 바로 합참의장에게 이루어지는 걸 보면 문관들은 여기서 다 사망한 모양.
- 맨 오브 스틸에서도 나온다. 스완윅 장군이 나오는 장면들이다.
- 빅뱅 이론에서 하워드는 도전! 슈퍼모델의 촬영지인 어느 고급 주택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NORAD에 근무하고 있는 자기 친구에게 부탁해서 임무 수행 후 돌아오는 UAV를 빌려, 진짜로 찾아냈다. 그래놓고는 옆에서 한심한 표정을 짓는 레너드에게 시베리아에 위치한 원자로를 감시하고 있던 드론을 "끽해봐야 1시간 정도 빼돌린 것"이라고 둘러댔다.
- 화이트 하우스 다운에서는 델타 포스가 인질 구출 작전에 실패하자 테러리스트 멤버 중 천재 해커인 스킵 타일러가 북미항공우주사령부를 해킹한 다음 미사일을 발사시켜 에어 포스 원을 추락시켰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DLC3로 미국 캐나다 연합덱으로 NORAD 이름으로 나왔다.
- 로봇 치킨에서는 미국 측에서 캐나다 쪽에서 비행 썰매를 타고 국경을 넘어오는 산타클로스에 요구한 적재물 등의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이 없자 캐나다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것마저 무시당한 결과, F-14를 동원해서 산타를 격추해 버린다.
- 인터스텔라에서 주인공 부녀가 간 우주센터가 구 노라드[39]이다. 작중 인류 문명은 더 이상 정부나 군대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붕괴된 상황인데, NASA와 미군 최후의 전력이 이곳에 주둔하고 있었다. 본인들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경고하는 타스에게 군대가 없어진 지가 언젠데 아직도 군인인 줄 아느냐고 놀리는 쿠퍼는 덤.
-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에서 극 후반부에 피스 워커가 NORAD로 위장된 핵공격 정보를 송신하여 헬게이트를 열 뻔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여담으로 네이키드 스네이크는 39살이 될때까지 NORAD의 산타클로스 추적을 진짜라고 믿고 있었다. 휴이에게 동심파괴를 당하고 "없는거냐...산타." 하면서 멘붕하는 스네이크의 대사가 압권.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의 온라인 시작 트레일러에서 페르세우스가 미사일 발사 통제실까지 뚫어버리는 것을 시작으로 등장한다. 상술한 샤이엔 산의 철통보안과 이 기지의 위치를 생각할 때 참으로 어이없는 부분.[40]
- 도미네이션즈에서 훈련 프로그램에 의한 허위 경보 관련으로 이벤트 배경 지식으로 등장한다.
-
둠스데이: 인류멸망 10가지 시나리오 2화인
블랙홀에 의해 지구가 파괴되는 시나리오에서 등장한다.
블랙홀에 지구가 떨어지면서 여러 자연재해들이 발생하자 미국의 고위관료들이 모두 NORAD 벙커로 대피하는데, 블랙홀이 강력한 중력으로 물과 공기를 지구에서 모두 앗아간 순간까지도 산소호흡기로 버텼고 지구가 통째로 산산조각나는 순간까지도 샤이엔 산이 큰 돌덩이로 남아 안에 대피한 사람들은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가 되었다. 그러나 이들마저 샤이엔 산이 블랙홀의 특이점에 가까워지지자 결국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찢어져 전원 사망하면서 지구 상의 인류가 전멸한다. 애초에 '블랙홀에 대항할 기회는 없다'는 언급이 나왔고, 포격, 공습을 피할 수 있는 시설인 벙커여봤자 블랙홀의 영향에는 얄짤없기 때문.
- 웨이스트랜드 3에서는 샤이엔 산 일대를 방사능을 숭배하는 사이비 집단이 점령하고 있다.
7. 관련 문서
[1]
아예
대한민국 공군 소속으로 사령관은 공군
소장.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H-147]
CH-147 치누크 운용 부대.
[CF-18]
CF-18 호넷 운용 부대.
[CF-18]
CF-18 호넷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AN/TPS-70]
AN/TPS-70 운용 부대.
[CF-18]
CF-18 호넷 운용 부대.
[CF-18]
CF-18 호넷 운용 부대.
[CF-18]
CF-18 호넷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T-155]
CT-155 호크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C-144]
CC-144 챌린저 운용 부대.
[CC-130]
CC-130 허큘리스 운용 부대.
[CH-146]
CH-146 그리폰 운용 부대.
[CC-177]
CC-177 글로브마스터 III 운용 부대.
[CC-130]
CC-130 허큘리스 운용 부대.
[CC-150]
CC-150 폴라리스 운용 부대.
[CC-138]
CC-138 트윈 오터 운용 부대.
[BE-350]
BE-350 운용 부대.
[CH-149]
CH-149 코모란트 운용 부대.
[CH-148]
CH-148 사이클론 운용 부대.
[CH-148]
CH-148 사이클론 운용 부대.
[CH-148]
CH-148 사이클론 운용 부대.
[CP-140]
CP-140 오로라 운용 부대.
[CC-130]
CC-130 허큘리스 운용 부대.
[CH-149]
CH-149 코모란트 운용 부대.
[CP-140]
CP-140 오로라 운용 부대.
[CC-130]
CC-130 허큘리스 운용 부대.
[CC-115]
CC-115 버팔로 운용 부대.
[CH-149]
CH-149 코모란트 운용 부대.
[37]
이 정문의 무게만 무려 25톤에 달하며 30
메가톤의 핵무기가 2km 밖에서 폭발해도 견뎌낼 수 있는 강도를 가졌다.
레이븐 락이나
마운트 웨더 등
미국 정부가 유사시를 대비해 건설한 벙커가 여럿 존재하지만, 샤이엔산 기지의 규모와 방호력을 따라올 수 있는 곳은 없다.
[38]
전편에서 파괴되어 등장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51구역과 마찬가지로 요새로 증축되어 있었다.
[39]
표지판의 이름으로 확인사살.
[40]
그것도 단 여섯 명의 특작부대원으로 철조망을 따고 그 두꺼운 철문을 테르밋 폭약만으로 뚫어버린 뒤 음악을 들으며 걸어가는 보초 목을 확 따버리고 발사실로 진입한다. 게다가 보초의 손금으로 발사실 문이 열리는 것부터 명백한 오류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