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20:45:42

캐나다 총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0d0c, #700f1e 20%, #700f1e 80%, #500d0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1대2 제3대
존 맥도널드 경 알렉산더 매켄지 존 맥도널드 경 존 애벗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존 스패로 데이비드 톰프슨 매켄지 보얼 찰스 터퍼 윌프리드 로리에
제8대 제9대 제10대 제9대2
로버트 보든 아서 미언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아서 미언
제10대2 제11대 제10대3 제12대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리처드 베드퍼드 베넷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루이 생로랑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존 디펜베이커 레스터 B. 피어슨 피에르 트뤼도 조 클라크
제15대2 제17대 제18대 제19대
피에르 트뤼도 존 터너 브라이언 멀로니 킴 캠벨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장 크레티앵 폴 마틴 스티븐 하퍼 쥐스탱 트뤼도
※ 캐나다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역대 국왕 · 역대 총독
}}}}}}}}}}}}
파일:캐나다 국장_White.svg
캐나다 총리
Prime Minister of Canada
Premier Ministre du Canada
파일:jpjt.jpg
<colbgcolor=#700F1E>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 쥐스탱 트뤼도 / 제23대
취임일 2015년 11월 4일
정당
관저 서섹스 드라이브 24번지[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MO-logo.png

1. 개요2. 임명3. 권한4. 관저5. 명단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 영어) I, _________, do solemnly and sincerely promise and swear (declare) that I will truly and faithfully, and to the best of my skill and knowledge, execute the powers and trusts reposed in me as Prime Minister. So help me God.
( 프랑스어) Moi, _________, je promets et jure (déclare) solennellement et sincèrement, qu'au mieux de ma compétence et de ma connaissance, j'exécuterai loyalement et fidèlement les pouvoirs et je m'acquitterai des responsabilités qui m'ont été confiées en qualité de premier ministre. Ainsi Dieu me soit en aide.

나 _________은/는 진실되고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여 본인에게 총리로서 부여된 권한과 책무를 수행할 것을 진정으로 엄숙하게 선서하고 약속합니다. 그러니 하느님 나를 도우소서.
캐나다 총리의 취임 선서문[2]

1. 개요

Prime Minister of Canada / Premier Ministre du Canada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 정부의 실권을 가진 정부수반이다. 현재 총리는 쥐스탱 트뤼도.

2. 임명

총리 임명권은 캐나다 국왕과 그를 대리하는 총독에게 있으며, 영국의 의원내각제의 관습에 따라 총선에서 다수 또는 과반을 차지한 정당의 당수를 총리로 임명한다.[3]

캐나다의 총리는 하원 의원으로서 선출된다. 영국과 비슷하게 상원의원의 총리 임명을 금하는 명문화 된 법은 존재하지 않지만, 관습을 통해 지켜지고 있다. 당수가 하원의 좌석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정당 우세 지역구의 의원이 자진으로 사퇴해 자리를 내어주는 식으로 이른 시일 내에 하원으로 들어오게끔 한다.

총리 임명식은 국가 원수의 관저인 리도 홀 (Rideau Hall)에서 거행되는데, 총리 당선자가 선서문을 낭독한 후에 공식적으로 임명된다.

3. 권한

캐나다 총리라는 직책은 캐나다 헌법 그 어느 곳에도 명시가 돼 있지 않지만, 관습법을 통해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 선거법[4] 56조 1항에 따르면 의회 해산권은 총독에게 주어지지만, 관습상 총독이 독단적으로 행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총리의 조언에 따라 행사한다. 예외적으로 1926년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총리가 당시 캐나다 총독 줄리언 빙에게 국회 해산과 조기 총선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고, 이에 빡친 킹 총리가 밸푸어 선언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통해 총독의 실질적 권한을 대폭 줄였다.

캐나다 국왕 국가원수로서 지니고 있는 행정적 권한을 실질적으로 이행한다. 내각 관료 임명권, 상원의원 임명권, 타국과 대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외교권, 대법원 판사 임명권, 실질적 국회 해산권 등이 있다.

또한 캐나다군의 통수권은 영국처럼 국왕과 그를 대리하는 총독에게 주어지지만, 실질적으로 총리가 행사한다.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캐나다 총리의 권력은 서구권 국가 중에서도 강한 축에 속한다. 그도 그럴 것이 의원내각제 특성상 총리는 정부 수반과 여당 대표를 동시에 맡기에 이웃 나라와 달리 입법부 행정부 견제가 이뤄지지 않는다. 또 캐나다의 하원은 다른 의원내각제보다 의원의 자유도가 매우 부족하고 당수가 시키는 대로 투표하지 않으면 당에서 추방당할 위험이 있다. 그 때문에 다수당을 차지하기만 하면 총리는 막강한 권력을 휘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나다 내각책임제의 ‘대통령제화 (Presidentialization)’ #을 우려하는 사람들도 있다.[5]

4. 관저

오타와 뉴 에든버러에 위치한 서섹스 드라이브 24번지 (24 Sussex Drive) 관저이다. 영국의 다우닝가 10번지에 비해 캐나다 내에서도 위상이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다우닝가와 달리 서섹스 드라이브는 순전히 주거용이기 때문이며 집무실은 캐나다 의회 건물 맞은편에 있다.

퀘벡주에 위치한 해링턴 레이크 저택은 별장으로 제공된다.

24 서섹스 드라이브 관저의 노후화 때문에 재건축이 거론되고 있지만[6]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1951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한 이래 전면적 보수가 전무했기에 노후화가 얼마나 심하게 진행됐는지[7]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입주를 거부했고 대신 총독 관저로 사용이 돼 왔던 리도 코티지 (Rideau Cottage)에서 생활하고 있다.

5. 명단

(해체한 정당은 * 표시)
대수 이름 소속정당 임기시작 임기종료 임기 수 재임기간 비고
1 존 A. 맥도널드 경
(Sir John Arthur McDonald)
자유보수당* 1867.7.1 1873.11.5 2 6년 127일 [8]
2 알렉산더 매켄지
(Alexander Mackenzie)

1873.11.7 1878.10.8 1 4년 336일
(1) 존 A.맥도널드 경
(Sir John Arthur McDonald)
자유보수당* 1878.10.17 1891.6.6 4 12년 232일 [9]
3 존 애벗
(Sir John Abbott)
자유보수당* 1891.6.16 1892.11.24 0 1년 161일 [10]
4 존 톰슨
(Sir John Sparrow David Thompson)
자유보수당* 1892.12.5 1894.12.12 0 2년 7일 [11]
5 매켄지 보얼
(Sir Mackenzie Bowell)
보수당(-1942)* 1894.12.21 1896.4.27 0 1년 128일
6 찰스 터퍼
(Sir Charles Tupper)
보수당 (-1942)* 1896.5.1 1896.7.8 0 68일 [12]
7 윌프리드 로리에
(Sir Wilfrid Laurier)

1896.7.11 1911.10.6 4 15년86일 [13]
8 로버트 보든
(Sir Robert Borden)
공화당 (-1942)* 1911.10.10 1917.10.11 1 6년 1일
(8) 로버트 보든
(Sir Robert Borden)
통일당* 1917.10.12 1920.7.10 1 2년 273일
9 아서 미언
(Arthur Meighen)
자유보수당*[14] 1920.7.10 1921.12.29 0 1년 172일
10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William Lyon Mackenzie King)

1921.12.29 1926.6.28 2 4년 181일
(9) 아서 미언
(Arthur Meighen)
보수당 (-1942)* 1926.6.29 1926.9.25 1 88일 [15]
(10)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William Lyon Mackenzie King)

1926.9.25 1930.8.7 1 3년 315일
11 리처드 B. 베넷 자작
(Richard Bedford Bennett)
보수당 (-1942)* 1930.8.7 1935.10.23 1 5년 77일 [16]
(10)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William Lyon Mackenzie King)

1935.10.23 1948.11.15 3 13년 23일 [17]
12 루이 생로랑
(Louis Stephen St-Laurent)

1948.11.15 1957.6.21 2 8년 218일 [18]
13 존 디펜베이커
(John George Diefenbaker)

*[19]
1957.6.21 1963.4.22 3 5년 305일
14 레스터 B. 피어슨
(Lester Bowles Pearson)

1963.4.22 1968.4.20 2 4년 364일 [20]
15 피에르 트뤼도
(Pierre Trudeau)

1968.4.20 1979.6.3~4 3 11년 45일 [21]
16 조 클라크
(Charles Joseph "Joe" Clark)

*
1979.6.4 1980.3.2~3 1 273일 [22]
(15) 피에르 트뤼도
(Pierre Trudeau)

1980.3.3 1984.6.29~30 1 4년 119일 [23]
17 존 터너
(John Napier Turner)

1984.6.30 1984.9.16~17 0 79일 [24]
18 브라이언 멀로니
(Martin Brian Mulroney)

*
1984.9.17 1993.6.25 2 8년 281일 [25]
19 킴 캠벨
(Avril Phaedra "Kim" Campbell)[26]

*
1993.6.25 1993.11.4 0 132일 [27]
20 장 크레티앵
(Jean Chrétien)[28]

1993.11.4 2003.12.12 3 10년 28일 [29]
21 폴 마틴
(Paul Edgar Philippe Martin)[30]

2003.12.12 2006.2.6 1 2년 56일 [31]
22 스티븐 하퍼
(Stephen Joseph Harper)

[32]
2006.2.6 2015.11.4 4 9년 8개월
23 쥐스탱 트뤼도
(Justin Pierre James Trudeau)

2015.11.5 (현직) 1 [33]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공산국가의 수상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푸슈파 카말 다할 (3차) 줘룽타이 한덕수 (2차)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나나 구스망 (2차) 쏜싸이 씨판돈 나지브 미카티 (3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안와르 이브라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무소속|
무소속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무소속|
무소속
]]
체링 토브가이 (2차) 김덕훈 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무소속
]]
[[스리랑카 인민전선|
스리랑카 인민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디네쉬 구나와데나 무함마드 알바시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무소속|
무소속
]]
[[탈레반|
탈레반
]]
로렌스 웡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리쿠드|
리쿠드
]]
압둘라 아리포프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베냐민 네타냐후 (6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나렌드라 모디 (3차) 이시바 시게루 (2차) 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아마나트
]]
[[무소속|
무소속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올자스 벡테노프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아킬베크 자파로프 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태국인당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파타|
파타
]]
패통탄 친나왓 셰바즈 샤리프 (2차) 무함마드 무스타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주소이트 콘스탄틴 딕 스호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요나스 가르 스퇴레 메테 프레데릭센 (2차) 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단결|
신단결
]]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에비카 실리냐 미하일 미슈스틴 (2차) 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애국연합|
애국연합
]]
뤼크 프리당 잉그리다 시모니테 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피에르 다르투 밀로이코 스파이치 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Open VLD|
Open VLD
]]
로버트 아벨라 (2차) 피에트로 파롤린 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무소속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보랴나 크리슈토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무소속|
무소속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위날 위스텔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밀로시 부체비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온건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울프 크리스테르손 빅토르 로시 페드로 산체스 (3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로베르트 피초 (4차) 로베르트 골로프 니콜 파시냔 (3차)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독립당(아이슬란드)|
독립당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무소속|
무소속
]]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2차) 사이먼 해리스 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에디 라마 (3차)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노동당(영국)|
노동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크리스텐 미할 (1차) 키어 스타머 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무소속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데니스 시미할 조르자 멜로니 이라클리 코바키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자결당|
자결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페트르 피알라 알빈 쿠르티 (2차)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루이스 몬테네그루 도날트 투스크 (3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공석) 페테리 오르포 오르반 빅토르 (5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공산국가의 수상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마크 필립스 디콘 미첼 루스벨트 스케릿 (5차)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미아 모틀리 (2차) 필립 데이비스 조니 브리세뇨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필립 조셉 피에르 랄프 곤살베스 (5차) 테런스 드루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게리 코닐 (권한대행) 개스턴 브라운 (3차) 앤드루 홀네스 (3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쥐스탱 트뤼도 (3차)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키스 롤리 (2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바 우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무소속|
무소속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사라 쿠공겔롸 (2차) 알리 라민 제인 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무소속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아지즈 아칸누시 프래빈드 주그노트 (2차)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공정당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모하메드 울드 빌랄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무소속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무소속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무소속|
무소속
]]
우스만 송코 함자 압디 바레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나디르 라르바우이 러셀 들라미니 (왕족)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번영당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무소속|
무소속
]]
아비 아머드 로비나 나반자 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펠릭스 몰루아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개혁당(차드)|
개혁당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알라마예 할리나 조셉 응구테 (2차)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공화연합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로베르 뵈그레 맘베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카심 마잘리와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아메드 하차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크리스토퍼 럭슨 샬롯 살와이 (2차)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제러마이아 머넬레 시아오시 소발레니 펠레티 테오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팡구당|
팡구당
]]
[[인민동맹|
인민동맹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제임스 마라페 시티베니 람부카 (2차) 앤서니 앨버니지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1] 현 트뤼도 총리는 입주 거부 상태. 현재는 Rideau Cottage에서 거주 중. [2] 두 가지 언어 모두를 사용하여 선서하는 것이 관례이며, 쥐스탱 트뤼도처럼 장관 경험 없이 바로 총리에 임명되는 경우 추밀원(Privy Council) 의원으로서의 선서를 같이 한다. [3] 총리로 한 번 임명받은 뒤에는 내각불신임결의만 막을 수 있다면 계속 재직할 수 있다. 쥐스탱 트뤼도가 2015년 총선에서 단독과반을 확보한 뒤 총리에 임명된 후 치른 2019년과 2021년의 총선에서 모두 과반의석을 상실하고 공식적인 연립정부를 출범시키지 않았음에도 총리직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4] Canada Elections Act [5] 캐나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미국식 대통령제를 회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6] 무려 1868년에 완공됐다. [7] 2008년 감사원 보고에 따르면 복구 비용만 1,000만 캐나다 달러(한화 약 86억 원)가 든다고 한다. # [8] 초대 총리, 퍼시픽 스캔들로 인한 사임. [9] 역대 최장 재임 2위, 재임 중 사망. [10] 퀘벡 주 상원의원, 건강악화로 사임. [11] 재임 중 사망. [12] 역대 최단 재임 1위 [13] 최초의 프랑스계이자 캐나다 태생 총리. [14] National Liberal and Conservative Party. 1942년까지 존속했던 보수당의 이름을 2차 세계대전 당시 바꿨다. [15] 킹-빙 사건으로 인한 사임. [16] CEO 출신의 부자여서 캐나다인들이 경제를 알겠지 하고 뽑았는데, 알고 보니 사실 유능한 기업인이었다고 해도 나라 경제까지 꼭 잘 보살필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17] 역대 최장 집권 1위. 이 정보로만 보면 킹은 뛰어난 정치가처럼도 보이지만, 귀신에 심취하는 등 상당히 골 때리는 인물이기도 했다. 자세한건 항목 참조. [18] 두 번째 프랑스계 총리. 91세까지 살았으며, 현재까지 가장 장수한 캐나다 총리이다. [19] 진짜로 이름이 Progressive Conservative Party이다. 1942년 보수당과 진보당이 합당하여 형성되었고, 자유당에 대항하는 주요 정당이었으나, 당세가 점점 줄어들다 2003년 캐나다동맹과 합당하여 보수당으로 개편된다. [20] 1957년 제2차 중동전쟁을 수습하는 역할을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21] 프랑스계, 1979년 총선 패배로 사임했다 이후 다시 복귀한다. 직설적인 언사에 가끔씩 공석에서 보여주는 발레 동작 등 기성 정치인스럽지 않은 모습으로 트뤼도마니아라는 팬클럽도 가질 정도로 인기가 좋은 정치인이었다. 퀘벡 지역을 배려해 프랑스어를 영어와 동등한 지위로 올리고 다문화주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면서도 퀘벡독립운동이 과격화되어 테러까지 저지르자 즉각 몬트리올에 군대를 파견해 과격분자들을 모조리 체포할 정도로 캐나다 연방유지를 최우선으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들은 트뤼도주의로 불리며 자신의 아들을 포함해 후임 자유당 총리들도 계속해서 추진했다. 2000년 사망. [22] 1979년 총선 승리로 집권했으나 1980년 조기총선 패배로 사임. [23] 역대 최장 집권 3위, 재임 중 사임. [24] 트뤼도 총리 사임으로 집권. 조기총선 패배로 광탈하며 역대 최단 집권 2위. 2020년 사망. [25] NAFTA 체결, 재임 중 사임. [26] 현재까지 유일한 북미 여성 정부수반이자 캐나다의 첫 여성총리이다. 이 인물이 쓴 이라는 이름은 킴벌리(Kimberly)의 애칭이 아니라 본인이 어릴 적부터 따로 별명으로 쓰던 것이다. [27] 멀로니 총리 사임으로 캐나다 최초의 여성총리로 집권. 허나 조기총선 패배로 광탈. [28] 어린 시절의 청력 손실로 인해 장애인이 되었으나 이를 딛고 총리직에 올라 캐나다 최초로 장애인이 총리에 오른 사례가 되었다. [29] 프랑스계. 안면마비장애라는 정치인으로써는 치명적 결점을 갖고 있음에도 총리가 되어 한국의 교과서에도 소개된 바 있다. [30] 프랑스와 아일랜드 혼혈이라 일부 언론에서는 '폴 마르탱'으로 표기한 적도 있으나 영어권인 온타리오 주 출신이라서 그냥 영어식 발음으로 표기한다. [31] 프랑스, 아일랜드 혼혈. [32] 2003년 창당. [33] 피에르 트뤼도 전 총리의 장남.